KR200184328Y1 -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 Google Patents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328Y1
KR200184328Y1 KR2019980000789U KR19980000789U KR200184328Y1 KR 200184328 Y1 KR200184328 Y1 KR 200184328Y1 KR 2019980000789 U KR2019980000789 U KR 2019980000789U KR 19980000789 U KR19980000789 U KR 19980000789U KR 200184328 Y1 KR200184328 Y1 KR 2001843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hot water
sofa
mattress
heat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452U (ko
Inventor
정헌
Original Assignee
정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헌 filed Critical 정헌
Priority to KR2019980000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432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3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3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매트리스(11)가 구비된 침대 및 소파(10)에 있어, 매트리스(11)상에 소정넓이를 갖고 안착 설치되는 방열판(20)과, 방열판(20)의 상측에는 일측에 온수주입구(31a), 배출구(31b), 공기빼기 밸브(31c)가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온수를 유통시키기 위한 일방향 유도관(31)과, 일정간격을 두고 일방향 유도관(31)에 양단이 연결되어 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부착 설치되고 폭 방향으로 반원형의 안내홈(32a)이 형성된 순환파이프(32)와, 상기 순환파이프(32)사이의 안내홈(32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황토 또는 약쑥이 개재된 건강 팩(40)을 구비하여서 된 방열구(30)를 온수분배기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공급라인 및 배출라인에 연결시켜 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온수 배관측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방열구를 침대 및 소파에 설치하여 적은 에너지로 실내에 쾌적한 난방 온도를 유지시켜 에너지를 현저히 절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난방을 통해 수면 및 휴식시에는 방열구에 인체에 유익한 건강 팩을 적용되어 있어 쾌적한 취침 및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본 고안은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가정, 호텔, 여관 등에서 취침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침구류의 상측에 방열구를 설치하여 적은 에너지로 실내에 쾌적한 난방 온도를 유지시키고, 방열기에에 인체에 유익한 건강 팩을 적용시켜 취침 또는 침상에 누워 스트레스해소 및 찜질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지역의 발전에 따라 실내난방은 아파트 단지에 일체적으로 열을 공급하는 지역적인 난방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며, 일반 주택 등지에서는 직접 보일러장치를시공하여 온돌방과 같이 방바닥면을 따듯하게 유지시켜 생활공간의 난방환경을 조성하였다.
실내 바닥면의 난방장치를 제외하고는 별도의 난방기구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난방기구는 난방시설이 안된 실내에서 국부적으로 공간의 온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켜 사용되는 기구로써, 전력에너지와 함께 연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었다. 한편, 난방기구의 한 예로, 전기 매트리스등은 바닥면을 따듯하게 하여 사용될 수 있는 기구이나, 첫째로 전력소모가 많고, 둘째로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의 발산으로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무실 등의 난방은 온수순환에 따른 스팀기구를 사용하거나 차가운 공기를 따듯한 공기로 열교환시켜 덕트를 통해 공급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상기와 같은 덕트는 천청내부로 설치되어 청소하기 어려워 유해한 이물질등과 함께 따듯한 공기를 실내에 유입시켜 실내 내부의 적정 온도조건은 조성시킬 수 있으나, 유해물질의 유입으로 인해 호흡기 질환 등에 유의 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어 따듯한 공기의 난방시스템의 기대효과에 반응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사무실의 난방시스템과는 달리 아파트는 다층으로 실내의 천정이 그다지 높게 설계되지 않아 바닥온도가 쉽게 상승되어 따듯한 난방조건을 조성할 수 있지만, 온도상승에 따른 실내공기가 일정시간후에는 습기의 부족현상으로 탁해져 숨쉬기에 곤란한 경우가 종종있어 내부에서 식물을 키우거나 물분수를 이용 및 발코니측의 창을 일정시간 열어 습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25평 이하의 적은 평수를 갖는 실내공간은 거실과 방이 일체로 온도상승되도록 시공된 아파트가 많아 국부적인 난방이 어려워 전체적인 난방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자연히 증가되어 에너지낭비를 감수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실내의 방에 거치시켜 사용되는 침대는 충분한 탄력성으로 인체를 받쳐줄 수 있는 침구류로써, 바닥면으로부터 침상이 소정높이에 있어 취침시에는 침상에 누워 수면을 취하게 될 때, 난방에 따른 공기의 온도에 의존하여 잠을 청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바닥면으로부터 방출되는 열기가 공기의 온도만을 상승시키게 되어 수면시 습도의 부족으로 잠자리에 방해를 주며, 침상에서의 잠자리는 심리적으로 개운하지 않아 정신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침구류의 상측에 난방목적으로 시공되는 온수 배관측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방열구를 침상에 설치하여 적은 에너지로 실내에 쾌적한 난방 온도를 유지시키며, 방열구에 인체에 유익한 건강 팩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여 쾌적한 취침 및 찜질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매트리스가 구비된 침대 및 소파에 있어서, 매트리스상에 소정넓이를 갖고 안착 설치되는 방열판과, 방열판의 상측에 온수주입구, 배출구, 공기빼기 밸브가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온수를 유통시키기 위한 일방향 유도관과, 일정간격을 두고 일방향 유도관에 양단이 연통가능하게 부착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반원형의 안내홈이 형성된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사이의 안내홈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황토 또는 약쑥이 개재된 건강 팩을 구비하여서 된 방열구를 온수분배기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공급라인 및 배출라인에 연결시켜 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방열구를 침상 및 소파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방열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열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대 및 소파 11: 매트리스
20: 방열판 30: 방열구
31: 유도관 31a: 온수 주입구
31b: 배출구 31c: 공기빼기 밸브
32: 순환파이프 32a: 안내홈
40: 건강 팩 50: 매트리스 케이스
P: 패스너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매트리스(11)가 구비된 침대 및 소파(10)에 관한것에 있어, 매트리스(11)상에 소정넓이를 갖고 방열판(20)을 안치시키고, 방열판(20)의 상측에는 일측에 온수주입구(31a), 배출구(31b), 공기빼기 밸브(31c)가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온수를 유통시키기 위한 일방향 유도관(31)과, 일정간격을 두고 일방향 유도관(31)에 양단이 연통가능하게 부착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반원형의 안내홈(32a)이 형성된 순환파이프(32)와, 상기 순환파이프(32)사이의 안내홈(32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황토 또는 약쑥이 개재된 건강 팩(40)을 포함하여서 된 방열구(30)를 온수분배기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공급라인 및 배출라인에 연결시켜 난방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방열구(30)는 온수주입구(31a), 배출구(31b), 공기빼기 밸브(31c)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소정두께를 갖는 매트리스 케이스(50)에 수용되고, 상기 매트리스 케이스(50)의 상하측 테두리의 근접위치에 침대 및 소파(10)의 매트리스(11)로부터 착탈가능한 패스너(P)로 부착된다.
또한, 상기 방열구(30)는 침대 및 소파(10)의 길이에 대해 상부 및 하부로 구획되게 설치되어 온수를 각각 공급차단할 수 있도록 온수주입구(31a) 및 배출구(31b)는 각 복수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순환파이프(32)는 침구류가 갖는 탄력적인 특성을 살려 금속을 포함하는 특수섬유재질로 제작되어 설치됨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열구(30)는 설치는 1인용 또는 2인용 침대 및 소파(10)의 매트리스(11)크기에 따라 제작되며, 장방향으로 유도관(31)을 일치시켜 유도관(31)의 일측에 순환파이프(32)의 양단을 끼워 용접 및 융착작업으로 상호 연결부위를 고정시켜 준다.
상기 유도관(31)은 일반적인 일방향으로 순환되도록 상기 통공을 간격두고 내측에 격벽(도면에서 생략함)이 구획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순환파이프(32)의 결합시 그 연통되는 내부구조는 온수주입구(31a)측으로부터 배출구(31b)까지 지그재그형식으로 유통되어 열매개체가 일방향으로 순환될 수 있는 것임은 통례적인 구조로서 그 내부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방열구(30)는 각 순환파이프(32)의 안내홈(32a)에 소정길이 만큼 해당하는 건강 팩(40)을 개재시켜 순환파이프(32)사이의 공간을 채워준 후 방열구(30)자체는 매트리스 케이스(50)에 수용시켜 준다. 상기 매트리스 케이스(50)는 침대 및 소파(10)의 매트리스(11)에 안착된 방열판(20)상에 안착시켜 준다. 상기한 방열판(20)은 매트리스(11)상에 안착되고 상기 케이스(50)의 저면에 위치되므로 특별히 고정되거나 할 필요성은 갖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방열판(20)상에 방열구(30)를 수용시킨 매트리스 케이스(50)는 테두리의 하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패스너(P)를 매트리스(11)의 상측에 일치시켜 부착하고, 상기 매트리스 케이스(50)의 상측에 설치된 패스너(P)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또 다른 매트리스(12)을 부착시켜 준다.
상기 케이스(50)에 수용된 방열구(30)의 온수주입구(31a), 배출구(31b), 공기빼기 밸브(31c)부위가 외부로 소정길이 돌출된 형태가 되며, 상기 온수주입구(31a) 및 배출구(31b)측에는 온수분배기로 부터 배관되는 공급파이프 및 배출파이프에 상호 연결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방열구(30)에는 온수분배기의 온수 밸브조절에 의해 온수를 공급시켜 주므로써, 방열구(30)의 순환파이프(32) 및 유도관(31)은 설정된 온도의 온수를 순환시켜 준다. 이는 유도관(31)측의 주입구(31a)에서 공급되어 연속적으로 배출구(31b)측으로 순환하여 방열기를 따듯하게 데워준다. 사용할 때 순환파이프(32)내에 유통되는 온수는 유도관(31)의 일측에 설치된 공기빼기 밸브(31c)를 이용하여 온수에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켜 온수의 순환을 원활히 해준다.
상기와 같이 적정온도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침상에 눕거나 앉으면, 온돌방과 같이 따듯함을 느낄 수 있어 실내 바닥의 온도를 제어한 상태에서 침대 및 소파(10)측으로만 온도를 상승시켜 취침시 또는 휴식시에는 별도의 온수공급을 하지 않아도 되며, 순환파이프(32)의 사이에 개재시킨 건강 팩(40)의 성분등이 발산되는 작용으로 인해 인체에 유익한 호르몬을 촉진시켜 줄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황토가 들어간 건강 팩(40)을 이용할 경우 원적외선 발산으로 일반주택의 경우 인체에 해로운 수맥파를 방지하여 건강을 보호해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절한 온도상승조절에 의해 찜질을 할 수 있어, 병원 등과 같이 침상에서 누워 치료받는 환자의 회복을 도움을 줄 수 있고, 온수공급은 침대 및 소파(10)측으로만 한정시켜 공급시킬 수 있어 따듯하게 바로 취침할 수 있어 호텔이나 여관 등에 거치되는 침대 및 소파(10)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의 취양에 따라 방열구(30)의 유도관(31)에 복수로 설치된 온수 주입구(31a)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입구측의 온수공급을 조절하면, 침대의 경우는 상측 또는 하측부분을, 소파의 경우는 좌측 및 우측부분의 온도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절기에 있어, 온수대신 냉수를 상기 방열기측에 순환시켜주면, 상기와 반대로 실내측의 공기를 평균온도보다 낯추어 사용할 수 있어 실내의 온도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열구(30)의 사용은 실내의 바닥온도를 필요이상 상승시키지 않는 경우(예를들면, 장시간 집을 비우거나 여행하는 경우)에는 침대(10)상에 설치한 방열구(30)에만 온수를 공급시키더라도 침상에서 발산되는 열 기운은 밀폐된 실내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항상 유지시켜 적은 열에너지로 국부적으로 난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온수 배관측을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방열구를 침대 또는 소파에 설치하므로써, 적은 에너지로 실내에 쾌적한 난방 온도를 유지시켜 에너지를 현저히 절약하여 사용할 수 있고, 난방을 통해 수면 및 휴식시에는 방열구에 인체에 유익한 건강 팩을 적용되어 있어 쾌적한 취침 및 찜질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매트리스(11)가 구비된 침대 및 소파(10)에 있어서,
    매트리스(11)상에 소정넓이를 갖고 안착 설치되는 방열판(20)과, 방열판(20)의 상측에는 일측에 온수주입구(31a), 배출구(31b), 공기빼기 밸브(31c)가 설치되며 일방향으로 온수를 유통시키기 위한 일방향 유도관(31)과,
    일정간격을 두고 일방향 유도관(31)에 양단이 연결되어 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부착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반원형의 안내홈(32a)이 형성된 순환파이프(32)와,
    상기 순환파이프(32)사이의 안내홈(32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황토 또는 약쑥이 개재된 건강 팩(40)을 포함하여서 된 방열구(30)를 온수분배기로부터 연결 설치되는 공급라인 및 배출라인에 연결시켜 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30)는 온수주입구(31a), 배출구(31b), 공기빼기 밸브(31c)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소정두께를 갖는 매트리스 케이스(50)에 수용되고, 상기 매트리스 케이스(50)의 상하측 부분은 침상의 매트리스(11)(12)로부터 착탈될 수 있는 패스너(P)로서 부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30)는 침대 및 소파(10)의 길이에 대해 상부 및 하부 또는 좌측 및 우측부분으로 구획되게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순환파이프(32)는 금속이 포함되는 섬유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KR2019980000789U 1998-01-23 1998-01-23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KR2001843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89U KR200184328Y1 (ko) 1998-01-23 1998-01-23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89U KR200184328Y1 (ko) 1998-01-23 1998-01-23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52U KR19990034452U (ko) 1999-08-25
KR200184328Y1 true KR200184328Y1 (ko) 2000-06-01

Family

ID=1953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789U KR200184328Y1 (ko) 1998-01-23 1998-01-23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432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135B1 (ko) * 2007-12-10 2010-01-11 김유정 황토소파
KR101434756B1 (ko) * 2012-12-11 2014-08-29 엄대훈 쑥 찜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52U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84328Y1 (ko)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KR101404620B1 (ko) 양면 난방침대
CN107136814B (zh) 通过气体调温的床垫加热层
KR200240435Y1 (ko) 가습기와 찜질팩을 구비한 휴대용 온수보온매트
KR200439627Y1 (ko)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KR200489095Y1 (ko) 기능성 온수 침대
KR20130122184A (ko) 엘이디발열체가 구비된 냉난방용 매트리스
KR200209413Y1 (ko) 원적외선 방사 보온 매트
KR200252901Y1 (ko) 보일러 온수를 이용한 난방용 매트리스
KR100412418B1 (ko) 침대용 물순환 매트리스
KR20040103282A (ko) 온수 매트리스
KR200465724Y1 (ko) 나무침대
KR102591786B1 (ko)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KR200195251Y1 (ko) 온수 보일러 내장형 매트리스
KR960003287Y1 (ko) 자동온수열 매트침대
KR100361437B1 (ko) 원적외선 방사 보온 매트
KR200320965Y1 (ko) 온수의 분리순환을 이용한 난방돌침대
KR19990022705U (ko) 원적외선방사보온매트
KR200252785Y1 (ko) 조립식 황토침대
KR200252907Y1 (ko) 매트리스
KR100397108B1 (ko) 전자파 해가 없는 찜질용구
KR200325449Y1 (ko) 온수매트리스용 온수분배기
KR20090112895A (ko) 온열매트
KR20100012271A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발산되는 침대
KR100211132B1 (ko) 물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