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1786B1 -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 Google Patents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1786B1
KR102591786B1 KR1020220177873A KR20220177873A KR102591786B1 KR 102591786 B1 KR102591786 B1 KR 102591786B1 KR 1020220177873 A KR1020220177873 A KR 1020220177873A KR 20220177873 A KR20220177873 A KR 20220177873A KR 102591786 B1 KR102591786 B1 KR 10259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roof
space
fram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7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구들
신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구들, 신용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구들
Priority to KR1020220177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24D15/02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consisting of self-contained heating units, e.g. storage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88Sauna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 구들의 난방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별도의 가열원 없이도 찜질기능을 수행 가능한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 관한 것으로, 주택 룸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시공된 구들 바닥(100)과; 상기 구들 바닥(100)이 가열되도록 난방에너지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구들 바닥(100)에 매립된 복수층의 열선(200)과; 상기 구들 바닥(10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휴면공간(DS)이 형성되고, 일측에 거주가 출입하도록 개폐도어(301)가 설치되며, 상기 구들 바닥(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온열로 상기 휴면공간(DS)의 온도가 상승하여 찜질기능을 수행하는 찜질캡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Fixed healing capsule applied to hypocaust}
본 발명은 난방 구들의 난방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별도의 가열원 없이도 찜질기능을 수행 가능한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들방은 온돌방이라고도 하며, 우리나라 전통의 방바닥구조이다. 구들방은 구들(돌판 또는 황토)을 방바닥에 깔고 상기 구들을 가열하여 방안을 데우는 구조로, 구들은 화염에 직접 가열되어 뜨겁지만 실내의 공기는 상기 데워진 구들에 의해 가열되는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황토로 구들을 형성하는 주택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황토를 방바닥에 깔아서 형성하는 방을 구들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구들방을 장시간 비울 때에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구들을 데워주는 경우가 거의 없어서 장마철과 같이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구들방에 거주할 경우 많은 습기로 인하여 쾌적함을 느낄 수 없고, 겨울철과 같이 추운 환경에서는 신속하게 구들방을 가열하기 어려워 구들방이 데워지는 동안 추위를 느낄뿐만 아니라 구들방을 데우기 위해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다고, 구들방을 항시 난방 장치를 이용하여 데워 놓으려고 하면 에너지의 낭비로 인하여 에너지 효율에 있어서 문제가 적지 않고, 구들방을 항시 데워놓기 위한 난방 장치 등의 관리에 있어서도 곤란한 문제가 초래된다.
기존의 전기 바닥 온돌은 바닥에 열선을 한 줄로 까는 단순한 시공 방법을 적용하는데, 이러한 전기 바닥 온돌은 발생한 열에너지를 오랫동안 가두어 두지 못하여서 축열이 되지 않아 난방비가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다중 축열 구들(특허문헌 4 참조)에 의해 해소되었다.
도 1은 종래의 다중 축열 구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중 축열 구들은 건물 룸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시공된 구들 바닥(20)과, 상기 구들 바닥(20)에 상하 다층으로 매입된 복수층의 열선(3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층의 상기 열선(30) 중에서 일부를 선택하여 발열시키거나 복수층의 상기 열선(30)을 동시에 발열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구들 바닥(20)은 가장 아래쪽의 바닥층(22), 상기 바닥층(22) 위에 형성된 단열층(22HI), 상기 단열층(22HI)의 위쪽에 형성된 난방 가동층(23), 상기 난방 가동층(23) 위에 형성된 보온층(24), 상기 보온층(24) 위에 형성된 미장층(2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층의 난방 가동층(23)에 각각의 열선(30)이 매입되고, 상기 난방 가동층(23)은 상기 바닥층(22) 위의 상기 단열층(22HI) 위에 형성된 발열층(23A)과 축열 저장층(23B)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열층(23A)은 복수층으로 구성되고, 복수층의 상기 발열층(23A)마다 열선(30)이 각각 매입되고, 복수층의 상기 발열층(23A)마다 하나씩 상기 열선(30)이 매설되어 상기 난방 가동층(23)에 복수층의 열선(30)이 매설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층의 상기 열선(30) 중에서 위쪽의 열선(30)과 아래쪽의 열선(30)은 격자형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고, 복수층의 열선(30) 중에서 위쪽의 열선(30)과 아래쪽의 열선(30)은 격자형으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위쪽의 열선(30)과 아래쪽의 열선(30)에서 서로 중첩되는 부분이 발생할 시 상기 구들 바닥(20)을 종단면으로 볼 때에 위쪽의 열선(30)과 아래쪽의 열선(30)에서 서로 중첩되는 부분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종래의 다중 축열 구들은 구들방을 장시간 비울 때에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구들을 데워주어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고 구들에 매립된 복수층의 열선 중에서 일부 층의 열선만을 가동시켜서 에너지 효율도 향상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거주자는 스트레스 해소나 건강 증진을 위해 황토찜질매트와 같은 별도의 찜질기능성 장비를 구비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와 같은 찜질기능성 장비는 별도의 가열원을 통해 가열되기 때문에, 전기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난방 구들의 난방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별도의 가열원 없이도 찜질기능을 수행하는 난방 구들에 적용가능한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10-2017-0011319 A KR 10-2001-0097383 A KR 10-1667746 B1 KR 10-2409179 B1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난방 구들의 난방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별도의 가열원 없이도 찜질기능을 수행 가능한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은, 주택 룸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시공된 구들 바닥과; 상기 구들 바닥이 가열되도록 난방에너지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구들 바닥에 매립된 복수층의 열선과; 상기 구들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휴면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거주가 출입하도록 개폐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구들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온열로 상기 휴면공간의 온도가 상승하여 찜질기능을 수행하는 찜질캡슐;을 포함한다.
상기 찜질캡슐은, 기지정된 간격마다 일측투입구멍이 내측에 형성되는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과;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과 기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에 관통형성된 일측투입구멍의 대응되는 위치에 타측투입구멍이 내측에 형성되는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과;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과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 간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연결시키되, 상기 일측투입구멍 및 상기 타측투입구멍의 사이 마다 위치되어, 끼임공간이 형성되게 연결시키는 상하 연결프레임과;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 및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 사이의 공간 부분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휴면공간을 형성시켜 주도록, 양측면에 끼움돌기가 각각 돌출되어,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의 일측투입구멍과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의 타측투입구멍 사이에 끼워지는 폐쇄블록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쇄블록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상하 연결프레임의 두께 정도의 평탄용 끼움단턱이 돌출되어, 상하 연결프레임 사이에 끼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찜질캡슐을 이루는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 및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의 외측 형상은, 거주자가 누울 시 폐쇄블록들에 접촉되는 거주자의 배후신체부위가 젖혀질 수 있도록, 상부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폐쇄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는, 거주자의 배후신체부위 중 더 젖혀지게 요구하는 부위인 요청 배후신체 지정부위가 더 젖혀지도록 견인용 돌출구가 돌출구비되고,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을 따라 형성된 타측투입구멍 중 어느 하나는 상부가 개방된 블록교체용 요입공간으로 특정되어, 상기 블록교체용 요입공간에 상기 견인용 돌출구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을 교체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견인용 돌출구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의 개수는 상기 견인용 돌출구의 수직 높이가 다른 것으로 다수개를 구비하여 거주자의 선택에 따라 견인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폐쇄블록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구멍이 형성되고,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는, 상기 인입구멍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양측에 거주자가 파지할 수 있게 파지홈이 형성된 끼임몸체 및 상기 끼임몸체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압돌기로 이루어진 지압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입구멍의 형상은, 상기 지압구를 이루는 끼임몸체 및 지압돌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는, 내부에 약초가 수납되는 약재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약재수용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찜질캡슐이 고정설치된 구들 바닥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약재수용함이 수납되는 약재수용공간영역이 형성되되, 상기 약재수용공간영역의 아래에는 상기 복수층의 열선이 매립된 위치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재수용공간영역은 상기 약재수용함이 진입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진입공간영역 및 상기 진입공간영역을 통해 진입되는 약재수용함이 거치되는 거치공간영역으로 세분화되고, 상기 약재수용함은,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으로 측면 및 하면을 연결하여, 내부에 약재수용공간영역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의 수용본체들과; 상기 수용본체의 바닥 및 내측면에 부착되어, 약재수용공간영역에 수용되는 약초가 유출되지 않게 하는 수납용 메쉬망과; 상기 메쉬망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수용본체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용 메쉬망과; 수용본체의 전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전측연결편과; 수용본체의 후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후측연결편과; 상기 한 쌍의 후측연결편 사이에 상기 전측연결편을 위치시키되, 연결공이 중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수용본체들 간을 연결하되,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봉;을 포함한다.
상기 찜질캡슐에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휴면공간으로 유입시키는 외부공기용 흡기팬; 및 상기 휴면공간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내부공기용 배기팬;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난방 구들의 난방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별도의 가열원 없이도 찜질기능을 수행 가능한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찜질기능과 더불어 스트레칭 운동도 겸용으로 수행가능하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트레칭 운동 시 거주자가 스트레칭의 운동강도를 자신의 신체능력에 맞게 선택하여 운동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찜질기능과 더불어 겸용으로 제공되는 스트레칭 운동 시 선택에 따라 지압기능도 이용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주자가 원하는 녹차, 허브, 쑥, 솔잎 등과 같은 재료인 찜질재료를 간편하게 선택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주자의 취향과 체질에 맞는 찜질재료를 거주자가 직접 선택하여 찜질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찜질을 수행하는 찜질캡슐 내부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찜질캡슐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쾌적한 찜질환경을 도모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중 축열 구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루는 구성 중 상이한 견인용 돌출구의 수직높이를 갖는 3개의 폐쇄블록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루는 구성 중 견인용 돌출구가 구비된 폐쇄블록으로 교체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루는 구성 중 폐쇄블록에 구비되는 지압구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이 구들바닥에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루는 구성 약재수용함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성능을 높이고자 견인용 돌출구가 구비된 폐쇄블록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용하여 스트레칭 운동과 더불어 지압기능까지 이용하는 것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언급된 것일 뿐이지,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또는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를 명기하기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하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 구들의 난방에너지원을 활용하여 별도의 가열원 없이도 찜질기능을 수행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은 크게, 구들 바닥(100), 복수층의 열선(200) 및 찜질캡슐(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구들 바닥(100)은 주택 룸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시공된 것으로, 황토재질로 이루어진 부재이다.
여기서, 구들 바닥(100)이 설치되는 주택은 아파트나 연립주택과 같은 공동주택, 단독주택, 원격지에서 조립하여 시공하는 이동식 주택 등 다양한 주택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들 바닥(100)은 바닥층, 난방 가동층, 보온층 및 미장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난방 가동층에 상하 복수층으로 후술되는 열선(200)이 매립 제공되어짐으로써, 열선(200)과 열선(200) 사이에 축열 공간을 만들어서 많은 열에너지가 오랫동안 머물 수 있도록 구현되어, 에너지 절약과 더불어 축열 기능도 향상시켜주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공동주택인 경우 구들 바닥(100)은 아래층 룸의 슬라브가 된다. 여기서, 미장층은 황토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이처럼, 미장층을 포함하는 구들 바닥(100)을 황토 재질로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황토 자체가 수많은 미생물과 각종 이로운 광물질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세정력·분해력·해독력을 갖고 있을 분만 아니라 원적외선까지 방사하여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상기 복수층의 열선(200)은 구들 바닥(100)이 가열되도록 난방에너지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구들 바닥(100)에 매립된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열선(200)은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전기 열선이나 내부로 온수가 지나가는 온수 열선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기 열선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찜질캡슐(300)은 구들 바닥(10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휴면공간(DS)이 형성되고, 일측에 거주가 출입하도록 개폐도어(301)가 설치되며, 구들 바닥(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온열로 휴면공간(DS)의 온도가 상승하여 찜질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개폐도어(301)는 경첩이나 가스실린더와 같이 여닫이로 개폐가능한 다양한 연결부재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개폐도어(301)를 적용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소음을 차단해 안락함을 제공하여 준다. 또한, 개폐도어(301)에는 손잡이를 부탁하여 여닫는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찜질캡슐(300)의 세부구성은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 상하 연결프레임(330) 및 폐쇄블록(340)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은 기지정된 간격마다 일측투입구멍(311)이 내측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금속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은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과 기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에 관통형성된 일측투입구멍(311)의 대응되는 위치에 타측투입구멍(321)이 내측 즉,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의 측면과 마주 보는 측면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금속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상하 연결프레임(330)은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과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 간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연결시키되, 일측투입구멍(311) 및 타측투입구멍(321)의 사이 마다 위치되어, 끼임공간(331)이 형성되게 연결시키는 부재로서, 금속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 연결프레임(330)과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 및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 간의 연결은 조립연결 또는 볼트체결 등 다양한 연결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로 이루어진 폐쇄블록(340)은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 및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 사이의 공간 부분을 폐쇄시킴으로써, 휴면공간(DS)을 형성시켜 주도록, 양측면에 끼움돌기(341)가 각각 돌출되어,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의 일측투입구멍(311)과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의 타측투입구멍(321) 사이에 끼워지는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폐쇄블록(340)은 나무 재질, 특히, 편백나무를 사용할 수 있는데, 편백나무를 사용하는 주된 이유로, 편백나무에는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주변의 악취와 같은 잡냄새도 제거하여 주는 이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폐쇄블록(3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하 연결프레임(330)의 두께 정도의 평탄용 끼움단턱(342)이 돌출되어, 상하 연결프레임(330) 사이에 끼움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찜질캡슐(300)의 상측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서는 찜질기능과 더불어 스트레칭 운동도 겸용으로 수행가능한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의 경우 찜질캡슐(300)을 이루는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 및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의 외측 형상은, 거주자가 누울 시 폐쇄블록(340)들에 접촉되는 거주자의 배후신체부위가 젖혀질 수 있도록, 상부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인 외관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어진다.
여기서, 배후신체부위는 거주자의 뒷머리, 뒷목, 뒷면 어깨, 등, 뒷면 허리, 둔부, 뒷면 허벅다리, 종아리 등의 신체부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서는 스트레칭 운동성능을 극대화시켜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루는 구성 중 폐쇄블록(340)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는 거주자의 배후신체부위 중 더 젖혀지게 요구하는 부위인 요청 배후신체 지정부위가 더 젖혀지도록 견인용 돌출구(343)가 돌출구비되고,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을 따라 형성된 타측투입구멍(321) 중 어느 하나는 상부가 개방된 블록교체용 요입공간(321a)으로 특정되어, 블록교체용 요입공간(321a)에 견인용 돌출구(343)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340)을 교체가능하게 안내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서는 스트레칭 운동 시 거주자가 스트레칭의 운동강도를 자신의 신체능력에 맞게 선택하여 운동 가능한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루는 구성 중 견인용 돌출구(343a,343b,343c)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340)의 개수는 견인용 돌출구(343)의 수직 높이가 다른 것으로 다수개를 구비하여 거주자의 선택에 따라 견인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견인용 돌출구(343a,343b,343c)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340)의 개수는 3개 정도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견인용 돌출구(343a,343b,343c)의 수직 높이를 대, 중, 소로 하여 선택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처럼, 견인용 돌출구(343a,343b,343c)의 수직 높이가 다른 폐쇄블록(340)은 여분으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에 형성되는 블록교체용 요입공간(321a)의 개수를 견인용 돌출구(343a,343b,343c)의 수직 높이가 다른 폐쇄블록(340)의 개수만큼 형성하여, 필요시마다 교체하여 사용가능하게 안내할 수도 있다.
여기서, 형성되는 각 블록교체용 요입공간(321a)의 형성위치는 스트레칭을 이용하는 거주자의 배후신체부위 중 더 젖혀지게 요구하는 부위인 요청 배후신체 지정부위인 뒷목이나 뒷면 허리 부근의 폐쇄블록(340)이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서는 찜질기능과 더불어 겸용으로 제공되는 스트레칭 운동 시 선택에 따라 지압기능도 이용가능한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루는 구성 중 폐쇄블록(3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구멍(344)이 형성되고, 인입구멍(344)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양측에 거주자가 파지할 수 있게 파지홈(411)이 형성된 끼임몸체(410) 및 끼임몸체(4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압돌기(420)로 이루어진 지압구(400)가 구비되어진다.
이때, 인입구멍(344)의 형상은 지압구(400)를 이루는 끼임몸체(410) 및 지압돌기(4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지압구(400)를 이루는 끼임몸체(410)의 바닥 부분이 폐쇄블록(340)의 외측면에 위치되도록 끼움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서는 찜질기능 수행 시 거주자가 원하는 녹차, 허브, 쑥, 솔잎 등과 같은 재료인 찜질재료를 간편하게 선택하거나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거주자의 취향과 체질에 맞는 찜질재료를 거주자가 직접 선택하여 찜질을 수행할 수 있게 안내하여 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는 내부에 약재가 수납되는 약재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약재수용함(500)이 구비되어지고, 찜질캡슐(300)이 고정설치된 구들 바닥(100)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약재수용함(500)이 수납되는 약재수용공간영역(600)이 형성되되, 약재수용공간영역(600)의 아래에는 복수층의 열선(200)이 매립된 위치구조로 특정되어진다.
또한, 약재수용공간영역(600)이 형성되는 찜질캡슐(300)이 설치된 구들 바닥(100)에는 약재수용공간영역(600)과 연통되는 약재성분 유입통로(110)가 형성되어진다.
한편, 약재수용공간영역(600)은 약재수용함(500)이 진입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진입공간영역(610) 및 진입공간영역(610)을 통해 진입되는 약재수용함(500)이 거치되는 거치공간영역(620)으로 세분화되어진다.
그리고 약재수용함(500)의 세부구성은 수평프레임(511) 및 수직프레임(512)으로 측면 및 하면을 연결하여, 내부에 약재수납공간(513)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의 수용본체(510)들과, 수용본체(510)의 바닥 및 내측면에 부착되어, 약재수납공간(513)에 수용되는 약재수납공간(513)가 유출되지 않게 하는 수납용 메쉬망(521)과, 수납용 메쉬망(521)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수용본체(5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용 메쉬망(522)과, 수용본체(510)의 전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전측연결편(514)과, 수용본체(510)의 후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후측연결편(515)과, 한 쌍의 후측연결편(515) 사이에 전측연결편(514)을 위치시키되, 연결공이 중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연결공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수용본체(510)들 간을 연결하되,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봉(53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수용본체(510)의 상측과 개폐용 메쉬망(522) 간에는 암수의 벨크로테이프를 부착하여,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착탈구조는 암수의 벨크로테이프와 더불어, 암수의 후크, 단추 및 고리, 자석과 같이 다양한 착탈구조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에서는 찜질을 수행하는 찜질캡슐 내부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찜질캡슐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쾌적한 찜질환경을 도모하여 주는 이점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루는 구성 중 찜질캡슐(300)에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휴면공간(DS)으로 유입시키는 외부공기용 흡기팬(710) 및 휴면공간(DS)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내부공기용 배기팬(720)이 구비되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을 이용하여, 찜질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복수층의 열선(200)을 통해 축열된 구들 바닥(100)의 난방에너지원을 이용한다.
즉, 찜질캡슐(300) 쪽으로 구들 바닥(100)에 축열된 난방에너지가 전달되어 가열됨으로서, 거주자는 찜질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거주자는 찜질 기능 이용 시 자신이 원하는 녹차, 허브, 쑥, 솔잎 등과 같은 재료인 찜질재료를 인입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 약재수용함(500)을 이루는 각 수용본체(510)에 원하는 찜질재료를 투입한 후 개폐용 메쉬망(522)을 수용본체(510)의 상측에 부착 고정한다.
이후, 거주자는 찜질캡슐(300)이 고정설치된 구들 바닥(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약재수용공간영역(600)을 이루는 진입공간영역(610)을 통해 약재수용함(500)을 인입한 후 그 인입된 진입공간영역(610)이 거치공간영역(620)까지 진입시킨다.
이렇게 거치공간영역(620)에 진입된 약재수용함(500)은 직하에 위치되는 구들 바닥(100)에 축열된 난방에너지가 전달되어 가열됨으로써, 약재수용함(500)에 수납된 약재로부터 수증기나 향을 포함하는 약재 성분이 추출되는 가열원으로 이용되고, 그 추출되는 약재성분은 약재수용공간영역(600)과 연통된 구들 바닥(100)의 약재성분 유입통로(110)를 경유하여 찜질캡슐(300) 내부로 유입되어, 약재성분도 제공되는 찜질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거주자는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부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을 갖는 찜질캡슐(300)로 올라가 배후신체부위가 찜질캡슐(300)의 상측부를 이루는 폐쇄블록(340)들에 접촉되게 누으면 신체가 활처럼 휘면서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거주자는 배후신체부위 중 더 젖혀지게 요구하는 부위인 요청 배후신체 지정부위(뒷목이나 뒷면 허리 등)가 있을 경우 해당 요청 배후신체 지정부위 부근에 위치되는 견인용 돌출구(343)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340)을 인출한 후 견인용 돌출구(343)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340)을 그 인입시키되, 견인용 돌출구(343)가 천장을 바라보는 위치로 인입시켜 보다 높은 강도의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한다.
또한, 거주자는 스트레칭 운동 중 선택에 따라 지압기능도 이용가능하다. 만약 지압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 거주자의 배후신체 지정부위 중 지압기능을 받고자 하는 요청 배후신체 지정부위 부근에 위치되는 폐쇄블록(340)에 끼움된 지압구(400)를 이루는 끼임몸체(410)의 파지홈(411)을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빼낸 후 끼임몸체(410)의 지압돌기(420)기 천장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끼임몸체(410)을 다시 인입구멍(344)에 끼운 상태에서 지압기능도 이용하면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구들 바닥
200 : 열선
300 : 찜질캡슐
400 : 지압구
500 : 약재수용함
600 : 약재수용 공간영역

Claims (10)

  1. 주택 룸의 바닥을 형성하도록 시공된 구들 바닥(100)과;
    상기 구들 바닥(100)이 가열되도록 난방에너지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구들 바닥(100)에 매립된 복수층의 열선(200)과;
    상기 구들 바닥(10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 휴면공간(DS)이 형성되고, 일측에 거주가 출입하도록 개폐도어(301)가 설치되며, 상기 구들 바닥(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온열로 상기 휴면공간(DS)의 온도가 상승하여 찜질기능을 수행하는 찜질캡슐(300);을 포함하고,
    상기 찜질캡슐(300)은, 기지정된 간격마다 일측투입구멍(311)이 내측에 형성되는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과;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과 기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에 관통형성된 일측투입구멍(311)의 대응되는 위치에 타측투입구멍(321)이 내측에 형성되는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과;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과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 간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연결시키되, 상기 일측투입구멍(311) 및 상기 타측투입구멍(321)의 사이 마다 위치되어, 끼임공간(331)이 형성되게 연결시키는 상하 연결프레임(330)과;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 및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 사이의 공간 부분을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휴면공간(DS)을 형성시켜 주도록, 양측면에 끼움돌기(341)가 각각 돌출되어, 상기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의 일측투입구멍(311)과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의 타측투입구멍(321) 사이에 끼워지는 폐쇄블록(340)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폐쇄블록(34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상하 연결프레임(330)의 두께 정도의 평탄용 끼움단턱(342)이 돌출되어, 상하 연결프레임(330) 사이에 끼움되어지고,
    상기 찜질캡슐(300)을 이루는 지붕형성용 일측 프레임(310) 및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의 외측 형상은, 거주자가 누울 시 폐쇄블록(340)들에 접촉되는 거주자의 배후신체부위가 젖혀질 수 있도록, 상부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블록(340)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하면에는, 거주자의 배후신체부위 중 더 젖혀지게 요구하는 부위인 요청 배후신체 지정부위가 더 젖혀지도록 견인용 돌출구(343,343a,343b,343c)가 돌출구비되고,
    상기 지붕형성용 타측 프레임(320)을 따라 형성된 타측투입구멍(321) 중 어느 하나는 상부가 개방된 블록교체용 요입공간(321a)으로 특정되어, 상기 블록교체용 요입공간(321a)에 상기 견인용 돌출구(343,343a,343b,343c)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340)을 교체가능하게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용 돌출구(343,343a,343b,343c)가 돌출구비된 폐쇄블록(340)의 개수는 상기 견인용 돌출구(343,343a,343b,343c)의 수직 높이가 다른 것으로 다수개를 구비하여 거주자의 선택에 따라 견인되는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블록(3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입구멍(344)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멍(344)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양측에 거주자가 파지할 수 있게 파지홈(411)이 형성된 끼임몸체(410) 및 상기 끼임몸체(4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지압돌기(420)로 이루어진 지압구(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입구멍(344)의 형상은, 상기 지압구(400)를 이루는 끼임몸체(410) 및 지압돌기(4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8.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약재가 수납되는 약재수납공간(513)이 형성되는 약재수용함(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찜질캡슐(300)이 고정설치된 구들 바닥(100)의 일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약재수용함(500)이 수납되는 약재수용공간영역(600)이 형성되되, 상기 약재수용공간영역(600)의 아래에는 상기 복수층의 열선(200)이 매립된 위치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약재수용공간영역(600)은, 상기 약재수용함(500)이 진입될 수 있도록. 사선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진입공간영역(610) 및 상기 진입공간영역(610)을 통해 진입되는 약재수용함(500)이 거치되는 거치공간영역(620)으로 세분화되고,
    상기 약재수용함(500)은, 수평프레임(511) 및 수직프레임(512)으로 측면 및 하면을 연결하여, 내부에 약재수납공간(513)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의 수용본체(510)들과;
    상기 수용본체(510)의 바닥 및 내측면에 부착되어, 약재수납공간(513)에 수용되는 약재가 유출되지 않게 하는 수납용 메쉬망(521)과;
    상기 수납용 메쉬망(521)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수용본체(510)의 상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용 메쉬망(522)과;
    수용본체(510)의 전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전측연결편(514)과;
    수용본체(510)의 후측에 돌출되는 것으로, 연결공이 관통형성되는 한 쌍의 후측연결편(515)과;
    상기 한 쌍의 후측연결편(515) 사이에 상기 전측연결편(514)을 위치시키되, 연결공이 중첩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수용본체(510)들 간을 연결하되,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봉(5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찜질캡슐(300)에는, 외부공기를 흡기하여 상기 휴면공간(DS)으로 유입시키는 외부공기용 흡기팬(710); 및 상기 휴면공간(DS)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내부공기용 배기팬(7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KR1020220177873A 2022-12-19 2022-12-19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KR10259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73A KR102591786B1 (ko) 2022-12-19 2022-12-19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873A KR102591786B1 (ko) 2022-12-19 2022-12-19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786B1 true KR102591786B1 (ko) 2023-10-20

Family

ID=8851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7873A KR102591786B1 (ko) 2022-12-19 2022-12-19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78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83A (ko) 2000-04-22 2001-11-08 박쌀수 구들방용 온풍장치
KR200289158Y1 (ko) * 2002-06-04 2002-09-13 서영수 캡슐형 온열 찜질기
KR20080001606U (ko) * 2008-05-19 2008-06-09 김경덕 침소용 에어텐트
KR20100009970A (ko) * 2008-07-21 2010-01-29 최수영 건식 및 습식 온열 침대
KR101667746B1 (ko) 2016-08-30 2016-10-19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KR20170011319A (ko) 2015-07-22 2017-02-02 유명성 전통구들방식을 이용한 복합난방 시스템
KR20190007741A (ko) * 2017-07-13 2019-01-23 전병민 마사지 기능을 갖는 돔 사우나 장치
KR102409179B1 (ko) 2021-09-01 2022-06-15 주식회사 구들 다중 축열 구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7383A (ko) 2000-04-22 2001-11-08 박쌀수 구들방용 온풍장치
KR200289158Y1 (ko) * 2002-06-04 2002-09-13 서영수 캡슐형 온열 찜질기
KR20080001606U (ko) * 2008-05-19 2008-06-09 김경덕 침소용 에어텐트
KR20100009970A (ko) * 2008-07-21 2010-01-29 최수영 건식 및 습식 온열 침대
KR20170011319A (ko) 2015-07-22 2017-02-02 유명성 전통구들방식을 이용한 복합난방 시스템
KR101667746B1 (ko) 2016-08-30 2016-10-19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KR20190007741A (ko) * 2017-07-13 2019-01-23 전병민 마사지 기능을 갖는 돔 사우나 장치
KR102409179B1 (ko) 2021-09-01 2022-06-15 주식회사 구들 다중 축열 구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1606U (ko) 침소용 에어텐트
KR102591786B1 (ko)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KR102576773B1 (ko) 난방구들용 이동식 힐링캡슐
KR200475856Y1 (ko) 전신 돔 사우나 장치
KR102624219B1 (ko) 파지부가 구비된 난방구들용 이동식 힐링캡슐
CN201020002Y (zh) 半身干式桑拿木桶
KR101043794B1 (ko) 황토판재로 제공되는 기능성 황토방
KR20080005291U (ko) 족열기
JP2007307282A (ja) 温石浴装置
KR200384533Y1 (ko) 황토판넬을 이용한 반신욕기기
KR200349944Y1 (ko) 하반신전용 사우나
EA014376B1 (ru) Баня и генератор горячего воздуха для банного парного помещения
KR102614774B1 (ko) 가습장비가 구비된 난방구들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200489095Y1 (ko) 기능성 온수 침대
JP3132918U (ja) ボックス型岩盤浴室
CN205434348U (zh) 一种艾灸盒
KR200252901Y1 (ko) 보일러 온수를 이용한 난방용 매트리스
KR20070059530A (ko) 건식 반신욕 장치
CN204972214U (zh) 腹部专用大艾灸盒
CN204840241U (zh) 腰背部专用大艾灸盒
KR200184328Y1 (ko)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RU38112U1 (ru) Парная курина
CN216417751U (zh) 一种药灸理疗舱
KR200306905Y1 (ko) 매립형 건강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