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746B1 -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 Google Patents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746B1
KR101667746B1 KR1020160110528A KR20160110528A KR101667746B1 KR 101667746 B1 KR101667746 B1 KR 101667746B1 KR 1020160110528 A KR1020160110528 A KR 1020160110528A KR 20160110528 A KR20160110528 A KR 20160110528A KR 101667746 B1 KR101667746 B1 KR 10166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ess
wall
plate
chimney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 에코웰
Priority to KR1020160110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of ceramics or cl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2Flooring or floor layers made of masses in situ, e.g. seamless magnesite floors, terrazzo gypsu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부에 제공되며 도어가 부설되어 있으며 전면에 제 1 개방구가 형성된 벽체과; 상기 벽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지붕과; 상기 제 1 개방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일단부에 제공된 화목보일러와; 일단부가 상기 화목보일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면에 제공된 고래둑과; 상기 고래둑의 상부면에 제공된 와이어 메쉬와; 상기 와이어 메쉬에 타설된 모르타르면과; 상기 모르타르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구들판과; 상기 구들판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황토 미장면과; 상기 제 1 황토 미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황토 미장면과; 상기 제 2 황토 미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바닥 황토타일과; 상기 고래둑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벽체의 외부에 노출된 굴뚝으로 구성됨으로써, 전통 구들방식을 현대화한 이동식 구들을 이용하여 전체 황토방의 경량화를 구현하고, 화목보일러를 활용하여 저비용 난방은 물론, 격오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에너지 낭비와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고, 구들 위를 황토로 미장하고 벽체를 황토 타일로 마감함으로써, 난방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어 거주자의 질병을 예방하고 심신을 안정시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Korean red clay houses using traditional Korean floor heating system}
본 발명은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통 구들방식을 현대화한 바닥과 벽체 일부를 화목 보일러를 이용하여 난방하는 황토방에 관한 것으로, 장작사용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 및 격오지 사용이 가능하고, 에너지 낭비와 환경오염을 최소화함은 물론, 이동식 구들을 활용하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식 모듈에 적합한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74644호(등록일자: 2007.1.19., 발명의 명칭: 건물용 황토방)는 황토를 저입도 스크린으로 스크린하여 함수율이 20%이하가 되게 준비하고 황토 100중량%에 대하여 2-5cm크기로 절단한 볏짚 세절물 3~5중량%를 혼합하고 운모와 일라이트의 혼합체 10중량%를 혼합한 것에 물을 가해 으깨어서(土練) 비닐지를 덮어 20~35℃에서 2일간 숙성시켜 황토조성물(6)을 얻는 단계와, 건물내에 형성시킨 황토방의 벽체(1)와 천정(2) 내면에 벽체내면과 천정내면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게 지지망(4)(5)을 부착하여 황토조성물을 부착시킬 수 있게 부착소지를 형성하는 단계와 벽체와 천정부분에 형성된 황토조성물 부착소지에 황토조성물을 일정 두께로 부착하여 표면이 평탄하도록 마감하는 황토조성물 부착 단계와, 벽과 천정에 부착된 황토 조성물을 상온하에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건물용 황토방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황토조성물을 조성하는 단계에서 황토(가)와 볏짚(나)과 운모와 일라이트의 혼합체를 물을 가해 반죽하고 토련후 비닐지를 덮어서 2일간 숙성시키는 과정을 거쳐 조성하므로서 별도의 접착제를 첨가하지 않고 황토와 볏짚의 접착력과 효소들의 상호 작용으로 점성이 높은 조성물을 얻게되며 벽체와 천정에 황토조성물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벽체와 천정내면에 지지망을 부착하여 지지망 외면에서 지지망 내면으로 황토 조성물을 투입하여 결합시키면서 부착시키는 공법으로 황토조성물을 벽체와 천정에 부착시키므로서 벽체와 천정에 황토조성물을 일정두께로 부착하여 지지망과 결합시킬 수 있고 지지망은 그 망공의 크기가 벽체는 20~60mm이고 천정은 20~40mm 이므로 황토조성물을 투입하여 부착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고 부착후 황토 성분이 떨어지지 않은 가장 적절한 망공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지지망을 철망 또는 대나무 또는 목재중에서 선택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견고한 지지망을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인해 황토조성물을 안전하고 내구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구성 및 공정이 복잡하고 전통 한국식 구들방식을 사용하지 않는 근원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96604호(등록일자: 2006.1.6., 발명의 명칭: 황토판의 제조방법과 황토판을 이용한 황토방)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황토만을 선별하고, 습분 함량 10중량% 미만으로 건조시키며, 입도 0.5mm 이하가 되도록 미세분말화하는 황토개별단계; 질병에 따라 선택된 한약재를 찌고 건조시켜 입도 0.5mm 이하가 되도록 미세분말화하는 한약재개별단계; 느릅나무 껍질과 목초를 파절하고 압착축출하여 목초액을 얻거나, 소석고의 고결재를 얻는 고결재개별단계; 상기의 각각의 단계에서 얻은 황토 80~90중량%와, 한약재 0.5~5중량%와, 고결재 1~3중량%와, 습분 5~15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의 혼합물을 판상으로 압착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 황토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착성형하는 단계는 황토판(80)을 압착하고, 대기압 상태에서 황토판(80)의 상하부면의 압착을 해제하여, 부압발생에 의한 황토판(80)의 균열이나 기포의 발생을 방지한 황토판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약성이 뛰어난 황토와 한약재 등을 천연 물질의 고결재로 압착성형됨으로써, 대량생산과 친환경적인 제품으로 황토방(A)과 같은 다양한 구조의 소재로 사용되어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고,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균열이 없고 내구수명이 증진된 황토판(80)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의 황토판(80)을 이용하여 온동방의 황토방(A)을 구성하게 되면 격조높은 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고 바퀴벌레 등의 해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 마감재를 용이하게 교환하거나 유동을 방지할 수가 있는 반면, 한국의 전통 구들방식을 채택하고 있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통 구들방식을 현대화한 바닥과 벽체 일부를 화목 보일러를 이용하여 난방함으로써 장작사용이 가능하여 비용 절감 및 격오지 사용이 가능하고, 에너지 낭비와 환경오염을 최소화함은 물론, 이동식 구들을 활용하여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는 이동식 모듈에 적합한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부에 제공되며 도어가 부설되어 있으며 전면에 제 1 개방구가 형성된 벽체과; 상기 벽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지붕과; 상기 제 1 개방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일단부에 제공된 화목보일러와; 일단부가 상기 화목보일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면에 제공된 고래둑과; 상기 고래둑의 상부면에 제공된 와이어 메쉬와; 상기 와이어 메쉬에 타설된 모르타르면과; 상기 모르타르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구들판과; 상기 구들판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황토 미장면과; 상기 제 1 황토 미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황토 미장면과; 상기 제 2 황토 미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바닥 황토타일과; 상기 고래둑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벽체의 외부에 노출된 굴뚝으로 이루어지는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벽체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는 황토 타일이 제공되고, 상기 굴뚝의 일단부에는 재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 2 개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고래둑은 상부면에 다수의 요입홈을 갖는 고래둑 본체와, 상기 요입홈에 삽입된 동핀과, 상기 고래둑 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흑연판과, 상기 흑연판의 상부면에 제공된 동판과, 상기 동판의 상부면에 제공된 맥반석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제 2 황토 미장면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0 ~ 75 중량부, 제올라이트 1 ~ 3 중량부, 대나무 숯분말 3 ~ 5 중량부 및 직경 0.1 ~ 0.3mm의 구리 분말 2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된 것으로 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바닥 황토타일은 배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타일본체와, 상기 돌기에 제 1 관통공이 삽입된 구리판재와, 상기 구리판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에 제 2 관통공이 삽입된 맥반석 판재와, 상기 맥반석 판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에 제 3 관통공이 삽입된 구리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전통 구들방식을 현대화한 이동식 구들을 이용하여 전체 황토방의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화목보일러를 활용하여 저비용 난방은 물론, 격오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여 에너지 낭비와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구들 위를 황토로 미장하고 벽체를 황토 타일로 마감함으로써, 난방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어 거주자의 질병을 예방하고 심신을 안정시켜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황토방의 구들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구들을 통해 공급되는 열기와 굴뚝을 통해 배기되는 연기의 이동경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의 지붕과 전면 벽체를 제거하여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황토 타일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구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100)은 바닥면(FL), 벽체(OW), 도어(DR), 지붕(RF), 화목보일러(10), 고래둑(20), 와이어 메쉬(WM), 모르타리면(MT), 구들판(30), 제 1 황토 미장면(40), 제 2 황토 미장면(50), 바닥 황토타일(60), 굴뚝(CM), 스팀 제너레이터(ST) 및 내부 황토타일(IWT)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100)은 이동식 조립가옥(또는 모듈)으로 한정되어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 가옥이나 건물 등에서 적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모든 구성요소들은 황토방(100)의 실내에 설치 또는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100)은 바닥면(FL)과, 바닥면(FL)의 가장자리부에 제공되며 도어(DR)가 부설된 벽체(OW)과, 벽체(OW)의 상부면에 제공된 지붕(RF)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100)은 도어(DR)가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도어(DR)의 외측 하단에 계단(ST)을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벽체(OW)은 복수 개의 황토 타일로 마감되어 있다.
화목보일러(10)는 벽체(OW)의 전면에 제공된 제 1 개방구(T1)와 연통되도록 바닥면(FL)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제 개방구(T1)는 화목보일러(10)의 원료를 투입하거나 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고래둑(20)은 화목보일러(10)와 연통되도록 바닥면(FL)에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고래둑(20)은 다로식 고래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의 고래로 형성될 수 있다.
고래둑(20)은 상부면에 다수의 요입홈(21h)을 갖는 고래둑 본체(21)와, 요입홈(21h)에 삽입된 동핀(copper pin)(22)과, 고래둑 본체(21)의 상부면에 제공된 흑연판(23)과, 흑연판(23)의 상부면에 제공된 동판(25)과, 동판(25)의 상부면에 제공된 맥반석 판재(27)로 이루어져 있다.
동핀(22)과 동판(25)은 고래를 통해 제공되는 열기를 보다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 것이며, 특히 동판(25)은 수맥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흑연판(23)은 해충는 물론 습도 유지와 방취를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와이어 메쉬(WM)는 고래둑(20)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다.
모르타르면(MT)은 와이어 메쉬(WM)에 타설되어 있다.
구들판(30)은 모르타르면(MT)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구들판(30)은 맥반석, 칠보석, 금강옥석, 자강수옥석, 귀사문석, 해주옥석, 칼사이트 등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전통구들에 비하여 규격화하기 용이함은 물론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제 1 황토 미장면(40)은 구들판(30)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다.
제 2 황토 미장면(50)은 제 1 황토 미장면(40)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황토 미장면(50)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0 ~ 75 중량부, 제올라이트 1 ~ 3 중량부, 대나무 숯분말 3 ~ 5 중량부 및 직경 0.1 ~ 0.3mm의 구리 분말 2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된 것으로 미장을 한다.
여기서, 제올라이트는 세균 번식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대나무 숯분말은 방취를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구리 분말은 상부면에 제공되는 바닥 황토타일(60)에 열전도가 용이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바닥 황토타일(60)은 제 2 황토 미장면(50)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타일이다.
여기서, 바닥 황토타일(60)은 배면에 복수 개의 돌기(61a)가 형성된 타일본체(61)와, 돌기(61a)에 제 1 관통공(63h)이 삽입된 구리판재(63)와, 구리판재(63)의 배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돌기(61a)에 제 2 관통공(65h)이 삽입된 맥반석 판재(65)와, 맥반석 판재(65)의 배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돌기(61a)에 제 3 관통공(67h)이 삽입된 구리판재(67)로 이루어져 있다.
굴뚝(CM)은 화목보일러(10)의 연통된 고래둑(20)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벽체(OW)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굴뚝(CM)의 일단부인 개자리에 재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단부에 제 2 개방구(T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굴뚝(CM)의 내부에는 배기팬(FAN)이 제공되어 있어 강제 배기를 구현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배기팬(FAN)은 공지의 부품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나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스팀 제너레이터(ST)는 화목보일러(10)와 연통되어 있으며 바닥면(FL)의 상부면에 제공되어 있다.
내부 황토타일(IWT)는 벽체(OW)의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100)은 난방 비용이 저렴한 화목보일러(10)을 비용하고 한국의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하여 구들판(30)과 벽체(OW) 일부를 난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인체에 유익한 황토와 기타 천연 소재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하고 전체적인 황토방의 중량을 경량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분명하다.
10 : 화목보일러
20 : 구들둑 30 : 구들판
40, 50 : 황토 미장면 60 : 바닥 황토타일
FL : 바닥면
OW : 벽체
CM : 굴뚝
100 :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Claims (5)

  1.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부에 제공되며 도어가 부설되어 있으며 전면에 제 1 개방구가 형성된 벽체과;
    상기 벽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지붕과;
    상기 제 1 개방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면의 일단부에 제공된 화목보일러와;
    일단부가 상기 화목보일러와 연통되도록 상기 바닥면에 제공된 고래둑과;
    상기 고래둑의 상부면에 제공된 와이어 메쉬와;
    상기 와이어 메쉬에 타설된 모르타르면과;
    상기 모르타르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구들판과;
    상기 구들판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1 황토 미장면과;
    상기 제 1 황토 미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제 2 황토 미장면과;
    상기 제 2 황토 미장면의 상부면에 제공된 복수 개의 바닥 황토타일과;
    상기 고래둑의 타단부와 일단부가 연통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상기 벽체의 외부에 노출된 굴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래둑은 상부면에 다수의 요입홈을 갖는 고래둑 본체와, 상기 요입홈에 삽입된 동핀과, 상기 고래둑 본체의 상부면에 제공된 흑연판과, 상기 흑연판의 상부면에 제공된 동판과, 상기 동판의 상부면에 제공된 맥반석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는 황토 타일이 제공되고, 상기 굴뚝의 일단부에는 재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제 2 개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황토 미장면은 황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50 ~ 75 중량부, 제올라이트 1 ~ 3 중량부, 대나무 숯분말 3 ~ 5 중량부 및 직경 0.1 ~ 0.3mm의 구리 분말 2 ~ 4.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된 것으로 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황토타일은 배면에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 타일본체와, 상기 돌기에 제 1 관통공이 삽입된 구리판재와, 상기 구리판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에 제 2 관통공이 삽입된 맥반석 판재와, 상기 맥반석 판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돌기에 제 3 관통공이 삽입된 구리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KR1020160110528A 2016-08-30 2016-08-30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KR101667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28A KR101667746B1 (ko) 2016-08-30 2016-08-30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528A KR101667746B1 (ko) 2016-08-30 2016-08-30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746B1 true KR101667746B1 (ko) 2016-10-19

Family

ID=5725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528A KR101667746B1 (ko) 2016-08-30 2016-08-30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74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837B1 (ko) 2018-07-17 2019-08-16 신용선 온풍 겸용 아궁이 구들 난로 시스템
KR102061321B1 (ko) 2018-08-16 2020-02-11 신용선 함실에 부넘기가 구비된 구들 난로 및 구들 난로 시스템
KR20220073061A (ko) 2020-11-26 2022-06-03 신용선 황토 구들 시스템
KR102409179B1 (ko) 2021-09-01 2022-06-15 주식회사 구들 다중 축열 구들
KR102469962B1 (ko) 2021-09-01 2022-11-23 주식회사 구들 다중 축열 구들 시스템
KR102576773B1 (ko) 2022-12-23 2023-09-11 주식회사 구들 난방구들용 이동식 힐링캡슐
KR102591786B1 (ko) 2022-12-19 2023-10-20 주식회사 구들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KR102624219B1 (ko) 2023-05-31 2024-01-12 주식회사 구들 파지부가 구비된 난방구들용 이동식 힐링캡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535A (ko) * 2003-04-22 2004-10-28 임택원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법 및 시공법
KR200442693Y1 (ko) * 2008-05-07 2008-12-05 김종욱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KR101000802B1 (ko) * 2010-08-03 2010-12-13 김재명 온돌난방구조
KR20150124580A (ko) * 2014-04-29 2015-11-06 태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성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용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황토 모르타르의 도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535A (ko) * 2003-04-22 2004-10-28 임택원 건축용 황토판넬 제조법 및 시공법
KR200442693Y1 (ko) * 2008-05-07 2008-12-05 김종욱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
KR101000802B1 (ko) * 2010-08-03 2010-12-13 김재명 온돌난방구조
KR20150124580A (ko) * 2014-04-29 2015-11-06 태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수성 에폭시 조성물을 이용한 건축용 친환경 황토 모르타르 및 이를 이용한 건축용 황토 모르타르의 도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837B1 (ko) 2018-07-17 2019-08-16 신용선 온풍 겸용 아궁이 구들 난로 시스템
KR102061321B1 (ko) 2018-08-16 2020-02-11 신용선 함실에 부넘기가 구비된 구들 난로 및 구들 난로 시스템
KR20220073061A (ko) 2020-11-26 2022-06-03 신용선 황토 구들 시스템
KR102409179B1 (ko) 2021-09-01 2022-06-15 주식회사 구들 다중 축열 구들
KR102469962B1 (ko) 2021-09-01 2022-11-23 주식회사 구들 다중 축열 구들 시스템
KR102591786B1 (ko) 2022-12-19 2023-10-20 주식회사 구들 난방구들용 고정식 힐링캡슐
KR102576773B1 (ko) 2022-12-23 2023-09-11 주식회사 구들 난방구들용 이동식 힐링캡슐
KR102624219B1 (ko) 2023-05-31 2024-01-12 주식회사 구들 파지부가 구비된 난방구들용 이동식 힐링캡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746B1 (ko) 전통구들방식을 활용한 황토방
CN102951878A (zh) 一种轻质混凝土外墙保温砌块及生产方法
KR20000036357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2887695B (zh) 一种改性粉煤灰轻质硅钙复合板
KR100780608B1 (ko) 건축내장용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KR100492412B1 (ko) 건강주택을 위한 황토패널 제조 및 황토바닥과 천장, 벽의시공방법
KR20000018032A (ko) 원적외선이 방사되게한 건축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245567B1 (ko) 황토흙판 제조방법 및 제조공정
JP2003025312A (ja) 板材組成物,板材の製造方法,板材
KR101177085B1 (ko) 짚을 이용한 불연 건축패널의 제조방법 및 그 건축패널
KR101193231B1 (ko) 친환경 황토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833898B1 (ko) 건축 내장용 황토 마감재의 제조방법
KR100540361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제조된 건축용 내장재
KR20170069455A (ko) 기능성 건축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KR20170021539A (ko) 천연 탄화 왕겨 단열보드의 제조방법
KR100479787B1 (ko) 황토판재 제조방법
KR20010105067A (ko) 건축 내장재용 다공성 판넬과 그 제조 방법
KR20040071095A (ko) 쑥뜸용 쑥봉
BINICI et al. Thermal, sound and radiation properties of insulation materials made with sawdust, wheat, sunflower, ashes of corn stalks and egg white
KR200351077Y1 (ko) 향목재와 황토로 되는 벽보드
CN107619234A (zh) 一种抗折能力强的建筑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30008857A (ko) 황토와 활성탄을 이용한 단열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100577676B1 (ko) 향목재와 황토로 되는 벽보드
KR20120058063A (ko) 기와 및 기와의 제조방법
KR200338628Y1 (ko) 황토를 주재료로 하는 건축용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