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627Y1 -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 Google Patents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627Y1
KR200439627Y1 KR2020060031545U KR20060031545U KR200439627Y1 KR 200439627 Y1 KR200439627 Y1 KR 200439627Y1 KR 2020060031545 U KR2020060031545 U KR 2020060031545U KR 20060031545 U KR20060031545 U KR 20060031545U KR 200439627 Y1 KR200439627 Y1 KR 200439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unit
heater
air mattress
cell
ce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김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일 filed Critical 김경일
Priority to KR2020060031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10Fluid mattresses or cushion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ly-fillable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69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 A61G7/05776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flatable chambers with at least two groups of alternately inflated cha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61N2005/06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far infrared

Abstract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셀부재가 복수로 구비된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와 상기 쿠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셀부재, 히터부, 히팅코일, 조작부재, 쿠션부

Description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Air mattress with heater}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셀부재에 히팅코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서 A-A 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11 : 히터부 12,13 : 히팅코일
20,21,70 : 쿠션부 22 : 셀부재
23 : 공압유입구 24 : 배출공
25 : 격벽 26,72 : 제1셀부재
28,74 : 제2셀부재 30 : 전장부
32 : 조작부재 34 : 분배부
35 : 에어발생부 36 : 전원부재
37 : 제어부재 39 : 케이스
40 : 공급부 42 : 제1관로
44 : 제2관로 45 : 전원선
47 : 커넥터부재 48 : 보조커넥터
49 : 메인커넥터 50 : 프레임부재
52 : 바닥면 54 : 측면
56 : 결합버튼 60 : 낙상방지부
62 : 상측매트 64 : 걸림턱
66 : 통공
본 고안은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욕창방지를 위한 매트리스에 히터부를 설치하여 환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함으 로 욕창을 방지하게 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트리스는 쿠션 작용만 제공할 뿐 별도의 온열 및 냉방 기능을 제공하지 못함으로 인해 불편이 제기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별도의 전기 장판을 매트리스 상측에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매트리스와 결합되지 않은 구조로 인하여 불편함이 야기된다.
한편, 거동이 불편하여 장기간 침상에 누워있는 환자나 하반신마비, 전신마비 등의 마비 환자의 경우 장시간 같은 자세가 지속되는 관계로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압박을 받는 부위에 욕창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욕창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마다 환자의 누워있는 자세를 변환시켜 압박부위의 부담을 해소시켜 주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더하여 매트리스와 접하여 압박을 받는 부위의 온도를 가변시켜 혈액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욕창방지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종래 매트리스 또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에어매트리스에는 별도의 온도 조절 장치가 내장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환자의 욕창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욕창 방지를 위하여 팽창되는 셀부재에 히터부를 설치함으로 환자의 혈액순환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의 욕창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셀부재가 복수로 구비된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와 상기 쿠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셀부재는 공압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팽창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셀부재는 1열의 독립공간으로 형성되어서 횡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셀부재는 좌우 양측이 구획되어 서로 다른 공압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는 히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히터부는 상기 셀부재 마다 독립적인 발열체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코일은 상기 셀부재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코일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커넥터부재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는 사용자의 머리와 등과 발 부분을 지지하는 3부분으로 구획되어 각 부분에 독립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셀부재에는 원적외선 방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원적외선 방 출물질은 토르말린과 산화티타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욕창 방지를 위한 에어매트리스에 히터부가 구비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서 셀부재에 히팅코일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A-A 방향의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부(10)와 쿠션부(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재(32)를 포함하여 공압을 제공하는 에어발생부(35)와, 상기 에어발생부(35)에서 발생된 공압을 제어부재(37)의 작동신호에 의하여 제어하는 분배부(34) 및 히터부(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재(36)가 전장부(30)의 케이스(39)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조작부재(32)는 상기 전장부(30)의 외측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 며, 별도의 모니터 부재를 포함한 각종 전자부품 및 기계부품이 상기 전장부(30) 내측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에어발생부(35)와 분배부(34)는 상기 전장부(30) 내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부재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34)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여 제어신호에 의하여 공압이 제공되는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다양한 유로전환 부품들이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원부재(36)는 히터부(10)에 구비된 히팅코일(12)에 설정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다중 연결된 전원선(45)에 각각 다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부재(36)에는 다중 터미널과 함께 다중 전원 출력을 위한 전기장치가 설치되며, 이러한 전원부재(36)의 구성은 다중 전원 출력을 위한 전자 부품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전원부재(36)와 에어발생부(35)와 분배부(34) 및 조작부재(32)는 제어부재(37)에 의하여 연결됨으로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배부(34)와 독립적으로 연결된 관로가 복수로 구비된 공급부(40)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부(40)에는 제1관로(42)와 제2관로(44)가 구비되며, 상기 제1관로(42)와 제2관로(44)에는 상기 분배부(34)의 작용에 의하여 서로 다른 공압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관로(42)에는 공압이 제공되면 상기 제2관로(44)에는 공 압이 차단됨도 서로 다른 공압이 제공되는 일 실시예가 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제어방법에 의한 공압이 상기 제1관로(42)와 제2관로(44)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40)를 통해 제공된 공압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팽창되는 셀부재(22)가 복수로 구비된 쿠션부(20)는 틀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부재(50) 내측에 설치된다.
상기 쿠션부(20)는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셀부재(22)가 복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셀부재(22)가 독립되어 개별적으로 팽창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전체적으로 단일 셀부재로 이루어져서 단일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셀부재(22)는 1열 또는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부재(22)는 1열(도 1기준 가로방향)의 독립공간으로 형성되어서 횡 방향(도 1기준 세로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셀부재(22)는 각각의 셀이 연통되어 일측의 셀부재(22)로 공기를 주입하면 다른 셀부재(22)에도 공기가 전달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셀부재(22)가 독립적으로 부풀어 오르는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리형의 경우 각각에 셀부재(22) 별로 착탈도 가능하게 됨으로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된다.
상기 셀부재(22)는 독립된 내측 공간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셀부재(22) 별로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제1관로(42)와 제2관로(44)가 공압유입구(23)에 연결됨으로, 상기 셀부재(22)를 구비한 쿠션부(20)는 다양한 형태로 팽창과 수축 작용이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20)의 각 셀부재(22)는 상기 제1관로(42) 또는 제2관로(44)에 각각 연결됨으로 독립적으로 공압을 제공받게 된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O'으로 표시된 셀부재(22)는 제1관로(42)에 연결되고 'X'로 표시된 셀부재(22)는 제2관로(4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관로(42)에 공압이 제공되면 상기 제2관로(44)에는 공압이 제공되지 않음으로 'O'으로 표시된 셀부재(22)는 부풀어오르고 'X'로 표시된 셀부재(22)는 가라않게 되며, 반대로 상기 제2관로(44)에 공압이 제공되면 상기 제1관로(42)에는 공압이 제공되지 않음으로 'X'로 표시된 셀부재(22)는 부풀어오르고 'O'로 표시된 셀부재(22)는 가라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환자는 누워있는 수평 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셀부재(22)가 번갈아 가며 팽창됨으로 인하여 압박부위의 부담을 해소하며 혈액순환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욕창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셀부재(22)의 일측에는 배출공(24)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배출공(24)은 환자의 몸과 접하는 부위에 설치된다.
상기 배출공(24)을 통하여 셀부재(22) 내측의 공기가 배출됨으로 인해 환자의 몸에 땀으로 인한 습기가 상기 배출공(24)으로 부터 나오는 바람에 의하여 건조되어 욕창 발생 가능성을 낮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셀부재(22)의 소재는 내부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시키고 외측의 물기는 내측으로 침투함을 방지하는 기능성 소재로 생산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기 능성 소재는 고어택스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배출공(24) 뿐만 아니라 상기 셀부재(22)의 전체 표면적에서 공기가 설정된 속도로 배출되도록 하여 더욱 쾌적한 사용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셀부재(22)의 소재를 기능성 소재로 하지 않고, 상기 배출공(24)의 상측에 기능성 소재로 이루어진 코팅막을 설치함도 본 고안의 실시예라 할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상기 쿠션부(20)에는 광촉매 코팅제가 코팅되며, 상기 광촉매 코팅제는 이산화티타늄(
Figure 112006092001282-utm00001
)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이산화티타늄은 광촉매의 일종으로 광선이 조사되면 박테리아나 다른 세균들을 포함한 유기물을 분해하여 제거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한 광촉매는 공지된 기술로서 항균과 바이오 및 탈취 등의 분야에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셀부재(22)에는 원적외선 방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원적외선 방출물질은 토르말린(tourmaline)과 이산화티타늄(
Figure 112006092001282-utm00002
)을 포함하며, 상기 셀부재(22) 표면에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셀부재(22)의 표면에는 광촉매 코팅제와 원적외선 방출물질 중 적어도 한가지 이상을 코팅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적외선 방출물질이 상기 셀부재(22)에 코팅됨으로 인하여, 상기 셀부재(22)에 장착된 히터부(10)가 작동되는 경우, 원적외선의 방출로 인하여 환자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욕창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원적외선 방출물질에서 발생되는 원적외선(遠赤外線)은 파장이 25㎛ 이상인 적외선으로서 파장이 길어 열작용이 큰 전자파이며, 물질에 잘 흡수되며 유기화합물 분자에 대한 공진(共振) 및 공명(共鳴) 작용이 강하다.
따라서 원적외선 방출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은 인체 피부 깊숙이 침투하여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작용은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없애는 데 도움이 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준다. 또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과 단백질 분자에 닿으면 세포를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줌으로써 세포조직을 활성화하여 욕창방지 뿐만 아니라 노화방지, 신진대사 촉진, 만성피로 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다.
상기 광촉매 코팅제와 상기 원적외선 방출물질은 상기 셀부재(22) 표면에 코팅, 도포 또는 증착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원적외선 방출물질은 토르말린(tourmaline)과 산화티타늄(TiO2)이 혼합된 것으로써, 토르마린 50중량%와 산화티타늄 50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적용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토르말린은 전기석이라고 하는데 인체의 모세혈관을 크게하여 혈액순환을 촉진 및 세포의 활성화의 작용을 가지며, 상기 티타늄은 신체의 흐른 전류 밸런스를 조절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쿠션부(20)에 장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부(10)는 필 름히터를 포함하여 펠티어소자 등 다양한 전열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히팅코일을 사용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히팅코일은 상기 셀부재(22) 마다 독립적인 발열체로 설치되며, 발열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히팅코일(12)은 상기 셀부재(22)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나, 나선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히팅코일(1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코일(12)을 포함한 히터부(10)는 욕창 방지를 위하여 교대로 팽창되는 쿠션부(20)에만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스프링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다양한 매트리스 및 바닥에 까는 이불 등 사용자가 깔고 눕기 위한 모든 부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코일(12)은 사용자가 접하게 되는 방향으로 셀부재(22)의 표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상기 셀부재(22)의 양측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셀부재(22)에 삽입되거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코일(12)은 상기 전원부재(36)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45)과 연결되며, 상기 히팅코일(12)과 상기 전원선(45)의 연결을 간편히 하기 위하여 보조커넥터(48)와 메인커넥터(49)로 이루어진 커넥터부재(47)가 사용된다.
상기 히팅코일(12)의 입력부는 보조커넥터(48)에 끼워져서 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커넥터(48)에서 연장된 선은 메인커넥터(49)에 끼워짐으로 전원선(45)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커넥터부재(47)에 의하여 상기 히팅코일(12)과 상기 전원선(45)의 연결 작업이 보다 간편하고 신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쿠션부(20)가 설치되기 위한 프레임부재(50)는 바닥면(52)과 이를 둘러싼 측면(54)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면(52)에는 상기 쿠션부(20)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버튼(5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셀부재(22)의 하측에도 결합버튼(56)이 구비되어, 상기 쿠션부(20)와 상기 프레임부재(50)의 결합버튼(56)이 상호 결합됨으로 버튼 타입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필요에 따라 상기 셀부재(22)는 상기 프레임부재(50)의 측면(54) 등에도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버튼(56)이 아닌 벨크로 타입으로 상기 셀부재(22)가 상기 프레임부재(50)에 결합되는 것도 본 고안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이 외에도 다양한 결합방법이 쿠션부(20)와 프레임부재(50)의 결합방식으로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20)의 상측에는 걸림턱(64)이 구비된 낙상방지부(60)가 추가로 설치된다.
상기 낙상방지부(60)는 상측매트(62)의 중앙에 통공(6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66)과 상기 상측매트(62)의 경계에는 걸림턱(64)이 구비되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옆으로 굴러 낙상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측매트(62)는 일반적인 매트리스를 포함하여 공압을 이용하여 팽창된 튜브 등 다양한 제품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관로(42)와 제2관로(44)는 선이 엉킴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20)의 외측을 따라 권선됨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매트리스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조작부재(32)를 조작하여 에어매트리스를 작동시키면, 상기 에어발생부(35)에서 발생된 공압이 분배부(34)를 통하여 공급부(40)로 전달된다.
상기 공급부(40)의 제1관로(42)와 제2관로(44)와 각각 연결된 셀부재(22)는 독립된 팽창을 하게 된다.
상기 쿠션부(20)에 구비된 배출공(24) 및 상기 셀부재(22)의 재질이 고어택스로 이루어진 것에 의하여 상기 셀부재(22)는 공급되던 공압이 차단된 이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내측의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셀부재(22)는 수축된 상태가 된다.
상기 셀부재(22)가 번갈아가며 팽창 및 수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에어매트리스에 누워있는 환자가 수평자세를 유지하면서도 압박이 가해지는 신체 부위의 부담을 해소하여 혈액순환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됨으로 욕창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상태를 갖는 에어쿠션부(20)에 설치되는 히터부(10)는 조작부재(32)를 통해 입력된 신호나 상기 제어부재(37)에 세팅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전원부재(36)를 통해 전원이 공급됨으로 히팅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전원선(45)을 통하여 공급된 전원은 커넥터부재(47)를 통해 연결된 각각의 히팅코일(12)에 전달되어 설정된 온도로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히팅코일(12)의 동작에 의하여 광촉매 코팅제 및 원적외선 방출물질이 반응하여 원적외선을 환자에 방출하는 것과, 주위의 온도가 낮을 때 몸을 따뜻하게 함으로 혈액순환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환자의 욕창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쿠션부(21)에서 1열로 이루어진 셀부재의 내측에 격벽(25)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이 구획됨으로 각각 독립된 공간이 형성되어 제1셀부재(26)와 제2셀부재(28)로 구분된다.
상기 제1셀부재(26)와 제2셀부재(28)에는 서로 다른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공압이 공급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로 표한 제1셀부재(26) 및 제2셀부재(28)에는 제1관로(42)를 통한 공압이 제공되며, 'X'로 표한 제1셀부재(26) 및 제2셀부재(28)에는 제2관로(44)를 통한 공압이 제공되어 지그재그 형상으로 부풀어오르거나 꺼지게 된다.
상기 제1셀부재(26)와 제2셀부재(28)에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일제히 전원이 공급되는 히터부(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전열되도록 전원이 별도로 연결된 히터부(11)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코일(13)은 사용자의 머리와 등과 발 부분을 지지하는 3부분으로 각각 구획되며, 좌우측의 셀부재에 각각 장착되어 독립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히팅코일(13)은 같은 온도로 발열되기 위한 히팅코일(13)과 커넥터부재(47)를 통하여 전원선(45)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원선(45)은 상기 전원부재(36)의 터미널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원부재(36)에서 공급되는 서로 다른 전원에 의하여 상기 히팅코일(13)은 각각 다른 온도로 가열된다.
즉, 머리 부분은 비교적 저온 상태로 가열하고, 발 부분은 고온 상태로 가열하고 욕창이 생기기 쉬운 등 부분은 저온 상태를 기반으로 가열하여 필요에 따라 온도를 높이는 등 다양한 동작 변화가 가능하다.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 상기 히팅코일(13)을 개별적으로 동작시키거나 필요에 따라 몇개의 단위로 묶어 동작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구간별로 작동되는 히터부(11)는 도 1에 도시된 쿠션부(21)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다른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로 인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쿠션부(70)의 제1셀부재(72)와 제2셀부재(74)도 본 고안에 의한 셀부재를 구성하며 도 5에 도시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와 비교시, 제1셀부재(72)와 제2셀부재(74)가 서로 이격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쿠션부(70)의 셀부재는 인접한 셀부재와 이격 설치됨으로 각각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쿠션부(70)에 설치되는 히터부(11)는 도 5에 도시된 히터부(1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욕창 방지용 에어매트리스에 구비되는 히터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욕창 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다양한 매트리스 및 일반 매트리스에도 본 고안의 히터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는 종래 고안과 달리 가열기능과 함께 원적외선 방출 및 살균기능을 겸하게 됨으로 환자의 혈액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하여 욕창 발생 방지 및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셀부재가 복수로 구비된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와 상기 쿠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히팅코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부재는 공압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팽창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부재는 1열의 독립공간으로 형성되어서 횡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부재는 좌우 양측이 구획되어 서로 다른 공압이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5. 삭제
  6. 공압에 의하여 팽창되는 셀부재가 복수로 구비된 쿠션부;
    상기 쿠션부에 장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와 상기 쿠션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구비한 전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부는 상기 셀부재 마다 독립적인 발열체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코일은 상기 셀부재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코일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커넥터부재에 의하여 연결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사용자의 머리와 등과 발 부분을 지지하는 3부분으로 구획되어 각 부분에 독립적인 전원 공급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부재에는 원적외선 방출물질이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출물질은 토르말린과 산화티타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KR2020060031545U 2006-12-12 2006-12-12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KR200439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545U KR200439627Y1 (ko) 2006-12-12 2006-12-12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545U KR200439627Y1 (ko) 2006-12-12 2006-12-12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627Y1 true KR200439627Y1 (ko) 2008-04-22

Family

ID=4134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545U KR200439627Y1 (ko) 2006-12-12 2006-12-12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6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90B1 (ko) 2012-12-13 2014-06-25 강성모 생체 친화적 침대
KR20200034389A (ko) * 2018-09-21 2020-03-31 원인식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KR102505427B1 (ko) 2022-12-05 2023-03-06 주식회사 우성바이오텍 매트리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1590B1 (ko) 2012-12-13 2014-06-25 강성모 생체 친화적 침대
KR20200034389A (ko) * 2018-09-21 2020-03-31 원인식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KR102172560B1 (ko) * 2018-09-21 2020-11-03 원인식 매트리스 및 이를 포함하는 침대
KR102505427B1 (ko) 2022-12-05 2023-03-06 주식회사 우성바이오텍 매트리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2041B2 (en) Air-powered low interface pressure overlay
US7120951B2 (en) System for warming lower extremities of supine persons
JP5199888B2 (ja) 体カバー、眼鏡および/または少なくとも部分的なヘッド・カバー、人体の少なくとも一部を放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体カバーの使用法
EP2713967B1 (en) Temperature-controlled multi-zone mattress-style support
JP2001327551A (ja) マットレス及び医療用寝具
KR200435149Y1 (ko) 에어매트리스
US20110010855A1 (en) Therapy and Low Air Loss Universal Coverlet
KR20060124553A (ko) 온도조정매트
KR200439627Y1 (ko) 히터부를 구비한 에어매트리스
US20110067178A1 (en) Heating air mat and air mat he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20180034601A (ko) 수술대의 환자 지지 영역을 가열하는 디바이스
JP4303754B2 (ja) 放熱用品
KR102367511B1 (ko) 통풍 패드 및 이를 포함하는 통풍 패드 시스템
US20060198617A1 (en) Portable bed warmer
KR100925492B1 (ko) 가변온도부를 갖는 욕창방지용 에어매트리스
KR102051429B1 (ko) 욕창 방지용 냉온풍 매트
KR101066259B1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KR20120071271A (ko) 광발산 패드
KR20100006041U (ko) 욕창방지용 기능성 매트
KR101090304B1 (ko) 환자용 쿠션 및 이를 구비하는 욕창 방지용 매트
KR200184328Y1 (ko) 방열구를 이용한 침대 및 소파의 난방구조
KR20210156700A (ko) 음이온 온열매트
JP3138879U (ja) 椅子
KR20050040696A (ko) 에어패드가 구비된 온열치료용 매트리스
KR200340155Y1 (ko) 에어패드가 구비된 온열치료용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