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292B1 - 항문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항문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292B1
KR100882292B1 KR1020037017077A KR20037017077A KR100882292B1 KR 100882292 B1 KR100882292 B1 KR 100882292B1 KR 1020037017077 A KR1020037017077 A KR 1020037017077A KR 20037017077 A KR20037017077 A KR 20037017077A KR 100882292 B1 KR100882292 B1 KR 100882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anal
handle
piston valve
wal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820A (ko
Inventor
그레이엄 휴버트 스미스
Original Assignee
그레이엄 휴버트 스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이엄 휴버트 스미스 filed Critical 그레이엄 휴버트 스미스
Publication of KR20040017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5/00Bath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6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항문 세척 장치(1)는 유체 공급원(14)에 연결 가능한 유체 배출 부재(2)를 포함한다. 이 유체 배출 부재(2)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유체를 이 부재의 외부로 보내기 위한 유체 출구(10a)를 가지고 있다. 벽 부재(11)가 유체 출구(10a) 근처에서 유체 배출 부재(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벽 부재(11)는, 이 벽 부재가 사용자의 회음부에 배치된 때 사용자의 항문으로부터 유체 출구(10)를 이격시키고 또한 유체 출구(10)의 반대쪽의 벽 부재(11)의 측부에 유체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자의 회음부에 배치 가능하다. 유체 배출 부재(2)는 분리 가능한 세척 헤드(10)일 수 있다. 벽 부재(11)는, 유체 공급 라인(12)에 연결 가능한 제1 헤드 단부(10b)와 유체 출구(10a) 근처에 위치한 반대쪽의 제2 헤드 단부(10c) 사이에서 세척 헤드(10)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세척 헤드(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Figure R1020037017077
항문 세척, 유체 안내 부재, 유체 출구, 세척 헤드, 벽 부재

Description

항문 세척 장치{ANAL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소형 비데(bidet) 또는 질 세척기(douche)와 같은 개인용 위생 장치 형태의 항문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항문 세척 장치는 손에 들고 조작할 수 있는 휴대형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화장실 설비의 통상의 물내림 수세식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항문 세척 장치는, 일부 유럽 및 아시아 국가에 존재하는 것과 같은 비수세식의 개방되고 쪼그리고 앉는 변기 및 다른 화장실 설비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항문 세척 방식은 다수의 범주로 분류된다.
1), 종이로 닦는 방식이 지금까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방식이고,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용인되고 있지만, 지저분하고 성가실 수 있다는 문제가 있고, 일반 위생상 항문을 닦은 후에 손을 씻어야 한다.
종이로 닦는 방식은 일반적으로는 항문 부위를 세척하는 완벽한 방식이 아니다. 이 방식은 자극 및 다른 부위의 교차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손 세척이 행해지지 않거나 부적절한 경우, 손으로부터 음식물로의 박테리아의 전파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특히 공중 화장실에서는 화장지가 쉽게 고갈되고, 이 작업을 위한 종이 소비가 막대하다.
어떤 한 사용자에 의한 과도한 종이 사용은 변기의 믹힘을 야기할 수 있고, 원양 항해 선박에서 아주 빈번하게 일어난다. 이 방식을 사용하는 사람은, 관련 부위에 도달하여 닦는 작업을 완료하는 것을 신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정상의 체격 비율을 가져야 한다. 등이 안 좋거나, 관절염이 있거나, 손이나 손목, 팔, 어깨에 부상이 있거나, 주로 사용하는 신체 부위를 움직일 수 없을 정도의 다른 부상을 입은, 신체적으로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종이로 닦는 작업을 완료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어깨의 회전 낭대 증후군으로 인해 수술을 받아 오른팔을 움직일 수 없는 오른손잡이의 경우, 왼손으로 닦는 작업이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비데는 변기 내에서의 물 분사류를 사용한다. 이 장치는 유럽 대륙 국가에서 보다 빈번하게 사용되고, 보다 위생적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다량의 물이 사용되고, 세척 후, 많은 종이 및/또는 타월을 다시 사용하여 넓은 부위를 건조시켜야 하고, 그 후 타월을 세척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비데는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전용 장치이고, 통상의 물내림 수세식 변기보다 비싼 것이 일반적이다. 수세식 변기에 장착되는 비데 장치는 이 장치의 설치 및 사용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비데 장치에 관한 예로서 다음의 문헌들을 들 수 있다. 즉, 미국 특허 제1,818,388호, 제2,852,782호, 제3,425,066호, 제3,995,326호, 제3,513,487호, 및 제4,259,754호.
이들 비데 장치는 통상의 수세식 변기에 개장(改裝)되도록 설계되어 있고, 통상의 배관 설비에 대한 대규모 개조를 요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 장치 및 전용 비데의 분무 헤드는 고정 위치에 장착되어, 다량의 물의 사용을 필요로 하고, 항문을 철저히 세척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넓은 부위를 젖신다. 또한, 매회 사용 후 장치를 부적절하게 세척할 수도 있는 가능성 때문에, 이들 장치의 위생 상태에 대한 의문이 존재한다.
3) 손에 들고 조작할 수 있는 휴대형 비데 및 질 세척기도 알려져 있다. 이들의 예로서는, 미국 특허 제3,110,038호, 제3,797,481호, 제3,882,864호, 제4,000,742호, 제4,197,594호, 제4,205,402호, 제4,510,630호, 및 제4,596,058호, AU-B-63102/90호, CA2149839호, DE4421424호, JP2000-051313호, JP-09262187호, JP2000-093483호, 및 JP2000-070325호가 있다.
물 분무기를 구비한 종래 기술의 휴대형 장치는 항문 부위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물 분무기의 위치결정이 장치의 작동에 의해 그리고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대한 물 분무기의 민감한 촉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장치의 작동은, 사용자가 세척할 부위를 볼 수 없음으로 인해, 조작자의 어림짐작과 손 재주를 필요로 한다.
그러한 종래 기술의 휴대형 세척 장치는 신체 부분의 피부와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부상을 야기할 수 있고, 또한, 신체의 다른 부분의 교차 오염 및 감염을 야기할 수도 있다.
종래 기술의 휴대형 비데 및 질 세척기는 주로, 넓은 부위를 젖시는 경향이 있고, 이와 같이 젖은 부위는 건조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자체로 문제가 된다.
제조 및 사용이 간단한 장치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 공급원에 연결 가능하고, 그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유체를 외부로 보내기 위한 유체 출구를 가진 유체 배출 부재; 및
상기 유체 출구 근처에서 상기 유체 배출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벽 부재로서, 그 벽 부재가 사용자의 회음부에 배치된 때 상기 유체 출구를 사용자의 항문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또한, 유체가 상기 유체 출구 측의 반대쪽의 벽 부재 측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자의 회음부에 배치 가능한 벽 부재를 포함하는 항문 세척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항문 세척을 위한 개인용의 위생적인 휴대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또한, 통상의 수세식 변기 유닛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 장치는 가압된 물이 공급되는 다른 화장실 설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는 이 장치는 액체(예를 들어, 물)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항문 건조, 탈취 및 살균 목적을 위한 기체(예를 들어, 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하게는, 유체 배출 부재 및 벽 부재는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벽 부재는 어림짐작 없이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돕고, 액체와 배설물이 생식기 부위 쪽으로 전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본 발명의 벽 부재는, 이 장치가 정확한 위치에 있는 것을 사용자가 느낄 수 있게 함으로써 이 장치의 용이하고 정확한 위치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특징은 사용자가 한쪽 팔만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중요하다. 또한, 휴대형 유닛으로서, 이 장치는 용이하게 위치결정되어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적은 부위만을 적시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배출 부재는 세척 헤드이고, 이 경우, 상기 벽 부재는, 유체 공급 라인에 연결 가능한 제1 단부와 유체 출구 근처에 위치한 반대쪽의 제2 단부와의 사이에서 세척 헤드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세척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벽 부재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또는 금속을 주조하여) 세척 헤드와 일체로 성형 또는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재는, 상기 유체 배출 부재에 장착되는 상대적으로 보다 좁은 기부로부터 상대적으로 보다 넓은 자유 단부까지 외측으로 테이퍼져 있는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재의 상기 자유 단부는 사용자의 회음부에 밀접하게 (그에 따라 안락하게) 배치되는데 적합하게 된 가장자리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장자리부는 곡선형이고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길이를 따라, 사용자의 회음부에 밀접하게 위치하는데 적합하게 된 만곡(彎曲)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 부재는 비교적 딱딱하거나 비가요성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장치는 화장실 설비 내의 통상의 수세식 기구와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배출 부재는 유체 운반 로드를 통해 손잡이에 연결된다. 이에 관하여, 상기 손잡이는 전형적으로는 이 장치에서 별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지만, 유체 운반 로드 자체의 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운반 로드도, 상기 벽 부재를 사용자의 회음부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비교적 비가요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배출 부재는, 손잡이로부터 멀리 위치한, 유체 운반 로드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그 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체 운반 로드는 벽 부재를 항문에 인접하여 비스듬히 배치하는 것을 돕기 위해 양 단부 사이에서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벽 부재는, 손잡이로부터 멀리 위치한, 유체 운반 로드의 단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또는 유체 운반 로드의 상기 단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그 단부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한 칼라(collar)를 통해 유체 운반 로드의 상기 단부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는, 그 손잡이의 입구에 부착된 가요성 도관으로부터 손잡이로의 전형적으로는 가압된 액체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제어 수단은 수동으로 작동되고 용이하게 개방되지만, 상시(常時)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bias)되어 있는 피스톤 밸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 밸브는, 개방되어 있는 가압된 액체 공급 제어 꼭지(tap)로부터 전형적으로 얻어지는, 손잡이 내의 가압된 액체로부터의 차압이 피스톤 밸브를 상시 폐쇄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 밸브는 손잡이 내에 끼워진 스프링 복귀 레버에 대항하여 가해지는 힘에 의해 개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버는 받침점을 중심으로 피벗하고, 이와 같은 피벗 시에, 피스톤 밸브에 걸터 있는 포크형 토글을 전형적으로 가지는 상기 레버의 반대쪽 단부가 그러한 힘을 전달하여, 피스톤 밸브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 장치를 통과하는 흐름의 용적은 피스톤 밸브 내의 제한된 통로에 의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의 본체가 관통 보어를 가지고 있고, 그 보어 내에 피스톤 밸브가 배치되며, 피스톤 밸브는 그의 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보어를 가지고 있고, 피스톤 밸브는, 폐쇄 위치에서는 피스톤 밸브가 손잡이의 관통 보어를 폐쇄하고, 개방 위치에서는 액체가 피스톤 밸브의 보어를 통해 손잡이를 통과하여 흘러 이 장치 밖으로 흐르도록 손잡이와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피스톤 밸브가 개방된 때, 액체가 (예를 들어, 유체 운반 로드를 통해) 유체 배출 부재로 공급되어, 유체 출구로 공급되고, 그 유체 출구에서 액게가 전형적으로는 분사류 또는 분사류들로서 항문으로 배출된다.
이 항문 세척 장치는 손잡이 내의 레버를 누름으로써 화장실 변기 외부에서 작동될 수 있고, 손잡이는 사용자에 적합하도록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손잡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항문 세척 헤드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조립될 수 있다.
이 항문 세척 장치는, 이 장치의 작동을 위해 적은 힘만이 요구되어, 액체 공급을 용이하게 정지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비상 안전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벽 부재는, 유체 배출 부재의 단부가 우연히 신체의 어떤 구멍 내에 직접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 항문 세척 장치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기 외측의 위생적인 위치에, 바람직하게는, 이 장치의 세척 헤드를 씻기 위한 다량의 소독액이 보유되어 있는 용기 내에 보관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바람직하게는, 이 위생적인 보관 용기는 벽 또는 바닥에 장착된다. 이 보관 용기는, 이 장치가 다음 사용자를 위해 건조되도록 보유 브래킷에 배치되기 전에 항문 세척 헤드가 잠길 수 있도록 하는 소독액 저장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 헤드와 유체 운반 로드는 보관을 위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세척 헤드와 유체 운반 로드는 또한 손잡이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고, 필요한 경우, 손잡이로부터의 물 분무에 의해 수세식 변기 위에서 세척된 다음, 보이지 않는 곳에 보관될 수도 있다. 이것은 또한 각종 세척 헤드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이 장치의 사용자를 위한 바람직한 미적 특징일 수도 있다.
이 장치는, 구매 비용이 저렴하고 화장실 기기에 알맞으며, 현대 생산 기술로 경량으로 (예를 들어, 주로 또는 전체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장애인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한 개인용 위생 장치로서 경제적이고 실용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 장치는 한 손으로 작동될 수 있어, 몸이 불편한 장애인도 사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장치는 화장지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이 장치에 공급되는 가압된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레버 작동식이고 편리한 위치에서 벽에 장착되는 수도꼭지를 통해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순함을 위해 그리고 가정의 수압이 장소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이 수도꼭지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략의 액압을 제공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그의 요건에 익숙해질 수 있다.
또는, 압력 제어 밸브와, 예를 들어, 온수와 냉수를 사용하는 혼합 장치를 구비한 설비가 제공될 수도 있다.
유체 운반 로드는 경량을 위해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보다 내구성이 높은 제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체 장치가 경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운반 로드는 이 장치가 화장실 변기의 외부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지만, 예를 들어, 보다 짧은 로드 형태를 선호하는 사용자를 위해 그 길이를 보다 짧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는, 유체 운반 로드의 단부는 세척 헤드에의 삽입을 위한 개방된 관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세척 헤드는, 손잡이 내의 수동 작동식 밸브가 개방된 때 액체 공급원과 유체 소통 상태로 되는 오리피스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유체 출구를 가진다.
또한, 상이한 형상의 액체 분사구를 가지는 교체 가능한 세척 헤드가 제공될 수 있고, 그리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서로 다른 세척 작용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벽 부재는 유체 출구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벽 부재는 유체 운반 로드의 축선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벽 부재는 유체 운반 로드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유체 출구에서 나오는 액체 분사류의 방향은 이 장치를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거나 또는 수직에 대하여 약간 후방으로 비스듬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장치의 모든 모서리 및 가장자리는 신체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둥근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운반 로드는 중공의 원형 단면의 관이지만, 필요하다면, 다른 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출구(예를 들어, 오리피스)는 원형이지만, 사용될 수 있는 분사류 형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설비에서는, 일정한 사전 설정 온도 및/또는 압력으로 현재의 혼합 장치로부터 가열된 액체가 공급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벽 부재는 유체 출구와 항문 부위 사이의 한정된 거리를 유지한다. 따라서, 이 장치는, 종래 기술의 많은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사기가 우연히 항문에 밀접하게 배치되거나 항문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야기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항문 세척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척 장치의 세척 헤드 연결 단부의 단부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 취한 세척 헤드의 단면도.
도 4는 유체 운반 로드 및 세척 헤드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세척 장치의 손잡이의 수직단면도.
도 6은 도 5의 손잡이 내의 피스톤 밸브 본체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손잡이의 제어 레버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제어 레버의 단부도.
도 9는 보관 용기 내의 보관 위치에 있는 도 1의 세척 장치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항문 세척 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세척 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세척 헤드의 단부도.
도 12는 세척 장치의 유체 운반 로드 상에 위치한 도 11의 세척 헤드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 13은 보관 용기 내의 보관 위치에 있는 도 10의 세척 장치의 측면도.
도 14는 도 10의 세척 장치의 손잡이의 수직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손잡이 내의 피스톤 밸브 본체의 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손잡이의 제어 레버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제어 레버의 단부도.
동일한 부호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항문 세척 장치(1)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항문 세척 장치(1)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종 부품을 가진 손잡이(13)를 포함하고 있다. 이 손잡이(13)에 가요성 공급관(14)이 연결되어 있고, 가압된 물이 전형적으로는, 레버 작동형인 것이 바람직한 벽 장착 수도꼭지로부터 상기 공급관에 공급된다.
이 항문 세척 장치(1)는 중공 원통형의 굽은 관(12)(부호 12b의 부분에서 구부러져 있음) 형태인 유체 운반 로드를 포함하고 있다. 이 관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팔뚝을 사용자의 넓적다리 위에 올려 놓은 채 이 항문 세척 장치를 용이하게 위치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한 길이 및 굴곡을 가지고 있다.
이 항문 세척 장치(1)는 또한, 부분적으로 중공(도 3)의 세척 헤드 본체(10)를 가지는 세척 헤드(2)를 포함하고 있다. 플랜지(11) 형태의 벽 부재가 세척 헤드 본체(10)로부터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다. 이 플랜지(11)는 전형적으로는 세척 헤드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지만(예를 들어, 성형 또는 기계가공에 의해), 별개로 준비되어 항문 세척 장치에 끼워질 수도 있다(예를 들어, 관(12)의 단부 위에서 칼라(collar)(11c)(도 12)를 미끄럼 이동시킴으로써). 세척 헤드 본체(10)에는 단일의 오리피스(10a)가 형성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다수의 오리피스가 채용될 수도 있다. 세척 헤드(2)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연결 단부(즉, 관(12)에 연결되는 단부)에서 본 세척 헤드(2)의 단부도를 나타낸다. 이에 관하여, 관(12)은 세척 헤드 본체(10)의 관형 리세스(10b)(도 3) 내에 꼭맞게 삽입된다. 이 관형 리세스(10b)는 보다 좁은 리세스(10c)로 개방되어 어깨부(10d)를 형성하고 있고, 이 어깨부(10d)에 관(12)의 단부가 맞닿아 접할 수 있다(예를 들어, O-링(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밀봉 방식으로). 따라서, 세척 헤드(2)는, 접착제, 용접, 그러브 나사(grub screw), 나사 결합, 베이어닛(bayonet) 끼워맞춤, 볼 멈춤쇠, 간섭, 마찰 또는 스냅 끼워맞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을 통해 관(12)의 단부에 영구적으로 또는 해제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플랜지(11)는 판 형태이고, 대체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둥글게 형성된 립(lip)(11a)과 곡선형 단부(11b)를 가지고 있다. 립(11a)은 위치결정 바(bar)로서 기능하므로, 단면이 원형이고, 사용자의 회음부에 맞닿아 배치되기에 최적의 형상으로 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호(弧)의 단부에서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오리피스(10a)는 전형적으로는 상방으로 향한 분출구이고, 오리피스(10a)로부터 나온 물이 플랜지(11)의 중앙선에 평행하고 그 중앙선과 일치하여(즉, 립(11a)의 중심과 일치하여) 향하도록 되어 있다. 또는, 오리피스는 물이 플랜지(11)쪽으로 향하여 분출되도록(즉, 비스듬한 흐름으로서 분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세척 헤드(2)와 플랜지(11)는 단일체의 연마된 인베스트먼트 주조물(investment casting)로서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주조된 포셀린(porcelain) 또는 다른 세라믹으로 제조되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성형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관(12)과 세척 헤드(2)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와 오리피스가 단일체의 세척 헤드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관(12)이 세척 헤드(2)에 체결되어 있다.
도 5는 피스톤 밸브 본체(18)와 작동 레버(17)의 부분 단면도를 포함하여 손잡이(13)의 상세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피스톤 밸브 본체(18)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단일 성형품으로서의 작동 레버(17)와 레버 바이어싱 스프링(24)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피스톤 밸브 본체(18)에 걸터 앉는 포크형 토글(toggle)(25)을 보여주고 있는 작동 레버(17)의 단부도를 나타낸다.
조립된 때, 작동 레버(17)의 받침 베어링(17a)들이 피스톤 밸브 하우징의 리세스에 성형된 받침 핀들에 끼워진다. 손잡이(13)는 작동 레버(17)를 누르기 위해서는 가벼운 힘만이 요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눌려진 때, 작동 레버(17)는 레버 바이어싱 스프링(24)에 대항하여 이동하도록 받침 베어링(17a)을 중심으로 피벗하고, 이때, 레버 바이어싱 스프링(24)의 단부가 리세스(28) 내에서 미끄러진다. 이러한 피벗 시에, 리세스(26)에서 피스톤 밸브 본체(18)에 걸터 앉아 있는 포크형 토글(25)이 피스톤 밸브 본체를 손잡이의 입구 단부(I) 쪽으로 돌진시킨다.
피스톤 밸브 본체(18)는 이 통로에서 미끄럼 이동하도록 위치결정되어 있다. 액체 흐름 통로(13a)가 손잡이(13)를 똑바로 관통하여 연장하여 있다. 피스톤 밸브 본체(18)는 입구 단부(I)에 인접한 그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거의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하는 길이방향 보어(29)를 가지고 있다.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30)가 길이방향 보어(29)에 연결되고, 액체 흐름 통로(13a)의 인접한 부분으로 개방되어 있다. 피스톤 밸브 본체(18)는 환형 리세스(32)를 가진 반대측의 폐쇄된 플러그 단부(31)를 가지고 있고, 환형 리세스(32)내에 가요성의 밀봉 링(예를 들어, O-링)이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13)의 정상 배치 위치에서, 플러그 단부(31)는 액체 흐름 통로(13a)의 축소된 부분(즉, 어깨부(33)에 의해 축소된 부분)을 폐쇄하여, 액체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통로(30)에서 나온 액체가 액체 흐름 통로(13a)의 인접한 부분에서 흐르지 않게 되어, 이 장치가 유체 흐름에 대하여 폐쇄된다. 그러나, 작동 레버(17)가 눌려지면, 그 작동 레버(17)가 피스톤 밸브 본체(18)를 입구 단부(I)쪽으로 돌진시킴으로써, 플러그 단부(31)가 어깨부(33)에 인접한 통로를 개방하여, 입구 단부(I)가 관(12)과 유체 소통 상태로 되어, 액체가 피스톤 밸브 본체를 통과하여 흘러, 이 장치를 통하여 흐를 수 있게 된다.
작동 레버(17)가 해제되면, 수압이 피스톤 밸브 본체(18)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 및/또는 레버 바이어싱 스프링(24)이 작동 레버(17)를 손잡이(13)로부터 먼족으로 피벗시켜, 피스톤 밸브 본체(18)를 도 5에 도시된 그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또한 플러그 단부(31)를 밀봉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에 관하여, 레버 바이어싱 스프링(24)은 전형적으로는 판 스프링이고, 이 판 스프링은 액체 압력이 차압에 의해 피스톤 밸브를 폐쇄하기에 불충분한 경우 피스톤 밸브를 폐쇄하는 것을 돕는다. 판 스프링은 비상 안전 기구로서 작용한다. 이렇게 하여, 액체 흐름 통로(13a)가 다시 폐쇄되어, 그를 통한 액체 흐름이 방지된다.
손잡이(13)는 외부에 나삿니가 형성된 수형(male) 연결부(27)를 입구 단부에 가지고 있고, 이 연결부는 가요성의 배관 압력 호스(도 1 참조)에 모순 없이 부착될 수 있다.
손잡이(13)는 내부에서의 피스톤 밸브 본체(18)의 용이한 미끄럼 이동을 수용하도록 내부가 마감 처리되어 있다. 피스톤 밸브 본체(18)는 또한, 그의 외측 둘레에서의 액체 흐름을 방지하여 작동 레버 구멍을 통한 액체 손실을 방지하도록 부호 19a 및 19b로 지시된 부분(즉, 포크형 토글(25)의 각 측부)에 끼워지는 2개 또는 4개의 O-링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 단부(31)에 위치한 밀봉 링은 폐쇄 위치에서의 흐름을 방지한다.
관(12)은 손잡이(13)에 제공된 리세스 내에 미끄럼 끼워맞춤된다. 관(12)을 손잡이(13)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원추형 내면(23)을 가진 너트(22)가 그와 짝을 이루도록 손잡이(13)에 제공된 얇은 벽의 원추형 부분(34)에 대하여 조여진다. 그러면, 얇은 벽의 원추형 부분(34)의 내면이 관(12)에 꽉끼게 끼워맞춤된다. 이와 같이 조여진 때, 원추형 부분(34)은 관(12)에 대한 클램핑(clamping) 효과를 제공한다. 너트(22)는 그의 외주면에, 홈이 파진 파지부(21)를 가지고 있고, 관(12) 위에 미끄럼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치는 관(12)을 지지하는 한편, 관(12)을 손잡이(13)에 부착하고, 또한, 세척, 수리, 교환 또는 교체를 위해 손잡이로부터 관을 해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사용하지 않을 때 항문 세척 장치를 보관하기 위한 용기(15)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 용기의 기부(15a)의 단면 형상은, 이 장치가 사용되는 화장실 변기의 영역에 맞는 원형, 정방형, 장방형 또는 임의의 다른 형상일 수 있다. 이 기부(15a)에 의해 획정(劃定)되는 저장소 내에 소독액(16)이 수용되고, 세척/소독을 위해 이 소독액 내에 세척 헤드(2)가 잠지고 휘저어질 수 있다. 횡방향 브래킷(15b)이 소독액(16) 위쪽에서 세척 장치를 지지하여, 세척 장치가 다음 번 사용 전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동일한 부호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는 도 10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형태의 항문 세척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13)는 판 스프링(24)이 작동 레버(17) 내에 수용된 나선 스프링으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0에서, 세척 헤드(2)는 플랜지(11)가 세척 헤드 본체(1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관(12)의 단부에 끼워져 있다. 그러나, 도 11 내지 도 13에서는, 관(12)이 그의 단부(12a)에서 폐쇄되어 있고, 오리피스(10a)가 관의 단부(12a)에 형성 또는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세척 헤드 본체(10)는 관의 단부(12a)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랜지(11)가 칼라(11c)로부터 연장하여 있고, 그 칼라(11c)는 관의 단부(12a) 상에 미끄러져 배치되고, 오리피스(10a)에 인접하여 그 단부(12a)에 (예를 들어, 용접, 접착제, 그러브 나사, 나삿니 등을 통해) 체결된다. 따라서, 세척, 수리, 교환, 교체 등을 위해, 관(12)이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3)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플랜지(11)도 관(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3의 플랜지(11)는 제1 실시형태의 플랜지(11)보다 얇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른 점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세척 장치가 동일 또는 유사하다.
관(12)은, 보다 짧거나 긴, 굽은 또는 곧은 관이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사용자에 맞춰 상이한 크기의 플랜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오리피스를 가진 세척 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공급관(14)은 화장실 물 공급부에 연결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압력 조절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는, 공급관이 적절한 온도의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냉수 혼합기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세척 후의 항문 건조를 위해, 예를 들어, 중앙 난방 장치로부터의 공기 공급부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전형적으로는, 부품의 대부분이 사출 성형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및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내부식성 금속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이 다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많은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8)

  1. 유체 공급원에 연결 가능하고, 그 유체 공급원으로부터의 유체를 외부로 보내기 위한 유체 출구를 가진 유체 배출 부재; 및
    상기 유체 출구 근처에서 상기 유체 배출 부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는 벽 부재로서, 그 벽 부재가 사용자의 회음부에 배치된 때 상기 유체 출구를 사용자의 항문으로부터 이격시키고, 또한, 유체 흐름이 상기 유체 출구 측의 반대쪽의 벽 부재 측부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자의 회음부에 배치 가능한 벽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 부재는 세척 헤드이고, 상기 벽 부재는 유체 공급 라인에 연결 가능한 제1 헤드 단부와 상기 유체 출구 근처에 위치한 반대쪽의 제2 헤드 단부 사이에서 상기 세척 헤드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상기 세척 헤드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는, 상기 유체 배출 부재에 위치되는 좁은 기부로부터 넓은 자유 단부까지 외측으로 테이퍼져 있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의 상기 자유 단부는 사용자의 회음부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는 곡선형이고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의 길이를 따라, 사용자의 회음부에 밀접하게 위치하기 위한 만곡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 부재는 유체 운반 로드를 통해 손잡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운반 로드는, 상기 벽 부재를 사용자의 회음부에 배치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강성(剛性)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 부재는 상기 손잡이로부터 멀리 위치한 상기 유체 운반 로드의 단부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그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벽 부재는 상기 유체 운반 로드의 상기 단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유체 운반 로드의 상기 단부를 따라 미끄럼 이동 가능하고 그 단부에 선택적으로 체결 가능한 칼라(collar)를 통해 상기 유체 운반 로드의 상기 단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운반 로드는 상기 벽 부재를 항문에 인접하여 비스듬히 배치하는 것을 돕기 위해 양 단부 사이에서 구부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의 입구에 부착된 가요성 도관으로부터 상기 손잡이로의 액체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이 제어 수단은, 수동으로 작동되지만 상시(常時)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되어 있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는, 상기 손잡이 내의 가압된 액체로부터의 차압이 상기 피스톤 밸브를 상시 폐쇄 위치에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를 상시 폐쇄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기 차압에 바이어싱 스프링이 추가로 또는 택일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밸브는 상기 손잡이의 레버에 의해 개방되고, 상기 레버는 받침점을 중심으로 피벗하고, 이와 같은 피펏 시에, 상기 레버의 반대쪽 단부가 상기 피스톤 밸브에 작용하여 상기 피스톤 밸브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본체가 관통 보어를 가지고 있고, 그 보어 내에 상기 피스톤 밸브가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밸브는 그의 길이의 일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보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피스톤 밸브는, 폐쇄 위치에서는 상기 피스톤 밸브가 상기 손잡이의 상기 관통 보어를 폐쇄하고, 개방 위치에서는 액체가 상기 피스톤 밸브의 상기 보어를 통해 상기 손잡이를 통과하여 흘러 항문 세척 장치 밖으로 흐르도록 상기 손잡이와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출구는 적어도 하나의 오리피스이고, 이 오리피스는, 이 오리피스에서 나온 액체가 항문 세척 장치를 통과하여 흐르는 유체의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향하거나 또는 이 수직 방향으로부터 약간 후방으로 비스듬히 향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배출 부재는 다른 항문 세척 헤드와의 교체를 위해 이 항문 세척 장치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세척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문 세척 장치.
  18. 삭제
KR1020037017077A 2001-07-25 2002-07-25 항문 세척 장치 KR100882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R6590A AUPR659001A0 (en) 2001-07-25 2001-07-25 Anal cleaning device
AUPR6590 2001-07-25
PCT/AU2002/000990 WO2003009733A1 (en) 2001-07-25 2002-07-25 Anal clea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820A KR20040017820A (ko) 2004-02-27
KR100882292B1 true KR100882292B1 (ko) 2009-02-10

Family

ID=3830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7077A KR100882292B1 (ko) 2001-07-25 2002-07-25 항문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13329B2 (ko)
EP (1) EP1418832B1 (ko)
KR (1) KR100882292B1 (ko)
CN (1) CN1251641C (ko)
AU (2) AUPR659001A0 (ko)
WO (1) WO20030097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237990B1 (es) * 2003-05-26 2006-04-01 Universidad De Valladolid Irrigador de flujo continuo.
CN2686616Y (zh) * 2004-03-09 2005-03-23 游世规 个人用卫生清洗器
US20070061956A1 (en) * 2005-09-21 2007-03-22 Shih-Kuei Yu Handheld bidet
CN101543385B (zh) * 2009-05-11 2011-03-30 吴华金 便洁具
US8281423B2 (en) * 2010-06-15 2012-10-09 Michael C. Taylor Multi-use portable hand held hygienic device
US9051722B2 (en) 2011-03-04 2015-06-09 Kohler Co. Multi-spray bidet
WO2013001323A1 (en) 2011-06-27 2013-01-03 Khodadad Christopher Nakhdjavani Anus cleaning device with removable protective cap
US20130326803A1 (en) * 2012-06-06 2013-12-12 Kadi Maleki Personal Cleansing Apparatus
CN104018567A (zh) * 2013-03-02 2014-09-03 黎超波 使用可拆装喷头的便后冲洗装置
US8925137B1 (en) * 2013-10-23 2015-01-06 Samuel Munoz Hygienic wiping device
WO2015132627A1 (en) 2014-03-03 2015-09-11 Nakhjavani Khodadad Protective disposable cap, handle, head for hand held bidets
US10413643B2 (en) 2014-12-04 2019-09-17 Alessio Pigazzi Devices and methods for cleaning contaminated body cavities
KR101968708B1 (ko) * 2016-02-12 2019-04-12 가부시키가이샤 도쿠에 휴대용 용기
WO2018085196A1 (en) 2016-11-03 2018-05-11 Hollister Incorporated Adjustable bowel treatment arm
US20180228963A1 (en) * 2017-02-13 2018-08-16 Traci Mitchell Splash bleu
US20180258627A1 (en) * 2017-02-24 2018-09-13 Salvador Roxas Handheld Bidet Attachment Device
CN107049760A (zh) * 2017-05-12 2017-08-18 夏力强 自顶注水直肠式排便冲洗器
CN109620334B (zh) * 2018-11-27 2021-06-29 绍兴市柯桥区锦策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消毒止血钳
US11708688B2 (en) 2018-12-31 2023-07-25 Kelley Simon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US10689836B1 (en) 2018-12-31 2020-06-23 Kelley Simon Handheld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US11234562B1 (en) 2018-12-31 2022-02-01 Kelley Simon Handheld personal perineal cleansing system and methods
USD939665S1 (en) * 2020-06-15 2021-12-28 Xiamen Soothingware Sanitary Co., Ltd. Bidet sprayer
USD939049S1 (en) * 2020-06-15 2021-12-21 Xiamen Soothingware Sanitary Co., Ltd. Bidet sprayer
WO2023114703A1 (en) * 2021-12-13 2023-06-22 Make The World Less Crappy, Inc. Personal hygiene washing devices, systems, methods and ki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630A (en) 1983-04-01 1985-04-16 Osgood R W Mini-bidet
JPH10137316A (ja) 1996-11-11 1998-05-26 Koshin Kogyo:Kk 医療用洗浄器
JPH10248742A (ja) 1997-03-10 1998-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洗浄器
JPH11164791A (ja) 1997-12-04 1999-06-22 Hiroshi Chugenji 携帯型臀部および局部洗浄器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77446A (en) * 1926-05-17 1928-07-17 Hartmetz Ernst Blower
US1818388A (en) * 1928-11-27 1931-08-11 Louis L Farley Cleaning device
US1963329A (en) * 1930-01-22 1934-06-19 Hornell Per Gustaf Vaginal and anal irrigator
US2034367A (en) * 1933-02-13 1936-03-17 White S Dental Mfg Co Syringe
US2017801A (en) * 1933-08-26 1935-10-15 Hornell Per Gustaf Flushing apparatus
US2307986A (en) * 1940-02-15 1943-01-12 Bolte Insufflator
US2289889A (en) * 1940-02-28 1942-07-14 Walter T Stick Garden sprinkler
US2852782A (en) 1956-05-09 1958-09-23 Sundberg Gottfrid Sanitary spray attachment for toilet bowl
US2995759A (en) * 1958-06-25 1961-08-15 Merle O Gentry Sanitary rectal fountain
US3019447A (en) * 1958-12-10 1962-02-06 Konstantin A Sluz Apparatus for douching the anus
US3110038A (en) 1962-08-03 1963-11-12 Dornbierer Fritz Mixing-faucet assembly
US3425066A (en) 1966-07-07 1969-02-04 Carl H Berger Personal hygiene attachment for toilets
US3513487A (en) 1968-01-08 1970-05-26 Santo Palermo Douching attachment
US3662407A (en) * 1970-05-25 1972-05-16 Donald E Colucci Personal hygiene device
US3797481A (en) 1971-11-22 1974-03-19 B Doran Hygienic cleaning device for the anal area of the human body
US3882864A (en) 1973-08-17 1975-05-13 George R Montgomery Selectively operated pressurized liquid applicator for sink installation
US3995326A (en) 1975-08-01 1976-12-07 Umann Harry M Bidet toilet seat
US4000742A (en) 1975-10-20 1977-01-04 Digicomo Edward F Wall mounted hygienic device
FR2419721A1 (fr) * 1978-03-13 1979-10-12 Schwarz Gunter Dispositif de lavage pour la toilette intime de la femme
US4197594A (en) 1978-07-24 1980-04-15 Peter Butterfield Hygiene apparatus for toilets
US4205402A (en) 1978-11-15 1980-06-03 Miller Daniel C Bidet adaptor for toilet
US4287618A (en) * 1979-04-26 1981-09-08 Louis Silver Portable therapeutic sitz-bath, shower and bidet combination
US4259754A (en) 1979-10-19 1981-04-07 Jacob Bader Portable bidet
US4596058A (en) * 1985-06-12 1986-06-24 Nourbakhsh Mahmoud M Bidet attachment for water closets
AU629044B2 (en) 1989-09-22 1992-09-24 Michael Constantinos A douche attachment for a toilet suite
GB2237981A (en) * 1989-11-13 1991-05-22 Alexander Feldmann Anal wiping implement
US5271104A (en) * 1992-04-15 1993-12-21 Latora Salvatore C Toilet bidet
US5551098A (en) * 1994-01-14 1996-09-03 Wilk; Peter J. Personal bidet and associated method
DE4421424A1 (de) 1994-06-18 1995-12-21 Hermann Schmitzer Distanz- und Spritzschutzring
CA2149839A1 (en) 1995-08-08 1997-02-09 Raymond N. Fonda Hand-held bidet
JPH09262187A (ja) 1996-03-29 1997-10-07 Aiwa Co Ltd 衛生洗浄装置
US5946741A (en) * 1996-11-22 1999-09-07 Moon; In E. Hygienic, removable toilet attachment for enema, douche or colonic irrigation
US5833675A (en) * 1997-03-20 1998-11-10 Garcia; Teddy Irrigator device
US6167577B1 (en) * 1997-05-08 2001-01-02 Adman Hammad Personal hygiene device, toilet bidet
JP2000051313A (ja) 1998-08-07 2000-02-22 Takehiro Nakashiro 排泄物処理器
JP2000070325A (ja) 1998-08-31 2000-03-07 Ryosuke Satake 汚物洗浄吸引装置
JP2000093483A (ja) 1998-09-21 2000-04-04 Lion Corp 洗浄用スパウト装置
CA2256213A1 (fr) * 1998-12-04 2000-06-04 Jean-Marie Gervais La douche inti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0630A (en) 1983-04-01 1985-04-16 Osgood R W Mini-bidet
JPH10137316A (ja) 1996-11-11 1998-05-26 Koshin Kogyo:Kk 医療用洗浄器
JPH10248742A (ja) 1997-03-10 1998-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洗浄器
JPH11164791A (ja) 1997-12-04 1999-06-22 Hiroshi Chugenji 携帯型臀部および局部洗浄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18832A1 (en) 2004-05-19
KR20040017820A (ko) 2004-02-27
US20040216224A1 (en) 2004-11-04
AUPR659001A0 (en) 2001-08-16
AU2002317047B2 (en) 2005-08-18
US7913329B2 (en) 2011-03-29
EP1418832B1 (en) 2013-07-10
EP1418832A4 (en) 2008-12-10
CN1527680A (zh) 2004-09-08
CN1251641C (zh) 2006-04-19
WO2003009733A1 (en)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292B1 (ko) 항문 세척 장치
AU2002317047A1 (en) Anal cleaning device
US5720055A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US6973679B1 (en) Personal cleansing spray device
US20110302709A1 (en) Multi-use portable hand held hygienic device
US8904575B1 (en) Perineal spray attachment for toilets
US5987659A (en) Bidet device providing repeatable solution treatments
US5359736A (en) Spray means for a toilet pedestal
US20090121042A1 (en) Hand held sanitary washer
WO1997016106A9 (en) Cleaning and hygienic device
US4510630A (en) Mini-bidet
US7774871B1 (en) Personal hygiene cleansing and irrigation device
US5685028A (en) Bidet sprayer unit and apparatus for mounting
US5272774A (en) Toilet conversion kit
US6339852B1 (en) Bidet toilet seat
WO2006014778A2 (en) Handheld apparatus for personal hygiene
US8096488B2 (en) Showerhead and valve assembly for receiving a rinsing system
US5809585A (en) Bidet toilet system
US20060248639A1 (en) Bide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694370B1 (en) Shower control
US4876750A (en) Water closet and bidet apparatus
US20180258627A1 (en) Handheld Bidet Attachment Device
US20230160193A1 (en) Shower head
JP4628775B2 (ja) シャワ装置
AU629044B2 (en) A douche attachment for a toilet su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