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233B1 -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233B1
KR100882233B1 KR1020080050670A KR20080050670A KR100882233B1 KR 100882233 B1 KR100882233 B1 KR 100882233B1 KR 1020080050670 A KR1020080050670 A KR 1020080050670A KR 20080050670 A KR20080050670 A KR 20080050670A KR 100882233 B1 KR100882233 B1 KR 100882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roll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Priority to KR1020080050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23Rollers therefor; Such rollers usable also for compacting soil
    • E01C19/28Vibrated rollers or rollers subjected to impacts, e.g. hammering blows
    • E01C19/286Vibration or impact-imparting means; Arrangement, mounting or adjustment thereof; Construction or mounting of the rolling elements, transmission or drive thereto, e.g. to vibrator mounted inside the ro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형지에서 분리되는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시킬 때 진동이 발생된 상태로 가압하여 바탕면과 점착시트 사이에 공기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는 상기 바탕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바퀴가 하측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방향조정 또는 밀기용으로 손잡이가 구비되도록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디부와; 상기 바퀴의 차축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에서 공급되는 점착시트의 이형지를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제거하는 이형지 제거수단과; 상기 이형지 제거수단에 의해 상기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를 상기 바탕면으로 가압하는 점착시트 압밀수단과;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이 상기 점착시트를 상기 바탕면에 가압할 때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점착시트의 점착면에 부착된 이형지가 제거되면서 바탕면에 부착될 때 진동이 발생되어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기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점착시트, 이형지, 부착장치, 방수시트

Description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waterproof sheet constr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점착시트의 이형지를 제거하면서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기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탕면에 점착시트를 부착하기 전에 점착시트의 이형지를 제거함과 더불어 바탕면에 점착시트를 부착시킬 때 진동이 발생된 상태로 가압하여 점착시트와 바탕면 사이에 공기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점착시키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형지를 제거한 후 테이프와 같은 방법으로 프라이머나 접착제의 사전 도포없이 이형지 제거 후 바탕면에 시트를 부착할 수 있도록 제조된 시트가 출시되어 시공 되어지고 있다.
상기한 시트의 구조는 방수층과, 이 방수층의 저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바탕면에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점착면(또는 접착면)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시트를 통상적으로 점착시트라 하며, 이 점착시트가 보관 및 운송될 때 점착제가 방수층과 겹쳐져 부착되거나 타 물품과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 착면에는 이형지를 부착하므로, 점착시트 시공 시에는 상기 이형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점착시트의 시공 시 전면 밀착 시공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부분적으로 기포층(Air poket)이 형성되어 바탕면과 점착시트가 이격되어 기밀성이 저하되는 현상으로 그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한 문제점이 발생될 경우 부착된 점착시트를 다시 떼어내어 공기층이 제거되도록 재시공하는데 이 과정에서의 제품 손상은 물론 공기가 늘어나는 폐단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점착시트의 시공상에서 공기층이 형성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시공할 때에는 시공하고자 하는 위치와 크기에 알맞게 점착시트를 재단하여 이형지를 제거한후 바탕면에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점착시트가 바탕면에 부착되도록 점착시트의 상부에서 가압롤러를 이동시키면서 점착시트의 전면이 부착되게 함으로써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시공 과정에서는 공기층이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밖에 없다.
즉, 우선 이형지가 제거된 상태에서 바탕면에 배치된 시트는 이미 부분적으로 부착되어진 만큼 공기층이 형성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갖게 된다.
다시 말하면, 이미 부분적으로 점착시트가 부착된 상태에서 공기층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전면부착을 위해 가압롤러로 점착시트에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부분적으 로 부착된 부분에 의해 공기층의 이동이 막혀 필연적으로 공기층이 형성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일체형 가압롤러를 이용해 가압할 경우 점착시트의 이음부분에 형성된 단차 및 바탕면의 굴곡과 단차의 하부 공간(단차의 측단 하부)에는 가압롤러의 압력이 미치지 못하므로 공간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점착시트의 하부에 공기층이 그대로 잔존하게 될 경우에는 여름철 공기가 팽창하면서 점착시트를 들뜨게 하므로 방수성능을 저하시키고, 나아가서 방수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에 제공된 가압롤러는 바탕면에 점착시트를 가압하기 위해서 상당한 무게를 갖도록 구비된다. 때문에 작업자가 중량을 갖는 가압롤러를 장시간 사용하기에 피로감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 가압롤러를 이동하거나 운반시에도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첫째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경량화함과 동시에 기밀하게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시킬 수 있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가압할 때 진동을 발생시켜 점착시트와 바탕면 사이에 공기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시 킬 수 있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부분적으로 발생된 단차의 하부 공간에도 롤러의 압력이 골고루 미치게 하여 전면접착이 이루어지게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점착시트의 부착 직전에 이형지가 제거되도록 하여 작업의 원할함을 유도함으로써, 한 사람이 점착시트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면서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인력의 낭비를 방지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다섯째, 간편하고 빠르게 방수시공을 완료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점착시트가 접착되는 부분 전면이 고르고 균일한 힘으로 가압되어 부착될 수 있게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점착시트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면서 상기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시키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탕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바퀴가 하측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방향조정 또는 밀기용으로 손잡이가 구비되도록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디부와; 상기 바퀴의 차축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에서 공급되는 점착시트의 이형지를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제거하는 이형지 제거수단과; 상기 이형지 제거수단에 의해 상기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를 상기 바탕면으로 가압하는 점착시트 압밀수단과;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이 상기 점착시트를 상기 바탕면에 가압할 때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접착시트 압밀수단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편심캠;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은, 상기 바디부의 전후방 바퀴의 차축을 각각 연결하는 지지바의 후방에서 상기 점착시트의 진입방향으로 수직 설치되는 후방 회전축과; 상기 후방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되고,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를 하향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압밀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밀수단은, 상기 진동발생부가 설치되도록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 절단된 압밀롤러와; 상기 압밀롤러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발생부가 위치되는 밀착고정부와; 상기 밀착고정부의 끝단에 돌출되어 상기 진동발생부를 고정하는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바디부의 전ㆍ후방 바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차축의 내측으로 구동봉를 내장시키고, 이 구동봉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구동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이형지 제거수단은, 상기 바디부의 세로프레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하부 회전축에 설치되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체인으로 전달받는 연동스프로켓과; 상기 하부 회전축에 축설되어 연동스프로켓이 회전할 때 동반회전하도록 된 구동기어와; 상기 연동스프로켓 상부의 양측 세로프레임에 내측으로 연결되는 상부 회전축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일단에 구동기어와 치합되도록 연동기어가 설치된 제1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이형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하는 공정을 한 사람이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공정을 간소화하여 시공기간을 단축시키고, 인력의 낭비를 방지하여 시공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이형지게 제거된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시킬 때 진동이 발생되어 이 점착시트와 바탕면 사이에 공기층이 발생되지 않도록 기밀하게 점착시트를 부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경량화하여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피로감을 최소화하여 장시간 동안에도 점착시트를 부착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의 구성을 도 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구비된 압밀수단 및 진동발생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구비된 압밀롤러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프레임(101a)과 세로프레임(101b)이 서로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연결된 바디부(101)의 하단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회전가능토록 바퀴(102)가 결합되어 바디부(101)를 이동가능케 하며, 상기 바디부(101)의 상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바디부(101)를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손잡이(103)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는 상기한 바디부(101)와 동력발생수단, 점착시트(120)의 이형지(121)를 제거하기 위한 이형지 제거수단, 바탕면에 부착되는 점착시트(120)를 가압하여 부착 또는 접착력을 증대시키는 점착시트 압밀수단으로 구성된다.
먼저, 동력발생수단은, 바디부(101) 하단의 전, 후방에 설치된 바퀴(102) 중 어느 하나의 차축(104) 내측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봉(105)을 내장시키고, 이 구동봉(105)에 구동스프로켓(106)이 축설되게 하여, 바퀴(102)가 회전하면 구동스프로켓(106)이 회전하여 동력이 발생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과 도 2에는 전방 바퀴(102)의 차축(104) 내측에 설치된 구동봉(105)에 구동스프로켓(106)이 설치되었으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방 바퀴(102)의 차축(104)이나 후방 바퀴(102)의 차축(1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동스프로켓(106)을 설치하여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성 중 하나인 점착시트(120)의 이형지(121)를 제거하는 이형지 제거수단은, 상기 바디부(101)의 세로프레임(101b) 내측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회전축(109)을 돌출되도록 설치하고, 동력발생수단 즉, 상기한 구동스프로켓(106)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체인(108)과 연결되는 연동스프로켓(107)을 하부 회전축(109)에 축설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회전축(109)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스프로켓(107)이 회전할 때, 하부 회전축(109)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 회전축(109)에 구동기어(110)를 축설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110) 상부의 양측 세로프레임(101b) 내측에는 상부 회전축(111)을 회전가능토록 설치하고, 이 상부 회전축(111)에는 제1롤러(112)를 회전가능토록 설치하며, 제1롤러(112)의 일단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10)에 치합될 수 있도록 연동기어(113)를 축설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103)를 잡고 밀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바퀴(102)가 굴러가면서 전방 바퀴(102)와 연결된 구동봉(105)이 회전하고, 이 구동봉(105)에 축설된 구동스프로켓(106)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106)이 회전하면, 구동스프로켓(106)에 체인(108)으로 연결된 연동스프로켓(107)이 회전하고, 이때, 연동스프로켓(107)이 축설된 하부 회전축(109)이 회전함과 동시에 하부 회전축(109)에 축설된 구동기어(110)가 회전하여 구동기어(110)에 치합된 연동기어(113)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연동기어(113)가 회전하게 되면, 연동기어(113)가 축설된 제1롤러(112)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1)의 전방 바퀴(102)와 후방 바퀴(102)의 차축(104)을 연결하는 지지바(101c) 후방에서 점착시트(120)의 진입방향으로 수직(ㅓ)되도록 후방 회전축(미도시)을 설치하고, 이 후방 회전축에는 중공부를 가지는 압밀롤러(115)의 양 끝단을 회전되도록 고정시켜 이형지(121)가 제거된 점착시트(120)가 압밀롤러(115)에 의해 가압되어 바탕면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 압밀롤러(115)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부가 종 방향으로 절단되도록 구성되어 그 내부에 진동발생부(13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압밀롤러(115)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횡 방향으로 절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압밀롤러(115)는 그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진동발생부(13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압밀롤러(115)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지지부재(115-1)와 상기 지지부재(115-1)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발생부(13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고정부(115-2), 그리고, 상기 밀착고정부(115-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진동발생부(130)의 측면부를 고정하는 고정턱(11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15-1)는 절단된 압밀롤러(115)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15-1)를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은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고정부(115-2)는 상기 지지부재(115-1)의 끝단부에 횡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데, 이 지지부재(115-1)의 길이는 상기한 진동발생부(130)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턱(115-3)은 상기 진동발생부(130)의 측면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상기 압밀롤러(115)는 고정브라켓(11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고정브라켓(115-4)은 상기 고정턱(115-3)에 체결되도록 하여 상기 진동발생부(130)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진동발생부(130)는 상기 압밀롤러(115)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131)와 편심캠(1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31)는 상기한 밀착고정부와 상기 고정턱(115-3)에 밀착되도록 위치되며 상기 편심캠(132)은 상기 구동모터(131)의 회전축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편심캠(132)의 외주면은 상기 압밀롤러(115)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진동발생부(130)는 상기한 압밀롤러(115)의 내부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2개의 회전축을 갖는 구동모터(131)를 하나로 설치하였으나. 이러한 구동모터(131)가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하나의 회전축을 갖는 구동모터(131)가 다수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131)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는 전술되어진 바디부(101)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손잡이(103)에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제어부를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131)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상기 회전축에 결합된 편심캠(132)이 상기 구동모터(131)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압밀롤러(115)는 상기 편심캠(132)의 회전력에 의해서 미세한 진동이 발생되어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120)를 바탕면에 부착할 때 상기 점착시트(120)와 상기 바탕면 사이에 공기층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압밀롤러(115)는 종래에 제공된 것처럼 상당한 중량을 필요로 하지 않고도 상기 진동발생부(130)에 의해 발생된 진동으로 점착시트(120)를 바탕면에 기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압밀롤러(115)는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과 같이 가벼운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롤러(116)를 바디부(101)의 전방 바퀴(102)와 후방 바퀴(102)의 차축(104)을 연결하는 지지바(101c) 후방에 설치하여 압밀롤러(115)의 후방 상측면에 밀착되게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시트(120)를 바닥에 깔아 놓고, 점착시트(120)의 일단으로부터 이형지(121)를 탈착시켜 제1롤러(112)에 감고 바디부(101)를 이동시키면, 이형지(121)가 제거된 점착시트(120)는 압밀롤러(115)의 하부로 진입되고, 이때, 압밀롤러(115)가 바탕면에 구름접촉하게 되고, 이 압밀롤러(115)의 내부에 설치된 진동발생부(130)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면서 상기 바탕면(120)에 상기 접착시트(120)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분이 있는 바탕면을 지나게 되면, 해당 부분 을 지나가는 압밀롤러(115)가 돌출부분에 밀리게 되고, 여기서, 제2롤러(116)가 압밀롤러(115)를 받쳐주기 때문에 압밀롤러(115)는 솟아오르게 되어 점착시트(120)를 지속적으로 하향가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한 명의 작업자가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를 밀면서 점착시트(120)를 바닥면에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점착시트(120)의 이형지(121)도 균일하게 제거되므로 점착시트(120)가 늘어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점착시트(120) 하부에 공기가 잔류하지 않게 점착시트(120)를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진동발생부(130)에 의해 압밀롤러(115)에서 진동이 발생되어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120)를 바탕면에 기밀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압밀롤러(115)는 종래와 달리 경량화하여 구성시킬 수 있게 되어 작업성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구비된 압밀수단 및 진동발생부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구비된 압밀롤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바디부 102 : 바퀴
103 : 손잡이 104 : 차축
105 : 구동봉 106 : 구동스프로켓
107 : 연동스프로켓 108 : 체인
109 : 하부 회전축 110 : 구동기어
111 : 상부 회전축 112 : 제1롤러
113 : 연동기어 115 : 압밀롤러
115-1 : 지지부재 115-2 : 밀착고정부
115-3 : 고정턱 115-4 : 고정브라켓
116 : 제2롤러 120 : 점착시트
121 : 이형지 130 : 진동발생부
131 : 구동모터 132 : 편심캠

Claims (6)

  1. 점착시트에 부착된 이형지를 제거하면서 상기 점착시트를 바탕면에 부착시키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탕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된 다수개의 바퀴가 하측부에 설치되고, 상부에는 방향조정 또는 밀기용으로 손잡이가 구비되도록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바디부와;
    상기 바퀴의 차축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의 회전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에서 공급되는 점착시트의 이형지를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발생된 동력에 의해 제거하는 이형지 제거수단과;
    상기 이형지 제거수단에 의해 상기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를 상기 바탕면으로 가압하는 점착시트 압밀수단과;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이 상기 점착시트를 상기 바탕면에 가압할 때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 내부에 설치되는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발생부는,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외주면은 상기 접착시트 압밀수단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편심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 압밀수단은,
    상기 바디부의 전후방 바퀴의 차축을 각각 연결하는 지지바의 후방에서 상기 점착시트의 진입방향으로 수직 설치되는 후방 회전축과;
    상기 후방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되고, 이형지가 제거된 점착시트를 하향 가압하도록 이루어진 하나 이상의 압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밀수단은,
    상기 진동발생부가 설치되도록 종방향으로 하나 이상 절단된 압밀롤러와;
    상기 압밀롤러의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발생부가 위치되는 밀착고정부와;
    상기 밀착고정부의 끝단에 돌출되어 상기 진동발생부를 고정하는 고정턱과;
    상기 고정턱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 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바디부의 전ㆍ후방 바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차축의 내측으로 구동봉를 내장시키고, 이 구동봉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구동스프로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 제거수단은,
    상기 바디부의 세로프레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하부 회전축에 설치되며, 동력발생수단으로부터 발생되는 회전력을 체인으로 전달받는 연동스프로켓과;
    상기 하부 회전축에 축설되어 연동스프로켓이 회전할 때 동반회전하도록 된 구동기어와;
    상기 연동스프로켓 상부의 양측 세로프레임에 내측으로 연결되는 상부 회전축에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며, 일단에 구동기어와 치합되도록 연동기어가 설치된 제1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KR1020080050670A 2008-05-30 2008-05-30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KR100882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670A KR100882233B1 (ko) 2008-05-30 2008-05-30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670A KR100882233B1 (ko) 2008-05-30 2008-05-30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2233B1 true KR100882233B1 (ko) 2009-02-06

Family

ID=4068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670A KR100882233B1 (ko) 2008-05-30 2008-05-30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23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23Y1 (ko) * 2008-09-30 2011-02-10 범미건설화학 주식회사 고압뿜칠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한 도막방수층 상부에 시공하는 자체접착식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014384B1 (ko) 2009-03-03 2011-02-1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 시트 시공방법
KR101175538B1 (ko) 2012-03-21 2012-08-24 주식회사 소슬 자착식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215931B1 (ko) 2011-05-03 2012-12-27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돌기를 구비한 스킨이 부착된 자착식 방수시트 시공용 전압 롤러
KR101239186B1 (ko) 2012-08-03 2013-03-05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회전 가압식 방수시트 시공장비
KR101659731B1 (ko) * 2016-06-07 2016-09-2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복합 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1817121B1 (ko) * 2016-03-28 2018-01-10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CN111535560A (zh) * 2020-05-19 2020-08-14 罗发鑫 一种混凝土地面修平用滚压装置
CN111608336A (zh) * 2020-05-28 2020-09-01 房爽 一种防水作业施工机
KR102194939B1 (ko) * 2020-05-12 2020-12-28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포장도로 평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표면마감 시공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80Y1 (ko) * 1993-01-12 1996-01-12 조연봉 건축용판재 제조장치
JPH08135122A (ja) * 1994-11-09 1996-05-28 Toshikura Rekisei Kogyo Kk 防水シート張り付け用繰り出し装置
JP2000290930A (ja) 1999-04-07 2000-10-17 Chichibu Sangyo Kk コンクリート面への防水シート施工方法および施工装置
JP2003082854A (ja) 2001-09-04 2003-03-19 Chichibu Sangyo Kk コンクリート面への防水シート施工方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480Y1 (ko) * 1993-01-12 1996-01-12 조연봉 건축용판재 제조장치
JPH08135122A (ja) * 1994-11-09 1996-05-28 Toshikura Rekisei Kogyo Kk 防水シート張り付け用繰り出し装置
JP2000290930A (ja) 1999-04-07 2000-10-17 Chichibu Sangyo Kk コンクリート面への防水シート施工方法および施工装置
JP2003082854A (ja) 2001-09-04 2003-03-19 Chichibu Sangyo Kk コンクリート面への防水シート施工方法とその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23Y1 (ko) * 2008-09-30 2011-02-10 범미건설화학 주식회사 고압뿜칠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한 도막방수층 상부에 시공하는 자체접착식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014384B1 (ko) 2009-03-03 2011-02-15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콘크리트 구조물용 방수 시트 시공방법
KR101215931B1 (ko) 2011-05-03 2012-12-27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돌기를 구비한 스킨이 부착된 자착식 방수시트 시공용 전압 롤러
KR101175538B1 (ko) 2012-03-21 2012-08-24 주식회사 소슬 자착식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239186B1 (ko) 2012-08-03 2013-03-05 아하방수텍 주식회사 회전 가압식 방수시트 시공장비
KR101817121B1 (ko) * 2016-03-28 2018-01-10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방수시트 시공장치
KR101659731B1 (ko) * 2016-06-07 2016-09-26 케이에스엠기술 주식회사 복합 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2194939B1 (ko) * 2020-05-12 2020-12-28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포장도로 평탄화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표면마감 시공공법
CN111535560A (zh) * 2020-05-19 2020-08-14 罗发鑫 一种混凝土地面修平用滚压装置
CN111535560B (zh) * 2020-05-19 2021-06-22 苏中市政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地面修平用滚压装置
CN111608336A (zh) * 2020-05-28 2020-09-01 房爽 一种防水作业施工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2233B1 (ko) 진동롤러를 이용한 점착형 복합시트 시공장치
JP2021014106A (ja) 包装用自動型ラミネーター
KR20060044928A (ko) 분리 가능한 전동 휠체어
JP7076889B2 (ja) フィルム貼付装置及びフィルム貼付方法
JP3569150B2 (ja) 積層材の曲げ加工方法
JP608394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作業用補助装置および同装置を使用した補修・補強方法
CN105479510B (zh) 裁膜机
JP2013014984A (ja) 振動ローラ車両の転圧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457998B (zh) 一种遮物帘小皮自动上料涂胶装置
KR101009332B1 (ko) 언코일러
CN217105878U (zh) 一种防水现场生产施工装置
CN108861494A (zh) 一种具有防堆积功能的制动灯生产用输送装置
CN205401627U (zh) 用于带传动装置的皮带安装工具
JPS6246780A (ja) 窓枠に対する防水用ゴム貼付装置
CN110773910B (zh) 焊接用的柔性衬垫粘贴装置
JP5607557B2 (ja) シート保持装置及びシート貼付装置
JP2649017B2 (ja) ワーク移送装置
CN211105718U (zh) 一种耐冲击复合塑料片加工用压合装置
JP3836618B2 (ja) 積層材の曲げ加工装置
CN214774305U (zh) 一种纸箱生产车间用方便安装的快速除湿装置
CN216272187U (zh) 一种防静电硅胶皮收卷设备
CN220160774U (zh) 一种光学膜片除尘清洁设备
CN215152831U (zh) 一种复合板粘合辅助设备
CN213505226U (zh) 双面胶粘贴设备
CN219563481U (zh) 一种复合板材加工贴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