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620B1 -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620B1
KR100881620B1 KR1020070009008A KR20070009008A KR100881620B1 KR 100881620 B1 KR100881620 B1 KR 100881620B1 KR 1020070009008 A KR1020070009008 A KR 1020070009008A KR 20070009008 A KR20070009008 A KR 20070009008A KR 100881620 B1 KR100881620 B1 KR 100881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yer insulating
film
pattern
lay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995A (ko
Inventor
이종명
최길현
홍종원
박현
최경인
이현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620B1/ko
Priority to DE102008008085A priority patent/DE102008008085A1/de
Priority to US12/011,750 priority patent/US20090166868A1/en
Priority to CNA2008101277853A priority patent/CN101330072A/zh
Publication of KR2008007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43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 H01L21/76849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formed in openings in a dielectric the layer being positioned on top of the main fill 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Smoothing; Planar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41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 H01L21/76867Barrier, adhesion or liner layers characterized by methods of formation other than PVD, CVD or deposition from a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6Via connections in a multilevel interconnection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3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01L23/5329Insulating materials
    • H01L23/53295Stacked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Abstract

반도체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반도체 기판 상의 트렌치를 가지는 제 1 층간 절연막 및 제 1 층간 절연막 상의 마스크 패턴, 트렌치에 채워진 제 1 도전 패턴, 마스크 패턴 상의 제 1 도전 패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층간 절연막, 및 개구부에 채워지고 제 1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턴을 포함한다. 마스크 패턴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다. 트렌치는 상기 마스크 패턴을 관통한다.
금속 배선, 비아 콘택(via contact), 오정렬, 식각 정지막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반도체 기판 20, 110 : 제 1 층간 절연막
30, 120a : 제 3 층간 절연막 32, 124 : 개구부
34, 126 : 비아 콘택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배선을 포함한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는 초소형화 및 초경량화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반도체 장치의 집적도가 증가하고 있다. 반도체 장치의 고집적화에 따라 디자인 룰(design rule)이 감소된다. 디자인 룰이 감소함에 따라, 금속 배선의 폭 및 두께는 점점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속 배선의 저항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금속 배선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비저항이 낮은 구리 배선이 사용될 수 있다. 구리 배선을 형성하기 위해서 다마신(damascene)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반도체 장치는 여러 가지의 층들을 포함한다. 여러 가지의 층들 사이의 정렬(alignment)이 중요할 수 있다. 디자인 룰이 감소함에 따라, 금속 배선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금속 배선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상부 및 하부 금속 배선들을 연결하는 비아 콘택(via contact)의 정렬(alignment)이 문제될 수 있다. 또한, 금속 배선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에 따라,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Time Dependent Dielectric Breakdown : TDDB) 현상은 반도체 장치의 수명에 직 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로 인해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이 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뢰성이 개선된 금속 배선을 포함한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반도체 기판 상의 트렌치를 가지는 제 1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의 마스크 패턴; 상기 트렌치에 채워진 제 1 도전 패턴; 상기 마스크 패턴 상의 상기 제 1 도전 패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층간 절연막; 및 상기 개구부에 채워지고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은 상기 마스크 패턴의 상부면보다 낮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제 1 도전 패턴은 상기 마스크 패턴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탄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은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탄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마스크 패턴을 관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상기 제 2 도전 패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확산 방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상기 제 2 도전 패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확산 방지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은 구리 실리콘 질화막(CuSiN)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반도체 기판 상에 트렌치를 가지는 제 1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에 채워진 평탄화된 제 1 도전 배선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을 리세스시켜 제 1 도전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 패턴 상에 상기 제 1 도전 패턴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채워지고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리세스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은 상기 마스크 패턴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및 상기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마스크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마스크막 및 제 1 층간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막은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막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탄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마스크 패턴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마스크 패턴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탄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제 1 도전 패턴 상에 확산 방지막을 형성하는 것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은 무전해 도금 공정을 수행하여 선택적으로 형성된 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따르면, 상기 제 1 도전 패턴 상에 확산 방지막을 형성하는 것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은 플라즈마 자기 정렬 베리어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된 막일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또는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또한, 층(또는 막)이 다른 층(또는 막)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또는 막)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또는 막)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 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SiO2)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도전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체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미도시)과 연결된 콘택 플러그(contact plu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 2 층간 절연막(112a)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 상의 마스크 패턴(114a)이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 및 상기 마스크 패턴(114a)는 트렌치(trench, 116)를 가진다. 상기 트렌치(116)는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116)에 채워진 제 1 도전 패턴(118)이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은 금속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배선은 구리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구리 배선은 비트 라인(bit line)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 상에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을 노출하는 개구부(124)를 가지는 제 3 층간 절연막(120a)이 있 다. 상기 개구부(124)는 비아 홀(via hole)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 및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은 각각 실리콘 질화막 및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4)에 채워지고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과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턴(126)이 있다. 제 2 도전 패턴(126)은 비아 콘택(via contact)일 수 있다. 상기 비아 콘택은 텅스텐(W), 다결정 실리콘(Si), 티타늄 질화막(TiN), 텅스텐 질화막(WN), 또는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과 인접한 제 1 도전 패턴(118)의 상부 가장 자리 사이의 간격은 L1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SiO2)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상기 반도체 기판(100) 상에 형성된 도전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체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콘택 플러그(미도시)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식각 정지막(stop layer)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 2 층간 절연막(11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은 실리콘 산화막(SiO2)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 상(112)에 마스크막(114)이 형성된다. 상기 마스크막(114)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막(114)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막(114)은 식각 정지막일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막(114)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을 패터닝하여, 상기 도전체를 노출하는 트렌치(116)가 형성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크 패턴(114a) 상에 제 1 도전막이 형성되어, 상기 트렌치(116)가 채워진다. 상기 제 1 도전막은 구리의 이동을 방지하는 베리어막(barrier layer), 구리의 성장을 위한 시드막(seed layer) 및 상기 시드막으로부터 성장된 구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막을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이 노출될 때까지 평탄화하여 제 1 도전 패턴(118)이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CMP)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은 금속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배선은 구리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구리 배선은 비트 라인(bit line)일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 및 마스크 패턴(114a) 상에 제 3 층간 절연막(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은 마스크 패턴(114a) 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20)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122)이 형성된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22)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을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하여 개구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24)는 비아 홀(via hole)일 수 있다. 상기 포토 레지스트 패턴(122)이 제거된다. 상기 제거 공정은 애싱 공정일 수 있다.
도 1을 재차 참조하면,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 상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24)가 채워진다. 상기 제 2 도전막은 텅스텐 막(W), 다결정 실리콘막(Si), 티타늄 질화막(TiN), 또는 텅스텐 질화막(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막을 평탄화하여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과 연결된 제 2 도전 패턴(126)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은 비아 콘택(via contact)일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과 인접한 제 1 도전 패턴(118)의 상부 가장 자리 사이의 간격은 L1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SiO2)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도전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체는 상기 반도체 기 판(100)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미도시)과 연결된 콘택 플러그(contact plu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 2 층간 절연막(112a)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 상의 마스크 패턴(114a)이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 및 상기 마스크 패턴(114a)는 트렌치(trench, 116)를 가진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116)에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의 상부면보다 낮은 상부면을 갖는 제 1 도전 패턴(118a)이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은 상기 마스크 패턴(114a)에 대하여 화학적 기계적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은 금속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배선은 구리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구리 배선은 비트 라인(bit line)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 상에 상기 구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확산 방지막(119)이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은 도전막일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은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 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막일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은 코발트(Co)막, 니켈(Ni)막, 또는 팔라듐(Pd)막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 상에 상기 확산 방지막(119)을 노출하는 개구부(124)를 가지는 제 3 층간 절연막(120a)이 있다. 상기 개구부(124)는 비아 홀(via hole)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4)에 채워지고 상기 확산 방지막(119) 상에 제 2 도전 패턴(126a)이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a)은 상기 확산 방지막(119) 및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a)은 비아 콘택(via contact)일 수 있다. 상기 비아 콘택은 텅스텐(W), 다결정 실리콘(Si), 티타늄 질화막(TiN), 텅스텐 질화막(WN), 또는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a)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a)과 인접한 제 1 도전 패턴(118a)의 상부 가장 자리 사이의 간격은 L4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도전 패턴(118)이 리세스되어 제 1 도전 배선 패턴(118a)이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CMP) 공정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 턴(118)은 상기 마스크 패턴(114a)에 대하여 화학적 기계적 연마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118a)은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의 상부면에 비해 낮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118a)은 금속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배선은 구리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구리 배선은 비트 라인(bit line)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118a) 상에 확산 방지막(1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의 형성 공정은 무전해 도금(electroless plating) 공정일 수 있다. 상기 무전해 전해 공정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118a) 상에 선택적으로 확산 방지막(1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은 코발트(Co)막, 니켈(Ni)막, 또는 팔라듐(Pd)막일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의 두께는 100Å일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은 구리가 구리 배선으로부터 상기 구리 배선에 인접한 후속의 비아 콘택을 향하여 제 3 층간 절연막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확산 방지막 및 마스크 패턴(114a) 상에 제 3 층간 절연막(12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은 마스크 패턴(114a)에 대하여 건식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20)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재차 참조하면,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은 포토 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을 상기 확산 방지막(119)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하여 개구부(124)를 갖는 제 3 층간 절연막(1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 상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24)가 채워진다. 상기 제 2 도전막은 텅스텐 막(W), 다결정 실리콘막(Si), 티타늄 질화막(TiN), 또는 텅스텐 질화막(W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막을 평탄화하여 상기 확산 방지막(119) 및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118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도전 패턴(126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a)이 비아 콘택일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a)의 하부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a)과 인접한 제 1 도전 패턴(118a)의 상부 가장 자리 사이의 간격은 L4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118a)은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의 상부면에 비해 낮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간격 L1 보다 상기 간격 L4가 넓을 수 있다. 리세스된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간격(L4 )은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 현상은 보다 약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0)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있다. 상 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SiO2)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도전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체는 상기 반도체 기판(100)에 형성된 드레인 영역(미도시)과 연결된 콘택 플러그(contact plu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제 2 층간 절연막(112a)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 상의 마스크 패턴(114a)이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 및 상기 마스크 패턴(114a)는 트렌치(trench, 116)를 가진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2a)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116)에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의 상부면보다 낮은 상부면을 갖는 제 1 도전 패턴(118a)이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은 금속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배선은 구리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구리 배선은 비트 라인(bit line)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은 상기 마스크 패턴(114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은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8a) 상에 상기 구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확산 방지막(119b)이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b)은 도전막일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 막(119b)은 구리 실리콘 질화막(CuSiN) 막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 상에 상기 확산 방지막(119)을 노출하는 개구부(124)를 가지는 제 3 층간 절연막(120a)이 있다. 상기 개구부(124)는 비아 홀(via hole)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실리콘 질화막(SiN), 실리콘 탄화막(SiC),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SiC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4)에 채워지고 상기 확산 방지막(119b) 및 제 1 도전 패턴(118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턴(126b)이 있다. 제 2 도전 패턴(126b)은 비아 콘택(via contact)일 수 있다. 상기 비아 콘택은 텅스텐(W), 다결정 실리콘(Si), 티타늄 질화막(TiN), 텅스텐 질화막(WN), 또는 구리(Cu)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된 도전 배선 패턴(118a) 상에 선택적으로 확산 방지막(119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b)의 형성 공정은 플라즈마 자기 정렬 베리어(plasma self aligned barrier) 공정일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자기 정렬 베리어 공정의 반응가스는 모노실레인(SiH4) 및 암모니 아(NH3)을 포함한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b)은 구리 실리콘 질화막(CuSiN) 막일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b)의 두께는 10~20Å일 수 있다. 상기 확산 방지막(119b)은 구리가 구리 배선으로부터 상기 구리 배선에 인접한 후속의 비아 콘택을 향하여 제 3 층간 절연막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확산 방지막(119b) 및 상기 마스크 패턴(114a) 상에 제 3 층간 절연막(120)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은 마스크 패턴(114a)에 대하여 건식 식각 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 제 3 층간 절연막(120)은 실리콘 산화막(SiO2)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SiO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을 재차 참조하면,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은 포토 레지스트 패턴일 수 있다. 상기 마스크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을 상기 확산 방지막(119b)이 노출될 때까지 식각하여 개구부(124)를 갖는 제 3 층간 절연막(1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a) 상에 제 2 도전막을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124)가 채워진다. 상기 제 2 도전막은 텅스텐 막, 다결정 실리콘막, 티타늄 질화막, 또는 텅스텐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막을 평탄화하여 상기 확산 방지막(119b) 및 상기 도전 배선 패턴(118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도전 패턴(126b)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b)이 비아 콘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118a)은 상기 마 스크 패턴(114a)의 상부면에 비해 낮은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간격 L1 보다 상기 간격 L4가 넓을 수 있다. 리세스된 깊이에 대응하여 상기 간격(L4 )은 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 현상은 보다 약화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마스크 패턴이 없을 경우 비아 콘택의 오정렬이 발생된 경우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비아 콘택의 오정렬이 발생된 경우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0)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20)이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0)은 실리콘 산화막(SiO2)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20) 상에 제 2 층간 절연막(22)이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2)는 트렌치(24)를 가진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2)은 실리콘 산화막(SiO2)일 수 있다.
상기 트렌치(24)에 채워진 제 1 도전 패턴(26)이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26)은 금속 배선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배선은 구리 배선일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22) 상에 상기 제 1 도전 패턴(26)을 노출하는 개구부(32)를 가지는 제 3 층간 절연막(30)이 있다. 상기 개구부(32)는 비아 홀(via hole)일 수 있다.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30)은 실리콘 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개구부(32)에 채워지고 상기 제 1 도전 패턴(26)과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턴(34)이 있다. 제 2 도전 패턴(34)은 비아 콘택(via contact)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32) 배치의 오정렬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구부(32) 형성의 식각 공정에서, 상기 오정렬로 인해 제 1 도전 패턴(26) 상부에 인접한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이 과식각될 수 있다. 상기 과식각된 부위를 포함한 제 1 도전 패턴(26) 상에 제 2 도전 패턴(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26)들 사이에 제 2 도전 패턴(34)의 하부(lower portion)가 존재한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26)들 사이에 부가적으로 2 도전 패턴(34)의 하부가 존재하므로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 현상은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26)들의 간격은 l3일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34)의 하부와 상기 제 2 도전 패턴(34)에 인접한 제 1 도전 패턴(26)의 간격은 l2 일 수 있다. 상기 간격 (l3)에 비해 상기 간격(l2)가 더 좁다. 즉,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 현상은 상기 간격(l2)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개구부(32) 형성의 식각 공정에서 과식각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비아 콘택(36) 주위의 해치 영역들은 식각 손상 부위(d)일 수 있다. 상기 손상으로 인한 내부 결함은 상기 금속 패턴들(26)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결함은 전위(dislo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 현상은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실시예의 방법으로 금속 배선이 형성될 경우, 도 2f를 참조하여 설명된 포토 레지스트 패턴(122)의 형성 시 개구부(124) 배치의 오정렬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24) 형성의 식각 공정에서,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20)과 식각 선택비를 가지므로 상기 마스크 패턴(114a)은 식각 정지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오정렬의 경우에도,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f)은 상기 마스크 패턴(114a)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도전 패턴(116)들 사이에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f)은 존재하지 않으므로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 현상은 약화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 1 도전 패턴(116)의 상부에 인접한 제 2 층간 절연막(112a)에 과식각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f) 주위의 해치 영역은 식각 손상 부위(D)일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턴(116)들의 간격은 L3일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f)의 하부와 상기 제 2 도전 패턴(126f)에 인접한 제 1 도전 패턴(116)의 간격은 L2 일 수 있다.
상기 과식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기 손상 부위(D)는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된 손상 부위(d)에 비해 좁을 수 있다. 즉, 과식각 깊이에 대응하여 손상 부위가 좁을 수 있다. 상기 손상에 기인한 내부 결함도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 현상은 더욱 약화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아 콘택의 오정렬의 경우에도 시간 의존성 절연 파괴 현상이 약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Claims (2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반도체 기판 상에 트렌치를 가지는 제 1 층간 절연막 및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트렌치에 채워진 평탄화된 제 1 도전 배선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을 리세스시켜 제 1 도전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도전 패턴 상에 확산 방지막을 형성하고;
    상기 마스크 패턴 상에 상기 확산 방지막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제 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개구부에 채워지고 상기 제 1 도전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확산 방지막은 플라즈마 자기 정렬 베리어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 공정은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 배선 패턴은 상기 마스크 패턴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및 상기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 상에 마스크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마스크막 및 제 1 층간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막은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막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탄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24.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패턴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마스크 패턴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패턴은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탄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탄화막 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탄화산화막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KR1020070009008A 2007-01-29 2007-01-29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KR100881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008A KR100881620B1 (ko) 2007-01-29 2007-01-29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DE102008008085A DE102008008085A1 (de) 2007-01-29 2008-01-28 Halbleiter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US12/011,750 US20090166868A1 (en) 2007-01-29 2008-01-29 Semiconductor devices including metal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CNA2008101277853A CN101330072A (zh) 2007-01-29 2008-01-29 包括金属互连的半导体器件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008A KR100881620B1 (ko) 2007-01-29 2007-01-29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95A KR20080070995A (ko) 2008-08-01
KR100881620B1 true KR100881620B1 (ko) 2009-02-04

Family

ID=39646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008A KR100881620B1 (ko) 2007-01-29 2007-01-29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66868A1 (ko)
KR (1) KR100881620B1 (ko)
CN (1) CN101330072A (ko)
DE (1) DE102008008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3704B2 (en) * 2008-08-22 2010-09-28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Reliable interconnects
DE102008044988A1 (de) * 2008-08-29 2010-04-22 Advanced Micro Devices, Inc., Sunnyvale Verwenden einer Deckschicht in Metallisierungssystemen von Halbleiterbauelementen als CMP- und Ätzstoppschicht
WO2010022969A1 (en) * 2008-08-29 2010-03-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Using a cap layer in metallization systems of semiconductor devices as a cmp and etch stop layer
US9330974B2 (en) * 2010-10-27 2016-05-03 Infineon Technologies Ag Through level vias and methods of formation thereof
US8779592B2 (en) 2012-05-01 2014-07-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Via-free interconnect structure with self-aligned metal line interconnections
US8785283B2 (en) * 2012-12-05 2014-07-22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forming semiconductor structure having metal connection
US9478492B2 (en) * 2015-01-20 2016-10-2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Integrated circuit having slot via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2421767B1 (ko) 2015-08-07 2022-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WO2021007781A1 (en) 2019-07-16 2021-01-21 Yangtze Memory Technologies Co., Ltd. Self-aligned contacts in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KR20210018669A (ko) * 2019-08-08 2021-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아 및 배선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6965A (ja) 1999-12-20 2001-06-29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9788A (ko) * 2002-07-25 2004-01-31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53790A (ja) 2003-01-29 2004-09-09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44031A (ja) 2004-02-27 2005-09-08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0989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7220B2 (ja) * 1993-10-29 2002-07-0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3708732B2 (ja) * 1998-12-25 2005-10-19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245670B1 (en) * 1999-02-19 2001-06-12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for filling a dual damascene opening having high aspect ratio to minimize electromigration failure
US7524755B2 (en) * 2006-02-22 2009-04-28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Ltd. Entire encapsulation of Cu interconnects using self-aligned CuSiN film
US8072075B2 (en) * 2006-09-04 2011-12-06 Nicolas Jourdan CuSiN/SiN diffusion barrier for copper in integrated-circuit devic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76965A (ja) 1999-12-20 2001-06-29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09788A (ko) * 2002-07-25 2004-01-31 아남반도체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4253790A (ja) 2003-01-29 2004-09-09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44031A (ja) 2004-02-27 2005-09-08 Nec Electronics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20989A (ko) * 2005-05-23 2006-11-2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995A (ko) 2008-08-01
US20090166868A1 (en) 2009-07-02
DE102008008085A1 (de) 2008-08-28
CN101330072A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1620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US11217476B2 (en) Method of forming an interconnect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device
US651485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319075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through silicon via
US9305878B2 (en) Integrated circuit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s with capping layers between metal contacts and interconnects
KR101369361B1 (ko) 일체형 크랙 스탑 구조물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
US6372635B1 (en) Method for making a slot via filled dual damascene low k interconnect structure without middle stop layer
KR20200029835A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배선
KR20080023540A (ko) 돌출형상의 텅스텐플러그를 구비한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JP200422811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388478B2 (ja) 半導体装置
US20090267234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20090302477A1 (en) Integrated circuit with embedded contacts
US6429116B1 (en) Method of fabricating a slot dual damascene structure without middle stop layer
KR100602086B1 (ko) 반도체 소자의 배선 형성방법
CN115332158A (zh) 内连线结构的形成方法
US7223686B2 (en) Semiconductor interconnection lin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4587604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590205B1 (ko) 반도체 장치의 배선 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KR100945995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형성 방법
US6365505B1 (en) Method of making a slot via filled dual damascene structure with middle stop layer
US6444573B1 (en) Method of making a slot via filled dual damascene structure with a middle stop layer
KR100706800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789612B1 (ko)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70026962A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