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1574B1 -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 Google Patents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1574B1
KR100881574B1 KR1020080101384A KR20080101384A KR100881574B1 KR 100881574 B1 KR100881574 B1 KR 100881574B1 KR 1020080101384 A KR1020080101384 A KR 1020080101384A KR 20080101384 A KR20080101384 A KR 20080101384A KR 100881574 B1 KR100881574 B1 KR 100881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fly
larvae
container
larva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1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하곤
김지수
Original Assignee
전라북도 무주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북도 무주군 filed Critical 전라북도 무주군
Priority to KR1020080101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5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을 제공하며, 이 방법은, 물에 젖은 천 조각이 놓여 있는 산란 부화 용기 안에 반딧불이 성충을 넣고, 산란을 천 조각 위에 이뤄지도록 유도하는 단계; 상기 산란 부화 용기 안에서 상기 산란된 알을 부화시키어 반딧불이 유충을 얻는 단계; 상기 반딧불이 유충을 유충사육 용기로 옮겨 사육하는 단계; 성숙한 종령유충을 성숙종령 유충 선별 용기로 옮겨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성숙유충을 토와형성 용기로 옮겨 용화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사육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을 구현할 수 있다.
반딧불이, 대량사육

Description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Method of breeding firefly}
본 발명은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나 겐지반딧불이와 같은 반딧불이는 딱정벌레목(Coleoptera) 반딧불이과(Lampyridae)에 속하며 우리나라는 물론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근래에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서식지가 줄어들어 환경오염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곤충으로, 정서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애반딧불이나 겐지반딧불이 유충은 논, 습지, 농수로 주변 등 유속이 빠르지 않은 담수지역에서 서식하며, 유충은 물달팽이나 다슬기 등을 먹이로 하며 유충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6월에서 7월에 성충이 된다. 애반딧불이는 완전변태를 하며 흑색의 유충은 9령까지의 령기를 거치는 동안 하천의 다슬기, 고동 등을 섭식하며, 번데기 기간은 10일 정도이고, 암컷은 개체 당 100~500개의 담황색 알을 산란한다. 애반딧불이의 알, 유충, 번데기의 발육기간은 15~30℃의 범위에서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으며, 애반딧불이의 발육과 생식에 적합한 온도는 20~25℃이다.
1982년 정부는 전북 무주군 설천면 일원의 반딧불이와 그 먹이인 다슬기 서식지를 천연기념물 322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고, 매년 전북 무주군에서는 반딧 불축제를 실시하며 각 지역에서도 반딧불이 생태관광 및 복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10-2002-0068843호에서는 애반딧불이의 사육 장치와 그 사육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애반딧불이의 사육장치와 그 사육방법(이기열 외3인, 2002)”이 있어 대량사육이 가능하다고 하나 대량사육 시 상기방법을 활용하면 유충 밀도의 증가로 땅으로 올라오는 수가 많아 일정 밀도이상이 되면 고치를 만들지 못해 번데기에 들어가지 못하여 폐사율이 매우 높고 우화한 성충의 회수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산란과 부화에 이끼를 사용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매우 낮고 대량 사육에 많은 시간과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육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은 물에 젖은 천 조각이 놓여 있는 산란 부화 용기 안에 반딧불이 성충을 넣고, 산란을 천 조각 위에 이뤄지도록 유도하는 단계; 상기 산란 부화 용기 안에서 상기 산란된 알을 부화시키어 반딧불이 유충을 얻는 단계; 상기 반딧불이 유충을 유충사육 용기로 옮겨 사육하는 단계; 성숙한 종령유충을 성숙종령 유충 선별 용기로 옮 겨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성숙유충을 토와형성 용기로 옮겨 용화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반딧불이는 유충(애벌레)이 수중에서 사는 반딧불이로서 애반딧불이 또는 겐지반딧불이일 수 있다.
상기 산란 부화 용기 안에서 상기 산란된 알을 부화시키어 반딧불이 유충을 얻는 단계는 상기 산란된 알의 배 발육이 진행이 되어 검게 변하면 상기 알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딧불이 유충을 유충사육 용기로 옮겨 사육하는 단계는 껍데기가 제거된 다슬기나 고동을 공급하면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사육 용기는 물이 채워지고 물속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용기일 수 있다.
상기 성숙한 종령 유충은 배다리가 소실되고 유충 크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는 유충일 수 있다.
상기 성숙종령유충선별 용기는 바닥면과 20~40°의 각도로 경사지며 천이 덮인 판이 설치되고 상기 판과 접하도록 물이 채워진 용기일 수 있다.
상기 성숙한 종령유충을 성숙종령유충선별 용기로 옮겨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면 근처를 배회하거나 수면 근처에 몰려 있거나 수면위로 기어올라오는 유충을 선별할 수 있다.
상기 토와 형성부 용기는 하부에 모래와 상부에 흙이 채워지고, 토양함수량까지 물이 채워지고, 상기 흙 상부에 1~10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흙의 상부면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는 스폰지가 놓여지며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래와 상기 흙은 바람직하게는 1:1의 양으로 채워진다. 예를 들면 상기 토와 형성부 용기는 높이에 따라 균일한 폭을 가지는 용기이며, 상기 모래는 2.5cm의 두께로 하부에 채워지며, 상기 흙은 2.5cm의 두께로 상기 모래 위에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천 조각이 놓여 있으며, 물이 추후에 공급되는 산란 부화 용기; 물이 채워지고 물속으로 산소가 공급되며, 반딧불이 먹이가 공급되는 유충 사육 용기; 바닥면과 20~40°의 각도로 경사지며 상부면에 천이 덮인 판이 설치되고 상기 판과 접하도록 물이 채워진 성숙종령유충선별 용기; 및 하부에 모래와 상부에 흙이 채워지고, 토양함수량까지 물이 채워지고, 상기 흙 상부에 1~10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폰지가 놓여지며 뚜껑을 포함하는 토와형성 용기를 포함하는 애반딧불 대량 사육 장비 세트(시스템)을 제공한다.
종래발명(특허번호 제 10-2002-0068843호 등)에서는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300일 정도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으로 알에서 성충이 되기까지 약 154일 정도가 소요되었다. 따라서 종래보다 사육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하나의 사육장치 내에서 반딧불이가 유충부터 성충이 될 때까지 성장하므로, 공간의 제약이 있어서, 반딧불이가 성장하는 동안 폐사율이 높으며, 최종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성충 반딧불이의 개체수에 제한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반딧불이의 성장 단계에 맞춰 반딧불이가 서 로 분리된 용기들 안으로 강제로 이송되어 사육되므로 공간 제약을 줄일 수 있으며 폐사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의 세부적인 단계들을 살펴보면, 천 조각이 놓여 있는 산란 부화 용기 안에 반딧불이 성충을 넣고, 산란을 천 조각 위에 이뤄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종래의 이끼에 산란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 경우에 비해, 알을 수집하거나, 알의 갯수를 세거나, 천조각 위에서 부화된 유충을 회수할 때, 하나로 연결된 천 조각을 들음으로써, 작업이 용이하며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산란 부화 용기 안에서 산란과 부화가 모두 이루어지므로, 산란에서 부화까지의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반딧불이의 유충을 사육하는 동안, 종래에는 사육장치 내에 살아있는 다슬기 등을 넣어줌으로써 반딧불이 유충이 살아있는 다슬기를 잡아먹고 자라서 성장 속도가 느렸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슬기나 고동의 껍질을 제거하여 인공적으로 공급하므로, 반딧불이 유충이 다슬기 등의 먹이 섭취가 용이하여 성장속도를 빠르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성숙한 종령유충을 성숙종령 유충 선별 용기로 옮겨 선별하는 단계에서 고치를 생성할 성숙한 종령 유충을 성숙종령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선별된 성숙유충을 토와형성 용기로 옮겨 용화를 유도하는 단계에서 선별된 성숙유충을 토와형성 용기로 강제로 이송하므로, 종래의 사육 장치 내에서 반딧불이 유충이 스스로 땅으로 올라와 번데기를 형성하기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안에 반딧불이 유충이 번데기를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토와형성 용기안에 모래와 흙을 1:1로 채움으로써 토와형성 용기 안에 수분을 적절히 조절하여 고치를 만드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종래발명에서는 반딧불이 유충이 자갈이나 돌 밑의 흙에서 고치를 형성하여 반딧불이 유충의 고치 형성 여부를 조사할 때 자갈이나 돌들을 일일이 들어서 확인해야 해서 번거로왔으며, 돌들을 다시 제자리로 놓을때 돌의 무게로 인해 반딧불이 유충(번데기)이 죽는 경우도 발생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토와형성 용기 안에 흙 위에 스폰지를 올림으로써, 반딧불이 유충이 스폰지 아래의 흙에서 고치를 형성한다. 이로써 반딧불이 유충의 고치 형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스폰지 한장 만을 들어보면 되므로 매우 간단하며, 스폰지가 매우 가벼우므로 스폰지를 다시 제자리에 놓을때 반딧불이 유충(번데기)이 죽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스폰지에 의해 흙의 수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반딧불이의 용화(번데기화)율과 우화(성충이되는것)율이 높아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육 방법은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에 적합하며, 대량 사육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산란 부화 용기 안에 알이 산란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산란 부화 용기 안에 알이 부화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충사육 용기 안에서 유충을 사육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충 선별 용기 안에서 유충을 선별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토와형성 용기 안에서 토와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에 젖은 천조각(11)이 놓여있는 산란 부화 용기(10) 안에 반딧불이 성충(미도시)을 넣고, 산란을 상기 천조각(11) 위에 이뤄지도록 유도한다(1단계). 이때 실내 온도는 22.5℃~23.5℃이며, 상대 습도는 70~90%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산란 부화 용기(10) 안에서 산란된 알(13)이 마르지 않게 보관하다가 배발육이 진행이 되어 검게 변하면 상기 알(13)이 잠길 정도로 물(15)을 부어 부화를 유도하여 반딧불이 유충(애벌레)(17)을 얻는다(2단계).
1 단계와 2단계에서 물에 젖은 상기 천 조각(11)을 이용함으로써, 종래의 이끼에 산란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한 경우에 비해, 알을 수집하거나, 알의 갯수를 세거나, 천조각 위에서 부화된 유충을 회수할 때, 하나로 연결된 상기 천 조각(11)을 들음으로써, 작업이 용이하며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산란 부화 용기(10) 안에서 산란과 부화가 모두 이루어지므로, 산란에서 부화까지의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 어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산란 부화 용기(10) 안에서 유충들(17)이 모두 부화하면 상기 유충들(17)을 유충 사육용기(20) 안에 넣고 사육한다(3단계). 상기 유충 사육 용기(20) 안에는 물(15)이 채워져 있으며 상기 물(15)속으로 산소공급수단(26)에 의해 산소(27)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유충 사육 용기(20) 안에 껍데기가 제거된 다슬기(22) 등이 제공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유충 사육 용기(20) 안의 바닥에 자갈이나 돌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반딧불이 유충들(17)은 상기 다슬기(22)를 먹고 자라면서 탈피를 하면서 몸체가 커지고 배다리를 가진다. 상기 탈피 횟수에 따라 상기 유충들(17)의 령수가 정해진다. 상기 유충들(17)이 9령이 되면 그동안 커지기만 했던 몸의 크기가 줄어들고 배다리가 소실된다. 배다리의 소실 여부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렇게 몸의 크기가 줄어들고 배다리가 소실된 유충들은 성숙한 종령(마지막 령) 유충들이다.
3단계에서, 반딧불이의 유충을 사육하는 동안, 종래에는 사육장치 내에 살아있는 다슬기등을 넣어줌으로써 반딧불이 유충이 살아있는 다슬기를 잡아먹고 자라서 성장 속도가 느렸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슬기나 고동의 껍질을 제거하여 인공적으로 공급하므로, 반딧불이 유충(17)이 다슬기 등의 먹이 섭취가 용이하여 성장속도를 빠르게 만들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성숙한 종령 유충들(17)을 성숙 종령 유충 선별 용기(30)로 옮겨 고치(번데기, 토와(흙고치))를 형성할 유충들을 선별한다(4단계). 상기 성숙 종령 유충 선별 용기(30) 안에는 물(15)이 채워져 있고, 바닥면 과 20~40°의 각도(θ)로 경사지며 천(31)이 덮인 판(32)이 설치된다. 상기 판(32)의 적어도 1/3은 대기에 노출된다. 상기 판(32)은 유리판 또는 아크릴판일 수 있다. 상기 성숙한 종령유충을 성숙종령유충선별 용기로 옮겨 선별하는 단계(4단계)에서, 상기 물(15)의 수면 근처를 배회하거나 수면 근처에 몰려 있거나 수면위로 기어올라오는 유충(17)을 선별하여 토와 형성부 용기로 강제로 옮긴다.
4 단계에서, 고치를 생성할 성숙한 종령 유충을 성숙종령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성숙유충을 토와형성 용기로 강제로 이송하므로, 종래의 사육 장치 내에서 반딧불이 유충이 스스로 땅으로 올라와 번데기를 형성하기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안에 반딧불이 유충이 번데기를 형성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선별된 성숙유충을 토와형성 용기(40)로 옮겨 용화를 유도한다(5단계). 상기 토와 형성부 용기(40)는 하부에 모래(46)와 상부에 흙(45)이 채워지고, 토양함수량까지 물이 채워지고, 상기 흙(45) 상부에 1~10mm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흙(45)의 상부면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는 스폰지(42)가 놓여지며 뚜껑(41)을 포함하는 용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래(46)와 상기 흙(45)은 바람직하게는 1:1의 양으로 채워진다. 이로써 상기 토와형성 용기(40) 안에서 수분을 적절하게 유지 및 조절하여 고치를 만드는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토와 형성부 용기(40)는 높이에 따라 균일한 폭을 가지는 용기이며, 상기 모래(46)는 2~3cm의 두께로 하부에 채워지며, 상기 흙(45)은 2~3cm의 두께로 상기 모래(46) 위에 채워질 수 있다. 도 6에서 참조번호 43은 토와를 형성한 번데기(43)를 나타낸다. 상기 모래(46)는 입자가 1mm 이하의 고운 모래일 수 있다. 상기 흙(45)은 양토일 수 있다.
종래발명에서는 반딧불이 유충이 자갈이나 돌 밑의 흙에서 고치를 형성하여 반딧불이 유충의 고치 형성 여부를 조사할 때 자갈이나 돌들을 일일이 들어서 확인해야 해서 번거로왔으며, 돌들을 다시 제자리로 놓을때 돌의 무게로 인해 반딧불이 유충(번데기)이 죽는 경우도 발생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토와형성 용기(40) 안에 흙 위에 상기 스폰지(42)를 올림으로써, 반딧불이 유충이 스폰지 아래의 흙에서 고치(43)를 형성한다. 이로써 반딧불이 유충의 고치 형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스폰지(42) 한장 만을 들어보면 되므로 매우 간단하며, 상기 스폰지(42)가 매우 가벼우므로 상기 스폰지(42)를 다시 제자리에 놓을때 반딧불이 유충(번데기)이 죽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스폰지(42)에 의해 흙의 수분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반딧불이의 용화(번데기화)율과 우화(성충이되는것)율이 높아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육 방법은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에 적합하며, 대량 사육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들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시험구 1 - 시험구 10>
산란유도 : 산란수 조사를 위해 페트리(Petri) 접시(φ145×20㎜)에 각각 축축한 이끼를 넣은 것과 물을 적신 천을 넣은 것에 당일 우화한 애반딧불이 성충 1쌍씩 접종하여 실내(23±0.5℃, 상대습도 80%)에서 사육하면서 교미와 산란을 유도하면서 조사하였다. 이때 사진을 도 7에 나타내었다.
산란수 시험결과 이끼에 산란한 난수는 215개이고 천은 285개를 산란하여 이끼보다는 천에 산란한 난의 수가 많았다(표1).
표1. 애반딧불이의 산란수조사표
구 분 이끼를 넣은 것 천을 넣은 것
평균±표준편차(알의 갯수) 215 ± 25 285 ±35
<시험구 11 - 시험구 20>
부화유도 : 산란한 알 약 200여개를 10회 반복으로 실내(23±0.5℃, 상대 습도 80%)에서 천이 마르지 않게 보관하다가 배 발육이 진행이 되어 검게 변하면 알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부어 부화를 유도하였다. 이때 사진을 도 8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애반딧불이의 난기간은 21.8±0.7일 이고, 부화율은 95.5±4.8%이었다(표2).
표2. 애반딧불이의 난기간과 부화율
난기간(일) 부화율(%)
21.8 ±0.7 95.5 ± 4.8
<시험구 21 - 시험구 30>
유충사육 : 유충의 령기별 발육기간 및 유충반문은 부화하는 개체를 매일 200마리씩 실내(23±0.5℃, 상대 습도 80%)에서 유충사육용 수조(33×20×20㎝)에서 다슬기를 먹이로 주면서 유충의 탈피각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해부현미경(ZEISS)하에서 조사하였다. 이때 사진을 도 9에 나타내었다.
알에서 부화한 1령 유충은 하루가 지나면 탈피를 하여 2령으로 되고, 약 3일이 지나면 탈피하여 3령으로 성장한다. 1, 2, 3령은 각각 1.0일, 3.3일, 10.2일로 령기가 진행됨에 따라 날짜가 증가하는데 4령은 6.8일, 5령은 6.9일로 감소하였다가 6령에서 부터는 15.4일, 7령 18.3일, 8령 25.8일, 9령 31.2일 순으로 령기간이 증가하였다. 1령 유충은 다슬기를 투여하지 않아도 하루만에 2령으로 변하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었는데 이는 물속의 유기물이나 알껍질 등을 섭식함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1령 유충은 크기가 2.1㎜±0.2이고 령기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성장하여 9령 초반기에는 16.9±0.8㎜까지 성장하였다가 후반기에는 몸의 길이가 14.0±1.0㎜로 줄어들면서 배다리가 소실된 후 땅으로 올라와 번데기가 되었다(표3). 도 10과 도 11은 각각 배다리 소실 전과 소실 후를 나타내는 유충의 사진이다. 배다리가 소실된 것은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였다.
표3. 애반딧불이 유충기간과 유충크기
1령 2령 3령 4령 5령 6령 7령 8령 9령
유중기간(일) 1.0 ±0.1 3.3 ±0.2 10.2 ±1.0 6.8 ±0.5 6.9 ±2.0 15.4 ±4.1 18.3 ±5.9 25.8 ±8.7 31.2 ±13.2
유중 크기 (㎜) 초기 2.1 ±0.2 2.7 ±0.2 3.5 ±0.3 5.0 ±0.2 6.0 ±0.3 8.1 ±0.3 10.7 ±0.7 14.3 ±0.8 16.9 ±0.8
후기 2.4 ±0.2 2.9 ±0.2 4.3 ±0.3 5.3 ±0.3 6.4 ±0.3 8.6 ±0.3 11.5 ±0.4 14.7 ±0.6 14.0 ±1.0
<시험구 31 - 시험구 40>
성숙종령유충선별 : 성숙한 종령유충 선별은 실내(23±0.5℃, 상대 습도 80%)에서 수조(90x30x30㎝)에 30° 각도로 유리판을 설치하고 유리판 위에 천을 씌우고 수면 높이를 유리판의 2/3 까지 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성숙 종령 유충 선별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2의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수면근처에 오거나 수면위로 올라온 유충을 선별하여 토와형성부 용기로 옮겼다.
<시험구 41 - 시험구 50>
토와형성부 : 뚜껑이 있는 사각플라스틱용기(74x45x25㎝)에 각각 고운모래(지름 1㎜이하)만 5㎝ 높이로 채운 것, 흙(양토)만 5㎝ 높이로 채운 것, 고운모래 2.5㎝를 깔고 그 위에 흙 2.5㎝를 채운 것을 준비한 후 토양함수량까지 물을 부은 후 선별한 성숙종령 유충을 각각 500마리씩 넣고 그 위에 두께가 5㎜인 스폰지를 덮은 후 용기별로 용화율과 토와형성기간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표4에 나타내었다. 이때 사진을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서는 뚜껑을 열고 스폰지를 옆으로 치워둔 상태에서 흙 위에서 토와가 형성된 모습이 나타난다.
표4. 토와형성부의 용화율과 토와형성기간
구분 고운모래(1㎜이하)5㎝ 흙(양토)5㎝ 흙2.5㎝/모래2.5㎝
용화율 15.2±2.1% 87.5±5.6% 93.7±7.4%
토와형성기간(일) 18.0±6.4 6.3±1.2 5.5±1.0
토와형성부에 성숙한 종령유충을 넣었을 때 고운모래만 5㎝채운 곳에서는 토와(흙고치)형성율이 15.2%로 현저히 낮았고 토와형성기간도 18일로 매우 길었으나, 흙(양토)만 5㎝ 채운 곳에서는 용화율이 87.5%로 매우 높게 나왔고 토와형성기간도 6.3일로 모래만 채운 곳에 비하여 기간이 약 1/3로 짧았다. 이에 비하여 바닦에 모래를 2.5㎝ 깔고 그 위에 양토를 2.5㎝ 덮은 곳에서는 용화율이 93.7%, 토와형성기 간이 5.5일로 흙만 채운 곳보다 용화율이 높고 토와형성기간이 짧았다. 이는 수분함량이 높을 때에 바닦에 모래가 채워진 부위에 물이 집중이 되어 토양수분함량이 어느 정도 조절이 되어 용화율도 높고 토와형성기간도 짧아진 것으로 보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의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산란 부화 용기 안에 알이 산란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산란 부화 용기 안에 알이 부화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충사육 용기 안에서 유충을 사육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충 선별 용기 안에서 유충을 선별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토와형성 용기 안에서 토와를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산란부화용기 안에 산란된 알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산란부화용기 안에서 부화된 유충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유충을 사육하는 유충사육용기의 사진이다.
도 10은 배다리가 소실되기 전의 유충의 사진이다.
도 11은 배다리가 소실된 유충의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성숙종령 유충 선별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토와형성부 용기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11)

  1. 물에 젖은 천 조각이 놓여 있는 산란 부화 용기 안에 반딧불이 성충을 넣고, 산란을 천 조각 위에 이뤄지도록 유도하는 단계;
    상기 산란 부화 용기 안에서 상기 산란된 알을 부화시키어 반딧불이 유충을 얻는 단계;
    상기 반딧불이 유충을 유충사육 용기로 옮겨 사육하는 단계;
    성숙한 종령유충을 성숙종령 유충 선별 용기로 옮겨 선별하는 단계; 및
    선별된 성숙유충을 토와형성 용기로 옮겨 용화를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 부화 용기 안에서 상기 산란된 알을 부화시키어 반딧불이 유충을 얻는 단계는 상기 산란된 알의 배 발육이 진행이 되어 검게 변하면 상기 알이 잠길 정도로 물을 붓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딧불이 유충을 유충사육 용기로 옮겨 사육하는 단계는 껍데기가 제거된 다슬기나 고동을 공급하면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 육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충 사육 용기는 물이 채워지고 물속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한 종령 유충은 배다리가 소실되고 유충 크기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는 유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종령유충선별 용기는 바닥면과 20~40°의 각도로 경사지며 천이 덮인 판이 설치되고 상기 판과 접하도록 물이 채워진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숙한 종령유충을 성숙종령유충선별 용기로 옮겨 선별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면 근처를 배회하거나 수면 근처에 몰려 있거나 수면위로 기어올라오는 유충을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와 형성부 용기는 하부에 모래와 상부에 흙이 채워지고, 토양함수량까지 물이 채워지고, 상기 흙 상부에 1~10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폰지가 놓여지며 뚜껑을 포함하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와 상기 흙은 1:1의 양으로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딧불이는 애반딧불이 또는 겐지반딧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11. 천 조각이 놓여 있으며, 물이 추후에 공급되는 산란 부화 용기;
    물이 채워지고 물속으로 산소가 공급되며, 애반딧불 먹이가 공급되는 유충 사육 용기;
    바닥면과 20~40°의 각도로 경사지며 상부면에 천이 덮인 판이 설치되고 상기 판과 접하도록 물이 채워진 성숙종령유충선별 용기; 및
    하부에 모래와 상부에 흙이 1:1의 비율로 채워지고, 토양함수량까지 물이 채워지고, 상기 흙 상부에 1~10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폰지가 놓여지며 뚜껑을 포함하는 토와형성 용기를 포함하는 애반딧불 대량 사육 장비 시스템.
KR1020080101384A 2008-10-16 2008-10-16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KR100881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384A KR100881574B1 (ko) 2008-10-16 2008-10-16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1384A KR100881574B1 (ko) 2008-10-16 2008-10-16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574B1 true KR100881574B1 (ko) 2009-02-02

Family

ID=4068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1384A KR100881574B1 (ko) 2008-10-16 2008-10-16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5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4814A (zh) * 2015-02-17 2015-05-13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高效饲养二化螟的方法
CN105850896A (zh) * 2016-05-05 2016-08-17 华南农业大学 一种黑水虻养殖一体化装置和养殖方法
KR20170028702A (ko) 2015-09-04 2017-03-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딧불이 유충 가공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0804B1 (ko) 2015-11-17 2017-06-26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KR101756914B1 (ko) 2015-07-09 2017-07-11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01A (ja) 1998-11-27 2000-06-13 Takeshi Umetsu 蛍の養殖装置
JP2003023920A (ja) 2001-07-11 2003-01-28 Green Mentenance:Kk 蛍の育成方法とその装置
KR100475522B1 (ko) 2002-11-07 2005-03-11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애반딧불이의 사육장치와 그 사육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7101A (ja) 1998-11-27 2000-06-13 Takeshi Umetsu 蛍の養殖装置
JP2003023920A (ja) 2001-07-11 2003-01-28 Green Mentenance:Kk 蛍の育成方法とその装置
KR100475522B1 (ko) 2002-11-07 2005-03-11 충청북도 (관리부서:충청북도 농업기술원) 애반딧불이의 사육장치와 그 사육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4814A (zh) * 2015-02-17 2015-05-13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高效饲养二化螟的方法
KR101756914B1 (ko) 2015-07-09 2017-07-11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애반딧불이 사육장치
KR20170028702A (ko) 2015-09-04 2017-03-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딧불이 유충 가공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9927B1 (ko) * 2015-09-04 2017-09-19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딧불이 유충 가공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50804B1 (ko) 2015-11-17 2017-06-26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CN105850896A (zh) * 2016-05-05 2016-08-17 华南农业大学 一种黑水虻养殖一体化装置和养殖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231B1 (ko) 갯지렁이의 양식방법
CN102939924B (zh) 一种拟目乌贼人工育苗的方法
CN102823529B (zh) 一种拟目乌贼苗种培育方法
CN104273074B (zh) 一种培育乌贼种苗的方法
KR100881574B1 (ko)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CN105104266B (zh) 一种厚壳贻贝人工催产及培育的方法
CN102428884A (zh) 一种曼氏无针乌贼规模化全人工育苗方法
CN105994072B (zh) 一种松江鲈鱼人工配合饲料的养殖方法
CN102106280A (zh) 鸭绿沙塘鳢繁殖方法
CN101112188B (zh) 锯缘青蟹亲体人工培养抱卵方法
KR101369449B1 (ko) 가리맛조개의 인공종묘 대량생산 방법
CN106804496A (zh) 罗氏沼虾高密度分层式集约化养殖方法
Shubha et al.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maturity, fecundity, reproductive behaviour and fry production in the mouth brooding cichlid Oreochromis mossambicus (Peters)
KR101302657B1 (ko) 홍해삼 양식 수조 및 상기 양식 수조를 이용한 홍해삼 양식방법
CN101946728B (zh) 科学利用秋季炮头青虾苗进行高产大规格养殖方法
KR102037636B1 (ko) 홍해삼 수정란 생산방법
CN105532539B (zh) 一种泥鳅苗人工繁殖培育方法
KR100475522B1 (ko) 애반딧불이의 사육장치와 그 사육방법
KR101019537B1 (ko) 양식용 개불 종묘의 생산 방법
CN1401225A (zh) 一种文蛤育苗越冬及中间育成方法
KR101978417B1 (ko) 갯지렁이의 부화방법
KR101184458B1 (ko) 갯지렁이의 종묘 생산을 위한 양식 장치
Li et al. Largemouth bass pond culture in china: A review
CN104663541B (zh) 小刀蛏的人工育苗方法
WO2023184693A1 (zh) 一种利用虾塘藻培育西施舌亲贝的促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