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0804B1 -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 Google Patents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0804B1
KR101750804B1 KR1020150160901A KR20150160901A KR101750804B1 KR 101750804 B1 KR101750804 B1 KR 101750804B1 KR 1020150160901 A KR1020150160901 A KR 1020150160901A KR 20150160901 A KR20150160901 A KR 20150160901A KR 101750804 B1 KR101750804 B1 KR 101750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eight
parts
larvae
firef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7594A (ko
Inventor
이장렬
원승재
김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티에스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16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8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9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insects, e.g. bees or silkwor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2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3Nucleic acids; Hydrolysis product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3Sugars;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74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95Anti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한천(寒天), 트립톤(tryptone), 셀룰로오스(cellulose), 수크로스(sucrose) 및 덱스트로스(dextrose)가 교반된 제1혼합물과, 물(water)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 리놀레산(linoleic acid), 비타민 혼합물과, 휫점오일(wheat germ oi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페니실린(penicillin) 및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교반된 제2혼합물이 서로 혼합된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애반딧불이 인공사료{Artificial feed for luciola laterlais}
본 발명은 애반딧불이의 먹이가 되는 인공사료에 관한 것이다.
반딧불이는 반딧불이과(Lampyridae)에 속하는 곤충으로, 크기는 7㎜ 내지 18㎜ 정도로 작은 편이다.
그리고 반딧불이의 배는 7 내지 8마디로 되어 있는데, 배의 말단에는 발광기가 있어 빛을 낼 수 있다.
이러한 발광기에서는 짝짓기를 위해 세포에서 만들어진 루시페린(luciferin)이라는 물질이 산화될 때 빛을 방출하게 된다.
특히, 반딧불이는 빛을 방출할 때까지의 시간이 종마다 달라 종을 구분하는 중요한 특징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반딧불이는 전세계적으로 1,700여 종이 발견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애반딧불이(Luciola laterlais), 운문산반딧불이(Luciola unmunsana), 파파리반딧불이(Hotaria papariensis) 및 늦반딧불이(Pyrocoelia rufa)가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반딧불이는 다른 곤충에 비해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에 유난히 약하기 때문에, 반딧불이는 대표적인 환경지표 곤충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의 산업화, 도시화로 인하여 반딧불이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반딧불이의 개체수를 늘리기 위한 반딧불이의 인공 사육의 필요성과, 반딧불이가 먹고 생존할 수 있는 인공사료 개발이 시급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469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애반딧불이 유충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한천(寒天), 트립톤(tryptone), 셀룰로오스(cellulose), 수크로스(sucrose) 및 덱스트로스(dextrose)가 교반된 제1혼합물과, 물(water)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 리놀레산(linoleic acid), 비타민 혼합물과, 휫점오일(wheat germ oi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페니실린(penicillin) 및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교반된 제2혼합물이 서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1혼합물은, 상기 제1혼합물은 한천 19.5 내지 20.5 중량부, 트립톤 33 내지 37 중량부, 셀룰로오스 97.5 내지 102.5 중량부, 수크로스 29 내지 31 중량부 및 덱스트로스 4.9 내지 5.1 중량부가 교반될 수 있다.
상기 제1혼합물은 상기 물(water) 950 내지 1050 중량부에 첨가된 후, 118℃ 내지 123 ℃에서 14분 내지 16분 동안 멸균될 수 있다.
상기 제2혼합물은, 콜레스테롤 0.49 내지 0.51 중량부와, 리놀레산 2.4 내지 2.6 중량부와, 비타민 혼합물 19 내지 21중량부와, 휫점오일 27 내지 33 중량부와, 메틸파라벤 3.9 내지 4.1 중량부와, 페니실린 0.14 내지 0.16 중량부와, 스트렙토마이신 0.14 내지 0.16 중량부가 교반될 수 있다.
상기 제2혼합물은 액상일 수 있다.
상기 콜레스테롤과 상기 메틸파라벤은 각각 에탄올(ethanol)에 녹여질 수 있다.
상기 페니실린과 상기 스트렙토마이신은 각각 증류수에 녹여질 수 있다.
상기 제2혼합물이 첨가된 상기 제1혼합물에 다슬기살 65 중량부 내지 75중량부가 교반될 수 있다.
상기 제2혼합물이 첨가된 상기 제1혼합물에 우렁이살 65 중량부 내지 75중량부가 교반될 수 있다.
상기 우렁이살의 크기는 500μ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애반딧불이 유충이 성장하여 애반딧불이 성충이 될 때까지의 충분한 영양을 애반딧불이 유충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애반딧불이 인공사료와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제1혼합물, 물(water) 및 제2혼합물을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혼합물은 한천(寒天), 트립톤(tryptone), 셀룰로오스(cellulose), 수크로스(sucrose) 및 덱스트로스(dextrose)가 교반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혼합물은 한천 19.5 내지 20.5 중량부, 트립톤 33 내지 37 중량부, 셀룰로오스(cellulose) 97.5 내지 102.5 중량부, 수크로스(sucrose) 29 내지 31 중량부 및 덱스트로스(dextrose) 4.9 내지 5.1 중량부가 교반되어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한천은 상기 물(water)에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를 고체 형태로 유지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한천에는 난소화성 다당류 외에도 애반딧불이 유충의 성장에 필요한 당질, 지방, 인, 칼슘 및 철분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A, 비타민 B 및 비타민 C 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트립톤은 카제인을 소화 효소로 가수분해시킨 물질로 멸균시 물에 잘 용해된다.
또한, 수크로스는 비환원성이당류로서 고온에서도 성분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애반딧불이 유충의 세포 내에서 단백질과 지질 등의 분자를 안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덱스트로스는 애반딧불이 유충의 에너지원이되며, 애반딧불이 유충의 세포에서 저장다당류인 글리코겐을 합성할 수 있게 한다.
셀룰로오스는 다당류로 애반딧불이 유충의 먹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셀룰로오스는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으로 상기 물(water)에서 잘 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셀룰로오스의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혼합물을 상기 물(water)에 첨가 후 지속적으로 상기 제1혼합물을 교반시켜야 한다.
상기 물(water)은 950 내지 1050 중량부가 상기 제1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혼합물은 상기 물(water)에 첨가된 후 118℃ 내지 123℃에서 14분 내지 16분 동안 멸균될 수도 있다.
상기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상기 물(water)이 첨가된 상기 제1혼합물에 제2혼합물이 첨가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멸균된 상기 제1혼합물의 온도가 65℃ 내지 70℃까지 내려가면, 상기 제2혼합물은 상기 제1혼합물에 첨가되어 교반된다.
여기서 제2혼합물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 리놀레산(linoleic acid), 비타민 혼합물과, 휫점오일(wheat germ oi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페니실린(penicillin) 및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교반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혼합물은 콜레스테롤 0.49 내지 0.51 중량부와, 리놀레산 2.4 내지 2.6 중량부와, 비타민 혼합물 19 내지 21중량부와, 휫점오일 27 내지 33 중량부와, 메틸파라벤 3.9 내지 4.1 중량부와, 페니실린 0.14 내지 0.16 중량부와, 스트렙토마이신 0.14 내지 0.16 중량부가 교반되어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혼합물은 액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콜레스테롤과 상기 메틸파라벤은 각각 에탄올(ethanol) 녹여 만들어질 수 있고, 상기 페니실린과 상기 스트렙토마이신은 각각 증류수에 녹여 만들어질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류와 미네랄류가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비타민류는 비타민 A 150μg, 비타민 B1 0.26mg, 비타민 B2 0.3mg, 비타민 B6 0.32mg, 비타민 C 21.42mg, 비타민 D 1.29μg, 비타민 E 2.36mg 및 비타민 B3 3.43mg과, 판토텐산 1.14mg, 엽산 100μg이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미네랄류는 아연, 망간 및 요오드가 혼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아연은 비타민 혼합물에 비타민류 1g 당 1.82mg이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망간은 비타민 혼합물에 비타민류 1g 당 0.64mg이 혼합될 수 있다. 한편, 요오드는 비타민 혼합물에 비타민류 1g 당 1.07μg이 혼합될 수 있다.
한편, 휫점오일은 애반딧불이 유충의 지방체에 저장되며 애반딧불이 유충의 세포구성 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휫점오일은 애반딧불이 유충에게 필요한 비타민 A, 비타민 B군 및 비타민 E가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콜레스테롤은, 애반딧불이 유충의 세포 구성 성분이 되고, 애반딧불이 유충의 호르몬의 생성을 유도하기도 한다.
또한, 리놀레산은 애반딧불이 유충에 존재하는 주요 불포화지방산으로 애반딧불이 유충의 체내에서 항산화 작용뿐만 아니라, 애반딧불이 유충의 세포 구성 성분으로 쓰인다.
그리고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은 항균제로 사용되었다.
상기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다슬기살 또는 우렁이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상기 제2혼합물이 첨가된 상기 제1혼합물에 다슬기살 65 중량부 내지 75중량부가 교반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상기 제2혼합물이 첨가된 상기 제1혼합물에 우렁이살 65 중량부 내지 75중량부가 교반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상기 제2혼합물이 첨가된 상기 제1혼합물에 우렁이살과 다슬기살이 혼합된 제3혼합물 65 중량부 내지 75중량부가 교반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다슬기살과 상기 우렁이살의 크기는 각각 500μm 일 수 있다.
[ 실시예 1]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실시예 1의 애반딧불이 인공사료는, 아래와 같은 본 발명의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제조방법으로 만들었고, 이를 부화 후 2~3령기의 애반딧불이 유충에 제공하였다.
도 1은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제조방법은, 물에 섞인 제1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S10), 제2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S20) 및 우렁이살과 다슬기살을 첨가하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물에 섞인 제1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S10)에는, 한천 20g과, 트립톤 35g과, 셀룰로오스 100g와, 수크로스 30g과, 덱스트로스 5g을 교반하여 제1혼합물을 만들고, 교반된 제1혼합물을 물 1000ml에 첨가한 다음, 121℃에서 15분 동안 멸균하였다.
상기 제2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에서(S20)는, 멸균된 제1혼합물에 콜레스테롤 0.5g과, 리놀레산 2.5 ml와, 비타민 혼합물 20g과, 휫점오일 30 ml와, 메틸파라벤 4g 과, 페니실린 0.15g과, 스트렙토마이신 0.15g이 교반된 액상의 제2혼합물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상기 우렁이살과 다슬기살을 첨가하는 단계(S30)에서는 크기가 500μm인 우렁이살과 다슬기살 70g을 제2혼합물이 첨가된 제1혼합물에 첨가한 다음 교반한 뒤 고형화시킨다.
[ 비교예 1] 다슬기
다슬기를 부화 후 2~3령기의 애반딧불이 유충에 제공하였다.
[ 실험례 1]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률
같은 시기에 태어난 2~3령기의 애반딧불이 유충을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조건으로, 각각 20마리씩 사육키트에서 용화될 때까지 실험하였다.
아래 표 1은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생존율 17.9±1.3 18.2±1.0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 실험례 2] 애반딧불이 번데기의 우화율
실험례 1에서 번데기로 용화된 애반딧불이 유충의 우화율을 관찰하였다.
아래의 표 2는 애반딧불이 번데기가 애반딧불이 성충으로 우화된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우화율 17.2±1.6 17.4±1.5
애반딧불이 번데기의 우화율은 실시예 1과 비교예 1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다.
[ 실험례 3] 애반딧불이 성충의 산란 수
실험례 3에서 우화된 애반딧불이 성충을 교미시키고 산란 수를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3은 실시예 1에 의해 우화된 수컷 한 마리와 암컷 두 마리를 교미시킨 후 암컷 두마리의 산란수와, 비교예 1에 의해 우화된 수컷 한 마리와 암컷 두 마리를 교미시킨 후 암컷 두마리의 산란수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산란수 442±36 429±37
암컷 두마리의 산란수는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높았다.
[ 실험례 4] 산란 후 새로 태어난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
실험례 3에서의 알에서 태어난 애반딧불이 유충들의 60일간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아래의 표 4는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을 나타낸다.
구분 실시예1 비교예1
생존율 19.1±0.6 18.9±1.3
애반딧불이 유충의 생존율은 실시예 1이 비교예 1보다 높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한천(寒天), 트립톤(tryptone), 셀룰로오스(cellulose), 수크로스(sucrose) 및 덱스트로스(dextrose)가 교반된 제1혼합물과,
    물(water)과,
    콜레스테롤(cholesterol), 리놀레산(linoleic acid), 비타민 혼합물과, 휫점오일(wheat germ oil), 메틸파라벤(methylparaben), 페니실린(penicillin) 및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교반된 제2혼합물이 서로 혼합된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혼합물은,
    상기 제1혼합물은 한천 19.5 내지 20.5 중량부, 트립톤 33 내지 37 중량부, 셀룰로오스 97.5 내지 102.5 중량부, 수크로스 29 내지 31 중량부 및 덱스트로스 4.9 내지 5.1 중량부가 교반된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1혼합물은 상기 물(water) 950 내지 1050 중량부에 첨가된 후, 118℃ 내지 123 ℃에서 14분 내지 16분 동안 멸균된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4. 청구항 3에서,
    상기 제2혼합물은, 콜레스테롤 0.49 내지 0.51 중량부와, 리놀레산 2.4 내지 2.6 중량부와, 비타민 혼합물 19 내지 21중량부와, 휫점오일 27 내지 33 중량부와, 메틸파라벤3.9 내지 4.1 중량부와, 페니실린 0.14 내지 0.16 중량부와, 스트렙토마이신 0.14 내지 0.16 중량부가 교반된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혼합물은 액상인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6. 청구항 5에서,
    상기 콜레스테롤과 상기 메틸파라벤은 각각 에탄올(ethanol)에 녹여진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7. 청구항 5에서,
    상기 페니실린과 상기 스트렙토마이신은 각각 증류수에 녹여진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8.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혼합물이 첨가된 상기 제1혼합물에 다슬기살 65 중량부 내지 75중량부가 교반된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9. 청구항 4에서,
    상기 제2혼합물이 첨가된 상기 제1혼합물에 우렁이살 65 중량부 내지 75중량부가 교반된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우렁이살의 크기는 500μm인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KR1020150160901A 2015-11-17 2015-11-17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KR101750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901A KR101750804B1 (ko) 2015-11-17 2015-11-17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0901A KR101750804B1 (ko) 2015-11-17 2015-11-17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94A KR20170057594A (ko) 2017-05-25
KR101750804B1 true KR101750804B1 (ko) 2017-06-26

Family

ID=59050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0901A KR101750804B1 (ko) 2015-11-17 2015-11-17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8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714B1 (ko) * 2019-08-05 2021-08-23 대한민국 아메리카왕거저리의 인공 사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574B1 (ko) 2008-10-16 2009-02-02 전라북도 무주군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574B1 (ko) 2008-10-16 2009-02-02 전라북도 무주군 반딧불이의 대량 사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7594A (ko) 2017-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tancor et al. Selenium inclusion decreases oxidative stress indicators and muscle injuries in sea bass larvae fed high-DHA microdiets
KR101834662B1 (ko) 새우 치어의 양식방법
CN105614159A (zh) 一种本地乌鳢全程使用的膨化配合饲料
JP2005535339A (ja) 食餌の栄養強化用組成物
KR101750804B1 (ko) 애반딧불이 인공사료
CN107348168A (zh) 一种提高母猪初乳质量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Furuita et al. Decreasing dietary lipids improves larval survival and growth of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KR101878020B1 (ko) 동애등에 사육용 사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681389B1 (ko) 외국산 뱀장어(Anguilla marmorata)의 양식 방법
CN107223812B (zh) 一种用于鱼类幼苗培育的薄片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6174588A (ja) 養魚用の配合飼料の原料及びその製造方法
Ozaki et al. Lipid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liver, ovary and eggs of captive-reared and wild silver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during artificial maturation
KR101568467B1 (ko) 민물뱀장어 치어 양식사료
Zaki et al. Comparative study on growth and survival of larval and juvenile Dicentrarchus labrax rearing on rotifer and Artemia enriched with four different microalgae species
KR20120001088A (ko) 동물성 플랑크톤용 영양 강화제 및 이를 이용한 동물성 플랑크톤의 배양방법
Olivotto et al. Larval diets and nutrition
CN112617011B (zh) 一种凡纳滨对虾卵巢促熟的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CN112586628B (zh) 白鲸人工奶配方及制作方法
CN108077657B (zh) 一种蝗虫人工饲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Siccardi III et al. Digestibility of glandless cottonseed protein in diets for Pacific white shrimp, Litopenaeus vannamei
Xie et al. Beneficial effects of benthic diatoms on growth and physiological performance in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Selenka)
KR101815626B1 (ko) 실뱀장어의 초기 냉동사료
Kouakou et al. Effets de Panicum maximum Jacq. associé à Euphorbia heterophylla (L.) Klotz. & Garckesur la productivité des femelles durant le cycle de reproduction chez le cobaye (Cavia porcellus L.).
CN116171900B (zh) 一种小丑鱼的全人工繁育方法
KR102150570B1 (ko) 반추위 비분해성 베타카로틴 사료첨가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