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0559B1 - 단속소자, 이것을 구비한 회로 및 장치, 및 단속소자의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단속소자, 이것을 구비한 회로 및 장치, 및 단속소자의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0559B1
KR100880559B1 KR1020050045017A KR20050045017A KR100880559B1 KR 100880559 B1 KR100880559 B1 KR 100880559B1 KR 1020050045017 A KR1020050045017 A KR 1020050045017A KR 20050045017 A KR20050045017 A KR 20050045017A KR 100880559 B1 KR100880559 B1 KR 10088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ittent
abandoned
current
contact
puls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219A (ko
Inventor
히로시 후꾸바
아키라 이케가미
케이사브로 토자와
유키토 코노
키미히로 사에키
키요시 코바야시
토시오 토베
키요시 이케가미
Original Assignee
후꾸바덴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꾸바덴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꾸바덴탈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cceleration, e.g. by shock or vibration, inertia switch
    • H01H35/14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cceleration, e.g. by shock or vibration, inertia switch operated by vib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01H35/14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cceleration, e.g. by shock or vibration, inertia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Abstract

소형화가 가능하고, 소비전력이 작으며, 저비용이고, 회로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킴으로써,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단속소자이고, 서로 이간하여 고정된 고정단자(12A 및 12B)와, 고정단자(12A 및 12B)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이동에 따라 고정단자(12A 및 12B)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여, 이들을 도통 혹은 절연시키는 가동부재(11)를 구비하고, 가동부재(11)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상기 이동을 행하여, 고정단자(12A 및 12B)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킨다.

Description

단속소자, 이것을 구비한 회로 및 장치, 및 단속소자의 조립방법{CONTACT-BREAKER DEVICE, CIRCUIT AND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ASSEMBLING CONTACT-BREAKE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속소자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도 2에 나타내는 B - B선에 따른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속소자를 구비한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회로가 발생시키는 불규칙한 펄스전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회로의 일부를 구비한 회로기판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회로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회로기판이 설치된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이온 칫솔의 분해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E - E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F - F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속소자를 제조하는 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2)는, 도 10(1)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단속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C - 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미안기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맛사지기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이온 전동칫솔의 단면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단속소자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도 17에 나타내는 G - G선에 따른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단속소자의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7에 따른 단속소자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도 17에 나타내는 G - G선에 따른 단면과 같은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8에 따른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를, 이온 칫솔에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예8에 따른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를, 맛사지기에 사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회로를 외부로부터의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개폐가능한 단속소자, 및 이 단속소자를 구비한 회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 및 이 회로를 구비하고,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및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 및 단속소자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미진동이나 경사 등의 자세변화를 검출할 때에는, 스프링식 스위치나 수은접점 스위치가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6 - 290690호 공보에는, 스프링식 스위치나 수은접점 스위치의 탄성열화, 미묘한 조정방법, 자세변화 감도의 낮음, 큰 형상 등의 문제점을 해결시킨 소형 스위치로서, 표면에 도전성을 가지는 구접점을 복수의 전극을 가지는 2장이 대향한 전극판의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전극판을 유지하는 프레임을 상기 구접점에 둘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접점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11 - 73831호 공보에는, 구상 도전체를 사용한 자세검출 기능에 의해, 기기의 자세에 따라 조명의 점등, 및 비점등을 제어하도록 한 스위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스위치 장치는, 유닛 케이스와, 상기 유닛 케이스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과, 상기 유닛 케이스내의 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는 구상 도전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전극에는, 상기 구상 도전체와 거의 동등한 반경을 가지는 원호상의 전극면을 형성한 구성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9 - 108453호 공보에는, 적어도 표면이 도전성인 적어도 한 개의 구체와, 상기 구체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수납하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의 한 쪽의 끝부 부근의 벽면 혹은 길이방향의 끝부 부근에 세워 설치된 내벽면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 단자로서 형성되고, 각 단자는 상기 구체를 개재하여 통전함으로써, 유희자가 스위치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봉제완구 등의 인형완구를 안거나 눕히거나 하는 것 만으로, 완구의 동작이 변화되는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2 - 49734호 공보에는, 액체를 분사하는 노즐과, 이 노즐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와, 블로킹 발진회로를 포함하는 고전위 발생회로를 구비하여, 이 고전위 발생회로의 출력단의 마이너스 전극을 상기 노즐에 접속하고, 또한 플러스 전극을 상기 손잡이부에 접속한 전기 구강세정 노즐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소60 - 253461호 공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부에 고전위 발생회로를 내장하고, 상기 손잡이부 표면에, 상기 고전위 발생회로의 양전극을 노출하여 형성하며, 브러시부에 이 고전위 발생회로의 음전극을 노출하여 형성한 고전위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부터, 저주파전류를 피부의 위로부터 흐르게 하면, 그 자극에 의해, 신경에 정상적인 흥분이 발생하고, 신경의 움직임에 이상이 있으면, 본래의 바른 움직임이 회복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것을 해외에서는, 일반적인 저주파요법 으로서, TENS(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의 약칭 : 경피 전기적 신경자극법)로 불리고 있다. 저주파요법의 주된 생리적 작용은, (1) 운동신경이나 근육에 대한 작용, 맛사지 효과와 운동효과, (2) 자율신경에 대한 작용, 여러가지 만성병에 효과, (3) 지각신경에 대한 작용, 진통효과라고 말해지고 있다.
저주파요법의 대표적인 생리작용으로서는, 「통전시의 음극은 진정작용, 양극은 흥분적 작용을 가진다」고 말해지고 있지만, 최근, 세계 각국의 의학자들의 연구에 의해, 음양의 극성보다 저주파전류의 파형이나 주파수의 변화에 의한 작용의 쪽이 인체에 미치는 좋은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왔다. 즉, 전류의 파형이나 주파수의 변화가, 뇌간으로부터 나오는 엔돌핀이라는 자연적인 진통물질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거나, 척수에 있는 동통을 제어하는 게이트의 움직임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일 등이 해명되어 오고 있다. 이 때문에, 컴퓨터(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유효한 파형이나 주파수를 자동적으로 출력하는 새로운 저주파치료기도 등장하고 있다(예를 들면, 전자치료대사전, 쓰쿠바대학 명예교수·의학박사·스기 야스사부로 감수, 켄유칸 1993년 발행 참조).
그리고 또한, 생체에는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습관화 현상이 있어서, 자극을 주어도 그 자극이 같은 자극이면, 상기 자극에 대한 반응이 약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전자와 의학, Vol.454, 2004년 7월호, 쓰쿠바 기술단기대학 침구학과교수·의학박사·모리야마 아사마사 참조).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평6 - 29069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1 - 738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9 - 108453호에 기재된 스위치는, 구상 도전체(구접점)를 이동시켜, 이것을 한 쌍의 전극에 접촉시킴으로써, 스위치의 온/오프를 행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구상 도전체가 이동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소형화 하는 것이 곤란하며, 소비전력이 큼과 아울러, 부품이 고비용으로 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평2 - 49734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소60 - 253461호 공보에 기재된 고전위 발생회로 및 고전위 칫솔은, 규칙적인 펄스전류를 발생하는 것이고, 생체(인체)에 부여하는 자극이 일정한 자극(같은 자극)이다. 이 때문에, 비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습관화 현상이 발생하여, 상기 자극에 대한 반응이 약해져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효과를 얻는 일이 곤란하다.
또한, 전자치료대사전, 쓰쿠바대학 명예교수·의학박사·스기 야스사부로 감수, 켄유칸 1993년 발행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저주파전류의 파형이나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신체활성화에 유효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키도록 한 경우, 상기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해 일본 특허공개 평6 - 290690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11 - 73831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9 - 108453호에 기재된 스위치를 적용하고자 해도, 이들 스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형화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칫솔의 손잡이 등 좁은 공간에 수용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위치(예를 들면 펄스 디지털 회로 등)는, 소비전력이 크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원으로서 전지를 사용한 경우, 전지의 수명이 짧아지고, 전지를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또한, 종래의 스위치는 비용이 높기 때문에, 이것을 수용한 제품(예를 들면, 칫솔 등)의 비용도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며,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며, 소비전력이 작고, 저비용이며, 회로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킴으로써,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단속소자, 이 단속소자를 구비한 회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 및 이 회로를 구비한 회로기판, 및 이 회로를 구비한 펄스전류 발생장치, 및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 및 단속소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지체에 서로 이간하여 고정된 한 쌍의 고정단자와, 상기 한 쌍의 고정 단자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며, 이들 고정단자를 도통 혹은 절연시키는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재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상기 이동을 행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키는 단속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단속소자는,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이 작고, 저비용이며, 이것을 회로의 소정 위치에 접속하면, 상기 회로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구성을 갖춘 단속소자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가동부재 가 불규칙하게 이동을 행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통 및 절연을 반복함으로써 발생하는 펄스전류도 불규칙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이점에 더하여, 신체활성화에 유효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간단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에서는, 상기 가동부재를 모든 방향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진동이 어떤 방향의 진동이더라도, 상기 가동부재를 불규칙하게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를 보다 확실하게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는, 일단측이 상기 한 쪽의 고정단자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고, 타단측이 상기 다른 쪽의 고정단자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가동부재를 헐겁게 관통시키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가동부재의 양단이 상기 각 고정단자의 관통공을 헐겁게 관통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 관통공에 헐겁게 관통된 가동부재가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움직이고, 관통공을 고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에 불규칙하게 접촉하거나, 불규칙하게 떨어지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부재는 그 양단이, 한 쌍의 고정단자의 각각의 관통공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에 접촉했을 때에, 이들 고정단자를 도통시킨다. 또한, 가동부재의 적어도 한 쪽의 끝부가 관통공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이들 고정단자를 절연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제 1의 측벽과, 상기 제 1의 측벽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2의 측벽을 구비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제 1의 측벽과, 상기 제 1의 측벽에 대향하여 형성된 제 2의 측벽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는, 상기 관통공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와 가동부재의 접촉·비접촉에 더하여, 제 1의 측벽과 가동부재의 불규칙한 접촉·비접촉, 및 제 2의 측벽과 가동부재의 불규칙한 접촉·비접촉에 의해서도, 한 쌍의 고정단자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하여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관통공에 탄발적으로 삽입가능한 노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노치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단자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이음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를 서로 이간하여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재와 한 쌍의 고정단자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가동부재를 설치한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회로는, 구성요건인 단속소자의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이 작으며, 저비용이다. 또한, 이 구성을 갖춘 단속소자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가동부재가 불규칙하게 이동을 행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통 및 절연을 반복함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전류도 불규칙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상기 이점에 더하여 신체활성화에 유효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간단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고지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에 대하여 상기 단속소자와 상기 고지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가 작동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을 구비한 회로는,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즉,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에 있어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었을 때)에 작동하여, 이 상태를 고지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즉,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를 전류가 통과했을 때)에, 상기 고지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로로부터 불규칙한 펄스전류가 발생된 것을 외부로부터 간단하게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회로중에 접촉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지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 중에 상기 단속소자와 접촉전극 사이의 전위에 기초하여,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촉전극은, 서로 이간된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 를 도전성을 가지는 대상물에 접촉시켰을 때에, 도통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에서는, 상기 고지소자 및 제어소자 중 적어도 한 쪽을 반도체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지소자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소자나, 음성발생소자 등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소자로서는, 예를 들면 증폭소자 등이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회로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회로기판은, 구성요건인 단속소자의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이 작고, 저비용이다. 또한, 이 구성을 갖춘 단속소자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가동부재가 불규칙하게 이동을 행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킨다. 따라서, 상기 도통 및 절연을 반복함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전류도 불규칙한 것이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은, 상기 이점에 더하여 신체활성화에 유효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간단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습관화 현상이 발생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와, 상기 단속소자에 접속되어 상기 단속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단속소자에 대한 상기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접촉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전극은, 서로 이간된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를 도전성을 가지는 대상물에 접촉시켰을 때에, 상기 단속소자에 상기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상기 단속소자로의 상기 전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펄스전류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구성요건인 단속소자의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이 작고, 저비용이다. 그리고, 이 구성을 갖춘 단속소자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가동부재가 불규칙하게 이동을 행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키지만, 상기 접촉전극의 양단자를 대상물에 접촉시켰을 때에, 상기 도통 및 절연을 반복함으로써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이점에 더하여 신체활성화에 유효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간단하게 대상물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습관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고지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에 대하여 상기 단속소자와 상기 고지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가 작동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펄스전류 발생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고지소자는,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에 있어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었을 때에 작동해서, 이 상태를 고지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를 전류가 통과했을 때에, 상기 고지를 정지한다고 하는 동작을 행한다. 따라서, 펄스전류 발생장치로부터 불규칙한 펄스전류가 발생된 것을 외부로부터 간단하게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고지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 중에, 상기 단속소자와 접촉전극 사이의 전위에 기초하여,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접촉전극 중 어느 한 쪽의 단자를 진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진동하고 있는 접촉전극의 단자를, 상기 대상물에 접촉시킬 수 있고, 상기 대상물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브러시모가 식모된 식모부와, 사용자가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을 내장하여 이루어진 손잡이부와, 상기 전원의 한 쪽의 전극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지는 도전판과, 상기 전원의 다른 쪽의 전극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브러시모와 상기 전원의 다른 쪽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도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전극의 한 쪽의 단자는 상기 도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전극의 다른 쪽의 단자는 상기 브러시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을 갖춘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도전판과 접촉하도록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상기 브러시모로 이를 닦았을 경우, 펄스전류 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와 펄스전류 발생장치(예를 들면 이온 칫솔)의 사이에,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고, 타액중의 칼슘이온 등에 의한 치면과 치구(齒垢)의 가교결합을 해제해서 치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양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잇몸의 맛사지 효과도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도전판과 접촉하도록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상기 브러시모로 피부 등에 대었을 경우도 마찬가지로, 펄스전류 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피부나 신체의 활성화를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을 갖춘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이온 칫솔외에, 맛사지기, 육모기, 미안기, 세안 브러시, 바디 브러시, 피부재생기, 발바닥 통전기, 육안기(育眼器), 어깨결림 해소기, 얼룩제거 브러시 등, 여러가지가 예시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브러시모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이간하여 설치하고, 상기 브러시모와 도전성 부재의 사이에 액로를 존재시켜, 상기 액로를 개재해서 상기 브러시모와 도전성 부재를 도통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식모부의 브러시모가 식모되어 있는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액로에 접속되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이 구성에서는, 예를 들면, 상기 브러시모로 이를 닦았을 경우, 사용자의 타액으로 상기 액로가 형성되어, 브러시모와 도전성 부재가 도통하게 되지만,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설치해 두면 펄스전류 발생장치의 사용개시시에, 상기 식모부의 누설정도가 적어도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개재해서 브 러시모와 액로를 접속시키고, 보다 빨리 충분하게 브러시모와 도전성 부재를 도통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고, 이 본체에 상기 전원을 내장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전극 중 한 쪽의 단자는, 상기 파지부 표면 중 적어도 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전극의 다른 쪽의 단자는, 상기 접촉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을 갖춘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도전판과 접촉하도록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상기 접촉부를 사용자의 피부 등에 접촉시킨 경우, 펄스전류 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와 펄스전류 발생장치의 사이에,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고, 피부나 신체의 활성화를 행할 수 있다.
이 구성을 갖춘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맛사지기, 육모기, 미안기, 세안기, 피부재생기, 발바닥 통전기, 육안기, 어깨결림 해소기 등 여러가지가 예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기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단속소자를 지지체상에 조립하는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단속소자를 릴(reel)에 감겨진 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탑재하는 공정과, 상기 릴로부터 테이프를 풀어서 상기 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탑재된 단속소자를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과,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한 단속소자를 상기 지지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단속소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단속소자를 지지체상에 조립하는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고정단자를 릴에 감겨서 이루어진 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탑재하는 공정과, 상기 릴로부터 테이프를 풀어서 상기 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탑재된 고정단자를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과,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된 고정단자를 상기 지지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단속소자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를 지지체상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단속소자를 조립하기 위한 지지체로서는, 예를 들면, 회로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 등이 예시된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은, 릴에 테이프가 감겨져 이루어진 테이핑릴로서, 상술한 단속소자가 상기 테이프에 탑재되어 이루어진 테이핑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또한, 본 발명은, 릴에 테이프가 감겨져 이루어진 테이핑릴로서, 상술한 고정단자가 상기 테이프에 탑재되어 이루어진 테이핑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의 고정단자는, 상기 지지체에 세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 3의 측벽과, 상기 제 3의 측벽에 연속하여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 3의 측벽에 접촉해서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걸림부를 구비함으로써, 가동부재가 제 3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으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공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와 가동부재의 접촉·비접촉에 더하여, 제 3의 측벽과 걸림부의 불규칙한 접촉·비접촉에 의해서도, 불규칙한 도통 및 절연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관통공에 헐겁게 삽입시켰을 때에,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동부재의 대략 중앙부 부근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동부재의 양단부에 위치시켜도 좋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에서는, 상기 지지체가 회로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단속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회로는, 이 단속소자에 의해 간단하게 불규칙한 발진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단속소자와, 규칙적인 발진파를 발생하는 고전위 발생회로를 가지고, 상기 고전위 발생회로로부터 발생하는 규칙적인 발진파를 상기 단속소자에 의해 분단해서 불규칙한 발진파를 발생시키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구성을 갖춘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는, 상기 단속소자에 의해, 간단하게 불규칙한 발진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습관화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에서는, 상기 고전위 발생회로와, 상기 단속소자에 의해 블로킹 발진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다른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는,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고지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에 대하여 상기 단속소자와 상기 고지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져,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가 작동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와, 상기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과, 상기 단속소자에 대한 상기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접촉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전극은, 서로 이간된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를 도전성을 가지는 대상물에 접촉시켰을 때에, 상기 단속소자에 상기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상기 단속소자로의 상기 전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고지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에 대하여 상기 단속소자와 상기 고지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져,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가 작동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브러시모가 식모된 식모부와, 사용자가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 및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를 내장하여 이루어진 손잡이부와, 상기 전원의 한 쪽의 전극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지는 도전판과, 상기 전원의 다른 쪽의 전극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브러시모와 상기 전원의 다른 쪽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도전성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접촉전극의 한 쪽의 단자는, 상기 도전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전극의 다른 쪽의 단자는, 상기 브러시모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을 갖춘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상기 도전판과 접촉하도록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상기 브러시모로 이를 닦았을 경우,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와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예를 들면, 이온 칫솔)의 사이에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고, 타액 중의 칼슘이온 등에 의한 치면과 치구의 가교결합을 해제하여 치구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양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잇몸의 맛사지 효과도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도전판과 접촉되도록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상기 브러시모로 피부 등에 대었을 경우도 마찬가지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으며, 피부나 신체의 활성화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는,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이 작고, 저비용이다. 그리고, 이 단속소자를 회로의 소정 위치에 접속하면, 상기 회로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신체 활성화에 유효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간단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로 및 회로기판은,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이 작고 저비용이며,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신체 활성화에 유효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간단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는, 구성이 단순하고, 소형화가 가능함과 아울러, 소비전력이 작고, 저비용이며,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신체 활성화에 유효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간단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습관화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의 조립방법에 의하면, 단속소자를 지지체상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는, 단속소자가 외부 혹은 내부로부터 부여되는 진동에 의해, 규칙적인 발진파를 불규칙한 발진파로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인 자극에 대한 습관화 현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단속소자, 이 단속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회로, 이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 및 펄스전류 발생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고, 본 발명을 이들 실시형태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속소자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도 2에 나타내는 B - B선을 따른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A - A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단속소자를 구비한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회로가 발생시키는 불규칙한 펄스전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에 나타내는 회로의 일부를 구비한 회로기판의 모식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회로기판의 측면도, 도 7은, 도 5및 도 6에 나타내는 회로기판이 설치된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이온 칫솔의 분해평면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E - E선을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F - F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1에 따른 단속소자(2)는, 지지체 로서의 기판(18)(도 5 및 도 6 참조)에, 서로 이간하여 고정된 한 쌍의 고정단자(12A 및 12B)와, 한 쌍의 고정단자(12A 및 12B)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한 쌍의 고정단자(12A 및 12B)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며, 이들 고정단자(12A 및 12B)를 도통 혹은 절연시키는 가동부재(1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단자(12A 및 12B)는 모두, 도전성 부재(예를 들면, 놋쇠나 인청동판에 18금 도금을 실시한 것, 또는 18금으로 이루어진 판상부재 등)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측벽(41A 및 41B)과, 측벽(41A 및 41B)의 일단을 연결한 바닥부(42)를 구비한 단면 대략 コ자상(도 1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단자(12A 및 12B)는, 측벽(41A)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측벽(41A)의 대략 중앙부에는, 가동부재(1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 관통공(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0)에 가동부재(11)가 헐겁게 관통되어 있다. 또한, 측벽(41A)에는, 관통공(10)과 연통함과 아울러, 관통공(10)으로부터 바닥부(42)와는 반대측에 형성된 노치(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노치(16)는, 관통공(10)을 향해 작아지는 테이퍼형상을 가지고 있으며(도 2참조), 가동부재(11)를 관통공(10)에 탄발적으로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가동부재(11)는, 도전성 부재(예를 들면, 놋쇠나 인청동판에 18금 도금을 실시한 것, 또는 18금으로 이루어진 선상부재 등)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기둥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부재(11)는, 그 길이가 고정단자(12A)의 측벽(41B)으로부터 고정단자(12B)의 측벽(41B)까지의 거리보다 짧고, 고정단자(12A)의 측벽(41A)으로부터 고정단자(12B)의 측벽(41A)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으며, 일단이 고정단자(12A)의 관통공(10)에 헐겁게 관통되어지고, 타단이 고정단자(12B)의 관통공 (10)에 헐겁게 관통되어 있다.
이 구성을 갖춘 단속소자(2)는, 가동부재(11)가 관통공(10)에 헐겁게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가동부재(11)가 불규칙하게 움직여서, 관통공(10)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43) 및 / 또는 측벽(41B)에 접촉하거나 떨어지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재(11)는, 모든 방향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어떤 방향의 진동이 발생해도 상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상기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진동이 규칙적이어도 가동부재(11)는 불규칙하게 움직여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현상을 입증하기 위해, 본원 출원인은,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즉, 바닥면에 고정된 진동부여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왕복동 스트로크 12㎜이고, 단속소자(2)에, 사이클수, 2.8회/초, 3회/초, 3.5회/초, 4회/초, 4.2회/초, 4.3회/초, 50회/초, 517회/초의 진동을 누계로 28시간(누계 사이클수 436120회) 부여해서, 단속소자(2)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한 결과, 가동부재(11)는 불규칙하게 움직여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켰다. 또한, 이 실험에서는, 직경 : 0.4㎜, 길이 : 3.3㎜, 재질 : 18금으로 이루어진 선상부재, 무게 : 0.0058g의 가동부재(11)를 사용했다.
이 실험으로부터 이하의 것이 고찰된다. 즉, 단속소자(2)를 미크로적으로 보면, 가동부재(11), 고정단자(12A 및 12B)의 표면에는 불규칙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표면이 까칠까칠하다). 따라서, 가동부재(11)는, 고정단자(12A 및 12B)에 의해 획정된 획정공간내를 모든 방향으로 이동(비상)하고, 가동부재(1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불규칙한 요철이, 고정단자(12A 및 12B)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불규칙 한 요철과 충돌해서, 다시 이동(비상)한다고 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획정공간에는 난기류가 발생한다. 이 불규칙 요철면끼리의 충돌과 난기류의 발생 등의 현상에 의해, 단속소자(2)는 외부로부터 규칙적인 진동이 부여되어도, 이동경로(비상경로)가 끊임없이 변화해서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가동부재(11)는, 그 양단이 한 쌍의 고정단자(12A 및 12B)의 각각의 관통공(10)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43) 및 / 또는 측벽(41B)에 접촉했을 때에, 이들 고정단자(12A 및 12B)를 도통시킨다. 또한, 가동부재(11)의 적어도 한 쪽의 끝부가 관통공(10)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43) 및 / 또는 측벽(41B)으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이들 고정단자(12A 및 12B)를 절연시킨다. 따라서, 이 가동부재(11)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움직이고, 한 쌍의 고정단자(12A 및 12B)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킨다. 즉, 고정단자(12A 및 12B)는, 관통공(10)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43) 및 측벽(41B)이 접점(전극)이 된다.
이 단속소자(2)를 구비한 회로(9)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20)(예를 들면, 3볼트의 전지)과, 전원(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작동함과 아울러, 전원(20)에 대하여 단속소자(2)와는 병렬로 접속된 고지소자로서의 발광소자(LED)(5)와, 단속소자(2)를 포함하는 전류경로 중에 설치된 접촉전극(3)과, 발광소자(5)를 포함하는 전류경로 중에 설치되고, 단속소자(2)와 접촉전극(3)의 사이의 전위에 기초하여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소자로서의 증폭소자(6)(발광소자(5) 를 발광시키기 위한 증폭률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두 개의 증폭소자(6A) 및 (6B)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5 참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접촉전극(3)은, 서로 이간된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고, 도전성을 가지는 대상물(예를 들면, 인체 등)에 이 한 쌍의 단자를 접촉시켰을 때에 도통상태가 된다.
발광소자(5)는, 단속소자(2)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작동하여 발광하고, 단속소자(2)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작동이 정지해서, 발광하지 않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 구성을 갖춘 회로(9)는, 접촉전극(3)의 양단자를 도전성 대상물에 접촉시켜서 도통시킨 상태를 유지했을 때에, 외부로부터 진동이 부여되면 단속소자(2)의 가동부재(11)가 불규칙하게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부재(11)의 양단이 한 쌍의 고정단자(12A 및 12B)의 각각의 관통공(10)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43) 및 / 또는 측벽(41B)에 불규칙하게 접촉했을 때에, 접촉전극(3), 단속소자(2), 전원(20), 및 상기 도전성 대상물을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고, 접촉전극(3)을 통해, 이 도전성 대상물에 비교적 큰 전압의 전류가 공급된다. 이 때, 전원(20), 발광소자(5), 증폭소자(6)(6A 및 6B)를 포함하는 전류경로에는 전류는 흐르지 않고, 발광소자(5)는 발광하지 않는다.
한편, 단속소자(2)의 가동부재(11)의 불규칙한 이동에 의해, 가동부재(11)의 적어도 한 쪽의 끝부가 관통공(10)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43) 및 / 또는 측벽(41B)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접촉전극(3), 단속소자(2), 전원(20), 및 상기 도전성 대상물을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고, 전원(20), 발광소자(5), 증 폭소자(6)(6A 및 6B)를 포함하는 전류경로에 전류가 흐르며, 이 전류에 의해 발광소자(5)가 발광한다.
단속소자(2)의 가동부재(11)의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불규칙하게 반복되기 때문에, 접촉전극(3)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불규칙한 펄스전류가 발생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부호 24는 파상전압이고, 부호 25는 파하전압이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전원(20)의 전압이 3V이고, 단속소자(2)내의 내부저항이 0.1V인 경우, 접촉전극(3), 단속소자(2), 전원(20), 및 상기 도전성 대상물을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일 때는, 이 도전성 대상물에는, 2.9V(3V-0.1V)의 전류가 공급된다(도 4에 부호 24로 나타내는 파상전압을 참조). 한편, 접촉전극(3), 단속소자(2), 전원(20), 및 상기 도전성 대상물을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일 때는, 발광소자(5)가 발생(점등)한다. 여기에서, 발광소자(5) 및 증폭소자(6)(6A 및 6B)에 필요한 전압이 1.8V로 되면, 상기 도전성 대상물에는, 1.2V의 전류가 공급된다(도 4에 부호 25로 나타내는 파하전압을 참조). 이 결과, 파상전압 2.9V와 파하전압 1.2V의 펄스전류가 불규칙한 사이클로 발생하고, 이 도전성 대상물에는 2.9V와 1.2V의 전압의 펄스전류가 불규칙한 사이클로 공급된다.
또한, 실시예1의 경우, 회로(9)에 부여되는 진동을, 예를 들면, 왕복동으로 1 ~ 4회/초로 했을 경우, 파하전압이 되는 시간은 약 4/1000 ~ 5/100초로 순간적이며, 파상전압이 되는 시간은 약 0.04 ~ 0.25초였다.
또한, 이 회로(9)는, 소정의 기판상에 형성되어 회로기판을 구성하지만, 실시예1에서는, 이 회로(9)를 도 7 ~ 도 9에 나타내는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이온 칫솔(1)에 구비하므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18)상에는, 전원(20) 및 접촉전극(3)을 직접 형성하고 있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기판(18)상에는, 회로(9) 중, 단속소자(2), 발광소자(5), 증폭소자(6)(6A 및 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 21은, 기판(18)의 외부에 설치된 전원(20)의 양극에 접속되는 양극접속단자, 부호 22는, 전원(20)의 음극에 접속되는 음극접속단자, 부호 23A는, 기판(18)의 이면에 설치된 접속단자(19)(후술하는 이온 칫솔(1)의 구성요소인 도전성 부재(7) : 도 7 ~ 도 9 참조)와, 기판표면의 고정단자(12A)와 증폭소자(6A)를 도통시키기 위한 스루홀(through-hole)이다. 부호 23B와 23C는, 기판표면의 양극접속단자(21)와 발광소자(5)를 도통시키기 위한 스루홀이다.
도 7 ~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온 칫솔은,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되는 손잡이부(28)와, 손잡이부(28)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됨과 아울러, 브러시모(61)가 식모된 헤드부(2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27)는, 선단측에 브러시모(61)가 식모된 식모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식모부(62)의 브러시모(61)가 연장되어 있는 표면에는, 도전성 접속부재(35)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부(27)의 기단측에는, 후술하는 손잡이부(28)에 형성된 탈착 볼록부(26B)와 탈착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탈착 오목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헤드부(27)의 내부에는, 탈착 오목부(26A)에 연통해서, 식모부(62)의 기단측 근방으로 연장된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에는, 후술하는 도전성 부재(7)가 탈착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의 식모부(62)측의 선단에는, 사용자가 이온 칫솔(1)로 이를 닦았을 때에, 타액이나 물 등의 액체가 고이도록 구성된 액로(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액로(8)는, 도전성 접속부재(35)에 연이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액체를 매체로 해서 브러시모(61)와 도전성 부재(7)를 전기적으로 도통가능하게 한다. 이 브러시모(61)가, 상술한 접촉전극(3)의 한 쪽의 단자가 된다.
손잡이부(28)는, 단면 대략 사각형을 구비하고, 헤드부(27)에 탈착되는 측(이하, 이 쪽의 측을 「선단측」이라고 한다)에는, 헤드부(27)의 탈착 오목부(26A)와 탈착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탈착 볼록부(26B)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28)의 길이축 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원(20)(예를 들면, 3V의 리튬전지 등)이 수납되는 전지수용공(20A)과, 전지구용공(20A)에 연통해서 손잡이부(28)의 선단측을 향해 길이축 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고, 상술한 회로가 형성된 기판(18)을 수납하기 위한 횡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횡구멍(30)의 대략 중앙 바닥부에는, 후술하지만, 손잡이부(28)의 길이축 선방향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도전성 부재(7)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이 도전성 부재(7)의 횡구멍(30)에 노출된 부분이, 기판(18)의 이면에 형성된 접속단자(19)와 접촉하고, 도전성 부재(7)는 기판(18) 이면의 접속단자(19)로부터 스루홀(23A)을 통해서, 기판(18) 표면의 고정단자(12A)와 증폭소자(6A)에 접속된다. 전원(20)의 양극와 기판(18)의 양극접속단자(21)는, 접속 스프링(20B)을 통해 접속된다. 또한, 전원(20)의 음극과 기판(18)의 음극접속단자(22)는, 일부가 접촉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음극접속단자(22)가 전원(20)의 음극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전지수용공(20A)에는, 전원(20)을 기판(18)측을 향해 경사시켜 지지시 키기 위한 경사지지부(34)가 설치되어져 있고, 이 경사지지부(34)에 의해, 전원(20)은, 기판(18)상에 형성된 음극접속단자(22)에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부(28)의 전지수용공(20A) 및 횡구멍(30)이 개구되어 있는 면(도 8에서 나타내는 상면)에는, 전지수용공(20A)에 대응하는 부분이 개구된 투명한 커버(29)가 횡구멍(30)을 막도록 단단히 장착되어 있다. 이 투명한 커버(29)의 존재에 의해, 기판(18)에 형성된 발광소자(5)가 점멸했을 때에, 이 점멸광(39)(도 8 참조)이 외부로부터 보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투명한 커버(29)의 상기 개구부근에는, 밀봉 부재(31)(실시예1에서는 O링)를 수용하기 위한 밀봉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투명한 커버(29)의 전체 둘레(도 8 및 도 9의 부호 33A 참조)에는, 손잡이부(28)의 밀봉성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용 볼록부(33A)와, 이것에 대응하는 손잡이부(28)에는, 밀봉용 볼록부(33A)가 삽입가능한 오목부(33B)가 형성되고, 예를 들면, 초음파용접에 의해, 밀봉용 볼록부(33A)와 오목부(33B)가 일체로 용착된다.
전지수용공(20A)에는, 이것을 막도록, 예를 들면, 티타늄이나 스텐레스 등의 도전성 부재로 이루어진 도전판(3A)이 투명한 커버(29)의 표면에 단단히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도전판(3A)은, 접속 스프링(20B)을 통해 전원(20)의 양극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 도전판(3)이, 상술한 접촉전극(3)의 다른 쪽의 단자가 된다.
도전성 부재(7)의 선단측은, 손잡이부(28)내를 선단측을 향해 길이축선방향으로 연장되고, 탈착 볼록부(26B)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있다. 이 도전성 부재(7)는, 손잡이부(28)에 헤드부(27)가 장착되었을 때에, 헤드부(27)에 삽입되어 있는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에 수용된다.
이 구성을 갖춘 이온 칫솔(1)은, 사용자가 도전판(3A)에 손을 대면서 손잡이부(28)를 파지하고, 브러시모(61)에 의해 이를 닦으면(브러싱한다), 브러시모(61)가 타액이나 물 등의 액체에 의해 젖고, 이들이 액로(8)에 도달하여 이 액로(8)를 통해서 도전성 부재(7)가 전기적으로 도통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전류는 전원(20)의 양극으로부터 도전판(3A), 사용자의 손, 신체, 치아, 브러시모(61), 액로(8), 도전성 부재(7), 기판(18)에 형성된 회로, 전원(20)의 음극이라고 하는 경로로 흐르고, 전위경사에 의해 브러싱시의 치구제거 효과를 높이게 된다.
이 양치 동작에 의해, 이온 칫솔(1)에는, 사용자로부터 진동이 부여되게 되지만, 단속소자(2)의 가동부재(11)가 고정단자(12A 및 12B)와 접촉하고 있을 경우(이하, 「온 상태」라고 하는 일이 있다)는, 도 4에 나타내는 파상전압의 전류가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 때, 발광소자(5)는 점등(발광)하지 않는다. 한편, 단속소자(2)의 가동부재(11)와 고정단자(12A) 및 / 또는 고정단자(12B)의 접촉이 해제되었을 경우(이하, 「오프 상태」라고 하는 일이 있다)는, 도 4에 나타내는 파하전압의 전류가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 때, 발광소자(5)는 점등(발광)한다. 그리고, 상기 양치 동작에 의해 진동이 부여되는 동안, 상기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불규칙하게 반복되어서, 사용자에게 불규칙한 펄스전류가 공급된다.
또한, 실시예1에 따른 단속소자(2)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핑릴(100)을 이용해서 기판(18)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테이핑릴(100)은 릴에 테이프(100A)(예를 들면, 두께 : 0.38㎜)가 감겨진 것이고, 이 테이프(100A)에는, 복수의 오목부(101)가 형성되며, 각각의 오목부(101)내에는, 예를 들면, 고정단자(12A(12B))가 수용되어 있다. 이 오목부(101)내에 고정단자(12A(12B))가 수용된 테이프(100A)의 상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얇은 투명의 필름 피막(예를 들면, 두께 : 0.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핑릴(100)을 이용해서, 기판(18)상의 소정 위치에 고정단자(12A(12B))를 설치할 때는, 우선, 테이프(100A)를 푼다. 다음에, 기판(18)에 면실장(예를 들면, 납땜 등)하기 전의 공정에서, 테이프(100A)로부터, 도시하지 않는 얇은 투명의 필름 피막을 벗기고, 다음에, 오목부(101)내에 수용되어 있는 고정단자(12A(12B))를, 로봇의 아암 선단의 노즐로 진공흡착해서 꺼낸다. 그 후, 이 고정단자(12A(12B))를 기판(18)상의 소정 위치에 이동시켜서 설치한다.
또한, 단속소자(2)나 다른 부품 등을 오목부(101)내에 수용하고, 마찬가지로 기판(18)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예1에서는, 고지소자로서 발광소자(5)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고지소자는, 전원(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하여 작동해서, 펄스전류의 공급상태를 외부로부터 알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면, 예를 들면, 음성발생소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버(29)는 투명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실시에1에 따른 이온 칫솔(1)은, 헤드부(27)의 식모부(62)의 브러시모(61)가 연장되어 있는 표면에 도전성 접속부재(35)를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전성 접속부재(35)는 소망에 의해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그리고 또한, 실시예1에서는, 헤드부(27)가 손잡이부(28)로부터 탈착가능한 이온 칫솔(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헤드부(27)는 손잡이부(28)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1에서는, 발광소자(5)를 발광시키기 위한 증폭률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두 개의 증폭소자(6A 및 6B)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도 5 참조), 증폭소자의 설치수는 소정 조건에 따라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 증폭소자 한 개에서 증폭률은 약 120 ~ 390배 정도가 되고, 증폭소자 두 개에서는 약 14000 ~ 15000배가 된다. 또한, 두 개의 증폭소자를 한 개로 통합한 다링톤형 증폭소자에서는, 증폭률은 약 4000 ~ 20000배 정도가 된다. 따라서, 증폭소자는 이것을 설치하고 싶은 기판의 크기나, 비용 등 여러가지 조건에 따라 선택하면 좋다.
또한, 실시예1에서 설명한 전원(20)의 전압이나 단속소자의 내부저항, 파상전압, 파하전압 등의 수치는 일례이고, 이것들은 소망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단속소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2에서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은, 실시예2에 따른 단속소자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C - 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2에 따른 단속소자(50)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대략 원통형의 이음부재(17)와, 이음부재(17)를 통해 서로 이간하여 설치되는 고정단자(52A 및 52B)에 의해 하우징(51)을 구성하고 있다.
고정단자(52A 및 52B)는, 이음부재(17)의 축선방향의 양측을 폐쇄하는 폐쇄부(53)와, 이 폐쇄부(53)에 연속 형성되어, 이음부재(17)의 내주를 따라 원통상으로 연장된 원통부(54)를 구비하고 있다. 폐쇄부(53)는, 내면에 테이퍼면(53A 및 53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단자(52A 및 52B)는 이 테이퍼면(53A 및 53B)과, 원통부(54)의 내주면도 마찬가지로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어, 가동부재(11)와의 접점이 된다.
원통부(54)의 내주면은, 폐쇄부(54)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원통부(54)의 내경이 약간 크게 되는 테이퍼형으로 되어 있다. 이 테이퍼의 존재에 의해 가동부재(11)와 원통부(54)의 내주면과의 접촉은 스폿상으로 되어, 미미한 진동의 발생도 제어되며, 가동부재(11)가 미소수치이고 미소중량(예를 들면, 직경 : 0.4㎜, 길이 : 3.3㎜, 무게 : 0.0058g)이여도, 상기 접촉부의 단위면적당 압력은, 전류통과에 바람직한 값이 되어, 효율 좋게 접촉 혹은 비접촉할 수 있다.
이 구성을 갖춘 단속소자(50)는, 고정단자(52A 및 52B)와, 이음부재(17)로 구성된 하우징내에 있어서, 가동부재(11)가 자유롭게 이동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가동부재(11)가 불규칙하게 움직이고, 테이퍼면(53A)과 원통부(54)의 테이퍼면(53A)부근에 접촉하거나 떨어지거나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재(11)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어느 방향의 진동이 발생해도, 상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단속소자(50)에 진동이 부여되어 있지 않을 경우, 가동부재(11)는 도 11에 실선으로 나타내도록 고정단자(52A 및 52B)와 접촉되어 있다. 또한, 단속소자(50)에 진동이 부여되었을 때에는, 도 11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11)의 일단이 고정단자(52A)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혹은 가동부재(11)의 타단이 고정단자(52B)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가동부재(11) 전체가 고정단자(52A 및 52B)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된다.
이 구성에 의해, 가동부재(11)는, 그 양단이 한 쌍의 고정단자(52A 및 52B)에 접촉했을 때에, 이들 고정단자(52A 및 52B)를 도통시킨다. 또한, 가동부재(11)의 적어도 한 쪽의 끝부가 고정단자(52A 및 52B)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이들의 고정단자(52A 및 52B)를 절연시킨다. 따라서, 이 가동부재(11)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움직이고, 한 쌍의 고정단자(52A 및 52B)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킨다.
이 단속소자(50)도,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회로에 구비되어 펄스전류 발생장치에 탑재되어, 실시예1과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실시예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3에서는, 실시예1 및 2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실시예3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미안기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3에 따른 미안기(70)와, 실시예1에서 설명한 이온 칫솔(1)과의 구성상에서 다른 주된 점은, 헤드부(127)의 구성이다. 헤드부(127)는, 그 선단측이 식모부(71)로 되어 있고, 이 식모부(71)의 한 쪽의 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스폰지(7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폰지(72)의 둘레에는, 브러시모(73)가 식모되어 있다. 또한, 식모부(71)의 반대측의 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스폰지(72)와는 특성(예를 들면, 재질, 경도, 기공률 등)이 다른 스폰지(74)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부(127)의 내부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은, 식모부(71)의 선단 부근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부(28)에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 부재(7)도, 이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에 상보해서, 실시예1보다 길게 연장되어 있다.
이 구성을 갖춘 미안기(70)는, 사용자가 도전판(3A)에 손을 대면서 손잡이부(28)를 파지하고, 스폰지(72) 및 브러시모(73), 혹은 스폰지(74)에 의해, 얼굴을 세안(맛사지한다)하면, 스폰지(72) 및 브러시모(73), 혹은 스폰지(74)가 물이나 세안료 등의 액체에 의해 젖고, 이것들이 액로가 되어서 도전성 부재(7)가 전기적으로 도통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전류는 전원(20)의 양극으로부터 도전판(3A), 사용자의 손, 신체, 얼굴, 스폰지(72) 및 브러시모(73) 및 스폰지(74)(액로), 도전성 부재(7), 기판(18)에 형성된 회로, 전원(20)의 음극이라고 하는 경로로 흘러, 전위경사에 의해 피부를 활성화하면서 세안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미안기(70)로부터도 불규칙 펄스전류가 발생함과 아울러, 불규칙 한 펄스전류의 발생상태를, 발광소자(5)의 점멸에 의해 외부로부터 검지할 수 있다.
[실시예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4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는, 실시예4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맛사지기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4에 따른 맛사지기(80)와, 실시예1에서 설명한 이온 칫솔(1)과의 구성상에서 다른 주된 점은, 헤드부(227)의 구성이다. 헤드부(227)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그 내부에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은, 헤드부(227)의 선단까지 관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헤드부(227)의 선단에는, 금속제의 지압부(81)가 장착되어 있다. 이 지압부(81)는, 구상부(82)와, 구상부(82)에 연속해서 형성된 원기둥상의 축부(83)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83)는, 도전성 부재 삽입공(63)에 삽입되고, 도전성 부재(7)와, 금속제의 스프링(40)을 통해 접속됨과 아울러,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도전성 부재(7)와, 축부(83)의 전류의 도통이 확실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서는, 손잡이부(28)와 헤드부(227)가 일체구조이지만, 헤드부(227)는, 손잡이부(28)로부터 탈착가능하게 해도 좋다.
이 구성을 갖춘 맛사지기(80)는, 사용자가 도전판(3A)에 손을 대면서 손잡이부(28)를 파지하고, 지압부(81)의 구상부(82)를 사용자의 피부에 대고 누르면, 전류는 전원(20)의 양극으로부터 도전판(3A), 사용자의 손, 신체, 지압부(81), 스프링(40), 도전성 부재(7), 기판(18)에 형성된 회로, 전원(20)의 음극이라고 하는 경로로 흘러, 전위경사에 의해, 피부를 활성화함과 아울러, 양호한 맛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때,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맛사지기(80)로부터도 불규칙한 펄스전류가 발생함과 아울러, 불규칙 펄스전류의 발생상태를, 발광소자(5)의 점멸에 의해 외부로부터 검지할 수 있다.
[실시예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5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실시예5에 따른 펄스전류 발생장치로서의 이온 전동 칫솔의 단면모식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5에 따른 이온 전동 칫솔(36)과 실시예1에서 설명한 이온 칫솔(1)의 주로 다른 점은, 헤드부(27)를 전동에 의해 자동적으로 진동시키는 구성으로 한 점이다. 즉, 이온 전동 칫솔(36)은 전원(20)에 모터(37)와, 이 모터(37)에 의해 구동되어 도전성 부재(7)를 진동시키는 진동장치(38)가 접속된 구성을 갖추고 있다.
진동장치(38)는, 도전성 부재(7)를 축심방향으로 왕복동시키는 기능과, 도전 성 부재(7)를 회전시키는 기능, 혹은 그 어느 한 쪽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전성 부재(7)는, 예를 들면, 3 ~ 10㎐정도로 진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성 부재(7)의 축심은, 손잡이부(28)의 축심에 대하여 어느 정도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이 구성을 갖춘 이온 전동 칫솔(36)은, 사용자가 양치를 행할 때에,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를 켜서 도전성 부재(7)를 진동시키면, 이온 전동 칫솔(36)은 이 진동에 따라,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단속소자(2)의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불규칙하게 반복해서, 사용자에게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실시예5에서는, 이온 칫솔의 헤드부를 진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실시예3에서 설명한 미안기(70)의 헤드부(127), 실시예4에서 설명한 맛사지기(80)의 헤드부(227) 및 지압부(81) 등을 진동시켜도 좋다.
[실시예6]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단속소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6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6에 따른 단속소자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도 17에 나타내는 G - G선을 따른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단속소자의 우측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6에 따른 단속소자(2C)는, 지 지체로서의 기판(18)(도 5 및 도 6 참조)에, 서로 이간해서 고정된 한 쌍의 고정단자(12C 및 12D)와, 한 쌍의 고정단자(12C 및 12D)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한 쌍의 고정단자(12C 및 12D)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고, 이것들의 고정단자(12C 및 12D)를 도통 혹은 절연시키는 가동부재(11C)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정단자(12C 및 12D)는 모두,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고정단자(12A 및 12B)와 같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기판(18)에 세워 설치되는 측벽과, 측벽(41C 및 41D)에 각각 연속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기판(18)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부(44)를 구비한, 대략 L자상을 갖추고 있다. 이 고정단자(12C 및 12D)는, 측벽(41C 및 41D)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측벽(41C 및 41D)의 대략 중앙부에는, 가동부재(11C)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구비한 관통공(1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공(10)에 가동부재(11C)가 헐겁게 관통되어 있다. 또한, 측벽(41C 및 41D)에는 노치(16)가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동부재(11C)를 관통공(10)에 탄발적으로 삽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10)은, 관통공(10)에 헐겁게 관통된 가동부재(C)의 양단(11f)이 고정부(44)에 접촉하지 않도록 기판(18)으로부터의 높이(45)가 설정되어 있다.
가동부재(11C)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가동부재(11)와 같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기둥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가동부재(11C)는, 그 길이가 고정단자(12C)의 측벽(41C)과, 고정단자(12D)의 측벽(41D)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구성되어 있으며, 일단(11f)이 고정단자(12C)의 관통공(10)에 헐겁게 관통되고, 타 단(11f)이 고정단자(12D)의 관통공(10)에 헐겁게 관통되어 있다. 이 가동부재(11C)의 대략 중앙부 부근(한 쌍의 고정단자(12C 및 12D)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관통공(10)보다 지름이 큰 턱부(鍔部)(11e)가 형성되어 있다.
이 턱부(11e)는, 관통공(10)에 헐겁게 관통된 가동부재(11C)가,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움직이고, 관통공(10)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43) 및 / 또는 측벽(41C) 및 / 또는 측벽(41D)에 접촉하거나 이탈하거나 하는 때에, 측벽(41C) 및 / 또는 측벽(41D)에 접촉해서 가동부재(11C)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가동부재(11C)가, 관통공(10)으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턱부(11e)는, 가장자리부(43)와의 불규칙한 접촉·비접촉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고정단자(12C 및 12D)와, 가동부재(11C)와의 도통 및 절연을, 더욱 불규칙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동부재(11C)는, 상술한 가동부재(11)와 마찬가지로, 모든 방향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어떤 방향의 진동이 발생해도 상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6에 따른 단속소자(2C)는, 고정단자(12C 및 12D)가 대략 L자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대략 U자상을 가지는 고정단자(12A 및 12B)에 비해, 더욱 소형화, 경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실시예7]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7에 따른 단속소자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7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 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실시예7에 따른 단속소자의 측면도이고, 일부를 도 17에 나타내는 G - G선에 따른 단면과 같은 단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7에 따른 단속소자(2D)의, 실시예6에 따른 단속소자(2C)와 다른 주된 점은, 가동부재(11D)의 구성과, 고정단자(12E 및 12F)에 형성된 관통공(10)의 기판(18)으로부터의 높이(46)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7에 따른 단속소자(2D)의 가동부재(11D)는, 고정단자(12E)에 형성된 관통공(10)과, 고정단자(12F)에 형성된 관통공(10)을 각각 관통한 양단에 관통공(10)보다 지름이 큰 턱부(11h)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턱부(11h)는, 관통공(10)에 헐겁게 관통된 가동부재(11D)가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움직이고, 관통공(10)을 획정하고 있는 가장자리부(43) 및 / 또는 측벽(41C) 및 / 또는 측벽(41D)에 접촉하거나 떨어지거나 할 때에, 측벽(41C) 및 / 또는 측벽(41D)에 접촉해서 가동부재(11C)의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가동부재(11C)가 관통공(10)으로부터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턱부(11h)는, 가장자리부(43)와의 불규칙한 접촉·비접촉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한 쌍의 고정단자(12E 및 12F)와, 가동부재(11D)와의 도통 및 절연을 또한 불규칙하게 행할 수 있다.
고정단자(12E 및 12F)는, 관통공(10)에 헐겁게 관통된 가동부재(11D)의 양단에 형성된 턱부(11h)의 각각이 고정부(44)에 접촉하지 않도록, 기판(18)으로부터의 높이(46)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재(11D)도, 상술한 가동부재(11)와 마찬가지로 모든 방향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어떤 방향의 진동이 발생해도 상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8]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8에 따른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를, 이온 칫솔에 사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8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는, 실시예8에 따른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를 이온 칫솔에 사용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는, 발진·승압 트랜스(94)의 일차측에는 전원(20)과, 증폭소자(6)와, 한류용(限流用)의 저항기(96)와, 스위치(97)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발진·승압 트랜스(94)의 2차측(출력측)에는, 단속소자(2)와, 고지소자로서의 발광소자(5)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 발광소자(5)에는, 발광소자(5)가 적절히 동작되기 위해 필요한 전류량으로 하기 위한 저항기(98)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호 93은 정류기이다.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의 한 쪽의 출력단자는, 이온 칫솔(90A)의 도전성 부재(91A)에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브러시모(61)가 상술한 접촉전극(3)의 한 쪽의 단자가 된다. 또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의 다른 쪽의 출력단자는, 도전판(92A)에 접속되어 있고, 이 도전판(92A)이 상술한 접촉전극(3)의 다른 쪽의 단자가 된다. 또한, 이 이온 칫솔(90A)에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이온 칫솔(90A)은 고전위 칫솔이 된다.
이 이온 칫솔(90A)은,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단속소자(2)가 온 상태가 되었을 때 발광소자(5)는 작동하지 않고, 단속소자(2)측에만 높은 전압(예를 들면, 200V정도)의 펄스전류가 흐르며, 브러시모(61)로부터 구중에 공급된다. 한편, 단속소자(2)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 발광소자(5)가 작동해서 전압이 하강한 상태로 낮은 전압의 펄스전류가 흘러 브러시(61)로부터 구중에 공급된다.
또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온 칫솔(90A) 대신에 맛사지기(90B)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호 99는, 맛사지기(90B)에 맛사지를 위한 진동을 부여하는 모터이고, 단속소자(2)는, 이 모터(99)의 진동에 의해 불규칙하게 온 상태 혹은 오프 상태가 된다.
맛사지기(90B)는, 그 선단(사용자가 맛사지하기 위해 피부에 접촉하는 부위)이 도전성 부재(91)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맛사지기(90B)의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에는, 도전판(92)이 바깥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의 한 쪽의 출력단자는, 도전성 부재(91)에 접속되어 있고, 따라서, 도전성 부재(91)가 상술한 접촉전극(3)의 한 쪽 단자가 된다. 또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의 다른 쪽의 출력단자는 도전판(92)에 접속되어 있고, 이 도전판(92)이 상술한 접촉전극(3)의 다른 쪽의 단자가 된다.
또한, 실시예8에서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에 단속소자(2)를 사용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단속소자(2C, 2D 및 50) 를 사용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화가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며, 소비전력이 작고, 저비용이며, 회로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킴으로써, 불규칙한 펄스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단속소자, 이 단속소자를 구비한 회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 및 이 회로를 구비한 회로기판, 및 이 회로를 구비한 펄스전류 발생장치, 및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 및 단속소자의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4)

  1. 지지체에, 서로 이간해서 고정된 한 쌍의 고정단자;및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고, 상기 이동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여, 이들 고정단자를 도통 혹은 절연시키는 가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가동부재를 헐겁게 관통시키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가동부재의 양단이, 상기 각 고정단자의 관통공을 헐겁게 관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동부재는, 외부로부터 부여된 진동에 따라 불규칙하게 상기 이동을 행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를 불규칙하게 도통 및 절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모든 방향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일단측이, 상기 한 쪽의 고정단자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고, 타단측이, 상기 다른 쪽의 고정단자에 접촉 혹은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제 1의 측벽과, 상기 제 1의 측벽에 대향해서 형성된 제 2의 측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관통공에 연통해서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관통공에 탄발적으로 삽입가능한 노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7. 제 1항에 있어서, 절연체로 이루어진 이음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를 서로 이간해서 설치하고, 상기 이음부재와 한 쌍의 고정단자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성하며, 상기 하우징내에 상기 가동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회로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자는, 상기 지지체에 세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제 3의 측벽과, 상기 제 3의 측벽에 연속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 3의 측벽에 접촉해서 상기 가동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동부재를 상기 관통공에 헐겁게 삽입시켰을 때에, 상기 한 쌍의 고정단자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가동부재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회로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기재된 단속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항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해서 작동하는 고지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에 대하여, 상기 단속소자와 상기 고지 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가 작동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의 작동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 중에 접촉전극을 더 구비하고,
    상기 고지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 중에, 상기 단속소자와 접촉전극 사이의 전위에 기초해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전극은, 서로 이간된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를 도전성을 가지는 대상물에 접촉시켰을 때에, 도통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소자 및 제어소자 중 적어도 한 쪽이 반도체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소자가 발광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21. 청구항 2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소자가 증폭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2. 청구항 2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기재된 단속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3. 청구항 2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항에 기재된 회로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
  24. 제 1항에 기재된 단속소자;
    상기 단속소자에 접속되어, 상기 단속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및
    상기 단속소자에 대한 상기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접촉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전극은, 서로 이간된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단자를 도전성을 가지는 대상물에 접촉시켰을 때에, 상기 단속소자에 상기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상기 대상물로부터 떨어졌을 때에, 상기 단속소자로의 상기 전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해서 작동되는 고지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에 대하여, 상기 단속소자와 상기 고지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가 작동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의 작동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 중에, 상기 단속소자와 접촉전극 사이의 전위에 기초해서, 전류량을 제어하는 제어소자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전극 중 어느 한 쪽의 단자를 진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28. 제 24항에 있어서, 브러시모가 식모된 식모부;
    사용자가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을 내장하여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전원의 한 쪽의 전극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지는 도전판;및
    상기 전원의 다른 쪽의 전극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브러시모와 상기 전원의 다른 쪽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도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전극의 한 쪽의 단자는 상기 도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전극의 다른 쪽의 단자는 상기 브러시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모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이간해서 설치하고, 상기 브러시모와 도전성 부재의 사이에 액로를 존재시켜서, 상기 액로를 통하여, 상기 브러시모와 도전성 부재를 도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식모부의 브러시모가 식모되어 있는 측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상기 액로에 접속되는 도전성 접속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31. 제 2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가지는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전원을 내장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접촉전극의 한 쪽의 단자는 상기 파지부 표면 중 적어도 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전극의 다른 쪽의 단자는 상기 접촉부 표면 중 적어도 일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32. 청구항 3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4항에 기재된 회로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33. 청구항 3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3항에 기재된 회로기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전류 발생장치.
  34. 청구항 3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기재된 단속소자;및
    규칙적인 발진파를 발생하는 고전위 발생회로를 가지고,
    상기 고전위 발생회로로부터 발생하는 규칙적인 발진파를, 상기 단속소자에 의해 분단해서 불규칙한 발진파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
  35. 청구항 3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발생회로와, 상기 단속소자에 의해 블로킹 발진회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
  36. 청구항 3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4항에 있어서, 전원과,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해서 작동하는 고지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에 대하여, 상기 단속소자와 상기 고지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가 작동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의 작동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 생회로.
  37. 청구항 3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4항에 기재된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
    상기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및
    상기 단속소자에 대한 상기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접촉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전극은, 서로 이간된 한 쌍의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를 도전성을 가지는 대상물에 접촉시켰을 때에, 상기 단속소자에 상기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이, 상기 대상물로부터 이탈했을 때에, 상기 단속소자로의 상기 전류의 공급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
  38. 청구항 3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기초해서 작동하는 고지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원에 대하여, 상기 단속소자와 상기 고지소자가 병렬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열림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가 작동하고, 상기 단속소자를 포함하는 전류경로가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상기 고지소자의 작동이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
  39. 청구항 3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사용자가 파지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 및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회로를 내장하여 이루어진 손잡이부;
    상기 전원의 한 쪽의 전극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손잡이부의 표면에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지는 도전판;및
    상기 전원의 다른 쪽의 전극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브러시모와 상기 전원의 다른 쪽의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가능한 도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접촉전극의 한 쪽의 단자는 상기 도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촉전극의 다른 쪽의 단자는 상기 브러시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위 불규칙 펄스전류 발생장치.
  40. 청구항 4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기재된 단속소자를 지지체상에 조립하는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단속소자를 릴에 감겨진 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탑재하는 공정;
    상기 릴으로부터 테이프를 풀어서, 상기 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탑재된 단속소자를,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및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한 단속소자를, 상기 지지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의 조립방법.
  41. 청구항 4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기재된 단속소자를 지지체상에 조립하는 조립방법으로서,
    상기 고정단자를, 릴에 감겨져 이루어진 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탑재하는 공 정;
    상기 릴으로부터 테이프를 풀어서, 상기 테이프에 탈착가능하게 탑재된 고정단자를,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시키는 공정;및
    상기 테이프로부터 박리한 고정단자를, 상기 지지체상의 소정 위치에 설치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의 조립방법.
  42. 청구항 4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0항 또는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가 회로기판을 형성하기 위한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속소자의 조립방법.
  43. 청구항 4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릴에 테이프가 감겨져 이루어지는 테이핑릴로서,
    제 1항에 기재된 단속소자가 상기 테이프에 탑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릴.
  44. 청구항 4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릴에 테이프가 감겨져 이루어지는 테이핑릴로서,
    제 1항에 기재된 고정단자가 상기 테이프에 탑재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핑릴.
KR1020050045017A 2004-05-28 2005-05-27 단속소자, 이것을 구비한 회로 및 장치, 및 단속소자의조립방법 KR100880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8562 2004-05-28
JPJP-P-2004-00158562 2004-05-28
JP2005086770A JP4255452B2 (ja) 2004-05-28 2005-03-24 イオン歯ブラシ
JPJP-P-2005-00086770 2005-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219A KR20060046219A (ko) 2006-05-17
KR100880559B1 true KR100880559B1 (ko) 2009-01-30

Family

ID=34941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5017A KR100880559B1 (ko) 2004-05-28 2005-05-27 단속소자, 이것을 구비한 회로 및 장치, 및 단속소자의조립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66839B2 (ko)
EP (1) EP1600991A1 (ko)
JP (1) JP4255452B2 (ko)
KR (1) KR100880559B1 (ko)
HK (1) HK10798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0079A1 (en) * 2003-06-20 2007-01-04 Toyokazu Mori Electric toothbrush
US7767919B2 (en) * 2006-02-08 2010-08-03 Pcb Piezotronics Inc. Sealed control device with magnetically adjustable control parameter
JP4218721B2 (ja) * 2006-10-06 2009-02-0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口腔衛生装置
KR100997600B1 (ko) * 2006-12-22 2010-11-30 파나소닉 전공 주식회사 액츄에이터 및 이것을 이용한 전동전자 칫솔
CN101990408A (zh) * 2008-04-08 2011-03-23 欧莱雅 振动涂敷器
US9939529B2 (en) 2012-08-27 2018-04-10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 positioning system
EP2986193B1 (en) 2013-04-15 2020-07-29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with protruding sidebrush
JP6217952B2 (ja) 2013-04-15 2017-10-25 アクティ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ラックス ロボット真空掃除機
JP6750921B2 (ja) 2013-12-19 2020-09-02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掃除機
JP6687286B2 (ja) 2013-12-19 2020-04-22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掃除機およびランドマーク認識方法
JP6638988B2 (ja) 2013-12-19 2020-02-05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サイドブラシを有し、渦巻きパターンで動くロボットバキュームクリーナ
EP3084538B1 (en) 2013-12-19 2017-11-01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with perimeter recording function
EP3084539B1 (en) 2013-12-19 2019-02-20 Aktiebolaget Electrolux Prioritizing cleaning areas
CN105813528B (zh) 2013-12-19 2019-05-07 伊莱克斯公司 机器人清洁设备的障碍物感测爬行
JP6638987B2 (ja) 2013-12-19 2020-02-05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回転側面ブラシの適応速度制御
JP6336063B2 (ja) 2013-12-20 2018-06-06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ダスト容器
US10518416B2 (en) 2014-07-10 2019-12-31 Aktiebolaget Electrolux Method for detecting a measurement error in a robotic cleaning device
US10499778B2 (en) 2014-09-08 2019-12-10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US10729297B2 (en) 2014-09-08 2020-08-04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vacuum cleaner
US20160093451A1 (en) * 2014-09-26 2016-03-31 Mechanical Products Company Lighted circuit breaker status indication device
CN106998980B (zh) 2014-12-10 2021-12-17 伊莱克斯公司 使用激光传感器检测地板类型
CN114668335A (zh) 2014-12-12 2022-06-28 伊莱克斯公司 侧刷和机器人吸尘器
KR102339531B1 (ko) 2014-12-16 2021-12-16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로봇 청소 장치를 위한 경험-기반의 로드맵
JP6532530B2 (ja) 2014-12-16 2019-06-19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掃除機の掃除方法
US11099554B2 (en) 2015-04-17 2021-08-24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robotic cleaning device
EP3344104B1 (en) 2015-09-03 2020-12-30 Aktiebolaget Electrolux System of robotic cleaning devices
JP7041622B6 (ja) * 2015-12-18 2022-05-3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スポンジ又は発泡体要素を備えたブラシ
KR102588486B1 (ko) 2016-03-15 2023-10-11 에이비 엘렉트로룩스 로봇 청소 장치 및 로봇 청소 장치에서의 절벽 검출 실시 방법
US11122953B2 (en) 2016-05-11 2021-09-21 Aktiebolaget Electrolux Robotic cleaning device
JP7243967B2 (ja) 2017-06-02 2023-03-22 アクチエボラゲット エレクトロルックス ロボット清掃デバイスの前方の表面のレベル差を検出する方法
CN111093447B (zh) 2017-09-26 2022-09-02 伊莱克斯公司 机器人清洁设备的移动控制
WO2019155631A1 (ja) * 2018-02-09 2019-08-15 正弘 内池 美容機器
BG112714A (bg) * 2018-04-02 2019-10-31 Стоян ГВОЗДЕЙКОВ Сглобяема йонна четка за хигиена и лечебни процедури на устната кухин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453A (ja) * 1995-10-19 1997-04-28 Sente Creations:Kk 玩具用スイッチ及びこれを使用した玩具
JPH1173831A (ja) 1997-08-29 1999-03-16 Seiko Epson Corp スイッチ装置および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205B2 (ko) 1973-06-05 1978-05-09
IE45963B1 (en) * 1977-06-27 1983-01-12 Anderson F A vibration sensing device
JPS55116525U (ko) 1979-02-08 1980-08-16
JPS5734846A (en) * 1980-08-06 1982-02-25 Funaki Electronik Works Electric mouth washing nozzle
DE3211984C2 (de) * 1981-05-21 1986-04-03 Dieter Dr. 7900 Ulm Benz Rotierende Zahnbürste
JPS5910466A (ja) 1982-07-12 1984-01-19 Toshiba Mach Co Ltd 給湯ラドル
JPS60253461A (ja) 1984-05-28 1985-12-14 株式会社 寺西電機製作所 高電位歯ブラシ
US4665921A (en) * 1984-05-28 1987-05-19 Teranishi Electric Works, Ltd. High potential generating toothbrush
US4709438A (en) * 1986-03-31 1987-12-01 Tavares Joaquim De Toothbrush with gravity switch
DE3715497A1 (de) * 1987-05-09 1988-11-17 Braun Ag Sicherheitsschalteinrichtung zur steuerung eines stromverbrauchers
JPH0249734A (ja) 1988-08-12 1990-02-20 Wakunaga Pharmaceut Co Ltd 新規組成物
JPH06290690A (ja) 1993-03-30 1994-10-18 Heiwa Tokei Seisakusho:Kk 球接点スイッチ
JP2891120B2 (ja) 1994-11-07 1999-05-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小型減速機
JPH08162798A (ja) 1994-12-02 1996-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とその実装方法及び実装装置
US5550721A (en) * 1995-05-08 1996-08-27 Carmen & Thomas Rapisarda Enterprises Motion sensitive light and battery assembly switched on and off by the oscillation of a helical spring
US5599088A (en) * 1995-08-21 1997-02-04 Chien; Tseng L. Flashing footwear light module
DE69934771T2 (de) * 1998-05-29 2007-10-18 Hukuba Dental K.K., Nagareyama Zahnbürste
JP2000331579A (ja) 1999-05-21 2000-11-30 Koshin:Kk 傾斜及び振動センサとその基板実装
US6397424B1 (en) * 1999-12-10 2002-06-04 Kwok Wai Leung Toothbrush
US6334692B1 (en) * 2000-09-25 2002-01-01 Yeong-Shyan Hsueh Decorative member having vibration actuating light
JP3527473B2 (ja) 2000-11-27 2004-05-17 株式会社ジェッター 落下物検出装置
JP2004146302A (ja) 2002-10-28 2004-05-20 Sony Corp スイッチ、操作ボタン、入力装置、キー入力装置、電子機器および機器
US7329019B2 (en) * 2002-12-17 2008-02-12 James Cheung Clothing or footwear illumination system having electro-luminescent and LED light sources
US7170019B2 (en) * 2003-07-14 2007-01-30 Cheerine Development (Hong Kong), Ltd. Inertia switch and flashing light system
US6949713B2 (en) * 2004-01-22 2005-09-27 Ming-Bi Weng Lighting system having vibration switch and with plurality of displaying sequences
US7182493B2 (en) * 2005-06-30 2007-02-27 Teng-Wen Huang Automatic dual-control light emitting assembly for vehicle whee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8453A (ja) * 1995-10-19 1997-04-28 Sente Creations:Kk 玩具用スイッチ及びこれを使用した玩具
JPH1173831A (ja) 1997-08-29 1999-03-16 Seiko Epson Corp スイッチ装置およびスイッチ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28306A1 (en) 2006-02-09
JP4255452B2 (ja) 2009-04-15
HK1079897A1 (en) 2006-04-13
US7566839B2 (en) 2009-07-28
KR20060046219A (ko) 2006-05-17
JP2006012777A (ja) 2006-01-12
EP1600991A1 (en) 2005-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559B1 (ko) 단속소자, 이것을 구비한 회로 및 장치, 및 단속소자의조립방법
JP3967549B2 (ja) 歯ブラシ
KR101633564B1 (ko) 자동 모드 선택을 갖는 구강 케어 장치
JP7302905B2 (ja) 電気歯ブラシ
US20190380482A1 (en) Oral care device and attachment
JP3229284U (ja) 皮膚刺激ブラシ用ピン及びブラシ
ATE502597T1 (de) Mundreinigungsvorrichtung
KR20180043015A (ko) 갈바닉 마사지기
CN100511545C (zh) 断续元件、包括其的电路及装置、及该元件的组装方法
JP4134022B2 (ja) 電気刺激装置
JP2002325634A (ja) 人体表面或いは口内へパルス波イオン効果を有する電流を供給する柄
JP2012000149A (ja) 通電歯茎マッサージ用ブラシ
JP2006223365A (ja) 電極ユニット及び浴用通電装置
JP2023033174A (ja) 美顔器
KR20230127570A (ko) 피부마사지장치
UA59029A (uk) Міжзубний стимуля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