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545B1 - 결합바 클린칭 장치 - Google Patents

결합바 클린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545B1
KR100879545B1 KR1020070105935A KR20070105935A KR100879545B1 KR 100879545 B1 KR100879545 B1 KR 100879545B1 KR 1020070105935 A KR1020070105935 A KR 1020070105935A KR 20070105935 A KR20070105935 A KR 20070105935A KR 100879545 B1 KR100879545 B1 KR 10087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cylinder
base frame
frame
suppor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우식
Original Assignee
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5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0Bending sheet met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22Auxiliary equipment, e.g. 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3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folding
    • B21D39/031Joining superposed plates by locally deforming without slitting or pier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린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의 결합바를 벤딩하는 벤딩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봉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벤딩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공을 가진 펀치부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자동화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를 제공한다.
클린칭, 프레임, 지지수단, 벤딩수단, 가압부, 구동실린더, 결합바

Description

결합바 클린칭 장치{JOINING BAR CLIN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에 구비되는 결합바를 굽히고 압착하여, 차체 또는 타 부품에 결합시키는 클린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부품은 차체 또는 타 부품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결합되며, 일반적으로 도어 스커프의 금속판과 플레이트의 결합 또는 웨더스트립과 도어트림의 결합 등에 있어서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품에 구비되는 돌출된 결합바를 다른 부품에 구비되는 결합홈에 삽입시킨 후, 직각으로 굽혀서 확고히 결합시키는 클린칭 결합 방식을 취한다.
종래, 이러한 부품들의 결합은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이에 따라 결합바가 여러 개인 경우 각각에 대한 개별 작업이 수행됨으로써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제작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하좌우 어떤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대해서도 쉽게 분리되지 못하도록, 각 결합바의 굽힘 방향을 서로 다르게 할 필요가 있는데, 작업자의 착오에 의해 결합바가 정확한 방향으로 굽혀지지 않은 상태로 차체 또는 타 부품에 결합된 경우, 이를 다시 분류하여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있을뿐더러 불량률 증가에 의한 제품의 신뢰도 하락을 감수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 상기 지지수단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소재의 결합바를 벤딩하는 벤딩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봉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벤딩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공을 가진 펀치부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고, 자동화에 의해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이송실린더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전후 이동되는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부에 지지되며 소재가 안착 지지되는 지그를 포함하는 지지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위에 양단이 지지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승강하며 상기 소재의 결합바를 벤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툴을 포함하는 벤딩수단,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봉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벤딩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공을 가진 펀치부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그의 후단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암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이송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암이 상기 소재를 가압 지지하도록 하는 작동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벤딩수단은, 상기 받침대 위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양단을 지지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벤딩툴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벤딩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벤딩툴은 하강하면서 상기 결합바를 벤딩 가공하도록 일단에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바의 벤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가압부는, 상기 펀치부의 중공 을 통해 승강하는 가압부재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수단의 양측에 설치되며, 클린칭 작업 후 상기 소재를 상기 지지수단으로부터 탈거하는 취출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소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취출부재, 상기 취출부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소재를 들어올리는 취출실린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실린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바 클린칭 장치는, 작업공수와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자동화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며, 제작비용 절감과 불량률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도어 스커프의 금속판 결합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2는 도 1 의 결합바가 클린칭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의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의 지지수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의 가이드부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10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200)과, 베이스 프레임(200)상에서 전후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수단(300)과, 지지수단(300) 상부에 설치되고 소재의 결합바를 벤딩하는 벤딩수단(400)과, 벤딩수단(4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안내봉(210)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중간 프레임(500)과, 중간 프레임(500)의 상측에 설치되어 중간 프레임(500)에 구동력을 전달하고, 벤딩된 결합바(910)를 다시 가압하는 가압부(600)와, 가압부(6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안내봉(210)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프레임(700)과, 상부 프레임(700)의 상측에 설치되며 가압부(6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200)은 육면체 형상으로서 바닥면과 평형하게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200) 상측에는 클린칭 작업중 소재를 지지하는 지지수 단(300)이 구비되는데, 이 지지수단(300)은 베이스 프레임(200)상에 설치되는 이송실린더(310)와, 이송실린더(310)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200)상에서 전후 이동하는 이송체(320)와, 이송체(320)의 상측에 결합되고 소재(900)가 안착되며 베이스 프레임(200) 상부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부(330)를 따라 이송체(320)와 함께 전후 이동하는 지그(340)와, 지그(340)의 후단에 구비되고 클린칭 작업중 소재(9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회전축(351)과 지지암(3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전부재(350), 및 회전축(35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작동실린더(360)를 포함한다.
이때, 이송실린더(310)는 베이스 프레임(200) 상측에 본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실린더 로드가 이송체(320)의 일측에 고정되며, 실린더 로드의 신축에 의해 이송체(320)가 전후 이동된다.
또한, 이송체(320)의 상측에 지그(340)가 결합되어 이송체(320)와 함께 전후 이동하게 되는데, 지그(34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이고 특히 상부 형상은 소재(900)가 안착되도록 소재(900)의 저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며, 지그(340) 위에 소재(900)가 안착되면 작업위치로 후진 이동하고 작업완료 후에는 준비위치로 다시 전진하여 돌아오게 된다.
여기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200) 상부 양측에는 상단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 레일(331)이 마련된 가이드부(330)가 구비되는데, 지그(340)의 양측 저면에는 이 가이드 레일(331)에 대응되는 롤러부재(341)가 마련되어 이 롤러부재(341)가 가이드 레일(33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부(330)의 후단에는 완충부재(332)와 함께 감지센서(333)가 구비되어 지 그(340)가 소재(900)를 작업위치에 놓기 위해 후진할 때 이 지그(340)의 후단에 완충부재(332)가 접촉함으로써 가이드부(330)의 파손을 방지하고 감지센서(333)가 지그(340)와의 접촉을 감지하여 지그(340)의 후진 이동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지그(340)의 후단에는 회전부재(350)가 마련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회전부재(350)는 지그(340)에 안착된 소재(900)가 클린칭 작업중 유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소재(900)의 결합바(910)에 대하여 클린칭 작업이 정확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축(351)과, 회전축(35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암(3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축(351)은 지그(340)의 후단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축 연결부(352)를 관통하여 지그(340)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이 회전축(35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암(353)이 결합된다.
이때, 지지암(353)은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서, 일측에는 회전축(351)에 결합되도록 중공을 가진 원통형상의 회전축 결합부(354)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소재(900)의 표면에 접촉하여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 방지구(355)가 결합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320) 내부에 구비되는 작동실린더(360)의 실린더 로드가, 회전축(351)의 일측에 결합된 연결부재(356)와 힌지 결합함으로써, 작동실린더(360)의 신장에 의해 회전축(351)이 회전하고 이어서 지지암(353)이 전방으로 회전하여 유동 방지구(355)가 소재(900)의 표면을 가압하여, 작업중 소재(9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소재(900)가 안착되는 지그(340)의 상부에는 소재(900)의 결합바(910)를 벤딩하는 벤딩수단(400)이 설치되며, 이 벤딩수단(400)은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측에 구비되는 받침대(410)와, 각 받침대(410) 위에 고정되는 고정블록(420)과, 이 고정블록(420)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고정플레이트(430)와, 고정플레이트(430)를 관통하여 승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툴(440)과, 벤딩툴(440)의 양측에 마련되며 벤딩툴(44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바(4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대(410)는 벤딩수단(400)을 지지수단(300)의 상부에 이격하여 위치시키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200)의 양측에 구비되는 것이며, 안내봉(210)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양쪽의 받침대(410) 위에는 고정블록(420)이 고정되고, 이 고정블록(420)에 고정플레이트(430)의 양단이 각각 지지되며, 고정플레이트(430)의 상측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툴(440)이 소재(900)의 결합바(910) 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는데, 각 벤딩툴(440)은 고정플레이트(430)에 마련된 관통공을 통해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벤딩툴(440)의 양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450)가 구비되는데, 이 가이드바(450)는 벤딩툴(440)의 승강 방향을 가이드하고 작업 후 벤딩툴(440)이 원위치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벤딩툴(440)의 상단에 스토퍼(460)가 결합되어 함께 승강하고, 양측 가이드바(450)는 스토퍼(460)에 상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벤딩툴(440)과 스토퍼(460)의 승강 방향을 가이드하며, 가이드바(450)의 외주면에는 일단이 고정플레이트(430)에 지지되고 타단이 스토퍼(460)에 지지되는 스프링 등의 제1탄성부재(451)가 끼워져서 작업 후 탄성복원력에 의해 벤딩툴(440)과 스토퍼(460)가 원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스토퍼(460)를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벤딩툴(440)의 상단에는 제2탄성부재(441)가 마련되어, 벤딩된 결합바(910)를 다시 벤딩툴(440)이 가압한 이후에 벤딩툴(440)이 원위치되도록 한다.
즉, 벤딩툴(440)과 스토퍼(460)가 가이드바(450)를 따라 함께 하강하여 결합바(910)를 벤딩한 이후에, 벤딩툴(440)만이 다시 하강하여 벤딩된 결합바(910)를 가압하여 소재(900) 표면에 밀착되게끔 하는데, 제2탄성부재(441)는 가압하기 위해 하강한 벤딩툴(440)을 원위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벤딩툴(440)은, 하강하면서 결합바(910)를 벤딩시킬 수 있도록 일단에 경사면(442)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442)의 중앙에는 벤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443)이 형성된다.
벤딩수단(400)의 상부에 중간 프레임(500)이 구비되는데, 이 중간 프레임(500)은 전체적으로 플레이트 형상이며, 양단에 삽입되는 안내봉(210)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중간 프레임(50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펀치부(510)가 구비되는데, 이 펀치부(510)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고, 중공의 직경은 스토퍼(460)의 상부로 돌출된 벤딩툴(440)의 상단 직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펀치부(510)가 하강할 때 벤딩툴(440)의 상단이 펀치부(510)의 중공으로 수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중간 프레임(500)의 상부에 가압부(600)가 설치된다. 이 가압부(600)는 후술하는 구동실린더(80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을 중간 프레임(500)으로 전달하여 중간 프레임(500)과 함께 펀치부(510)가 승강하도록 할 뿐 아니라, 벤딩된 결합바(910)가 소재(900)에 밀착하도록 다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압부(600)는 가압 플레이트(610)와, 가압부재(620), 가압실린더(630)를 포함하는데, 가압 플레이트(610)는 중간 프레임(500)의 상부에 이격하여 설치되며,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부재(620)가 구비되는데, 이 가압부재(620)는 전술한 중간 프레임(500)을 관통하여 펀치부(510)의 중공을 통해 벤딩툴(440)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가압 플레이트(610)의 상부 양측에 가압실린더(630)가 각각 설치되는데, 가압실린더(630)의 실린더 로드 끝단은 중간 프레임(500)에 결합된다. 따라서, 구동실린더(800)의 작동에 의해 가압부(600)가 승강할 때 여기에 결합된 중간 프레임(500)이 함께 승강하게 되며, 가압실린더(630)가 작동하면 중간 프레임(500)은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부(600)만이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즉, 구동실린더(800)가 신장되면 가압부(600)가 하강하게 되고, 가압실린더(630)의 실린더 로드가 결합된 중간 프레임(500) 역시 하강하며, 이때 펀치부(510)가 벤딩툴(440)의 후단을 중공으로 수용하면서 그 외주면인 스토퍼(460)를 밀어서 스토퍼(460)에 결합된 벤딩툴(440)을 하강시킨다. 이에 의해 소재(900)의 결합바(910)는 벤딩툴(440)의 가이드 홈(443)을 따라 벤딩되며 이후, 가압실린더(630)의 실린더 로드가 수축되면서 가압부(600)를 하강시키고, 가압부재(620)가 펀치부(510)의 중공을 통해 하강하면서 벤딩툴(440)의 후단을 하강시켜, 벤딩된 결합바(910)가 소재(900)에 밀착되도록 다시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가압부(600)의 상부에는 상부 프레임(700)이 설치되며 양단이 안내봉(210)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700)의 상측에는 구동실린더(800)가 설치되어 가압부(600)에 구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바 클린칭 장치(100)는, 클린칭 작업 후 소재(900)를 지지수단(300)으로부터 탈거하는 취출수단(370)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 취출수단(370)은 크게 취출부재(371)와, 취출실린더(372) 및 이동실린더(373)를 포함한다.
소재(900) 취출은, 지그(340)로부터 소재(900)를 들어올려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을 취하는데, 취출부재(371)는 소재(900)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해 소재(900)의 저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부면을 형성하고, 소재(900)를 들어올리기 위해 취출실린더(372)가 사용되며, 이동실린더(373)는 이렇게 들어올린 소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동실린더(373)는 베이스 프레임(200)상에서 전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수단(300)의 가이드부(330)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취출실린 더(372)는 이동실린더(373)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결합바 클린칭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사용자가 소재(900)를 지그(340)에 안착시킨 후, 양수버튼(220)을 누르면 작동실린더(360)가 신장되면서 회전축(351)을 회전시키고 지지암(353)이 소재(900)를 가압 지지하게 된다.
이후, 이송실린더(310)가 신장되면서 이송체(320)를 후진시키고, 이송체(320)에 결합된 지그(340)도 함께 후진하여 소재(900)를 작업위치에 위치시킨다.
이후, 구동실린더(800)가 신장되면서 가압부(600)와 함께 중간 프레임(500)을 하강시키게 되고, 펀치부(510)가 하강하면서 스토퍼(460)와 벤딩툴(440)을 하강시켜 소재(900)의 결합바(910)에 대한 벤딩작업이 이루어진다.
이후, 구동실린더(800)는 정지된 상태에서 가압실린더(630)가 수축되는데, 이에 따라 중간 프레임(500)은 고정된 상태에서 가압부(600)가 하강하고 가압부재(620)가 펀치부(510)의 중공을 통해 벤딩툴(440)의 후단을 가압하여, 벤딩된 결합바(910)를 다시 가압하여 소재(900)에 밀착시키며 이로써 결합바(910)의 클린칭 작업이 완료된다.
클린칭 작업 후 구동실린더(800)가 수축하면서 가압실린더(630)는 신장되어, 하강하였던 벤딩툴(440)이 제1탄성부재(451)와 제2탄성부재(441)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게 되며, 이송실린더(310)가 수축되면서 이송체(320)와 함께 지그(340)를 전 진시켜 소재(900)를 작업준비 위치에 되돌린다.
이후, 취출실린더(372)가 작동하여 소재(900)의 저면을 취출부재(371)가 지지하면서 지그(340)로부터 소재(900)를 들어올리고, 이동실린더(373)가 작동하여 소재(900)를 전방으로 취출해낸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도어 스커프의 금속판 결합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바가 클린칭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의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의 지지수단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바 클린칭 장치의 가이드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결합바 클린칭 장치 200 : 베이스 프레임
210 : 안내봉 220 : 양수버튼
300 : 지지수단 310 : 이송실린더
320 : 이송체 330 : 가이드부
340 : 지그 350 : 회전부재
370 : 취출수단 400 : 벤딩수단
440 : 벤딩툴 450 : 가이드바
460 : 스토퍼 500 : 중간 프레임
510 : 펀치부 600 : 가압부
700 : 상부 프레임 800 : 구동실린더
900 : 소재 910 : 결합바

Claims (6)

  1. 바닥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되는 이송실린더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전후 이동되는 이송체와, 상기 이송체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부에 지지되며 소재가 안착 지지되는 지그를 포함하는 지지수단;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위에 양단이 지지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승강하며 상기 소재의 결합바를 벤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벤딩툴을 포함하는 벤딩수단;
    상기 받침대의 상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안내봉을 따라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벤딩수단의 상부에 설치되고, 중공을 가진 펀치부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중간 프레임;
    상기 중간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중간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내봉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지그의 후단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암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이송체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지암이 상기 소재를 가압 지지하도록 하는 작동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벤딩수단은,
    상기 받침대 위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양단을 지지하는 고정블록과, 상기 벤딩툴의 양측에 구비되며 상기 벤딩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바를 더 포함하되,
    상기 벤딩툴은 하강하면서 상기 결합바를 벤딩 가공하도록 일단에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바의 벤딩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펀치부의 중공을 통해 승강하는 가압부재가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가압 플레이트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의 양측에 설치되며, 클린칭 작업 후 상기 소재를 상기 지지수단으로부터 탈거하는 취출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취출수단은,
    상기 소재의 저면을 지지하는 취출부재;
    상기 취출부재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소재를 들어올리는 취출실린더;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상에서 전후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취출실린더의 하측에 설치되는 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바 클린칭 장치.
KR1020070105935A 2007-10-22 2007-10-22 결합바 클린칭 장치 KR10087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935A KR100879545B1 (ko) 2007-10-22 2007-10-22 결합바 클린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935A KR100879545B1 (ko) 2007-10-22 2007-10-22 결합바 클린칭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9545B1 true KR100879545B1 (ko) 2009-03-03

Family

ID=4069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935A KR100879545B1 (ko) 2007-10-22 2007-10-22 결합바 클린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5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85Y1 (ko) * 2010-02-18 2012-03-27 (주)코스텍 자동용접장치
KR101970925B1 (ko) 2018-09-14 2019-04-19 임삼규 터미널 블록 클린칭 장치
CN113369359A (zh) * 2021-08-16 2021-09-10 南通力人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跑步机侧面装饰板生产用镂空冲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24U (ja) * 1991-07-23 1993-02-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ケースのかし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24U (ja) * 1991-07-23 1993-02-0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ケースのかしめ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485Y1 (ko) * 2010-02-18 2012-03-27 (주)코스텍 자동용접장치
KR101970925B1 (ko) 2018-09-14 2019-04-19 임삼규 터미널 블록 클린칭 장치
CN113369359A (zh) * 2021-08-16 2021-09-10 南通力人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跑步机侧面装饰板生产用镂空冲压装置
CN113369359B (zh) * 2021-08-16 2021-10-08 南通力人健身器材有限公司 一种跑步机侧面装饰板生产用镂空冲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619B1 (ko) 프레스 장치
KR20130050026A (ko) 차량용 패널 클램핑 장치
CN106040949B (zh) 铆接机
US6755070B2 (en) Cam-type press system
CN106826168A (zh) 汽车门限位器主体部分装配机的组装上料机构
KR100879545B1 (ko) 결합바 클린칭 장치
CN214489602U (zh) 一种冲孔装置
KR101403206B1 (ko) 소재 벤딩장치
CN204295116U (zh) 一种坐垫螺钉点焊治具
JP2017121644A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JP4495194B2 (ja) ヘミング加工装置
CN107932025A (zh) 一种应用在卡环压入机上的压入机构
KR100610860B1 (ko) 복합 플랜지 성형용 프레스 장치
CN207756697U (zh) 管件加工用模具装置及管件加工用穿孔加工装置
CN108160809A (zh) 管件加工用模具装置及管件加工用穿孔加工装置
CN216065041U (zh) 一种自清理的机械工件模具冲压机构
CN111014477B (zh) 集成式水平折弯压合机构
CN205768413U (zh) 一种agv用牵引销装置
CN209796680U (zh) 一种带有钉框中部支撑的钉框皮料上料工位
CN208825268U (zh) 一种汽车头枕杆加工用折弯机
JP4408031B2 (ja) プレス装置
KR101339315B1 (ko) 단조유닛트가 설치된 스프링 포밍장치
CN217070430U (zh) 汽车零件冲压模具
CN211588263U (zh) 一种自动售货机的柜门冲压成型模具
JP4317368B2 (ja) ヘミング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