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389B1 - 통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통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389B1
KR100879389B1 KR1020070070034A KR20070070034A KR100879389B1 KR 100879389 B1 KR100879389 B1 KR 100879389B1 KR 1020070070034 A KR1020070070034 A KR 1020070070034A KR 20070070034 A KR20070070034 A KR 20070070034A KR 100879389 B1 KR100879389 B1 KR 10087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am
holder device
leg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574A (ko
Inventor
김성식
Original Assignee
김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식 filed Critical 김성식
Priority to KR102007007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38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66C17/14Tong cranes with means for moving article-pushers relative to the to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58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deforming the articles, e.g. by using gripping members such as tongs or grapples
    • B66C1/59Tongs for s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레인의 훅크에 연설되어 고중량의 물체를 이동시키는 통에 설치된 통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 홀더장치를 이용하여 통의 다리를 고정하되 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게 통 홀더장치의 통키를 설치하고, 상기 통키의 길이변화에 따라 회동하여 다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록킹암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통의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통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인 통 홀더장치(2)는 통의 안전장치인 통의 다리를 고정하는 통 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 홀더장치(2)는 길이변화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키(10)와; 상기 통키(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회전 포인트(P1)의 핀에 고정설치되고는 통키암(20)과; 상기 통키(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회전 포인트(P1)의 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통키(10)의 길이변화에 의하여 작동하는 고리(31)가 형성된 록킹암(30)과; 상기 록킹암(30)의 작동으로 고리(31)에 걸림과 풀림이 되도록 다리(L2)에 설치된 걸림핀(40)으로 구성되되, 상기 통 홀더장치(2)는 통(1)의 중심축(C)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통키(10)의 길이변화에 따라 회전 포인트(P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다리(L2)에 형성된 걸림핀(40)에 걸림과 풀림이 이루어져 록킹암(30)이 통의 다리(L2)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통키(10)는, 일측이 록킹암(3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실린더부(111)가 형성된 제1몸체(110)와; 일측이 통키암(2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몸체(110)의 실린더부(111)에 삽설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몸체(120)와; 상기 제2몸체(120)의 내측으로 캠면(131)이 형성된 상부캠(130)과, 캠면(141)과 상사점의 고정부(142)와 하사점의 고정부(143)가 형성된 하부캠(140)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캠(130)의 캠면(131)과 하부캠(140)의 캠면(141)은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동통로(17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캠(130)과 하부캠(140)의 캠면(131, 141)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통로(170)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핀(151)이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제1몸체(110)의 내측에 축방향의 이동은 안 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축(150)으로 이루어진다.
통, 홀더장치, 다리, 몸체

Description

통 홀더장치{Holder equipment of Tongs}
도 1은 종래의 통 홀더장치가 설치된 통에 대한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의 통 홀더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통 홀더장치가 설치된 통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통 홀더장치가 설치된 통의 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통 홀더장치 부분에 대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통키암.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록킹암.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통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통키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상부캠.
도 11은 도 10의 상부캠의 내측의 캠면선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하부캠.
도 13은 도 12의 하부캠의 내측의 캠면선도.
도 14는 도 3의 '가' 부분에 대한 단면도.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의 부호에 대한 설명]
1 : 통 2 : 통 홀더장치
10 : 통키 20 : 통키암
30 : 록킹암 40 : 걸림핀
110 : 제1몸체 120 : 제 2몸체
130 : 상부캠 140 : 하부캠
150 : 축 160 : 볼
P1, P2, P3, P4 : 회전포인트 L1, L2, L3 : 다리
본 발명은 크레인의 훅크에 연설되어 고중량의 물체를 이동시키는 통에 설치된 통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 홀더장치를 이용하여 통의 다리를 고정하되 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게 통 홀더장치의 통키를 설치하고, 상기 통키의 길이변화에 따라 회동하여 다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록킹암이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통의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통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의 훅크에 연설되어 중량의 물체를 통에 설치되어 있는 다리(집게)를 이용하여 집어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통의 다리(집게)를 고정하 는 홀더장치가 설치되지 않을 시에는 통의 다리에 물려지는 물체를 해체시 용이하지 못하거나 물체가 물려있지 않은 상태에서 크레인에 의하여 상측으로 올려져 이동할 경우 통의 다리가 하측으로 내려져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고자 본 발명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중량의 물체를 이동시키는 통의 다리를 고정시키는 통 홀더장치가 설치되며, 아래와 같이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8136호(명칭 : 천장 크레인의 통키 안전장치)에 제시된 종래기술을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라브(slab, 108)를 집는 집게 형상의 통스(tongs, 110)와; 통스(110)의 오픈 간격을 조절하는 센터 빔(center beam)과; 수평 사각 프레임(106)과 센터 빔 사이에 설치되어 통스(110)의 오픈과 크로스를 제어하는 하우징(112), 통키(tong key, 114), 베이스(base, 116) 및 통키 링크(118)와; 통스(110)가 슬라브(108)를 픽업할 때 슬라브(108)의 상부면에 밀착되도록 롤이 장착된 지지블록(supporting block, 12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112)의 내부면에는 톱니 형상의 상부 캠(112a)과 하부 캠(112b)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12)의 내부에는 통키(114)의 상단부가 회전 및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통키(114)의 하단에는 T자형 단면구조의 걸림턱(114a)이 형성되어 있고, 통키(114)의 상단부에는 통키핀(114b)이 관통 삽입되어 있고, 베이스(116)에는 통키(114)의 걸림턱(114a)이 일자 형태로 삽입되어 90°회전하면 걸림턱(114a)과 십자 형태로 교차하여 걸림턱(114a)의 이탈을 막고 걸림턱(114a)이 동일 방향으로 90°더 회전하면 걸림턱(114a)과 다시 일자 형태를 이루게 되어 걸림 턱(114a)이 베이스(116)에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단턱(116a, 116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통키핀(114b)의 양단은 통키(114)의 외부로 돌출되어 각각 하우징(112)의 상부 캠(112a)과 하부 캠(112b)을 따라 이동하고, 통키핀(114b)의 이동에 따라 통키(114)도 통키핀(114a)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각도와 동일한 방향 및 각도로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에 제시되어 있는 종래기술은 고중량의 물체를 이동시키는 통의 다리(집게) 하중을 통키가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통키가 고중량의 다리 하중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통키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질 경우 통의 다리가 물체를 집거나 해체할 때에 통의 다리가 움직임으로써 통키에 충격하중이 가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크레인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통의 다리 역시 고 중량물로써 통키가 파손될 경우 커다란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본 발명은, 통의 다리를 고정하는 통 홀더장치를 설치하되, 통 홀더장치를 구성하는 통키에 통의 다리하중을 지지하지 않도록 통키를 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통키에 의하여 작동되는 록킹암이 통의 다리를 지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길이변화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키와; 상기 통키를 고정하는 통키암과; 상기 통키의 길이변화에 의하여 작동하는 고리가 형성된 록 킹암과; 상기 록킹암의 작동으로 고리에 걸림과 풀림이 되도록 다리에 설치된 걸림핀으로 구성되되, 상기 통 홀더장치는 통의 중심축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록킹암이 통의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는 통 홀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통의 안전장치로 사용되는 통의 다리를 고정하는 통 홀더장치인 본 발명은,
상기 통 홀더장치(2)는 길이변화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키(10)와;
상기 통키(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회전 포인트(P1)의 핀에 고정설치되고는 통키암(20)과;
상기 통키(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회전 포인트(P1)의 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통키(10)의 길이변화에 의하여 작동하는 고리(31)가 형성된 록킹암(30)과;
상기 록킹암(30)의 작동으로 고리(31)에 걸림과 풀림이 되도록 다리(L2)에 설치된 걸림핀(40)으로 구성되되,
상기 통 홀더장치(2)는 통(1)의 중심축(C)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통키(10)의 길이변화에 따라 회전 포인트(P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다리(L2)에 형성된 걸림핀(40)에 걸림과 풀림이 이루어져 록킹암(30)이 통의 다리(L2)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 통(1)은 4개의 회전포인트를 가지는 3포인트 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키(10)는, 일측이 록킹암(3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실린더 부(111)가 형성된 제1몸체(110)와; 일측이 통키암(2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몸체(110)의 실린더부(111)에 삽설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몸체(120)와; 상기 제2몸체(120)의 내측으로 캠면(131)이 형성된 상부캠(130)과, 캠면(141)과 상사점의 고정부(142)와 하사점의 고정부(143)가 형성된 하부캠(140)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캠(130)의 캠면(131)과 하부캠(140)의 캠면(141)은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동통로(17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캠(130)과 하부캠(140)의 캠면(131, 141)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통로(170)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핀(151)이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제1몸체(110)의 내측에 축방향의 이동은 안 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축(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축(150)과 제1몸체(110)와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축(150)의 끝단부와 제1몸체(110) 사이에는 볼(160)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축(150)이 제1몸체(110)에 설치되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고,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축(150)에 블록(152)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블록(152)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블록(112)이 제1몸체(110)에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통 홀더장치가 설치된 통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1)은 크레인의 훅크에 설치될 수 있도록 훅걸림대(70)와, 4개의 회전포인트(P1, P2, P3, P4)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중량의 물체를 집는 링크형태로 설치된 쌍으로 이루어진 3개의 다리(L1, L2, L3)로 구성되고, 상기 통(1)에는 다리의 회동을 제어하는 통 홀더장치(2)가 설치된다.
상기 통 홀더장치(2)에 의하여 도 3과 같이 다리가 고정되거나, 도 4와 같이 고정이 해제되어 통의 다리가 하측으로 하강하면서 한쌍의 다리(L3)가 오므라져 중량의 물체를 집게 된다.
좀더 통(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훅 걸림대(70)가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고정판(50)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한쌍의 제1다리(L1)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제1다리(L1)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한쌍의 제2다리(L2)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제2다리(L2)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한쌍의 제3다리(L3)를 링크 형태로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쌍으로 이루어진 다리(L1, L2, L3)들을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4개의 회전포인트(P1, P2, P3, P4)를 가지게 된다. 즉, 제1다리(L1)가 회동하도록 설치된 고정판에 제1회전포인트(P1)가 형성되고, 제1다리(L1)와 제2다리(L2)가 회동되게 연결된 회동지점이 제2회전포인트(P2)가 되며, 제2다리(L2)의 중간부분에 제3다리(L3)의 일단이 회동되게 연결된 회동지점이 제3회전포인트(P3)가 되고, 제2다리(L2)의 끝단부분에 제3다리(L3)의 타단이 회동되게 연결된 회동지점이 제4회전포인트(P4)가 된다.
도 14와 같이 상기 제1다리(L1)에는 제2다리(L2)의 회동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회전방지구(60)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방지구(60)는 다리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리의 과도한 회전으로부터 통(1)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통(1)의 다리를 제어하는 통 홀더장치(2)는, 길이변화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키(10)와, 상기 통키(10)를 고정하는 통키암(20)과, 상기 통키(10)의 길이변화에 의하여 작동하는 고리(31)가 형성된 록킹암(30)과, 상기 록킹암(30)의 작동으로 고리(31)에 걸림과 풀림이 되도록 다리(L2)에 설치된 걸림핀(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리(L2)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핀(40)의 일측으로 보조핀(41)을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핀(41)은 통(1)의 다리가 접혀질 때 록킹암(30)과 걸림핀(40) 사이에 서로 접촉하여 발생되는 충격하중으로부터 록킹암(30)과 걸림핀(40)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 홀더장치(2)는 도 5와 같이 통(1)의 제1회전포인트(P1)에 설치되어 통의 중심축(C)으로부터 일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회전포인트(P1)의 핀에 통키암(20)은 고정되게 설치하고, 록킹암(30)은 제1회전포인트(P1)의 핀에 회전되게 설치하여 제1회전포인트(P1)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하며, 상기 통키암(20)과 록킹암(30) 사이에 통키(10)의 양단을 회동되게 핀으로 설치한다.
상기 통키암(20)과 록킹암(30)에 대하여 좀더 설명하면, 상기 통키암(20)과 록킹암(30)은 각각 관통홀이 형성되어 제1회전포인트(P1)의 핀에 설치되되, 상기 통키암(20)은 제1회전포인트(P1)의 핀과 억지끼움을 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록킹암(30)은 제1회전포인트(P1)의 핀과 헐거운 끼움을 하여 회전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통 홀더장치(2)는 통키(10)의 길이변화에 의하여 록킹암(30)을 회동시켜 다리(L2)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핀(40)에 걸리거나 풀림으로써 통(1)의 다리를 제어한다.
상기의 통키(10)는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통키(10)는 크게 일측에 실린더부(111)가 형성된 제1몸체(110)와, 상기 실린더부(111)에 일측이 내삽되되 축방향의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몸체(120)와, 상기 제2몸체(120)의 내측으로 고정설치되는 상부캠(130) 및 하부캠(140)과, 상기 상부캠(130)과 하부캠(140)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170)에 작동핀(151)이 설치되고 제1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축(150)과, 상기 축(150)과 제1몸체(110) 사이에 설치된 볼(160)로 구성된다.
상기 일측으로 실린더부(111)가 형성된 제1몸체(110)는 타측이 록킹암(3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내측으로 볼(160)을 안치할 수 있는 홈(113)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축(150)이 설치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위치블록(112)을 구비하며, 상기 위치블록(112)은 고정되게 설치하여 회전하는 축(150)이 축방향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 제1몸체(110)의 실린더부(111)에 삽설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몸체(120)는 일측이 통키암(20)에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2몸체(120)의 내측으로 고정설치된 상부캠(130)에는 캠면(131)이 형성된다. 도 11은 상부캠(130)의 일측을 절단하여 펼쳤을 경우 캠면(131)에 의하여 나타나는 선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2몸체(120)의 내측으로 고정설치된 하부캠(140)에는 캠면(141)이 형성되고, 축(150)의 작동핀(151)이 안치되는 상부 고정부(142)와 하부고정부(143)가 형성된다. 도 13은 하부캠(140)의 일측을 절단하여 펼쳤을 경우 캠면(141)에 의하여 나타나는 선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상부캠(130)의 캠면(131)과 하부캠(140)의 캠면(141)을 이격되게 설치하여 형성된 이동통로(170)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핀(151)이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제1몸체(110)의 내측에 축방향의 이동은 안 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축(150)에 의하여 통키(10)의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즉, 도 3은 통키(10)가 신장(길어진 상태)하여 록킹암(30)의 고리(31)가 걸림핀(40)에 고정된 상태로, 이때에는 축(150)의 작동핀(151)이 하부캠(140)의 상부 고정부(142)에 안치된 상태이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통(1)을 집을 중량의 물체에 접촉시키게 되면, 즉,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중량의 물체와 통(1)의 다리가 접촉하게 되면 통키(10)가 소정량 만큼 압축되어 상부캠(130)에 의하여 하부캠(140)의 상부 고정부(142)에서 축(150)의 작동핀(151)이 이탈하고, 이탈한 작동핀(151)은 상부캠(130)의 캠면(131)과 하부캠(140)의 캠면(141)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통로(170)를 따라 이동하다 하부 고정부(143)에 안치되게 된다. 이때에는 통키(10)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로 록킹암(30)의 고리(31)가 걸림핀(40)에서 해제되게 된다.
상기 걸림대(40)에서 록킹암(30)이 이탈되어 통(1)은 도 4와 같이 다수개의 다리가 다수개의 회전포인트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중량의 물체를 집게 된다.
다시 통(1)에 고정된 중량의 물체를 내려놓게 되면, 물체를 내려놓는 과정에서 통키(10)가 소정량 만큼 압축되어 상부캠(130)에 의하여 하부캠(140)의 하부 고정부(143)에서 축(150)의 작동핀(151)이 이탈하고, 이탈한 작동핀(151)은 상부캠(130)의 캠면(131)과 하부캠(140)의 캠면(141)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통로(170)를 따라 이동하다 상부 고정부(142)에 안치되게 된다. 이때에는 통키(10)의 길이가 다시 신장하게 되어 걸림핀(40)에 록킹암(30)의 고리(31)가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작동하는 본 발명의 통 홀더장치에 의하여 통 홀더장치의 통키가 다리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통키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이 중량의 물체를 집거나 해제할 경우 통 홀더장치의 통키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함으로써 통키의 파손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통 홀더장치의 통키의 파손시에도 통 홀더장치의 록킹암이 다리를 고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통의 안전장치인 통의 다리를 고정하는 통 홀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 홀더장치(2)는 길이변화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통키(10)와;
    상기 통키(1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회전 포인트(P1)의 핀에 고정설치되고는 통키암(20)과;
    상기 통키(10)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설치되고, 타측은 회전 포인트(P1)의 핀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통키(10)의 길이변화에 의하여 작동하는 고리(31)가 형성된 록킹암(30)과;
    상기 록킹암(30)의 작동으로 고리(31)에 걸림과 풀림이 되도록 다리(L2)에 설치된 걸림핀(40)으로 구성되되,
    상기 통 홀더장치(2)는 통(1)의 중심축(C)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통키(10)의 길이변화에 따라 회전 포인트(P1)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다리(L2)에 형성된 걸림핀(40)에 걸림과 풀림이 이루어져 록킹암(30)이 통의 다리(L2)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 홀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1)은 4개의 회전포인트를 가지는 3포인트 통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 홀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키(10)는,
    일측이 록킹암(3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실린더부(111)가 형성된 제1몸체(110)와;
    일측이 통키암(20)에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제1몸체(110)의 실린더부(111)에 삽설되어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몸체(120)와;
    상기 제2몸체(120)의 내측으로 캠면(131)이 형성된 상부캠(130)과, 캠면(141)과 상사점의 고정부(142)와 하사점의 고정부(143)가 형성된 하부캠(140)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상부캠(130)의 캠면(131)과 하부캠(140)의 캠면(141)은 이격되게 설치되어 이동통로(170)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캠(130)과 하부캠(140)의 캠면(131, 141)에 의하여 형성된 이동통로(170)를 따라 이동하는 작동핀(151)이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으로는 제1몸체(110)의 내측에 축방향의 이동은 안 되고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축(1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 홀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150)과 제1몸체(110)와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축(150)의 끝단부와 제1몸체(110) 사이에는 볼(1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 홀더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축(150)이 제1몸체(110)에 설치되되, 축방향의 이동을 방지하고,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축(150)에 블록(152)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블록(152)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블록(112)이 제1몸체(110)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 홀더장치.
KR1020070070034A 2007-07-12 2007-07-12 통 홀더장치 KR10087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34A KR100879389B1 (ko) 2007-07-12 2007-07-12 통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34A KR100879389B1 (ko) 2007-07-12 2007-07-12 통 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74A KR20090006574A (ko) 2009-01-15
KR100879389B1 true KR100879389B1 (ko) 2009-01-20

Family

ID=40487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034A KR100879389B1 (ko) 2007-07-12 2007-07-12 통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3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3411B1 (ko) * 2012-04-30 2018-10-31 주식회사 포스코 픽업 크레인의 통키 잠금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622A (en) * 1977-12-15 1979-10-02 Ppg Industries, Inc. Tong for supporting glass sheets having their edges welded together
US4262952A (en) 1979-12-26 1981-04-21 Bradley Lifting Corp. Lifting tong toggle lock
KR920006185Y1 (ko) * 1990-01-31 1992-09-17 한국중공업 주식회사 통즈의 다단 잠금 장치
KR200204489Y1 (ko) 2000-06-23 2000-11-15 김종운 크레인용 그립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9622A (en) * 1977-12-15 1979-10-02 Ppg Industries, Inc. Tong for supporting glass sheets having their edges welded together
US4262952A (en) 1979-12-26 1981-04-21 Bradley Lifting Corp. Lifting tong toggle lock
KR920006185Y1 (ko) * 1990-01-31 1992-09-17 한국중공업 주식회사 통즈의 다단 잠금 장치
KR200204489Y1 (ko) 2000-06-23 2000-11-15 김종운 크레인용 그립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74A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3918B2 (en) Self-opening tong lifting device
KR100879389B1 (ko) 통 홀더장치
JP6165435B2 (ja) フック装置
EP3424864B1 (en) Release mechanism
JP2011190082A (ja) 型鋼の吊り装置
JP2001063958A (ja) 多脚ブロック等掴みアーム
EP1978205B1 (en) Magnet rod-manipulator device for earth-drilling
KR100682094B1 (ko) 천정 기중기용 슬라브 낙하 방지장치
KR20180094754A (ko) 구조적인 안전성을 갖는 샤클
CN113307144A (zh) 一种超长坯均衡夹紧夹钳
JP2017186131A (ja) クレーン装置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の設置方法
JP5642412B2 (ja) 平面位置アジャスト吊り治具
JP4795865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用吊上具
CN217578057U (zh) 一种用于建筑工程的吊运装置
CN103539023A (zh) 平衡臂和拉杆与塔头的安装结构、安装方法及塔式起重机
JP4678931B2 (ja) コンクリート内吊りクランプ
KR102575070B1 (ko)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장착형 고정기구
JPH0450302Y2 (ko)
JP6642543B2 (ja) 吊り具
CN211920803U (zh) 一种便携式检修升降平台
US10077172B1 (en) Interchangeable jib tool
KR100845265B1 (ko) 센터빔 추락 방지기능을 갖는 천정기중기의 통스
KR20120000735U (ko) 유압식 집게장치
JPH0637045Y2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の施工用吊具
KR100870765B1 (ko) 비정상적인 걸림이 발생되지 않는 통스키의 스핀들 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