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804B1 -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및 타이밍 디스크용 자가중심설정 허브 - Google Patents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및 타이밍 디스크용 자가중심설정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804B1
KR100877804B1 KR1020060092577A KR20060092577A KR100877804B1 KR 100877804 B1 KR100877804 B1 KR 100877804B1 KR 1020060092577 A KR1020060092577 A KR 1020060092577A KR 20060092577 A KR20060092577 A KR 20060092577A KR 100877804 B1 KR100877804 B1 KR 100877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lamping
clamping piece
annular
shank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2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4944A (ko
Inventor
바울-빌헤름 브라운
Original Assignee
페베베-루라텍 인두스트리프로둑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베베-루라텍 인두스트리프로둑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페베베-루라텍 인두스트리프로둑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34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4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38Centering or locking of a plurality of discs in a single cartrid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9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axial loading of at least one pair of conical surfaces
    • F16D1/093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axial loading of at least one pair of conical surfaces using one or more elastic segmented conical rings forming at least one of the conical surfaces, the rings being expanded or contracted to effect clamping
    • F16D1/095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axial loading of at least one pair of conical surfaces using one or more elastic segmented conical rings forming at least one of the conical surfaces, the rings being expanded or contracted to effect clamping with clamping effected by ring contraction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01D5/3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 G01D5/347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using displacement encoding scales
    • G01D5/3473Circular or rotary encoders
    • G01D5/34738Axles; Driving or coupl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9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axial loading of at least one pair of conical surfaces
    • F16D1/093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axial loading of at least one pair of conical surfaces using one or more elastic segmented conical rings forming at least one of the conical surfaces, the rings being expanded or contracted to effect clamping
    • F16D1/095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axial loading of at least one pair of conical surfaces using one or more elastic segmented conical rings forming at least one of the conical surfaces, the rings being expanded or contracted to effect clamping with clamping effected by ring contraction only
    • F16D2001/0955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due to axial loading of at least one pair of conical surfaces using one or more elastic segmented conical rings forming at least one of the conical surfaces, the rings being expanded or contracted to effect clamping with clamping effected by ring contraction only the clamping is effected by hub contraction, i.e. a compression of the hub instead of the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자가 중심 설정 허브, 특히 엔코더, 스탭핑 모터, 스피닝 롤러 드라이브 등의 타이밍 디스크를 위한 자가 중심 설정 허브는 타이밍 디스크 또는 코드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허브판과, 입력 또는 출력 유닛의 샤프트 단부 상에서 활주하기 위한 슬롯 형성 허브 생크를 포함한다.
타이밍디스크, 허브, 코드캐리어, 샤프트, 허브생크

Description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및 타이밍 디스크용 자가중심설정 허브{TIMING DISC ARRANGEMENT AND SELF-CENTERING HUB FOR TIMING DISCS}
이하에서, 모터 샤프트의 허브의 원추형 클램핑 상태를 갖는 자가 중심설정 타이밍 디스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1은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자가 중심설정 허브를 통한 단면도.
도 2는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른 타이밍 디스크 허브의 조립 시퀀스의 개략도.
도 3은 부가의 세부사항을 갖는 도 1의 확대도.
본 출원은 타이밍 디스크 또는 코드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허브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슬롯 형성된 허브 생크가 허브 생크에서 환형 클램핑 피스가 형상 끼움식으로 활주될 뿐만 아니라 입력 또는 출력 유닛의 샤프트 단부에서 활주되기 위한 것인, 엔코더, 스테핑 모터 또는 코드 캐리어 구동부의 타이밍 디스크용 자가 중심설정 허브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 제19860012A1(PWB-Ruhlatec Industrieprodukte GmbH)로부터, 최초 로 개시된 형식의 자가 중심설정 타이밍 디스크 허브와 이를 장착하는 방법이 공지되었다. 자가 중심설정은 허브 생크의 외부벽이 생크 단부로부터 타이밍 디스크의 접촉면까지 상승하는 콘 각도를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추형인 것으로 달성된다. 허브 생크가 모터 샤프트 상에서 활주된 후에, 예를 들어 링 형상인 클램핑 요소가 콘 상에서 활주되고, 그 결과 모터 샤프트 상의 슬롯 형성된 허브의 클램핑 효과는 증가된다.
타이밍 디스크 허브가 장착된 후에, 모터 샤프트 상에서 자동적으로 중심설정이 이루어지는 것, 즉 자가 중심설정 작용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샤프트 단부와 모터 플랜지면에 각각 대면하는 측면에서 허브 생크는 소위 "캐칭 보어"를 포함한다. 게다가, 자가 중심설정을 달성하기 위해, 모터 샤프트와 허브 생크 사이의 소정의 이동 및 안내량이 요구되어, 허브는 정확한 각도로 샤프트를 밀어낼 수 없지만, 원추형으로 넓어지는 캐칭 보어에서 중심 설정된다.
독일 특허 제10150705A1호(Bayerische Motorenwerke AG)는 샤프트의 반경 방향으로 허브의 장력 응력을 허용하는 허브의 외측에 자유 장력(pre-tensioning) 요소가 배열되는 끼움 샤프트/허브 연결 형태를 개시한다. 자유 장력 요소는 장력 너트의 기능을 갖고, 원추형 내부 쓰레드를 구비한다. 자유 장력 요소가 장력 위치에 고정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독일 특허 제19737307A1호에는 샤프트와 허브를 연결하기 위한 수축 디스크를 개시한다. 이는 원추형 외부면을 갖는 장력 슬리브와, 원추형 내부면을 갖는 장력 링으로 구성되고, 장력 슬리브의 원추형 외부면은 장력 링의 내부 쓰레드와 결합하도록 원추형 쓰레드를 구비한다. 장력 슬리브와 장력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수축 디스크는 조여진다. 대응하는 높은 토크값이 인가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각각 장력 슬리브와 수축 디스크에 하나의 6각형이 배열된다.
자가 중심설정 허브의 이용은 모든 기술 분야에서 보다 일반적이고, 이미 매우 많은 수의 제품들이 달성되었다. 대량 생산의 상태 하에서, 모터 샤프트와 타이밍 디스크의 표면 품질에 대해, 그리고 요구되는 공차를 관찰할 수 있는 생산 정밀도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대한 문제점이 야기된다. 모터 샤프트에 대한 타이밍 디스크의 약간의 변위 또는 스큐(skew) 위치도 서보 모터, 스프링 롤러 구동부 또는 유사한 검지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에 충분히 악영향을 끼치는데 충분하여, 반품의 할당량을 증가시킨다.
입력 또는 출력 유닛의 샤프트 상의 원추형 클램핑 효과를 갖는 엔코더, 스테핑 모터 또는 스피닝 롤러 구동부의 타이밍 디스크용 자가 중심설정 허브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고 자가 중심설정 허브가 임의의 요구없이 정위치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목적은 자동적으로 조절하고 고정하는 것이고, 공차의 편차와 엄격하지 않은 재료 요구의 경우에도 임의의 샤프트, 보다 상세히는 엔코더의 측면에서 샤프트 단부에 대해 중심으로 활주되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장착 절차는 엔코더와 스테핑 모터용으로 요구되는 정확도를 갖고 대량 생산 상태 하에서 취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상술하는 실시예의 특성들에서 언급된 특징에 의해 목적이 달성된다. 피니온 또는 클램핑 부재의 단순한 회전 운동이 허브의 축방향으로의 클램핑 피스의 상대 운동을 발생시키고, 상대 운동은 클램핑 부재, 클램핑 피스와 허브 생크 사이의 원추형 클램핑 상태를 야기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허브 생크가 슬롯 가공됨에 따라, 약간의 압력만으로, 바람직하게는 임의의 압력 없이 모터 샤프트 상에서 활주될 수 있다. 허브, 클램핑 피스 및 클램핑 부재의 반경 대칭 설계와 동축 배열은 높은 클램핑력을 갖는 자가 중심설정 효과를 달성하고, 견고한 클램핑 피트는 극한 온도 변화 상태 하에서도 수년(> 10년)에 걸쳐 방해받지 않는 작동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단어 "발명" 또는 "발명의 실시예"가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단어 "발명" 또는 "발명의 실시예"는 "발명" 또는 "발명의 실시예"의 복수인 "발명들" 또는 "발명의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발명" 또는 "발명의 실시예"를 언급함으로써, 본 출원인은 본 출원이 하나 이상의 특허성 있는 자명하지 않은 별개의 발명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임의의 방식으로 허용하지 않고, 이러한 출원이 하나 이상의 특허성있는 자명하지 않은 별개의 발명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지한다. 이로써, 출원인은 본 출원서가 하나 이상의 발명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발명이 있는 경우에, 이들 발명이 특허성이 있고, 다른 것에 대해 자명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허브 플레이트(1.1)와 슬롯 가공된 허브 생크(1.2)를 포함하는 허 브(1)를 도시한다. 타이밍 디스크(2)는 접착 링(3)을 통해 허브 플레이트(1.1)의 외측에 고정된다.
허브 생크(1.2)는 환형 클램핑 피스(4)를 폼 피팅식으로 활주하는(form-fittingly slid)) 외부 콘을 지지한다. 클램핑 피스(4)가 허브축에서 변위되면, 동시에 자가 중심설정 및 샤프트 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원추형 클램핑 효과가 발생하여, 도 2에 따라 허브의 보어 내로 활주될 수 있다.
클램핑 피스(4)를 축방향으로 변위하도록, 환형 클램핑 부재(5)가 연속 허브 플레이트 에지(7)에서 위치된 허브 축(6)을 기준으로 하여 중심 지지되어 타이밍 디스크로부터 멀리 있는 허브 플레이트 단부면에서 클램핑 피스(4) 상에서 활주된다.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의 사이에는 나선형 기어 또는 나사 연결 형태 등의 형상-끼움식(form-fitting) 및 힘-로킹식(force-locking)(즉, 맞물려서 고정되는 방식) 이동부재(8)가 제공되어(도 3 참조),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상승 원추 각도(rising cone angle) 쪽으로 클램핑 피스(4)의 축방향 전방 이동이 가능하고, 그 결과 모터 축 상에서 동심으로 작용하는 자가중심설정 효과에 의해 수반되는 원추형 클램핑 상태와 클램핑 끼움이 달성된다.
도 1에 따라,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 사이의 상대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부재(5)에 연결된 축(10)에 회전식으로 배열된 피니언(9)을 통해 도입된다. 도 1에 따라, 클램핑 부재(5)와 피니언 축(10) 사이의 강성 연결이 허브 플레이트(1.1)로부터 이격된 단부면에서 환형 클램핑 부재(5)가 접촉하는 커버 플레이트(11)를 경유하여 달성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11)는 기계 나사(12.1, 12.2, 12.3)에 의해 클램핑 부재(5)에 견고하게 쓰레드 결합된다.
피니언(9)은 클램핑 피스(4)의 외부 톱니(4.1)에 의해 결합되어, 피니언(9)이 피니언 축(10) 주위에서 회전할 때 클램핑 피스(4)가 또한 회전되고, 그 과정에서 쓰레드 등에 의한 형상 끼움식 연결 때문에 이동부재(8)와 나선 톱니들이 모터 샤프트와 허브 생크(1.2) 사이의 원추형 클램핑 상태를 달성하게 한다.
원추형 클램핑 상태의 자가 중심설정 허브의 장착 및 방법은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허브 플레이트의 타이밍 디스크 단부에서 샤프트 단부가 허브의 보어 내로 도입된다고 가정한다. 허브(1)는 예비 장착되지만, 약간의 원추형 클램핑 효과를 나타내도록 클램핑 피스(4)와 허브 생크(1.2) 사이의 형상-끼움 및 힘-로킹 접촉(즉, 맞물려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됨)이 설정된다.
예비 장착은 클램핑 부재(5)가 허브 플레이트(1.1) 상에서 활주하여 클램핑 피스(4)가 클램핑 부재(5)와 허브 생크(1.2)의 외부벽 사이에 느슨하게 나사 결합되어 발생된다.
동시에, 피니언(9)은 클램핑 부재(5)에 연결될 수 있고, 피니언(9)과 클램핑 피스(4) 사이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톱니 연결이 달성되도록 주의가 취해진다. 이제, 폐쇄 목적으로, 커버 플레이트(11)는 기계 나사(12.1, 12.2, 12.3)에 의해 클램핑 부재(5)에 쓰레드 결합된다.
허브 축(6)을 따라 샤프트 단부가 활주할 때, 약간의 압력만이 발생된다. 피니언 축(10)의 피니언(9)의 회전의 결과로써 허브의 자가 중심설정 최종 위치가 모터 샤프트에서 달성될 때만이 자가 중심설정 허브용으로 달성된 고정 보유 상태 의 결과로 주축의 원추형 클램핑 상태이다.
도 3은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도 1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이동부재(8)는 나선형 기어 또는 스크루 나사와 같은 몇몇 형태의 톱니형 또는 결합 배열을 포함한다. 이동부재(8)는 서로 정합식으로 결합하는 2개의 부분(8a,8b)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부분(8a,8b)은 각각 클램핑 피스(4) 및 클램핑 부재(5)와 일체형이거나 클램핑 피스(4) 및 클램핑 부재(5)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부분(8a,8b)은 둘 중 하나 또는 모두가 회전하여 서로를 향하는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상보적인 스크루-나사 또는 나선 기어 톱니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타이밍 디스크(2), 허브판(1.1), 클램핑 부재(5) 및 커버판(11)을 통해 연장하는 보어 구멍(X)이 있다. 이들 4개의 부품 각각은 보어 구멍(X)을 형성하도록 공통의 축(10)을 따라 정렬된 개별적인 구멍을 갖는다. 보어 구멍(X)은 또한 피니언(9)의 중심을 통과하는 구멍으로 정렬되어, 피니언(9) 및 보어 구멍(X)은 피니언(9)이 회전하는 공통의 축(10)을 공유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보어 구멍(X)은 자가 중심 설정 허브의 하나의 단부로부터 피니언(9)에 접근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니언(9)은 회전될 수 있어서, 차례로 클램핑 피스(4)의 외부 톱니(4.1)와 피니언(9) 사이의 결합을 통해 클램핑 피스(4)가 회전한다. 피니언(9)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 장치가 피니언(9) 내부에 삽입될 수 있어서, 피니언(9)을 회전시키도록 회전된다.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서, 피니언(9)은 회전 장치와 결합하기 위해 정합 톱니, 마찰면 또는 블레이드형 슬롯과 같은 인터페이스 구조를 내부에 가질 수 있다. 회전 장치는 스크루드라이버와 같은 수동 회전 장치이거나, 전력 공급된 회전을 위한 구동 기구를 갖는 장치일 수 있다. 보어 구멍(X)이 자가 중심 설정 허브의 양 단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통해 연장하는 축에 대해 자가 중심 설정 허브를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기 위해 피니언에 접근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보어 구멍(X)은 자가 중심 설정 허브의 각 단부 상에서 폐쇄되는 막힌 보어 구멍일 수 있다. 또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재(5)는 측부로부터 피니언(9)의 톱니에 접근 가능하도록 피니언(9)에 인접한 외부면에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피니언(9)의 회전이 피니언(9)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기어 또는 다른 피니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어 구멍(X)은 더 이상 필요치 않다.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샤프트 상에 부착되기 이전의 자가 중심 설정 허브의 조립체에서, 클램핑 부재(5)는 허브(1)와 끼워진다. 그 후에, 클램핑 피스(4)는 부분(8a, 8b)의 결합에 의해 클램핑 부재(5)에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대체로 동시에, 클램핑 피스(4)는 클램핑 피스(4) 내의 허브 생크(1.2)를 보유하도록 마찰 끼움으로 원추형 허브 생크(1.2)를 결합한다. 피니언(9)은 그 후에 클램핑 부재(5)와 클램핑 피스(4)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리세스는 보어 구멍(X)의 축(10)과 동축으로 배치된다. 삽입 시에, 피니언(9)은 클램핑 피스(4)의 톱니(4.1)와 정합식으로 결합된다. 커버판(11)은 그 후에 리세스 내의 피니언(9)을 유시하도록 나사 결합된다. 타이밍 디스크(2)는 접착 링(3) 또는 다른 적절한 부착 구조물 또는 재료를 사용하여 허브판(1.1)에 부착된다.
조립체가 완성되면, 자가 중심 설정 허브는 샤프트 상에 부착될 준비가 된다. 부착 공정은 자가 중심 설정 허브를 샤프트 상에 활주시킨 후에 피니언(9)을 회전시켜 차례로 클램핑 피스(4)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클램핑 피스(4)의 회전은 클램핑 피스(4) 및 클램핑 부재(5) 서로를 향하는 상대 이동을 일으킨다. 이러한 상대 이동은 원추형 형상 및 내부의 종방향 슬롯에 의해 클램핑 피스(4)가 원추형 허브 생크(1.2)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허브 생크(1.2)를 가압하며, 허브를 샤프트 상에 중심 설정하고 고정시키기 위해 허브 생크(1.2)를 샤프트 상에 기밀하게 클램핑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따라, 허브판(1.1)은 수동 또는 공구를 사용하여, 또는 가능하게는 허브와 타이밍 디스크가 설치된 기계의 부품 또는 피스와 접촉함으로써 클램핑 피스(4)의 축방향 이동 중에 클램핑 부재(5)에 대해 보유될 수 있다.
이러한 용도는 특히 엔코더의 타이밍 디스크, 스탭핑 모터, 스피닝 롤러 드라이버 등을 위한 자가 중심 설정 허브에 관한 것이며, 타이밍 디스크 또는 코드 캐리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허브판 및 입력 또는 출력 유닛의 샤프트 단부 상에서 활주하기 위한 슬롯 형성 허브 생크를 포함한다. 허브 생크(1.2)는 환형 클램핑 피스(4) 내로 형상 끼움식으로 돌출하여, 외부 허브면과 클램핑 피스(4)의 내벽 사이를 형상 끼움 연결하고, 허브(1)와 클램핑 피스(4) 사이의 허브 축(6)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경우에 클램핑 끼움이 반경 방향 내부로 지향되는 힘에 의해 슬롯 형 성된 허브 생크(1.1)의 영역에서 형성된다. 클램핑 피스(4)는 환형 클램핑 부재(5) 내에 배열되어,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가 형상 끼움 및/또는 가압 로킹식으로 연결되고, 클램핑 부재(5) 또는 클램핑 피스(4)가 회전하는 경우에, 허브 축과 평행한 변위가 발생한다. 커버판(11)은 클램핑 부재(5) 상에 고정되고, 클램핑 피스(4)의 외부 톱니와 결합하여 피니언(9)을 회전식으로 지지한다.
실시예의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특히 엔코더, 스탭핑 모터, 스피닝 롤러 드라이버의 타이밍 디스크 등을 위한 자가 중심 설정 허브에서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타이밍 디스크 또는 코드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허브판 및 입력 또는 출력 유닛의 샤프트 단부 상에서 활주하기 위한 슬롯 형성 허브를 포함하고, 허브 생크(1,2)는 환형 클램핑 피스(4) 내로 형상 끼움식으로 돌출하여, 외부 허브면과 클램핑 피스(4)의 내벽 사이를 형상 끼움 연결하고, 허브(1)와 클램핑 피스(4) 사이의 허브 축(6)을 따르는 상대 이동의 경우에 반경 방향 내부로 지향되는 힘에 의해 슬롯 형성된 허브 생크(1.1)의 영역에서 클램핑 끼움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의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자가 중심 설정 허브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클램핑 피스(4)는 환형 클램핑 부재(5)에 배열되고, 클램핑 피스(4) 및 클램핑 부재(5)는 형상 끼움 및/또는 가압 로킹으로 연결되고, 클램핑 부재(5) 및 클램핑 피스(4)의 회전 시에 허브 축과 평행한 변위가 일어난다.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 의 자가 중심 설정 허브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클램핑 부재(5) 상에는 클램핑 피스(4)의 외부 톱니를 결합하는 피니언(9)을 회전식으로 지지하는 커버판(11)을 고정시킨다.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자가 중심 설정 허브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 사이에는 피니언(9)을 통해 기동되는 클램핑 피스의 회전 시에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 사이의 허브의 축방향으로 상대적인 변위가 일어나서 슬롯 형성된 허브 생크(1,2)의 영역에서 표면 압력이 일어난다.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자가 중심 설정 허브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허브 생크(1,2)와 클램핑 피스(4) 사이의 접촉면은 원추형 형상이어서, 허브 축(6) 상의 클램핑 피스(4)의 변위의 경우에 반경 방향 압력이 허브 생크(1,2)에 인가되고 허브 생크는 샤프트 단부 상에 동축으로 클램핑된다.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엔코더, 스탭핑 모터 또는 스피닝 롤러 드라이브의 타이밍 디스크를 위한 자가 중심 설정 허브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타이밍 디스크 또는 코드 캐리어를 고정시키기 위한 허브판 및 입력 또는 출력 유닛의 샤프트 단부 상에서 활주되기 위한 슬롯 형성 허브 생크는 물론 허브 생크(1,2) 상에 형상 끼움식으로 활주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4)를 포함하고, 클램핑 피스(4)는 환형 클램핑 부재(5) 내에 배열되며, 클램핑 피스(4) 및 클램핑 부재(5)는 형상 끼움 및/또는 가압 로킹으로 연결되어 클램핑 부재(5) 또는 클램핑 피스(4)가 회전하는 경우에 허브 축에 평행하게 변위가 일어나고, 커버판(11)이 클램핑 부재(5) 상에 고정되며, 커버판(11)은 클램핑 부재(5) 상에 고정되어, 커버판(11) 상에는 클램핑 피스(4)의 외부 톱니와 결합하는 피니언(9)을 회전식으로 지지하고, 허브(1)와 클램핑 피스(4) 사이의 허브 축(6)을 따르는 상대 이동의 경우에 클램핑 끼움이 슬롯 형성된 허브 생크(1,2)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내부로 지향된 힘에 의해 형성된다.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자가 중심 설정 허브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 사이에는 나사가 형성되고, 클램핑 피스(4)의 회전이 피니언(9)을 통해 개시되는 경우에 클램핑 피스(4)와 클램핑 부재(5) 사이에서 축방향 허브 방향으로 상대 변위가 일어나서, 슬롯 형성된 허브 생크(1,2)의 영역에서 표면 압력이 일어난다.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자가 중심 설정 허브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허브 생크(1,2)와 클램핑 피스(4) 사이의 접촉면은 원추형 형상이어서, 허브 축(6) 상에서 클램핑 피스(4)의 변위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허브 생크(1,2)에 반경 방향 압력이 인가되며, 이 결과 샤프트 단부 상의 허브 생크의 원추형 클램핑 동작이 발생한다.
실시예의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중심 종축을 갖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상기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는 타이밍 디스크; 판부 및 상기 판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된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포함하는 허브 구조물; 본체부 및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는 환형 클램핑 부재;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내에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환형 돌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피니언; 및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상에 부착된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디스크는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판부에 부착되고, 상기 허브 구조물은 상기 판부와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여 이 중심 축방향 구멍을 통해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환형 돌출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여 이 중심 축방향 구멍 내부에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내부면과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 사이에서 마찰 끼움에 의해 상기 허브 구조물에 연결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환형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중심 축방향 구멍 주위에 배치된 환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본체부는 외부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를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외부 나사부와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내부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나사부와 상기 내부 나사부에 의한 연결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시에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돌출부는 톱니형성된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톱니형성된 표면부와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커버판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되게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사이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의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일으키고, 그리고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에 대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샤프트 상에 클램핑한다.
실시예의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중심 종축을 갖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상기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는 타이밍 디스크; 판부 및 상기 판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된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포함하는 허브 구조물; 본체부 및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는 환형 클램핑 부재;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내에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환형 돌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회전 구조물; 및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상에 부착된 커버판;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디스크는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판부에 부착되고, 상기 허브 구조물은 상기 판부와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여 이 중심 축방향 구멍을 통해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환형 돌출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여 이 중심 축방향 구멍 내부에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내부면과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 사이에서 마찰 끼움에 의해 상기 허브 구조물에 연결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환형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중심 축방향 구멍 주위에 배치된 환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본체부는 외부 상호 로킹면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를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외부 상호 로킹면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내부 상호 로킹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상호 로킹면과 상기 내부 상호 로킹면에 의한 연결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시에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돌출부는 외부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회전 구조물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커버판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되게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사이의 상호 로킹 결합을 통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의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일으키고, 그리고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에 대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샤프트 상에 클램핑한다.
실시예의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중심 종축을 갖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내부 상호 로킹면은 스크루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피스의 상기 외부 상호 로킹면은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스크루 나사부와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크루 나사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중심 종축을 갖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내부 상호 로킹면은 나선형 기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피스의 상기 외부 상호 로킹 표면은 상기 클램핑 부재의 상기 나선형 기어 표면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나선형 기어 표면을 포함한다.
실시예의 또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중심 종축을 갖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상기 회전 구조물은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는 상기 피니언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톱니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의 다른 특징 또는 양태는 본 특허출원이 출원되는 때에 넓은 의미의, 중심 종축을 갖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가 존재한다고 믿어지며, 상기 허브 생크는 대체로 원추형인 허브 생크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피스의 상기 중심 축 구멍은 대체로 원추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피스의 상기 원추형 구멍은 상기 원추형 허브 생크보다 작고, 상기 허브 생크를 향하는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반경 방향 압력은 허브 생크에 인가되어 샤프트 상의 원추형 허브 생크의 원추형 클램핑 작동을 생성한다.
본 명세서에 참고 문헌으로 인용된 다양한 공보에 개시된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는 물론 그 동등물에 사용될 수 있다.
기술 분야에 대한 설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특허청에서 본 특허 출원의 본질에 대한 조기 심사로부터 빠른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기술 분야의 설 명은 본 특허출원의 출원 시에 본 특허출원의 기술 분야를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기술 분야의 설명은 본 특허출원의 원출원으로, 그리고 본 출원의 수행 중의 보정으로, 그리고 본 출원으로부터 허여된 임의의 특허로 청구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기술 분야에 대해 이루어진 임의의 진술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그 전체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모든 치수, 비율 및/또는 형상을 포함하는 첨부된 도면은 정확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 부호가 포함된다.
배경 기술 정보는 본 발명의 출원 시의 본 발명을 위한 적절한 배경 기술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배경 기술 정보는 본 특허출원의 원출원으로, 그리고 본 출원의 수행 중의 보정으로, 그리고 본 출원으로부터 허여된 임의의 특허로 청구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배경 기술 정보에 대해 이루어진 임의의 진술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다양한 실시예의 모든, 또는 거의 모든 구성 요소 및 방법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모든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목적 또는 목적들에 대한 설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특허청에서 본 특허 출원의 본질에 대한 조기 심사로부터 빠른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목적 또 는 목적들에 대한 설명은 본 특허출원의 출원 시에 본 특허출원의 목적 또는 목적들을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목적 또는 목적들의 설명은 본 특허출원의 원출원으로, 그리고 본 출원의 수행 중의 보정으로, 그리고 본 출원으로부터 허여된 임의의 특허로 청구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목적 또는 목적들에 대해 이루어진 임의의 진술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본 명세서에 참조된 특허, 특허 출원 및 공보 모두, 그리고 본 명세서에 첨부된 공보는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면 참고문헌으로 참조된다.
발명의 요지는 본 특허출원의 출원 시에 본 특허출원을 적절하게 요약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발명의 요지에 포함된 정보의 일부 또는 모두는 본 특허출원의 원출원으로, 그리고 본 출원의 수행 중의 보정으로, 그리고 본 출원으로부터 허여된 임의의 특허로 청구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요지에 대해 이루어진 임의의 진술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본 발명의 예시, 공개된 특허출원 및 본 발명을 포함하는 다른 문헌, 그리고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 몇몇 예시"로 진술되는 문단에 관한 다른 문헌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임의의 실시예에 사용되지 않거나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바로 위의 문장은 특허, 공개된 특허출원 및 참조 문헌으로 참조되거나 참조되지 않은 다른 문헌에 관한 것이다.
독일 특허청의 2006년 3월 14일자 거절이유에 인용되고, 및/또는 본 명세서 전체에 기재된 바와 같은 참증에 의해 포함된 다른 인용된 특허, 특허출원 또는 특허 공개 모두는 이하와 같다. 독일 특허 제198 60 012 A1호, 독일 특허 제101 50 705 A1호, 독일 특허 제107 37 307 A1호 및 독일 특허 제198 60 107 A1호.
대응하는 외국 특허출원, 즉 발명자인 "Paul-Wilhelm, BRAUN" 에 의해 2005년 9월 26일에 출원된 독일연방 공화국 특허출원 제10 2005 046 026.7호는 있을 수 있는 영문 번역문의 오번역을 수정하고 설명할 목적으로 전체가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참조 문헌으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외국 대응 특허 출원의 공개된 동등물 및 다른 동등물이나 대응 출원, 그리고 독일 연방 공화국 및 다른 곳에서 상응하는 경우에 특허, 특허 출원 및 공개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임의의 문헌에 참조된 참조물 및 문헌은 전체가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참조문헌으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임의의 문헌에 참조되는 참조물 및 문헌 모두는 전체가 본 명세서 기재된 바와 같이 참조문헌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바로 위의 문장에 관련된, 본 명세서에 인용된 문헌 모두는 본 출원에 인용된 특허, 특허 출원 및 공개 모두를 포함한다.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의 설명은 본 특허출원의 출원 시에 본 특허출원의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을 적절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의 부분은 본 특허출원의 원출원으로, 그리고 본 출원의 수행 중의 보정으로, 그리고 본 출원으로부터 허여된 임의의 특허로 청구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에 대해 이루어진 임의의 진술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특허, 특허 출원 및 공개의 상세한 설명은 출원인의 선택으로 임의의 적용된 종래 기술로부터 임의의 보정된 청구범위를 특허성 있게 구분하기 위해 청구범위에 추가로 한정하도록 계류 중에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도 있다.
본 특허 출원의 발명의 명칭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특허청에서 본 특허 출원의 본질에 대한 조기 심사로부터 빠른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발명의 명칭은 본 특허출원의 출원 시에 본 특허출원의 일반적인 성질을 적절하게 반영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발명의 명칭은 본 특허출원의 원출원으로, 그리고 본 출원의 수행 중의 보정으로, 그리고 본 출원으로부터 허여된 임의의 특허로 기술 분야, 목적, 발명의 요지, 실시예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완전하게 적용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명칭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요약서는 37 C.F.Rξ1.72(b)에 의해 요구되는 바에 의해 제출되었다.
37 C.F.Rξ1.72(b)에는 다음과 같이 진술되어 있다.
명세서에 기술적 기재의 간단한 요약서는 분리된 시트, 바람직하게는 청구범위 이후에 "요약서"라는 머리글로 언급되어야 한다. 요약서의 목적은 특허청 및 일반인이 기술적 기재의 성질 및 요점을 간단한 조사로부터 신속하게 졀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요약서는 청구범위로 해석되지 않는다.
따라서, 요약서에 관하여 이루어진 진술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 정하지 않으며, 어떠한 방식으로도 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해석되어서도 안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의 내용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는 이들의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이루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주어진 상세한 설명 모두에 대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된 구성의 본원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요구 없이 자가 중심설정 허브를 샤프트 단부에 대해 중심으로 활주하여 정위치에 자동적으로 위치시키고 고정함으로써 대량생산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중심 종축을 갖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에 있어서,
    타이밍 디스크;
    판부 및 상기 판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된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포함하는 허브 구조물;
    본체부 및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는 환형 클램핑 부재;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내에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환형 돌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피니언; 및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상에 부착된 커버판;
    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디스크는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판부에 부착되고,
    상기 허브 구조물은 상기 판부와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여 이 중심 축방향 구멍을 통해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환형 돌출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여 이 중심 축방향 구멍 내부에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내부면과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 사이에서 마찰 끼움에 의해 상기 허브 구조물에 연결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환형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중심 축방향 구멍 주위에 배치된 환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본체부는 외부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를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외부 나사부와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내부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나사부와 상기 내부 나사부에 의한 연결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시에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돌출부는 톱니형성된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톱니형성된 표면부와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피니언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커버판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되게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사이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의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일으키고, 및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에 대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샤프트 상에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는 원추형 생크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중심 축방향 구멍은 원추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원추형 구멍은 상기 원추형 생크보다 작아서, 상기 원추형 생크를 향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반경 방향 압력이 상기 원추형 생크에 가해져서 샤프트 상의 상기 원추형 생크의 원추형 클램핑 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3. 중심 종축을 갖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에 있어서,
    타이밍 디스크;
    판부 및 상기 판부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된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포함하는 허브 구조물;
    본체부 및 환형 돌출부를 포함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는 환형 클램핑 부재;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내에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환형 돌출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회전 구조물; 및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상에 부착된 커버판;
    을 포함하고,
    상기 타이밍 디스크는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판부에 부착되고,
    상기 허브 구조물은 상기 판부와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여 이 중심 축방향 구멍을 통해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환형 돌출부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치된 중심 축방향 구멍을 포함하여 이 중심 축방향 구멍 내부에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내부면과 상기 허브 구조물의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 사이에서 마찰 끼움에 의해 상기 허브 구조물에 연결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환형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중심 축방향 구멍 주위에 배치된 환형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본체부는 외부 상호 로킹면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는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를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외부 상호 로킹면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배치된 내부 상호 로킹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상호 로킹면과 상기 내부 상호 로킹면에 의한 연결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시에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돌출부는 외부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회전 구조물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커버판 상에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회전 구조물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를 회전시키도록 회전되게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 사이의 상호 로킹 결합을 통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의 상대적 축방향 이동을 일으키고, 및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에 의해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배치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에 대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를 샤프트 상에 클램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의 상기 내부 상호 로킹면은 스크루 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외부 상호 로킹면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의 상기 스크루 나사부와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스크루 나사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는 원추형 생크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중심 축방향 구멍은 원추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원추형 구멍은 상기 원추형 생크보다 작아서, 상기 원추형 생크를 향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반경 방향 압력이 상기 원추형 생크에 가해져서 샤프트 상에 상기 원추형 생크의 원추형 클램핑 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는 상기 피니언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톱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는 상기 피니언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톱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의 상기 내부 상호 로킹면은 나선 기어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외부 상호 로킹면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의 상기 나선 기어 표면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나선 기어 표면을 포함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는 원추형 생크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중심 축방향 구멍은 원추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원추형 구멍은 상기 원추형 생크보다 작아서, 상기 원추형 생크를 향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반경 방향 압력이 상기 원추형 생크에 가해져서 샤프트 상에 상기 원추형 생크의 원추형 클램핑 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는 상기 피니언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톱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는 상기 피니언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톱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성된 생크부는 원추형 생크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중심 축방향 구멍은 원추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의 상기 원추형 구멍은 상기 원추형 생크보다 작아서, 상기 원추형 생크를 향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의 축방향 이동 시에, 반경 방향 압력이 상기 원추형 생크에 가해져서 샤프트 상에 상기 원추형 생크의 원추형 클램핑 작용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물은 피니언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는 상기 피니언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톱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1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돌출부의 상기 외부 표면부는 상기 피니언과 정합식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톱니부를 포함하는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15. 타이밍 디스크 또는 코드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한 허브판과, 입력 또는 출력 유닛의 샤프트 단부 상에서 활주되기 위한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1.2)와, 허브 생크(1.2) 상에 형상 끼움식으로 활주하는 환형 클램핑 피스(4)를 포함하는, 엔코더, 스탭핑 모터 또는 스피닝 롤러 드라이브의 자가중심설정 허브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는 환형 클램핑 부재(5)에 배열되고,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5)는 형상 끼움식(form-fitting) 또는 힘 로킹식(force-locking)으로 연결되어,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5) 또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의 회전 시에 허브축(6)에 평행한 변위가 일어나고, 커버판(11)이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5) 상에 고정되고, 상기 커버판(11) 위에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의 외부 톱니와 결합하는 피니언(9)이 회전식으로 지지되고, 허브(1)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 사이의 허브축(6)을 따라 상대적 이동이 있는 경우에, 클램핑 끼움이 상기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1.2)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내부로 지향되는 힘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중심설정 허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5) 사이에는,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의 회전이 상기 피니언(9)을 통해 개시되는 경우에,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와 상기 환형 클램핑 부재(5) 사이에서 축방향 허브 방향으로 상대적 변위가 일어나서 상기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1.2)의 영역에서 표면 압력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중심설정 허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1.2)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 사이의 접촉면은 원추형 형상이어서, 허브축(6) 상에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의 변위가 있는 경우에 반경 방향 압력이 상기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1.2)에 가해져서, 그 결과 샤프트 단부 상에 상기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의 원추형 클램핑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중심설정 허브.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1.2)와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 사이의 접촉면은 원추형 형상이어서, 허브축(6) 상에서 상기 환형 클램핑 피스(4)의 변위가 일어나는 경우에 반경 방향 압력이 상기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1.2)에 가해져서, 그 결과 샤프트 단부 상에 상기 슬롯형성된 허브 생크의 원추형 클램핑 작용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중심설정 허브.
KR1020060092577A 2005-09-26 2006-09-23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및 타이밍 디스크용 자가중심설정 허브 KR1008778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6026 2005-09-26
DE102005046026.7 2005-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4944A KR20070034944A (ko) 2007-03-29
KR100877804B1 true KR100877804B1 (ko) 2009-01-12

Family

ID=3754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2577A KR100877804B1 (ko) 2005-09-26 2006-09-23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및 타이밍 디스크용 자가중심설정 허브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01614B2 (ko)
EP (1) EP1767906A3 (ko)
JP (1) JP2007093600A (ko)
KR (1) KR100877804B1 (ko)
TW (1) TW2007308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4781B3 (de) * 2007-03-28 2008-05-15 Bühler Motor GmbH Encoderanordnung eines Gleichstrommotors
DE102010027939B4 (de) * 2010-04-20 2018-10-31 Dr. Johannes Heidenhain Gmbh Baueinheit für eine Winkelmesseinrichtung
US8961063B2 (en) 2010-12-02 2015-02-24 Coupling Corporation Of America, Inc. Hub clamp assembly
DE102011003091A1 (de) * 2011-01-25 2012-07-26 Dr. Johannes Heidenhain Gmbh Winkelmesseinrichtung
DE102011005351A1 (de) * 2011-03-10 2012-09-13 Dr. Johannes Heidenhain Gmbh Baueinheit einer Winkelmes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ieser Baueinheit
US9664537B2 (en) * 2014-01-30 2017-05-30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assembly structure for aligning an encoder
CN105846593A (zh) * 2016-04-19 2016-08-10 上官希坤 微型减速轮毂电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2902A (ja) 1996-10-11 1998-05-15 Ruhlatec Ind Gmbh エンコーダ
US5959383A (en) * 1996-12-20 1999-09-28 W. Schlafhorst Ag & Co. Thrust bearing for an open-end spinning rotor
JP2000275060A (ja) * 1998-12-23 2000-10-06 Pwb Ruhlatec Industrieprodukte Gmbh 自動調心タイミングディスクハブ及びそ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47869A (en) * 1964-09-08 1966-11-09 Lines Bros Ltd Improvements in wheel assemblies
GB1241455A (en) 1967-12-15 1971-08-04 Walter Engelmann Improvements in locating devices comprising collars to be releasably secured upon shafts
IT1117717B (it) 1977-02-21 1986-02-17 Corghi Elettromecc Spa Flangia autocentrante speciale per ruote d auto con bloccaggio rapido della stessa o di altre su apposito albero oscillante di macchina equilibratrice
US4737673A (en) 1986-09-19 1988-04-12 Papst Motoren Gmbh & Co. Kg Bearing assembly for an axially compact miniature motor or ventilator
US4841297A (en) * 1986-12-19 1989-06-20 S.A. Des Etablissements Staubli Displacement coder
DE4023574A1 (de) 1990-07-25 1992-01-3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Geblaese
JP2729734B2 (ja) 1992-10-12 1998-03-18 株式会社三協精機製作所 磁気ディスク駆動モータ
DE19737307A1 (de) * 1997-08-27 1999-03-04 Erwin Haug Schrumpfscheibe zur Verbindung von Welle und Nabe
DE19860107B4 (de) 1998-12-23 2011-03-10 Pwb Encoders Gmbh Taktscheibenträger
DE10150705A1 (de) * 2001-10-13 2003-04-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Formschlüssige Welle-Nabe-Verbindung
DE10212563A1 (de) * 2002-03-12 2003-09-25 Arnold & Richter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fassung des Blendenöffnungswinkels einer verstellbaren Umlaufblende in einer Laufbildkamer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2902A (ja) 1996-10-11 1998-05-15 Ruhlatec Ind Gmbh エンコーダ
US5959383A (en) * 1996-12-20 1999-09-28 W. Schlafhorst Ag & Co. Thrust bearing for an open-end spinning rotor
JP2000275060A (ja) * 1998-12-23 2000-10-06 Pwb Ruhlatec Industrieprodukte Gmbh 自動調心タイミングディスクハブ及びそ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0800A (en) 2007-08-16
KR20070034944A (ko) 2007-03-29
EP1767906A2 (de) 2007-03-28
US20070069594A1 (en) 2007-03-29
JP2007093600A (ja) 2007-04-12
EP1767906A3 (de) 2008-06-18
US7501614B2 (en) 200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804B1 (ko) 타이밍 디스크 배열체 및 타이밍 디스크용 자가중심설정 허브
KR101917415B1 (ko) 축 단말용 어댑터 및 볼 나사 조립체
JP4331821B2 (ja) 構造部品を相互連結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2007537408A (ja) 改良された制動装置を備える車両ベルト駆動トーションバーテンショナ
EP2412988A1 (en) Fitting member positioning device
US4806752A (en) Incremental or absolute rotation encoder with a clamping device
EP1715300B1 (de) Hohlwellen-Drehgeber mit Motorwellen-Schutzkappe
US11193534B2 (en) Multi-part adjusting element
CN211102625U (zh) 旋拧装置
JP6374335B2 (ja) 軸止め構造
KR20160130310A (ko) 차량 시트의 링키지용 연결 배열체, 및 차량 시트
KR20160102354A (ko) 회전 링 및 링 홀더를 링 회전 프레임 또는 링 트위스팅 프레임의 링 레일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이중 기능 고정 요소
WO2019031059A1 (ja) チャックの補正方法
KR101518413B1 (ko) 백 래시 제거 기어 조립체 및 그것을 사용한 호빙 머신의 주축 구동장치
JP2011115888A (ja) 工具ホルダ
CN203993696U (zh) 自适应套筒
JPH0226306A (ja) 軸方向の調節に用いる固定可能なナツト
JP4384751B2 (ja) カムフォロアの取付構造
JP6647414B2 (ja) ロボット、モーターユニット、カップリングユニット
JP4964709B2 (ja) 魚釣用リール
CN219798366U (zh) 一种适应不同轴径测量的角度编码器
US923880A (en) Micrometer.
US11035390B2 (en) Spool assembly for servovalve
JP6667209B2 (ja) 少なくとも2つの部品を旋回組み立てする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及び2つの組み立て部品からなる組み立て品
CN214372583U (zh) 一种转盘转动精度检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