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517B1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517B1
KR100877517B1 KR1020070033488A KR20070033488A KR100877517B1 KR 100877517 B1 KR100877517 B1 KR 100877517B1 KR 1020070033488 A KR1020070033488 A KR 1020070033488A KR 20070033488 A KR20070033488 A KR 20070033488A KR 100877517 B1 KR100877517 B1 KR 100877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
layer
solar cell
sensitized solar
carb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226A (ko
Inventor
홍병유
부진효
최원석
박용섭
이성욱
최은창
정성훈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3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517B1/ko
Priority to US12/028,548 priority patent/US20090000663A1/en
Publication of KR20080090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59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rganic dye as the active light absorbing material, e.g. adsorbed on an electrode or dissolved in solu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04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mprising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20Carbon compounds, e.g.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H10K85/221Carbon nanotubes
    • H10K85/225Carbon nanotubes comprising substitu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30Coordination compounds
    • H10K85/341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 H10K85/344Transition metal complexes, e.g. Ru(II)polypyridine complexes comprising ruthe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ybrid Cel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탄소나노로드층을 구비한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과 하부전극 사이에 구비되고, 탄소나노튜브를 갖는 염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속 전극보다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로드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태양전지, 탄소나노튜브, 탄소나노로드

Description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제작에 사용되는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장치(HF-PECVD)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로드를 포함하는 하부전극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로드층을 포함하는 하부전극의 FE-SEM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와 혼합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도성 탄소나노로드 전극과 탄소나노튜브 도핑에 의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하여 대체에너지의 개발이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2005년부터 교토 의정서가 발효되어 CO2 배출가스의 감축이 의무화 되었다.
대체 에너지 기술 중에서 태양전지는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무한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기 때문에 청정에너지로 주목받고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 제조의 경우 에너지 전환 효율은 높지만 고가의 태양전지 제조 장비로 인해 생산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전환 효율은 조금 낮지만 reel-to-reel printing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할 경우 낮은 생산비용을 기대할 수 있는 유기 태양에 대한 연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즉, 유기 태양전지는 무기 태양전지에 비하여 낮은 생산비를 가지고 roll-up 방식의 태양전지 개발, 투명창 태양전지 개발 등의 여러 응용이 가능하지만 낮은 효율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유기 태양전지의 효율 개선을 위한 노력은 전지를 구성하는 상하부 전극과 전극 사이의 유기물에 관한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보통 유기 태양전지 내부의 유기물은 낮은 전하 이동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유기물 내의 불순물(Impurities)과 결함(defects)들에 의해 전하가 트래핑(trapping)되기 때문이며, 이는 태양전지의 효율과 관련되는 전하 이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금속 전극보다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로드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낮은 전하 이동도를 개선하기 위해 탄소나노튜브를 갖는 염료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태양전지 효율과 광특성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정적 밴드갭의 조정이 가능한 나노 금속 도핑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탄소나노로드층을 구비한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과 상기 하부전극 사이에 구비되고, 탄소나노튜브를 갖는 염료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전극은 FTO(Fluorine doped-Tin Oxide) 기판에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상기 FTO 기판과 상기 탄소나노로드층 사이에 구성된 촉매층을 촉매로 하여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촉매층은 Ti 금속층과 Ni 금속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i 금속층과 Ni 금속층은 각각 20, 40 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400℃의 온도 조건과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이 3:1 비율로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성장된 탄소나노로드층의 탄소나노로드는 30~50nm의 직경과 300nm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5mΩㆍCm 이하의 비저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60 nm의 Ti/Ni층을 촉매로 하여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600℃의 온도 조건과 암모니아(NH3)와 아세틸 렌(C2H2)이 126:47 sccm 비율로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80~100nm의 직경과 5~6μm이상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방법은 탄소나노로드층을 성장시켜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하부전극형성단계;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염료층을 형성하는 염료층형성단계; 전도성 산화물이 증착된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상부전극형성단계; 및 상기 상부 전극, 상기 염료층 및 상기 하부전극을 합착하고,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전극형성단계는 FTO(Fluorine doped-Tin Oxide) 기판에 Ti 및 Ni를 증착시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을 촉매로 하여 탄소나노로드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400℃의 온도 조건과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이 3:1 비율로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염료층형성단계는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장된 탄소나노튜브를 염료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시켜 혼합 및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600℃의 온도 조건과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이 126:47 sccm 비율로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 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0)는 하부 전극(10), 염료층(20) 및 상부 전극(30)을 포함한다.
하부 전극(10)은 기판(11), 촉매층(12) 및 탄소나노로드층(15)을 포함하며, 촉매층(12)은 Ti 금속층(12)과 Ni 금속층(13)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1)은 FTO(Fluorine doped-Tin Oxide)라고 하는 플르오르(F)가 증착된 glass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의 일측 표면에 형성된 Ti 금속층(13)과 Ni 금속층(14)은 마크네트론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in-situ로 증착될 수 있다. 탄소나노로드(carbon nanorod)층(15)은 Ti/Ni 금속층(14,15) 위에 형성된 탄소나노로드(carbon nanorod)층(15)은 Hot-filament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염료층(20)은 탄소나노튜브(CNT, 21)과 염료(22)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소나노튜브(21)는 Hot-filament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염료(22)는 RuL2(NCS)2;L=cis-4.4'-dicarboxyl -2.2'-bipyridine일 수 있다.
상부 전극(30)은 기판(31)과 기판에 증착된 전도성 산화물(32)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판(11)은 FTO(Fluorine doped-Tin Oxide)라고 하는 플르오르(F)가 증착된 glass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산화물은 TiO2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감응형 태양전지(100) 제조 방법은 탄소나노로드층(15)이 형성된 하부 전극(10)을 형성하는 단계, 탄소나노튜브(21)가 첨가된 염료층(20)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전도성 산화물(예를 들어, TiO2)이 증착된 상부전극(30)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 진다.
도 2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 보면, 단계 S210은 기판(11)을 진공 챔버 내에 장착하고 기본 진공을 형성 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기판(11)은 FTO(Fluorine doped-Tin Oxide)라고 하는 플르오르(F)가 증착된 glass 기판일 수 있다.
단계 S220은 Ti 금속층(13)과 Ni 금속층(14)을 in-situ로 증착하여 촉매층(12)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증착 압력은 3 mTorr의 Ar 분위기이고, 인가된 DC 파워는 100W이다. 또한, 증착 시간은 Ti 금속층(13)과 Ni 금속층(14)이 각각 2분 30 및 6분이며, 증착 두께는 각각 20, 40 nm이다.
단계 S230은 Hot filament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탄소나노로드층(carbon nanorod layer, 15)를 성장 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탄소나노로드층(15)은 촉매층(12)이 증착된 샘플을 플라즈마 전처리 한 후,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이 3:1 비율이 되도록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을 120:40 sccm으로 혼합한 뒤, 400℃의 온도 조건에서 성장된다. 여기서, 성장된 탄소나노로드층(15)은 300nm 이상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단계 S240은 Hot filament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염료에 혼합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21)를 성장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탄소나노튜브(21)는 암모니아 (NH3)와 아세틸렌 (C2H2) 가스가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되며, 가스 비율은 126 : 47 sccm고 600℃의 온도에서 성장된다. 또한, 탄소나노튜브는 60 nm의 Ti/Ni층을 촉매로 하여 될 수 있다.
또한 염료층은 성장된 탄소나노튜브(21)를 염료(22)에 소정 시간(예를 들어, 24시간)동안 침지시켜 후, 혼합 및 흡착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 이때, 염료(22)는 RuL2(NCS)2;L=cis-4.4'-dicarboxyl -2.2'-bipyridine일 수 있다.
단계 S250은 전도성 산화물을 Doctor blade technique으로 기판(31) 위에 코팅시켜 상부전극(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전도성 산화물은 TiO2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00) 구조물을 이루기 위해 상부전극(30), 염료층(20) 및 하부전극(10)을 합착하기 위한 단계가 포함되는데,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을 합착하고, 전해질을 상하부 전극 사이에 전해질을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전해질은 I- / I3- (iodide/triodide, AN-50 : 산화 환원 전해질) 쌍으로써 산화 환원에 의해 하부전극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염료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튜브 제작에 사용되는 Hot- 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장치(HF-PECVD)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장치 는 챔버 내에 기판지지대(310) 및 텅스텐 필라멘트(W-filament, 320) 그리고 가스분배기(330)를 포함한다. 이때, 반응 가스는 아세틸렌(C2H2) 과 암모니아(NH3)가 사용된다. 텅스텐 필라멘트(320)에 인가되는 열은 탄소나노로드(15)와 탄소나노튜브(21)의 성장온도에 밀접한 관계가 있고, 성장온도는 400∼600℃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로드를 포함하는 하부전극의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전극(10)은 FTO(Fluorine doped-Tin Oxide)라고 불리우는 플르오르(F)가 증착된 glass 기판 위에 Ti 금속층(13), Ni 금속층(14) 및 탄소나노로드층(15)이 적층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탄소나노로드층(15)은 Hot-filament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나노로드층을 포함하는 하부전극의 FE-SEM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FE-SEM 단면은 도 3에 예시된 제작방식을 이용하여 성장된 탄소나노로드층(15) 단면의 FE-SEM 사진이다. 10,000배의 탄소나노로드층(15) 단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탄소나노로드는 밀집(dense)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탄소나 노로드층(15)의 직경은 대략 30∼50 nm 정도이고, 길이는 300 nm 정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와 혼합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염료와 혼합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21)는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성장된 것이다. 이때, 탄소나노튜브(21)의 직경은 80∼100nm 정도이며, 길이는 5∼6μm 정도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탄소나노튜브(21)의 길이는 5∼6μm 이상일 수 있다.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전도성 탄소 나노로드(carbon nanorod)와 탄소나노튜브(CNT)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직접 도입한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 전극보다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탄소나노로드 전극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 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낮은 전하 이동도를 개선하기 위한 탄소나노튜브를 갖는 염료층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전지 효율과 광특성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정적 밴드갭의 조정이 가능한 나노 금속 도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탄소나노로드층을 구비한 하부전극; 및
    상부전극과 상기 하부전극 사이에 구비되고, 탄소나노튜브를 갖는 염료층을 포함하되,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은 FTO(Fluorine doped-Tin Oxide) 기판에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이 적층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상기 FTO 기판과 상기 탄소나노로드층 사이에 구성된 촉매층을 촉매로 하여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Ti 금속층과 Ni 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Ti 금속층과 Ni 금속층은 각각 20, 40 nm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400℃의 온도 조건과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이 3:1 비율로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성장된 탄소나노로드층의 탄소나노로드는 30~50nm의 직경과 300nm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5mΩㆍcm 이하의 비저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60 nm의 Ti/Ni층을 촉매로 하여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600℃의 온도 조건과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이 126:47 sccm 비율로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80~100nm의 직경과 5~6μm이상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4. 탄소나노로드층을 성장시켜 하부 전극을 형성하는 하부전극형성단계;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켜 염료층을 형성하는 염료층형성단계;
    전도성 산화물이 증착된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상부전극형성단계; 및
    상기 상부 전극, 상기 염료층 및 상기 하부전극을 합착하고,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전해질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하부전극형성단계는,
    FTO(Fluorine doped-Tin Oxide) 기판에 Ti 및 Ni를 증착시켜 촉매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촉매층을 촉매로 하여 탄소나노로드층을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로드층은 400℃의 온도 조건과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이 3:1 비율로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
  18.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염료층형성단계는,
    Hot-filament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HF-PECVD)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성장된 탄소나노튜브를 염료에 소정 시간 동안 침지시켜 혼합 및 흡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600℃의 온도 조건과 암모니아(NH3)와 아세틸렌(C2H2)이 126:47 sccm 비율로 혼합된 분위기에서 성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제조 방법.
KR1020070033488A 2007-04-04 2007-04-04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77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488A KR100877517B1 (ko) 2007-04-04 2007-04-04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12/028,548 US20090000663A1 (en) 2007-04-04 2008-02-08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3488A KR100877517B1 (ko) 2007-04-04 2007-04-04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226A KR20080090226A (ko) 2008-10-08
KR100877517B1 true KR100877517B1 (ko) 2009-01-09

Family

ID=4015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3488A KR100877517B1 (ko) 2007-04-04 2007-04-04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00663A1 (ko)
KR (1) KR1008775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8141B1 (en) 2015-12-14 2017-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uorinated tin oxide back contact for AZTSSe photovoltaic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9129A2 (en) * 2007-11-27 2009-06-04 3Gsolar Ltd. Large area dye cell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WO2011065601A1 (ko) * 2009-11-25 2011-06-03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수개의 나노튜브 또는 나노막대형 금속산화물이 일 방향으로 정렬된 광흡수층을 구비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057503A2 (ko) * 2010-10-26 2012-05-03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6364770B2 (ja) * 2013-12-27 2018-08-01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太陽電池用電極基板、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対向電極、色素増感型太陽電池、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太陽電池用電極基板の製造方法
KR101791774B1 (ko) * 2016-01-14 2017-10-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 조성물 및 상기 전해 조성물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092A (ko) * 2004-02-04 2005-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기화학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9119B2 (en) * 2000-05-30 2005-07-19 The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Electronic and opto-electronic devices fabricated from nanostructured high surface to volume ratio thin films
KR20070056581A (ko) * 2005-11-30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전극,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태양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9092A (ko) * 2004-02-04 2005-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전기화학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08141B1 (en) 2015-12-14 2017-03-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luorinated tin oxide back contact for AZTSSe photovoltaic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226A (ko) 2008-10-08
US20090000663A1 (en) 2009-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ng et al. Graphene/Si Schottky solar cells: a review of recent advances and prospects
Wang et al. Amorphous inorganic semiconductors for the development of solar cell, photoelectrocatalytic and photocatalytic applications
KR101435999B1 (ko) 도펀트로 도핑된 산화그라펜의 환원물, 이를 포함하는 박막및 투명전극
Wen et al. Nanoengineering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devices via atomic layer deposition
EP3172776B1 (en) Mesoscopic framework for organic-inorganic perovskite based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heng et al.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growth of zinc oxide nanostructur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fabrication
US7923629B2 (en) Method for fabricating flexible semiconductor electrode, semiconductor electrode fabricated thereby, and solar cell using the semiconductor electrode
Ikpesu et al. Synthesis of improved dye-sensitized solar cell for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ion
JP5753584B2 (ja) グラフェン膜の導電性を増大させるための方法
KR100877517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Vijayaraghavan et al. Low-temperature processed highly efficient hole transport layer free carbon-based planar perovskite solar cells with SnO2 quantum dot electron transport layer
Ishikawa et al. Layer dependency of graphene layers in perovskite/graphene solar cells
Li et al. Spray deposited lanthanum doped TiO2 compact layers as electron selective contact for perovskite solar cells
Zhang et al. Vibration treated carbon electrode for highly efficient hole-conductor-free perovskite solar cells
US20130122646A1 (en)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nitrogen doped carbon-nano-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howdhury et al. Prospects of graphene as a potential carrier‐transport material in third‐generation solar cells
Samantaray et al. Recent development and directions in printed perovskite solar cells
Feng et al. Enhanced photovoltaic property and stability of perovskite solar cells using the interfacial modified layer of anatase TiO2 nanocuboids
Manjunath et al. Perovskite solar cell architectures
US20080092955A1 (en) Solar cell structures using porous column TiO2 films deposited by CVD
KR20120095553A (ko) 그라핀을 이용하는 전자소자,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Adil et al. Graphene-based nanomaterials for solar cells
CN113363394A (zh) 一种钙钛矿电池制备方法
WO2022054151A1 (ja) 透明電極、透明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
Seo et al. Ambient air synthesis of multi-layer CVD graphene films for low-cost, efficient counter electrode material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