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6939B1 - 온수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온수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6939B1
KR100876939B1 KR1020080089119A KR20080089119A KR100876939B1 KR 100876939 B1 KR100876939 B1 KR 100876939B1 KR 1020080089119 A KR1020080089119 A KR 1020080089119A KR 20080089119 A KR20080089119 A KR 20080089119A KR 100876939 B1 KR100876939 B1 KR 100876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temperature
water tank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후
Original Assignee
김용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후 filed Critical 김용후
Priority to KR102008008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6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6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6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8Arrangements of boiler components on a frame or within a casing to build the fluid heater, e.g.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며, 온수의 압력에 의해 제1 난방 및 제2 난방으로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고, 원 터치 방식으로 간편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중 물이 부족할 경우에 경고음을 울림과 동시에, 램프를 점멸하여 물의 부족을 알려 줄 수 있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온수배관 내에 온수가 흐르므로 제1 및 제2 온수배관으로부터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는 온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온수 순환장치

Description

온수 순환장치{HOT WATER CIRCU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온수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며, 온수의 압력에 의해 제1 난방 및 제2 난방으로 온수를 순환시키고, 원 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중 물이 부족할 경우에 경고음을 울림과 동시에, 램프를 점멸하여 물의 부족을 알려 줄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및 제2 온수배관 내에 온수가 흐르므로 제1 및 제2 온수배관으로부터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는 온수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온수 보일러용 순환펌프는 소형 원심펌프로서 보일러 내에서 가스 또는 오일을 연소시켜서 가열된 물을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강제순환시킴에 따라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모터가 가열된 물의 온도에 의해 가열되어 빈번하게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터의 파손에 따라 유지/보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고, 또한 보일러 내의 물이 부족할 경우에 경보음 또는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 아 화재 등의 안전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며, 온수의 압력에 의해 제1 난방 및 제2 난방으로 온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온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 터치 방식으로 간편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온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 중 물이 부족할 경우에 경고음을 울림과 동시에, 램프를 점멸하여 물의 부족을 알려 줄 수 있는 온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는 온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 온수배관 내에 온수가 흐르므로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으로부터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는 온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온수 순환장치는 다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가 상기 상부 하우징의 하부면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물주입구를 통해서 도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제1 및 제2 물배출구 내측에 각각 배설되어 상기 물탱크 내의 압력이 높을 경우 상기 물탱크 내의 물을 각각 배출하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와, 상기 물탱크의 앞쪽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물배출구 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의 개방시에 상기 물탱크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받아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 온수를 배출하는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와,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의 제3 및 제4 실리콘 패킹의 제3 및 제4 온수 배출구에 제1 접속관의 도입구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1 접속관의 배출구가 제1 및 제2 온수배관의 도입구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에서 각각 배출되는 일정 온도의 온수를 제1 및 제2 온수배관에 각각 공급함과 동시에, 제2 접속관의 도입구가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의 배출구에 각각 접속되며, 일측이 상기 물탱크의 앞쪽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도입구에 접속된 제1 및 제2 호스의 타측에 각각 접속된 한쌍의 조인트와, 상기 물탱크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상기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물탱크 내의 수위가 일정 레벨이하일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는 부저와,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의 온도를 검출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출력하는 제1 및 제2 온도검출센서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수 순환장치에 의하면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며, 온수의 압력에 의해 제1 난방 및 제2 난방으로 온수를 순환시키고, 원 터치 방식으로 간편한 조작으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중 물이 부족할 경우에 경고음을 울림과 동시에, 램프를 점멸하여 물의 부족을 알려 줄 수 있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온수배관 내에 온수가 흐르므로 제1 및 제2 온수배관으로부터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온수 순환장치를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에 있어서 물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에 있어서 물탱크 내에 체크밸브 및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에 적용되는 히터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 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의 제어 유니트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는 다수의 통풍구(11)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31)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하부면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주입구(21)를 통해서 도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0)와, 상기 물탱크(30)의 제1 및 제2 물배출구(32a,32b) 내측에 각각 배설되어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높을 경우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을 각각 배출하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와, 상기 물탱크(30)의 앞쪽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물배출구(32a,32b) 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의 개방시에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받아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 온수를 배출하는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와,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의 제3 및 제4 실리콘 패킹(65,75)의 제3 및 제4 온수 배출구(65a,75a)에 제1 접속관(81)의 도입구(81a)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1 접속관(81)의 배출구(81b)가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의 도입구(90a,100a)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에서 각각 배출되는 일정 온도의 온수를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에 각각 공급함과 동시에, 제2 접속관(82)의 도입구(82a)가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의 배출구(90b,100b)에 각각 접속되며, 일측이 상기 물탱크(30)의 앞쪽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도입구(33a,33b)에 접속된 제1 및 제2 호스(95,96)의 타측에 각각 접속된 한쌍의 한쌍의 조인트(80)와, 상기 물탱크(30)내 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감지센서(110)와,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의해 상기 물탱크(30) 내의 수위가 일정 레벨이하일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는 부저(112)와,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의 온도를 검출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출력하는 제1 및 제2 온도검출센서(120,122)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3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주입구(21)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31)와, 앞쪽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의 개방시에 물을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에 각각 배출하는 제1 및 제2 물배출구(32a,32b)와, 상기 조인트(80)의 제2 접속관(82)의 배출구(82b)에서 배출되는 낮은 온도의 물을 제1 및 제2 호스(95,96)를 개재하여 도입하도록 상기 물탱크(30)의 앞쪽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입구(33a,33b)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측벽에 형성된 관찰창(22)을 통해서 저류되어 있는 물의 양을 관찰할 수 있도록 측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기 관찰창(22)에 끼워지는 돌출부(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41a,51a)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물을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에 물을 배출하도록 바닥면에 관통구멍(41b,51b)이 형성된 원통체(41,51)와, 상기 원통체(41,51)의 바닥면에 스크류(42,52)에 의해 일측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내의 압력보다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내로 배출하도록 개방되어서 상기 관통구멍(41b,51b)을 통해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내의 압력보다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작을 경우에 폐색되어서 상기 관통구멍(41b,51b)을 통해서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배출을 차단하는 밸브체(43,53)와, 상기 원통체(41,51)의 바닥면을 관통해서 설치되어 상기 원통체(41,51) 내에 수집된 에어(공기)를 배출하도록 볼트(46a,56a)의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미세하게 형성된 에어 배출구멍(46,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는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통과시키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61a,71a)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 평탄면(61b,71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도입하는 제1 및 제2 도입구(61c,71c)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가열된 물을 배출하도록 제1 및 제2 온수배출구(61d,71d)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과,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의 평탄면(61b,71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61a,71a) 내에 도입된 물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각각 가열하는 제1 및 제2 시이즈 히터(62,72)와, 상기 제1 및 제2 시이즈히터(62,72)의 중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의 온도가 특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경우 각각 개방(오픈)되는 제1 및 제2 바이메탈(63,73)과,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입구(61c,71c)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클램퍼(64a,74a)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관 형상의 제1 및 제2 실리콘 패킹(64,74)과,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에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온수배출구(61d,71d)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인트(80)의 제1 접속관(81)의 도입구(81a)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제3 및 제4 클램퍼(65b,75b)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관 형상의 제3 및 제4 실리콘 패킹(65,7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 유니트(130)는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1)와, 마그네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SW1)의 스위칭 온시에 교류전원부(132)로부터 교류전원을 받아서 일정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다운시키는 다운 트랜스포머(133)와, 상기 전원스위치(SW1)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직류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1 발광다이오드(LED1)와, 상기 다운 트랜스포머(133)로부터 교류전원을 받아서 직류전원으로 변환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부(134)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동작전원이 공급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의 제1 및 제2 관통공(61a,71a) 내에 각각 공급된 물을 일정온도로 가열시키도록 가열온도를 각각 설정하는 제1 및 제2 온도설정수단(135,136)과,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설정수단(135,136)에 의해 물의 가열온도 설정시에 가열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온도검출센서(120,122)에 의해 검출된 물의 가열된 온도를 각각 표시하는 제1 및 제2 온도표시수단(138,139)와, 제1 온열스위치(SW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1 히터 유니트(60)가 가열중임을 각각 표시하는 제2 발광다이오드(LED2)와, 상기 제1 온열스위치(SW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교류전원부(132)로부터 상기 제1 히터 유니트(60)의 제1 시이즈 히터(62)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제1 스위칭 회로(142)와, 제2 온열스위치(SW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2 히터 유니트(70)가 가열중임을 표시하는 제3 발광다이오드(LED3)와, 상기 제2 온열스위치(SW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교류전원부(132)로부터 상기 제2 히터 유니트(70)의 제2 시이즈 히터(72)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제2 스위칭 회로(144)와, 동작 개시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120시간)을 각각 카운트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입력하는 제1 및 제2 타이머(152,154)와, 상기 제1 및 제2 타이머(152,154)가 동작시간을 카운트중임을 각각 표시하는 제4 및 제5 발광다이오드(LED4,LED5)와,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물탱크(30) 내에 저류된 물이 일정레벨 이하일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제6 발광다이오드(LED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설정수단(135,136)은 물의 가열온도를 5℃씩 각각 증가시키는 제1 및 제2 온도증가버튼(135a,136a)과, 물의 가열온도를 5℃씩 각각 감소시키는 제1 및 제2 온도감소버튼(135b,13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스위칭 회로(142)는 상기 제1 온열스위치(SW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제1 포토 트라이악(PT1)과,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PT1)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PT1)로부터 트리거신호를 받아 스위칭 온되는 제1 트라이악(T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PT1)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제7 발광다이오드(LED7)와, 상기 제1 트라이악(T1)을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7 발광다이오드(LED7)에서 발광되는 광을 받아서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1 트라이악(T1)에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악(T14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스위칭 회로(144)는 상기 제2 온열스위치(SW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제2 포토 트라이악(PT2)과,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PT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PT2)로부터 트리거신호를 받아 스위칭 온되는 제2 트라이악(T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PT2)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제8 발광다이오드(LED8)와, 상기 제2 트라이악(T2)을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8 발광다이오드(LED8)에서 발광되는 광을 받아서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2 트라이악(T2)에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악(T144)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23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주입구(21)를 덮는 덮개(뚜껑)로서, 상부에 공기구멍(23a)이 형성되어 있고, 24는 전원공급 소켓이고, 62a,62b는 상기 제1 및 제2 시이즈 히터(62.72)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이드선이고, 120a,120b는 상기 제1 및 제2 온도검출센서(120,122)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이드선이고, 110b는 수위가 일정레벨 이하가 되었을 경우에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의 플로터(110a)에 내설된 자석(도시하지 않음)에서 방사되는 자력선에 의해 도통되는 근접스위치이다.
또한, R1 내지 R8은 전류제한저항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온수 순환장치에 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를 물탱크(30) 내에 설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체(41,51)의 플랜지(41a,51a) 하부면(도 6에서 플랜지(41a,51a)의 우측면)에 원형의 제1 실리콘 패킹(47)을 끼운 후에 상기 물탱크(30)의 앞쪽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물배출구(32a,32b) 내에 상기 원통체(41,51)를 끼우고, 상기 원통체(41,51)의 플랜지(41a,51a) 상부면(도 6에서 플랜지(41a,51a)의 좌측면)에 원형의 제2 실리콘 패킹(48)을 당접시킨 다음, 상기 제2 실리콘 패킹(48)의 상부면 (도 6에서 제2 실리콘 패킹(48)의 좌측면)에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의 일측이 삽입되는 돌출 관통공(49a)이 형성된 브라켓(49)을 상기 원통체(41,51) 내로 밀어 넣은 후에 체결볼트(49b)와 너트(49c)를 조여서 상기 물탱크(30) 내에 설치한다.
상기 물탱크(30) 내에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를 각각 설치한 후에, 상기 브라켓(49)의 돌출 관통공(49a) 내로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의 제1 및 제2 실리콘 패킹(64,74)을 기밀하게 각각 삽입설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의 제1 및 제2 온수배출구(61d,71d)의 외주면에 상 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의 제3 및 제4 실리콘 패킹(65,75)을 각각 결합고정하고, 상기 제3 및 제4 실리콘 패킹(65,75)에 형성된 제3 및 제4 온수배출구(65a,75a) 내에 한쌍의 조인트(80)의 제1 접속관(81)에 형성된 도입구(81a)를 각각 접속한다.
다음에, 상기 조인트(80)의 제1 접속관(81)의 배출구(81b)의 외주면에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의 도입구(90a,100a)를 각각 접속하고 나서,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의 배출구(90b,100b)를 상기 조인트(80)의 제2 접속관(82)의 도입구(82a)의 외주면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1 및 제2 호스(95,96)의 일측을 상기 제2 접속관(82)의 배출구(82b)에 각각 접속한 후에 상기 제1 및 제2 호스(95,96)의 타측을 상기 물탱크(30)의 앞쪽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 도입구(33a,33b)에 각각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물탱크(30)에 제1 및 제2 히터유니트(60,70)를 각각 접속한 후에, 한쌍의 조인트(80), 온수배관(90,100), 상기 제1 및 제2 호스(95,96) 및 상기 물탱크(30)의 제1 및 제2 도입구(33a,33b)를 각각 접속한 상태에서 상부 하우징(20)의 덮개(23)를 열고 주입구(21)를 통해서 상기 물탱크(30) 내에 물을 주입한 후에, 상기 덮개(23)를 닫으면,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의 밸브체(43,53)가 개방되어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이 관통구멍(41b,51b)을 통해서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의 원통체(41,51) 내로 각각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의 원통체(41,51) 내로 각각 공급된 물이 제1 및 제2 히터유니트(60,70)의 제1 및 제2 관통공(61a,71a) 내에 공급된다.
제1 온수배관(90)에 온수의 공급 경우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히터유니트(60,70)의 제1 및 제2 관통공(61a,71a) 내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제어 유니트(130)의 마그네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SW1)를 스위칭 온시키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발광제어신호(직류전류)가 전류제한저항(R1)을 통해서 제1 발광다이오드(LED1)에 출력됨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다이오디(LED1)를 발광하여 상기 전원스위치(SW1)가 스위칭 온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교류전원부(132)로부터 교류전원이 다운 트랜스포머(133)에 인가되어 다운 트랜스포머(133)에서 일정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다운시켜서 직류전원부(134)에 공급함에 따라 상기 직류전원부(134)에서 일정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유니트(130)의 제1 온도설정수단(135)의 제1 온도증가버튼(135a) 또는 제1 온도감소버튼(135b)을 사용하여 온도를 5℃씩 증감시켜서 물을 가열시키고자하는 온도를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가 제1 온도표시수단(138)에 표시한다.
다음에, 제1 온열스위치(SW2)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발광제어신호(예를 들면, 직류전원)가 제1 온열스위치(SW2)를 통해서 출력되어 제2 발광다이오드(LED2)가 발광하여 상기 제1 온열스위치(SW2)가 스위칭 온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제1 스위칭 회로(142)의 제1 포토 트라이악(PT1)을 구성하는 제7 발광다이오드(LED7)에 전류제한저항(R7)을 통해서 직류전류가 흐르므로 상기 제7 발광다이오드(LED7)가 발광됨에 따라 상기 다이악(T142)이 도통되고, 이에 따라 제1 트라이악(T1)의 게이트단자에 트리거신호가 입력되어 제1 트라이악(T1)이 도통되어서 상기 교류전원부(132)로부터 제1 히터 유니트(60)의 제1 시이즈 히터(62)에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1 체크밸브(40)로부터 상기 제1 시이즈 히터(62)의 제1 관통공(61a) 내에 공급된 물이 가열되기 시작하여 제1 온도설정수단(135)의 제1 온도증가버튼(135a) 또는 제1 온도감소버튼(135b)에 의해 설정된 가열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제1 사이즈 히터(62)의 제1 관통공(61a) 내에 공급된 물이 제1 온도설정수단(135)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 체크밸브(40)의 밸브체(43)가 상기 제1 체크밸브(40)의 원통체(41)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구멍(41b)을 폐쇠시킴과 동시에, 가열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 사이즈 히터 (62)의 제1 온수배출구(61d) 및 조인트(80)의 제1 접속관(81)을 통해서 제1 온수배관(90)에 공급되며, 상기 제1 온수배관(90)에서 온도가 떨어진 물은 상기 조인트(80)의 제2 접속관(82), 제1 호스(95) 및 상기 물탱크(30)의 제1 도입구(33a)를 통해서 상기 물탱크(30)로 되돌아간다.
한편, 수위감지센서(110)에 의해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의 수위가 일정 레벨이하가 되면 플로터(110a)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플로터(110a) 내에 설치된 자석에서 방사되는 자력선에 의해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내설된 근접스위치(110b)가 작동되어 상기 제어 유니트(1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물부족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제6 발광다이오드(LED6)가 발광하여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의 수위가 일정 레벨 이하임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의해 상기 물탱크(30) 내의 수위가 일정 레벨이하일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부저(112)가 경보음을 출력한다.
또한, 제1 타이머(152)에 의해 카운트한 동작개시 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120시간)이 경과하였을 경우에는 마그네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SW1)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원스위치(SW1)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4 발광다이오드(LED4)를 소등시켜서 본 발명의 온수 순환장치가 동작을 중지 중임을 표시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1 히터 유니트(60)의 상기 제1 시이즈 히터(62)의 가열에 따라 발생된 공기(또는 기포)는 상기 제1 체크밸브(40)의 바닥면에 설치된 볼트(46a)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형성된 에어 배출구멍(46)을 통해서 상기 물탱크(30) 내로 배출되며, 상기 물탱크(30) 내에 수집된 공기(에어)는 상부하우징(20)의 주입구(21)를 덮는 덮개(23)에 형성된 공기구멍(23a)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온도표시수단(138)은 상기 제1 히터 유니트(60)의 상기 제1 시이즈 히터(62)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상기 제1 시이즈 히터(62)의 발열온도를 검출해서 상기 제어 유니트(1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제1 시이즈 히터(62)의 발열온도를 제1 온도표시수단(138)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시이즈 히터(62)의 발열온도가 상기 제1 온도설정수단(135)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1 시이즈 히터(62)에 직렬로 접속된 제1 바이메탈(63)이 오프되어 화재의 발생을 방지한다.
제2 온수배관(100)에 온수의 공급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히터유니트(60,70)의 제1 및 제2 관통공(61a,71a) 내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제어 유니트(130)의 마그네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SW1)를 스위칭 온시키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발광제어신호(직류전류)가 전류제한저항(R1)을 통해서 제1 발광다이오드(LED1)에 출력됨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LED1)가 발광하여 상기 전원스위치(SW1)가 스위칭 온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교류전원부(132)로부터 교류전원이 다운 트랜스포머(133)에 인가되어 다운 트랜스포머(133)에서 일정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다운시켜서 직류전원부(134)에 공급함에 따라 상기 직류전원부(134)에서 일정 레벨의 직류전원으로 변환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다음에, 상기 제어 유니트(130)의 제2 온도설정수단(136)의 제2 온도증가버튼(136a) 또는 제2 온도감소버튼(136b)을 사용하여 온도를 5℃씩 증감시켜서 물을 가열시키고자하는 온도를 설정하면, 설정된 온도가 제2 온도표시수단(139)에 표시한다.
다음에, 제2 온열스위치(SW3)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발광제어신호(예를 들면 직류전원)가 제2 온열스위치(SW3)를 통해서 출력되어 제3 발광다이오드(LED3)가 발광하여 상기 제2 온열스위치(SW3)가 스위칭 온되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제2 스위칭 회로(144)의 제2 포토 트라이악(PT2)을 구성하는 제8 발광다이오드(LED8)에 전류제한저항(R8)을 통해서 직류전류가 흐르므로 상기 제8 발광다이오드(LED8)가 발광됨에 따라 다이악(T144)이 도통되고, 이에 따라 제2 트라이악(T2)의 게이트 단자에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2 트라이악(T2)이 도통되어서 상기 교류전원부(132)로부터 제2 히터 유니트(70)의 제2 시이즈 히터(72)에 교류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2 체크밸브(50)로부터 상기 제2 시이즈 히터(72)의 제2 관통공(71a) 내에 공급된 물이 가열되기 시작하여 제2 온도설정수단(135)의 제2 온도증가버튼(136a) 또는 제2 온도감소버튼(136b)에 의해 설정된 가열온도로 가열된다.
상기 제2 시이즈 히터(72)의 제2 관통공(71a) 내에 공급된 물이 제2 온도설정수단(136)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면, 가열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2 체크밸브(50)의 제2 밸브체(53)가 상기 제2 체크밸브(50)의 원통체(51)의 바닥면에 형성된 관통구멍(51b)을 폐쇠시킴과 동시에, 가열된 물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2 히터 유니트(70)의 제2 온수배출구(71d) 및 조인트(80)의 제1 접속관(81)을 통해서 제2 온수배관(100)에 공급되며, 상기 제2 온수배관(100)에서 온도가 떨어진 물은 상기 조인트(80)의 제2 접속관(82), 제2 호스(96) 및 상기 물탱크(30)의 제2 도입구(33b)를 통해서 상기 물탱크(30)로 되돌아간다.
한편, 수위감지센서(110)에 의해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의 수위가 일정 레벨이하가 되면 플로터(110a)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플로터(110a) 내에 설치된 자석에서 방사되는 자력선에 의해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내설된 근접스위치(110b)가 작동되어 상기 제어 유니트(1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물부족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제6 발광다이오드(LED6)가 발광하여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의 수위가 일정 레벨이하임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의해 상기 물탱크(30) 내의 수위가 일정 레벨이하일 경우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부저(112)가 경보음을 출력한다.
또한, 제2 타이머(154)에 의해 카운트한 동작개시 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120시간)이 경과하였을 경우에는 마그네트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원스위치(SW1)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전원스위치(SW1)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5 발광다이오드(LED5)를 소등시켜서 본 발명의 온수 순환장치가 동작을 중지 중임을 표시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히터 유니트(70)의 상기 제2 시이즈 히터(72)의 가열에 따라 발생된 공기(또는 기포)는 상기 제2 체크밸브(50)의 바닥면에 설치된 볼트(56a)의 길이방향 중심을 따라 형성된 에어 배출구멍(56)을 통해서 상기 물탱크(30) 내로 배출되며, 상기 물탱크(30) 내에 수집된 공기(에어)는 상부 하우징(20)의 주입구(21)를 덮는 덮개(23)에 형성된 공기구멍(23a)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온도표시수단(139)은 상기 제2 히터 유니트(70)의 제2 시이즈 히터(72)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상기 제2 시이즈 히터(72)의 발열온도를 검출해서 상기 제어 유니트(13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제2 시이즈 히터(72)의 발열온도를 상기 제2 온도표시수단(139)에 표시하고, 상기 제2 시이즈 히터(72)의 발열온도가 상기 제2 온도설정수단(136)에 의해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제2 시이즈 히터(72)에 직렬로 접속된 제2 바이메탈(73)이 오프되어 화재의 발생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온수 순환장치는 물을 순환시키기 위하여 모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소음을 발생하지 않으며, 온수의 압력에 의해 온수를 순환시키고, 원 터치 방 식으로 조작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1순환라인 및 2순환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중 물이 부족할 경우에 경고음을 울림과 동시에, 램프를 점멸하여 물의 부족을 알려 줄 수 있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 내에 온수가 흐르므로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으로부터 전자파를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온수 순환장치를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에 있어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에 있어서 물탱크 내에 체크밸브 및 수위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에 적용되는 히터 유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 순환장치의 제어 유니트의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하부 하우징 11:통풍구
20:상부 하우징 21:주입구
22:관찰창 23:덮개
24:전원공급 소켓 30:물탱크
31:개구부 32a:제1 물배출구
32b:제2 물배출구 33a:제1 도입구
33b:제2 도입구 34:돌출부
40:제1 체크밸브 41원통체
41a:플랜지 41b:관통구멍
42:스크류 43:밸브체
46:에어 배출구멍
51원통체 51a:플랜지
51b:관통구멍 52:스크류
53:밸브체 46a:볼트
56a:볼트 56:에어 배출구멍
50:제2 체크밸브 60:제1 히터 유니트
61:제1 알루미늄관 61a:관통공
61b:평탄면 61c:제1 도입구
61d:제1 온수배출구 62:제1 시이즈히터
62a:리이드선 62b:리이드선
63:제1 바이메탈 64:제1 실리콘 패킹
64a:제1 클램퍼 65:제3 실리콘 패킹
65a:제3 온수 배출구 65b:제3 클램퍼
70:제2 히터 유니트 71:제2 알루미늄관
71a:관통공 71b:평탄면
71c:제2 도입구 71d:제2 온수배출구
72:제2 시이즈 히터 73:제2 바이메탈
74:제2 실리콘 패킹 74a:제2 클램퍼
75:제4 실리콘 패킹 75a:제4 온수 배출구
75b:제4 클램퍼 80:조인트
81:제1 접속관 81a:도입구
81b:배출구 82:제2 접속관
82a:도입구 82b:배출구
90:제1 온수배관 90a:도입구
90b:배출구 95:제1 호스
96:제2 호스 100:제2 온수배관
100a:도입구 100b:배출구
110:수위감지센서 110a:플로터
110b:근접스위치 112:부저
120:제1 온도검출센서 120a:리이드선
120b:리이드선 122:제2 온도검출센서
130:제어 유니트 131:마이크로프로세서
132:교류전원부 133:다운 트랜스포머
134:직류전원부 135:제1 온도설정수단
135a:제1 온도증가버튼 135b:제1 온도감소버튼
136:제2 온도설정수단 136a:제2 온도증가버튼
136b:제2 온도감소버튼 138:제1 온도표시수단
139:제2 온도표시수단 142:제1 스위칭 회로
144:제2 스위칭 회로 152:제1 타이머
154:제2 타이머

Claims (8)

  1. 다수의 통풍구(11)가 형성된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31)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하부면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형성된 주입구(21)를 통해서 도입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30)와,
    상기 물탱크(30)의 제1 및 제2 물배출구(32a,32b) 내측에 각각 배설되어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높을 경우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을 각각 배출하는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와,
    상기 물탱크(30)의 앞쪽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물배출구(32a,32b) 내에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의 개방시에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받아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일정 압력 이상일 경우에 온수를 배출하는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와,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의 제3 및 제4 실리콘 패킹(65,75)의 제3 및 제4 온수 배출구(65a,75a)에 제1 접속관(81)의 도입구(81a)가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1 접속관(81)의 배출구(81b)가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의 도입구(90a,100a)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에서 각각 배출되는 일정 온도의 온수를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에 각각 공급함과 동시에, 제2 접속관(82)의 도입구(82a)가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의 배출구(90b,100b)에 각각 접속되며, 일측이 상기 물탱크(30)의 앞쪽 상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 도입구(33a,33b)에 접속된 제1 및 제2 호스(95,96)의 타측에 각각 접속된 한쌍의 한쌍의 조인트(80)와,
    상기 물탱크(30)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감지센서(110)와,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의해 상기 물탱크(30) 내의 수위가 일정 레벨이하일 경우 경보음을 출력하는 부저(112)와,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온수배관(90,100)의 온도를 검출해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31)에 출력하는 제1 및 제2 온도검출센서(120,122)와,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니트(130)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3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주입구(21)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31)와, 앞쪽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의 개방시에 물을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에 각각 배출하는 제1 및 제2 물배출구(32a,32b)와, 상기 조인트(80)의 제2 접속관(82)의 배출구(82b)에서 배출되는 낮은 온도의 물을 제1 및 제2 호스(95,96)를 개재하여 도입하도록 상기 물탱크(30)의 앞쪽 상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입구(33a,33b)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측벽에 형성된 관찰창(22)을 통해서 저류되어 있는 물의 양을 관찰할 수 있도록 측벽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기 관찰창(22)에 끼워지는 돌출부(3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는 개구부 가장자리를 따라 플랜지(41a,51a)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물을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에 물을 각각 배출하도록 바닥면에 관통구멍(41b,51b)이 형성된 원통체(41,51)와, 상기 원통체(41,51)의 바닥면에 스크류(42,52)에 의해 일측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내의 압력보다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내로 배출하도록 개방되어서 상기 관통구멍(41b,51b)을 통해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을 배출하며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 내의 압력보다 상기 물탱크(30) 내의 압력이 작을 경우에 폐색되어서 상기 관통구멍(41b,51b)을 통해서 상기 물탱크(30) 내의 물배출을 차단하는 밸브체(43,53)와, 상기 원통체(41,51)의 바닥면을 관통해서 설치되어 상기 원통체(41,51) 내에 수집된 에어(공기)를 배출하도록 볼트(46a,56a)의 중심 길이방향을 따라 미세하게 형성된 에어배출구멍(46,5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는 상기 물탱크(3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통과시키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61a,71a)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 평탄면(61b,71b)이 각각 형성되며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로부터 도입되는 물을 도입하는 제1 및 제2 도입구(61c,71c)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타측에 가열된 물을 배출하도록 제1 및 제2 온수배출구(61d,71d)가 각각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과,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의 평탄면(61b,71b)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관통공(61a,71a) 내에 도입된 물을 미리 설정된 온도로 각각 가열하는 제1 및 제2 시이즈히터(62,72)와, 상기 제1 및 제2 시이즈히터(62,72)의 중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의 온도가 특정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었을 경우 각각 개방(오픈)되는 제1 및 제2 바이메탈(63,73)과,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도입구(61c,71c)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제1 및 제2 클램퍼(64a,74a)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관 형상의 제1 및 제2 실리콘 패킹(64,74)과, 상기 제1 및 제2 알루미늄관(61,71)에 일체적으로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온수배출구(61d,71d)의 외주면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조인트(80)의 제1 접속관(81)의 도입구(81a)의 외주면에 각각 결합되어 제3 및 제4 클램퍼(65b,75b)에 의해 고정되는 원통관 형상의 제3 및 제4 실리콘 패킹(65,7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니트(130)는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1)와, 전원스위치(SW1)의 스위칭 온시에 교류전원부(132)로부터 교류전원을 받아서 일정 레벨의 교류전원으로 다운시키는 다운 트랜스포머(133)와, 상기 전원스위치(SW1)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직류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제1 발광다이오드(LED1)와, 상기 다운 트랜스포머(133)로부터 교류전원을 받아서 직류전원으로 변환해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부(134)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동작전원이 공급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체크밸브(40,50)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히터 유니트(60,70)의 제1 및 제2 관통공(61a,71a) 내에 각각 공급된 물을 일정온도로 가열시키도록 가열온도를 각각 설정하는 제1 및 제2 온도설정수단(135,136)과,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설정수단(135,136)에 의해 물의 가열온도 설정시에 가열온도를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온도검출센서(120,122)에 의해 검출된 물의 가열된 온도를 각각 표시하는 제1 및 제2 온도표시수단(138,139)와, 제1 온열스위치(SW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1 히터 유니트(60)가 가열중임을 각각 표시하는 제2 발광다이오드(LED2)와, 상기 제1 온열스위치(SW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교류전원부(132)로부터 상기 제1 히터 유니트(60)의 제1 시이즈 히터(62)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제1 스위칭 회로(142)와, 제2 온열스위치(SW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2 히터 유니트(70)가 가열중임을 표시하는 제3 발광다이오드(LED3)와, 상기 제2 온열스위치(SW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교류전원부(132)로부터 상기 제2 히터 유니트(70)의 제2 시이즈 히터(72)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제2 스위칭 회로(144)와, 동작개시시간으로부터 일정시간을 각각 카운트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 입력하는 제1 및 제2 타이머(152,154)와, 상기 제1 및 제2 타이머(152,154)가 동작시간을 카운트중임을 각각 표시하는 제4 및 제5 발광다이오드(LED4,LED5)와, 상기 수위감지센서(110)에 의해서 검출된 상기 물탱크(30) 내에 저류된 물이 일정레벨 이하일 경우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발광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LED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설정수단(135,136)은 물의 가열온도를 5℃씩 각각 증가시키는 제1 및 제2 온도증가버튼(135a,136a)과, 물의 가열온도를 5℃씩 각각 감소시키는 제1 및 제2 온도감소버튼(135b,136b)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위칭 회로(142)는 상기 제1 온열스위치(SW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제1 포토 트라이악(PT1)과,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PT1)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PT1)로부터 트리거신호를 받아 스위칭 온되는 제1 트라이악(T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PT1)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제7 발광다이오드(LED7)와, 상기 제1 트라이악(T1)을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7 발광다이오드(LED7)에서 발광되는 광을 받아서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1 트라이악(T1)에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 악(T142)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칭 회로(144)는 상기 제2 온열스위치(SW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제2 포토 트라이악(PT2)과,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PT2)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PT2)로부터 트리거신호를 받아 스위칭 온되는 제2 트라이악(T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PT2)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1)에서 출력되는 온열제어신호에 의해 발광되는 제8 발광다이오드(LED8)와, 상기 제2 트라이악(T2)을 도통시키도록 상기 제8 발광다이오드(LED8)에서 발광되는 광을 받아서 스위칭 온되어 상기 제2 트라이악(T2)에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악(T14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순환장치.
KR1020080089119A 2008-09-10 2008-09-10 온수 순환장치 KR100876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119A KR100876939B1 (ko) 2008-09-10 2008-09-10 온수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119A KR100876939B1 (ko) 2008-09-10 2008-09-10 온수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6939B1 true KR100876939B1 (ko) 2009-01-07

Family

ID=4048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119A KR100876939B1 (ko) 2008-09-10 2008-09-10 온수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6939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712B1 (ko) 2008-12-19 2010-03-03 송진호 찜질팩 및 온수매트 겸용 온수 공급 장치
KR100948113B1 (ko) 2009-02-17 2010-03-18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온열매트용 이동식 보일러
WO2010095829A2 (ko) * 2009-02-17 2010-08-26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온열매트용 이동식 보일러
KR200452249Y1 (ko) 2010-04-07 2011-02-14 이영순 물탱크에 온수온도가 상이한 2개의 히터원통관을 설치한 소형 온수보일러
KR101019575B1 (ko) 2010-03-10 2011-03-08 강일석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101055702B1 (ko) * 2008-10-22 2011-08-09 김용후 온수로 가열되는 돌침대
KR101588636B1 (ko) * 2015-04-07 2016-01-26 현대산업 주식회사 온도 측정이 용이한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20160003424U (ko) 2015-03-26 2016-10-06 김윤식 온수매트용 온수 보일러 순환장치
KR101803210B1 (ko) 2016-12-07 2017-11-30 정유석 순환펌프가 필요없는 자연순환식 소형 온수보일러
KR20180001104U (ko) 2016-10-12 2018-04-20 권헌령 무동력 온수순환 촉진장치 물통
KR101967140B1 (ko) 2018-02-12 2019-04-09 (주)스팀보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용 호스펌프
KR101983583B1 (ko) 2018-02-12 2019-05-29 주식회사 스팀보이 피스톤 펌프에 의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
KR101995236B1 (ko) 2018-02-12 2019-07-02 주식회사 스팀보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용 피스톤 펌프
KR20190097384A (ko)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스팀보이 피스톤 펌프에 의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
KR102075614B1 (ko) 2019-12-16 2020-02-10 주식회사 스팀보이 물매트용 물보일러에서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플런저 완충캡
KR102087579B1 (ko) 2019-07-19 2020-03-11 주식회사 스팀보이 분리난방 온수매트의 자동 물빼기 시스템
KR20210041194A (ko) * 2019-10-07 2021-04-15 정길호 소형 전기 온수보일러
KR102586251B1 (ko) 2022-05-18 2023-10-11 정영섭 기능성 온수관을 이용한 온수매트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263A (ja) * 1991-12-04 1993-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搬送装置
JPH09138007A (ja) * 1995-11-10 1997-05-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太陽熱給湯設備
JPH09138004A (ja) * 1995-11-10 1997-05-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太陽熱給湯設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7263A (ja) * 1991-12-04 1993-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搬送装置
JPH09138007A (ja) * 1995-11-10 1997-05-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太陽熱給湯設備
JPH09138004A (ja) * 1995-11-10 1997-05-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太陽熱給湯設備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02B1 (ko) * 2008-10-22 2011-08-09 김용후 온수로 가열되는 돌침대
KR100944712B1 (ko) 2008-12-19 2010-03-03 송진호 찜질팩 및 온수매트 겸용 온수 공급 장치
KR100948113B1 (ko) 2009-02-17 2010-03-18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온열매트용 이동식 보일러
WO2010095829A2 (ko) * 2009-02-17 2010-08-26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온열매트용 이동식 보일러
WO2010095828A3 (ko) * 2009-02-17 2010-11-18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온열매트용 이동식 보일러
WO2010095829A3 (ko) * 2009-02-17 2010-11-18 주식회사 유로하우징 온열매트용 이동식 보일러
US8893708B2 (en) 2009-02-17 2014-11-25 Eurohousing Corporation Portable boiler for a hot mat
KR101019575B1 (ko) 2010-03-10 2011-03-08 강일석 회전날개가 내장된 온수매트용 온수순환장치
KR200452249Y1 (ko) 2010-04-07 2011-02-14 이영순 물탱크에 온수온도가 상이한 2개의 히터원통관을 설치한 소형 온수보일러
KR20160003424U (ko) 2015-03-26 2016-10-06 김윤식 온수매트용 온수 보일러 순환장치
KR101588636B1 (ko) * 2015-04-07 2016-01-26 현대산업 주식회사 온도 측정이 용이한 온수 매트용 온수 보일러
KR20180001104U (ko) 2016-10-12 2018-04-20 권헌령 무동력 온수순환 촉진장치 물통
KR101803210B1 (ko) 2016-12-07 2017-11-30 정유석 순환펌프가 필요없는 자연순환식 소형 온수보일러
KR101967140B1 (ko) 2018-02-12 2019-04-09 (주)스팀보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용 호스펌프
KR101983583B1 (ko) 2018-02-12 2019-05-29 주식회사 스팀보이 피스톤 펌프에 의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
KR101995236B1 (ko) 2018-02-12 2019-07-02 주식회사 스팀보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용 피스톤 펌프
KR20190097384A (ko) 2018-02-12 2019-08-21 주식회사 스팀보이 피스톤 펌프에 의해 자연순환식 물 흐름을 개선한 온수매트의 온수보일러
KR102087579B1 (ko) 2019-07-19 2020-03-11 주식회사 스팀보이 분리난방 온수매트의 자동 물빼기 시스템
KR20210041194A (ko) * 2019-10-07 2021-04-15 정길호 소형 전기 온수보일러
KR102407499B1 (ko) * 2019-10-07 2022-06-10 정길호 소형 전기 온수보일러
KR102075614B1 (ko) 2019-12-16 2020-02-10 주식회사 스팀보이 물매트용 물보일러에서 소음방지 구조를 갖는 솔레노이드 밸브용 플런저 완충캡
KR102586251B1 (ko) 2022-05-18 2023-10-11 정영섭 기능성 온수관을 이용한 온수매트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939B1 (ko) 온수 순환장치
JP2975243B2 (ja) 湯沸器、及び湯沸器用の温度監視装置、並びに湯沸器を制御するための動作パラメータ値を決定する方法
US79704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relief valve drain in hot water Heater
US9167630B2 (en) Tankless water heater
KR20060115333A (ko) 스팀 오븐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7032902A (ja) 加熱調理器
JP2004278820A (ja)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
US20080246621A1 (en) Leak Control System
US5060560A (en) Low-water element safety control
US7988665B2 (en) Infusion fluid heating apparatus
KR101128952B1 (ko) 온수 순환장치
US5705036A (en) Water distilling apparatus
KR200363040Y1 (ko) 사출금형의 온도 조절장치
KR100891575B1 (ko) 온수 순환 시스템
KR100830985B1 (ko) 온수온열매트의 적외선 수위센서
KR101055702B1 (ko) 온수로 가열되는 돌침대
KR200398108Y1 (ko) 온수 보일러의 제어장치
KR101249433B1 (ko) 전기 보일러
KR100306642B1 (ko) 중탕기의 과열 방지장치
JP3526694B2 (ja) 水槽の水温制御装置
KR101981070B1 (ko) 직수형 온수공급장치
JP2682745B2 (ja) 温水循環処理装置
JP4763530B2 (ja) 加熱調理器
JP2579939Y2 (ja) スチ−ム加湿器
JP2009222276A (ja) 温水生成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