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777B1 - 생체정보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정보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777B1
KR100875777B1 KR20077005092A KR20077005092A KR100875777B1 KR 100875777 B1 KR100875777 B1 KR 100875777B1 KR 20077005092 A KR20077005092 A KR 20077005092A KR 20077005092 A KR20077005092 A KR 20077005092A KR 100875777 B1 KR100875777 B1 KR 10087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rms
cuff
arm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5309A (ko
Inventor
나오에 다타라
기미히사 아이하라
신지 미노
히로시 고이즈미
소이치 하야시다
다이스케 오구치
주니치 시마다
소이치 스도
오사무 도치쿠보
히데토시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덴신뎅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by using sensing means generating electric signals, i.e. EC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61B5/6816Ear l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15Ear
    • A61B5/6817Ear ca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2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applying pressure to close blood vessels, e.g. against the skin; Ophthalmodynamometers
    • A61B5/02233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5/02241Occlu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small dimensions, e.g. adapted to fi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4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 Y10T24/44291Clasp, clip, support-clamp,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including pivoted gripping member
    • Y10T24/44376Spring or resiliently biased about pivot
    • Y10T24/44385Distinct spring
    • Y10T24/44427Distinct spring with position locking-means f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혈압 측정 등의 생체 조직에의 가압이 필요한 측정에 있어서는, 진동에 의한 노이즈가 혼입하기 쉽기 때문에 정확한 맥파, 혈압치의 측정이 어려워, 안정되게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과제였다. 또, 일상 활동 중에서의 측정이나 항상 혈압계를 장착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이나 연속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유지 방법이 과제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안정되게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지축으로 접속된 1쌍의 암에 생체정보 검출용의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가 생체의 돌기부, 특히 귓바퀴의 이주에 밀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지축, 암, 센서, 돌기부, 귓바퀴, 이주, 귀걸이

Description

생체정보 검출장치{BIOINFORMATION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인체의 귓바퀴 등의 생체의 일부에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가 진행되어, 성인의 생활 습관병에의 대응이 사회적으로 큰 과제가 되고 있다. 특히, 고혈압에 관련한 질환의 경우, 장기(長期)의 혈압 데이터의 수집이 매우 중요한 점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혈압을 비롯한 각종의 생체정보의 검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 외이부(外耳部)에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장치에 대해서는, 외이도(外耳道) 또는 외이중(外耳中)의 다른 부위에 삽입되고, 상시 장착하는 환자 모니터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는, 동맥의 맥파나 혈류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발광 소자에 의해 생체에 조사한 조사광이 생체의 동맥 혹은 동맥 내의 혈구에 의해 산란한 산란광을 수광 소자에 의해 수광하고, 산란광으로부터 맥파나 혈류를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맥박, 맥파, 심전, 체온, 동맥혈 산소 포화도 및 혈압 등을 생체 내에 방사한 적외광, 가시광의 산란광의 수광량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또, 외이도 또는 귓불에 장착하는 장치로서는, 무선 통신 수단을 가지며, 동 맥혈 산소 포화 농도 센서, 체온 센서, 심전 센서, 맥파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긴급 정보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한편, 혈압의 측정에 관해서는, 혈관의 맥동 파형에 의한 혈압 측정 장치는, 다른 방식인 커프(cuff) 진동법이나 용적 보상법 등에 의한 혈압 측정 장치(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와 나란히 유력한 혈압의 측정 방법으로서 인정되고 있다.
또한, 본원에서는 귓바퀴의 명칭은 비특허문헌 2에, 귓바퀴의 연골의 명칭은 비특허문헌 3에 의한다.
특허문헌 1 : 특개평9-122083
특허문헌 2 : 특개평11-128174
비특허문헌 1 : 야마코시 켄이치, 토카와 타츠오 저, 「생체 센서와 계측 장치」, 일본엠이학회편/ME 교과서 시리즈 A-1, 39 페이지 ~ 52 페이지
비특허문헌 2 : Sobotta 도설(圖說)인체해부학 제 1 권(감역자 : 오카모토 미치오), p.126, (주)의학서원, 1996년 10월 1일 발행
비특허문헌 3 : Sobotta 도설인체해부학 제 1권(감역자 : 오카모토 미치오), p.127, (주)의학서원, 1996년 10월 1일 발행
혈압 측정 등의 생체 조직에의 가압이 필요한 측정에 있어서는, 진동에 의한 노이즈가 혼입하기 쉽기 때문에 정확한 맥파, 혈압치의 측정이 어려워 안정되게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과제였다. 또, 일상 활동 중에서의 측정이나 항상 혈압계를 장착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이나 연속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유지 방법이 과제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장착이 용이하며 또한 안정적으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지축(支軸)으로 접속된 1쌍의 암에 생체정보 검출용의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가 생체의 돌기부, 특히 귓바퀴의 이주(耳珠)에 밀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1쌍의 암의 상기 타단의 간격을 줄이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지축에 설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 해당 타단의 간격을 줄이는 탄성체에 의해 암에 장착된 센서를 생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1쌍의 암의 상기 타단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래치를 구비한다.
지축에 설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 해당 타단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래치에 의해 암에 장착된 센서의 생체에의 밀착을 계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상기 센서가 상기 암의 상기 타단을 관통하는 나사 구멍에 장착된 조정 나사의 선단에 탑재되고 있어도 된다.
조정 나사의 선단에 센서를 탑재함으로써 생체에의 밀착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에서는, 상기 센서가 출력광을 귓바퀴의 생체에 입사시키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력광이 상기 생체에서 산란한 빛 또는 상기 생체를 투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여도 된다.
발광 소자의 출력광을 생체에 입사시키고, 생체에서 산란한 빛 또는 생체를 투과한 빛을 수광 소자로 수광함으로써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맥파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상기 센서가 생체에 압력을 인가하는 동시에 생체로부터의 압력을 검출하는 커프여도 된다.
커프에 의해 생체에 압력을 인가하면서, 커프 내의 미소한 압력 변동을 측정함으로써 생체로부터의 압맥파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커프에 내장되어 있어도 된다.
센서를 커프에 내장함으로써, 커프의 가압하고 있는 생체 부분에서의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커프로부터 공기가 배기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 또는 상기 커프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은 생체에 맞닿고, 상기 커프에 공기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프가 생체 표면에 접하여 이주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축에 설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 커프 내의 여압을 적게 하여 여압에 의한 측정 오차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커프가 해당 커프가 장착된 암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축에 설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 오염되거나 소모되기 쉬운 커프를 교환하거나, 위생 관리도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커프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생체에 맞닿는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축에 설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 커프의 방향이 자유롭게 됨으로써 생체에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커프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의 장축(長軸)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축에 설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또 커프를 슬라이드시켜 생체의 최적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상기 커프를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의 상기 타단 방향에 접근하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커프를 암의 타단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커프를 생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상기 지축을 중심축으로 하고,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라도, 암이 교차하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커프를 생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상기 1쌍의 암이,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의 한쪽 측면측에 배치되는 암 및 상기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의 다른 한쪽 측면측에 배치되는 암으로 상기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를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암으로 귓바퀴의 돌기부를 끼우는 것에 의해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귓바퀴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상기 1쌍의 암이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로서의 이주의 한쪽 측면측에 배치되는 암 및 상기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로서의 이주의 다른 한쪽 측면측에 배치되는 암으로 상기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로서의 이주를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쌍의 암으로 이주를 끼우는 것에 의해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귓바퀴에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인체의 귓바퀴의 밑 부분을 일주하는 귀걸이(behind-the-ear)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귓바퀴에 안정되게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상기 1쌍의 암 중 귓바퀴측에 배치되는 암의 귓바퀴측에 설치된 쿠션과, 상기 쿠션을 설치한 상기 암 및 상기 귀걸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자석과, 다른 한쪽에 설치한 자석 또는 자성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쿠션을 구비함으로써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장시간에 걸쳐 장착할 수 있으며 또, 귀걸이와 쿠션이 자력으로 서로 당김으로써 체동(體動)을 원인으로 하는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인체의 좌우의 귓바퀴 중 한쪽 귓바퀴에 장착된 상기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장착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한쪽 귓바퀴를 접속하는 가교(架橋)와, 상기 가교의 중간에 배치되어 센서를 구동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의 귓바퀴에 걸치는 가교를 구비함으로써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안정되어 귓바퀴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전원부를 암과 별체로 함으로써 암의 경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인체의 귓바퀴의 밑 부분에 걸기 위한 귀걸이와, 해당 귀걸이에 배치된 전원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귀걸이를 구비함으로써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귓바퀴에 안정되어 장착할 수 있으며, 또 귀걸이에 전원부를 배치함으로써 암에의 부담을 가볍게 하여 배선의 진동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에 의하면, 장착이 용이하며 또한 안정되게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a은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1b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2b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가 구비한 래치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4b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귓바퀴에의 장착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6b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상기 귓바퀴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상기 귓바퀴에 장착한 상태를 상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9b는 도 9a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주에 장착한 상태의 지지체 및 커프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11b에 본 발명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12b에 본 발명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귓바퀴의 각부의 명칭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이주(耳珠) 2: 대주(對珠)
3: 이갑개(耳甲介) 4: 대륜(對輪)
5: 이륜(耳輪) 6: 대륜각(對輪脚)
7: 이륜각(耳輪脚) 8: 이갑개강(耳甲介腔)
30: 생체정보 검출장치 31: 제 1 암
32: 제 2 암 33: 센서
34: 센서 35: 지축
36: 공기 파이프 37: 신호선
40: 거리 가변 기구 41: 회전 기구
42: 조정 나사 45: 쿠션
46: 귀걸이 기구 47: 자석
48: 자석 55: 커프
56: 커프 57: 지지체
61: 발광 소자 62: 수광 소자
70: 나사 71: 래치 기구
72: 래치 개방 버튼 73: 코일 스프링
74: 판 스프링 75: 래치용 톱니
76: 지지체 A 77: 지지체 B
80: 가교 82: 전원부
83: 스위치류 84: 펌프
86: 실링재 88: 커프 회전 기구
90 커프 슬라이드 기구
본 발명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에 대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있어서, 「이주의 내측」이란, 도 16에 있어서의 이주(1)의 이갑개강(8)쪽을 말한다. 「이주의 외측」이란, 도 16에 있어서의 이주(1)의 이갑개강(8)과 반대쪽을 말한다.
(실시의 형태 1)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1쌍의 암의 상기 타단의 간격을 줄이는 탄성체를 구비한다.
또, 상기 지축을 중심축으로 하고,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도 1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1b에 본 발명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도 1b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예를 들면 제 1 암(31) 및 제 2 암(32)의 각각이 지축(35)에 접속되는 부분, 혹은 지축(35)에 제 1 암(31)과 제 2 암(32)이 서로 대향 하는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40)를 구비한다. 거리 가변 기구(40)는 지축(35)과 제 1 암(31)의 각도를 변화시켜 도 1a에 도시한 각도 α를 변화시킴으로써, 제 1 암(31)과 제 2 암(32)이 서로 대향하는 면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거리 가변 기구(40)의 각도를 가변으로 하는 기구로서는, 지축(35)과 제 1 암(31)의 각도를 나사에 의해 조정하는 기구, 혹은 프릭션(friction)과 나사 고정을 병용하는 기구 등의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한, 제 1 암(31)과 제 2 암(32)이 서로 대향하는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구로서는, 지축(35)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기구여도 된다.
또, 도 1a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제 1 암(31)과 지축(35)의 접속 부분에, 지축(35)을 축으로 하고, 제 1 암(31)의 지축(35)으로부터 선단이 중절(中折)하여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 기구(41)를 구비하고 있으며, 회전 기구(41)는 도 1b에 도시한 지축(35)의 축 방향에서 본 제 1 암(31)의 방향과 제 2 암(32)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 β를 가변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회전 기구(41)를 구비하는 것은 임의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경우는, 제 1 암(31)의 타단과 제 2 암(32)의 타단의 간격을 줄이는 스프링(7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a에 도시한 스프링(70)은, 제 1 암(31)의 타단과 제 2 암(32)의 타단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면, 제 1 암(31)의 일단과 제 2 암(32)의 일단 을 잡고 센서(33)와 센서(34)와의 간격을 넓게 두고 생체를 끼웠을 때에 스프링(70)을 해방하면, 스프링(70)의 연신력에 의해 센서(33)와 센서(34)가 생체에 밀착하게 된다.
스프링(70)을 지축(35)보다도 타단측에 배치할 때는, 제 1 암(31)의 일단과 제 2 암(32)의 일단을 잡고 센서(33)와 센서(34)와의 간격을 넓혀 두고 생체를 사이에 두었을 때에 스프링(70)을 해방하면, 스프링(70)의 인장력에 의해 센서(33)와 센서(34)가 생체에 밀착하게 된다.
여기서는, 탄성체로서 코일 형상의 스프링을 예로 하였으나, 코일 형상의 스프링이 아니라도 판 스프링이나 비틀림(torsion) 스프링, 공기 스프링, 고무, 수지 등의 탄성체이면 된다.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의 일부, 예를 들면 귓바퀴의 이주의 양측에 센서(33) 및 센서(34)를 접촉시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여기서, 센서(33) 및 센서(34)를 이주의 양측에 접촉하는 경우, 센서(33) 및 센서(34) 사이의 간격은 거리 가변 기구(40)에 의해, 제 1 암(31) 및 제 2 암(32)의 대향하는 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적절한 접촉 상태로 조정하고, 또한 센서(33) 및 센서(34)의 접촉하는 위치는 회전 기구(41)에 의해, 도 1b에 도시한 각도 β를 변화시킴으로써 적절한 위치로 조정한다. 조정 후는, 스프링(70)에 의해 제 1 암(31)의 타단과 제 2 암(32)의 타단의 간격을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센서(33)와 센서(34)를 생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지축에 설 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며, 해당 타단의 간격을 줄이는 탄성체에 의해 암에 장착된 센서를 생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 암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에 의해, 생체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라도, 암의 교차하는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커프를 생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체형 차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접촉압으로,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경량으로 안정적으로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1쌍의 암의 상기 타단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래치를 구비한다.
도 2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2b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경우는, 제 1 암(31)의 타단과 제 2 암(32)의 타단의 간격을 줄이는 스프링(70)을 구비하고, 또한 제 1 암(31)의 타단과 제 2 암(32)의 타단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래치 기구(71)도 구비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한 스프링(70)은, 제 1 암(31)의 일단과 제 2 암(32)의 일단을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면, 제 1 암(31)의 일단과 제 2 암(32)의 일단 을 잡고 센서(33)와 센서(34)와의 간격을 넓혀 두고 생체를 사이에 두었을 때에 스프링(70)을 해방하면, 센서(33)와 센서(34)가 생체에 밀착하게 된다. 래치 기구(71)는, 센서(33)와 센서(34)가 생체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한다.
래치 기구에 대해 도 3으로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72는 래치 개방 버튼, 73은 코일 스프링, 74는 판 스프링, 75는 래치용 톱니, 76은 지지체 A, 77은 지지체 B이다. 도 3a은 래치 기구가 록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래치 기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a에 있어서, 판 스프링(74)이 래치용 톱니(75)에 일시적으로 걸려 지지체 B(77)가 지지체 A(76)에 들어가는 것을 제한된다. 이 상태는, 도 3a에서는, 제 1 암(31)과 제 2 암(32)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을 제한되게 한다. 즉, 한 번 생체를 끼운 생체정보 검출장치가 탈락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여기서,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개방 버튼(72)을 누르면, 코일 스프링(73)에 구속되어 있던 판 스프링(74)이 화살표의 방향으로 열리고 래치용의 톱니(75)로부터 개방된다. 판 스프링(74)이 래치용의 톱니(75)로부터 개방되면, 지지체 A(76)에 지지체 B(77)가 들어 갈 수 있다. 이 상태는, 도 3a에서는, 제 1 암(31)과 제 2 암(32)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즉, 한 번 생체를 끼운 생체정보 검출장치가 떼어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지축에 설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또 해당 타단의 간격 넓어지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래치에 의해, 암에 장착된 센서를 생체 에의 밀착을 계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인의 체형 차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접촉압으로, 적절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경량으로 안정되게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3)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전술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에 있어서, 센서를 탑재하는 조정 나사, 또는 센서를 탑재하여 상기 센서와 제 1 암의 표면의 간격 혹은 상기 센서와 제 2 암의 표면의 간격의 적어도 한 쪽을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조정 나사를, 제 1 암 혹은 제 2 암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쪽 모두에 구비한 경우이다.
도 4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4b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 및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도면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일부의 명칭의 표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제 1 암(31)에 조정 나사(42)를 구비하고, 조정 나사(42)에 센서(33)를 탑재하고, 조정 나사(42)에 의해 센서(33)와, 제 2 암(32)에 구비한 센서(34)와의 간격을 조정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회전 기구, 래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은 임의이다.
조정 나사(42)의 기구로서는, 나사를 회전시킴으로써 센서(33)의 위치를 조정하고, 센서(33)와 센서(34)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구, 혹은 프릭션에 의해 센서(33)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 나사로 고정하는 기구를 병용함으로써, 센서(33)와 센서(34)의 간격을 조정하는 기구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예를 들면 귓바퀴의 이주에 장착하는 경우, 이주의 형상의 개인차에 대응하여 조정 나사에 의해 센서(33)와 센서(34)의 간격을 세밀하게 조정하고, 센서(33) 및 센서(34)를 이주에 적절한 접촉압으로 장착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로서 귓바퀴의 이주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4)
도 5에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귓바퀴에의 장착예를 도시한다. 도 5에 있어서,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이주(1)에 양측으로부터 접하도록 장착되고, 제 1 암(31)이 구비한 센서(33)가 이주(1)의 외측, 제 2 암(32)이 구비한 센서(34)가 이주(1)의 내측에 접하여 장착된다. 제 2 암(32)의 일부 및 센서(34)는 이주(1)의 내측에 있으므로 파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생체의 일부, 예를 들면 귓바퀴의 이주(1)의 양측에 장착하여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경우, 이주(1)의 형상의 개인차에 대응하여 거리 가변 기구(40) 또는 회전 기구(41)에 의해 센서(33) 및 센서(34)의 위치를 조정하고, 센서(33) 및 센서(34)를 이주(1)의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접촉 상태로 장착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기구, 래치 기구를 구비하는 것은 임의이다.
(실시의 형태 5)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전술의 생체정보 검출장치가 다시 귓바퀴의 밑 부분을 일주하는 귀걸이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이다. 도 6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6b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상기 귓바퀴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경우, 제 1 암(31)은 귀걸이 기구(46)를 구비하고 있으며, 귀걸이 기구(46)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귓바퀴의 밑 부분으로부터 이륜(5)의 뒤쪽에 돌아 들어가고, 귓바퀴의 밑 부분을 일주하여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상기 귓바퀴에 고정하는 기구를 갖는다.
귀걸이의 형상이 귓바퀴를 따른 링 형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 귓바퀴의 밑 부분을 따라 일주하고 죔쇠(toggle)에 의해 링을 닫는 구조여도 된다. 또한, 닫은 링을 스토퍼로 조임 상태를 조절 가능하게 해도 된다.
귀걸이의 재질로서는, 가소성(可塑性)이 있는 금속, 땜납 합금, 아연 합금, 놋쇠, 동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Ni계 합금, 주석계 합금이나, 또 형상기억 합금이라도 좋다. 수지계로서는 플라스틱, 염화 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ABS 수지, MC 나일론, 불소 수지(PTFE),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나 또, 천연 고무라도 된다. 이와 같은 재질의 선택에 의해 피검사자의 귓바퀴의 크기 등의 개인차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다시 귓바퀴의 밑 부분을 일주하여 귓바퀴에 매달기 위한 귀걸이 기구(4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장치의 자중이나 피검사자의 운동에 기인하는 장치의 이주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상기 귓바퀴에 안정되게 고정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또, 귀걸이 기구(46)를 생체정보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하고, 피검사자에게 맞는 사이즈의 귀걸이 기구(46)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6)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전술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암 중 귓바퀴측에 배치되는 암의 귓바퀴측에 설치한 쿠션과, 상기 쿠션을 설치한 상기 암 및 상기 귀걸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자석과, 다른 쪽에 설치한 자석 또는 자성체를 더욱 구비한 경우이다.
도 7은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상기 귓바퀴에 장착한 상태를 상정(想定)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귓바퀴는 생체의 머리 부분 위쪽으로부터 본 이주(1) 부근에 있어서의 수평면에 의한 단면으로 나타내며,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생체에의 장착 상태를 생체의 머리 부분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으로 나타내며 양자를 조합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쿠션(45)이 제 2 암(32)의 외측에 배치되고, 쿠션(45)은 상기 귓바퀴와 접하는 위치에 자석(47)을 구비하고, 귀걸이 기구(46)는 상기 귓바퀴의 뒤편에서 상기 귓바퀴와 접하는 위치에 자석(48)을 구비하고 있다.
자석(47)과 자석(48)은 상기 귓바퀴의 대륜(4)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있고, 서로 자력이 작용하는 극성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자석(47)과 자석(48)은 상기 귓 바퀴에 접촉하여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쿠션(45)을 구비함으로써,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암이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피검사자에게 고통을 주는 일 없이 장시간의 장착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더욱 쿠션(45)이 상기 귓바퀴에 접하는 측, 및 귀걸이 기구(46)가 상기 귓바퀴에 접하는 측에 서로 자력이 작용하는 자석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상기 귓바퀴에 보다 쾌적하게 고정하여 보다 안정되게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자석(47) 및 자석(48)의 2개의 자석을 사용하고 있으나, 한쪽을 자석으로 하고, 다른 한쪽을 자성체로 해도 된다. 또, 자석(47) 또는 자석(48)을 각각 쿠션(45) 또는 귀걸이 기구(46)의 내부에 설치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생체의 이주에, 개인의 체형 차이에 대응하여 적절한 접촉압으로 적절한 위치에 보다 쾌적하게 장착할 수 있는 소형 경량으로, 보다 안정되게 연속적으로 생체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7)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전술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본체가 인체의 좌우의 귓바퀴 중 한쪽의 귓바퀴에 장착되어 상기 1쌍의 암 및 상기 1쌍의 암의 장착되어 있지 않은 귓바퀴를 접속하는 가교와, 상기 가교의 중간에 배치되어 센서를 구동하는 전원부를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경우이다.
도 8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다. 도 8 에 있어서, 30은 생체정보 검출장치, 80은 가교, 82는 전원부이다. 도 8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경우, 전술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본체가 인체의 좌우의 귓바퀴 중 한족의 귓바퀴에 장착되어, 상기 1쌍의 암 및 상기 1쌍의 암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귓바퀴를 인체의 후두부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가교에, 센서를 구동하는 전원부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1쌍의 암에 커프를 구비한 경우는, 전원부와 함께 커프에 급배기(給排氣)하는 펌프를 배치해도 된다.
가교의 재질로서는 가소성(可塑性)이 있는 금속, 납땜 합금, 아연 합금, 놋쇠, 동계 합금, 알루미늄계 합금, 스테인리스 스틸, Ni계 합금, 주석계 합금이나, 형상기억 합금이라도 된다. 수지계로서는 플라스틱, 염화 비닐 수지, 아크릴 수지, ABS 수지, MC 나일론, 불소 수지(PTFE),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실리콘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라도 된다. 이와 같은 재질의 선택에 의해 피검사자의 머리 부분의 크기 등의 개인차를 흡수할 수 있다.
가교를 생체정보 검출 장치 본체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하고, 피검사자에 맞는 사이즈의 가교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가교를 신축이 자유롭게 하여 피검사자의 머리 부분의 사이즈에 맞추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에서는, 가교가 후두부를 경유하고 있으나 두정부(頭頂部)나 턱 아래를 경유해도 된다.
전원부를 머리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운반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펌프를 머리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파이프를 고정하기 쉬워져 생체정보의 검출시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의 귓바퀴에 걸치는 가교를 구비함으로써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안정되게 귓바퀴에 장착할 수 있다. 또, 전원부를 암측과 별체로 함으로써 암측의 경감화가 가능해진다.
(실시의 형태 8)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전술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에 있어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센서(33)를 대신하여 지지체(57)를 구비하고, 센서(34)를 대신하여 커프를 구비하며, 커프(56) 안에는 발광 소자(61)와 수광 소자(62)를 구비하고, 또한 커프(56)는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파이프(36)를 구비하는 경우이다. 여기서, 도 9b는 도 9a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이주(1)에 장착한 상태의 지지체(57) 및 커프(56)의 부분의 확대도이며, 또 도면의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도 9a에 도시한 커프(56) 안에는 발광 소자(61) 및 수광 소자(62)를 도시하고 있지 않다. 센서로서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커프에 내장함으로써, 커프의 가압하고 있는 생체 부분에서의 생체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도 9a, 도 9b에서는, 지지체(57)를 제 1 암(31)에, 커프(56)를 제 2 암(32)에 배치하고 있으나, 지지체(57)를 제 2 암(32)에, 커프(56)를 제 1 암(31)에 배치해도 된다.
도 9b에 도시한 커프(56) 안의 발광 소자(61)와 수광 소자(62)는 반사형의 맥파 검출계를 형성하여 맥파를 검출한다. 상기와 같이 맥파를 검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커프(56)로 이주(1)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혈압도 측정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9)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커프로부터 공기가 배기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 또는 상기 커프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은 생체에 맞닿고, 상기 커프에 공기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프가 생체 표면에 접하여 이주를 압박한다.
도 10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1은 이주, 31은 제 1 암, 32는 제 2 암, 35는 지축, 55는 커프, 56은 커프이다. 도 10에서는, 활 모양 또는 공기 모양으로 된 제 1 암(31)의 선단부의 내부에 커프(55)가 배치되어 있다. 커프(55)에 의해 이주(1)를 끼우는 것이 아니라, 커프(55)의 주위의 암의 선단부에서 이주 표면 위치에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고정하고, 커프(55)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비로서 커프(55)가 이주(1)의 표면에 접하여 이주(1)에 압력을 인가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프가 배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커프 표면이 이주 표면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생체정보를 얻으려고 하는 부위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커프 자체를 처음부터 이주에 접촉시켜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고정하는 것보다, 이주 표면에 여압이 가해지는 것에 의한 측정 오차 요인을 없앨 수 있다.
도 10에서는, 제 1 암(31)에 커프(55)가, 제 2 암(32)에 커프(56)가 배치되어 있으나, 한쪽 암에만 커프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동일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도 10에서는, 제 1 암(31) 또는 제 2 암(32)의 선단부는 활 모양 또는 공기 모양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 현상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원통 형상, 각형통 형상, 콘 형상 등의 내부가 공동(空洞)으로 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암 자체를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커프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을 암에 설치한 것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커프로부터 공기가 배기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은 이주에 맞닿고, 상기 커프에 공기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프가 이주 표면에 접하여 이주를 압박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로 함으로써, 커프에의 여압에 의한 측정 오차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0)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커프가 해당 커프가 장착된 암으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도 11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정면도, 도 11b에 본 발명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1a, 도 11b에 있어서, 31은 제 1 암, 55는 커프, 86은 실링재이다. 도 11a, 도 11b에서는, 커프(55)를 구비한 암 선단부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커프를 교환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경우, 커프(55)에 공기를 급배기하는 파이프로부터 공기 누설이 없도록, 암 선단부와 암 본체는 고무 패킹이나 실리콘 등 실링재(86)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도 12a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다른 구성예의 정면도, 도 12b에 본 발명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다른 구성예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2a, 도 12b에 있어서, 31은 제 1 암, 33은 센서, 55는 커프, 86은 실링재이다. 도 12a, 도 12b에서는, 커프(55)를 구비한 암 선단부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빼냄으로써 커프를 교환할 수 있다. 도 12a, 도 12b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경우, 커프(55)는 센서(33)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센서(33)의 지지대를 포함하여 커프(55)에 공기를 급배기하는 파이프로부터 공기 누출이 없도록, 암 선단부와 암 본체는, 고무 패킹이나 실리콘 등 실링재(86)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이주에 접하는 커프나 지지 기구는, 귀지나 피지 등에 의해 더러움이 붙기 쉽고, 또 마모가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커프를 암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더러워지거나 손상된 커프를 간단하게 세정하거나 교환하거나 함으로써 커프의 리크나 투과성 저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커프나 지지 기구를 디스포저블(disposable)로 함으로써 위생 관리가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의 형태 11)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 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커프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생체에 맞닿는 방향을 가변할 수 있다.
도 13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있어서, 31은 제 1 암, 35는 지축, 55는 커프, 56은 커프, 88은 커프 회전 기구이다. 도 13에서는, 커프(55)가 이주에 맞닿는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커프 회전 기구(88)를 갖는다. 제 1 암(31)이 이주의 외측에 배치되는 암이면, 커프(55)가 이주의 외측에 맞닿게 된다.
이주의 외측에 맞닿는 커프(55)가 회전 자유도를 가짐으로써, 커프간의 거리를 어느 정도, 피검사자의 이주 형상에 맞는 길이로 조절해 두면, 커프의 각도를 엄밀하게 조절하지 않더라도, 이주 형상을 따르도록 커프(55)의 회전 각도가 이주에 대해 정해지기 때문에 장착의 용이성이 향상한다.
커프 회전 기구(88)는 1개의 면 내에서 이주에 맞닿는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기구라도 되나, 2개의 면 내에서 이주에 맞닿는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면, 커프가 이주에 맞닿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 도 13에서는, 제 1 암(31)에 배치된 커프(55)에만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하였으나, 제 2 암(32)에 배치된 커프(56)에만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해도 되고, 커프(55)와 커프(56)의 양쪽에 방향을 가변할 수 있 는 구조를 갖게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암에 배치된 커프에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함으로써, 생체정보 검출장치를 이주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특히, 이주의 외측에 맞닿는 커프가 회전 자유도를 갖기 때문에, 커프간의 거리를 어느 정도, 피검사자의 이주 형상에 맞는 길이로 조절해 두면, 커프의 각도를 엄밀하게 조절하지 않더라도 이주에 장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실시의 형태 12)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의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커프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의 장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제 1 암(31)이 이주의 외측에 배치되는 암이면, 커프(55)가 이주의 외측에 맞닿게 된다.
도 14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4에 있어서, 31은 제 1 암, 35는 지축, 55는 커프, 56은 커프, 90은 커프 슬라이드 기구이다. 도 14에서는, 커프(55)가 제 1 암(31)의 장축 방향에서 슬라이드 할 수 있는 커프 슬라이드 기구(90)를 가지며, 커프(55)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커프(55)를 이주에 최적 위치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프(55)를 제 1 암(31)의 선단부에 당기는 스프링을 갖게 하면, 커프(55)를 이주에 맞닿게 했을 때에 커프(55)가 안정점에 자리 잡게 된다. 또, 커프(55)를 제 1 암(31)의 선단부에 가압하는 것과 같은 연신하는 스프링이라도 된다.
또, 도 14에서는, 커프(55)만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주의 내측에 맞닿는 커프(56)만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해도 되며, 커프(55)와 커프(56)의 양쪽이 슬라이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도 14에서는, 커프(55)는 제 1 암(31)의 장축 방향에 슬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되지만, 아울러 커프(55)의 이주에 맞닿는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면, 커프(55)가 이주의 최적인 부위에 맞닿는 것을 한층 용이하게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지축에 설치된 거리 가변 기구에 의해,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고, 또 커프를 슬라이드시켜 생체의 최적인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13)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는, 인체의 귓바퀴에 장착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본체에 인체의 귓바퀴의 밑 부분에 매달기 위한 귀걸이와, 해당 귀걸이의 귓바퀴의 뒤의 머리 부분측에 센서를 구동하는 전원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이다. 또한, 커프에 공기를 급배기하는 펌프를 구비해도 된다.
도 15에 본 실시의 형태의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한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구성예의 경우, 귀걸이 기구(46)에 센서를 구동 하는 전원부(도시하지 않음)나 커프(도시하지 않음)에 급배기하는 펌프(84)를 배치한다. 또, 스위치류(83)를 배치해도 된다.
가교의 재질이나 구조는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전원부를 귀걸이 기구에 배치함으로써, 생체정보 검출장치의 운반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귀걸이에 전원부를 배치함으로써 암에의 부담을 가볍게 하여 배선의 진동에 의한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펌프를 머리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파이프를 고정하기 쉬워져 생체정보의 검출시에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Claims (18)

  1.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나사 또는 프릭션(friction)과 나사 고정을 병용하여 상기 지축과 상기 1쌍의 암중 하나의 각도를 바꾸는 것에 의해, 또는 지축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1쌍의 암의 상기 타단의 간격을 줄이는 탄성체를 구비한 생체정보 검출장치.
  2.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센서와,
    상기 1쌍의 암의 상기 타단의 간격이 넓어지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래치를 구비한 생체정보 검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상기 암의 상기 타단을 관통하는 나사 구멍에 장착된 조정 나사의 선단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출력광을 귓바퀴의 생체에 입사시키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력광이 상기 생체에서 산란한 빛 또는 상기 생체를 투과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생체에 압력을 인가하는 동시에 생체로부터의 압력을 검출하는 커프(cuff)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커프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7.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로서,
    상기 커프로부터 공기가 배기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 또는 상기 커프의 주위를 둘러싼 틀은 생체에 맞닿고, 상기 커프에 공기가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프가 생체 표면에 접하여 이주를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8.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로서,
    적어도 상기 커프가 해당 커프의 장착된 암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9.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로서,
    상기 커프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생체에 맞닿는 방향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10. 대향하는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의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1쌍의 암을 접속하는 지축과,
    상기 지축에 설치되어 상기 1쌍의 암의 타단의 간격을 조정하는 거리 가변 기구와,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의 상기 타단으로서 상기 1쌍의 암의 대향하는 측에 장착된 생체를 가압하는 커프를 구비한 생체정보 검출장치로서,
    상기 커프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의 장축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프를 상기 커프가 장착된 암의 상기 타단 방향으로 접근하는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12.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축을 중심축으로 하고, 상기 1쌍의 암 중 적어도 1개의 암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13.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이,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의 한쪽 측면측에 배치되는 암 및 상기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의 다른 쪽의 측면측에 배치되는 암으로 상기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를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암이,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로서의 이주의 한쪽 측면측에 배치되는 암 및 상기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로서의 이주의 다른 쪽의 측면측에 배치되는 암으로 상기 인체의 귓바퀴의 돌기부로서의 이주를 끼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검출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인체의 귓바퀴의 밑 부분을 일주하는 귀걸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암 중 귓바퀴측에 배치되는 암의 귓바퀴측에 설치한 쿠션과,
    상기 쿠션을 설치한 상기 암 및 상기 귀걸이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자석과,
    다른 쪽에 설치한 자석 또는 자성체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17.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체의 좌우의 귓바퀴 중 한쪽의 귓바퀴에 장착된 상기 1쌍의 암과 상기 1쌍의 암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의 귓바퀴를 접속하는 가교와,
    상기 가교의 중간에 배치되어 센서를 구동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18. 제 1 항, 제 2 항,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체의 귓바퀴의 밑 부분에 매달기 위한 귀걸이와,
    해당 귀걸이에 배치된 전원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정보 검출장치.
KR20077005092A 2004-10-06 2005-10-04 생체정보 검출장치 KR1008757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3238 2004-10-06
JP2004293238A JP4460414B2 (ja) 2004-10-06 2004-10-06 血圧計
PCT/JP2005/018369 WO2006038627A1 (ja) 2004-10-06 2005-10-04 生体情報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309A KR20070045309A (ko) 2007-05-02
KR100875777B1 true KR100875777B1 (ko) 2008-12-26

Family

ID=36142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05092A KR100875777B1 (ko) 2004-10-06 2005-10-04 생체정보 검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8657752B2 (ko)
EP (6) EP2245984B1 (ko)
JP (1) JP4460414B2 (ko)
KR (1) KR100875777B1 (ko)
CN (1) CN100479745C (ko)
TW (1) TW200616585A (ko)
WO (1) WO20060386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353B1 (ko) * 2003-10-09 2008-05-26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생체정보 검출장치 및 혈압계
JP5021179B2 (ja) * 2005-04-08 2012-09-05 テル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JP5756752B2 (ja) 2008-07-03 2015-07-29 セルカコール・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ercacor Laboratories, Inc. センサ
US8203704B2 (en) 2008-08-04 2012-06-19 Cercacor Laboratories, Inc. Multi-stream sensor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constituents
JP4480785B1 (ja) * 2009-04-23 2010-06-16 メディカルトラスト株式会社 生体情報検出装置
US20100331631A1 (en) * 2009-06-30 2010-12-30 Nellcor Puritan Bennett Llc Oxygen saturation ear sensor design that optimizes both attachment method and signal quality
KR20130027679A (ko) * 2011-09-08 2013-03-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맥박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맥박 정보 획득 방법
TWI486147B (zh) * 2011-10-04 2015-06-01 Univ Nat Taiwan Science Tech 即時生理信號量測及回饋系統
TW201344502A (zh) * 2012-04-20 2013-11-01 Utechzone Co Ltd 耳戴式眼控裝置
US10318495B2 (en) 2012-09-24 2019-06-11 Sandisk Technologies Llc Snapshots for a non-volatile device
CN108937908B (zh) * 2013-01-28 2021-08-10 瓦伦赛尔公司 具有与身体运动脱开的感测元件的生理监测装置
IL225182A (en) * 2013-03-12 2016-06-30 A D Integrity Ltd Install earlobe sensors for medical monitoring
EP2939593A1 (en) * 2014-05-02 2015-11-04 Lindberg, Lars-Göran Device and system for determining physiological parameters from the sternum bone
KR102339922B1 (ko) * 2014-09-01 2021-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6219889B2 (ja) * 2014-09-08 2017-10-25 京セラ株式会社 音響機器
CN105640532B (zh) * 2014-11-11 2019-04-16 中国科学院上海高等研究院 耳戴式心率监测装置及方法
CN106137161A (zh) * 2015-04-07 2016-11-23 刘红超 一种心率和血压测定装置和方法
CN106137163A (zh) * 2015-04-07 2016-11-23 刘红超 一种心率测定装置和方法
TWI595859B (zh) * 2016-01-08 2017-08-21 豪展醫療科技股份有限公司 生理狀態監測裝置
US11134901B2 (en) 2016-03-30 2021-10-05 Elfi-Te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measuring blood pressure
US11350837B2 (en) 2016-03-30 2022-06-07 Elfi-Te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measuring blood pressure
EP3509637A4 (en) 2016-09-06 2020-05-27 Chugai Seiyaku Kabushiki Kaisha METHODS OF USING A BISPECIFIC ANTIBODY THAT RECOGNIZES COAGULATION FACTOR IX AND / OR ACTIVATED COAGULATION FACTOR IX AND COAGULATION FACTOR X AND / OR ACTIVATED COAGULATION FACTOR X
NL2017538B1 (en) * 2016-09-27 2018-04-04 Agis Automatisering B V Wireless vital sign monitoring
EP3525674B1 (en) 2016-10-12 2021-12-08 Elfi-Tech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ly measuring blood pressure
US11357412B2 (en) 2018-11-20 2022-06-14 42 Health Sensor Holdings Ltd. Wearable cardiovascular monitoring device
US11850028B2 (en) * 2020-03-18 2023-12-26 42 Health Sensor Holdings Ltd Multi-senso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0580A (ko) * 1971-10-23 1973-07-17
JPH10108845A (ja) * 1996-10-03 1998-04-28 Nippon Koden Corp 生体信号検出用挟持具
JPH10108846A (ja) * 1996-10-03 1998-04-28 Nippon Koden Corp 生体信号検出用挟持具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0495A (en) * 1919-09-09 1921-09-13 George B Campbell Hide-coupler
US3227155A (en) * 1961-07-10 1966-01-04 Honeywell Inc Sphygmomanometric measuring apparatus
US3412729A (en) * 1965-08-30 1968-11-26 Nasa Us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monitoring blood oxygenation,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the pressure pulse curve utilizing an ear oximeter as transducer
US3815583A (en) * 1972-01-19 1974-06-11 T Scheidt Pulse monitoring system
US4029083A (en) * 1975-05-12 1977-06-14 Baylor Carl S Probe for audiometric apparatus
GB2104223B (en) * 1981-08-21 1984-11-21 Nat Res Dev Blood pressure measurement
US4685464A (en) * 1985-07-05 1987-08-11 Nellcor Incorporated Durable sensor for detecting optical pulses
US5046580A (en) * 1990-08-17 1991-09-10 Barton James I Ear plug assembly for hearing aid
US5267566A (en) * 1991-03-07 1993-12-07 Maged Choucair Apparatus and method for blood pressure monitoring
DE4219687C2 (de) 1992-06-16 1994-05-05 Richard Herbs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pritzgießmaschine mit Werkzeugsicherung
US6172743B1 (en) * 1992-10-07 2001-01-09 Chemtrix, Inc. Technique for measuring a blood analyte by non-invasive spectrometry in living tissue
US5600730A (en) * 1992-11-16 1997-02-04 Kenning; Peggy J. Swimming training device
JPH0655603U (ja) * 1993-01-16 1994-08-02 三菱鉛筆株式会社 心搏数測定器
US5339810A (en) * 1993-05-03 1994-08-23 Marquette Electronics, Inc. Pulse oximetry sensor
US5971931A (en) * 1994-03-29 1999-10-26 Raff; Gilbert Lewis Biologic micro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JP3270916B2 (ja) 1994-04-11 2002-04-02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光センサ
JP3326580B2 (ja) * 1995-05-08 2002-09-24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生体組織透過光センサ
JPH09122083A (ja) 1995-10-30 1997-05-13 Noboru Akasaka 常時装着可能な患者モニタ装置
JP3758824B2 (ja) * 1997-08-06 2006-03-22 倉敷紡績株式会社 生体の圧力一定化装置
JPH11128174A (ja) 1997-10-27 1999-05-18 Akkusu Kk 緊急通報装置及び緊急通報システム
JP3853053B2 (ja) * 1997-12-17 2006-1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
IL124787A0 (en) * 1998-06-07 1999-01-26 Itamar Medical C M 1997 Ltd Pressure applicator devices particularly useful for non-invasive detection of medical conditions
US6213952B1 (en) 1999-09-28 2001-04-10 Orsense Ltd. Optical device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related signals utilizing a finger holder
IL135077A0 (en) * 2000-03-15 2001-05-20 Orsense Ltd A probe for use in non-invasive measurements of blood related parameters
JP2002238865A (ja) 2001-02-20 2002-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耳朶装着型脈波計測装置
CN1518427A (zh) * 2001-05-07 2004-08-04 ���లȫ���ʹɷݹ�˾ 病人监控仪
EP1404215B1 (en) * 2001-06-20 2007-08-15 Purdue Research Foundation Body-member-illuminating pressure cuff for use in optical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 parameters
KR100493157B1 (ko) * 2002-08-02 2005-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신호 측정에 사용되는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생체신호 측정용 시스템
US7341559B2 (en) * 2002-09-14 2008-03-11 Masimo Corporation Pulse oximetry ear sensor
KR100832353B1 (ko) * 2003-10-09 2008-05-26 니폰 덴신 덴와 가부시끼가이샤 생체정보 검출장치 및 혈압계
US7254434B2 (en) * 2003-10-14 2007-08-07 Masimo Corporation Variable pressure reusable sensor
JP4559281B2 (ja) * 2005-04-08 2010-10-06 テル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EP1867277A4 (en) 2005-04-08 2014-07-09 Terumo Corp Sphygmomanometry INSTRUMENT
US7869850B2 (en) * 2005-09-29 2011-01-11 Nellcor Puritan Bennett Llc Medical sensor for reducing motion artifacts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US7555327B2 (en) * 2005-09-30 2009-06-30 Nellcor Puritan Bennett Llc Folding medical sensor and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0580A (ko) * 1971-10-23 1973-07-17
JPH10108845A (ja) * 1996-10-03 1998-04-28 Nippon Koden Corp 生体信号検出用挟持具
JPH10108846A (ja) * 1996-10-03 1998-04-28 Nippon Koden Corp 生体信号検出用挟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45984A1 (en) 2010-11-03
CN101014282A (zh) 2007-08-08
EP2245984B1 (en) 2015-12-23
US8657752B2 (en) 2014-02-25
US8382675B2 (en) 2013-02-26
US20110295133A1 (en) 2011-12-01
EP2243424B1 (en) 2015-12-23
JP4460414B2 (ja) 2010-05-12
EP1806094A4 (en) 2010-04-07
EP2253267A1 (en) 2010-11-24
EP2229877B1 (en) 2016-12-21
TW200616585A (en) 2006-06-01
US8652054B2 (en) 2014-02-18
US20110295131A1 (en) 2011-12-01
EP2229877A1 (en) 2010-09-22
US8652053B2 (en) 2014-02-18
EP2253267B1 (en) 2015-12-23
US8652052B2 (en) 2014-02-18
EP2243424A1 (en) 2010-10-27
US20110295092A1 (en) 2011-12-01
CN100479745C (zh) 2009-04-22
KR20070045309A (ko) 2007-05-02
EP2238895B1 (en) 2016-06-22
US20110295081A1 (en) 2011-12-01
US20110295132A1 (en) 2011-12-01
EP2238895A1 (en) 2010-10-13
TWI374725B (ko) 2012-10-21
WO2006038627A1 (ja) 2006-04-13
EP1806094A1 (en) 2007-07-11
US8382676B2 (en) 2013-02-26
JP2006102164A (ja) 2006-04-20
US20080319325A1 (en) 200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777B1 (ko) 생체정보 검출장치
EP2613692B1 (en) Disposable and detachable sensor for continuous non-invasive arterial blood pressure monitoring
US6699199B2 (en) Photoplethysmograph signal-to-noise line enhancement
US20170311824A1 (en) Non-invasively monitoring blood parameters
KR100832353B1 (ko) 생체정보 검출장치 및 혈압계
US20070038050A1 (en) Device for use with reflective pulse oximetry
CN107257650B (zh) 脉搏血氧计的多状态夹式固定方法
US20070197887A1 (en) Noninvasive vital signs sensor
JP2004166775A (ja) 血液分析装置
Lee et al. Influence of motion artifacts on photoplethysmographic signals for measuring pulse rates
IT201900002139U1 (it) Sensore ottico di forma d’onda pulsatoria um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