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706B1 -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706B1
KR100875706B1 KR1020060072874A KR20060072874A KR100875706B1 KR 100875706 B1 KR100875706 B1 KR 100875706B1 KR 1020060072874 A KR1020060072874 A KR 1020060072874A KR 20060072874 A KR20060072874 A KR 20060072874A KR 100875706 B1 KR100875706 B1 KR 10087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radiation
temperature
outside
sensor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1996A (ko
Inventor
김영철
이건우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2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706B1/ko
Publication of KR20080011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1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sola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사량 센서의 셀의 방향을 달리하여 운전자와 승객 방향의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하여 더욱 정확한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외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외기 온도가 높으면 일사량 보정을 강하게하고, 반대로 외기 온도가 낮으면 일사량 보정을 약하게 하며, 온도 구간을 정하여 구간별로 보정량을 차등적으로 적용시키면서 더욱 실제에 가까운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보정된 일사량에 따라 냉/난방 구동 수단과 블로워를 구동시켜 더욱 쾌적한 공조 시스템의 제어를 할 수 있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구성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의 양을 측정하는 일사량 센서와, 상기 일사량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과,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설정되는 설정 온도, 그리고,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공조 시스템의 일사량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공조 시스템의 외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되, 상기 외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태양의 고도를 예측하고, 태양의 고도에 따라 일사량 센서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사량, 보정 시스템, FATC, 듀얼 타입, 광센서

Description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Solar Radiation Compensation System Using Outdoor Temperature for a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사량 센서의 대략적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일사량 센서의 대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공조 시스템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일사량 보정 방법의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일사량 보정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조 시스템 11: 블로워
12: 냉방 구동 수단 13: 난방 구동 수단
14: 내외기 전환 도어 15: 모드 전환 도어
16, 17, 18: 배출구 20: 일사량 센서
21: 셀 30: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40: 실내 온도
본 발명은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사량 센서의 셀의 방향을 달리하여 운전자와 승객 방향의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하여 더욱 정확한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외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외기 온도가 높으면 일사량 보정을 강하게하고, 반대로 외기 온도가 낮으면 일사량 보정을 약하게 하며, 온도 구간을 정하여 구간별로 보정량을 차등적으로 적용시키면서 더욱 실제에 가까운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보정된 일사량에 따라 냉/난방 구동 수단과 블로워를 구동시켜 더욱 쾌적한 공조 시스템의 제어할 수 있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FATC: full auto temperature control system)은 차량 내외의 온도 변화에 따라 온도 및 습도 등 공기와 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차량 내의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며, 운전자가 희망하는 차량 내 온도를 설정해 놓으면 습도 및 실외 온도등의 외부 조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상기 설정된 차량 내 온도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고, 차량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센서와 상기 다수개의 센서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인 측정된 결과에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을 구동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사량 센서의 대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 시스템(100)은 입력에 의한 설정 온도(110)와 일사량 센서와(120)와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130)과 실내 온도(1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설정 온도(110)는 공조 시스템(100)의 입력 구성 요소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일사량 센서(120)는 차량에 입사되는 태양의 일사량을 측정하며, 상기 일사량 센서(120)는 하나의 셀(cell, 121)을 구비하고, 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며 이루어진다.
그리고,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130)은 상기 설정 온도(110)로 출력을 조절하며, 입력에 따른 제어를 실시한다.
이때, 실내 온도(140)는 공조 시스템(100)의 출력 요소로서, 상기 설정 온도(110)와 일사량 센서(120)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130)의 제어에 따라 공조 시스템(100)이 동작하며, 상기 공조 시스템(100)의 구동에 따라 차량의 실내 온도(140)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일사량 센서(120)는 광 다이오드(Photo Diode)를 이용하며, 광 다이오드(Photo Diode)는 빛에 조사되면 광 전류를 발생시키는 반도체 다이오드로써, 빛의 양에 따라 전류가 증가하고,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일사량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용된다.
여기서, 상기 셀(121)은 상기 햇빛에 노출되어 일사량을 검출하는 하나의 장방형의 박막으로써 일사량 센서(120)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구성되고, 태양의 입사각이 셀(121)의 상부 외표면을 기준으로 수직일 경우에 최대가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운전자는 실내 온도(140)를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제어 부는 일사량 센서(120)를 통해 태양의 양을 측정하고, 상기 일사량 센서(120)로부터 일사량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공조 시스템(100)을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일사량 센서(120)로부터 검출된 일사량이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130)에 세팅되어 있는 일사량 기준값보다 클 경우에는 실내 온도(140)를 측정치보다 높게 설정하여 공조 시스템(100)을 가동시킨다.
그러나, 차량이 움직임에 따라 태양의 방향도 달라지므로, 일사량 센서의 측정값이 달라지며, 일사량 센서가 일사량을 감지함에 있어서 태양의 위치와 세기를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태양의 일사량이 정오에 최대가 된다는 가정을 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차량이 이동함에 따라 태양의 위치가 변하기 때문에 일사량의 정밀한 측정에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실질적이며 정밀한 일사량 측정을 위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사량 센서의 셀의 방향을 달리하여 운전자와 승객 방향의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하여 더욱 정확한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외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외기 온도가 높으면 일사량 보정을 강하게하고, 반대로 외기 온도가 낮으면 일사량 보정을 약하게 하며, 온도 구간을 정하여 구간별로 보정량을 차등적으로 적용시키면서 더욱 실제에 가까운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보정된 일사량에 따라 냉/난방 구동 수단과 블로워를 구동시켜 더욱 쾌적한 공조 시스템의 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의 양을 측정하는 일사량 센서와, 상기 일사량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과,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설정되는 설정 온도, 그리고,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공조 시스템의 일사량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공조 시스템의 외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되, 상기 외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태양의 고도를 예측하고, 태양의 고도에 따라 일사량 센서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일사량 센서의 셀은 듀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사량 센서의 셀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일사량 센서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운전자와 탑승자를 각각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일사량 센서는 광 다이오드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의 양을 측정하는 일사량 센서와; 상기 일사량 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과;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설정되는 설정 온도; 그리고, 상기 설정 온도와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에 의해 구동되는 공조 시스템의 일사량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센서에 의해 센싱된 일사량을 보정하는 방법은 차량 외부에 장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가 기 정해진 온도 구간에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값에 따라 각 구간에 기 정해진 보정량에 따른 일사량 보정을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정된 일사량을 반영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 정해진 온도 구간은 0℃ 미만, 0℃ 이상 30℃ 이하, 30℃ 초과로 나누어진다.
이때, 기 정해진 보정량은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미만일 경우에 0.8배를 적용하고, 상기 외기 온도가 0℃ 이상 30℃ 이하일 경우에 1배를 적용하며, 상기 외기 온도가 30℃ 초과일 경우에 1.2배를 적용하여 각 구간별로 기 정해진 보정량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측정된 외기 온도가 30℃ 초과일 경우에는 일사량 보정량에 따라 공조 시스템를 작동시키되, 외기를 차단하고 냉방 구동 수단을 수초간 구동시키며, 냉풍을 얼굴이나 발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미만일 경우에는 일사량 보정량에 따라 공조 시스템을 작동시키되, 외기를 차단하고 난방 구동 수단을 수초간 구동시키며, 온풍을 얼굴이나 발쪽으로 향하게 한다.
더불어, 상기 냉/난방 구동 수단을 작동시키되, 공조 시스템의 블로워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일사량 센서의 대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은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 일사량 센서(20), 외기 온도 센서(50), 설정 온도(60), 그리고 실내 온도(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은 공조 시스템(1)의 출력을 조절하며, 입력에 따른 제어를 실시한다.
여기서, 일사량 센서(20)는 차량에 입사되는 태양의 일사량을 측정하며, 일사량 센서(20)는 하나의 셀(cell,21)을 구비하고, 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며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 다이오드(Photo Diode)는 빛에 조사되면 광전류를 발생시키는 반도체 다이오드로써, 빛의 양에 따라 전류가 증가하고,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일사량을 측정하는 센서로 이용된다.
더불어, 상기 셀(21)은 상기 햇빛에 노출되어 일사량을 검출하는 두개의 장방형의 박막으로써 일사량 센서(20)에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일사량 센서(20)의 셀(21)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일사량 센서(20)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운전자와 탑승자를 각각 향하도록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일사량 센서(20)의 셀(21)은 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한편, 외기 온도 센서(50)는 컨덴서(미도시) 앞쪽에 장착되어 있으며, 외부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공조 시스템(1)의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로 보내고, 상기 공조 시스템(1)의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은 외기 온도를 기준으로 냉/난방 구동 수단(12, 13)을 실행하므로써 운전자가 설정한 온도와 근접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설정 온도(60)는 공조 시스템(1)의 입력 구성 요소로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내 온도(15)는 공조 시스템(1)의 출력 요소로서, 상기 설정 온도(60)와 일사량 센서(20)의 측정값에 의해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의 제어에 따라 공조 시스템(1)이 동작하며, 상기 공조 시스템(1)의 구동에 따라 차량의 실내 온도(15)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셀(21)은 상기 햇빛에 노출되어 일사량을 검출하는 두개의 장방형의 박막으로써 일사량 센서(20)에 배치되고, 상기 일사량 센서(20)의 셀(21)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일사량 센서(20)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운전자와 탑승자를 각각 향하도록 배치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일사량 센서(20)의 셀(21)은 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공조 시스템(19)의 대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을 참조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공조 시스템(1)은 내외기 전환 도어(14)와 블로워(11)와 냉방 구동 수단(12)과 난방 구동 수단(13)과 다수개의 배출구(16, 17, 18)로 구성된다.
그리고, 내외기 전환 도어(14)는 차량의 외기 또는 차량의 내기를 선택하여 흡입하도록 조절하는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의 제어가 있을 경우에 구동된다.
또한, 블로워(11)는 상기 내외기 전환 도어(14)를 통해 공기를 공조 시스 템(19)의 내부로 풍량을 조절하여 공급한다.
한편, 냉방 구동 수단(12)은 상기 블로워(11)에 의해 증발기를 통해 공기의 온도를 낮추어 주어 차량의 내부의 온도를 낮추는 구동을 한다.
여기서, 난방 구동 수단(13)은 상기 블로워(11)에 의해 공기의 온도를 높여주어 차량의 내부 온도를 높이는 구동을 한다.
더불어, 모드 전환 도어(15)는 상기 블로워(11)를 통과한 공기 중에서 상기 난방 구동 수단(13)으로 진행하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차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다수의 배출구(16, 17, 18)는 상기 증발기 또는 냉/난방 구동 수단(12, 13)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차량의 실내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출구(16, 17, 18)로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일사량 보정 방법의 그래프이며, 도 3을 참조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일사량 보정 방법은 외기 온도에 따른 보정량의 그래프로 도시한다.
차량 외부에 장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50)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를 공조 시스템(1)의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에 기 정해진 온도 구간으로 나누며, 상기 온도 구간은 0℃ 미만, 0℃ 이상 30℃ 이하, 30℃ 초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공조 시스템(1)의 기 정해진 보정량은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미만일 경우에는 A의 기울기인 0.8배를 적용하고, 상기 외기 온도가 0℃ 이상 30℃ 이하일 경우에는 B의 기울기인 1배를 적용하며, 상기 외기 온도가 30℃ 초과일 경우에는 C의 기울기인 1.2배를 적용하여 각 구간별로 기 정해진 보정량을 차등적으로 적용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일사량 보정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3을 참조한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일사량 센서(20)에 의해 센싱된 일사량을 보정하는 방법은 차량에 장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50)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가 기 정해진 온도 구간에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값에 따라 각 구간에 기 정해진 보정량에 따른 일사량 보정을 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보정된 일사량을 반영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과정을 설명한다.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시동이 켜지면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을 구동시키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S31),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온이 확인되면 차량으로 입사되는 일사량을 태양의 빛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일사량 센서(20)를 이용하여 운전자 방향과 승객 방향으로 일사량을 측정하며(S32), 차량 외부의 공기 온도인 외기 온도를 외기 온도 센서(50)를 이용하여 측정한다(S33).
여기서,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 있더라도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구동이 확인되지 않으면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의 과정은 종료된다.
또한, 상기 측정된 외기 온도가 30℃ 초과인지의 여부를 묻는 단계로 진행하며(S34), 상기 측정된 외기 온도가 30℃ 초과이면 상기 일사량의 측정값에 1.2배를 적용하고(S35), 상기 측정된 외기 온도가 30℃ 이하이면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미만인지의 여부를 묻는 단계로 진행한다(S36).
그리고, 상기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미만이면 상기 일사량의 측정값에 0.8배를 적용하고(S37), 상기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이상이면 상기 일사량의 측정값에 1배를 적용한다(S38).
상기한 바와 같이, 각 구간별로 기정해진 보정량을 차등적으로 적용시킨 일사량 보정값을 공조 시스템(1)에 반영시킨다(S39).
더불어, 측정된 외기 온도가 30℃ 초과일 경우에는 일사량 보정량에 따라 공조 시스템(1)를 작동시키되, 내외기 전환 도어(14)를 구동시켜 외기를 차단하고, 냉방 구동 수단(12)을 수초간 구동시키며, 냉풍을 얼굴(Face)이나 발쪽(Foot)으로 향하게 하며,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미만일 경우에는 일사량 보정량에 따라 공조 시스템(1)를 작동시키되, 내외기 전환 도어(14)를 구동시켜 외기를 차단하고, 난방 구동 수단(13)을 수초간 구동시키며, 온풍을 얼굴(Face)이나 발쪽(Foot)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난방 구동 수단(12, 13)을 작동시키되, 공조 시스 템(19)의 블로워(11) 속도를 증가시켜서, 여름철의 냉방 구동 수단(12)은 상기 일사량 보정에 의하여 증가된 일사량 보정값에 따라 냉방 구동 수단(12)을 구동시키되, 증가된 블로워(11)의 속도로 더욱 쾌적한 공조 시스템(1)을 구현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일사량 센서의 셀의 방향을 달리하여 운전자와 승객 방향의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게 하여 더욱 정확한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외기 온도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외기 온도가 높으면 일사량 보정을 강하게하고, 반대로 외기 온도가 낮으면 일사량 보정을 약하게 하며, 온도 구간을 정하여 구간별로 보정량을 차등적으로 적용시키면서 더욱 실제에 가까운 일사량을 측정할 수 있고, 상기 보정된 일사량에 따라 냉/난방 구동 수단과 블로워를 구동시켜 더욱 쾌적한 공조 시스템의 제어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의 양을 측정하는 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일사량 센서(20)와, 상기 일사량 센서(20)의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실내 온도(40)를 조절하는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과,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설정되는 설정 온도(60), 그리고, 상기 설정 온도(60)와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에 의해 구동되는 공조 시스템(1)의 일사량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공조 시스템(1)의 외기 온도 센서(50)의 측정값을 이용하되, 상기 외기 온도 센서(50)의 측정값에 따라 태양의 고도를 예측하고, 태양의 고도에 따라 일사량 센서(20)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센서(20)의 셀(21)은 듀얼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센서(20)의 셀(21)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배치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일사량 센서(20)의 좌측부와 우측부가 운전자와 탑승자를 각각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4. 삭제
  5. 차량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의 양을 측정하는 일사량 센서(20)와; 상기 일사량 센서(20)의 측정값에 따라 차량의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과;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에 사용자에 의한 입력으로 설정되는 설정 온도(60); 그리고, 상기 설정 온도(60)와 상기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30)에 의해 구동되는 공조 시스템(1)의 일사량 보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일사량 센서(20)에 의해 센싱된 일사량을 보정하는 방법은 차량 외부에 장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외기 온도 센서(50)에서 측정된 외기 온도가 기 정해진 온도 구간인 0℃ 미만, 0℃ 이상 30℃ 이하, 30℃ 초과 중 어디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4, S36)와;
    상기 결과값에 따라 각 구간에 기 정해진 보정량에 따른 일사량 보정을 하는 단계(S35, S37, S38); 그리고,
    상기 보정된 일사량을 반영하는 단계(S39);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기 정해진 보정량은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미만일 경우에 0.8배를 적용하고, 상기 외기 온도가 0℃ 이상 30℃ 이하일 경우에 1배를 적용하며, 상기 외기 온도가 30℃ 초과일 경우에 1.2배를 적용하여 각 구간별로 기 정해진 보정량을 차등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측정된 외기 온도가 30℃ 초과일 경우에는 일사량 보정량에 따라 공조 시스템(1)를 작동시키되, 외기를 차단하고 냉방 구동 수단(12)을 수초간 구동시키며, 냉풍을 얼굴이나 발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측정된 외기 온도가 0℃ 미만일 경우에는 일사량 보정량에 따라 공조 시스템(1)를 작동시키되, 외기를 차단하고 난방 구동 수단(13)을 수초간 구동시키며, 온풍을 얼굴이나 발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냉/난방 구동 수단(12, 13)을 작동시키되, 공조 시스템(1)의 블로워(11)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KR1020060072874A 2006-08-02 2006-08-02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KR10087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874A KR100875706B1 (ko) 2006-08-02 2006-08-02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874A KR100875706B1 (ko) 2006-08-02 2006-08-02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996A KR20080011996A (ko) 2008-02-11
KR100875706B1 true KR100875706B1 (ko) 2008-12-23

Family

ID=3934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874A KR100875706B1 (ko) 2006-08-02 2006-08-02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70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433A (ja) 1998-08-20 2000-02-29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2293125A (ja) 2001-03-30 2002-10-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空調機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2433A (ja) 1998-08-20 2000-02-29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002293125A (ja) 2001-03-30 2002-10-0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空調機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1996A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3425B (zh) 红外云探测器的系统和方法
US20230341259A1 (en) Infrared cloud detector systems and methods
US4274475A (en) Control apparatus for regulating building perimeter temperature change system
TW202333116A (zh) 用於藉由雲偵測控制可著色窗之方法及系統
JP6727446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方法
EP2155509B1 (fr) Systeme de climatisation pour un vehicule pourvu d&#39;une correction de l&#39;ensoleillement amelioree
JP2002148573A (ja) 太陽電池付調光ガラス
KR100875706B1 (ko) 외기 온도를 이용한 일사량 보정 시스템
KR101546873B1 (ko) 복합환경 제어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US2020030942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t pump system, heat pump system and hvac system
Luecke et al. Design,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automated window shade controller
KR20200129845A (ko) 포토 센서 구조
Papathanasopoulos et al. Design, fabrication, and testing of an electronic device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electrochromic windows
KR100431027B1 (ko) 차량내의 온도 보상 장치
JPS6222801B2 (ko)
JPH0696366B2 (ja) 自動車の日射センサ付空気調和装置
JP4764967B2 (ja) 調光ガラスと発熱体を組み合わせた窓システムにおける発熱体の通電制御方法
KR101214276B1 (ko) 회전식 일사센서
JP2879968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S58133914A (ja) 車両の室内温度制御装置
KR200421195Y1 (ko) 일사량 센서 어셈블리
JPH02128913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10055235A (ko) 운송기용 차광장치
JPH0356091Y2 (ko)
JP2946067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