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947B1 -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947B1
KR100874947B1 KR1020060119560A KR20060119560A KR100874947B1 KR 100874947 B1 KR100874947 B1 KR 100874947B1 KR 1020060119560 A KR1020060119560 A KR 1020060119560A KR 20060119560 A KR20060119560 A KR 20060119560A KR 100874947 B1 KR100874947 B1 KR 100874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inactive
dkk
protein
w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7039A (ko
Inventor
김정문
김정국
김태한
이종석
육종인
Original Assignee
김정문
김정국
김태한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문, 김정국, 김태한, 이종석 filed Critical 김정문
Publication of KR20070057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9/00Hybrid peptides, i.e. peptides covalently bound to nucleic acids, or non-covalently bound protein-protein comple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2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C07K14/4703Inhibitors; Suppres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nc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하는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 및 (b)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활성화된 다음,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WAD(Wnt antagonist domain)를 함유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s),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비활성 WI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실용적으로 재조합 대장균과 같은 박테리아의 배양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투여되기 전에는 비활성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에 알려진 유사 용도의 활성 단백질(sFRP 류, DKK 류 등)에 비해 그 생산비용이 수십분의 일에 불과하고, 분리·정제 및 취급·투약 과정이 월등히 간단하고 편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를 생체 내에 투여할 경우, 종래에 알려진 sFRP류나 DKK 류와는 다른 약리기전에 의해 암 세포의 침윤성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고,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면역성 질환의 치료효과를 가진다.
Wnt, 안타고니스트, 암세포, 침윤억제, 전이억제, 면역질환, sFRP, DKK

Description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및 그 제조방법{Non-activated Wnt Inhibition Polypeptid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도 1은 인간 DKK-1(hDKK-1) 발현에 의해 Snail 발현이 억제된다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의 배양시 IPTG로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기 이전과 이후의 전체 단백질에 대한 전기영동 사진이다.
도 3은 항 X-press 항체 (anti-X-press antibody)를 이용하여 TAT-DKK-1을 웨스턴 블랏(western blot)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TAT-DKK-1이 세포내에서 E-caherin 프로모터 활성을 증가시키는지를 확인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AT-DKK-1에 의한 암세포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TAT-DKK-1과 TAT-HA2-DKK-1을 투여하고 세포 배지로 분비된 활성화 DKK-1을 면역침전법을 통해 확인한 것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a)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하는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 및 (b)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활성화된 다음,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WAD(Wnt antagonist domain)를 함유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s),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비활성 WI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Wnt 유전자는 초파리의 발생을 조절하는 유전자(wingless)가 생쥐의 암 발생 유전자(Int-1)와 같은 것이라는 사실로부터 유래되었다 (Cell, 50:649, 1987). 그 이후 Wnt 신호전달체계는 약 20개의 유사 유전자군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특정 수용체, 즉 Frizzled 수용체(Fz)와 LRP5/6보조 수용체를 통하여 세포 내로 신호를 전달한다고 알려져 있다. Fz와 LRP를 통해 전달된 신호는 Dvl(Dishevelled), APC(adenomatous polyposis coli), Axin을 거쳐, 궁극적으로는 GSK3-β(glycogen synthase kinase 3-β)에 의한 β-catenin의 활성화를 조절하고, 결과적으로 β-catenin은 Wnt 신호전달체계의 핵심조절인자이다 (Science, 303:1483, 2004; Genes Dev., 11:3286, 1997). 한편, β-catenin은 TCF(T-cell factor)/Lef(lymphoid enhancing factor)와 결합하여 다양한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하고, β-catenin을 포함한 Wnt 신호전달 구성 요소의 이상은 가장 대표적인 암 발생 인자이다 (Biochem. Biophy. Acta, 1653:1, 2003).
사람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 정상 세포 또는 조직과 다른 두가지 특징은 계속된 세포 분열과 다른 장기로의 전이이다. 특히, 상피 기원의 종양(95%의 악성 종양)은 다른 부위로의 전이가 환자의 생존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하지만, 암세포의 세포학적 전이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지금까지 상피세포의 세포 간 접합 단백질은 E-cadherin이 전이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로 생각되었지만, 암세포의 E-cadherin 발현조절 기전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 사람의 Snail 유전자가 E-cadherin의 mRNA 전사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Nature Cell Biol., 2:84, 2000; Nature Cell Biol., 2:76, 2000; Nature Rev. Mol. Cell Biol., 3:155, 2002), 보다 최근에는 Wnt 신호전달체계가 GSK3-β 활성화를 억제하여 β-catenin뿐만 아니라 Snail의 인산화와 반감기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J. Biol. Chem., 280:11740, 2005).  이는 Wnt 신호전달체계가 암 발생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전이과정도 함께 조절함을 나타내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Wnt 신호전달체계를 차단할 경우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편 류마티스성 관절염(Rheumatic Arthritis, RA)의 가장 대표적인 발병 기전은 활성화된 FLS(fibroblast-like synoviocytes)의 증식과 이에 따른 관절의 퇴행성 변화이며, 최근 FLS의 증식이 Wnt에 의해 유도되고, Wnt 안타고니스 트(antagonist)를 사용하면 FLS의 활성화가 강력하게 억제되어 RA의 새로운 치료법으로의 가능성이 제시되어 있다 (Rhuematol., 44:708, 2005). 아울러 폐섬유화(pulmonary fibrosis)와 같은 섬유화 질환에서도 Wnt/β-catenin 신호전달의 활성화가 호흡곤란을 초래하는 폐 섬유화를 초래한다고 알려져 있어 (Am. J. Pathol., 162:1495, 2003), Wnt 신호전달체계는 줄기세포 분화뿐만 아니라 (Nature, 432:324, 2004), 다양한 질환의 발병기전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므로, Wnt 신호전달체계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된다면 암을 포함한 다양한 질환의 획기적인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사람을 포함한 고등동물에서는 Wnt 신호를 억제할 수 있는 단백질 군이 존재한다. 이들은 Wnt 단백질과 마찬가지로 분비되어 Fz 수용체나 LRP 보조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Wnt 신호의 길항(antagonist)작용을 한다 (J. Cell Sci., 116:2627, 2003). 이들 Wnt 안타고니스트는 두가지 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1) sFRP1-5, sizzled 1-2, Crescent, WIF-1, Coco와 같은 sFRP(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 군 (J. Cell Sci., 116:2627, 2003); 및 (2) DKK1-4, Soggy (Nature, 411:255, 2001)와 같은 Dickkopf(DKK) 군.  
따라서, 이들 Wnt 안타고니스트가 Snail 유전자의 인산화를 촉진하고 결과적으로 E-cadherin 전사를 증가시켜 상피 기원 암세포의 침윤성 성장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면 (J. Biol. Chem., 280:11740, 2005),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하는 획기적인 치료법을 제시하고, 나아가 Wnt 신호에 의해 유도되는 다양한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세포 및 조직에 전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를 야기한다. 최근 단백질을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단백질 형질도입 도메인(protein transduction domain: PTD; Joliot, A. et al., Nature Cell Biol., 6:198, 2004; 미국특허 2006/0222657A1)이 발견됨에 따라 생물학적 활성을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펩티드의 세포 내 전달이 가능하게 되었다. PTD로는 TAT(transactivator of transcription), AntHD(초파리 homeoprotein atennapedia transcription protein), VP22(virus protein22) 펩티드 및 mph-1-btm(마우스 전사 억제 인자-1-biomolecule transduction mortif), Penetratin, Buforin II, Transportan, Ku70, Prion, pVEC, Pep-1, PTD-5, KALA (Joliot, A. et al., Nature Cell Biol., 6:198, 2004; Kabouridis, P.S., Trends Biotechnol., 21:498, 2003)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PTD는 자연 상태에서 양이온을 띠는데,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엔도좀(endosome)에 있는 지질 레프트(lipid raft)로 들어가서, 세포 내에서 엔도좀의 형태인 운반체가 분열됨으로써 세포질로 목적 운반체를 분비한다.
가장 많이 알려진 TAT의 경우, TAT 단백질에 존재하는 9개의 염기성 아미노산(RKKRRQRRR)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세포막을 통과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TAT(RKKRRQRRR)는 양전하를 갖는 아미노산이 높은 빈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투과율이 낮고, TAT-융합 단백질은 자연 상태에서는 세포 내로 운반되지 않고 변성 상태에서 세포 내로 운반된 후, 세포 내에서 단백질의 재폴딩(refolding)이 일어나 활성을 갖게 되므로, TAT-융합 단백질의 안정성 및 세포 내에서의 지속성이 자연 상태에서보다 효율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Schwartze, S.R. et al., Trends in Cell Biology, 10:290, 2000), 일단 TAT-융합 단백질이 엔도사이토시스(endocytosis)를 통해 세포 내로 들어가면, 세포 내 운반체와 결합된 형태로 남아 있기 때문에 후속 과정으로 일어나는 사이토플라즘(cytoplasm), 핵(necleus) 또는 세포 기관(organelle)으로의 이동이 효율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AntHD(초파리 homeoprotein atennapedia transcription protein)의 경우, 아미노산 100개 미만 길이의 단백질만 융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단백질을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또 다른 물질로 마크로피노좀(macropinosome) 또는 엔도좀(endosome)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 감소를 회피할 수 있고, 세포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인플루엔자 막 융합 단백질(influenza membrane fusion protein)인 헤마글루티닌2(haemagglutinin2, HA2 domain; Skehel, J.J. et al., Biochem. Society Med., 10:310, 2004; Jehangir, S.W. et al., Nature Medicine, 10:310, 2004; Vaccaro, L. et al., Biophy. J., 88:25, 2005)가 알려져 있다.
인플루엔자의 헤마글루티닌(HA)는 바이러스 외피(viral envelope)의 성분인 글리코프로테인(glycoprotein)의 일종으로, 표적 세포에 바이러스가 부착하도록 하거나, 표적 세포막과 바이러스 외피 막(viral envelope membrane)이 융합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세포 표면에 부착된 바이러스는 엔도좀으로 들어가서 상대적으로 낮은 pH에 노출된다. 상기와 같은 pH의 변화 는 HA의 아미노 말단이 많이 노출되는 형태적인 변화뿐 아니라, 바이러스 외피와 엔도좀 막 사이의 융합을 일으킨다.
HA는 HA1과 HA2의 2개의 폴리펩티드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HA1 단편은 시알릭산-결합 부위를 형성하여 숙주 세표 표면에 부착하도록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HA2 단편은 막-스패닝 고정체(membrane-spanning anchor)를 형성하고, 상기 아미노-말단 부위가 융합 반응 메카니즘에서 작용하게 된다.
헤마글루티닌2(haemagglutinin2, HA2 domain)는 하나 이상의 T-헬퍼 세포 인지 부위를 가지지만 B-세포 인지 부위는 가지지 않기 때문에, HA2 도메인에 결합된 항원에 대하여 T-의존성 면역학적 반응을 유발시키나, 그 자체에 대해서는 항체 반응을 유도하지 않는다. HA2 소단위는 바이러스의 지질 외막을 통해 일반적으로 연장된 카르복시 말단 근처의 소수성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기 때문에,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과의 결합을 촉진시켜 세포 내로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헬퍼 펩티드로 적당하다. 또한, HA2와 PTD를 동시에 이용할 경우, 엔도좀(endosome)으로부터 세포질(cytoplasm), 핵(nucleus) 또는 다른 세포 내 기관으로 폴리펩티드, 단백질 등의 이종 분자(heterologous molecules)를 분비하는 기능이 향상되어 세포 내로의 투과를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미국특허 2006/0222657A1).
HA2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펩타이드로는 인풀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diINF-7 도메인,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유래 TLM(translocation motif),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유래 L2 domain, 항생물질로 개발된 Histatin 5 도메인, 합성 펩타이드인 dhvar4 도메인 및 dhvar5 도메 인 등이 알려져 있다 (Stoeckl, L. et al., Proc. Natl. Acad. Sci., 103:6730; 2006; Kamper, N., J. Virol., 80:759, 2006; Mastrobattista, E. et al., J. Biol. Chem., 277:27135, 2002;den Hertog, A.L. et al., Biochem. J., 379:665, 2004). 이들은 세포 내로 투입된 바이러스나 펩타이드가 지질막에 둘러 싸여 있는 것을 뚫고 나와 세포질로 유리되도록 하는 기능(endosomal escape, endosomal rescue)을 한다.
PTD를 이용할 경우 비교적 크기가 큰 단백질도 수용체 없이 세포 내로 전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고, HSPs(heat shock proteins) 등에 의해 생물학적 활성을 가진 단백질로 전환(refolding)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Nature Med., 4:1449, 1998; Science, 285:1569, 1999). 하지만 sFRP나 DKK 군과 같이 분비되는 단백질의 경우, 단백질이 세포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된다고 할지라도 활성화된 안타고니스트가 분비되고, 나아가 Wnt 신호를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으며,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과정에 대한 실험적 증명이 필요하다: (1) PTD 융합단백질의 세포 내 도입과 이에 따른 활성화된 단백질의 분비; (2) 생체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은 세포 내에서 퓨린과 같은 preprotein convertase 등에 의한 절단과 glycosylation과 같은 활성화 과정을 동반하므로 PTD를 이용하여 도입된 단백질의 적절한 세포 내 활성화 과정; 및 (3) 분비된 단백질이 적절한 생물학적 기능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검증.  
Wnt 안타고니스트를 이용한 임상 치료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현재 시판중인 Wnt 안타고니스트는 연구용으로만 사용되 고 있으며, 이들은 전술한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 문제로 인해 대부분 곤충세포(sf21)에서 추출한 DKK-1, 동물세포(NSO)에서 추출한 DKK-4, sFRP-4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세포를 형질전환하여 배지 내로 분비된 활성 단백질을 분리정제하기 때문에 생산단가가 매우 높고, 추출과정에서 활성의 소실이 불가피하여 대량 생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당업계에서는 상기 sFRP 류나 DKK 류와 동등 이상의 생의학적 효용성을 가지면서도 종래에 알려진 단백질에 비해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저렴하면서, 분리·정제 단계에서의 비효율적 불편성과 보관, 취급 및 투약 단계에서의 불편성과 활성 저하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생화학물질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 전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Wnt 신호 매개 질환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하는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 및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활성화된 다음,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WAD(Wnt antagonist domain)를 함유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s)를 착안하고, 상기 비활성 WIPs가 기존의 활성 단백질에 비해, 그 제조비용이 획기적으로 낮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투여가 매우 간단하다는 것을 확인함과 아울러, 상기 비활성 WIPs가 수용체 없이 세포 내로 투과되어 세포 내에서 HSP(heat shock protein) 등에 의해 활성화되고, 활성 단백질의 다량 분비를 통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한다는 새로운 약리기전을 가지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Wnt 신호전달체계를 억제함으로써 상피 기원 암 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거나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이 Wnt 신호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인체에 직접 투약할 수 있도록 설계된, 종래에 알려진 활성 단백질과는 전혀 다른 구조와 특성 및 약리기전을 가지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s)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비활성 WI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하는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 및 (b)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활성화된 다음,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WAD(Wnt antagonist domain)를 함유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는 마크로피노좀(macropinosome) 또는 엔도좀(endosome)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감소를 회피할 수 있고, 세포 투과율을 높일 수 있도록 EED(Endosomal Escape domain)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sFRP-1(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1;FRP; SARP2; 및 FrzA), sFRP-2(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2; SARP1), sFRP-3(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3: FzB; Fritz), sFRP-4(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4;FrzB-2), sFRP-5(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5; SARP3), Sizzled, Sizzled2, Crescent, WIF-1(wnt inhibitory factor-1), Cerberus, Coco, DKK-1(Dickkopf-1), DKK-2(Dickkopf-2), DKK-3(Dickkopf-3; REIC), DKK-4(Dickkopf-3) 및 Soggy(DKKL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WAD(Wnt antagonist domain)을 코딩하는 DNA와 5' 앞에 PTD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태깅(tagging) 서열 및 분리·정제를 위한 4개 이상의 히스티딘(histidine)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삽입되어 있는 재조합벡터 및 상기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벡터는 마크로피노좀(macropinosome) 또는 엔도좀(endosome)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감소를 회피할 수 있고, 세포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EED(Endosomal Escape domain)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a) 상기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배양하여 PTD-WAD 융합폴리펩티드 또는 PTD-EED-WAD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는 단계;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세포를 회수한 다음, 여기에 요소용액을 가하여 상기 폴리펩티드의 2차원 및 3차원 구조를 제거하거나, 1차원 선형 구조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c) 1차원 선형구조의 PTD-WAD 융합 폴리펩티드 또는 PTD-EED-WAD 융합 폴리펩티드(비활성 WIP)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비활성 WIP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 억제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비활성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 및 염증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비활성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억제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a)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하는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 및 (b)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활성화된 다음,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WAD(Wnt antagonist domain)를 함유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활성 DKK 류나 sFRP 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현저하게 생산성이 낮은 sf21이나 NSO와 같이 재조합 동물세포 배양에 의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R&D Systems 사의 DKK-1, DKK-4, sFRP-4와 같은 재조합 단백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분리정제가 복잡하고 고비용이라는 문제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값싼 재조합 대장균의 배양에 의해 일부 재조합 단백질을 제조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도 제조하고자 하는 분비하는 단백질의 생화학적 구조와 활성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Wnt 안타고니스트를 인체나 포유류 동물 생체에 투입하는 데 있어서 일차적으로 비효율성을 부여하게 되는 생화학적 활성, 즉 3차원 적 입체 구조가 없는 비활성 폴리펩티드를 착안하고, 수용체의 도움 없이 비활성 폴리펩티드를 세포 내로 투과시키기 위하여, TAT와 같은 PTD에 융합시켜 세포막 투과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TAT-DKK-1은 세포막을 투과하여 세포 내로 도입되고 Wnt 신호전달을 억제함으로써 Snail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암세포의 침윤을 억제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WAD는 sFRP-1(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1;FRP; SARP2; 및 FrzA), sFRP-2(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2; SARP1), sFRP-3(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3: FzB; Fritz), sFRP-4(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4;FrzB-2), sFRP-5(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5; SARP3), Sizzled, Sizzled2, Crescent, WIF-1(wnt inhibitory factor-1), Cerberus, Coco, DKK-1(Dickkopf-1), DKK-2(Dickkopf-2), DKK-3(Dickkopf-3; REIC), DKK-4(Dickkopf-3) 및 Soggy(DKKL2) 등과 같이 세포 내에 투과되어 HSP 등에 의해 활성화되고 분비되어 Wnt 신호를 억제하는 한, 그 제한이 없다. 특히, 이들 유전자에 대부분 존재하는 시스테인이 풍부한 도메인(cystein-rich domain) 재조합은 특정 신호전달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Brott, B.K. & Sokol, S.Y., Mol. Cell Biol., 22:6100, 2002).
sFRP(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는 CRD(cysteine-rich domain)을 가지고 Wnt와 직접 결합하여 Wnt 신호전달계에 대해 길항작용을 하는 펩티드로서, 현재까지 아미노산 서열의 상동성을 바탕으로 sFRP1,sFRP2, sFRP3, sFRP4, sFRP5를 포함하는 5 종의 sFRP가 밝혀져 있으며, 이외에 Sizzled, Sizzled2, Crescent가 알려져 있다.
Sizzled 및 Sizzled1은 개구리(Xenopus) 배아에서 처음 분리된 Wnt 신호전달계에 길항작용을 하는 'Secreted Frizzeld-related protein'으로서 Fizzled 펩티드와 동일한 CRD(cysteine-rich domain)를 가지고 있다.
Crescent는 sFRP 유사 펩티드로서 닭에서 처음 분리된 Wnt 안타고니스트이다.
WIF-1(wnt inhibitory factor-1)는 Wnt 안타고니스트로 Fz 또는 sFRPs에 존재하는 CRD(cysteine-rich domain)가 아닌 N-말단에 WIF만의 시그널 도메인을 가지고 있어, XWnt-8에 결합하여 Xwnt-8-Dfz2 결합을 저해함으로써 Wnt 신호전달계에 길항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erberus는 개구리(Xenopus)에서 분리된 Wnt 및 BMP(Bone morphogenic gene) 신호전달계의 안타고니스트로서 DAN(Differential screening-selected gene aberrative in neuroblastoma) 도메인 패밀리에 속하며, 이와 더불어 Coco도 Cerberus와 유사작용을 하는 Wnt 안타고니스트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는 PTD와 WAD만을 함유해도 좋지만, 마크로피노좀(macropinosome) 또는 엔도좀(endosome)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감소를 회피할 수 있고, 세포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HA2 도메인과 같은 EED(Endosomal Escape Domain)을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HA2 도메인과 같은 EED를 함유할 경우,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타이드가 세포막을 투과하여 엔도좀(endosome) 또는 마크로피노좀(macropinosome) 내부에 제한되는 것을 극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Jehangir, S.W. et al., Nature Med., 10:310, 2004).
본 발명에서는 EED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기원의 HA2 펩타이드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가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에 밀봉되어 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는 클로로퀸(cloroquine) 또는 수크로오스(sucrose)와 같은 약물이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diINF-7 도메인(Influenza-derived fusogenic peptide), B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B virus, HBV) 유래 TLM(translocation motif),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 유래 L2 domain, 항생물질로 개발된 Histatin 5 도메인, 합성 펩타이드인 dhvar4 도메인(pore-forming fungicidal peptide) 및 dhvar5 도메인(pore-forming fungicidal peptide) 등과 같은 E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Stoeckl, L. et al., Proc. Natl. Acad. Sci., 103:6730; 2006; Kamper, N., J. Virol., 80:759, 2006; Mastrobattista, E. et al., J. Biol. Chem., 277:27135, 2002; den Hertog, A.L. et al., Biochem. J., 379:665, 2004).
HA2(Hemagglutin A2)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의 표면에 존재하는 항원 당단백질로서 숙주의 표면에 존재하는 당단백질과 결합하여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에 부착되는 활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 내로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도록 한다.
diINF-7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의 HA2(Hemagglutinin A2)의 N-말단 도메인으로 구성된 융합 펩티드(fusogenic pepetide)로서 특정 pH에서 세포질 내로 단백질의 이동을 촉진하는 활성을 가진다.
TLM1(translocation motif 1) 및 TLM2(translocation motif 2)는 B형 간염바이러스의 엔벨로프(envelop) 단백질로서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도록 하는 활성을 가진 펩티드로, 상기 모티프가 변이되었을 경우에는 엔도좀(endosome)에서 세포질로 이동하지 못하는 특징을 나타낸다.
HPV(Human papilloma virus) 3L2, 6L2 및 8L2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를 구성하는 펩티드로서 바이러스의 감염과정에서 세포 내로 바이러스 입자가 침입할 때 작용하는 도메인이다.
Histatin 5는 인간의 타액에 존재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펩티드이다.
dhvar 4 및 dhvar5은 인간의 타액에 존재하는 항균활성을 가진 Histatin의 활성부위만으로 인공합성된 유사체로서, 펩티드의 구조상 양친매성(amphiphatic)의 특징이 있어 세포 내로 용이하게 전달되는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열번호 4의 아미노산 서열(GLFGAIAGFIENGWEGMIDG)을 가지는 HA2 도메인; 서열번호 5의 아미노산 서열(GLFEAIAEFIEGGWEGLIEG) 가지는 HA2 도메인 유사체; 서열번호 6의 아미노산 서열(GLFEAIEGFIENGWEGMIDG)을 가지는 diINF-7 도메인,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LLNQLAGRMIPK)을 가지는 TLM1;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TLDHVLDHVQTM)을 가지는 TLM2;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SYFILRRRRKRFPY)을 가지는 HPV3 3L2;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SYYMLRKRRRKRLPY)을 가지는 HPV1 6L2;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LYYFIRKKRKRVPY)을 가지는 HPV1 8L2;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DSHAKRHHGYKRKFHEKHHSHRGY)을 가지는 Histatin 5;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 열(KRLFKKLLFSLRKY)을 가지는 dhvar4; 또는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LLLFLLKKRKKRKY)을 가지는 dhvar5와 이들이 2 이상 결합되어 있는 결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하는 PTD와 HSP(heat shock protein) 등에 의해 세포 내에서 활성화되어 분비되어 Wnt 신호를 억제할 수 있는 WAD 및 선택적으로, 마크로피노좀(macropinosome) 또는 엔도좀(endosome)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감소를 회피할 수 있고, 세포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EED를 함유하는 폴리펩티드로,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생물체나 세포에 투과된 후, 상기 단백질이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단백질이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약효를 발휘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제조비용이 비싸고,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지 않고, 수용체를 반드시 필요로 하는 기존의 활성 단백질이 가지는 단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sFRP-1(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1;FRP; SARP2; 및 FrzA), sFRP-2(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2; SARP1), sFRP-3(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3: FzB; Fritz), sFRP-4(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4;FrzB-2), sFRP-5(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5; SARP3), Sizzled, Sizzled2, Crescent, WIF-1(wnt inhibitory factor-1), Cerberus, Coco, DKK-1(Dickkopf-1), DKK-2(Dickkopf-2), DKK-3(Dickkopf-3; REIC), DKK-4(Dickkopf-3) 및 Soggy(DKKL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인 WAD(Wnt antagonist domain)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5' 앞에 PTD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태깅(tagging) 서열 및 분리·정제를 위한 4개 이상의 히스티딘(histidine)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가 삽입되어 있는 재조합벡터 및 상기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우선, DKK-1 유전자의 5'부위(5' region) 앞에 태깅(tagging)서열, 분리·정제를 위한 4개 이상의 히스티딘(histidine)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시작 염기서열인 ATG를 삽입하여 재조합벡터를 제작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재조합 벡터는 상기 기술된 EED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Wnt 신호 억제 유전자로 DKK-1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PTD로 TAT(YGRKKRRQRRR)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AntHD(초파리 homeoprotein atennapedia transcription protein, RQIKIWFQNRRMKWKK, 서열번호 15), VP22 펩티드(Gene Therapy, 8:1, Blackbirch Press, 2001), mph-1-btm(미국특허 2005/0147971), poly-Arg(RRRRRRR, 서열번호 16), PTD-5(RRQRRTSKLMKR, 서열번호 17), transportan(GWTLNSAGYLLGKINLKALAALAKKIL, 서열번호 18), penetratin(PQIKIWFQNRRMKWKK, 서열번호 19), Buforin II(TRSSRAGLQFPVGRVHRLLRK, 서열번호 20), Ku 70(VPMLK-PMLKE, 서열번호 21), SynB1(RGGRLSYSTTTFSTSTGR, 서열번호 22), Pep-1(KETWWETWWTEWSQPKKKRKV, 서열번호 23), Pep-7(SDLWEMMMVSLACQY, 서열번호 24), HN-1(TSPLNIHNGQKL, 서열번호 25) 등과 같은 PTD를 사용할 수도 있다 (Joliot, A. & Prochiantz, Nature Cell Biol., 6:198, 2004; Kabouridis, P.S., Trends Biotechnol., 21:498, 2003). 또한, 상기 태깅 서열로 X-press의 태그(tag)를 사용하였으나, Flag, Myc, Ha, GST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재조합벡터를 제작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암피실린(ampicillin) 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pRSET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선택적 마커로 카나마이신(kanamycin)을 가지는 박테리아 벡터, pcDNA같은 포유류 세포 발현용 벡터(mammarian cell expression vector), pPGS, pBabe와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Penetratin™은 안테나페이아(Antennapedia) 단백질의 호메오도메인(homeodomain)의 헬릭스(helix) 구조를 가진 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로, 세포 내로 펩티드 또는 뉴클레오타이드를 전달하는데 사용되는 상용화된 전달체이다.
Ku70은 Ku80과 함께 Ku 복합체를 구성하는 70K 펩티드로서 PM-SLC(polymyositis-scleroderma overlap syndrome)의 환자에서 발견된 자가항원으로 처음 알려졌으며, 핵 내에서 이중 나선 DNA를 절단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어, DNA 손상복귀(DNA repair) 및 면역유전자 재배열(VDJ recombination) 등의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소에는 세포질에 존재하다가 필요할 경우 핵막을 통과하여 작용한다.
Prion은 단백질 감염성 입자(proteinaceous infectous particle)의 약자로 단백질로만 구성된 감염성 인자로서 동물의 광우병 및 인간의 CJD(Creutzfeldt-Jakob disease)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백질의 구조상 세포막에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다.
pVEC는 쥐의 혈관내피세포(Vacular Endothelial cells)의 Cadherin에서 유래된 CPP(Cell penetrating peptide)로서 동물세포의 종류에 상관없이 세포막을 효율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활성을 가진다.
Pep-1(amphipathic peptide)은 시미안 바이러스40(Simian Virus 40)의 T 항원에서 유래된 CPP(Cell-penetrating peptide)로서 서로 다른 포유류에서 유래된 세포주에 큰 분자량의 단백질을 운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 PTD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WAD 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배양하여 PTD-WAD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는 단계;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세포를 회수한 다음, 여기에 요소용액을 가하여 상기 폴리펩티드의 2차원 및 3차원 구조를 제거하거나, 1차원 선형 구조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c) 1차원 선형구조의 PTD-WAD 융합 폴리펩티드(비활성 WIP)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WIP)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a) PTD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EED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WAD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함유하는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배양하여 PTD-EED-WAD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는 단계;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세포를 회수한 다음, 여기에 요소용액을 가하여 상기 폴리펩티드의 2차원 및 3차원 구조를 제거하거나, 1차원 선형 구조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c) 1차원 선형구조의 PTD-EED-WAD 융합 폴리펩티드(비활성 WIP)를 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비활성 WIP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상기 폴리펩티드를 니켈-티타늄 비드에 결합시키고, 이를 요소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이미 다졸과 염 함유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를 발현시킨 다음, 상기 발현된 단백질을 분리·정제하였다. 본 발명에서 형질전환된 대장균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지에서 배양할 수 있고, 융합 폴리펩티드의 과발현을 유도하기 위하여 IPTG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형질전환 미생물로 대장균(E. coli)을 사용하였으나, 다른 종류의 박테리아, 효모, 또는 곰팡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미생물을 이용하지 않고 화학적 방법으로 유효 부위만을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형질전환 미생물의 배양에 의해 발현된 융합 폴리펩티드는 GST-융합 단백질(GST-fusion protein)이나 그 외 통상의 단백질 분리·정제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요소(urea)나 암모늄설페이트의 농도 구배를 이용하여 단백질의 침전을 유도하고, 이를 투석하여 염(salt)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를 정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과발현된 폴리펩티드의 2차원 및 3차원 구조가 필요치 않기 때문에 요소를 사용하여 2차원 및 3차원 구조의 단백질을 비활성의 1차원 선형 구조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 기술된 기능 도메인을 포함한다면 2차원 및 3차원 구조를 가지고 세포 내로 투과하여 유사한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리전제를 위한 Histidine tag, 발현검증을 위한 X-press tag, 세포막 투과를 위한 PTD, 엔도솜(endosome)에 의한 활성 감소를 회피하기 위 한 EED(Endosomal Escape Domain), Wnt 신호를 억제하기 위한 WAD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지만, 각 기능적인 도메인이 포함된다면 이들의 다른 형태의 재조합도 유사한 효과를 보일 것이다. 또한, WO 2006/104306A1에 기술된 바와 같이, proprotein convertase에 의한 절단과 단백질 modification이 분비 단백질의 활성를 가지는바, 생물학적 활성 증대를 위해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퓨린 분열 부위(furin cleavage site)가 추가된다면 생리학적 활성의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일부 sFRP류와 DKK류의 경우 추정되는 퓨린 분열 부위(putative furin cleavage sites)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퓨린(furin)에 의한 활성화 과정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Kawano, Y. & Kypta, R., J. Cell Sci., 116:2627, 2003).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실용적으로 재조합 대장균과 같은 박테리아의 배양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인체 내로 투여되기 전에는 생화학적으로 비활성 상태이기 때문에, 종래에 알려진 유사 용도의 활성 단백질에 비해 생산비용이 수십~수백분의 일에 불과하고, 분리·정제과정과 취급·투약과정이 월등히 간단하고 편리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비활성 WIP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 억제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비활성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비활성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억제용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3차원적 입체 규칙성을 가지지 않고, 그 자체로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세포 내로 투과된 후 HSP(heat shock trotein) 등에 의해 활성화되고, 상기 활성화된 단백질이 세포 외로 분비되어 약효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상피 기원 암 세포의 성장 및 전이를 억제하고,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면역질환의 진행을 억제하며, 나아가 치료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에 알려진 활성 재조합 단백질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던 고비용의 문제점과, 활성 제품의 분리·정제, 보관 및 투약의 비효율적 특성을 근원적으로 해결하며, 비활성 폴리펩티드를 인체나 포유류 동물 생체에 직접 투약 하면서도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비활성 WIPs를 암세포, 전구세포, 활성화된 FLS(fibroblast-like synoviocytes), 줄기세포 등에 투여할 경우, 상기 비활성 WIPs가 HSP 등에 의해 재구성되고 N-glycosylation과 같은 활성화 과정을 거쳐 분비되게 된다. 이때 세포에 투과된 비활성 WIPs는 세포의 종류와 활성에 따라 3-24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며, 이는 투과된 단백질이 세포에 따라 다양한 활성화 시간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정제된 비활성 WIPs를 0.1nM 이상 세포에 투여할 경우, 상기 비활성 WIPs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로 이동하고, 세포 내에서 활성화된 DKK 등으로 전환된 다음, 활성 DKK 형태로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본 발명의 비활성 WIPs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Fz 수용체 또는 LRP5/6 보조수용체의 존재와는 상관없이 1시간 이내에 대부분 세포의 세포막을 직접 투과하였으며, 세포막 투과과정은 수용체를 거치지 않는 온도-비의존적(temperature independent)이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3차원 구조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1차원 선형 구조 상태에서 세포 내로 투과되어 활성 Wnt 안타고니스트 등으로 전환된 다음, 분비되는 기작을 나타낸다. 즉, 종래의 DKK, sFRP가 직접적으로 약효를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간접적인 활성으로 약효(potency)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3차원 구조 유지를 위한 추가적인 장비나 비용이 필요 없으며, 분리·정제가 매우 용이하고, 생산공정이 간단하며 생산 단가가 낮고, 의학적인 효율성이 증대되어 종래 재조합 단백질이 가지는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의 특성을 종래 재조합 Wnt 안타고니스트 단백질과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 제품을 분리·정제, 보관, 투약하는 과정과 특징을 종래에 알려진 활성 DKK, sFRP 류의 경우와 비교한 것이다.
종래 재조합 Wnt 안타고니스트 단백질과 비활성 WIPs의 특성 비교
구분 종래 Wnt 안타고니스트 (DKK-1, DKK-4, SFRP-4) 본 발명의 비활성 WIPs
생산방식 형질전환 sf21, NSO 세포배양 형질전환 대장균 배양
형질전환된 세포를 계속 유지하면서 생산 형질전환 대장균 유지 간단
대규모 세포 배지에서 분리 농축 대장균으로부터 직접 분리, 희석
생산단가 높음 종래보다 현저하게 낮음
생산 장비와 시설 대규모 시설과 장비가 필요 매우 단순
생산제품 활성화된 DKK 또는 sFRP PTD-DKK 또는 PTD-sFRP의 융합 폴리펩티드
단백질의 3차원 구조 활성을 가진 고유한 3차원 구조 활성이 없는 펩티드
자연계에 존재하는 구조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는 임의 (random) 구조
세제 및 생리 용액 용해성 (solubility) 용해성(soluble) 3차원 구조와 활성 소실 난용성(insoluble) 구조와 활성에 영향 없음
생체 투여시 운반체의 필요성 수용성 성질로 인해 매우 빠르게 확산됨 국소적 투여를 위해서는 적절한 담체나 운반체가 반드시 필요 난용성이며 인접 세포로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 국소적 투여시 담체나 운반체에 의존적이지 않음
안정성 및 보관성 3차원 구조가 깨지면 활성소실 37℃ 이상에서 보관 불가 안정성 및 보관성이 낮음 구조와 상관없음 37℃ 이상에서 보관 가능 안정성 및 보관성 우수
생물학적 작용방식 세포막 수용체에 직접 결합 (direct action) 세포에서 활성화 단백질을 분비 (indirect action)
투여시 온도 의존성 수용체 결합을 위해 생체 온도 요구 온도에 상관없이 살아있는 세포에 모두 투과
활성화 반감기 해당사항 없음 3-12시간
단백질 활성화 과정에서 시그널 펩티드의 역할 필수적 필요 없음
세포 선택성 반드시 Fz 수용체와 LRP5/6 보조 수용체를 통해 신호전달 모든 종류의 세포에 수용체 없이 투과 가능
약효(potency) 유사
투여방법 동일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상피기원 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나아가 전이를 억제하고자 하는 경우나,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진행을 억제하고 치료하고자 하는 경우와 같이, Wnt 신호 전달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의 치료나 진행 억제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줄기세포의 분화를 조절하고 응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는 그 자체를 사용하거나 약제학적으로 허용이 가능한 산부가염 또는 금속 복합체, 예를 들어, 아연, 철 등과 같은 염의 형태로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부가염은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염, 인산염, 말레산염, 아세트염, 시트로산염, 벤조산염, 숙신산염, 말린산염, 아스코로브산염, 타르탈산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적인 투여방법, 투여형태 및 치료목적에 따라 상기 유효성분을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매트릭스인 담체와 함께 혼합하여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목적하는 pH, 등장성, 안정성 등을 갖는 생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단백질 조성물의 제법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따르는 통상적인 기술범위 내에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매트릭스는 생물접합성, 생물분해성, 기계적 특성, 미용적 외관 및 접촉 특성에 따라 황산칼슘, 트리칼슘포스페이브, 하드록시아파리트, 폴리락트산, 포릴무수물과 같은 생물 분해성 및 화학적 물질이나; 피부 콜라겐, 기타 순수 단백질 또는 세포의 매트릭스 성분과 같은 생물 분해성 및 생물학적 물질; 소결된 히드록시아파티트, 바이오글래스, 알루미네이트 또는 기타 세라믹과 같은 비-생물 분해성 및 화학성 물질; 폴리락트산, 히드록시아파티트, 콜라겐 및 트리칼슘포스페이트와 같은 상술한 물질의 배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담체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부형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소르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마그네슘 스타아레이트,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methylhydroxybenzoate),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propylhydroxybenzoate), 탈크(talc), 광물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WIPs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치료효과를 원하는 부위에 점성형으로 주사되거나 캡술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은 사용되는 부형제나 매트릭스 등의 담체 종류와 환자의 상태, 환자의 나이, 성별 및 다이어트, 감염의심도, 투여시간 및 기타 임상적 요인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특히, 하기 실시예에서는 비활성 WIPs를 구성하는 WAD의 유전자로 DKK-1 만을 예시하였으나, sFRP-1, sFRP-2, sFRP-3, sFRP-4, sFRP-5, Sizzled, Sizzled-2, Crescent, WIF-1, Cerberus, Coco, DKK-1, DKK-3, DKK-4, Soggy 등의 유전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결합된 유전자 등 세포 외로 분비되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인간 유래 Wnt 안타고니스트뿐만 아니라, 쥐, 소, 돼지 등과 같은 포유류 및 그 외 고등동물 유래 Wnt 안타고니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역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하기 실시예에서는 PTD로 TAT만을 예시하였으나, AntHD(초파리 homeoprotein atennapedia transcription protein), VP22 펩티드, mph-1-btm, Penetratin, Buforin II, Transportan, Ku70, Prion, Pvec, Pep-1 등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유전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에서는 EED로 HA2만을 예시하였으나, diINF-7 도메인, TLM1 도메인, TLM2 도메인, HPV3 3L2 도메인, HPV1 6L2 도메인, HPV1 8L2 도메인, Histatin 5 도메인, dhvar4 도메인 및 dhvar5 도메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2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유전자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1: DKK -1 발현벡터를 이용한 Snail 발현 억제
Wnt signaling은 GSK3-β를 억제하는 기전을 통해 Snail의 활성화를 유도한다. 한편, Snail은 E-cadherin의 전사억제와 상피기원 세포의 이동/전이를 조절한다고 알려져 있다 (Nature Cell Biol., 2:84, 2000; Nature Cell Biol., 2:76, 2000; Nature Rev. Mol. Cell Biol., 3:155, 2002). 결과적으로 Wnt 신호전달은 Snail을 경유하여 E-cadherin 발현을 억제하고, 나아가 암세포의 침윤성 성장과 전이를 유도하게 된다. 그러므로, Wnt에 의해 조절되는 Snail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면 암세포의 침윤성 성장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293 세포(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CRL-1573)의 mRNA를 주형으로 사용한 RT-PCR에 의해 hDKK-1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증폭하였다. 
서열번호 1: 5'-gct tgc aaa gtg acg gtc att-3'
서열번호 2: 5'-cta tcc aaa tgc agt gaa ctc-3'
상기 증폭된 유전자를 TA 클로닝 벡터(Invitrogen, Inc)에 삽입하고, GenBank의 염기서열(NCBI, NM_012242)과 비교한 결과, hDKK-1 유전자와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클로닝된 hDKK-1 유전자를 pCR3.1 발현벡터(mammarian expression vector, Invitrogen, Inc)의 BamH1, EcoRI sites에 다시 클로닝하였고, 상기 hDKK-1 유전자의 stop codon 앞에 발현 검증을 위한 HA tag을 삽입하였다. 완성된 발현벡터를 Lipofectamine(Invitrogen)을 이용하여 293 세포에 Snail 유전자와 함께 발현을 유도하였다. Snail 유전자는 flag으로 태깅하였고, Snail의 발현과 DKK의 발현을 각각 anti-flag antibody(Sigma)와 anti-HA antibody (Roche)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검증하였다 (도 1).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hDKK-1의 발현을 통한 Wnt 신호전달체계의 억제는 Snail의 반감기를 억제함으로써 Snail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고, 이 결과는 선행문헌의 메카니즘과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J. Biol. Chem., 280:11740, 2005). 
실시예 2: TAT - DKK -1을 이용한 Wnt 신호전달 억제 및 암세포 침윤억제
상기 실시예 1에서 클로닝된 hDKK-1 유전자를 박테리아 발현벡터인 pRSET (Invtrogen)에 다시 cloning 하였다. 이때, 상기 hDKK-1 유전자의 5' 부위(5'region)앞에 TAT(YGRKKRRQRRR: 서열번호 3) 서열을 삽입한 다음, 그 앞에 X-press(Invitrogen, Inc) 태그(tag)와, 분리·정제를 위한 6개의 히스티딘(histidine)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시작 염기서열인 ATG를 삽입하여 hDKK-1의 발현을 위한 재조합 발현벡터(expression vector)를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재조합벡터를 열 충격(heat shock) 방법으로 대장균 BL21(E. coli BL21; Invitrogen Inc.)에 도입한 다음, 37℃에서 2~3시간 배양한 후, IPTG(isopropylthio-galactoside) 1 mM을 첨가하고 2~18 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여 TAT-DKK-1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상기 배양물에서 대장균을 윈심분리하여, 세포 펠렛(cell pellet)을 수득하고, 상기 세포 펠렛에 8M의 요소 용액을 첨가하여 DKK-1의 2차원 및 3차원 구조를 제거한 다음, 니켈-티타늄 비드(Ni-Ti beads, Qiagen)를 첨가하여 TAT-DKK-1을 비드에 결합시킨 후, 이를 요소용액으로 3회 세척하고, 이미다졸과 염 함유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용출하여 정제된 TAT-DKK-1 융합 폴리펩타이드를 수득하였다 (도 2).
도 2는 형질전환된 대장균 BL21의 배양시 IPTG로 단백질 발현을 유도하고 정제과정을 전기영동으로 확인한 것이다. 여기서, 화살표는 IPTG에 의해 유도된 TAT-DKK-1 융합단백질을 나타내고, 레인 1은 유도되지 않은 TAT-DKK-1(uninduced TAT-DKK-1), 레인 2는 IPTG에 유도된 TAT-DKK-1, 레인 3-6은 Ni-Ti 비드에서 TAT-DKK-1을 분리할 때, 이미다졸(imidazole)의 농도를 점차 증가시켜 용출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IPTG 첨가에 의해 융합단백질 생성을 유도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TAT-DKK-1 융합단백질이 더 많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분리시 이미다졸의 농도를 증가시킬 경우, TAT-DKK-1 융합단백질이 더 많이 용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상기 제조된 TAT-DKK-1이 세포 내로 투과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MCF-7 유방암 세포주(ATCC, HTB-22)에 TAT-DKK-1 4 nM을 2시간 처리한 다음, 세포를 수득하여 항 X-press 일차 항체(Invitrogen, Inc)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을 수행하였다 (도 3).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TAT-DKK-1은 4시간 이내에 대부분 세포 내부로 투과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레인 1~6은 4 nM의 TAT-DKK-1을 각각 0시간, 15분, 30분, 1시간, 2시간, 및 4시간 처리하여 세포에 존재하는 TAT-DKK-1의 발현을 항 X-press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한 것이다.  
세포 내로 도입된 TAT-DKK-1이 생물학적 활성을 가지는 DKK-1로 변환되고, 이들이 Wnt 신호를 억제하여 Snail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E-cadherin 발현 증가를 유도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E-cadherin proximal 프로모터를 가지고 있는 루시퍼러제 리포터 유전자 분석(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을 수행하였다 (J. Biol. Chem., 280:11740, 2005). MCF-7 세포에 Fugene-6을 이용하여 상기 리포터 유전자를 transfection하고 24시간 후, 2 nM의 TAT-DKK-1을 24시간 동안 투여하고, 루시퍼라제 활성도를 이용하여 E-caherin 프로모터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E-cadherin 프로모터의 Snail 결합부위를 돌연변이시킨 E-cad(-108)3XMut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도 4).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TAT-DKK-1이 실시예 1에서 보인 결과와 같이, Snail의 발현을 억제하고, 이들이 E-cadherin 프로모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Wnt 신호 전달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TAT - DKK -1을 이용한 Wnt 신호전달에 억제 및 암세포 침윤억제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TAT-DKK-1이 암세포의 침윤성 성장을 억제하고 나아가 전이 억제제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MCF-7 세포에 Wnt-1 발현을 유도하였다 (J. Biol. Chem., 280:11740, 2005). 침윤 능력이 없는 MCF-7은 Wnt 발현에 의해 침윤성 성장을 하며, 이 과정에서 암세포의 침윤은 Snail 발현과 E-cadherin 프로모터 활성도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J. Biol. Chem., 280:11740, 2005). 따라서 TAT-DKK-1이 Wnt 신호를 억제한다면 Wnt 신호에 의해 유도되는 침윤성 성장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Wnt 발현 MCF-7 세포주에 5 nM의 TAT-DKK-1을 처리하고 chicken egg의 chorioalantoic membrane에서 48시간 배양하여 암세포 침윤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5).
그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TAT-DKK-1은 Wnt 신호에 의해 유도되는 암세포의 침윤성 성장을 완전히 차단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TAT-DKK-1은, E-cadherin 발현이 없어 침윤 능력이 매우 강한 것으로 알려진 MDA-MB-231(ATCC HTB-26) 세포주에서도 침윤성 성장을 강력히 억제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비활성 TAT-DKK-1이 암 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강력하게 억제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HA2 - TAT - DKK -1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작된 발현벡터의 TAT 염기서열 뒤에 대표적인 EED로서 HA2 도메인(서열번호 4)을 코딩하는 염기서열을 삽입하여 재조합벡터를 제작한 다음,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형질전환 대장균을 제작, 배양 및 정제하여 TAT-HA2-DKK-1 융합 폴리펩티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TAT-HA2-DKK-1 융합 폴리펩티드와 TAT-DKK-1 융합 폴리펩티드를 293 세포주에 10 nM 농도로 2시간 처리하고 6시간 동안 추가 배양한 다음, 항-HA 면역침전법을 사용하여 배지 내에 분비된 활성화 DKK-1을 검증하였다. 이때 TAT 코딩 서열이 없는 재조합 단백질을 음성 대조군(negative control, N/C)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TAT-DKK-1과 TAT-HA2-DKK-1을 투여한 경우에 세포 배지 내로 활성화된 DKK-1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EED가 포함되어 있는 TAT-HA2-DKK-1의 경우, 더 많은 활성화 단백질이 분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면역침전법에 사용된 항체의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의 light chain을 loading control로 사용하였다 (도 6).
이상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하는 PTD,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활성화된 다음,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 지는 WAD를 함유하는 비활성 WIPs, 그 제조방법 및 상기 비활성 WIP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 억제용 조성물과 면역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WIPs는 세포막 수용체와 결합하기 위한 3차원 구조를 유지할 필요가 없고, 1차원 선형 구조 상태에서 세포 내로 투과되어 세포 내에서 HSP 등에 의해 활성화된 다음 분비되어 약효를 나타낸다. 따라서, 3차원 구조 유지를 위한 추가적인 장비나 비용이 필요 없고, 히스티딘 서열을 함유하고 있어 분리·정제가 매우 용이하여, 생산공정이 간단하고, 생산 단가가 낮으며, 의학적인 효율성이 증대되어 새로운 치료용 단백질로 유용하다.
<110> KIM, Jung Moon LEE, Jong Suk KIM, Jung Kook KIM, Tae Han <120> NON-ACTIVATED Wnt INHIBITION POLYPEPTIDE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150> KR <151> 2005-11-30 <160> 25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1 gcttgcaaag tgacggtcat t 21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400> 2 ctatccaaat gcagtgaact c 21 <210> 3 <211> 11 <212> PRT <213> TAT <400> 3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4 <211> 20 <212> PRT <213> HA2 domain <400> 4 Gly Leu Phe Gly Ala Ile Ala Gly Phe Ile Glu Asn Gly Trp Glu Gly 1 5 10 15 Met Ile Asp Gly 20 <210> 5 <211> 20 <212> PRT <213> HA2 domain analogue <400> 5 Gly Leu Phe Glu Ala Ile Ala Glu Phe Ile Glu Gly Gly Trp Glu Gly 1 5 10 15 Leu Ile Glu Gly 20 <210> 6 <211> 20 <212> PRT <213> diINF-7 domain <400> 6 Gly Leu Phe Glu Ala Ile Glu Gly Phe Ile Glu Asn Gly Trp Glu Gly 1 5 10 15 Met Ile Asp Gly 20 <210> 7 <211> 12 <212> PRT <213> TLM1 <400> 7 Leu Leu Asn Gln Leu Ala Gly Arg Met Ile Pro Lys 1 5 10 <210> 8 <211> 12 <212> PRT <213> TLM2 <400> 8 Thr Leu Asp His Val Leu Asp His Val Gln Thr Met 1 5 10 <210> 9 <211> 14 <212> PRT <213> HPV3 3L2 <400> 9 Ser Tyr Phe Ile Leu Arg Arg Arg Arg Lys Arg Phe Pro Tyr 1 5 10 <210> 10 <211> 15 <212> PRT <213> HPV1 6L2 <400> 10 Ser Tyr Tyr Met Leu Arg Lys Arg Arg Arg Lys Arg Leu Pro Tyr 1 5 10 15 <210> 11 <211> 14 <212> PRT <213> HPV1 8L2 <400> 11 Leu Tyr Tyr Phe Ile Arg Lys Lys Arg Lys Arg Val Pro Tyr 1 5 10 <210> 12 <211> 24 <212> PRT <213> Histatin 5 <400> 12 Asp Ser His Ala Lys Arg His His Gly Tyr Lys Arg Lys Phe His Glu 1 5 10 15 Lys His His Ser His Arg Gly Tyr 20 <210> 13 <211> 14 <212> PRT <213> dhvar4 <400> 13 Lys Arg Leu Phe Lys Lys Leu Leu Phe Ser Leu Arg Lys Tyr 1 5 10 <210> 14 <211> 14 <212> PRT <213> dhvar5 <400> 14 Leu Leu Leu Phe Leu Leu Lys Lys Arg Lys Lys Arg Lys Tyr 1 5 10 <210> 15 <211> 16 <212> PRT <213> AntHD <400> 15 Arg Gln Ile Lys Ile Trp Phe Gln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10 15 <210> 16 <211> 7 <212> PRT <213> poly Arg <400> 16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210> 17 <211> 12 <212> PRT <213> PTD-5 <400> 17 Arg Arg Gln Arg Arg Thr Ser Lys Leu Met Lys Arg 1 5 10 <210> 18 <211> 27 <212> PRT <213> transportan <400> 18 Gly Trp Thr Leu Asn Ser Ala Gly Tyr Leu Leu Gly Lys Ile Asn Leu 1 5 10 15 Lys Ala Leu Ala Ala Leu Ala Lys Lys Ile Leu 20 25 <210> 19 <211> 16 <212> PRT <213> penetratin <400> 19 Pro Gln Ile Lys Ile Trp Phe Gln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10 15 <210> 20 <211> 21 <212> PRT <213> Buforin II <400> 20 Thr Arg Ser Ser Arg Ala Gly Leu Gln Phe Pro Val Gly Arg Val His 1 5 10 15 Arg Leu Leu Arg Lys 20 <210> 21 <211> 10 <212> PRT <213> Ku 70 <400> 21 Val Pro Met Leu Lys Pro Met Leu Lys Glu 1 5 10 <210> 22 <211> 18 <212> PRT <213> SynB1 <400> 22 Arg Gly Gly Arg Leu Ser Tyr Ser Thr Thr Thr Phe Ser Thr Ser Thr 1 5 10 15 Gly Arg <210> 23 <211> 21 <212> PRT <213> Pep-1 <400> 23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Lys 1 5 10 15 Lys Lys Arg Lys Val 20 <210> 24 <211> 15 <212> PRT <213> Pep-7 <400> 24 Ser Asp Leu Trp Glu Met Met Met Val Ser Leu Ala Cys Gln Tyr 1 5 10 15 <210> 25 <211> 12 <212> PRT <213> HN-1 <400> 25 Thr Ser Pro Leu Asn Ile His Asn Gly Gln Lys Leu 1 5 10

Claims (22)

  1. (a) 세포막 수용체의 도움 없이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게 하는 PTD(protein transduction domain); 및 (b) 그 자체로는 활성을 가지지 않지만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활성화된 다음, 세포 밖으로 분비되어 Wnt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WAD(Wnt antagonist domain)를 함유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WIP).
  2. 제1항에 있어서, (c) 마크로피노좀(macropinosome) 또는 엔도좀(endosome)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감소를 회피할 수 있고, 세포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EED(Endosomal Escape Domain)을 추가로 포함하는 폴리펩티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EED는 HA2(Hemagglutinin subunit)(서열번호 4), diINF-7(Influenza-derived fusogenic peptide)(서열번호 6), TLM1(translocation motif 1)(서열번호 7), TLM2(translocation motif 2)(서열번호 8), HPV3 3L2(Human papillomavirus 3 3L2)(서열번호 9), HPV1 6L2(Human papillomavirus 1 6L2)(서열번호 10), HPV1 8L2(Human papillomavirus 1 8L2)(서열번호 11), Histatin 5(서열번호 12), dhvar4(pore-forming fungicidal peptide)(서열번호 13), 및 dhvar5(pore-forming fungicidal peptide)(서열번호 1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AD는 sFRP-1(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1;FRP; SARP2; 및 FrzA), sFRP-2(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2; SARP1), sFRP-3(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3: FzB; Fritz), sFRP-4(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4;FrzB-2), sFRP-5(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5; SARP3), Sizzled, Sizzled2, Crescent, WIF-1(wnt inhibitory factor-1), Cerberus, Coco, DKK-1(Dickkopf-1), DKK-2(Dickkopf-2), DKK-3(Dickkopf-3; REIC), DKK-4(Dickkopf-3) 및 Soggy(DKKL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D는 TAT(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ransactivator)(서열번호 3), AntHD(drosophila homeoprotein antennapedia transcription protein)(서열번호 15), VP22(Herpes Simplex virus protein 22), mph-1-btm(마우스 전사 억제 인자-1-biomolecule transduction mortif), poly-Arg(서열번호 16), Transportan(서열번호 18), Penetratin(서열번호 19), Buforin II(서열번호 20), Ku70(서열번호 21), prion, pVEC(cell penetrating peptide) 및 Pep-1(amphipathic peptide)(서열번호 2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7. 삭제
  8. 다음을 포함하는 재조합벡터:
    a) sFRP-1(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1;FRP; SARP2; 및 FrzA), sFRP-2(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2; SARP1), sFRP-3(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3: FzB; Fritz), sFRP-4(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4;FrzB-2), sFRP-5(secreted Frizzled-related protein-5; SARP3), Sizzled, Sizzled2, Crescent, WIF-1(wnt inhibitory factor-1), Cerberus, Coco, DKK-1(Dickkopf-1), DKK-2(Dickkopf-2), DKK-3(Dickkopf-3; REIC), DKK-4(Dickkopf-3) 및 Soggy(DKKL2)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WAD(Wnt antagonist domain)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b)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의 5'에 선행하여 위치하는, PTD를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c) 태깅(tagging) 서열; 및
    d) 분리·정제를 위한 4개 이상의 히스티딘(histidine)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
  9. 제8항에 있어서, 마크로피노좀(macropinosome) 또는 엔도좀(endosome)에 의한 생물학적 활성감소를 회피할 수 있고, 세포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EED(Endosomal Escape Domain)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추가로 함유하는 재조합벡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EED는 HA2(Hemagglutinin subunit)(서열번호 4), diINF-7(Influenza-derived fusogenic peptide)(서열번호 6), TLM1(translocation motif 1)(서열번호 7), TLM2(translocation motif 2)(서열번호 8), HPV3 3L2(Human papillomavirus 3 3L2)(서열번호 9), HPV1 6L2(Human papillomavirus 1 6L2)(서열번호 10), HPV1 8L2(Human papillomavirus 1 8L2)(서열번호 11), Histatin 5(서열번호 12), dhvar4(pore-forming fungicidal peptide)(서열번호 13) 및 dhvar5(pore-forming fungicidal peptide)(서열번호 14)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벡터.
  11. 삭제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
  13.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비활성 WIP의 제조방법:
    (a) 제8항의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배양하여 PTD-WAD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는 단계;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세포를 회수한 다음, 여기에 요소용액을 가하여 상기 폴리펩티드의 2차원 및 3차원 구조를 제거하거나, 1차원 선형 구조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c) 1차원 선형구조의 PTD-WAD 융합 폴리펩티드(비활성 WIP)를 정제하는 단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PTD는 TAT(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ransactivator)(서열번호 3), AntHD(drosophila homeoprotein antennapedia transcription protein)(서열번호 15), VP22(Herpes Simplex virus protein 22), mph-1-btm(마우스 전사 억제 인자-1-biomolecule transduction mortif), poly-Arg(서열번호 16), Transportan 도메인(서열번호 18), Penetratin(서열번호 19), Buforin II (서열번호 20), Ku70(서열번호 21), prion, pVEC(cell penetrating peptide) 및 Pep-1(amphipathic peptide)(서열번호 2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상기 융합 폴리펩티드를 니켈-티타늄 비드에 결합시키고, 이를 요소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이미다졸과 염 함유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비활성 WIP의 제조방법:
    (a)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재조합벡터로 형질전환된 박테리아를 배양하여 PTD-EED-WAD 융합 폴리펩티드를 발현시키는 단계;
    (b) 상기 배양액으로부터 세포를 회수한 다음, 여기에 요소용액을 가하여 상기 폴리펩티드의 2차원 및 3차원 구조를 제거하거나, 1차원 선형 구조로 변형시키는 단계; 및
    (c) 1차원 선형구조의 PTD-EED-WAD 융합 폴리펩티드(비활성 WIP)를 정제하는 단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PTD는 TAT(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ransactivator)(서열번호 3), AntHD(drosophila homeoprotein antennapedia transcription protein)(서열번호 15), VP22(Herpes Simplex virus protein 22), mph-1-btm(마우스 전사 억제 인자-1-biomolecule transduction mortif), poly-Arg(서열번호 16), Transportan (서열번호 18), Penetratin (서열번호 19), Buforin II (서열번호 20), Ku70(서열번호 21), prion, pVEC(cell penetrating peptide) 및 Pep-1(amphipathic peptide)(서열번호 23)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는 상기 융합폴리펩티드를 니켈-티타늄 비드에 결합시키고, 이를 요소용액으로 세척한 다음, 이미다졸과 염 함유 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세포의 성장 및 전이 억제용 약학 조성물.
  20.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질환은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22. 제1항,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섬유화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0060119560A 2005-11-30 2006-11-30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874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5281 2005-11-30
KR1020050115281 200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039A KR20070057039A (ko) 2007-06-04
KR100874947B1 true KR100874947B1 (ko) 2008-12-19

Family

ID=38092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560A KR100874947B1 (ko) 2005-11-30 2006-11-30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90325866A1 (ko)
EP (1) EP1951752A4 (ko)
JP (1) JP2009517080A (ko)
KR (1) KR100874947B1 (ko)
CN (1) CN101300270A (ko)
WO (1) WO20070641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5114B1 (en) 2008-03-28 2015-12-23 Momotaro-Gene Inc. REIC protein for use in activating cancer immunity
CA2766634A1 (en) 2009-06-22 2011-01-13 Burnham Institute For Medical Research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peptides and proteins with c-terminal elements
EP2550356A4 (en) * 2010-03-25 2013-09-25 Int Stem Cell Corp METHOD FOR ALTERING THE DIFFERENTIATION STAGE OF A CELL AND RELATED COMPOSITIONS
WO2012118778A1 (en) 2011-02-28 2012-09-07 Sanford-Burnham Medical Research Institute Truncated car peptides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truncated car peptides
CA2837588A1 (en) 2011-05-31 2012-12-06 Airware, Inc. Re-calibration of ab ndir gas sensors
US10179801B2 (en) 2011-08-26 2019-01-15 Sanford-Burnham Medical Research Institute Truncated LYP-1 peptides and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truncated LYP-1 peptides
CN105101951B (zh) * 2012-10-29 2021-08-03 新加坡科技研究局 一种用于基因-药物治疗的新型试剂
US9556226B2 (en) 2013-03-15 2017-01-3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Arkansas Peptides with antifungal activity and methods of using the peptides
CN103893781B (zh) * 2014-04-10 2016-03-30 武汉大学 Dickkopf-3(DKK3)基因在冠状动脉粥样硬化性心脏病中的功能和应用
US9616114B1 (en) 2014-09-18 2017-04-11 David Gordon Bermudes Modified bacteria having improved pharmacokinetics and tumor colonization enhancing antitumor activity
KR101572606B1 (ko) 2014-11-24 2015-11-27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Sfrp5 유래의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05617359A (zh) * 2015-12-31 2016-06-01 中国科学院成都生物研究所 Wnt信号通路蛋白Frzb在制备抗肝癌药中的应用
CN105420260A (zh) * 2015-12-31 2016-03-23 中国科学院成都生物研究所 重组靶向Wnt融合蛋白及其在制备抗癌药中的应用
US11180535B1 (en) 2016-12-07 2021-11-23 David Gordon Bermudes Saccharide binding, tumor penetration, and cytotoxic antitumor chimeric peptides from therapeutic bacteria
US11129906B1 (en) 2016-12-07 2021-09-28 David Gordon Bermudes Chimeric protein toxins for expression by therapeutic bacteria
EP3628047A1 (en) 2017-05-02 2020-04-01 Sanford Burnham Prebys Medical Discovery Institute Tumor associated monocyte/macrophage binding peptide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3913055A4 (en) * 2019-01-15 2023-09-27 Bioneer Corporation DOUBLE STRANDED OLIGONUCLEOTIDE TARGETED AGAINST DKK1 GENE, CONSTRUCT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THEREFOR
US20220119450A1 (en) 2019-02-04 2022-04-21 University Of Tartu Bi-specific extracellular matrix binding peptid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U2020310380A1 (en) * 2019-07-11 2022-02-17 Xiamen Innovax Biotech Co., Ltd. Complex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molecules
CN115925925B (zh) * 2022-08-23 2024-02-06 江苏芯超生物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诱导脐带间充质干细胞分化并生产细胞因子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3391A1 (en) 2002-07-30 2004-02-05 Ye Fang Method and device for protein delivery into cells
US20050043260A1 (en) 2003-04-21 2005-02-24 Baylor College Of Medicine Wnt as a factor for cardiac myogenesis
US20050261181A1 (en) 2004-05-19 2005-11-24 Dianqing Wu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timulation or enhancement of bone formation and the self-renewal of cel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17586D0 (en) * 1998-08-12 1998-10-07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compounds
AU2003300395A1 (en) * 2002-12-24 2004-07-22 Amgen Inc. Wnt-1 inhibitory factor-1 (wif-1) molecules and uses thereof
WO2005084158A2 (en) * 2003-06-20 2005-09-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olypeptide transduction and fusogenic peptid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3391A1 (en) 2002-07-30 2004-02-05 Ye Fang Method and device for protein delivery into cells
US20050043260A1 (en) 2003-04-21 2005-02-24 Baylor College Of Medicine Wnt as a factor for cardiac myogenesis
US20050261181A1 (en) 2004-05-19 2005-11-24 Dianqing Wu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stimulation or enhancement of bone formation and the self-renewal of cell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O조사보고서
논문 20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039A (ko) 2007-06-04
EP1951752A4 (en) 2008-12-31
WO2007064163A1 (en) 2007-06-07
JP2009517080A (ja) 2009-04-30
CN101300270A (zh) 2008-11-05
US20090325866A1 (en) 2009-12-31
EP1951752A1 (en)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4947B1 (ko) 비활성 Wnt 저해 폴리펩티드 및 그 제조방법
US11279743B2 (en) Cell-permeable bone morphogenetic protein (CPBMP) recombinant protein and use thereof
EP2875824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chexia
JP5858285B2 (ja) キャリアペプチドフラグメント及びその利用
KR101841211B1 (ko) 세포 투과성 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전달방법
KR20090045940A (ko) 세포자멸사의 억제를 위한 약학 조성물, 및 이를 전달하는 방법
JP5858283B2 (ja) キャリアペプチドフラグメント及びその利用
CA3040645A1 (en) Peptide-based non-proteinaceous cargo delivery
KR101778244B1 (ko) 세포 투과성 펩티드 및 이를 이용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의 전달방법
US8268590B2 (en) Non-activated polypeptides having a function of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0112977B2 (en) Peptide for inducing multinucleation in cells, and use therefor
EP1863850B1 (en) Non-activated polypeptides having a function of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080038047A (ko) 세포핵에서 세포질로의 gsk3 이동을 억제하는 방법 및물질
KR102501639B1 (ko) 신규한 세포 내 단백질 전달 방법
KR20080044710A (ko) 향상된 세포 투과능 및 조직재생 기능을 가지는 비활성폴리펩티드, 및 그 용도
US20190100562A1 (en) Antiviral peptide and use therefor
US20240092834A1 (en) Inhibition of degranulation of neutrophil cells in covid-19 patients
JP4686780B2 (ja) 細胞死抑制活性強化タンパク質fnkを用いた脱毛の防止
KR20230017713A (ko) 양친매성 세포 투과성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220155205A (ko) 화물분자 수송 도메인 rmad1, 이의 변이체, 재조합 화물분자 및 이를 이용한 화물분자 수송 방법
CN117209612A (zh) 融合蛋白及其应用
Beerens Intercellular spread of the transgene produc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ancer gene thera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