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4234B1 -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4234B1
KR100874234B1 KR1020070098732A KR20070098732A KR100874234B1 KR 100874234 B1 KR100874234 B1 KR 100874234B1 KR 1020070098732 A KR1020070098732 A KR 1020070098732A KR 20070098732 A KR20070098732 A KR 20070098732A KR 100874234 B1 KR100874234 B1 KR 100874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inge cover
door
rib
kimchi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8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4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4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4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커버 조립시 스크류 체결에 의해 힌지커버가 뒤틀려 변형되거나 물류 이동 중 외부 충격에 의해 힌지커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힌지커버 조립시 또는 물류 이동 중 센서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도어 개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김치, 냉장고, 저장고, 도어, 조립

Description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Door Assembly device of kim-chi refrigerator}
본 발명은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커버 조립시 스크류 체결에 의해 힌지커버가 뒤틀려 변형되거나 물류 이동 중 외부 충격에 의해 힌지커버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힌지커버 조립시 또는 물류 이동 중 센서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도어 개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저장고는 김치의 숙성 및 보관등을 하기 위한 김치전용 저장고를 말하는 것으로, 소정 단위로 정해진 김치보관함에 김치를 보관하게 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분해한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도어 조립 장치는 도 어(20)와 힌지 연결되는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되는 힌지장착부(30)와, 상기 힌지장착부(30)에 스크류(70) 체결로 조립되어 상기 힌지장착부(30)를 커버링하는 힌지커버부(4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장착부(30)는 도어(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재(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커버부(40)는 힌지장착부(30)에 스크류(70) 체결로 조립되어 힌지장착부(30)를 커버링하게 된다.
종래 기술은 힌지커버부(40) 조립시 스크류(70)를 체결하게 되면 스크류(70)의 체결력에 의해 힌지커버부(40)가 뒤틀리려 변형되거나 물류 이동 중 외부 충격에 의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센서부재(32)가 고정되지 않아 힌지커버부(40) 조립시 또는 물류 이동 중 유동되어 도어(20)의 개폐에 이상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힌지커버 조립시 스크류 체결에 의해 힌지커버가 뒤틀려 변형되거나 물류 이동 중 외부 충격에 의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커버 조립시 또는 물류 이동 중 센서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도어 개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도어와 힌지 연결되는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힌지장착부와, 상기 힌지장착부에 조립되어 상기 힌지장착부를 커버링하는 힌지커버부와, 상기 힌지장착부와 상기 힌지커버부의 조립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커버부 조립시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힌지커버부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는 리브지지부를 포함하여 구 성되는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은 도어와 힌지 연결되는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힌지장착부와, 상기 힌지장착부에 조립되어 상기 힌지장착부를 커버링하는 힌지커버부와, 상기 힌지장착부와 상기 힌지커버부의 조립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커버부 조립시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힌지커버부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는 리브지지부와, 상기 힌지커버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힌지장착부의 센서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센서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압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리브지지부는 상기 힌지장착부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부재와, 상기 힌지커버부 조립시 상기 리브부재의 양측으로 끼워지도록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힌지커버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보스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보스부재는 상기 리브부재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힌지커버 조립시 스크류 체결에 의해 힌지커버가 뒤틀려 변형되거나 물류 이동 중 외부 충격에 의해 틀어지는 것을 방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커버 조립시 또는 물류 이동 중 센서가 유동되지 않도 록 고정하여 도어 개폐에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분해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조립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는 힌지장착부(130), 힌지커버부(140), 리브지지부(15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힌지장착부(130)는 도어(120)와 힌지 연결되는 본체(110)의 상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센서부재(132)가 구비되어 도어(1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커버부(140)는 힌지장착부(130)에 스크류(170) 체결로 조립되어 힌지장착부(130)를 커버링하게 된다.
상기 리브지지부(150)는 힌지장착부(130)와 힌지커버부(140)의 조립 부위에 형성되어 힌지커버부(140) 조립시 외부 충격에 의한 힌지커버부(140)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리브지지부(150)는 힌지장착부(130)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부재(152)와, 힌지커버부(140) 조립시 리브부재(152)의 양측으로 끼워지도록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힌지커버부(140)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보스부재(154)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부재(152)는 판 형상으로 힌지장착부(130) 내부의 상측부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보스부재(154)는 리브부재(152)의 상하측으로 끼워지도록 힌지커버부(140) 내측의 상측부에 판 형상으로 한 쌍이 돌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리브부재(15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도 좋으며, 지지보스부재(154) 역시 리브부재를 감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리브부재(152)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부재(152)와 지지보스부재(154)는 힌지커버부(140)의 스크류(170) 체결시 스크류(170) 체결력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지지보스부재(154)는 리브부재(152)의 상하측에 끼워짐으로써 힌 지커버부(140)를 힌지장착부(130)에 스크류(170) 체결시 스크류(170)의 체결력에 의해 힌지커버부(140)가 뒤틀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보스부재(154)는 리브부재(152)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재(156)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부재(156)는 한 쌍의 지지보스부재(154)를 서로 연결하여 힌지커버부(140)의 조립을 위한 스크류(170) 체결시 스크류(170)의 체결력에 의해 지지보스부재(154)가 응력을 받아 벌어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20)는 김치냉장고 몸체(110)의 상단에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장착부(130)는 도어(120)의 개폐 여부 감지를 위해 내부에 센서부재(132)를 장착 구비한다.
상기 힌지장착부(130)를 커버링하기 위해 힌지커버부(140)를 힌지장착부(130)에 조립한다.
이때, 상기 힌지커버부(140)는 지지보스부재(154)가 리브부재(152)의 상하측에 끼워지면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커버부(140)에 스크류(170)를 체결하여 힌지장착부(13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힌지커버부(140)는 스크류(170) 체결시 스크류(170) 체결력에 의해 뒤틀림 응력을 받게 된다.
상기 지지보스부재(154)가 리브부재(152)에 지지되어 힌지커버부(140)가 받는 뒤틀림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스크류(170) 체결에 의한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커버부(140)가 외부 충격을 받게 될 때에도 지지보스부재(154)가 리브부재(152)에 지지되어 있어 힌지커버부(140)가 받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힌지장착부(130)에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보스부재(154)는 힌지커버부(140)로부터 응력을 받아 리브부재(152)에 지지될 때 보강부재(156)에 의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분해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조립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는 힌지장착부(230), 힌지커버부(240), 리브지지부(250), 가압지지부재(260)로 크게 구성된다.
먼저, 상기 힌지장착부(230)는 도어(220)와 힌지 연결되는 본체(210)의 상단에 형성되며, 내부에 센서부재(232)가 구비되어 도어(2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커버부(240)는 힌지장착부(230)에 스크류(270) 체결로 조립되어 힌지장착부(230)를 커버링하게 된다.
상기 리브지지부(250)는 힌지장착부(230)와 힌지커버부(240)의 조립 부위에 형성되어 힌지커버부(240) 조립시 외부 충격에 의한 힌지커버부(240)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리브지지부(250)는 힌지장착부(230)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부재(252)와, 힌지커버부(240) 조립시 리브부재(252)의 양측으로 끼워지도록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힌지커버부(240)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보스부재(254)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부재(252)는 판 형상으로 힌지장착부(230) 내부의 상측부에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보스부재(254)는 리브부재(252)의 상하측으로 끼워지도록 힌지커버부(240) 내측의 상측부에 판 형상으로 한 쌍이 돌출 형성된다.
물론, 상기 리브부재(25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도 좋으며, 지지보스부재(254) 역시 리브부재(252)를 감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리브부재(252)에 끼워지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부재(252)와 지지보스부재(254)는 힌지커버부(240)의 스크류(270) 체결시 스크류(270) 체결력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한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지지보스부재(254)는 리브부재(252)의 상하측에 끼워짐으로써 힌지커버부(240)를 힌지장착부(230)에 스크류(270) 체결시 스크류(270)의 체결력에 의해 힌지커버부(240)가 뒤틀려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보스부재(254)는 리브부재(252)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부재(256)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부재(256)는 한 쌍의 지지보스부재(254)를 서로 연결하여 힌지커버부(240)의 조립을 위한 스크류(270) 체결시 스크류(270)의 체결력에 의해 지지보스부재(254)가 응력을 받아 벌어지거나 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재(232)는 힌지장착부(230)의 돌출부재(234)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 및 좌우로의 유동을 방지되지만 전후 방향으로는 유동 가능하여 원위치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상기 가압지지부재(260)는 힌지커버부(240)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힌지커버부(240)를 힌지장착부(230)에 조립시 힌지장착부(230)의 센서부재(232)를 가압하여 센서부재(232)의 유동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20)는 김치냉장고 몸체(210)의 상단에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장착부(230)는 도어(220)의 개폐 여부 감지를 위해 내부에 센서부재(232)를 장착 구비한다.
상기 힌지장착부(230)를 커버링하기 위해 힌지커버부(240)를 힌지장착부(230)에 조립한다.
이때, 상기 힌지커버부(240)는 지지보스부재(254)가 리브부재(252)의 상하측에 끼워지면서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지지부(250)의 조립과 동시에 힌지커버부(240)의 가압지지부재(260)가 힌지장착부(230)의 센서부재(232)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힌지커버부(240)에 스크류(270)를 체결하여 힌지장착부(230)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힌지커버부(240)는 스크류(270) 체결시 스크류(270)의 체결력에 의해 힌지장착부(230)에 밀착되고, 가압지지부재(260)는 센서부재(232)를 더욱 강하게 가압하여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센서부재(232)는 힌지장착부(230)의 돌출부재(234)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 및 좌우로의 유동이 방지되고, 가압지지부재(260)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힌지장착부(230)와 힌지커버부(240) 사이에 고정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가압지지부재(260)가 센서부재(232)를 가압하는 정도를 감안하여 센서부재(232)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커버부(240)는 스크류(270) 체결시 스크류(270)의 체결력에 의해 힌지커버부(240)는 뒤틀림 응력을 받게 된다.
상기 지지보스부재(254)가 리브부재(252)에 지지되어 힌지커버부(240)가 받는 뒤틀림 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스크류(270) 체결에 의한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 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커버부(240)가 외부 충격을 받게 될 때에도 지지보스부재(254)가 리브부재(252)에 지지되어 있어 힌지커버부(240)가 받는 충격을 분산시킴으로써 힌지장착부(230)에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보스부재(254)는 힌지커버부(240)로부터 응력을 받아 리브부재(252)에 지지될 때 보강부재(256)에 의해 벌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분해한 종래 기술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분해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분해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조립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 120 : 도어
130 : 힌지장착부 140 : 힌지커버부
150 : 리브지지부 152 : 리브부재
154 : 지지보스부재 156 : 보강부재
210 : 몸체 220 : 도어
230 : 힌지장착부 240 : 힌지커버부
250 : 리브지지부 252 : 리브부재
254 : 지지보스부재 256 : 보강부재
260 : 가압지지부재

Claims (4)

  1. 삭제
  2. 도어와 힌지 연결되는 본체의 상단에 형성되는 힌지장착부와;
    상기 힌지장착부에 조립되어 상기 힌지장착부를 커버링하는 힌지커버부와;
    상기 힌지장착부와 상기 힌지커버부의 조립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커버부 조립시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힌지커버부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하는 리브지지부와;
    상기 힌지커버부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상기 힌지장착부의 센서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센서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가압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지지부는 상기 힌지장착부에 돌출 형성되는 리브부재와;
    상기 힌지커버부 조립시 상기 리브부재의 양측으로 끼워지도록 상기 힌지커버부의 내측에 한 쌍으로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상기 힌지커버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지지보스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보스부재는 상기 리브부재에 의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KR1020070098732A 2007-10-01 2007-10-01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KR100874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732A KR100874234B1 (ko) 2007-10-01 2007-10-01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8732A KR100874234B1 (ko) 2007-10-01 2007-10-01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4234B1 true KR100874234B1 (ko) 2008-12-16

Family

ID=40372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732A KR100874234B1 (ko) 2007-10-01 2007-10-01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42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96Y1 (ko) * 2002-05-28 2002-08-13 김익홍 김치냉장고의 저장고도어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96Y1 (ko) * 2002-05-28 2002-08-13 김익홍 김치냉장고의 저장고도어 힌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739B1 (ko) 가구힌지용 도어완충기의 고정 장치
EP3031338A1 (en) Electronic cigarette case
US20090070959A1 (en) Pivot hinge assembly
FR2895047A1 (fr) Ressort lame notamment pour appareil electromenager du type table de cuisson
US20160230428A1 (en) Inside door handle assembly for vehicle
KR100874234B1 (ko) 김치냉장고의 도어 조립 장치
US10215473B2 (en) Refrigerator
US8074475B2 (en) Heater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WO2008020682A1 (en) Door hinge device for absorbing the closing impact of furniture doors
JP6252012B2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EP1914480A1 (en) Heating cooker
KR20080001249A (ko) 냉장고용 도어
US20100171324A1 (en) Door handle for the actuation of a door of an automobile from the inside
ITMI971288A1 (it) Cerniera per sportelli di forni per cucine elettriche a gas a microonde o simili
JP4727685B2 (ja) 電気機器の開閉構造
KR102132485B1 (ko) 조리기기
CN209826362U (zh) 电烤箱门体结构
WO2018004760A1 (en) A tool-less hinge mechanism
KR101862063B1 (ko) 도어힌지장치의 클램핑장치
KR101817247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브래킷
CN107436403A (zh) 压合装置
GB2410766A (en) Hinge mounting unit for door
JP2010065479A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の扉取付構造
KR101857766B1 (ko) 전기밥솥의 힌지 브라켓
CN216576317U (zh) 真空焊接工装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