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993B1 -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993B1
KR100873993B1 KR1020060127323A KR20060127323A KR100873993B1 KR 100873993 B1 KR100873993 B1 KR 100873993B1 KR 1020060127323 A KR1020060127323 A KR 1020060127323A KR 20060127323 A KR20060127323 A KR 20060127323A KR 100873993 B1 KR100873993 B1 KR 100873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guide van
foreign matter
hairs
combustion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774A (ko
Inventor
조남호
Original Assignee
조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호 filed Critical 조남호
Priority to KR102006012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993B1/ko
Publication of KR2008005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3/00Removing solid residues from passages or chambers beyond the fire, e.g. from flues by soot blowers
    • F23J3/02Cleaning furnace tubes; Cleaning flues or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03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for supplying chemicals to fumes, e.g. using injec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20Sulfur; Compound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 및 대용량 연소가스 배출용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력 발전소 및 대용량 연소가스 배출장치를 운용하는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배출용 배풍로인 덕트에 먼지 및 이물질이 침적 또는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보일러(1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덕트(13)를 통하여 배출되며 집진기(14)에서 집진한 후 다음 과정으로 공급하며, 덕트(13)의 내부에 가이드 밴(15)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밴(15)의 전방에 설치한 기둥(20)에 가이드 밴(15)을 향하여 경사지게 날개(21)를 설치하고, 상기 날개(21)에 다수의 털이개(30)를 설치하여 풍속으로 털이개(30)가 가이드 밴(15)에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전소, 연소가스, 배출장치, 덕트, 털이개

Description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A foreingn element prevention device in the duct}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덕트 내 설치상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에 대한 설치상태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날개에 털이개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4 의 (A), (B) 는 본 발명의 털이개에 대한 정면도
도 5 의 (A), (B) 는 본 발명의 털이개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일러 11 : 송풍횐
12 : 분사기 13 : 덕트
14 : 집진기 20 : 기둥
21 : 날개 22 : 고리
30, 30' : 털이개 31 : 절개부
32 : 박음질부 33 : 링
본 발명은 발전소 및 대용량 연소가스 배출용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력 발전소 및 대용량 연소가스 배출장치를 운용하는 설비로부터 발생하는 배출용 배풍로인 덕트에 먼지 및 이물질이 침적 또는 침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력 발전소는 운전중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해서 보일러(10)에 송풍횐(11)을 설치하고 후단에 다수의 덕트(Duct, 13)를 통하여 전기 집진기(14)로 보내어 분진을 제거하고 다시 탈황설비 등을 거쳐서 연도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덕트(13)의 한 부분에는 가이드 밴(15)을 설치하여 배풍이 덕트의 전체 면에 골고루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지만, 상기 가이드 밴(15)에 연소가스에 포함된 플라이애쉬(Fly Ash)등의 퇴적 및 침착이 발생하여 발전설비의 정상적인 운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밴의 전반부에 설치한 분사기(12)를 통하여 물 100mℓ에 중탄산나트륨 20g을 혼합하여 안개분사를 시켜 집진기에서 이물질의 집진, 특히 SO2 가 스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다.
그러나 물과 중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안개분사시켜 습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집진성능을 향상시켜 대기중에 배출하는 SO2의 오염원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안개분사 후 물은 덕트의 내부에서 수증기로 산화하지만 중탄산나트륨은 가이드 밴에 그대로 달라붙어서 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 중탄산나트륨은 보일러를 4∼5일 가동할 경우 보일러의 가동을 멈출 만큼 가이드 밴에 달라붙는 침착 현상으로 인해 정상적인 운전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는 결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가이드 밴에 달라붙은 중탄산나트륨은 잘 분리되지 않아 제거를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소요하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덕트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운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연소배가스에 포함된 플라이애쉬 등의 퇴적 및 침착으로부터 덕트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가이드 밴의 전방에 경사지게 설치한 날개의 한 부분에 길이가 서로 다른 털이개를 설치하여 연소가스의 배출로 인한 공기 유속에 의해 털이개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가이드 밴과 접촉하여 가이드 밴에 있는 이물질을 계속 분리하 여 이물질의 침적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전소 및 대용량의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보일러(10)의 전방에 송풍횐(11)이 설치되고 이 송풍횐(11)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덕트(13)가 연결되어 보일러(1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출한다.
상기 덕트(13)의 한 부분에는 배기가스가 덕트(13)의 전체 면에 골고루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이드 밴(15)을 설치하고, 덕트(13)의 선단에는 집진기(14)를 설치하여 분진을 제거하며, 다시 탈황설비 등을 거쳐서 연도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 밴(15)의 전방에는 필요한 경우 SO2 가스의 제거를 위해 분사기(12)를 설치하고 이 분사기(12)에서 물과 중탄산나트륨을 혼합하여 안개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밴(15)의 전방에는 기둥(20)을 세우고, 이 기둥(2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날개(21)를 설치한다.
상기 날개(21)는 가이드 밴(15)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도록 하여 필요한 경우 경사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 날개(21)는 얇은 판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21)의 한쪽 선단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고리(22)를 설치하여 털이개(30, 30')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고리(22)에 연결하는 털이개(30, 30')는 그 길이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 재질, 가죽 재질, 고무 재질, 석면 재질 등이 가능하고, 얇게 형성하여 가이드 밴(15)의 한쪽 면에 접촉되면서 이물질이 달라붙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 링(33)에 박음질부(32)와 같이 박음질을 하거나 부착하는 방법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털이개(30, 30')는 필요한 경우 일부를 더 얇게 절개한 절개부(31)를 형성하여 가이드 밴(15)에 접촉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보일러(10)에 연료를 공급하여 연소할 때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송풍횐(11)을 통하여 다수의 덕트(13)로 공급하고, 덕트(13)를 통과한 연소가스는 집진기(14)에서 분진을 제거하며, 다시 탈황설비 등을 거쳐서 연도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연소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가스가 제거되어 허용 기준치 이하로 연도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덕트(13)에 배출하는 연소가스는 가이드 밴(15)에 의하여 덕트(13)의 전체 면에 바람이 배출될 수 있도록 골고루 분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가이드 밴(15)에 각종 이물질이 달라붙어 비정상적인 운전 조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게 되며, 최악의 경우 보일러의 운전이 정지되므로 대형 발전소 가동을 중지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연소가스에 포함된 SO2 가스의 허용 기준치가 엄격하게 적용되므로 이를 허용 기준치 이하로 낮추기 위하여 분사기(12)에서 물 100mℓ에 중탄산나트륨 20g을 혼합하여 안개분사를 시키게 된다.
분사기(12)에서 물과 중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안개분사시키게 되면 덕트(13)의 내부 온도가 보일러(10)에 따라 다르겠지만 화력 발전소의 경우 약 200℃ 정도가 되므로 물은 수증기로 변화되어 이물질에 수분을 가하면서 배출되지만 중탄산나트륨은 배출가스에 포함된 SO2 가스와 반응하면서 허용 기준치 이하로 낮추게 되며 가이드 밴(15)의 한쪽 측면에 달라붙게 된다.
그러나 가이드 밴(15)의 전방에 설치한 기둥(20)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날개(21)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이 날개(21)의 선단에 설치한 고리(22)에 털이개(30, 30')의 링(33)을 걸어 설치하였으므로 덕트(13) 내부에서의 풍속(약 20m 이상)에 의해 털이개(30, 30')가 날리면서 가이드 밴(15)의 전체 면에 골고루 충돌하거나 털어주는 역할에 의하여 중탄산나트륨이 가이드 밴(15)에 달라붙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어 집진기(14)에서 집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털이개(30, 30')는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며, 기둥(20)에서 경사지게 설치되어 날개(21)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밴(15)의 전체 면을 털어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날개(21)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하여 풍속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으며, 덕트(13)의 내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21)의 선단에 설치한 고리(22)에 털이개(30, 30')의 링(33)을 걸어 설치할 수 있으므로 털이개(30, 30')가 손상되는 경우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날개(22)를 얇은 판 형태로 형성하며, 금속이나 견고한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하되, 풍속의 저항을 받지 않도록 하고, 덕트(13) 내부의 온도와 달라붙는 접착물의 형태 또는 물질에 따라서 날개(21)의 개수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덕트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여 정상적인 운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연소한 배기가스에 포함된 플라이애쉬나 물과 혼합하여 분무하는 중탄산나트륨 등의 퇴적 및 침착으로부터 덕트를 건전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 밴의 전방에 경사지게 설치한 날개의 한 부분에 길이가 서로 다른 털이개를 설치하여 연소가스의 배출로 인한 공기 유속에 의해 털이개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가이드 밴과 접촉하여 가이드 밴에 달라붙으려 하는 이물질을 계속 분리하여 이물질의 침적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고 털이개의 길이를 조절하여 가이드 밴의 전체 면을 풍속에 의해 털어주어 가이드 밴의 전체 면에서 이물질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털이개를 링에 연결하고 날개의 선단에 고리를 설치하여 털이개가 손상되는 경우 간편하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간단한 시공과 저렴한 비용을 화력 발전소 등 장시간 운전의 신뢰도를 보장하여야 하는 중요한 시설물의 대용량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덕트의 막힘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여 이로 인한 보수비용과 설비 가동중단 등의 사태를 미리 방지함으로써 국가 기간산업의 정지를 방지하고 그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4)

  1. 보일러(1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덕트(13)를 통하여 배출되며 집진기(14)에서 집진한 후 다음 과정으로 공급하며, 덕트(13)의 내부에 가이드 밴(15)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밴(15)의 전방에 설치한 기둥(20)에 가이드 밴(15)을 향하여 경사지게 날개(21)를 설치하고, 상기 날개(21)에 다수의 털이개(30)를 설치하여 풍속으로 털이개(30)가 가이드 밴(15)에 이물질이 달라붙지 않도록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날개(21)는 경사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며, 한 부분에 다수의 고리(22)를 설치하여 털이개(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털이개(30)는 링(33)에 연결되어 기둥(20)에 설치한 날개(21)의 고리(22)에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털이개(30)는 여러 개로 얇게 절개부(31)를 절단하여 가이드 밴(15)과 접촉하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KR1020060127323A 2006-12-13 2006-12-13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KR10087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23A KR100873993B1 (ko) 2006-12-13 2006-12-13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23A KR100873993B1 (ko) 2006-12-13 2006-12-13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774A KR20080054774A (ko) 2008-06-19
KR100873993B1 true KR100873993B1 (ko) 2008-12-17

Family

ID=3980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323A KR100873993B1 (ko) 2006-12-13 2006-12-13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2120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Zosen Corp 煙 突
JPH10165734A (ja) * 1996-12-16 1998-06-23 Hitachi Ltd 灰粒子の捕集装置
JP2002210315A (ja) * 2001-01-23 2002-07-30 Kurimoto Ltd 飛灰除去装置
JP2006153390A (ja) * 2004-11-30 2006-06-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排ガス流通路内壁面へのダスト付着抑制兼付着ダスト払落し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2120A (ja) * 1996-04-26 1997-11-11 Hitachi Zosen Corp 煙 突
JPH10165734A (ja) * 1996-12-16 1998-06-23 Hitachi Ltd 灰粒子の捕集装置
JP2002210315A (ja) * 2001-01-23 2002-07-30 Kurimoto Ltd 飛灰除去装置
JP2006153390A (ja) * 2004-11-30 2006-06-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排ガス流通路内壁面へのダスト付着抑制兼付着ダスト払落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774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7178B2 (en) Gas turbine system
US20080098891A1 (en) Turbine inlet air treatment apparatus
CN105668832B (zh) 一种脱硫废水处理系统及方法
US20080098890A1 (en) Inlet air chilling and filt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gas turbine
BRPI0614344A2 (pt) método para remover so2 de uma corrente de gás de combustão compreendendo so2
CN101804299A (zh) 干式脱硫喷雾增湿装置及喷雾增湿方法
KR100873993B1 (ko) 덕트 내 이물질 침적 방지장치
CN204996310U (zh) 一种焦炉烟道气脱硫脱硝联合净化装置
KR20110076628A (ko) 백연제거장치
CN104190219A (zh) 湿法脱硫装置与半干法脱硫装置串联组合的脱硫器
KR102291374B1 (ko) 소형으로 제작되어지는 폐비닐 소각 및 연소가스 정화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 비닐 소각 및 연소가스 정화처리 방법
CN201157744Y (zh) 涡旋式增湿预除尘装置
CN211513757U (zh) 废气处理器
CN207688638U (zh) 一种用于隧道窑的喷淋系统
CN101249352A (zh) 用于管道中的离心式除雾器
CN215505946U (zh) 一种具有自动清堵功能的转轮式除尘装置
CN204996333U (zh) 一种烟气脱硫脱硝除尘系统
CN211216169U (zh) 一种旋转烟气半干法脱硫装置
SU1232820A1 (ru) Способ проветривани тупиковой выработки
CN2654197Y (zh) 气旋雾化脱硫除尘器
TWI787941B (zh) 廢氣淨化系統
CN2739495Y (zh) 组合型脱硫除雾器
CN211753535U (zh) 一种用于湿法脱硫的除烟除雾系统
CN220558906U (zh) 一种分级处理的高硫烟气湿法脱硫装置
US11452966B2 (en) Industrial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