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162B1 -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162B1
KR100873162B1 KR1020070061788A KR20070061788A KR100873162B1 KR 100873162 B1 KR100873162 B1 KR 100873162B1 KR 1020070061788 A KR1020070061788 A KR 1020070061788A KR 20070061788 A KR20070061788 A KR 20070061788A KR 100873162 B1 KR100873162 B1 KR 100873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ompound
compressed
transmission line
hol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준
복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이병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이병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Priority to KR102007006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1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12Special features of strain ins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2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Supply controls therefor
    • B05C17/003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with feed system for supplying material from an external source; Supply controls therefor with means for filling or refilling the hand tool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08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cap-and-bo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10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intermediate lin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4Insulators containing liquid, e.g. oi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콤파운드가 내부에 수용되며 압축인류크람프의 구멍을 통해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로 콤파운드를 가압으로 주입하는 주입기; 및 주입기가 구멍을 통해 콤파운드를 주입할 시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홀딩하면서 주입기가 압축인류크람프에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주입기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홀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콤파운드를 균일하게 주입하여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이물질의 누적, 전력선을 타고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고임, 및 온도변화에 따른 습기 발생 등의 현상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절기에도 물기나 습기가 얼어서 발생하는 압축인류크람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강클램프와 전력선의 강심의 산화를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이로 인한 과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현상으로 단선, 정전 및 화재 등과 같은 심각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압축인류크람프를 교체하는 작업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가공송전, 선로, 압축인류크람프, 콤파운드, 충진장치

Description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Apparatus for filling compound in clamp for aerial transmission lin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압축인류크람프의 단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압축인류크람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의 접속을 위한 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콤파운드 충진장치 2: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주입구멍
10: 주입기 20: 본체
21: 케이스 22: 케이스 커버
23: 주입공 24,25: 격벽
26: 고정손잡이 27: 유로
28: 케이스 커버의 면 29: 노즐
30: 저장통 31: 저장공간
32: 제1통공 33: 제2통공
40: 로드 41: 가압판
42,46: 탄성부재 43,44: 지지판
45: 파지구 50: 가동손잡이
60: 링크조립체 61: 제1링크
62: 제2링크 63: 캠
64,65,66: 힌지축 67: 메인 힌지축
68: 제2링크의 지지판 69: 캠의 스토퍼
70: 홀더 71: 제1홀더부재
72: 제1홀더부재의 면 73: 제1홀더부재의 후크
74: 제2홀더부재 75: 제2홀더부재의 후크
76,77: 힌지축 80: 돌기
81: 가이드볼트 82: 케이스의 가이드홈
83: 중심축 84: 회전용 마디
본 발명은 콤파운드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콤파운드를 충진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송전선로를 시공할 경우, 지지물(철탑)과 전력선의 절연물인 애자장치와 연결하는 장치로서 송전선로의 인장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송전선로의 선단에 다수의 압축인류크람프가 설치되는 바, 이 압축인류크람프는 송전선의 선단을 지지하는 송전선로의 시공시 필수적인 장치이다.
즉, 압축인류크람프의 설치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소 철탑(101)에서 송전선(102)의 카테리나각이 부각인 전선의 단말을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압축인류크람프(103)가 고정설치되고,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하부에는 점퍼선(104)을 송전선(102)과 연결하여 전기가 통하도록 하는 점퍼 터미널(105)이 접속된 구조이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200'은 애자장치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송전선(102)에 설치되는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종래구 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102)의 강심이 삽입되어 압축고정될 수 있도록 된 강심 삽입부(106)와 이 강심 삽입부(106)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107) 및 이 나사부(107)와 일정거리를 두고 일측 선단에 형성된 연결용 고리(108)로 이루어진 강크람프(109)와, 이 강크람프(109)의 외측에 압축고정됨과 더불어 송전선(102)의 일부를 감싼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파이프 몸체(11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 일측에는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일측에 점퍼선(104)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브라켓트(110a)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압축인류크람프(103)를 이용하여 송전선(102)의 강심을 고정하게 되는바, 이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크람프(109)의 강심 삽입부(106)에 송전선(102)의 강심(102a)을 삽입시키고, 강심 삽입부(106)를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내부의 강심(102a)을 고정시키며, 이 상태에서 강심(102a)이 연결된 강크람프(109)를 파이프 몸체(110)에 삽입고정시키고, 파이프 몸체(110)를 압축하여 강크람프(109)를 고정시키되, 강 클램프(109)의 나사부쪽을 압축함과 더불어 강심 삽입부(106)는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송전선(102)의 연결부를 길이방향으로 압축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압축인류크람프(103)를 이용하여 송전선(102)의 강심을 고정하는 작업을 할 때, 상기 강심(102a)이 연결된 강크람프(109)를 파이프 몸체(110)에 삽입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강심(102a)이 연결된 강크람프(109)의 외주면에 작업자가 손으로 콤파운드를 찍어서 바르거나 도포하여 강크람프(109)를 파이 프 몸체(110)에 삽입고정시켰을 때 파이프 몸체(110) 내부에 콤파운드가 충진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송전선로의 시공을 위해 설치되는 압축인류크람프(103)는 여러 가지 이유에 의해 자주 교체되어야 하는 바, 그 대표적인 이유로는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의 내부에 콤파운드가 균일하게 충진되지 않아서 파이프 몸체(110)가 동파되거나 혹은 과열로 인해 용융되는 것이다.
즉, 상기 압축인류크람프(103)의 강클램프(109)와 파이프 몸체(110) 사이에는 압축을 하지 않는 비압축 부위가 여러 군데 있으며, 여기에 상기한 언급한 콤파운드 작업으로 인해 콤파운드가 압축인류크람프(103)의 내부에 주입되긴 하지만, 내부에 콤파운드가 균일하게 채워지지 못하기 때문에 상당한 체적의 공극이 내부에 형성되고, 이러한 공극에 이물질의 누적, 전력선을 타고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고임, 및 온도변화에 따른 습기 발생으로 인해 동절기에는 물기나 습기가 얼어 압축인류크람프(103)를 동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강클램프(109)와 전력선의 강심이 산화되어 과열이 발생하게 되므로 가공송전선로에 단선, 정전 및 화재 등과 같은 심각한 손실을 초래하였다.
상기의 이유로 인해 많은 비용과 노력을 부담하면서도 압축인류크람프(103)를 교체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축인류크 람프의 내부에 콤파운드를 균일하게 주입하여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이물질의 누적, 전력선을 타고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고임, 및 온도변화에 따른 습기 발생 등의 현상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강클램프와 전력선의 강심의 산화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에 콤파운드를 충진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콤파운드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해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로 상기 콤파운드를 가압으로 주입하는 주입기; 및 상기 주입기가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콤파운드를 주입할 시,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홀딩하면서 상기 주입기가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에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상기 주입기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주입기는, 주입공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콤파운드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소통된 제1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주입공과 대응하는 제2통공이 형성된 저장통과,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상기 저장통에 수용된 콤파운드를 상기 제2통공으로 가압하도 록 적어도 하나의 가압판이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로드와 상호 연동하는 가동손잡이 및 링크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통, 로드, 가동손잡이, 및 링크조립체를 내장하며 상기 가동손잡이와 더불어 파지가 가능한 고정손잡이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주입공을 통해 콤파운드를 유출시키도록 상기 저장통의 제2통공으로부터 유출된 콤파운드를 안내하는 원추형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저장통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 커버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가이드홈의 범위 내에서만 상기 케이스 커버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에서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와 마주하는 면은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입공에는 상기 구멍 내부로 인입이 가능한 원추형의 노즐이 더 구비된다.
상기 로드는,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을 향해 일측이 탄력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로드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 또는 이완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가동손잡이와 연동하도록 힌지축으로 결합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연동하도록 힌지축으로 결합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이동반경이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지지되도록 지지판을 갖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연동하도록 힌지축으로 결합되되, 메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하면서 로드의 지지판과 접촉 또는 이격하여 상기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회동반경이 제한되도록 본체 내부에 형성된 돌기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스토퍼를 갖는 캠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주입기의 외주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하여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홀더부재와, 상기 제1홀더부재와 반대하는 상기 주입기의 외주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홀더부재가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하여 상기 제1홀더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홀더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홀더부재 및 제2홀더부재의 상호결합 부위는 후크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홀더부재와 제2홀더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용 마디를 가진다.
상기 제1홀더부재의 힌지축 및 상기 제2홀더부재의 힌지축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홀더부재에서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와 마주하는 면은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의 접속을 위한 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전선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1)는, 주입기(10) 및 적어도 하나의 홀더(7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인류크람프(103)는 파이프 몸체(110) 및 강크람프(109) 등을 포함하며, 여기서 특히 파이프 몸체(1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도 5 내지 도 9에서 도면부호 '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종래기술에서 특별히 설명하진 않았으나 통상의 압축인류크람프(103)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주입기(10)는 콤파운드가 내부에 수용되며, 압축인류크람프(103)에 형성된 구멍(2)을 통해 압축인류크람프(103)의 내부로 콤파운드를 가압으로 주입한 다.
실시예에서, 주입기(10)는 본체(20), 저장통(30), 로드(40), 가동손잡이(50), 및 링크조립체(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주입공(23)을 가지며, 케이스(21) 및 케이스 커버(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케이스(21)는 하기한 저장통(30), 로드(40), 가동손잡이(50), 및 링크조립체(60)를 내부에 내장한다. 그리고 케이스(21)의 하부에는 가동손잡이(50)와 더불어 파지가 가능한 고정손잡이(26)를 가진다.
이러한 케이스(21)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총 형상을 가지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케이스(21)의 형상은 기타 다른 형상으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
이 케이스(2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격벽(24,25)이 형성되는데, 이 격벽(24,25)들의 기능 및 역할은 하기한 로드(40) 및 링크조립체(60)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케이스 커버(22)에는 가이드홈(82)이 형성되는데, 이 가이드홈(82)의 역할은 하기한 케이스 커버(2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케이스 커버(22)는 주입공(23)을 통해 콤파운드를 유출시키도록 하기한 저장통(30)의 제2통공(33)으로부터 유출된 콤파운드를 안내하는 원추(원뿔)형의 유로(27)가 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유로(27)는 콤파운드의 효율적인 흐름을 위해 제2통공(33)과 동일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유로(27)는 원추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콤파운드가 보다 효율적으로 주입공(23)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케이스 커버(22)는 케이스(21)로부터 저장통(30)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케이스(21)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케이스 커버(22)는 케이스(2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케이스 커버(22)는 나사방식 또는 걸림방식으로 케이스(2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의 가이드홈(82)에는 케이스 커버(22)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가이드홈(82)의 범위 내에서만 케이스 커버(22)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볼트(8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커버(22)의 외주면에는 가이드볼트(81)가 삽입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소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케이스 커버(22)에서 압축인류크람프(103)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주입공(2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압축인류크람프(103)와 마주하는 면(28)은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케이스 커버(22)에서 압축인류크람프(103)와 마주하는 면(28)의 중앙에 주입공(23)이 형성되며, 압축인류크람프(103)와 마주하는 면(28)은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외주면 형상인 원통과 동일한 곡률을 이룬다.
그리고 케이스 커버(22)의 주입공(23)에는 압축인류크람프(103)의 구멍(2) 내부로 인입이 가능한 원추형의 노즐(29)이 더 구비된다.
이 노즐(29)은 압축인류크람프(103)의 구멍(2)에 인입되어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 내부에 콤파운드를 보다 조밀하고 일정하게 주입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저장통(30)은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저장통(30)은 콤파운드를 수용하는 저장공간(31)을 가짐과 더불어 일측에는 저장공간(31)과 소통된 제1통공(32)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주입공(23)과 대응하는 제2통공(33)이 형성된다.
도면에서, 저장통(30)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통공(32)에 비해 제2통공(33)이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통공(33)은 앞서 언급한 케이스 커버(22)의 유로(27)와 마주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저장통(30)의 형상은 원통형 외에 기타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기 로드(40)는 제1통공(32)을 통해 저장통(30)에 수용된 콤파운드를 제2통공(33)으로 가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압판(41)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로드(40)는 상기 본체(20)에서 케이스(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이 되며, 본체(20)의 외부로 돌출된 끝단에는 작업자가 인위적으로 파지하여 끌어당김으로서 로드(40)가 본체(20)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원판 형태의 파지구(45)를 가진다.
이러한 로드(40)는 탄성부재(42)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43,44)을 더 포함 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본체(20) 내부에 형성된 격벽(24)을 향해 일측이 탄력 지지된다.
도면에서 탄성부재(42)는 로드(40) 상에 끼워진 코일스프링이며, 필요에 따라 판스프링 등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상기 지지판(43)은 로드(4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42)가 수축 또는 이완하도록 탄성부재(42)의 타측을 지지한다.
도면에서, 지지판(43)은 하기한 링크조립체(60)를 구성하는 캠(63)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며, 이 중 탄성부재(42)와 인접한 하나가 상기한 탄성부재(42)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손잡이(50) 및 링크조립체(60)는 로드(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로드(40)와 상호 연동한다.
실시예에서, 가동손잡이(50)는 고정손잡이(26)의 전면에 위치하며, 이 가동손잡이(50)는 힌지축(64)을 통해 링크조립체(60)와 연동된다.
여기서, 링크조립체(60)는 제1링크(61), 제2링크(62), 및 캠(63)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링크(61)는 가동손잡이(50)와 연동하도록 힌지축(64)으로 결합된다.
제2링크(62)는 제1링크(61)와 연동하도록 힌지축(65)으로 결합되되 중심축(83)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제2링크(62)는 그의 이동반경이 제한됨과 동시에 본 체(20) 내부에 형성된 격벽(25)에 탄성부재(46)를 통해 탄력지지되도록 지지판(68)를 가진다.
그리고 캠(63)은 제2링크(62)와 연동하도록 힌지축(66)으로 결합되고, 메인 힌지축(67)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좌우로 회동하면서 로드(40)의 지지판(43,44)과 접촉 또는 이격하여 로드(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캠(63)은 회동반경이 제한되도록 본체(20) 내부에 형성된 돌기(80)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스토퍼(69)를 갖는다.
한편, 홀더(70)는 주입기(10)가 구멍(2)을 통해 콤파운드를 주입할 시,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외주면을 홀딩하면서 주입기(10)가 압축인류크람프(103)에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주입기(1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도면에서, 홀더(70)는 제1홀더부재(71) 및 제2홀더부재(7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홀더부재(71)는 주입기(10)의 외주면 하측에 힌지축(76)으로 결합된다.
이 제1홀더부재(71)는 상기 힌지축(76)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하여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상기 제1홀더부재(71)가 하기한 제2홀더부재(74)에 결합하는 부위는 걸림 가능한 후크(7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홀더부재(71)에서 압축인류크람프(103)와 마주하는 면(72)은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외주면 형태인 원통형과 동일한 곡률을 이룬다.
또한 제1홀더부재(71)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용 마디(84)를 가진다. 이 회전 용 마디(84)는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외주면을 보다 용이하게 감쌀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홀더부재(71)의 힌지축(76)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홀더부재(74)는 제1홀더부재(71)와 반대하는 주입기(10)의 외주면 즉, 본체(20)의 상측에 힌지축(77)으로 결합된다.
이 제2홀더부재(74)는 제1홀더부재(71)가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힌지축(77)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하여 제1홀더부재(71)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2홀더부재(74)가 제1홀더부재(71)에 결합하는 부위는 걸림 가능한 후크(75)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홀더부재(74)의 힌지축(77)은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회전용 마디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103)의 콤파운드 충진장치(1)의 기능 및 동작은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압축인류크람프(103)를 이용하여 송전선(102)의 강심을 고정하는 작업을 할 때, 강심(102a)이 연결된 강크람프(109)를 파이프 몸체(110)에 삽입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한 후에 노즐(29)을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에 형 성된 구멍(2)으로 삽입하고,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에 본체(20)의 케이스 커버(22)를 밀착시킨다.
이후, 홀더(70)의 제1홀더부재(71)로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를 감싸도록 하고, 홀더(70)의 제1홀더부재(71) 및 제2홀더부재(74)는 후크(73,75)를 이용해 상호 고정시킨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동손잡이(50)를 직접 잡아당기면 제1링크(61), 제2링크(62), 및 캠(63)이 순차적으로 연동되어 상기 로드(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로드(40)에 구비된 가압판(41)이 저장통(30)의 저장공간(31)에 수용된 콤파운드를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콤파운드는 저장통(30)의 제2통공(33)을 통해 배출되면서, 케이스 커버(22)의 유로(27)를 따라 주입공(23) 및 노즐(29)을 통해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 내부로 일정량이 주입된다.
이후,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 내부로 콤파운드를 재차 주입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가동손잡이(50)를 놓았다가 다시 가동손잡이(50)를 잡아당기면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 내부로 다시 일정량이 주입된다.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 내부로 콤파운드를 주입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홀더(70)의 제1홀더부재(71) 및 제2홀더부재(74)의 결합상태를 해제하고,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로부터 본체(20)의 케이스 커버(22) 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노즐을 압축인류크람프(103)의 파이프 몸체(110)에 형성된 구멍(2)으로 인출시킨다.
본 발명은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인류크람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해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로 콤파운드를 가압으로 주입하는 주입기와, 주입기가 구멍을 통해 콤파운드를 주입할 시,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홀딩하면서 주입기가 압축인류크람프에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주입기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를 포함하므로, 종래와 달리,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콤파운드를 균일하게 주입하여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에 이물질의 누적, 전력선을 타고 내부로 유입된 빗물의 고임, 및 온도변화에 따른 습기 발생 등의 현상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기 때문에, 동절기에도 물기나 습기가 얼어서 발생하는 압축인류크람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강클램프와 전력선의 강심의 산화를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이로 인한 과열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은 현상으로 단선, 정전 및 화재 등과 같은 심각한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으며, 압축인류크람프를 교체하는 작업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홀더가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홀딩하면서 주입기가 압축인류크람프에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하므로, 작업자가 보다 안정적으로 압축인류크람프에 콤파운드를 주입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에 콤파운드를 충진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콤파운드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통해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내부로 상기 콤파운드를 가압으로 주입하는 주입기; 및
    상기 주입기가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콤파운드를 주입할 시,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홀딩하면서 상기 주입기가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에 유동없이 고정되도록 상기 주입기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는,
    주입공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콤파운드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일측에는 상기 저장공간과 소통된 제1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주입공과 대응하는 제2통공이 형성된 저장통과,
    상기 제1통공을 통해 상기 저장통에 수용된 콤파운드를 상기 제2통공으로 가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압판이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로드와 상호 연동하는 가동손잡이 및 링크조립체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통, 로드, 가동손잡이, 및 링크조립체를 내장하며 상기 가동손잡이와 더불어 파지가 가능한 고정손잡이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주입공을 통해 콤파운드를 유출시키도록 상기 저장통의 제2통공으로부터 유출된 콤파운드를 안내하는 원추형의 유로가 내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로부터 상기 저장통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커버를 포함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커버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이탈을 방지하거나 가이드홈의 범위 내에서만 상기 케이스 커버가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에서 상기 압축 인류크람프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주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와 마주하는 면은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에는 상기 구멍 내부로 인입이 가능한 원추형의 노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을 향해 일측이 탄력 지지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와,
    상기 로드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가 수축 또는 이완하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조립체는,
    상기 가동손잡이와 연동하도록 힌지축으로 결합된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와 연동하도록 힌지축으로 결합되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며, 이동반경이 제한됨과 동시에 상기 본체 내부에 형성된 격벽에 탄성부재를 통해 탄력지지되도록 지지판을 갖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연동하도록 힌지축으로 결합되되, 메인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하면서 로드의 지지판과 접촉 또는 이격하여 상기 로드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며, 회동반경이 제한되도록 본체 내부에 형성된 돌기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스토퍼를 갖는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주입기의 외주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하여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홀더부재와,
    상기 제1홀더부재와 반대하는 상기 주입기의 외주면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1홀더부재가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정반경 회동하여 상기 제1홀더부재를 고정시키는 제2홀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재 및 제2홀더부재의 상호결합 부위는 후크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홀더부재와 제2홀더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용 마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재의 힌지축 및 상기 제2홀더부재의 힌지축 중 어느 하나 또는 전부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재에서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와 마주하는 면은 상기 압축인류크람프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KR1020070061788A 2007-06-22 2007-06-22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KR100873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788A KR100873162B1 (ko) 2007-06-22 2007-06-22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1788A KR100873162B1 (ko) 2007-06-22 2007-06-22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162B1 true KR100873162B1 (ko) 2008-12-10

Family

ID=4037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1788A KR100873162B1 (ko) 2007-06-22 2007-06-22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1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3784A (zh) * 2023-04-03 2023-07-18 石家庄卡西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力绝缘子生产加工辅助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194U (ko) 1973-06-22 1975-03-12
JPH0613339U (ja) * 1992-07-16 1994-02-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鋼心アルミ撚線用圧縮型引留クランプ
KR20050013897A (ko) * 2003-07-29 2005-02-05 석금국 실리콘 건
KR200392534Y1 (ko) 2005-05-10 2005-08-19 이정숙 실리콘 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2194U (ko) 1973-06-22 1975-03-12
JPH0613339U (ja) * 1992-07-16 1994-02-1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鋼心アルミ撚線用圧縮型引留クランプ
KR20050013897A (ko) * 2003-07-29 2005-02-05 석금국 실리콘 건
KR200392534Y1 (ko) 2005-05-10 2005-08-19 이정숙 실리콘 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53784A (zh) * 2023-04-03 2023-07-18 石家庄卡西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电力绝缘子生产加工辅助设备
CN116453784B (zh) * 2023-04-03 2023-11-2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杭州供电公司 一种用于电力绝缘子生产加工辅助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1485B2 (en) Battery clamp device
KR100873162B1 (ko) 가공송전선로용 압축인류크람프의 콤파운드 충진장치
CN102854575B (zh) 光纤连接器
CN212323626U (zh) 一种输电缆的保护装置
CN109449626A (zh) 螺旋跨接连接器
CN107911976B (zh) 一种线缆理线器
KR101403944B1 (ko) 결선이 용이한 공동주택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구
KR100602743B1 (ko) 케이블의 매설관 인입기구
CN106395493B (zh) 一种电力线缆卷绕装置
CN209581195U (zh) 电动自行车安全充电桩
KR20190117646A (ko) 와이어부를 수용 및 배열하기 위한 배열 장치
KR100670692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배전박스의 스프링 밀폐구조
KR102141146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 시스템
WO2018085520A1 (en) Flexible cable splice
KR101348161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플러그
CN203232961U (zh) 咬合式电线接头
CN220791920U (zh) 一种快速连接缆索连接器
CN206908013U (zh) 一种大电流连接结构
CN220420927U (zh) 一种配电母线端子卡头
KR200458684Y1 (ko) 대전류용 단자 체결구조
CN109838039A (zh) 一种高稳定性的钢筋连接结构
CN215377907U (zh) 一种多功能音视频线束
CN219739492U (zh) 一种多用途式手机线束连接结构
CN203652114U (zh) 便携式飞机接地装置
CN217656328U (zh) 强电线缆安装辅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