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802B1 -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 Google Patents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802B1
KR100870802B1 KR1020080057981A KR20080057981A KR100870802B1 KR 100870802 B1 KR100870802 B1 KR 100870802B1 KR 1020080057981 A KR1020080057981 A KR 1020080057981A KR 20080057981 A KR20080057981 A KR 20080057981A KR 100870802 B1 KR100870802 B1 KR 100870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microorganisms
friendly
friendly microorganisms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543A (ko
Inventor
박정극
윤문영
김보미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080059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10Animals;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02Separating microorganisms from their culture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5Alcalige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Conditioners And Soil-Stabilizing Materi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 촉진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1) 경작지로부터 채취한 토양 시료를 해당 경작지의 토양을 함유한 배지에 집적 배양하여 토양 친화 미생물을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복합 배양체를 해당 경작지에 살포하여 살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을 우점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1), 2) 및 3)을 순환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장 촉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장 촉진방법은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각종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어 생산성 증대 및 유기농업을 위한 농업기술의 개선, 오염토양 복원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 촉진방법{METHOD FOR IMPROVING PLANT GROWTH USING THE SELF-CIRCULATION SYSTEM OF SOIL-FAVORABLE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1) 경작지로부터 채취한 토양 시료를 해당 경작지의 토양을 함유한 배지에 집적 배양하여 토양 친화 미생물을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복합 배양체를 해당 경작지에 살포하여 살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을 우점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1), 2) 및 3)을 순환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 촉진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농업에서는 화학비료나 유기합성 농약이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은 작물의 보호수단으로서 매우 유용하며, 작물의 생산 증대, 안정적인 공급, 농업 종사자의 노동력 경감 등에 매우 큰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반복적인 농약의 사용으로 인해 약제내성균의 출현과 지하수의 오염, 토양 침식 등이 야기되고, 야생생물 생식지의 감소 등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인체에도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점차 이들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로 인해 환경보전형 농업의 추진이 요구되고 있고, 농산물의 안전성을 위해 유기농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생물 농약의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생물 농약이란 미생물 자체를 직접 이용하거나 미생물이 함유된 제제를 이용하여 농작물에 해를 주는 곤충, 응애, 선충 등의 해충과 각종 식물병 원균 혹은 잡초를 방제하는데 사용되는 농약이다. 특히, 농작물의 각종 병해만을 제어하여 농작물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대체 수단으로 미생물 자체 또는 미생물이 생산하는 2차 대사산물을 이용하려는 생물학적 방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선진국에서는 미생물 제제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 연구는 1900년대 초부터 많은 종류의 세균과 곰팡이를 이용하여 식물 병원균을 억제하고자 하였고, 지금까지 보고된 미생물 제제의 대부분은 아그로박테리움 속(Agrobacterium sp.), 바실러스 속(Bacillus s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 스트렙토마이세스 속(Streptomyces sp.) 등의 세균과 트리코더마 속(Trichoderma sp.) 등의 곰팡이를 이용한 것들이다.
한편, 최근 친환경 농업에 대한 중요성의 강조로 인해 화학비료와 농약의 사용으로 산성화되고 오염된 토양을 복원할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생물학적 방제 목적뿐만 아니라 토양 개량을 위한 미생물 제제의 수요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토양 개량을 위한 미생물 제제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그 방법 역시 몇몇 종류의 특정 미생물만을 필요한 지역 에 살포하는 것으로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특정 지역마다 미생물의 분포도가 다른 특징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어서 특정 지역의 토양내 미생물의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정 지역의 토양 개량 및 식물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그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토양 친화 미생물만을 분리하여 대량 배양한 후 다시 그 지역에 살포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환경정화 및 식량작물의 증산이라는 두 가지 목적을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토양 친화 미생물의 이용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경작지으로부터 채취한 토양 시료를 해당 경작지의 토양을 함유한 배지에서 집적 배양하여 토양 친화 미생물을 분리하고, 분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제조한 후, 이 복합 배양체를 해당 경작지에 살포하면 환경친화적으로 식물의 성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경친화적인 농작물의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경작지로부터 토양 친화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들의 복합 배양체를 다시 해당 경작지에 살포하여 식물성장을 촉진하는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경작지로부터 채취한 토양 시료를 해당 경작지의 토양을 함유한 배지에 집적 배양하여 토양 친화 미생물을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복합 배양체를 해당 경작지에 살포하여 살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을 우점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1), 2) 및 3)을 순환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 촉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당 경작지로부터 분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이용한 식물성장 촉진방법은 화학비료나 농약과 달리 안전한 친환경 농업을 위한 생물비료기능을 가진 토착 미생물을 사용하므로 토양, 하천, 공기의 환경을 청정화하고, 유기질 자재를 유용하게 이용하여 농산물의 생산성이나 품질 향상에 기 여할 뿐만 아니라 노동력 절감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1) 경작지로부터 채취한 토양 시료를 해당 경작지의 토양을 함유한 배지에 집적 배양하여 토양 친화 미생물을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복합 배양체를 해당 경작지에 살포하여 살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을 우점화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1), 2) 및 3)을 순환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 촉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이란 특정 지역의 토양으로부터 집적 배양방법에 의해 토양 친화 미생물을 분리, 배양한 후 배양된 토양 친화 미생물을 다시 그 해당 지역의 토양에 살포하여 살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을 우점화시키는 방식을 계속적으로 순환시키는 시스템을 의미한다(도 1 참조).
이하에서는 상기 방법을 단계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1)은 해당 경작지로부터 토양 친화 미생물을 분리하는 단계로, 농가로부터 채취한 토양 시료를 생리식염수와 혼합한 후 그 혼합액을 해당 경작지의 토양을 1 내지 10 중량% 함유한 분리용 최소배지에 접종하고 25 내지 30℃에서 15 내지 20일간 집적 배양한다. 이 배양액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얻은 희석액을 분리용 배지에 도말하여 25 내지 30℃에서 5 내지 7일간 배양한 후 이로부터 배지 상에 형 성된 콜로니들을 해당 경작지의 토양 친화 미생물로 분리한다.
상기에 사용될 수 있는 분리용 최소배지는 통상적으로 토양 미생물의 분리에 사용되는 배지는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NH4Cl 0.1 내지 0.2%(w/v), K2HPO4 0.44 내지 0.54%(w/v), NaH2PO4·2H2O 0.4 내지 0.5%(w/v), MgSO4·7H2O 0.05 내지 0.06%(w/v), CaCl2·2H2O 0.0003 내지 0.0004%(w/v), FeSO4·7H2O 0.0001 내지 0.0002%(w/v), MnCl2·4H2O 0.0001 내지 0.0002%(w/v), CoCl2·6H2O 0.00001 내지 0.00002%(w/v), Na2MoO4·2H2O 0.00001 내지 0.00002%(w/v) 및 일수소화 시트르산 0.0004 내지 0.0005%(w/v)를 포함하는 최소배지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분리용 배지는 통상적으로 토양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펩톤 0.4 내지 0.5 중량%, 육즙(Beef extract) 0.2 내지 0.3 중량% 및 한천 1.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분리용 배지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법에 따라 농가 토양으로부터 토양 친화능이 우수한 균주로 PY-01, PY-02 및 PY-03의 세 균주를 분리한다.
상기 균주들은 생리학적 특성 분석에 의해, PY-01은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시킬 수 있고, 글루코오스, 글루코네이트, 카프레이트, 아디페이트, 말레이트, 시트레이트, 페닐-아세테이트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며, 시토크롬 옥시다제 활성을 나타내는 알칼리제네스 자일로소시단스(Alcaligenes xylosoxidans)로 동정되고, PY-02는 젤라틴을 가수분해할 수 있고, 카프레이트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며, 시토크롬 옥시다제 활성을 나타내는 위크셀라 비로사(Weeksella virosa)로 동정되며, PY-03은 에스쿨린을 가수분해할 수 있고, 글루코오스와 말토오스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며, 시토크롬 옥시다제 활성을 나타내는 브레븐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Brevundimonas vesicularis)로 동정된다(표 1 참조).
이로부터 해당 경작지에는 토양 친화 미생물로서 알칼리제네스 자일로소시단스, 위크셀라 비로사 및 브레븐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가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알칼리제니스 자일로소시단스는 기존에 농약을 분해하는 미생물로 보고되었고, 위크셀라 비로사는 소변에서 발견된 미생물로 알려져 있으며, 브레븐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는 일반 슈도모나스 계통의 토양미생물로 알려져 있다.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토양 친화 미생물로 분리된 균주들의 복합 배양체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기 균주들은 토양 친화능이 우수하므로 이들을 배양하여 얻은 복합 배양체는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성분들을 다량으로 함유한다.
상기 복합 배양체는 단계 1)에 따라 해당 경작지로부터 분리된 토양 친화 미생물을 0.4 내지 0.5 중량%의 펩톤과 0.2 내지 0.3 중량%의 육즙을 포함하는 배양 배지에 접종한 후 25 내지 30℃, 150 내지 200 rpm의 조건으로 48 내지 72시간 동안 배양하여 얻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토양 친화 미생물로 분리된 알칼리제네스 자일로소시단스, 위크셀라 비로사 및 브레븐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를 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25℃, 200 rpm의 조건하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복합 배양체를 얻는다.
상기 복합 배양체에는 생체고분자물질, 보호제 및/또는 영양물질이 첨가될 수 있는데, 생체고분자물질, 보호제 및 영양물질은 각각 다른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생체고분자물질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콩가루, 밀가루, 쌀가루 및 찹쌀가루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생체고분자물질은 복합 배양체 내 미생물 균주들이 식물체의 잎에 잘 부착되도록 하는 전착제 및 바인더의 역할뿐만 아니라 햇빛으로부터 미생물을 보호하는 보호제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호제는 미생물을 피막화시켜 자외선으로부터 이들을 보호하고 제제 성분들이 잘 섞이게 하는 유화제로 작용하는데, 콩기름, 옥수수 기름 및 올리브 기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영양물질은 미생물의 영양원으로서 설탕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설탕은 흑설탕, 백설탕 또는 황설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배양체는 상기 토양 친화 미생물의 배양액 자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여러 가지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할 수 있는데, 수화제, 액제 또는 유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배양체는 부형제, 희석제, 규조토, 제올라이트, 화이트카본 등의 광물질 담체, 각종 첨가제 또는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은 상기와 같이 준비된 토양 친화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해당 경작지의 토양에 살포하고 복합 배양체 내 토양 친화 미생물이 토양환경에 적응하여 우 점화되도록 10 내지 15일간 방치한 후 여기에 농작물을 경작하는 단계이다. 이로 인해 해당 경작지에는 토착 미생물 중에서 토양 친화 미생물의 집단(population)이 우점균으로 존재하게 되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생물 복합 배양체는 단위면적(㎡)당 1×107 내지 1×1010 세포/㎖의 농도로 토양에 살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4)는 상기 단계 1) 내지 3)의 과정을 경작지의 토양상태, 기후 환경, 작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1 내지 수회 반복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토양 친화 미생물로 분리된 알칼리제네스 자일로소시단스, 위크셀라 비로사 및 브레븐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의 복합 배양체를 상기 미생물이 분리된 경작지의 토양과 혼합한 후 이 배양토에 심은 강낭콩이 상기 복합 배양체를 혼합하지 않은 배양토에 심은 강낭콩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성장을 보임을 확인한다(도 4 참조). 또한, 화분과 같은 소환경이 아닌 실제 경작지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해당 경작지에서 분리, 배양된 미생물 복합 배양체가 살포된 경작지에서 토마토, 강낭콩, 무의 성장이 월등히 우수함을 확인한다(도 5a 내지 5c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한 바와 같이 경작지의 토양 개량 및 식물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해당 경작지에 분포되어 있는 토양 친화 미생물만을 분리하여 이를 대량으로 배양한 후 다시 그 경작지에만 살포하는 방식의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다면 토양내 생태계 파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토양 복원 및 토양 작물의 생산성 증대로 농산촌민의 소득향상과 수질개선, 농촌환경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토양 친화 미생물의 분리
농가로부터 채취한 토양 시료 1 ㎎에 생리식염수 10 ㎖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혼합액 1 ㎖을 토양을 함유한 분리용 최소배지(토양 2.0%(w/v), NH4Cl 0.1%(w/v), K2HPO4 0.44%(w/v), NaH2PO4 ·2H2O 0.4%(w/v), MgSO4 ·7H2O 0.05%(w/v), CaCl2H2O 0.0003%(w/v), FeSO4 ·7H2O 0.0001%(w/v), MnCl2 ·4H2O 0.0001%(w/v), CoCl6H2O 0.00001%(w/v), Na2MoO4 ·2H2O 0.00001%(w/v) 및 일수소화 시트르산 0.0004%(w/v), pH 7.0) 100 ㎖에 3회 반복하여 접종한 후 25℃에서 15일간 집적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을 생리식염수를 이용하여 1:1000 비율로 희석한 후 희석액 0.1 ㎖을 분리용 배지(펩톤 0.5 중량%, 육즙(Beef extract) 0.3 중량%, 한천 1.5 중량%, pH 7.0)에 도말하여 25℃에서 5일간 배양하였다(도 2). 배지 상에 생성된 콜로니 3종을 분리하였고, 이들을 각각 PY-01, PY-02 및 PY-03으로 명명하였다(도 3a 내지 3c).
< 실시예 2> 토양 친화 미생물의 동정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한 3종의 균주를 그람 염색한 결과, 이들은 모두 그람음성으로 나타났다. 상기 균주들의 생리학적 특성을 API 킷트 20NE(Bio Merieux사, 프랑스)로 분석한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Y-01은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시킬 수 있고, 글루코오스, 글루코네이트, 카프레이트, 아디페이트, 말레이트, 시트레이트, 페닐-아세테이트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으며, 시토크롬 옥시다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PY-02는 젤라틴을 가수분해할 수 있고, 카프레이트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으며, 시토크롬 옥시다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PY-03은 에스쿨린을 가수분해할 수 있고, 글루코오스와 말토오스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하였으며, 시토크롬 옥시다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분석항목 PY-01 PY-02 PY-03
질산염의 아질산염으로의 환원 + - -
인돌 생산성 - - -
글루코오스 산성화 - - -
아르기닌 디하이드롤라제 - - -
유레아제 - - -
에스쿨린 가수분해(β-글루코시다제) - - +
젤라틴 가수분해(프로테아제) - + -
β-갈락토시다제 - - -
글루코오스 동화 + - +
아라비노스 동화 - - -
만노스 동화 - - -
만니톨 동화 - - -
N-아세틸-글루코사민 동화 - - -
말토오스 동화 - - +
글루코네이트 동화 + - -
카프레이트 동화 + + -
아디페이트 동화 + - -
말레이트 동화 + - -
시트레이트 동화 + - -
페닐-아세테이트 동화 + - -
시토크롬 옥시다제 + + +
상기 분석결과로부터, 본 발명에서 토양 친화 미생물로 분리된 PY-01 균주는 "알칼리제네스 자일로소시단소"로, PY-02 균주는 "위크셀라 비로사"로, PY-03 균주는 "브레븐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로 확인되었다.
< 실시예 3> 미생물 복합 배양체의 식물성장 촉진효과 확인-화분 환경
상기 실시예 2에서 동정된 3종의 토양 친화 미생물들을 함께 배양 배지(펩톤 0.5 중량%, 육즙 0.3 중량%) 250 ㎖에 접종하고, 25℃, 200 rpm의 조건하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복합 배양체를 얻었다. 이 복합 배양체를 토양 시료를 채취한 지역의 토양 50%(v/v)를 함유한 배양토(승진비료, 그린파워)에 5%(v/v)의 양으로 접종하여 잘 혼합한 후 7일간 25℃로 유지되는 식물생장능 성장 챔버(Growth Chamber, 대한과학)에서 배양하였다. 이와 같이 미생물이 배양된 배양토와 미생물이 없는 배양토(상토)에 미리 싹을 틔운 강낭콩을 5개씩 심은 후 25℃, 80% 습도, 조도 256으로 유지되는 식물생장능 성장 챔버에서 배양하면서 강낭콩의 성장을 비교하였다.
도 4는 미생물 복합 배양체를 접종하지 않은 배양토와 미생물 복합 배양체를 접종한 배양토에서 강낭콩을 성장시킨 사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접종한 배양토에서 강낭콩의 성장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4> 미생물 복합 배양체의 식물성장 촉진효과 확인-경작지 환경
경기도 일산에 위치한 동국대학교 실험농장의 비닐하우스로부터 채취한 토양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토양 친화 미생물을 2종 분리하였다. 이와 같이 분리, 동정된 2종의 토양 친화 미생물들을 함께 배양배지(펩톤 0.5 중량%, 육즙 0.3 중량%) 250 ㎖에 접종하고, 25℃, 200 rpm의 조건하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복합 배양체를 얻었다. 이 복합 배양체 250 ㎖을 동일한 배양배지 2000 ㎖에 접종한 후, 단지 발효기(jar fermenter)를 이용하여 25℃, 300 rpm에서 3일간 배양하여 대량의 복합 배양체를 얻었다. 이 복합 배양체를 물 100 ℓ에 희석하여 3일간 더 배양한 후 세포 농도를 단위면적(㎡)당 5×109 세포/㎖의 농도로 맞추어 토양 시료를 채취한 지역, 즉 동국대학교 실험농장의 비닐하우스에 살포하였다. 이와 같이 미생물 복합 배양체가 살포된 토양(실험군)과 살포되지 않은 토양(대조군)에 토마토, 강낭콩 및 무를 심어 이들의 성장을 비교하였다(도 5a). 이 실험은 2007년 3월 19일부터 2007년 4월 23일까지 53일간 진행되었으며, 실험기간 내내 비닐하우스의 온도는 25 내지 35℃로 유지되었다.
도 5b5c는 각각 미생물 복합 배양체를 접종하지 않은 경작지와 미생물 복합 배양체를 접종한 경작지에서 토마토, 강낭콩, 무를 성장시킨 사진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으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의 복합 배양체를 접종한 경작지(도 5c)에서 이를 접종하지 않은 경작지(도 5b)에 비하여 토마토, 강낭콩, 무의 성장이 월등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해당 경작지로부터 채취한 토양 시료를 분리용 최소배지에 집적 배양한 결과이고,
도 3a, 3b3c는 각각 본 발명에 따라 토양 시료의 집적 배양 후에 순수하게 분리된 3종의 토양 친화 미생물 PY-01, PY-02 및 PY-03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분리된 토양 친화 미생물 PY-01, PY-02 및 PY-03의 복합 배양체를 해당 경작지의 토양과 혼합한 배양토에서의 강낭콩의 성장과 혼합하지 않은 배양토에서의 강낭콩의 성장을 비교한 사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에 따른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이 실제 경작지 환경에서도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킴을 나타낸 사진이다.

Claims (3)

  1. ⅰ) 식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경작지의 토양 시료를 생리식염수와 혼합하는 단계;
    ⅱ) 상기와 동일한 경작지의 토양 시료를 최소배지에 첨가하여 토양 친화 미생물 분리용 최소배지를 준비하는 단계;
    ⅲ) 상기 단계 ⅱ)에서 준비된 분리용 최소배지에 단계 ⅰ)에서 준비된 토양 시료 혼합액을 접종하는 단계;
    ⅳ) 상기 접종액을 25 내지 30℃에서 15 내지 20일간 집적 배양하는 단계;
    ⅴ) 상기에서 얻은 배양액을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후 희석액을 분리용 배지에 도말하여 25 내지 30℃에서 5 내지 7일간 배양하는 단계; 및
    ⅵ) 배지 상에 형성된 콜로니들을 해당 경작지의 토양 친화 미생물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당 경작지로부터 토양 친화 미생물을 분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최소배지가 NH4Cl 0.1 내지 0.2%(w/v), K2HPO4 0.44 내지 0.54%(w/v), NaH2PO4·2H2O 0.4 내지 0.5%(w/v), MgSO4·7H2O 0.05 내지 0.06%(w/v), CaCl2·2H2O 0.0003 내지 0.0004%(w/v), FeSO4·7H2O 0.0001 내지 0.0002%(w/v), MnCl2·4H2O 0.0001 내지 0.0002%(w/v), CoCl2·6H2O 0.00001 내지 0.00002%(w/v), Na2MoO4·2H2O 0.00001 내지 0.00002%(w/v) 및 일수소화 시트르산 0.00004 내지 0.00005%(w/v)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 배지가 펩톤 0.4 내지 0.5 중량%, 육즙(Beef extract) 0.2 내지 0.3 중량% 및 한천 1.0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80057981A 2006-06-09 2008-06-19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KR100870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2182 2006-06-09
KR20060052182 2006-06-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146A Division KR100849407B1 (ko) 2006-06-09 2007-06-08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543A KR20080059543A (ko) 2008-06-30
KR100870802B1 true KR100870802B1 (ko) 2008-11-27

Family

ID=391430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146A KR100849407B1 (ko) 2006-06-09 2007-06-08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KR1020080057981A KR100870802B1 (ko) 2006-06-09 2008-06-19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146A KR100849407B1 (ko) 2006-06-09 2007-06-08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494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627B1 (ko) * 2013-06-12 2015-01-22 주식회사 에쓰엠아이 토착 미생물을 이용한 인공녹지 관리 방법
KR102579175B1 (ko) * 2021-09-17 2023-09-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046A (ko) * 2002-07-09 2004-01-24 주식회사 엔바이오제네시스 유익한 토양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023B1 (ko) * 1998-12-09 2001-11-30 이재호 작물의병해방제용균주,이를함유하는미생물제제및그용도
KR100347388B1 (ko) * 2000-03-25 2002-08-07 (주)한국바이오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식물기생성 토양선충에 대한포식능을 갖는 미생물 및 이의 배양방법
KR20020057463A (ko) * 2001-01-05 2002-07-11 이병길 식물병 억제 길항균의 선발방법 및 그로부터 선발된 신규미생물
KR100338633B1 (ko) * 2001-02-09 2002-05-30 유한종 변이미생물을 이용한 유기물 및 질소처리 접촉제의제조방법
KR100449567B1 (ko) * 2001-08-23 2004-09-21 주식회사 엔비자인 오염물질 분해효소 발현촉진용 가속영양제의 제조방법
KR20050111368A (ko) * 2004-05-21 2005-11-24 서울화인테크 주식회사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장촉진제 및 그 생장촉진제를이용한 작물의 재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046A (ko) * 2002-07-09 2004-01-24 주식회사 엔바이오제네시스 유익한 토양 미생물을 포함하는 미생물 제제 및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407B1 (ko) 2008-07-31
KR20070118044A (ko) 2007-12-13
KR20080059543A (ko) 200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79253B1 (en) Antagonistic bacteria for preventing and treating panama wilt disease of continuously planted banana and microorganism organic fertilizer thereof
RU2583294C2 (ru) Микробный способ и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RU2583302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хитозан, глюкозамин и аминокислоты,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0487451B1 (ko) 신규 생물살진균제
US20150307408A1 (en) 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liquid fertilizer and processes for agricultural use
CN107189950B (zh) 一种降解除草地膜的菌株gfdz1及菌剂制备方法和应用
US10000427B2 (en) Phosphate solubilizing rhizobacteria bacillus firmus as biofertilizer to increase canola yield
KR102470864B1 (ko) 양파의 생육 촉진 효과 및 가뭄 내성 증진 효과를 갖는 바실러스 알티투디니스(Bacillus altitudinis) H5-9 균주 및 이의 용도
WO1990003734A1 (en) Nematocidal preparations
US5208159A (en) Antibacterial, anti-nematode and/or plant-cell activating composition, and chitinolytic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the same
CN105462881A (zh) 一种用于防治作物黄萎病的多粘类芽孢杆菌及其应用
AU708698B2 (en) Bacteria having nematicidal activity and their agricultural use
KR100769360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에스37-2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비료
KR20160128533A (ko) 인산가용화 활성을 갖는 신규 미생물 엔테로박터 에스피 04-p-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토양미생물 비료
KR101535893B1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션스 cc110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KR100411185B1 (ko) 신균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ag-p(kctc8965p)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KR101832065B1 (ko) 참치 가공 잔재물의 효소 처리 및 발효시킨 아미노산 액상 비료와 이의 제조방법
JP4630627B2 (ja) 植物種子発芽率向上剤
KR100870802B1 (ko)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JPH11332556A (ja) 新規微生物及びそれを用いたコガネムシ科昆虫の防除方法
JP2011184301A (ja) カイガラムシ類防除剤
Bustamam et al.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c Fertilizer Formula of the PGPR and Biocontrol Agents Consortium on the Growth of Leeks and Reduction of Soft Rot Disease
JP2005516599A (ja) 菌の早くて十分な胞子形成のための新規組成物およびそれについての方法
KR20160136261A (ko) 살충 활성을 갖는 신규한 제노랍두스 네마토필라 c2-3 균주 및 이의 이용방법
CN114507096A (zh) 低密度蔬菜有机菌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