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175B1 -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 Google Patents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175B1
KR102579175B1 KR1020210125193A KR20210125193A KR102579175B1 KR 102579175 B1 KR102579175 B1 KR 102579175B1 KR 1020210125193 A KR1020210125193 A KR 1020210125193A KR 20210125193 A KR20210125193 A KR 20210125193A KR 102579175 B1 KR102579175 B1 KR 102579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ips
soil
strain
microbial agent
k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1494A (ko
Inventor
김민기
정원권
임양숙
김종수
남효훈
류정아
권오훈
Original Assignee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상북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경상북도(농업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2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17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1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1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1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30Microbial fungi;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7/00Arthropodicides
    • A01P7/04Insec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Vir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유래의 총채벌레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작물을 식재할 토양에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양으로 살포하는 토양살포 단계와; 작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물에 희석한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양으로 토양에 관주처리하는 관주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총채벌레를 방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Method of controlling Thrips using Beauveria bassiana KNU-101 strain-derived microbial agent}
본 발명은 총채벌레류에 대한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총체벌레에 대한 방제효과가 있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총채벌레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경 작물에 유해한 곤충, 즉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다량 사용하여 오던 화학 살충제는 살충능력의 비특이성으로 인해 익충이나 해충의 기생충과 같은 비목적 미생물도 박멸하고, 화학 살충제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해충의 내성 획득, 인체에의 유해성 등의 단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한편,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는 대표적인 곤충 병원성 진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자가 곤충의 왁스층을 분해하면서 곤충을 탈수시켜 사멸에 이르게 하고 이들의 사체를 자양분 삼아 다음 세대를 이어나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곤충에 대한 경구 및 접촉 독성이 모두 유효하며 다양한 곤충 숙주에 감염이 가능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해충 방제용 진균의 포자 대량 배양에는 주로 분생 포자를 생산하는 고체배양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세균과 달리 곰팡이는 최소 7일 이상의 장기적 배양 기간에도 불구하고 포자 생산량이 충분하지 않아 해충 방제용 진균의 제품화가 지연되고 있는 실정이며, 현재까지 보고된 보베리아 바시아나 균주 역시 포자생능이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산업화를 위해서는 우수한 살충력을 보임과 동시에 대량의 포자를 생산할 수 있는 두 가지 요건을 모두 가지는 진균을 선발하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가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251508호에서는 상기한 요건들을 충족하는 새로운 곤충 병원성 진균인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와 이를 이용한 해충 방제용 미생물 제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새로운 균주는 총채 벌레 치사효과와 현저한 포자생성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균주의 배양물 등으로부터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제조하여, 이를 토양 또는 식물에 처리하여 해충, 특히 오이총채벌레와 꽃노랑총채벌레 등의 총체벌레류에 대한 살충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총채 벌레(Thrips)는 대표적인 토양 해충으로서 어린 잎이나 줄기, 꽃잎 등의 부드러운 조직에 알을 낳으며 기온이 상승하면서부터 출현하기 시작해 줄기와 잎의 표면을 해를 가하고 개화기에는 꽃봉오리를 가해하여 작물의 품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킨다. 피해 작물은 잎을 곧바로 펴지 못하고 기형으로 변형되거나 엽맥이 수축하는 병변을 보인다. 총채 벌레는 오이, 상추, 토마토, 가지, 치커리 등 기주 범위가 넓으며 온도 조건에 따라 세대 기간이 최소 12일에서 최장 26일 정도로 매우 짧고, 번식력이 강하기 때문에 방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총채벌레는 노란색과 흰색을 좋아하므로, 오이, 고추 등의 꽃이 피면 꽃에 달려들어 어린 과일을 가해한다. 따라서 피해받은 과일은 자라면서 기형과가 되거나 과실의 껍질에 회색 또는 갈색의 지저분한 상처 흔적이 많이 남으므로 상품성이 떨어진다.
이들 오이나 고추 등에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총채벌레 종류로는,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Karrny),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등이 있다.
한편, 총채벌레는 성충이 주로 잎 뒷면 엽맥 부위에 산란하므로 부화한 약충은 엽맥을 따라 가해하며 피해부위가 초기에는 백색으로 되나 점차 갈색으로 변색되는데, 심하면 잎 전체가 말라 죽는다. 피해부위를 햇빛에 비추어 보면 백색의 광택이 난다. 열매에 피해를 받으면 피해부위가 갈색으로 변하면서 콜크층이 형성되며, 표면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거칠어진다. 특히 오이에서는 곡과 및 기형과가 많이 생겨 상품가치가 없게 된다.
성충의 수명은 20℃에서 37일, 25℃에서 28일 정도이며, 양성생색과 단성생식을 겸하므로 번식이 빠르고 다발성 지역에서는 각 발육태가 공존한다. 성충은 주로 식물체의 과경, 꽃받침, 엽맥, 엽병, 엽육 등의 조직내에 1개씩 낱개로 산란하며 한 마리 성충이 약 100개를 산란한다. 알 기간은 4-5일 정도로 부화한 유충이 2령을 경과하여 노숙유충이 되면 지면으로 떨어져 땅속에서 2-3㎝ 깊이의 흙속이나 낙엽 밑, 비닐 밑 등에서 제1, 제2 번데기가 된 후 성충이 된다. 1세대를 경과하는데 25℃에서 14-18일 정도 걸리고 11℃이하와 35℃이상에서는 발육을 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총채벌레가 세대간 간격이 짧고, 식물체와 땅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생존하기 때문에,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효과가 있는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사용하더라도 단번에 각 형태로 존재하는 총채벌레를 박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제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총채벌레의 성충은 날아서 이동이 가능하고, 노숙유충과 번데기는 상술한 것과 같이 노숙유충이 지면에 떨어져 2-3㎝ 깊이의 얕은 지표의 흙속에 존재하는데, 방제액을 물에 희석하여 주입할 경우에 지표에 머물지 않고 땅속 깊이 스며들어 버려서 방제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은 오이총체벌레에 대한 살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그 배양물 등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총채벌레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사용하여 총채벌레를 방제하되, 오이 등 작물의 재배기간 내내 총채벌레에 대한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총채벌레류 방제방법은,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총채벌레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총채벌레를 방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물을 식재할 토양에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양으로 살포하는 토양살포 단계와;
작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물에 희석한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양으로 토양에 관주처리하는 관주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양살포 단계 1~10일 전에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 1~3㎏/10a를 토양에 살포하는 보습토양 형성단계를 실시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양살포 단계 또는 관주처리 단계에서 100~500g/10a의 설탕을 상기 미생물 제제와 혼합하여 함께 살포하며,
또한, 상기 토양살포 단계에서 1~3㎏/10a의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을 상기 미생물 제제와 함께 살포하거나, 상기 관주처리 단계에서 상기 미생물 제제의 100~500g/10a의 소듐비스이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sodium bis(2-ethylhexyl) sulfosuccinate) 또는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를 혼합하여 함께 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제방법에 의하면, 세대 주기가 짧고 식물체와 땅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여 방제가 어려운 총채벌레류의 해충을 땅속에서 지속적으로 살충할 수 있기 때문에, 총채벌레류 해충에 대한 높은 방제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작물의 생육 초기에 있어서의 방제방법에 따른 방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작물의 생육 중후기에 있어서의 방제방법에 따른 방제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총채벌레류 방제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총채벌레류 해충의 방제방법에서 사용하는 미생물 제제는,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다.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는 곤충 병원성진균(Entomopathogenic fungi)에 감염되어 사멸한 총채벌레, 총채 벌레가 서식하는 작물 및 토양으로부터 총채 벌레에 대한 살충효과를 가지는 균주를 선발하고 곤충 병원성 진균에 감염되어 죽은 곤충, 및 주변 토양을 채집하여 총채 벌레에 대한 살충 효과를 가지는 균주를 분리하여 총채 벌레에서 우수한 살충 효과를 나타내는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것으로, 총채 벌레에 대한 100%의 치사율을 갖는 곤충 병원성 균주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미생물 제제에는, 상기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 등에 계면활성제, 중량제, 영양제 등의 부가제가 더 첨가될 수도 있으며, 입제, 수화제 또는 캡슐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입제의 경우 표면 활성제, 비활성 담체, 보존제, 습윤제, 공급촉진제, 유인제, 캡슐화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UV 보호제, 완충제 및 흐름제, 저비산 분제, 미분제, 수면전개제로 이루어진 제형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하나 이상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제방법에서 사용하는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유래의 총채벌레 살충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나 성상에 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은 등록특허 제10-2251508호 공보에 기재된 내용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 방제방법은, 상기 총채벌레 살충용의 미생물 제제를 사용하여, 오이나 고추 등에 피해를 주는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 Karrny),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대만총채벌레(Frankliniella intonsa (Trybom)) 등의 총채벌레류를 좀 더 효과적으로 살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련의 방제과정을 제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작물을 식재할 토양에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양으로 살포하는 토양살포 단계와; 작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물에 희석한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양으로 토양에 관주처리하는 관주처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토양살포 단계에서는, 먼저 오이 등의 작물을 식재하기 전에 미리,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미생물 제제를 살포함으로써, 토양중에 존재하는 총재벌레의 노숙유충이나 번데기에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가 접종되어 살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오이 등의 작물은 식재 전에 이랑에 멀칭비닐 등으로 멀칭을 하기 때문에, 토양살포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미생물 제제를 균일하게 살포하기 위해서는 작물을 식재하기 전에 토양에 미생물 제제를 살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토양살포에 의해 50% 이상의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생물 제제의 사용량이 100g/10a 미만에서는 방제효과가 떨어져 충분한 방제효과를 얻기 어렵고 300g/10a이상에서는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때, 100~500g/10a의 설탕을 상기 미생물 제제와 혼합하여 함께 살포하면, 총채벌레에 접종되어 증식하기 전까지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의 영양분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3㎏/10a의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을 미생물 제제와 혼합하여 살포하여 주면, 토양의 습도를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가 증식하기 적합하도록 유지해 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은, 채집된 생알로에를 세절한 다음, 세절된 생알로에를 -20 내지 -28℃의 온도가 유지된 동결 건조실에서 36시간 내지 40시간 동안 동결 건조한 다음 1차 분쇄하여 제조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결 건조 및 1차 분쇄를 포함하는 1차 처리과정을 마친 알로에 분말을 90℃ 내지 95℃의 건조로에 3시간 5시간 투입하여 고온 건조하여 함수율이 3% 내지 5%를 유지하도록 한 다음, 상기 건조된 알로에 분말을 2차 분쇄하여 보다 미립된 입자를 갖는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동결 건조 및 1차 분쇄를 포함하는 1차 처리과정과, 고온 건조 및 2차 분쇄를 포함하는 2차 처리과정을 마친 알로에 복합 건조 분말은, 설탕과 미생물 제제를 혼합하여 관주 살포시 노즐의 막힘 발생이 예방될 뿐 아니라, 생알로에에 존재할 수 있는 균들의 멸균처리가 이룩되고, 또 2차 분쇄를 통한 미립화에 의한 표면적의 증대를 통해 보다 향상된 보습능력이 갖는다.
상기 설탕과 알로에 복합 건조 분말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진다. 이와 같이 설탕과 알로에 분말을 미생물 제제와 함께 사용하여, 방제효과를 각각 5~10% 향상시킬 수 있다.
총채벌레의 번데기는 2-3㎝의 얕은 깊이의 흙속에 존재하게 되는데, 표면은 건조하기 쉬우므로 해충 병원성 진균인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가 증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양살포 단계 1~10일 전에 미리 설탕과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을 혼입한 1~3㎏/10a를 토양에 살포하는 보습 토양층 형성단계를 실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양 살포시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과 설탕을 2:1의 비율로 혼입하여 살포한 다음 멀칭을 실시하면, 상기 토양의 표면에 살포된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과 설탕은 멀칭 내에 잔류된 수분을 흡수하여 토양 표피에서 2cm 내지 3cm 깊이에 보습 토양층을 형성하여서, 추후 관주 살포되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가 증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조성한다.
여기서, 상기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과 혼입하여 토양 살포되는 설탕은,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을 통해 흡수된 수분에 의해 겔상태로 용해되어, 수분을 흡수한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이 토양 표피에서 2cm 내지 3cm 깊이에 보습 토양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멀칭 비닐을 덮기 전에는 쉽게 건조해지기 때문에, 미리 습기를 흡수하여 유지할 수 있으면서 친환경적인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을 살포하면, 토양이 건조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멀칭에 덧씌워진 토양의 습기를 흡수하여 토양 표피에 습도가 높은 보습 토양층을 형성하므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의 손실이 예방될 수 있다.
특히 시험결과, 미생물 제제의 토양 살포 이전에 미리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을 살포하여 총채벌레의 번데기가 포함된 토양을 진균이 증식하기 좋은 상태로 형성하여 둘 수 있어 향상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상태에서 미생물 제제를 토양에 살포하게 되면, 적절한 습도가 형성된 토양에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가 증식하기 쉬운 환경이 되어 토양중에 있는 총채벌레의 노숙유충이나 번데기에 대한 살충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작물의 재배기간 내내 향상된 방제효과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사전 보습토양형성단계를 거침으로써, 방제효과는 10% 이상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이 미생물 제제가 살포된 토양의 이랑에 멀칭을 한 후에 오이과 작물 등을 식재하게 된다. 이 과정은 통상의 작물 재배의 방법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물이 식재된 이후에 재배기간에 추가적인 미생물 제제의 살포가 이루어지는 것이, 땅속과 지상의 식물체에 번갈아 가면서 존재하는 총채벌레의 방제를 위해서 필요하다.
상기 토양살포단계를 통해 토양 내에 존재하던 총채벌레의 노숙유충과 번데기에 대한 방제가 이루어질 수 있지만, 외부에서 유래하는 총채벌레가 불과 14-18일 정도의 주기로 세대가 바뀌면서 번식하고, 토양살포에 의해 토양에 공급된 미생물 제제가 작물의 재배기간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방제효과를 발휘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땅에 떨어진 노숙유충과 번데기에 대한 추가방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멀칭 및 식재 단계 이후에 1회 이상의 관주처리단계를 실시한다.
상기 관주처리단계에서는 작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물에 희석한 상기 미생물 제제를 100~300g/10a의 양으로 토양에 설치된 수로관 등을 통해 공급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토양살포 단계 또는 관주처리 단계에서 100~500g/10a의 소듐비스이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sodium bis(2-ethylhexyl) sulfosuccinate) 또는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를 상기 미생물 제제와 함께 살포하여 미생물 제제의 방제효능을 상승시킨다.
상기 소듐비스이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sodium bis(2-ethylhexyl) sulfosuccinate) 및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는 토양의 보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담황색의 분말상으로 되어 있으며, 물에 대한 용해도가 좋기 때문에 특히 관주처리시 미생물 제제에 첨가하여 함께 처리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1 비교예 1~3 : 처리방법에 따른 방제효과
(1)생육초기(1~4월)의 방제효과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제조된 미생물 제제를 사용하여, 아래 표 1과 같이 처리방법을 달리하여,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효과를 시험하였다.
사용한 미생물 제제는 토양처리의 경우, 유효성분 함량 5%의 입제를 사용하였고, 관주처리의 경우에는 유효성분 함량 50%인 과립제를 사용하였다.
방제효과는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미처리구인 비교예 1과 대비하여 총채벌레의 발생률을 조사하여 표 1에 나타내고, 실제 트랩당 포획된 총채벌레의 개체수를 시간대별 변화를 도 1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구분 처리방법 처리시기 처리량 방제가(%)
비교예 1 무처리 - - 0
비교예 2 토양살포 1월 3㎏/10a 50
비교예 3 토양살포(농약)+관주처리 1월+3월 3㎏/10a+300g/10a 74.2
실시예 1 토양살포+관주처리 1월+3월 3㎏/10a+300g/10a 71.7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토양살포와 관주처리를 병행한 실시예 1의 경우, 70%가 넘는 방제가를 나타내어 토양살포만 한 비교예 2의 경우보다 현저히 향상된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화학농약을 토양살포한 비교예 3과 비슷한 수치이다.
따라서, 토양에 농약을 살포하지 않고 미생물 제제만 살포하더라도, 추가적인 관주처리를 병행함으로써 높은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 생육중후기(5~7월)의 방제효과
상기 표 1에 기재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처리에 더하여, 하기 표 2에 기재된 것과 같은 추가적인 관주처리와 지상부에서의 작물에 대한 농약 살포를 추가하여 생육 중후기에 있어서의 총채벌레에 대한 방제효과를 시험하였다. 추가적인 관주처리나 농약살포 이전의 처리내용은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사용한 미생물 제제는 위에서 기재한 것과 같으며, 살충제 농약의 경우, 시판 에마멕틴벤조에이트(Emamectin benzoate) 유제를 물에 2,000배 배율로 희석하여 희석량 기준으로 300ℓ/10a의 양으로 살포하였다.
방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찬가지로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미처리구인 비교예 1과 대비하여 총채벌레의 발생률을 조사하여 방제가를 표 1에 나타내고, 실제 트랩당 포획된 총채벌레의 개체수를 시간대별 변화를 도 2의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구분 처리내용 처리시기 처리량 방제가(%)
비교예 1 무처리+지상부 농약 5/20 -
비교예 2 토양살포+지상부 농약 5/20 55
비교예 3 토양살포(농약)+관주처리
+지상부 농약
5/20(관주+농약)
6/20(관주)
300g/10a+농약
300g/10a
74.6
실시예 1 토양살포+관주처리
+지상부 농약
5/20(관주+농약)
6/20(관주)
300g/10a+농약
300g/10a
70.4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미생물 제제에 의한 방제방법에 의할 경우, 작물의 생육 초기뿐만 아니라, 중후기에도 방제효과가 동일하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4: 처리방법에 따른 방제효과( 생육초기(1~4월)의 방제효과)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토양살포와 관주처리를 병행하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방제방법에,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부가적인 단계 또는 부가물을 첨가하여 방제효과를 시험하였다.
미생물 제제의 사용량은 실시예1에서와 동일하게 하였으며, 표 3에서는 부가적인 처리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만 처리량을 표시하였다.
방제효과는 동일하게 황색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여 미처리구인 비교예 1과 대비하여 총채벌레의 발생률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내었다.
구분 처리방법 처리시기 처리량 방제가(%)
비교예 1 무처리 - - 0
실시예 2 보습토양형성
+토양살포+관주처리
1월+1월+3월 알로에: 1.5㎏/10a
설탕: 750g/10a
85.3
실시예 3 토양살포(+설탕)
+관주처리
1월+3월 설탕: 300g/10a 75.3
실시예 4 토양살포+
관주처리(+설탕)
1월+3월 설탕: 300g/10a 78.5
실시예 5 토양살포(+알로에 복합 건조분말 관주처리 1월+3월 알로에: 1.5㎏/10a 79.3
실시예 6 토양살포+관주처리(+소듐비스이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 1월+3월 소듐비스이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 300g/10a 77.8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토양살포단계나 관주처리단계에서 설탕이나 알로에 복합 건조분말, 소듐비스이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를 첨가하여 살포한 경우, 방제효과가 5% 이상 상승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토양살포 이전에 보습토양을 미리 형성함으로써, 미생물 제제가 작용할 수 있는 환경이 개선되어, 약 20%의 향상된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3)

  1. 보베리아 바시아나(Beauveria bassiana) KNU-101 균주(수탁번호 KCTC 13660BP),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물, 및 상기 배양물의 건조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총채벌레 살충용 미생물 제제를 이용하여 총채벌레류를 방제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물을 식재할 토양에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양으로 살포하는 토양살포 단계와;
    작물이 식재된 상태에서 물에 희석한 상기 미생물 제제를 유효성분 기준으로 100~300g/10a의 양으로 토양에 관주처리하는 관주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 방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살포 단계 또는 관주처리 단계에서 100~500g/10a의 설탕을 상기 미생물 제제와 혼합하여 함께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 방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주처리단계에서, 소듐비스이에틸헥실술포숙시네이트(sodium bis(2-ethylhexyl) sulfosuccinate) 또는 소듐벤조에이트(sodium benzoate)를 100~500g/10a 첨가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 방제방법.
KR1020210125193A 2021-09-17 2021-09-17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KR102579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193A KR102579175B1 (ko) 2021-09-17 2021-09-17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193A KR102579175B1 (ko) 2021-09-17 2021-09-17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494A KR20230041494A (ko) 2023-03-24
KR102579175B1 true KR102579175B1 (ko) 2023-09-15

Family

ID=8587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193A KR102579175B1 (ko) 2021-09-17 2021-09-17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1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192B1 (ko) 2000-07-21 2003-04-14 (주)윌바이오텍 신규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미생물 제제
KR102251508B1 (ko) * 2018-11-16 2021-05-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407B1 (ko) * 2006-06-09 2008-07-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토양 친화 미생물의 자체 순환 시스템을 이용한 식물성장촉진방법
KR20100094482A (ko) * 2007-11-28 2010-08-26 니혼노야쿠가부시키가이샤 농업용 및 원예용 살충제 조성물
KR101715749B1 (ko) * 2015-06-26 2017-03-13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균핵병 방제 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튜린지엔시스 c25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974265B1 (ko) * 2017-04-21 2019-04-30 주식회사 팜한농 총채벌레 방제용 미생물 살충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192B1 (ko) 2000-07-21 2003-04-14 (주)윌바이오텍 신규한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토양 미생물 제제
KR102251508B1 (ko) * 2018-11-16 2021-05-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다경뉴스_백두산 기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1494A (ko) 202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762B1 (ko) 연작 오이와 수박의 시들음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균주 및 그것의 미생물 유기질 비료
KR102095537B1 (ko) 살균, 살충 및 식물 영양 성능을 보유한 친환경 작물 재배용 비료 조성물
KR102251508B1 (ko) 우수한 살충 효과 및 포자생성능을 갖는 신규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40115022A (ko)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102579175B1 (ko) 보베리아 바시아나 knu-101 균주 유래의 미생물 제제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방제방법
KR101826310B1 (ko) 키토산 및 방선균을 포함하는 천연 선충 방제용 조성물
Kivijärvi et al. Effects of biological sprays, mulching materials, and irrigation methods on grey mould in organic strawberry production
Crane et al. The Mango1
Sivčev et al. Plant protection products in organic grapevine growing
WO2021033716A1 (ja) 火傷病防除剤及び火傷病防除方法
Guerena Cole crops and other Brassicas: Organic production
KR100505819B1 (ko) 식물의 흰가루병 방제제
US20030078164A1 (en) Method for control of bacterial spot
Saha et al. Major insect pests of vegetable crops in bihar and their management
Shiberu et al. Estimate of yield losses due to T. absoluta Meyrick (Lepidoptera: Gelechiidae) on tomato crops under glasshouse and field conditions in Western Shewa of Central Ethiopia
KR102323016B1 (ko) 오이총채벌레와 고추 탄저병, 역병에 동시방제 효과를 보이는 곤충병원곰팡이 Metarhizium anisopliae FT284
Kumar et al. Major diseases of betelvine and their management
Yasin et al. Field study on integrated disease management of cabbage head rot caused Sclerotinia sclerotiorum in Pakistan conditions
Kuznetsova et al.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treatment strategy against the early blight of potato under epiphytotic conditions
Raju et al. Important Diseases of Black Pepper (Pipernigrum L.) and Management Strategies
CN114424770B (zh) 用于诱杀蛞蝓的组合物及其应用和防治蛞蝓的方法
Sisodia et al. Disease Spectrum in Chrysanthemum or Crown Daisy (Chrysanthemum Coronarium L./Glebionis Coronaria L.) and Management Strategies
Sukhadiya et al. Silviculture and utilization of a lesser known tree species: Albizia procera
KR100773148B1 (ko) 님 분말과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토양선충 방제재
Xianli et al. Insect pests of cashew in Hainan, China, and their control 1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