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5022A -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 Google Patents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5022A
KR20140115022A KR1020130029537A KR20130029537A KR20140115022A KR 20140115022 A KR20140115022 A KR 20140115022A KR 1020130029537 A KR1020130029537 A KR 1020130029537A KR 20130029537 A KR20130029537 A KR 20130029537A KR 20140115022 A KR20140115022 A KR 20140115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strain
gsoil
sclerotinia
plant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오에스
주식회사 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오에스, 주식회사 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오에스
Priority to KR102013002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5022A/ko
Publication of KR20140115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5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5Paenibacill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범위한 식물 병원성 곰팡이 길항작용에 활성을 가지는 신규 미생물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Paenibacillus peoriae) Gsoil 1119및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Paenibacillus peoriae) Gsoil 1119는 인삼밭 토양에서 분리된 미생물로서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리족토니아 솔라니,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 리조퍼스 스톨로니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파이토프소라 캡시키 및 스클레로티엄 롤프시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병의 진전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A novel Paenibacillus peoriae Gsoil 1119 having an excellent antifungal effect, a soil conditioner for the reclaimed land using said strain and a method for plant growth-promoting thereof}
본 발명은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길항 작용을 가지는 신규 미생물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Paenibacillus peoriae) Gsoil 1119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미생물 균주의 순수 배양물 또는 그를 이용한 미생물제제를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식물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병원균의 숙주식물에 살포하여 농작물의 병해를 방지 할 수 있음에 대한 것이다.
경제작물을 주로 시설 재배하는 우리나라의 하우스 내부는 밀폐되고 습도가 높아 곰팡이성 병원균의 발생이 심하다. 이를 극복하고 농산물 생산 증대를 위해 사용해왔던 기존의 화학적으로 합성된 살균제는 병원균의 내성 증가로 인해 매년 사용량이 늘어나게 되어 농산물에 잔류독성이 남아 농민과 국민의 건강에 큰 위협요소가 되고 있고, 또한 토양의 환경오염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농산물에 대한 잔류독성의 염려가 없고 농업생태계에 안전한 무독성 미생물 제제 및 미생물이 생산하는 효소 제제의 개발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97796호의 등록공보에는 식물의 곰팡이 병원균을 제어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증진시키기 위한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Streptomyces spp .) WYE 20 (KCTC 0341BP)과 스트렙토마이세스 속 WYE 324 (KCTC 0342BP)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한가지 이상의 미생물 균주를 포함하는 미생물제제를 라이족토니아 솔라니, 피큘레리아 오라이제, 라이족토니아씨렐리스, 스클러로티니아 호메오카파, 콜레토트리컴 그라미니콜라, 콜레토트리컴 니코티아네, 보트리티스 씨네리아 및 스페로쎄카 등의 병원균이 일으키는 질병의 방제에 사용하기 위한 항균성 미생물 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294023호에는 식물병해 방제 효과가 있는 균주로서 토양으로부터 길항미생물인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GB - 0365(수탁번호: KFCC - 11071)와 바실러스속(Bacillus sp.) GB - 017(수탁번호: KFCC - 11070)을 분리제공하고, 또한 곰팡이에 의한 작물의 병해, 이를테면 잿빛곰팡이병, 잘록병, 입고병, 시들음병 및 브라운 패취, 라지패취 등의 주요 원인 미생물들에 대해 생육저지 효과와 과채류 수확후 선도유지 효과를 갖는 상기 균주를 함유한 미생물제제가 개시되어 있다.
미생물농약은 아직 약효 면에서 일반농약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환경에 따라 약효 변동이 심하다. 따라서 미생물농약은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다른 방제수단(담수, 유기물시용, 태양열소독, 객토)이나 합성농약과 함께 살포하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 또는 이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 또는 이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살균제를 식물에 처리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식물병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 또는 이 균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체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미생물 비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 또는 이 균주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의 길항작용은 식물 병원성 곰팡이들 중, 탄저병(Anthracnose)의 병원성 균인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시들음병(Fusarium wilt)의 병원성 균인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Fusarium oxysporum), 잘록병(Damping-off)의 병원성 균인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균핵병 (Sclerotinia disease)의 병원성 균인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Sclerotinia sclerotiorum), 무름병(Soft rot)의 병원성 균인 리조퍼스 스톨로니퍼(Rhizopus stolonifer), 잿빛곰팡이병(Gray mold)의 병원성 균인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 역병(Phytophthora rot)의 병원성 균인 파이토프소라 캡시키(Phytophthora capsici) 및 흰비단병(Sclerotium rot)의 병원성 균인 스클레로티엄 롤프시(Sclerotium rolfsii)에 대한 길항 능력을 모두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 및 미생물 제제을 사용하여 식물 병원성 곰팡이 특히 병원균이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리족토니아 솔라니,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 리조퍼스 스톨로니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파이토프소라 캡시키 및 스클레로티엄 롤프시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병의 진전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이 식물 병원성 곰팡이들인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A), 퓨자리움 옥시스포럼(B), 리족토니아 솔라니(C),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D), 리조퍼스 스톨로니퍼(E), 보트리티스 시네리아(F), 파이토프소라 캡시키(G) 및 스클레로티엄 롤프시(H)에 대한 길항작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의 계통발생학적 연관성를 확인하기 위하여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이다.
도 3은 계통발생학 근간에 기초하여,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 및 관련성 있는 패니바실러스 내 박테리아의 16S rRNA 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신규 균주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의 분류학적 특성 분석
본 발명은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길항 능력이 우수한 신규 미생물 은 포천 인삼밭 토양에서 미생물 분리연구과정에서 동정되었다. 포천 인삼밭 토양에서 식물 병원성 곰팡이들에 대한 길항 능력을 가지는 10개의 신규한 박테리아 균주들을 동정하고 명명하였다. 상기 동정된 균주들 중 하나인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는 식물 병원성 곰팡이들에 대한 길항 능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mR2A 상에서 30℃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를 배양하였다. 3일 동안 세포를 배양하여 Nikon light 현미경으로 세포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또한 Systematic Bacteriology의 Bergey's Manual에 기재된 바와 같은 그람 염색(gram stain), 혐기성 배양(anaerobic growth) 및 촉매 활성(catalase activity)과 같은 통상적인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다른 박테리아에 대한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의 계통발생학적 연관성를 확인하기 위하여 16S rRNA 유전자의 비율을 분석하였으며, 상기 분석은 27F(5'- AGAGTTTGATCMTGGCTCAG-3') 및 1492R(5'-TACGGYTACCTTGTTACGACTT-3') 유니버설 프라이머(universal primers)를 사용하여 PCR 증폭을 통해 수행되었고, Solgent에서 시퀀싱(sequencing)하였다(대전, 대한민국). 16S rRNA 유전자 전장서열을 SeqMan 소프트웨어(DNASTAR)를 사용하여 수집하였고, NCBI 데이터베이스에 서 블라스팅 하였다(Accession number: EU332827). 분류학적으로 연관성 있는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GenBank로부터 수득하였다 (도 2 참고). 유전자 서열에 따른 균주의 계통학 적 위치를 Kimura two-parameter 모델을 이용하여 계통학적 트리로 판단하였다. 1000 레플리케이션에 기초한 bootstrap 값을 갖는 MEGA 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neighbor-joining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계통학적 트리를 구축하였다 (도 3 참고).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의 특성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는 그람-양성(gram-positive), 호기성(aerobic), 비-운동성(non-motile), 포자-형성(spore-forming), 및 단막대형(short-rod-shaped)를 나타내었다. 16S RNA에 기초한 계통학적 분석은 퍼미큐트(Firmicute) 문(phylum) 내 패니바실러스(Paenibacillus) 속(genus)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Paenibacillus peoriae) DSM 8320T (99.5 %)와 가장 높은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신규 길항 미생물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의 길항작용 분석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의 길항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8가지 식물 병원성 곰팡이들을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서 분양 받았다. R2A 평판 배지에서 본 발명의 길항 미생물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와 8가지 식물 병원성 곰팡이들을 28 ℃ 조건으로 음지에서 5일간 배양하여 성장확인을 하였다. 식물 병원성 곰팡이들에 대한 설명과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이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작용을 보이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는 탄저병균(동물의 탄저병균과 다름)으로 식물의 탄저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식물의 탄저병은 고추, 벼, 콩, 오이, 국화과 등의 작물과 감나무, 매화나무, 복숭아나무, 감귤나무, 밤나무, 사과나무 등의 과수에 발생할 수 있다. 피해가 많은 농작물에는 고추, 벼, 콩, 까치콩, 완두, 이, 시금치, 쑥갓, 마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사료작물 등에서도 발생한다. 어느 것이나 갈색 또는 흑갈색의 반점이 잎, 줄기, 과실 등에 생기며, 낙엽, 낙과의 원인이 된다. 병반이 점차 퍼져 습도가 높아지면 병반 위에 붉은 갈색 또는 분홍색의 분생포자 덩어리가 생긴다. 보통 병반부에 만들어진 분생자퇴(작은 흑점) 형태로 월동한 뒤 이듬해 전염원이 되며, 온도와 습도가 높을 때 병 발생률이 높다. 도1에서 사진 (A)를 참고하면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좌)가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우)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두 번째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Fusarium oxysporum)이 일으키는 시들음병의 특성은 고온건조성으로 토양내에 수 십 년간 생존하면서 종자전염을 하고 작물의 도관부를 침입해서 시들음 증상을 일으키는데 사질토양에서 많이 발생하고 질소질 비료가 많을 때도 심하게 발생한다. 시들음병은 지온이 높고 습도가 높은 8월 상순경 발병되어 중순경 심한 피해증상으로 줄기가 마른다. 도1에서 사진 (B)를 참고하면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좌)가 퓨자리움 옥시스포럼(우)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세 번째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리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 는 잘록병의 원인균이다. 잘록병은 볍씨가 싹이 튼 뒤에 균이 모의 밑 부분이나 뿌리를 침해하여 생기는 병으로 모의 끝이 갑자기 마르거나 바늘 모양으로 마르면서 죽는다. 잘록병은 라족토니아, 피시움, 퓨자리움이 복합적으로 일으키는 묘상의 주요 병인데, 주로 라족토니아가 많다. 저온다습조건에서 발병하며, 조금 더 생장하면 발병하지 않는다. 도1에서 사진 (C)를 참고하면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좌)가 리족토니아 솔라니(우)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네 번째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Sclerotinia sclerotiorum)가 원인균인 균핵병은 배, 사과, 비파, 복숭아, 자두, 살구 등의 과수에 발생한다. 주로 열매에 발생하나 나뭇가지와 꽃에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열매의 표면에 갈색의 점무늬가 생겨 커지면서 무르는데, 그 위에 갈색을 띤 흰색 또는 크림색의 포자덩어리가 둥근 겹무늬를 이룬다. 그 후 병든 과실은 썩으면서 심한 냄새를 발산한다. 병원균은 주로 균사 또는 포자의 형태로 병든 과실이나 나뭇가지의 병든 부분에서 월동하여 다음해의 제1차 전염원이 되지만, 땅에 떨어져 묻힌 과실에 붙은 균핵에서 자낭반이 형성되고, 그 안에 생기는 자낭포자에 의하여 전염되기도 한다. 도1에서 사진 (D)를 참고하면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좌)가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우)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섯 번째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리조퍼스 스톨로니퍼(Rhizopus stolonifer)는 무름병을 유발시킨다. 무름병에 걸리면 세포벽 중간층의 펙틴질이 녹아 처음에는 물기가 보이는 것에 그치나, 점차로 물러져 썩고 액체처럼 흐물흐물해진다. 뿌리줄기와 덩이줄기, 땅 위의 줄기 속, 잎자루 등이 먼저 침해된다. 그러다 점차적으로 잎까지 침해된다. 잎자루가 무름병에 걸리면, 잎은 노란색으로 되고 힘없이 늘어졌다가 떨어진다. 대부분 채소에 많이 나타나는 병해로, 그 밖에 토마토, 고구마 및 감자에도 많이 나타난다. 각각의 품종에 따라 병원균이 다르고, 숙주식물이나 잡초의 뿌리 근처에서 식물의 잔유물과 함께 땅 속에서 볼 수 있다. 해충이나 오염된 흙으로 인하여 전염되고 때로는 식물에 난 상처나 물구멍에 의해서도 전염된다. 도1에서 사진 (E)를 참고하면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좌)가 리조퍼스 스톨로니퍼(우)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여섯 번째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보트리티스 시네리아(Botrytis cinerea)가 유발하는 잿빛 곰팡병은 감자잎, 감자, 고추, 사과나무 잎 및 인삼뿌리에서 발생하며 과실, 꽃받침, 과경, 잎, 엽병 등의 지상부위에 주로 피해가 나타난다. 특히 과실에 큰 피해를 입히는데 어린 과실에 침입하여 갈변, 흑갈변하고 다습 시에는 연 부패하고 잿빛의 병원균이 발생한다. 여봉 품종의 경우 수정 후 꽃잎이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을 때 탁엽이 적색으로 되며 갈변, 흑 갈변하고 썩는다. 처음에 하엽의 고사한 부분에 병원균이 기생 증식하는 것으로 추정하며 포자에 의해 전염된다. 잿빛곰팡이병균은 포자에 의한 건전 조직에 대한 침입력은 매우 약하고 눈마름병 발생부위, 상처부위나 꽃잎, 암술, 수술 등 꽃의 각 기관을 통해 침입한다. 화분매개용 벌의 몸에 부착되어 꽃을 통해 전염되기도 한다. 도1에서 사진 (F)를 참고하면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좌)가 보트리티스 시네리아(우)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일곱 번째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파이토프소라 캡시키(Phytophthora capsici)가 유발하는 역병은 공기 전염으로 생기는 농작물의 유행병이다. 잎에 어두운 녹색 반점과 흰 곰팡이가 생기며, 마르면 갈색이 되며 감자, 담배, 토마토 따위에서 볼 수 있다. 도1에서 사진 (G)를 참고하면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좌)가 파이토프소라 캡시키(우)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 여덟 번째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스클레로티엄 롤프시(Sclerotium rolfsii)는 흰비단병을 유발한다. 배양토의 윗부분을 파보면 광택이 있는 흰색의 실 모양 균사가 뿌리 사이에 엉겨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균사와 균핵으로 토양을 통해 전염된다. 감염된 나무나 풀은 밑동에 광택이 있는 균사가 엉기게 된다. 나중에는 짙은 갈색의 균핵이 생겨 깨알보다 아주 작고 붉은 씨앗을 뿌려 놓은 것처럼 보인다. 곧이어 뿌리가 썩기 시작하고 잎이 시들며 식물 전체가 말라죽게 된다. 도1에서 사진 (G)를 참고하면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좌)가 스클레로티엄 롤프시(우)에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는 상기 8가지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모두 길항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식물 병원성 곰팡이들에 대한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의 길항작용 (+, 길항작용 활성 보임)
No . 식물 병원성 곰팡이 이름 KACC 균주번호 Gsoil 1119 길항작용
1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40003 +
2 Fusarium oxysporum 41083 +
3 Rhizoctonia solani AG -1( IA ) 40101 +
4 Sclerotinia sclerotiorum 41064 +
5 Rhizopus stolonifer var . stolonifer 41364 +
6 Botrytis cinerea 40574 +
7 Phytophthora capsici 40158 +
8 Sclerotium rolfsii 40832 +
신규 길항 미생물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의 키티나제 활성 분석
길항 미생물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길항 효과로 인한 식물병의 억제효과는 일반적으로 병원성 곰팡이의 세포벽(cell wall)이나 원형질막(plasma membrane)을 파괴하거나 세포질 속에서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는 리보솜(ribosome)의 활성을 억제하거나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인자(protease inhibitor)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세포벽을 파괴하는 길항 효과는 길항 미생물에서 분비되는 효소인 키틴 분해효소(키티나제, Chitinases)와 글루칸 분해효소(글루카나제, Glucanase)가 세포벽의 주 구성성분인 키틴(Chitin)과 글루칸(Glucan)을 분해하거나 키틴 결합 단백질(Chitin-binding proteins)의 억제 작용에 의하여 일어나게 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본 발명의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의 키틴 분해능력을 보기 위해 콜로이드성 키틴(Colloidal chitin) 평판 배지를 만들어서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균주를 접종하여 48시간후 키틴을 분해하며 배지에 투명환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콜로이드성 키틴 평판 배지의 성분 조성은 다음과 같다. (Colloidal chitin 4.0g, MgSO4.7H2O 0.3g, K2HPO4 1.36g, KH2PO4 1.0g, (NH4)SO4 1.0g, mR2A 3.0g, Agar 15.0g /L)
길항 미생물 제제 제조
길항미생물 균주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를 여러가지 배지조성 중 가장 성장력이 우수한 mR2A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진탕 배양(150rpm)하였다 (표 2 참고). 이 때의 각 길항미생물 밀도는 1010 ~10 12 cfu/ml 이었으며, 배양액을 10,000g에서 15분간 원심 분리하여 균체를 수확하였다. 수확물을 그늘에서 건조하여 막자사발로 가볍게 분쇄한 후 체로 걸러 1~2 mm 크기의 입자를 모아서 4℃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한다. 또한 균체 수확후 남은 배양액은 다른 액상 방제수단(담수, 유기물시용)이나 물에 희석하여 함께 살포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길항미생물 Gsoil 1119를 대량 배양하기 위한 mR2A 조성
dextrose 0.5 g
soluble starch 0.3 g
sodium pyruvate 0.3 g
K 2 HPO 4 0.3 g
Tryptone 0.25 g
Peptone 0.25 g
Yeast extract 0.25 g
casamino extract 0.25 g
soytone 0.25 g
xylan 0.2 g
Malt extract 0.125 g
Beef extract 0.125 g
MgSO 4 0.05 g
CaCl 2 0.05 g
Total 3.2 g/L

Claims (10)

  1.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작용을 하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Paenibacillus peoriae) Gsoil 1119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병원성 곰팡이인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리족토니아 솔라니,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 리조퍼스 스톨로니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파이토프소라 캡시키와 스클레로티엄 롤프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Paenibacillus peoriae) Gsoil 1119 균주.
  3. 제1항 기재의 균주 또는 이 균주의 배양여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이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리족토니아 솔라니,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 리조퍼스 스톨로니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파이토프소라 캡시키와 스클레로티엄 롤프시 중 어느 하나인 것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용 제제.
  5. 제1항 기재의 균주 또는 이 균주의 배양여액을 포함하는 살균제를 식물에 처리하여 식물병을 방제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병이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리족토니아 솔라니,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 리조퍼스 스톨로니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파이토프소라 캡시키와 스클레로티엄 롤프시 중 어느 하나인 것에 의해 발생되는 식물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7. 제1항 기재의 균주 또는 이 균주의 배양여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물체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미생물 비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는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리족토니아 솔라니,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 리조퍼스 스톨로니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파이토프소라 캡시키와 스클레로티엄 롤프시 중 어느 하나인 것이 원인균으로 식물병을 일으킬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비료.
  9. 제1항 기재의 균주 또는 이 균주의 배양여액의 길항작용을 할 수 있는 키티나제 효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제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키티나제는 콜레토트리첨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 퓨자리움 옥시스포럼, 리족토니아 솔라니, 스클레로티니아 스클레로티오럼, 리조퍼스 스톨로니퍼, 보트리티스 시네리아, 파이토프소라 캡시키와 스클레로티엄 롤프시 중 어느 하나인 것의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소.

KR1020130029537A 2013-03-20 2013-03-20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20140115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537A KR20140115022A (ko) 2013-03-20 2013-03-20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537A KR20140115022A (ko) 2013-03-20 2013-03-20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5022A true KR20140115022A (ko) 2014-09-30

Family

ID=5175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537A KR20140115022A (ko) 2013-03-20 2013-03-20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502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24464C1 (ru) * 2019-12-02 2020-06-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грофирма «Урожайная» Штаммы, биопрепара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препарата и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защиты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от фузариоза
CN112760258A (zh) * 2021-01-27 2021-05-07 中国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株皮尔瑞俄类芽孢杆菌及其在防治黄瓜细菌性软腐病中的应用
CN112831447A (zh) * 2021-03-16 2021-05-25 广西民族大学 皮尔瑞俄芽孢杆菌及其在防治柑橘溃疡病中的应用
WO2021101949A1 (en) * 2019-11-22 2021-05-27 Novozymes Bioag A/S Paenibacillus isolates and uses thereof
CN115895940A (zh) * 2022-09-15 2023-04-04 广西民族大学 一株皮尔瑞俄类芽孢杆菌挥发性次生代谢产物在农业生产的应用
CN116515719A (zh) * 2023-07-03 2023-08-01 中建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水质改良的微生物复合菌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15895940B (zh) * 2022-09-15 2024-05-24 广西民族大学 一株皮尔瑞俄类芽孢杆菌挥发性次生代谢产物在农业生产的应用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949A1 (en) * 2019-11-22 2021-05-27 Novozymes Bioag A/S Paenibacillus isolates and uses thereof
CN115151632A (zh) * 2019-11-22 2022-10-04 诺维信生物农业公司 类芽孢杆菌属分离株及其用途
RU2724464C1 (ru) * 2019-12-02 2020-06-23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грофирма «Урожайная» Штаммы, биопрепара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биопрепарата и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защиты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от фузариоза
WO2021112723A1 (ru) * 2019-12-02 2021-06-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грофирма "Урожайная" Штаммы д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защиты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от фузариоза
CN112760258A (zh) * 2021-01-27 2021-05-07 中国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株皮尔瑞俄类芽孢杆菌及其在防治黄瓜细菌性软腐病中的应用
CN112760258B (zh) * 2021-01-27 2022-02-01 中国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株皮尔瑞俄类芽孢杆菌及其在防治黄瓜细菌性软腐病中的应用
CN112831447A (zh) * 2021-03-16 2021-05-25 广西民族大学 皮尔瑞俄芽孢杆菌及其在防治柑橘溃疡病中的应用
CN112831447B (zh) * 2021-03-16 2022-07-08 广西民族大学 皮尔瑞俄芽孢杆菌及其在防治柑橘溃疡病中的应用
CN115895940A (zh) * 2022-09-15 2023-04-04 广西民族大学 一株皮尔瑞俄类芽孢杆菌挥发性次生代谢产物在农业生产的应用
CN115895940B (zh) * 2022-09-15 2024-05-24 广西民族大学 一株皮尔瑞俄类芽孢杆菌挥发性次生代谢产物在农业生产的应用
CN116515719A (zh) * 2023-07-03 2023-08-01 中建易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水质改良的微生物复合菌剂、制备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986B1 (ko) 바실러스 벨레젠시스 g34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CN102428966B (zh) 一种作物病害防治复合生物制剂及其应用
Jeyarajan et al. Exploitation of microorganisms and viruses as biocontrol agents for crop disease management
KR100800566B1 (ko) 크랩시엘라 옥시토카 c1036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생장 촉진과 식물병 방제 및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피해감소 방법
US20220132862A1 (en) Pseudomonas sp. stra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EP2525648A1 (en) Novel fluorescent pseudomonad of the species pseudomonas azotoformans for enhancement of plant emergence and growth
KR100807403B1 (ko) 식물 잿빛 곰팡이병 방제용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페이션스lp03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Walters Disease control in crops
KR20140115022A (ko)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길항 효과를 나타내는 패니바실러스 페오리애 Gsoil 1119 및 이를 함유하는 방제용 미생물 제제
KR20150093027A (ko) 식물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 활성과 효소활성을 갖는 신규한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파시엔스 kr-pbs6 균주
Shalaby et al. Biological and fungicidal antagonism of Sclerotium cepivorum for controlling onion white rot disease
Ahmed Efficiency of some antioxidants and bioagents in controlling Rhizoctonia damping-off of snap bean
KR101972079B1 (ko) 식물 생육 증진 및 식물병 억제 효과를 갖는 신규 슈도모나스 사포니필라 ghr1-1 균주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
Abada et al. Management of pepper Verticillium wilt by combinations of inducer chemicals for plant resistance,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Sellal et al. Effect of seeds treatment with Trichoderma harzianum on argan plants growth
Vivekananthan et al. Pre-harvest application of a new biocontrol formulation induces resistance to post-harvest anthracnose and enhances fruit yield in mango
JP2003531603A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Abada et al. Bacterial bioagents and compost as two tools for management of eggplant Fusarium wilt
KR101211681B1 (ko) 스트렙토마이세스 니그로글리세러스 씨엠씨0647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Huang et al. Ulocladium atrum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white mold of bean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KR101735258B1 (ko)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옥상녹화용 인공토양 및 이를 이용한 식물의 생육 촉진방법
KR100314323B1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KR100417632B1 (ko)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신규한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Zyton Marwa et al. Effect of the combination between bioagents and benzothiadiazole (BTH) on management of Uromyces pisi the causal of pea rust
Al-Askar et al. Improving growth and productivity as well as controlling Sclerotium rolfsii in Jerusalem Artichoke using biotic and abiotic ag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