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242B1 -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242B1
KR100870242B1 KR1020070057794A KR20070057794A KR100870242B1 KR 100870242 B1 KR100870242 B1 KR 100870242B1 KR 1020070057794 A KR1020070057794 A KR 1020070057794A KR 20070057794 A KR20070057794 A KR 20070057794A KR 100870242 B1 KR100870242 B1 KR 100870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hier
teller machine
withdrawal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2841A (ko
Inventor
서주영
Original Assignee
에프케이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케이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프케이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242B1/ko
Publication of KR20070072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2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4Managing the stock of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융기관에서 계원과 고객 사이에 오고가는 현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고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원으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계원용 단말기; 입금 시 각 지폐의 종류를 판별 및 계수하여 권별로 수납하고, 출금 시 상기 계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지폐를 권별로 계수하여 출금하고, 정산 시 권별에 따른 계수를 체크하여 정산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 상기 계원용 단말기에서 전송된 입출금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시재를 모니터링 하는 관리자용 단말기; 상기 계원용 단말기로부터 입출금 정보를 전송받아 금융 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Present cash management method and finance system using teller AT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금 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시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금 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시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산 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시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20, 130, 210, 220: 계원용 단말기
112, 122, 132, 230, 310-1, 310-2, 320-1, 320-2: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
140, 240, 340-1, 340-2: 관리자용 단말기
150, 250, 350: 중앙서버
본 발명은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융기관에서 계원과 고객 사이에 오고가는 현금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처리하고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객이 현금입출금, 수표입출금, 통장 거래 등의 용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사용하였으나,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서 수행되지 않는 용무를 함께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통장 및 출금 전표를 작성한 후 계원에게 전달, 현금, 입금 전표 및 통장을 계원에게 전달하였다.
그러면 계원은 고객으로부터 접수한 현금을 입금 또는 출금할 현금을 손으로 세거나 계수기를 이용하여 현금을 확인한 후 접수된 전표를 바탕으로 계원용 단말기에 고객의 입출금 정보를 입력하고 본점의 중앙서버와 정보를 교환 및 저장함으 로써 고객에게 입출금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이와 같이 계원을 통한 현금 입출금 관련 업무는 계원 업무의 전반에 대해 자동화되지 않았고, 책상 위에 위치된 계원용 단말기(PC,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통장정리기, 수표 금고, 비밀번호입력을 위한 키패드 또한 지점 내부에 위치된 프린터, 복사기 등의 많은 장비를 이용하여 계원이 업무를 처리하였기 때문에 계원의 업무 수행에 있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계원의 업무에는 실질적인 업무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창구로 고객이 찾아올 경우,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창구에서 신속하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업무 마감 시 입출금으로 인해 변동된 현금을 손으로 세거나 계수기를 이용하여 정산함으로써 정산에 있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이 입출금하고자 하는 지폐 권종별 계수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창구에서의 지폐 방치에 의한 분실 사고를 방지하며 실시간 권별 매수를 관리하여 시재 사고를 방지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계원의 마감 업무 시 현금 집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계원이 함께 사용함으로써 운용자금의 최적화 할 수 있고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설치 및 관리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각 계원의 권별 보유 시재 파악이 실시간으로 가능하고 각 계원 시재 데이터 공유가 가능함에 따라 다수 지점 간의 시재 관리를 확장할 수 있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인 수단은 계원으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계원용 단말기; 입금 시 각 지폐의 종류를 판별 및 계수하여 권별로 수납하고, 출금 시 상기 계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지폐를 권별로 계수하여 출금하고, 정산 시 권별에 따른 계수를 체크하여 정산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 상기 계원용 단말기에서 전송된 입출금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시재를 모니터링 하는 관리자용 단말기; 상기 계원용 단말기로부터 입출금 정보를 전송받아 금융 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인 방법은 계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계원의 명령 신호를 판별하고, 입금 명령인 경우 입금부를 통해 입금된 현금을 권별에 따라 계수한 후 권별로 수납하고, 출금 명령인 경우 상기 계원용 단말기에 입력된 정보에 따라 권별로 계수하여 출금부를 통해 인출하고, 정산 명령인 경우 권별에 따른 초기값과 입출금된 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산한 정산 데이터를 상기 계원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이 입출금하고자 하는 지폐 권종별 계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어 창구에서의 지폐 방치에 의한 분실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실시간 매수가 관리 되어 시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원의 마감 업무 시 현금 집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계원이 함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사용함으로써 운용자금의 최적화 및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접속된 단말을 통해 각 계원의 권종별 보유 시재 파악이 실시간으로 가능하고 각 계원 시재 데이터 공유가 가능함에 따라 지점 전체의 현금 관리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계원시스템(A), 관리자용 단말기(140) 및 중앙서버(150)로 구성된다.
여기서 계원시스템(A)은 다수의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 계수 표시기(114, 124, 134), 수표MICR 인식기(116, 126, 136) 및 동전 유니트(118, 128, 138)로 구성된다.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는 계원에 의해 고객의 계좌번호, 이름 등의 정보가 입력되면 그 외의 부가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는 계원에 의해 고객이 접수한 입출금 전표에 따라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대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만약, 고객이 입금 전표 접수한 경우 계원이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를 통해 입금 메뉴를 선택하면, 입금 지시 신호를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로 전송한다.
아울러, 고객이 출금 전표 접수한 경우 계원이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를 통해 출금 메뉴를 선택하면, 출금 지시 신호를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로 전송한다.
이때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는 출금 지시 신호와 함께 고객이 접수한 액수 및 권별 정보에 상응하는 각 권별에 따른 매수 데이터를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로 전송한다.
즉, 권별 정보는 신권, 구권 정보, 액수에 대한 만원, 오천원 및 천원 권에 대한 정보이다.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는 초기에 수납된 권별에 따른 매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입출금된 지폐 권별에 따른 지폐 매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즉,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는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로부터 입금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입금부에 놓여진 지폐의 권별을 판별하고 판별된 지폐의 계수를 실행한 후 수납부로 옮겨 권별로 보관하며, 입금 직전에 저장된 각 권별 매수 데이터에 입금된 지폐의 권별 매수를 더하는 연산을 한 후 연산된 각 권별 매수를 저장한다. 이때 지폐의 권별 판별함으로써 위조지폐의 감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는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로부터 출금 액수에 해당하는 각 권별의 매수 데이터와 함께 출금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지폐 즉, 해당 권별 지폐를 계수한 후 출금부로 인출한다. 이때, 출금 직전에 저장된 각 권별 매수 데이터에 출금된 지폐의 권별 매수를 빼는 연산을 한 후 연산된 각 권별 매수를 저장한다.
즉,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는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로부터 각 권별 및 매수 정보 데이터가 입력되면, 신권 또는 구권 정보 따른 만원, 오천원 및 천원 권을 분류 및 계수하여 출금하고, 미지정된 권종은 반환한다.
만약, 계원으로부터 권종 지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신권 또는 구권에 상관없이 액수에 관한 만원, 오천원 및 천원 권을 분류 및 계수하여 출금한다.
또한,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최초 감별된 권종만 분류하고 계수하여 출금하고 그 외 권종은 반환한다.
계수 표시기(114, 124, 134)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입금 시 권별에 따른 매수 및 이에 따른 총 입금액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출금 시 권별에 따른 매수 및 이에 따른 총 출금액을 디스플레이 하여 입출금 상황을 고객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수표MICR 인식기(116, 126, 136)는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고, 수표 입금 시 수표 하단에 자기 잉크로 인쇄된 MICR문자를 해독하여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로 전송한다.
이때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는 각각 연결된 수표MICR 인식기(116, 126, 136)로부터 전송된 MICR 문자를 판독하여 위조지폐 유무를 판별하고, 위조지폐가 아닌 경우에는 수표를 입금 처리 하여 수납부에 보관하도록 한다.
아울러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는 수표의 권수를 계수한 후 수표 입금 직전에 저장된 각 권별 매수 데이터에 입금된 수표의 권별 매수를 더하는 연산을 한 후 연산된 각 수표 및 지폐 권별 매수를 저장한다.
또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현금이 부족하거나 꽉 찬 경우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한다. 즉, 현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현금 보충을 지시하고 입금부를 통해 지정된 각 권별 매수만큼 보충하고, 현금이 꽉 찬 경우에는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회수를 지시하고 출금부를 통해 수납되어 있는 현금을 지정된 각 권별 매수만큼 회수한다.
또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손상 지폐가 입금되는 경우, 계원에 의해 강제 입금이 지시되면 손상된 지폐를 입금시키되, 입금된 지폐는 회수부에 수납한다.
동전 유니트(118, 128, 138)는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어, 각각 연결된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를 통해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금액에 상응하는 동전을 인출한다.
아울러 해당 금액의 동전 인출 시 계원이 입력한 정보에 상응하는 동전 종류 및 매수 정보에 따라 동전이 인출된다.
관리자용 단말기(140)는 다수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 및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와 연결되어 있고,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로부터 입출금 정보가 전송되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2, 122, 132)에 수납된 지폐 및 수표의 권별 정보와 권별 매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시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중앙서버(150)는 계원용 단말기(110, 120, 130)로부터 고객의 입출금 정보가 전송되면, 입출금에 따른 해당 고객의 계좌를 관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제 1 실시예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에서 계원시스템(A)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스위치를 더 포함시킨 것이다.
계원용 단말기(210, 220)는 계원에 의해 고객의 계좌번호, 이름 등의 정보가 입력되면 그 외의 부가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계원용 단말기(210, 220)는 고객이 접수한 입출금 전표에 따라 계원이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대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만약, 고객이 입금 전표 접수한 경우 계원이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입금 메뉴를 선택하면, 입금 지시 신호를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로 전송한다.
아울러, 고객이 출금 전표 접수한 경우 계원이 계원용 단말기계원를 통해 출금 메뉴를 선택하면, 출금 지시 신호를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로 전송한다. 이때 계원용 단말기(210, 220)는 출금 지시 신호와 함께 고객이 접수한 액수 정보에 상응하는 각 권별에 따른 매수 데이터를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로 전송한다.
즉,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스위칭된 계원용 단말기(210, 220)로부터 각 권별 및 매수 정보 데이터가 입력되면, 신권 또는 구권 정보 따른 만원, 오천원 및 천원 권을 분류 및 계수하여 출금하고, 미지정된 권종은 반환한다.
만약, 계원으로부터 권종 지정 정보가 입력되지 않으면, 신권 또는 구권에 상관없이 액수에 관한 만원, 오천원 및 천원 권을 분류 및 계수하여 출금한다.
또한, 자동모드인 경우에는 최초 감별된 권종만 분류하고 계수하여 출금하고 그 외 권종은 반환한다.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10, 220)는 스위치를 통해 적어도 두 대의 계원용 단말기(210, 220)와 연결되어 있어 적어도 두 명의 계원이 공유하여 이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내부에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고, 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를 이용한 계원을 구별한다.
아울러,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어느 계원이 입출금을 실행하였는지 판별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계원의 입출금에 따른 시재 현황을 각각 처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에 보관된 권별에 따른 총 시재를 파악하고, 또한 두 계원의 입출금에 따른 시재를 각각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초기에 수납된 권별에 따른 매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다수 계원용 단말기(210, 220)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입출금된 지폐 권별에 따른 지폐 매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즉,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어느 한명의 계원에 의해 스위치가 조작된 후 해당 계원의 계원용 단말기(210, 220)로부터 입금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입금부에 놓여진 지폐의 권별을 판별하고 판별된 지폐의 계수를 실행한 후 수납부로 옮겨 권별로 보관하며, 해당 계원과 상응하는 권별 매수 데이터, 즉 입금 직전에 저장된 각 권별 매수 데이터에 입금된 지폐의 권별 매수를 더하는 연산을 한 후 연산된 각 권별 매수를 저장한다. 이때 지폐의 권별 판별함으로써 위조지폐의 감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어느 한명의 계원에 의해 스위치가 조작된 후 계원용 단말기(210, 220)로부터 출금 액수에 해당하는 각 권별의 매수 데이터와 함께 출금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지폐 즉, 해당 권별 지폐를 계수한 후 출금부로 인출한다.
이때,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해당 계원과 상응하는 권별 매수 데이터, 즉 출금 직전에 저장된 각 권별 매수 데이터에 출금된 지폐의 권별 매수를 빼는 연산을 한 후 연산된 각 권별 매수를 저장한다.
아울러,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현금이 부족하거나 꽉 찬 경우 표시부(미도시)를 통해 표시한다. 즉, 현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현금 보충을 지시하고 입금부를 통해 지정된 각 권별 매수만큼 보충하고, 현금이 꽉 찬 경우에는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회수를 지시하고 출금부를 통해 수납되어 있는 현금을 지정된 각 권별 매수만큼 회수한다.
또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손상 지폐가 입금되는 경우, 계원에 의해 강제 입금이 지시되면 손상된 지폐를 입금시키되, 입금된 지폐는 회수부에 수납한다.
계수 표시기(232, 234)는 하나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에 다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입금 시 권별에 따른 매수 및 이에 따른 총 입금액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출금 시 권별에 따른 매수 및 이에 따른 총 출금액을 디스플레이하여 입출금 상황을 고객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의 스위치 조작에 상응하여 선택된 계원 측의 계수 표시기(232, 234)가 디스플레이 된다.
수표MICR 인식기(214, 224)는 계원용 단말기(210, 220)에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고, 수표 입금 시 수표 하단에 자기 잉크로 인쇄된 MICR문자를 해독하여 계원용 단말기(210, 220)로 전송한다.
이때 계원용 단말기(210, 220)는 각각 연결된 수표MICR 인식기(214, 224)로부터 전송된 MICR 문자를 판독하여 위조지폐 유무를 판별하고, 위조지폐가 아닌 경우에는 수표를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를 통해 입금 처리 하여 수납부에 보관하도록 한다.
아울러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는 수표의 권수를 계수한 후 스위치에 의해 선택된 계원의 데이터, 즉 수표 입금 직전에 저장된 각 권별 매수 데이터에 입금된 수표의 권별 매수를 더하는 연산을 한 후 연산된 각 수표 및 지폐 권별 매수를 저장한다.
동전 유니트(212, 222)는 계원용 단말기(210, 22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계원의 지시에 따라 계원용 단말기(210, 220)를 통해 제어 신호가 전송되면 해당 금액에 상응하는 동전을 인출한다.
아울러 해당 금액의 동전 인출 시 계원이 입력한 정보에 상응하는 동전 종류 및 매수 정보에 따라 동전이 인출된다.
관리자용 단말기(240)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 및 계원용 단말기(210, 220)와 연결되어 있고, 계원용 단말기(210, 220)로부터 입출금에 대한 금융 정보가 전송되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230)에 수납된 총 권별 정보와 권별 매수 정보 및 계원 각각의 입출금 권별 정보와 권별 매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 시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중앙서버(250)는 계원용 단말기(210, 220)로부터 전송된 고객의 입출금 정보가 전송되면, 입출금에 따른 해당 고객의 계좌를 관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에서 계원시스템(A)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통신부(미도시)를 구비시켜 IP 주소를 부여한 것이다.
즉, 계원시스템(A)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310-1, 320-1, 320-1, 320-2)에 IP 주소를 부여하여 네트워크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지점의 관리자용 단말기(340-1, 340-2)를 통하여 다른 지점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310-1, 320-1, 320-1, 320-2) 및 관리자용 단말기(340-1, 340-2)에 접속하여 접속한 지점의 시재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구성도로서, 다수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0, 120, 130) 중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110)는 전원부(110a), 제어부(110b), 조작부(110c), 출금부(110d), 반환부(110e), 입금부(110f), 회수부(110g), 수납부(1110h) 및 표시부(110i)로 구성된다.
전원부(110a)는 각 구성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110b)는 계원용 단말기로부터 지시된 입출금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계수표시부를 제어하여 권별에 따른 계수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조작부(110c)는 계원이 입금 또는 출금을 선택하는 조작 버튼으로, 선택된 신호를 제어부(110b)로 전송한다.
출금부(110d)는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출금 신호가 전송되면 전송된 신호에 상응하는 지폐를 계수하여 출금하고, 반환부(110e)는 입금 시 신권, 구권을 포함한 지폐의 권별을 판별한 후 손상되거나 불량인 지폐를 반환하며, 입금부(110f)는 지폐의 권별을 판별한 후 각 권별로 계수하여 제어부(110b)로 전송하고, 회수부(110g)는 입금 시 판별 된 손상 지폐를 강제 입금할 경우 강제 입금된 손상 지폐를 보관하며, 수납부(1110h)는 입금된 지폐를 권별로 보관한다.
표시부(110i)는 지폐를 수납하는 수납부 및 회수하는 회수부가 구비된 트레이의 장착 오류 발생 등의 문제 발생 시 점소등된다.
또한 계수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있어 입출금, 회수 및 보충되는 지폐의 매수를 계수한다.
아울러 제 2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있어, 하나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다수의 계원이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는 스위치의 조작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상응하여 조작한 계원의 입출금 모드로 변경한다.
또한 제어부는 스위치를 조작한 계원의 입출금 모드로 변경한 후 입출금 지폐를 권별로 판별하고 계수하도록 제어하고, 해당 계원의 데이터, 즉 입출금된 지폐 권별 매수 데이터를 입출금 전의 지폐 권별 매수 데이터에 적용하여 현재 지폐 권별 매수 데이터를 연산하여 저장한다.
아울러 제 3실시예에 따른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통신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 제어부는 특정 지점의 관리자용 단말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시재 정보 데이터를 해당 관리자용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금 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시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업무 시작 전 중앙금고에서 업무 자금을 반출한 후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권별로 구분하여 장전한 후 계원용 단말기에 권별에 따른 매수를 입력하여 초기값을 설정한 후 설정된 초기값을 출력한다.
다음, 고객으로부터 입금 전표 및 입금액이 접수되면 해당 계좌 등의 정보를 입력(11) 및 호출하고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입금할 지폐를 넣고 입금 동작을 실행 시키면 입금된 지폐를 임시 보관한 후 권별을 판별하고 계수(12)한 다음 계원용 단말기 및 계수 표시기에 권별에 따른 매수를 표시(13)한다.
이때 수수료 등의 추가로 입금할 금액이 있으면(14) 추가 금액을 입력(15)하고 추가 금액에 따른 총금액을 계원용 단말기 및 계수 표시기에 권별에 따른 매수를 표시(16)한다.
만약 총 금액이 입금액 및 추가금액을 합친 액수와 불일치(17)하면 임시 보관한 돈을 반환(18) 하고, 일치하면 입금한 지폐를 권별로 수납(19)한다.
다음, 입금 전에 권별 매수 데이터에 입금한 권별 매수 데이터를 연산하여 연산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고객의 입금 내역을 중앙서버로 전송하여 고객의 금융 정보를 관리한다.
아울러, 입금 시 훼손된 지폐가 있어 지계가 반환된 경우에는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강제 입금을 지시하여 반환 지폐를 강제 입금시킨다. 이때 강제 입금된 반환 지폐를 계수한 후 계수 결과를 표시하고 회수부에 수납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금 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시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고객으로부터 출금 전표 및 통장이 접수되면 해당 계좌를 입력(21) 및 호출하고 고객으로부터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한 후 고객으로부터 비밀번호가 입력 되면 일치 여부를 판단(22)한다.
다음, 비밀 번호가 일치하여 승인이 되면(23) 출금하고자 하는 금액의 권별에 따른 매수를 입력하고 표시한다. 이때 고객이 확인할 수 있도록 계수표시기에도 함께 표시(24)한다.
다음, 지시된 권별에 따른 매수를 계수하여 배출(25)한 후 고객에게 통장 및 출금액을 준다.
다음, 출금 전에 권별 매수 데이터에 출금한 권별 매수 데이터를 연산하여 연산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고객의 입금 내역을 중앙서버로 전송하여 고객의 금융 정보를 관리한다.
아울러,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지폐가 부족한 경우 지폐 보충 메뉴를 호출하고 입금부에 지폐를 세팅한 다음 지폐보충을 실행한다. 다음 보충된 지폐를 계수하고 계수 결과를 계원용 단말기에 표시한 후 보충액 인도 전표와 비교하여 일치하면 보충 완료를 지시한다. 이때 보충된 권별에 따른 매수 데이터는 보충 전 권별 매수 데이터에 적용되어 연산된 후 연산 데이터는 저장된다.
아울러,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회수된 회수 지폐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계원용 단말기에 표시된 회수 메뉴를 호출하고 권종별 회수 지폐 매수를 입력한 후 지폐 회수를 지시하면 입력된 데이터에 상응하는 매수의 지폐가 배출된다. 이때 회수된 권별에 따른 매수 데이터는 회수 전 권별 매수 데이터에 적용되어 연산된 후 연산 데이터는 저장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산 시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시재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우선,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입출금 현황을 정산하고자 할 경우 계원이 계원용 단말기를 통해 정산 메뉴를 호출하여 정산을 지시(31)하면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저장된 입/출금, 지폐 보충, 지폐 회수, 강제입금 등의 정보를 리딩(32)한 후 초기값, 입/출금, 지폐 보충, 지폐 회수, 강제입금에 따른 권별 총액을 표시하고, 또한 초기값, 입/출금, 지폐 보충, 지폐 회수, 강제입금을 적용하여 연산한 권별의 총 합계를 표시(33)한 후 내역을 출력(34)한다.
다음, 업무가 마감되면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지폐를 회수하여 중앙금고에 입고시킨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객이 입출금하고자 하는 지폐 권별 계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어 창구에서의 지폐 방치에 의한 분실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실시간 매수관리 되어 시재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원의 마감업무 시 현금 집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계원이 하나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사용함으로써 운용자금의 최적화 및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고, 설치비용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비용 면에서 효율적이다.
또한 다수 지점의 관리자는 서로 다른 지점의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접속하여 권별 보유 시재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각 계원 시재 데이터 공유가 가능함에 따라 지점 전체의 현금 관리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Claims (9)

  1. 계원으로부터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계원용 단말기;
    입금 시 각 지폐의 종류를 판별 및 계수하여 권별로 수납하고, 출금 시 상기 계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따라 지폐를 권별로 계수하여 출금하며, 정산 시 권별에 따른 계수를 체크하여 정산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
    상기 계원용 단말기에서 전송된 입출금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의 시재를 모니터링 하는 관리자용 단말기;
    상기 계원용 단말기로부터 입출금 정보를 전송받아 금융 정보를 관리 감독하는 중앙 서버;를 포함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용 단말기는
    다종의 동전을 판별하고 계수하며, 입력된 정보에 상응하는 개수의 동전을 인출하는 동전유니트;
    수표를 인식하기 위한 수표MICR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고객이 입출금 액수를 시각적으로 식별 하도록 권별 매수를 표시하는 계수표시기;를 더 포함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있어, 다수의 계원용 단말기가 공유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에 IP주소가 설정되어 있어, 상기 관리자용 단말기에서 시재를 모니터링 및 서로 다른 지점 간의 시재를 모니터링 하도록 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각 구성부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입출금을 지시하는 조작부;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 지폐를 인출하는 출금부; 이상 지폐를 반환하는 반환부; 지폐를 수납하는 입금부; 손상된 지폐를 회수하는 회수부; 지폐를 보관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는
    신권과 구권을 구별하여 지폐를 판별하는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8. 삭제
  9. 삭제
KR1020070057794A 2007-06-13 2007-06-13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 KR100870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794A KR100870242B1 (ko) 2007-06-13 2007-06-13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794A KR100870242B1 (ko) 2007-06-13 2007-06-13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841A KR20070072841A (ko) 2007-07-06
KR100870242B1 true KR100870242B1 (ko) 2008-11-27

Family

ID=38507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794A KR100870242B1 (ko) 2007-06-13 2007-06-13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24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99B1 (ko) 2009-02-10 2011-03-24 주식회사 신한은행 일반 계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084291B1 (ko) * 2009-02-10 2011-11-16 주식회사 신한은행 모출납 계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391303B1 (ko) 2013-01-15 2014-05-02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재 보관 장치 및 방법
KR101450620B1 (ko) 2013-06-03 2014-10-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의 시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44493A (ko)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579B1 (ko) * 2008-02-18 2010-06-29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계원용 수표 입출금장치 및 수표 입출금 처리방법
KR100981140B1 (ko) * 2008-02-20 2010-09-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모출납자동기를 이용한 시재금 입금방법
KR100979961B1 (ko) * 2010-05-19 2010-09-06 (주)일우아이티에스 다수 입출금기를 통한 환전업무의 통합 관리시스템
KR101705413B1 (ko) * 2014-12-02 2017-02-0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및 금융 시스템
CN108765790A (zh) * 2018-05-24 2018-11-06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银行自助终端及异物取回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466A (ko) * 2004-02-19 2005-08-24 에이피텍시스템 주식회사 금융 복합기
KR20060078447A (ko) * 2004-12-31 2006-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에서 지폐 출금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지폐 출금 제어 방법
KR20060091820A (ko) * 2005-02-15 2006-08-22 엘지엔시스(주) 금융처리시스템 및 지폐입출금기
KR20060125284A (ko) * 2005-06-02 2006-12-06 엘지엔시스(주) 은행 계원용 복합 단말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466A (ko) * 2004-02-19 2005-08-24 에이피텍시스템 주식회사 금융 복합기
KR20060078447A (ko) * 2004-12-31 2006-07-0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에서 지폐 출금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지폐 출금 제어 방법
KR20060091820A (ko) * 2005-02-15 2006-08-22 엘지엔시스(주) 금융처리시스템 및 지폐입출금기
KR20060125284A (ko) * 2005-06-02 2006-12-06 엘지엔시스(주) 은행 계원용 복합 단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099B1 (ko) 2009-02-10 2011-03-24 주식회사 신한은행 일반 계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084291B1 (ko) * 2009-02-10 2011-11-16 주식회사 신한은행 모출납 계원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391303B1 (ko) 2013-01-15 2014-05-02 기산전자 주식회사 시재 보관 장치 및 방법
KR101450620B1 (ko) 2013-06-03 2014-10-14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의 시재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044493A (ko) 2018-10-19 2020-04-29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스마트 금융 시재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2841A (ko) 200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242B1 (ko) 계원용 현금 자동 입출금기를 이용한 금융 시스템 및 시재 관리 방법
JP5539112B2 (ja) 有価媒体処理装置および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
JP2726551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KR20070105930A (ko) 지폐처리장치
WO2011039872A1 (ja) 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
JP2013020492A (ja) 現金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04318518A (ja) 紙幣運用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946283B2 (ja) 現金処理装置
US20110137453A1 (en) Valuable media management system and valuable media management method
JP2005071015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JP3519043B2 (ja) 釣銭機、釣銭機管理装置、在高管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361383B2 (ja) 現金処理装置
JP3297218B2 (ja) 自動取引装置
JP5490583B2 (ja) 貨幣処理装置
JP6750337B2 (ja) 現金処理装置
JP6435954B2 (ja) 現金処理装置
JP6277747B2 (ja) 入出金装置及び入出金プログラム
JP6208007B2 (ja) 現金入出金機、売上金回収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191504A1 (en) Money processing system and money processing method
JPH0573770A (ja) 店舗出納システム
JP7326961B2 (ja) 現金処理装置
JP2714371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JP2006260413A (ja) 現金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現金処理機と自動取引装置
US20110137431A1 (en) Valuable media management system and valuable media management method "
JPH10241014A (ja) 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