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9943B1 -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9943B1
KR100869943B1 KR1020080076611A KR20080076611A KR100869943B1 KR 100869943 B1 KR100869943 B1 KR 100869943B1 KR 1020080076611 A KR1020080076611 A KR 1020080076611A KR 20080076611 A KR20080076611 A KR 20080076611A KR 100869943 B1 KR100869943 B1 KR 100869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heet
box
fixed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8007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응조내에 다수개의 격벽을 서로 엇갈리게 고정하고, 격벽에 확장벽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며, 반응시트에 질산화균과 탈질화균을 부착시켜 격벽 사이에 위치시킨다음 물이 지나가게 하여 순차적으로 질산화와 탈질이 이루어지게 하고, 원하는 농도가 나오지 않으면 피드백 시킬 수 있는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유입구(3)와 배출구(4)가 형성된 반응조(1)의 벽체(2) 내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다수개의 벽체(11)가 형성되고, 벽체(11)의 단부에 수납홈(12)이 형성되는 격벽(10); 벽체(21)의 일단이 격벽(10)의 수납홈(1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확장벽(20); 고정축(31)으로 롤러봉(32)의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확장벽(20)의 단부에 고정되고, 롤러봉(32)의 상하부에 이탈방지판(33)이 고정축(31)에 고정되는 가이드롤러(30); 격벽(10)의 벽체(11) 상단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41)의 단부가 확장벽(20)의 벽체(21) 상면 단부에 고정되어 확장벽(2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40); 반응조(1)의 유입구(3)와 배출구(4)의 인접한 곳에 각각 설치되고, 케이스(51) 내부에 중심봉(54)이 모터(55)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모터(55)는 전원공급부(56)에 연결되고, 전원공급부(56)에는 무선스위치가 설치되어 제어박스(70)와 무선연결되며, 케이스(51) 일측에 수직으로 슬릿홀(52)이 형성되어 중심봉(54)에 일단이 고정된 반응시트(60)가 외부로 공급되거나 수납되는 시트박스(50); 플렉시블한 다공성 시트(61)의 양면에 균체(62)가 부착되고, 균체(62)는 유입구(3)쪽 시트박스(50)의 시트(61)에는 질산 화균이 부착되며, 배출구(4)쪽 시트박스(50)의 시트(61)에는 탈질화균이 부착되는 반응시트(60); 제어부가 설치되어 질소 인 측정장치(80)의 측정값에 따라 삼방향밸브(90)와 두개의 시트박스(50)의 모터와 확장벽(20)을 동작하는 실린더(40)를 동작시키도록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고, 내부에 에어컴프레서가 내장되어 실린더(40)와 연결되되 연결호스는 반응조(1) 외벽을 둘러싸는 보호관체(72)에 의해 보호되며, 박스체 외부의 제어패널(71)에 의해 설정값을 변경하는 제어박스(70); 반응조(1)의 배출구(4)로 부터 배출되는 물에서 질소와 인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박스(70)의 제어부로 보내지는 질소 인 측정장치(80); 질소 인 측정장치(80)의 측정값에 의하여 배출구(4)로 배출되는 물이 침전지(100) 또는 반응조(1)의 유입구(3)로 선택되어 보내지도록 설치된 삼방향밸브(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응조, 반응시트, 탈질, 질산화, 격벽, 확장벽

Description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Apparatus of foul water handling}
본 발명은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응조내에 다수개의 격벽을 서로 엇갈리게 고정하고, 격벽에 확장벽을 길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하며, 반응시트에 질산화균과 탈질화균을 부착시켜 격벽 사이에 위치시킨다음 물이 지나가게 하여 순차적으로 질산화와 탈질이 이루어지게 하고, 원하는 농도가 나오지 않으면 피드백 시킬 수 있는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하수처리는 하수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처리방식에 따라 1차 처리, 2차 처리, 3차 처리로 분류된다. 1차 처리는 하수중에 부유하는 물질이나 침강성 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력침강 및 부상분리 등의 시설이 이용되며 대개 하수처리장에서 최초 침전지까지의 공정이고, 2차 처리는 하수중에 녹아있는 유기물 및 1차 처리에서 처리되지 않는 유기성 고형물의 제거를 목적으로 생물학적 처리방식이 주로 이용되며, 방식에 따라 처리효율에 차 이가 있지만 대개 80%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낸다. 3차 처리는 물리, 화학, 생물학적 처리방식을 조합하여 2차 처리에서 제거되지 않은 유기물 이외에 질소, 인과 같은 영양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의 처리과정이다.
보통 도시 하수처리에는 생물학적 2차 처리가 주로 채택되며, 1차 처리로 유입하수를 스크린 등의 필터에 의해 협잡물을 걸러내고, 침사지에서 입경 0.2∼0.1㎜의 모래 또는 무기물을 침전시켜 제거한다. 최초 침전지는 부유성 고형물을 중력침전으로 제거하는 시설로 여기에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 SS(suspended solids) 각각 30%, 40% 정도가 제거된다.
2차 처리 과정으로 포기조에서는 최초 침전지의 유출수를 미생물과 함께 포기시키므로서 미생물의 대사작용에 의하여 유기물을 분해 및 제거한다. 이때 포기조에 미생물의 농도는 1000∼3000 ㎎/L정도로 유지되며, 미생물과 하수는 최종 침전지에서 고체와 액체로 분리되어 상등수는 방류되며, 침전된 슬러지는 일부 포기조로 반송시키고, 나머지는 슬러지 처리시설을 거쳐 처리된다.
고도처리는 통상의 유기물제거를 주목적으로 하는 2차 처리에서 얻어지는 처리수질 이상의 수질을 얻기 위하여 행해지는 처리이다. 종래에는 3차 처리라고 하였으며, 이는 활성슬러지법 등에 의한 2차 처리를 행한 후 부가적으로 수행되는 처리를 의미하였지만, 최근에는 수처리 기술의 개발에 의하여 단독 공정으로도 2차 처리 이상의 수질을 얻을 수 있는 처리기술들이 많이 등장하였기 때문에, 3차 처리라는 용어 대신에 고도처리 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되었다.
특히, 고도처리의 이유는 방류 수역의 수질 환경기준의 달성하기 위한 것으 로 도시하천과 같이, 고유 수량이 적고 하수처리수로서 수량의 대부분이 점유되는 경우와, COD(chemical oxygen demand)의 총량규제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방류수역의 수질환경기준 혹은 COD의 방류 규제치를 달성하기 위하여 BOD 또는 COD를 대상으로 하는 고도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폐쇄성 수역의 부영양화를 방지하기 위해, 만의 안쪽 및 호소 등과 같은 폐쇄성 수역에서는, 적조 또는 수화(water bloom) 등 플랑크톤의 발생 등에 의한 이수상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그 원인이 되는 질소, 인의 유입부하량을 줄여야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폐쇄성 수역에 처리수를 방류하는 경우에는 질소, 인을 대상으로 하는 고도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하수나 폐수처리시설에서 설치되는 고도처리용 반응조는 유입 하수나 폐수가 일정 시간동안 체류하면서 투입된 약품이나 미생물과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반응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반응조는 콘크리트나 금속 등과 같은 내구성 재료로 이루어지므로 일단 설치된 반응조는 반응공간을 처리량에 따라서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었다. 또한, 하폐수 처리시설을 구축할 경우에는 장래의 처리량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계획하에서 충분한 크기의 반응공간을 갖는 반응조를 주로 설계하여 설치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장래의 처리량을 고려하여 반응조를 설치하게 되면, 초기에는 설계용적의 절반 정도밖에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최적의 조건으로 설계된 운전인자를 만족시키기 못하기 때문에 정상적인 운전이 곤란하였고, 또한 종래의 고 정식격벽이 구비된 반응조는 유입 하폐수의 유량이나 부하 농도에 따라 적절히 대응할 수 없었고, 반응조의 내부의 흐름을 임의적으로 변경시키는 것도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생물학적 처리의 핵심역할을 하는 미생물은 세균류, 진균류, 원생동물 및 후생동물의 각기 다른 개체군의 미생물에 의해서 구성되는 혼합 배양체로서, 폐수중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를 이용하고, 유기성 오염물질을 분해 및 제거하여 영양 성분으로 증식하여 하폐수를 정화시킨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하수처리 및 축산폐수 처리방법은 활성 슬러지 공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활성 슬러지공법을 이용할 경우에, 대부분의 현탁 고형물질과 유기물은 제거될 수 있으나, 질소나 인과 같은 영양염류 물질의 처리는 10∼20%에 불과하다. 하천이나 연안 바다, 호수 등의 수역에 있어서, 질소나 인등의 영양염류가 증가하면 부영양화 현상이 발생된다. 부영양화 현상은 영양염류를 영양소로 하는 생물의 생산을 활성화시켜서 자연의 생태계를 변화시키게 되고, 해역에서는 적조 발생의 한 원인이 되며, 호수에서는 조류 등의 이상증식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자연계에 있어서는 원만하게 진행되지만, 생활하수, 축산폐수, 공장폐수 등이 대량으로 유입되면 영양염이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조류의 대량번식으로 수자원으로서의 가치가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부영양화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고, 심하면 부패물에 의해 악취가 나며, 수질오염이 촉진된다. 따라서, 수계보호를 위한 하폐수 처리의 목적이 질소와 인의 제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강화될 규제 농도에 부합된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 한 실정이다.
질소 화합물을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반응은 질소화합물들을 산화시키는 호기상태의 질산화과정과 산화된 상태(NO2-,NO3-등)의 질소 화합물을 가스상태의 질소 가스로 만들어 탈기시키는 무산소상태의 탈질산화 과정이며, 인화합물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은 혐기성 상태에서 미생물내에 있는 인을 체외로 방출시키는 인방출과 인을 과잉 섭취하는 호기상태가 요구된다. 종래에 질소, 및 인과 같은 영양염류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수중 유기물질량의 척도), 및 부유물질(SS; 수중부유물질량)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에 영양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시설을 부가적으로 설치하고 운전방식의 변형을 통하여 달성되므로, 시설물의 규모가 수배까지 커지는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질소와 인을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호기상태, 및 무산소 혐기성의 요구환경을 모두 갖추어야 하는데 기존의 방법들은 각각의 반응조를 시간적으로 구분하여 이들을 처리하였다. 또한, 질소화합물을 처리하는데 요구되는 질산화 반응은 탈질 반응보다 시간이 더 걸리기 때문에, 기존의 공정에서는 유입수내의 질소농도가 높아지게 되면 유출수의 질소화합물의 농도가 설정값을 초과할 수 있어 질화반응을 유도하는 호기반응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종래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회분식 활성슬러지 공법은 포기나 원수 유입방식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나, 부영양화의 원인물질인 질소나 인의 안정적 처리가 어렵고, 단속적으로 유입(연속 유입의 상대적 개념으로서 한 공정 중 일부의 시간만 유입되는 형식임)되는 fill-and-draw방식이므로 원수조(포기, 침전, 반 응 기간에 유입되는 원수를 모아두는 시설)의 크기가 매우 커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질소와 인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회분식 활성슬러지 공법을 개선한 방법이 한국특허공개 1999-0045959호에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원수의 유량에 따라 유입 및 포기공정에서 하폐수가 반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유입 및 포기함으로써 미생물에 필요한 산소를 단속적으로 주입하여 호기조건(자유산소 및 결합산소(NO2-N, N03-N)가 수중에 존재하는 상태), 무산소조건(결합산소만 존재하는 상태), 혐기조건(자유산소와 결합산소가 존재하는 않는 상태)를 만들어 질소와 인을 제거할 있는 환경을 조정한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유량에 따른 원수 유입 및 포기를 간헐적으로 조절할 뿐이므로, 여전히 간헐적 포기로 인해 포기조내의 미생물에 대한 생육 및 활성이 불충분할 수 있고 유입원수의 유량 및 농도에 따른 조절이 어려우므로, 포기조내 활성 슬러지 상태를 최적화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반응조 내에 다수개의 격벽을 설치하고, 격벽에 확장벽을 두어 유량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두개의 시트박스를 설치하여 유입구에 위치한 시트박스에는 질산화를 위한 균체가 부착된 반응시트가 감겨있고, 배출구에 위치한 시트박스에는 탈질을 위한 균체가 부착되어 배출구를 통과한 물의 질소와 인의 농도를 측정하여 수질 조건에 미달하면 다시 삼방향밸브에 의해 유입구로 되돌리게 하는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질산화를 위한 시트박스와 탈질을 위한 시트박스 내에 내장된 각각의 반응시트 길이를 조절하고, 확장벽의 길이를 조절하여 유량조건에 따라 질산화와 탈질에 대한 작업시간과 반응조 내의 작업범위를 선택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반응조의 벽체 내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다수개의 벽체가 형성되고, 벽체의 단부에 수납홈이 형성되는 격벽; 벽체의 일단이 격벽의 수납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확장벽; 고정축으로 롤러봉의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확장벽의 단부에 고정되고, 롤러봉의 상하부에 이탈방지판이 고정축에 고정되는 가이드롤러; 격벽의 벽체 상단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의 단부가 확장벽의 벽체 상면 단부에 고정되어 확 장벽을 이동시키는 실린더; 반응조의 유입구와 배출구의 인접한 곳에 각각 설치되고, 케이스 내부에 중심봉이 모터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모터는 전원공급부에 연결되고, 전원공급부에는 무선스위치가 설치되어 제어박스와 무선연결되며, 케이스 일측에 수직으로 슬릿홀이 형성되어 중심봉에 일단이 고정된 반응시트가 외부로 공급되거나 수납되는 시트박스; 플랙시블한 다공성 시트의 양면에 균체가 부착되고, 균체는 유입구쪽 시트박스의 시트에는 질산화균이 부착되며, 배출구쪽 시트박스의 시트에는 탈질화균이 부착되는 반응시트; 제어부가 설치되어 질소인 측정장치의 측정값에 따라 삼방향밸브와 두개의 시트박스의 모터와 확장벽의 실린더를 동작시키도록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고, 내부에 에어컴프레서가 내장되어 실린더와 연결되되 연결호스는 반응조 외벽을 둘러싸는 보호관체에 의해 보호되며, 박스체 외부의 제어패널에 의해 설정값을 변경하는 제어박스; 반응조의 배출구로 부터 배출되는 물에서 질소와 인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박스의 제어부로 보내지는 질소 인 측정장치; 질소 인측정장치의 측정값에 의하여 배출구로 배출되는 물이 침전지 또는 반응조의 유입구로 선택되어 보내지도록 설치된 삼방향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질산화균이 시트 양면에 부착된 유입구쪽 시트박스와 탈질화균이 시트 양면에 부착된 배출구쪽 시트박스의 반응시트가 서로 연결되어 상 대적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질산화의 탈질 반응의 시간과 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배출구에서 측정되는 질소와 인의 농도에 따라 다시 유입구로 되돌려 질산화가 필요 없으면 질산화균이 부착된 반응시트를 시트박스로 수납시켜 반응조 전체를 탈질 반응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벽을 줄여 유속을 증대시켜 작업시간을 필요한 만큼 감축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반응조를 질산화와 탈질화를 위한 호기조와 무산소조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반응조(1)의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10)을 서로 엇갈리게 마주보는 벽체에 고정되고, 격벽(10)에 확장벽(20)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확장벽(20)의 단부에는 가이드롤러(3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격벽(10)의 상면에 실린더(40)가 고정되되 실린더로드(41)는 확장벽(20) 상면의 단부에 고정되며, 시트박스(50)에 반응시트(60)가 인출가능하도록 내장되어 반응조(1)의 유입구(3)와 배출구(4)쪽 에 각각 설치되고, 유입구(3)쪽 시트박스(50)에 내장되는 반응시트(60)에는 질산화균이 부착되되 배출구(4)쪽 시트박스(50)에 내장되는 반응시트(60)에는 탈질화균이 부착되어 서로 연결되며, 반응시트(60)는 가이드롤러(30)에 의해 안내되고, 반응조(1)의 외벽에 제어박스(70)가 설치되어 실린더(40)와 시트박스(50)의 작동을 제어하여 실린더(40)의 실린더로드(41)가 늘어나는 만큼 시트박스(50)의 모터를 작동시켜 반응시트(60)가 인출되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또한 배출구(4)에서 배출되는 물의 질소와 인의 농도를 측정하여 설정된 농도 이하여만 삼방향밸브(90)에 의하여 침전지(100)로 보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격벽(10)은 반응조(1)의 폭방향으로 유입구(3)와 배출구(4) 사이를 서로 엇갈리게 벽체(11)가 막도록 형성되고, 격벽(10)의 길이는 반응조(1)의 폭의 절반 정도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수개의 벽체(11)의 단부에는 수납홈(12)이 형성되어 수납홈(12) 내부로 확장벽(20)이 삽입되게 된다.
확장벽(20)은 벽체(21)의 일단이 격벽(10)의 수납홈(1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확장벽(20)의 상하단에는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다.
확장벽(20)이 격벽(10)의 수납홈(12)에서 최대한 노출되도록 이동하면 반응조의 다른쪽 벽면에 거의 닿을 정도로 길이를 형성한다. 반응조(1)로 들어온 하수는 격벽(10)과 확장벽(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거리가 길어지고 체류시간이 늘어난다.
확장벽(20)의 일단은 격벽(10)의 수납홈(12)에 삽입되고, 확장벽(20)의 타단에는 가이드롤러(30)가 고정된다. 가이드롤러(30)는 벽체 단부에 고정축(31)으로 롤러봉(32)의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확장벽(20)의 단부에 고정되고, 롤러봉(32)의 상하부에 이탈방지판(33)이 고정축(31)에 고정된다. 이탈방지판(33)은 롤러봉(32)의 표면에서 이격되어 틈을 형성하고, 후술할 반응시트(60)의 일부가 그 틈으로 들어가 상단 또는 하단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실린더(40)는 격벽(10)의 벽체(11) 상단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41)의 단부가 확장벽(20)의 벽체(21) 상면 단부에 고정되어 확장벽(20)을 이동시킨다. 실린더(40)는 공압에 의하여 작동하고,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호스는 제어박스(70) 내의 에어컴프레서로 연결되고, 에어호스는 보호관체(72)에 의하여 보호된다.
시트박스(50)는 반응시트(60)가 내장되었다가 인출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서, 두 개의 시트박스(50)가 반응조(1)의 유입구(3)와 배출구(4)의 인접한 곳에 각각 설치된다. 시트박스(50)는 케이스(51) 내부에 중심봉(54)이 모터(55)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모터(55)는 전원공급부(56)에 연결되며, 전원공급부(56)에는 무선스위치가 설치되어 제어박스(70)와 무선연결된다.
케이스(51) 일측에 수직으로 슬릿홀(52)이 형성되어 중심봉(54)에 일단이 고정된 반응시트(60)가 모터(55)의 작동으로 외부로 공급되거나 수납된다. 그리고 케이스(51)의 상부에는 커버(53)가 설치되어 내부의 반응시트(60), 모터(55), 전원공급부(56)를 보수할 수 있다.
이때 일측 시트박스(50)의 모터가 정회전을 하게 되면, 다른쪽 시트박스(50) 는 역회전을 하여 반응시트(60)를 감아주고 풀어준다. 하지만 확장벽(20)이 이동하여 반응시트(60)의 노출부위가 늘어나면 두개의 시트박스(50) 모터가 반응시트를 풀어주는 쪽으로 작동하여 노출되는 반응시트(60)가 늘어난다.
반응시트(60)는 플렉시블한 다공성 시트(61)의 양면에 균체(62)가 부착되어 이루어지고, 균체(62)는 유입구(3)쪽 시트박스(50)의 시트(61) 양면에는 질산화균이 부착되며, 배출구(4)쪽 시트박스(50)의 시트(61) 양면에는 탈질화균이 부착된다. 일측 시트박스(50)와 타측 시트박스(50)의 반응시트(60)는 서로 연결되어 일측이 감기면 타측이 풀리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이러한 반응시트(60)는 가이드 롤러(30)에 의하여 가이드된다. 그리고 반응시트(60)는 3개 정도가 하나의 시트박스(50) 중심봉(54)에 감겨져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반응시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그 사이를 통해 물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어박스(70)는 반응조(1)의 외벽에 설치되어 내부에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되고, 제어박스(70) 내의 제어부는 질소 인 측정장치(80)의 측정값에 따라 삼방향밸브(90)의 개폐 방향을 결정하고, 반응조(1) 내의 두개의 시트박스(50)의 모터를 무선으로 구동시켜 반응시트(60)의 길이를 결정한다. 그리고 확장벽(20)을 구동시키는 실린더(40)를 작동시키도록 에어컴프레서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부는 삼방향밸브(90)와 유선 연결되고, 시트박스(50)의 모터(55)와 무선연결된다.
제어박스(70)의 내부에 에어컴프레서가 내장되어 실린더(40)와 연결되되 연결호스는 반응조(1) 외벽을 둘러싸는 보호관체(72)에 의해 보호된다. 그리고 제어박스(70)의 박스체 외부에 형성된 제어패널(71)에 의해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다.
반응조(1)의 배출구(4)로부터 배출되는 물에서 질소와 인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질소 인 측정장치(80)가 설치되고, 그 측정값이 제어박스(70)의 제어부로 보내져 삼방향밸브(90)의 연결방향을 결정한다.
질소 인 측정장치(80)의 측정값에 의하여 배출구(4)로 배출되는 물이 침전지(100) 또는 반응조(1)의 유입구(3)로 선택되어 보내지는데, 두번째 반응조(1)로 보내지는 물은 어느정도 질소와 인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확장벽(20)을 격벽(10) 내부로 삽입시켜 유속을 증대시켜 효율을 증대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의 격벽과 확장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의 시트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의 시트박스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반응조 2 : 벽체
3 : 유입구 4 : 배출구
10 : 격벽 11 : 벽체
12 : 수납홈 20 : 확장벽
21 : 벽체 30 : 가이드롤러
31 : 고정축 32 : 롤러봉
33 : 이탈방지판 40 : 실린더
41 : 실린더로드 50 : 시트박스
51 : 케이스 52 : 슬릿홀
53 : 커버 54 : 중심봉
55 : 모터 56 : 전원공급부
60 : 반응시트 61 : 시트
62 : 균체 70 : 제어박스
71 : 제어패널 72 : 보호관체
80 : 질소 인 측정장치 90 : 삼방향밸브
100 : 침전지

Claims (1)

  1. 유입구(3)와 배출구(4)가 형성된 반응조(1)의 벽체(2) 내부에 서로 엇갈리도록 다수개의 벽체(11)가 형성되고, 벽체(11)의 단부에 수납홈(12)이 형성되는 격벽(10);
    벽체(21)의 일단이 격벽(10)의 수납홈(1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확장벽(20);
    고정축(31)으로 롤러봉(32)의 상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확장벽(20)의 단부에 고정되고, 롤러봉(32)의 상하부에 이탈방지판(33)이 고정축(31)에 고정되는 가이드롤러(30);
    격벽(10)의 벽체(11) 상단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41)의 단부가 확장벽(20)의 벽체(21) 상면 단부에 고정되어 확장벽(20)을 이동시키는 실린더(40);
    반응조(1)의 유입구(3)와 배출구(4)의 인접한 곳에 각각 설치되고, 케이스(51) 내부에 중심봉(54)이 모터(55)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모터(55)는 전원공급부(56)에 연결되고, 전원공급부(56)에는 무선스위치가 설치되어 제어박스(70)와 무선연결되며, 케이스(51) 일측에 수직으로 슬릿홀(52)이 형성되어 중심봉(54)에 일단이 고정된 반응시트(60)가 외부로 공급되거나 수납되는 시트박스(50);
    플렉시블한 다공성 시트(61)의 양면에 균체(62)가 부착되고, 균체(62)는 유입구(3)쪽 시트박스(50)의 시트(61)에는 질산화균이 부착되며, 배출구(4)쪽 시트박 스(50)의 시트(61)에는 탈질화균이 부착되고, 가이드롤러(30)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설치되는 반응시트(60);
    제어부가 설치되어 질소 인 측정장치(80)의 측정값에 따라 삼방향밸브(90)와 두개의 시트박스(50)의 모터와 확장벽(20)을 동작하는 실린더(40)를 동작시키도록 유선 또는 무선 연결되고, 내부에 에어컴프레서가 내장되어 실린더(40)와 연결되되 연결호스는 반응조(1) 외벽을 둘러싸는 보호관체(72)에 의해 보호되며, 박스체 외부의 제어패널(71)에 의해 설정값을 변경하는 제어박스(70);
    반응조(1)의 배출구(4)로 부터 배출되는 물에서 질소와 인의 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제어박스(70)의 제어부로 보내지는 질소 인 측정장치(80);
    질소 인 측정장치(80)의 측정값에 의하여 배출구(4)로 배출되는 물이 침전지(100) 또는 반응조(1)의 유입구(3)로 선택되어 보내지도록 설치된 삼방향밸브(9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KR1020080076611A 2008-08-05 2008-08-05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KR100869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611A KR100869943B1 (ko) 2008-08-05 2008-08-05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611A KR100869943B1 (ko) 2008-08-05 2008-08-05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9943B1 true KR100869943B1 (ko) 2008-11-24

Family

ID=4028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611A KR100869943B1 (ko) 2008-08-05 2008-08-05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99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405B1 (ko) 2014-10-27 2015-04-14 로스웰워터텍글로컬(주) 패키지강관을 이용한 연속회분식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CN115925052A (zh) * 2020-10-28 2023-04-07 马鞍山市华茂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厂污水处理设备的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191B1 (en) 2002-03-14 2003-06-18 Dae Yang Biotech Co Ltd Reaction tank with variable partition
KR100513108B1 (ko) 2005-03-29 2005-09-07 수엔비텍 주식회사 상하수도용 도류벽 또는 간벽
KR100647738B1 (ko) 2005-09-09 2006-11-23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정수장의 가변형 칸막이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6191B1 (en) 2002-03-14 2003-06-18 Dae Yang Biotech Co Ltd Reaction tank with variable partition
KR100513108B1 (ko) 2005-03-29 2005-09-07 수엔비텍 주식회사 상하수도용 도류벽 또는 간벽
KR100647738B1 (ko) 2005-09-09 2006-11-23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정수장의 가변형 칸막이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405B1 (ko) 2014-10-27 2015-04-14 로스웰워터텍글로컬(주) 패키지강관을 이용한 연속회분식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WO2016068431A1 (ko) * 2014-10-27 2016-05-06 로스웰워터텍글로컬(주) 패키지강관을 이용한 연속회분식 생물학적 하수고도처리 시스템 및 이의 구축 방법
CN115925052A (zh) * 2020-10-28 2023-04-07 马鞍山市华茂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加工厂污水处理设备的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1606B2 (en) Batch Styl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Biological Filtering Process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US9120038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design
EP0870732A2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wastewater.
CN102211835B (zh) 船舶用多重污废水处理装置
EP3209614B1 (en) Water treatment reactor
CN106315853B (zh) 一种氧化沟膜生物反应器及其污水处理工艺和应用
KR100704386B1 (ko) 고도처리용 반응조의 가변형 격벽
CN105439286B (zh)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KR101097144B1 (ko)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KR100940123B1 (ko) 부유접촉형 하수처리시설 장치
KR200381841Y1 (ko) 고도처리용 반응조의 가변형 격벽
KR101097139B1 (ko) 섬모볼담체 내장형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
KR100869943B1 (ko)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KR101366867B1 (ko) 하이브리드 공간분리기능과 콤팩트형 접촉여재를 이용한 산화구 개선시스템
JP2006289153A (ja) 汚水浄化方法及び装置
KR100935914B1 (ko) 2단 반응조를 갖는 고도 처리장치
US20220073390A1 (en) Fixed Biofilm Anaerobic-Aerobic Combined Reactor For Treating Wastewater
KR100537049B1 (ko)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KR200364601Y1 (ko) 미생물 반응교반기
KR101032068B1 (ko) 고효율 회분식 공정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195903B1 (ko)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ayser Activated sludge process
KR102031869B1 (ko) 고도처리 공정 포기 영역 구분 운전식 하·폐수 처리 시설 및 그 운영 방법
US11358890B2 (en) Water treatment reactors, systems and methods
EP2209747B1 (en) A plant for waste wat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