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7049B1 -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37049B1 KR100537049B1 KR10-2003-0019050A KR20030019050A KR100537049B1 KR 100537049 B1 KR100537049 B1 KR 100537049B1 KR 20030019050 A KR20030019050 A KR 20030019050A KR 100537049 B1 KR100537049 B1 KR 1005370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bioreactor
- internal
- sewage
- sedimen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629 microbiological culture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57 persistent organic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MDJDBSEMBIJBB-UHFFFAOYSA-N [O-][N+]([O-])=O.[O-][N+]([O-])=O.[O-][N+]([O-])=O.[NH6+3] Chemical compound [O-][N+]([O-])=O.[O-][N+]([O-])=O.[O-][N+]([O-])=O.[NH6+3] MMDJDBSEMBIJB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KMRRTOUMJRJIA-UHFFFAOYSA-N ammonia nh3 Chemical compound N.N XKMRRTOUMJRJI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06 ci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1 phase sepa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0 retrof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ZZORFUFYDOWNEF-UHFFFAOYSA-N sulfadimethoxine Chemical compound COC1=NC(OC)=CC(NS(=O)(=O)C=2C=CC(N)=CC=2)=N1 ZZORFUFYDOWNE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01D46/1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in multiple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8—Handling or mounting catalys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04—UV ligh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6)
- 다수의 반응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유입수의 흐름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구획벽이 설치되어 시간대별로 폭기 및 미폭기를 실시하는 생물반응조;상기 생물 반응조내의 적어도 한 반응공간의 구획벽간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하부 침전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벽과, 상기 차단벽에 고정되어 하부 침전공간과 상부 반응공간으로 구획하며 차단벽 하부쪽 수평류의 흐름에너지를 침전공간에 수직방향으로 고루 분산시켜 수직방향의 수류안정성을 확보하면서 침전공간으로의 유입과 침전에 의해 농도가 높아진 침전수를 생물반응조로 되돌리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 하류 유도형 정류경사판을 구비하며, 미생물 슬러지가 포함된 생물반응조 처리수가 그를 통해 유출되는 과정에서 슬러지 일부가 침전, 제거되어 슬러지 농도가 낮아진 처리수는 월류시켜 유출하고, 제거된 슬러지는 무동력으로 생물반응조로 되돌리는 내부 침전 분리수단;상기 내부 침전 분리수단을 통해 유출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미생물 슬러지를 최종적으로 침적시켜 제거하고, 상기 제거된 슬러지 일부를 상기 생물반응조로 반송시키기 위한 수단이 구비된 2차 침전지; 및상기 내부 침전 분리수단에 연결되며, 생물반응조내의 미생물량을 적정 유기물 부하율(F/M비)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2차 침전지로 유출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 농도에 따라 슬러지 유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슬러지 유출량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생물반응조는그의 구획벽중 대향하는 반응공간 사이의 구획벽 양단부가 터진 중앙분리벽으로 형성하고, 상기 중앙분리벽 일측의 반응공간에 설치되어 유입수에 수평순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평순환류 발생수단을 구비하여 유입수가 순환되도록 하는 수로형 반응조로 이루어지며,상기 내부 침전 분리수단은 반응조의 유입부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생물반응조는유입수 흐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공간분할벽이 설치되고, 상기 유입수가 유입되는 부위의 공간분할벽 일측에 순환펌프를 구비한 공간분할 반응조로 이루어지며,상기 내부 침전 분리수단은 공간분할벽 타측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슬러지 유출량 제어수단은내부 침전 분리수단상에 설치되어 유출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 농도를 계측하여 계측데이터를 송출하는 슬러지 농도계;상기 슬러지 농도계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외부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고도처리에 적합한 소정 슬러지 농도값과 비교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송출하는 콘트롤러; 및상기 내부 침전 분리수단에 설치되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동작하여 슬러지 유출량을 제어하는 슬러지 유출량 제어밸브를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침전 분리수단은차단벽의 상부 내측으로 연장되게 구비되어 슬러지 일부가 침전 제거된 상향류의 처리수가 월류하는 것을 방류하는 웨어; 및상기 웨어에 연결되어 그를 통해 방류된 처리수가 상기 2차 침전지로 흐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출수로를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차단벽 하부의 바닥 및 수면중 어느 한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정류경사판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주기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역세척공기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차단벽은 생물반응조 깊이의 1/3 ∼ 1/2정도의 높이를 가지고 수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슬러지 유출량 제어수단만으로 유기물부하율(F/M비)의 유지가 어려울 만큼 반응조내의 미생물량이 낮을 경우, 생물 반응조로 반송시켜 슬러지 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생물 반응조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생물반응조에서 배출된 슬러지를 침전 ·농축시켜 저류하기 위한 침전 ·농축저류조를 더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침전 분리수단의 정류경사판은2개조의 웨어 외단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며, 연장단부가 소정 각도만큼 내측으로 절곡된 연장면을 가지되, 일측 연장면이 타측 연장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향유출구를 갖는 호퍼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내부 침전 분리수단의 정류경사판은양 변의 길이가 다른 역 V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고 중첩하는 형태로 연속하여 설치되되, 짧은 변과 긴 변 사이가 터진 상향 유출구가 형성된 절곡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 1차 침전지를 거친 유입수를 생물반응조의 다수의 반응공간에 저류시켜 폭기를 실시하는 제1 단계;상기 생물반응조의 각 반응공간에서 생물학적 반응을 통해 얻어진 폭기액을 각 반응공간에 설치된 내부 침전 분리조에 유입하여 고액분리를 행하는 제2 단계;상기 내부 침전 분리조의 하부 침전공간에 침강된 슬러지는 수평류에 의해 생물반응조로 되돌려지고, 정류경사판을 통해 상향류를 형성하는 슬러지가 일부 제거된 처리수는 월류웨어로 유출하여 유출수로로 방류되는 제3 단계;상기 유출수로를 통과하는 처리수에 포함된 슬러지 농도를 슬러지 농도계로 계측하고, 계측된 데이터를 콘트롤러에 입력하는 제4 단계; 및상기 제4 단계 수행후, 콘트롤러는 고도처리에 적절한 슬러지 농도신호를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받고, 슬러지 농도계에서 계측된 값과 비교 연산하여 외부시스템을 통해 입력된 설정값범위 밖에 계측값이 존재할 경우, 슬러지 유량 제어밸브의 개폐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생물반응조내의 미생물량이 적정 F/M비로 유지되도록 유출량을 제어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계는생물반응조에 구획된 각 반응공간에 시간대별로 나누어 폭기와 미폭기를 반복시킴으로써 혐기조건, 무산소조건 및 호기조건으로 만들어 질소와 인의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를 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계는생물반응조의 반응공간을 구획하는 중앙 구획벽의 양단부를 터서 수로형 반응공간으로 개조하고, 1차 침전지로부터 유입수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수평류 발생펌프를 가동시키는 제7 단계; 및각 수로형 반응공간에 시간대별로 폭기와 미폭기를 실시하여 혐기조건, 무산소조건 및 호기조건으로 만들어 질소와 인의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를 행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방법.
-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계는생물반응조의 반응공간을 종방향으로 구획하여 공간분할 반응조로 개조하고, 공간분할된 반응조에 차별적으로 폭기를 실시하는 제9 단계; 및공간분할된 반응조 전단부에서 순환펌프를 가동시켜 후단부측으로 유입수를 보내어 내부 침전 분리조를 거치도록 하는 제10 단계를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방법.
-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5 단계는상기 슬러지 유출량 제어수단만으로는 적정 F/M비를 유지하기 어려울 만큼 반응조내의 미생물 농도가 낮을 경우, 상기 2차침전지의 반송라인을 통해 미생물량을 보충하는 제11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방법.
-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제5 단계는상기 슬러지 유출량 제어수단만으로는 적정 F/M비를 유지하기 어려울 만큼 반응조내의 미생물 농도가 낮을 경우, 상기 반응조 외부에 설치된 슬러지 침전·농축 저류시설내의 슬러지 반송펌프를 가동시켜 미생물량을 보충하는 제12 단계를 더 포함하는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30014258 | 2003-03-07 | ||
KR1020030014258 | 2003-03-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9802A KR20040079802A (ko) | 2004-09-16 |
KR100537049B1 true KR100537049B1 (ko) | 2005-12-16 |
Family
ID=37364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19050A KR100537049B1 (ko) | 2003-03-07 | 2003-03-27 |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3704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9034B1 (ko) * | 2005-04-19 | 2006-12-21 |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 슬러지 침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종 침전지의 슬러지 처리장치 |
JP5186826B2 (ja) * | 2007-07-30 | 2013-04-24 | Jfeスチール株式会社 | Pを含有する処理液の廃液濃度制御方法 |
KR101603406B1 (ko) * | 2014-04-03 | 2016-03-15 | 현대건설주식회사 | 초음파 발생기를 이용한 침전조 및 그 동작방법 |
CN110368720B (zh) * | 2019-08-30 | 2024-07-12 | 北京北排装备产业有限公司 | 一种水平流沉淀装置及其使用方法 |
KR102300795B1 (ko) | 2020-11-02 | 2021-09-13 | 양기혁 | 월류벽을 이용한 슬러지 제거장치 |
CN114212882B (zh) * | 2021-12-22 | 2024-03-22 |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乳品废水的mbbr处理方法 |
CN118561477B (zh) * | 2024-08-01 | 2024-11-26 | 晋江市隆盛针织印染有限公司 | 纺织染整废水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
-
2003
- 2003-03-27 KR KR10-2003-0019050A patent/KR10053704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79802A (ko) | 2004-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20047B2 (en) | Integrated multi-zon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CN110386740B (zh) | 一种污水二级处理系统及处理方法 | |
WO2013005913A1 (ko) | 복합 미생물반응조 및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1472421B1 (ko) | 일정 수위의 연속회분식 반응조 공정에서 높은 에너지 효율, 높은 유량, 낮은 운전 비용, 자동화된 스컴과 거품의 제거 / 파괴 및 공정 전환 방법을 갖춘 막을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과 방법 | |
CN110386723B (zh) | 一种基于mbbr与磁分离的污水自养处理系统与方法 | |
CN103068748A (zh) | 接触-稳定/初期-浮选混合 | |
KR101010053B1 (ko) | 하수 처리 장치 | |
CN110386724A (zh) | 一种基于mbbr与磁分离的污水全流程处理系统与方法 | |
KR101097144B1 (ko) |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 |
KR100331943B1 (ko) | 수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
KR100428047B1 (ko) | 역유입 슬러지를 이용한 오폐수 정화장치 및 방법 | |
KR100537049B1 (ko) | 내·외장 2단 침전지형 활성슬러지법에 의한 하수 및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KR101097139B1 (ko) | 섬모볼담체 내장형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 | |
JP2007237158A (ja) | 有機物と窒素含有化合物の同時分解による汚水の生物学的浄化方法 | |
CN213171940U (zh) | 模块化集成式高效污水处理系统 | |
CN210620521U (zh) | 一种基于mbbr与磁分离的污水自养处理系统 | |
CN210457847U (zh) | 一种基于mbbr与磁分离的污水全效处理系统 | |
KR20060024288A (ko) | 반응조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하수 및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CA2583752C (en) | Integrated multi-zon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EP4159691A1 (en) | Combined reactor for wastewater treatment | |
CN214142023U (zh) | 一种气升式内循环生物反应器 | |
KR100639649B1 (ko) | 담체를 이용한 다단유입식 영양염류제거장치 및 방법 | |
KR101375339B1 (ko) | 기존 산화구 반응조의 설계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치 | |
KR20120008209A (ko) | Snd를 적용한 mbr 반응조에서 격벽에 의한 하수고도처리 시스템 | |
KR100869943B1 (ko) | 유량변화에 대응하는 하수고도 처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5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