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903B1 -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903B1
KR100195903B1 KR1019960057325A KR19960057325A KR100195903B1 KR 100195903 B1 KR100195903 B1 KR 100195903B1 KR 1019960057325 A KR1019960057325 A KR 1019960057325A KR 19960057325 A KR19960057325 A KR 19960057325A KR 100195903 B1 KR100195903 B1 KR 100195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nitrification
nitrogen
wastewater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91A (ko
Inventor
박형인
유재군
Original Assignee
박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인 filed Critical 박형인
Priority to KR101996005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903B1/ko
Publication of KR97002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6Recirculation with an external loo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N) 및 인(P)의 제거방법, 좀더 상세하게는 호수나 하천의 부영향화의 원인이 되는 유기성 폐수내의 질소·인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연속화한 회분식의 생물학 처리공정을 채택함에 의해 유기성 폐수내의 질소·인을 제거하여 기준에 적합한 방류수를 얻을 수 있는 유기성 폐수내 질소·인의 생물학적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성 폐수Ⅰ는 탈질조(1)과 혐기조(2)에 일정 비율로 분배되어 유입되고 혐기조(2)와 질산화조(3)사이의 격벽에 삽설된 유입구 개폐 장치(5)에 의하여 일측의 질산화조(3)쪽으로 닫쳐지고 다른 질산화조(3A)쪽으로는 열려지면 혐기조(2)에서 질산화조(3A)로 폐수Ⅰ가 유입된다.
질산화조(3A)에서는 순환펌프(6A)에 의해 소정량의 질환된 순환액이 순환수로(7)를 통해서 다시 탈질조(1)로 순환된다. 이때 순환펌프(6A)의 토출측 배관에 삽설된 순환측 밸브(8A)는 열리고 배출측 밸브(9A)는 닫쳐진다.
한편 질산화조(3)로 부터는 처리가 완료된 처리액이 다음 공정을 위해 순환펌프(6)에 의해 1일 수시간 ~ 24시간동안 배출되며 이때 순환측 밸브(8)는 닫히고 배출측밸브(9)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입된 폐수Ⅰ가 탈질조(1), 혐기조(2), 질산화조(3A), 순환수로(7A)를 거쳐 다시 탈질조(1)로 순환 처리되어 처리가 완료되면 다시 개폐 장치(5)의 방향이 반대로 질산화조(3A)쪽은 닫히고 질산화조(3) 쪽으로 열리며, 동시에 순환펌프(6)의 순환측 밸브(8)가 열리고 배출측 밸브(9)가 닫히며, 한편 순환펌프(6A)의 순환측 밸브(8A)는 닫히고 배출측 밸브(9A)는 열리게 되므로 질산화조(3)으로부터 순환수로(7)을 통하여 탈질조(1)로 순환이 이루어지고 질산화조(3A)로부터는 처리액이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질소와 인의 동시제거, 각종부하를 낮추어 처리효율의 제고, 투입, 배출 펌프를 소형화하여 운전동력비, 시설투자비의 절감, 처리수의 총질소(TN)의 농도를 회분식에 비해 ½ ~ ⅓로 낮출수 있음, 질산화조의 용량조정 가능, 자유로운 MLSS 농도조정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2도는 원형 처리조의 모형도.
제3도는 각형 처리조의 모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탈질조 2 : 혐기조
3, 3A : 질산화조 4, 4A : 수중교반장치
5 : 개폐장치 6, 6A : 순환펌프
7, 7A : 순환수로 8, 8A : 순환측밸브
9, 9A : 배출측 밸브
본 발명은 유기성 폐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N) 및 인(P)의 제거방법 좀더 상세하게는 호수나 하천의 부영향화의 원인이 되는 유기성 폐수내의 질소·인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동시에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연속화한 회분식의 생물학 처리공정을 채택함에 의해 유기성 폐수내의 질소·인을 제거하여 기준에 적합한 방류수를 얻을 수 있는 유기성 폐수내 질소·인의 생물학적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 처리는 폐수에 용해되어 있는 오염물을 미생물이 흡수이용토록하여 분리가 가능한 미생물 균체화하고 이를 고액 분리함에 의한 것인바, 최근 호수나 하천의 부영향화의 주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 유기성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N)나 인(P)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회분식 또는 연속식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함으로서 수질기준에 적합한 방류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질소와 인의 제거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그 성질상 각기 다른 환경 조건이 필요하고 상호 경쟁적이거나 간섭을 하기 때문에 동시에 질소와 인을 제거하는 데에는 기술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즉, 생물학적으로 질소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우선 미생물(Nirtrosomonas 또는 Nitrobacter)의 작용으로 암모니아성 질소는 호기적 조건(Aerobic)에서 생물학적으로 산화하여 산화태질소(아질산성질소 또는 질산성질소)가 되고 다시 유기성 탄소가 존재하면서 무산소(Anoxic) 조건 즉 용존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조건하에서 탈질균에 의하여 질소가스(N2) 또는 아산화질소가스(N2O)로 환원되어 질소가 제거된다.
한편 폐수중의 인의 제거 메커니즘을 보면, 용존산소와 산화태질소(NO3-N, NO2-N)가 없는 절대 혐기적(Anaerobic) 조건하에서 미생물이 세포내에 갖고 있는 인을 방출하고 이어서 호기적(Aerobic) 조건에서는 미생물이 정상적으로 세포내에 갖고 있을 수 있는 인의 양보다 더 많은 과잉의 양을 섭취하는 현상(Luxury Uptake라 한다)을 이용한 것으로 이러한 혐기후 호기과정을 거쳐 과잉의 인을 섭취한 미생물을 고액분리에 의하여 슬럿지의 형태로 계외로 배출함으로 인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생물학적으로 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절대 혐기적조건후 호기성조건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질소와 인을 생물학적으로 동시에 제거하기 위하여는 서로 상반된 조건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또, 상술한 질소·인을 제거하기 위한 생물학적 처리방법에는 크게 회분식(SEQUENCING BATCH REACTOR : SBR) 방식과 연속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회분식 처리방식은 다음 그림과 같이 1개의 단일조에서 폐수의 투입, 혐기처리, 호기처리, 정치후 처리액 배출등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폐수의 투입과 처리액의 배출이 회분식으로 이루어지고 모든 공정이 1개조에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회분식처리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단점이 있다.
장 점
a) 1개의 단일조에서 질소, 인, BOD 제거가 이루어지므로 시설이 단순하고 운전 관리가 용이하다.
b) 1개의 조에서 혐기, 호기 등이 이루어지므로 유입수 성상에 따라 혐기, 호기시간의 조정이 용이하다.
c) 미처리된 폐수가 방류되는 일이 없다.
단 점
a) 혐기처리시에는 생물반응조 전체를 교반해야 하므로 교반설비가 연속방식에 비해 2~3배로 커지고 동력비가 많이 소요된다.
b) 투입과 인출을 단시간에 실시하므로 연속방식에 비해 대용량의 펌프 및 배관 설비가 소요되어 동력비가 많이 소요된다.
c) 매 단위공정이 회분식이므로 생물처리이후 매공정마다 저류용 탱크와 이송용 펌프등이 다종 필요하다.
d) 흐름이 단위 공정마다 단절되므로 자동화가 어렵고 복잡하다.
e) 일시에 1일 처리량이 투입되므로 투입초기에는 각종부하(BOD - MLSS, TN - MLSS등)가 과부하상태로 운전되고 말기 상태는 빈부하 상태로 운전되므로 처리효율이 나쁘다.
f) 순차적인 반응이므로 방류수의 질소농도가 유입총질소량을 생물반응조의 조용량으로 나눈 농도 이하로는 제거되지 않는다. 즉 일일유입된 질소가 암모니아성 질소에서 질산성질소로 형태만 바뀌어 방류된 결과가 된다.
따라서, 방류수의 질소농도를 더 저하시키기 위하여는 생물반응조의 용량을 그만큼 더 증대시켜야 한다.
g) 처리액 배출시 교반과 포기를 중지하므로 완벽한 호기조건이 갖추어지지 않기 때문에 미생물에 의한 인의 과잉섭취가 잘 일어나지 않으므로 인의 제거효율이 낮다.
한편, 연속처리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제안되고 또 실용화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위와 같은 연속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갖는다.
장 점
a) 유출과 유입이 24 시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펌프 및 배관설비가 소형화되어 초기 시설비가 적다.
b) 자동화하기가 용이하다.
단 점
a) 일정비율의 미처리된 원수가 필연적으로 방류된다.
b) 처리가 불량일때는 회복에 장시간이 소요된다.
c) 처리공정이 복잡하고 유지관리가 어렵다.
즉, 연속방식의 경우 어느 경우나 혐기성처리 무산소처리후 최종적으로 호기성처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폐수의 유입과 유출이 24시간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혐기성처리에서는 인이 방출되고 무산소처리에서 호기성처리에서 순환된 질산화액의 탈질, 호기성처리에서는 암모니아성 질소의 질산화처리가 수행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처리조를 형성하여 연속적 방식으로 회분식의 생물학적 반응조건을 만들어 줌으로서 회분식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질소와 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질소·인 제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의 개략도이며 콘크리트 구조물은 지형적 조건에 따라 원형(제2도) 또는 각형(제3도)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성폐수의 질소·인을 제거하기 위한 처리조를 설명하면, 유기성폐수(Ⅰ)의 유입구는 탈질조(1) 및 혐기조(2)에 유기성폐수가 일정 비율로 분배되어 유입되도록 하고, 혐기조(2)와 2개의 질산화조(3, 3A) 사이에는 교호로 개폐되도록 개폐장치(5)가 삽설되며, 각 질산화조(3, 3A)에는 포기장치가 구비되고, 순환펌프(6, 6A)가 각각 연결되며 순화펌프(6, 6A)에는 순환수로(7, 7A)통하는 순환측밸브(8, 8A)와 배출구(0)로 통하는 배출측밸브(9, 9A)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수로(7, 7A)는 탈질조(1)에 연결되어 있고, 탈질조(1) 및 혐기조(2) 내에는 수중교반장치(4, 4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질조(1), 혐기조(2), 질산화조(3, 3A)는 지형조건에 따라 원형 또는 각형 등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그 용적비도 폐수의 성상에 따라 1:2:4 또는 1:2:2의 비율로 구성하는 것이 처리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 이때 순환수로(7, 7A)는 처리조의 외측면에 설치함으로서 질산화조(3, 3A)에서 발생하는 거품이 순환수로(3, 3A)로 유출되어 순환액과 함께 탈질조(1)로 유입되기 때문에 거품의 소포화로 처리효율을 높힐 수 있다.
우선 유기성 폐수Ⅰ의 흐름을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성 폐수Ⅰ는 탈질조(1)과 혐기조(2)에 일정 비율로 분배되어 유입되고 혐기조(2)와 질산화조(3)사이의 격벽에 삽설된 유입구 개폐 장치(5)에 의하여 일측의 질산화조(3)쪽으로 닫쳐지고 다른 질산화조(3A)쪽으로는 열려지면 혐기조(2)에서 질산화조(3A)로 폐수Ⅰ가 유입된다.
질산화조(3A)에서는 순환펌프(6A)에 의해 소정량의 질환된 순환액이 순환수로(7)를 통해서 다시 탈질조(1)로 순환된다. 이때 순환펌프(6A)의 토출측 배관에 삽설된 순환측 밸브(8A)는 열리고 배출측 밸브(9A)는 닫쳐진다.
한편 질산화조(3)로 부터는 처리가 완료된 처리액이 다음 공정을 위해 순환펌프(6)에 의해 1일 수시간 ~ 24시간동안 배출되며 이때 순환측 밸브(8)는 닫히고 배출측밸브(9)가 열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유입된 폐수Ⅰ가 탈질조(1), 혐기조(2), 질산화조(3A), 순환수로(7A)를 거쳐 다시 탈질조(1)로 순환 처리되어 처리가 완료되면 다시 개폐 장치(5)의 방향이 반대로 질산화조(3A)쪽은 닫히고 질산화조(3)쪽으로 열리며, 동시에 순환펌프(6)의 순환측 밸브(8)가 열리고 배출측 밸브(9)가 닫히며, 한편 순환펌프(6A)의 순환측 밸브(8A)는 닫히고 배출측 밸브(9A)는 열리게 되므로 질산화조(3)으로부터 순환수로(7)을 통하여 탈질조(1)로 순환이 이루어지고 질산화조(3A)로부터는 처리액이 배출된다.
위와같이 유입폐수Ⅰ는 탈질조(1), 혐기조(2)를 거쳐 두 개의 질산화조(3), (3A)중 어느 한 조에서는 순환, 다른조에서는 처리액의 배출이 교호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총순환량은 유입폐수의 성상에 따라 유입폐수량의 2 ~ 8배 정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질소제거 메카니즘을 보면 탈질미생물은 탈질조(1)에서 유입된 폐수Ⅰ중의 BOD 성분을 영양원으로 하고 질산화조(3) 또는 (3A)로부터 순환되어온 질산성 질소를 전자수용체(Election acceptor)로하여 질산성질소는 질소가스로 대기중에 방출됨으로 질소가 제거되고, 한편 폐수Ⅰ 중에 포함된 킬달성 질소(유기성질소 + 암모니아성질소)는 혐기성소화조(2)를 거쳐 질산화조(3) 또는 (3A)로 유입되어 무기성탄소(CO2)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질산화균에 의해 아질산 또는 질산성 질소로 산화되어 순환펌프(6) 또는 (6A)를 통하여 다시 탈질조(1)로 순환되어 상기 설명한 것과 같은 질소제거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폐수Ⅰ 중에 포함된 인(P)은 혐기조(2)의 혐기성조건하에서 미생물이 인을 방출하고 질산화조(3) 또는 (3A)의 호기성조건하에서 더 많은 과잉의 인을 흡수(소위 Luxury Uptake 현상)하고 이를 슬릿지의 형태로 계외로 배출함으로 유기성폐수중의 인이 제거되게 된다. 이때 탈질과 인 제거에 각각 관여하는 미생물간의 영양원(유기성탄소)을 둔 경합을 피하기 위해서 원폐수를 탈질조뿐만 아니라 혐기조에도 일정비(예를 들면 탈질조 : 혐기조 = 5 : 1) 투입함으로 영양원 부족으로 인한 인 제거 관여 미생물의 활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연속회분식 처리방식을 채택함으로 회분식처리방식과 연속처리방식의 구조적 단점을 없애고 장점만을 취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질소 및 인의 동시 제거처리를 달성하는데 있는 것으로 특징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질소와 인의 동시 제거
종래의 처리법에서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는 인의 제거공정에서는 혐기조를 맨 처음에 두어 혐기조 → 탈질조(무산소조) → 질산화조(호기조)의 순으로 배열하였기 때문에 무산소조 또는 침전조로부터 순환된 순환액중에는 용존산소 또는 질산성질소가 존재하므로 완벽한 절대 혐기조건이 형성 안되어 혐기조에서의 인의 방출과 질산화조에서의 인의 과잉섭취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고 따라서 소정의 인의 제거 효율을 올리지 못하였다.
또한 혐기성조로 순환된 질산성질소는 유입수의 BOD물질(유기성탄소)을 영양원으로 탈질이 되기 때문에 인의 제거에 관여하는 미생물과 질소제거에 관여하는 미생물이 같은 유기성탄소를 두고 경합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인 제거에 관여하는 미생물이 질소제거에 관여하는 미생물에 의해 활성이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인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러한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우선 탈질조를 맨 처음에 두고 그 다음에 혐기조를 배열하여 질산화조로부터 순환되어온 질산성질소와 용존산소를 완전히 제거한후 다음 공정인 혐기조로 유입하게 함으로서 혐기조에는 용존산소 뿐만 아니라 질산성질소도 존재하지 않는 절대 혐기조건이 조성되어 효율적으로 미생물의 인이 방출됨이 확인되었다.
2. 각종부하를 낮추어 처리효율의 제고
회분식에서는 1일 투입량을 단시간에 투입함으로 투입초기에는 BOD-MLSS부하, TN-MLSS부하등이 과부하상태이고 처리말기에는 빈부하로 운전을 하는 결과가 되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1일 24시간연속 투입하면 그만큼 저부하 운전이 되어 처리효율이 훨씬 향상된다.
예를 들어 회분식에서 1일 처리량을 1시간에 투입할때에 비해 24시간 투입하면 1/24정도의 저부하운전이 가능하여 처리효율이 제고되었다.
3. 투입, 배출 펌프를 소형화하여 운전동력비, 시설투자비의 절감
1일 처리량을 24시간 연속투입하므로 투입펌프 용량이 회분식 처리인 경우 1시간에 걸쳐 투입할때에 비해 1/24로 축소시킬 수 있어 초기 시설투자 및 운전동력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질산화조, 탈질조, 혐기조를 구분하여 구획함으로(전체 생물처리 공정의 체류일수가 동일할 경우) 1조에서 시간차를 두고 교반과 포기를 하는 회분식방식에 비해 교반해야할 폐수량이 ½ ~ ⅓로 줄어듦으로 교반기의 동력이 그만큼 절감되어 시설투자 및 동력비가 대폭 절감되었다.
4. 처리수의 총질소(TN)의 농도를 회분식에 비해 ½ ~ ⅓로 낮출수 있었다.
회분식의 경우 유입수중의 총질소(주로 유기성질소 + 암모니아성질소)가 산화태질소(질산성질소 또는 아질산성질소)로 형태만 바꾸어진 형태로 방류되어 유입수와 방류수중의 총질소의 무게는 변화가 없었다.
결국 처리수의 총질소 농도는 (유입수의 총질소 무게) ÷ (폐수의 조내 체류일수)가 되어 체류일수가 일정 일수 이상이어야만 방류수 기준을 만족할 수가 있었다.
즉 폐수의 조내체류일수(=조용량 ÷ 1일 유입수량)가 처리수중의 질소농도를 좌우하는 것으로 이는 회분식 질소제거를 1개조에서 수행할 때 탈질에 필요한 유기탄소원을 원수자체가 갖고 있는 BOD성분을 이용해서 탈질할 때 전일 질산화된 폐수를 금일 유입된 BOD로 탈질하게 되므로 물리적으로 피할 수 없는 현상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질산화조와 탈질조를 구분하여 당일 유입된 질소는 당일 탈질되도록 질산화된 액을 내부 순환함으로 방류수의 질소농도를 대폭 낮출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연속식의 경우 폐수의 유입에서 배출가지 연속으로 이루어지며 폐수의 흐름은 압출류식(Plug Flow) 또는 완전혼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론상 미처리된 폐수가 일정비율 섞이어 유출되는 것이 필연적이며 완전 혼합의 경우 유로의 단락 등에 의해 미처리된 폐수가 다량 배출되어 버리는 현상(Carry Over)이 간혹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폐단을 없애기 위해 질산화조를 2개조 배열하여 1개조가 처리수를 배출할때는 다른조는 순환만 이루어져 미처리된 폐수가 배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였다. 즉 연속 배출하면서도 미처리된 배수가 방류되는 일은 없게 되는 것이다.
5. 질산화조의 용량조정 가능
처리액이 배출되고 있는 질산화조 조의 처리수 배출시간을 임의로 24시간 이내로 단축 조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는 단축된 시간만큼 폐수를 상기 질산화조로 유입시켜서 질산화를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질산화조의 용량을 거의 2배까지 늘릴 수 있는 융통성이 확보된다.
6. 자유로은 MLSS 농도조정
질산화조내의 적정 미생물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시에 후속공정인 침전조, 가압부상장치 등의 설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배출할 질산화조의 포기장치를 정지시키고 일정시간 정치후 상징액만 배출하면 농축오니의 반송없이도 질산화조의 적정 미생물 농도를 유지할 수가 있었다.
더나아가 처리액을 배출하는 질산화조의 포기설비를 정지시키고 일정시간 정치후 상징액만 배출하면 후속되는 침전조 또는 가압부상장치, 또는 여과장치의 고형물부하를 대폭 줄여서 이들의 처리능력 및 효율을 제고할 수 있고 별도의 슬럿지의 반송도 불필요하였다.

Claims (7)

  1. 수중교반장비(4)가 구비된 1개의 탈질조(1)와 수중교반장치(4A)가 구비된 1개의 혐기조(2) 및 포기장치가 구비된 2조이상의 질산화조(3, 3A)에서 유기성 폐수Ⅰ의 흐름이 탈질조(1) → 혐기조(2) → 질산화조(3, 3A)의 순으로 이루어지도록 조합하되 유기성 폐수Ⅰ의 투입이 탈질조(1)와 혐기조(2)로 동시에 일정 비율로 연속투입되며, 질산화조(3 또는 3A)에서 질산화된 폐수는 펌프 등의 수단에 의해 순환수로(7, 7A)를 경유하여 탈질조(1)로 순환되고 처리완료후는 질산화조(3A 또는 3)에서 펌프 등의 수단에 의해 계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수의 질소, 인 제거방법.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조이상의 질산화(3, 3A)중 1조에서는 처리가 완료된 1일분의 폐수가 다음공정의 처리를 위해 수시간 ~ 24시간에 걸쳐 연속배출되고 동시에 나머지 질산화조는 질산화된 폐수를 탈질조(1)로 순환하며 총순환량은 유입폐수량의 2~8배 정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수의 질소, 인 제거방법.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개조 질산화조(3A)에서 배출이 완료되면 교호로 다른 1개의 질산화조(3)에서 처리액이 1일 수시간 ~ 24시간동안 연속배출되고 나머지 질산화조(3A)에서는 질산화된 폐수가 탈질조(1)로 순환되며 상기와 같은 처리액의 배출과 질산화된 폐수의 순환이 순차적으로 반복되어 처리가 완료된 폐수가 배출되고 있는 질산화조(3, 3A)로는 혐기성조(2)로부터 폐수가 유입되지 않고, 순환되고 있는 질산화조(3A, 3)로만 폐수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수의 질소, 인 제거방법.
  4. 청구범위 제1항에서, 질산화조(3, 3A)에서 처리가 완료된 폐수를 배출할 때 후속공정(침전조, 가압부상장치등)에 상징수만을 배출하여 후속공정의 고형물 부하를 경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수의 질소, 인 제거방법.
  5. 유기성폐수(Ⅰ)의 유입구는 탈질조(1) 및 혐기조(2)에 유기성폐수가 일정 비율로 분배되어 유입되도록 하고, 혐기조(2)와 2개의 질산화조(3, 3A)사이에는 교호로 개폐되도록 개폐장치(5)가 삽설되며, 각 질산화조(3, 3A)에는 포기장치가 구비되고, 순환펌프(6, 6A)가 각각 연결되며 순환펌프(6, 6A)에는 순환수로(7, 7A)에 통하는 순환측밸브(8, 8A)와 배출구(0)로 통하는 배출측밸브(9, 9A)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순환수로(7, 7A)는 탈질조(1)에 연결되어 있고, 탈질조(1) 및 혐기조(2) 내에는 수중교반장치(4, 4A)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수의 질소, 인 제거장치.
  6. 청구범위 제5항에서, 탈질조(1), 혐기조(2), 질산화조(3, 3A)의 용적비가 폐수의 성상에 따라 1-2 : 2-4 : 4 의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수의 질소, 인 제거장치.
  7. 청구범위 제5항에서, 질산화조(3, 3A)에서 질산화된 폐수를 순환시키는 순환수로(7, 7A)를 처리조의 외측면에 설치하여 질산화조(3, 3A)에서 발생하는 거품이 순환수로(7, 7A)로 유출되어 순환액과 함께 탈질조(1)로 유입되어 소포가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수의 질소, 인 제거장치.
KR1019960057325A 1996-11-26 1996-11-26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0195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325A KR100195903B1 (ko) 1996-11-26 1996-11-26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325A KR100195903B1 (ko) 1996-11-26 1996-11-26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91A KR970020991A (ko) 1997-05-28
KR100195903B1 true KR100195903B1 (ko) 1999-06-15

Family

ID=19483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325A KR100195903B1 (ko) 1996-11-26 1996-11-26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9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33B1 (ko) * 2000-04-19 2003-07-04 주식회사 태영 무산소·혐기형 연속회분식 반응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방법
KR101939694B1 (ko) * 2018-06-18 2019-01-17 이응택 하·폐수 처리를 위한 2단 반응영역을 갖는 상향류 반응조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970B1 (ko) * 2001-08-21 2004-07-30 (주) 상원이엔씨 하폐수 처리장치
CN118458943B (zh) * 2024-07-15 2024-09-13 河南睿嘉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农药生产废水总氮检测处理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33B1 (ko) * 2000-04-19 2003-07-04 주식회사 태영 무산소·혐기형 연속회분식 반응장치와 이를 이용하는 생물학적 질소·인 제거방법
KR101939694B1 (ko) * 2018-06-18 2019-01-17 이응택 하·폐수 처리를 위한 2단 반응영역을 갖는 상향류 반응조 시스템 및 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91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5278C (en) Method and system for nitrifying and denitrifying wastewater
US5228996A (en) Method for treating waste water
US6136194A (en) Method and device for treating wastewater
US6787035B2 (en) Bioreactor for treating wastewater
US7001516B1 (en) Process for removing phosphorus from wastewater utilizing a triple bas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7547394B2 (en) Wastewater treatment with aerobic granules
EP0885175A1 (en) System for removing nutrients from wastewater
US6426004B1 (en) Continuous flow completely mixed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KR19980051067A (ko) 포스트립 공법을 개조한 생물학적 인 및 질소 동시 제거장치
CA2052152C (en) Denit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5605629A (en) Method for the removal of nutrients containing carbon, nitrogen and phosphorus
KR100489728B1 (ko) 복수조식의 연속회분식 하·폐수처리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0454362B1 (ko) 가변형 간벽이 설치된 연속 회분식 반응조 및 이를 이용한생물학적 하·폐수 고도처리방법
KR19990002774A (ko) 질소·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KR100195903B1 (ko) 유기성 폐수의 질소.인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210620529U (zh) 一种基于mbbr的主流自养脱氮改造系统
KR100463631B1 (ko) 연속유입 및 간헐배출식 하ㆍ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H11244891A (ja) 廃水の脱窒素処理方法と処理システム
JP3845515B2 (ja) 排水中の窒素及びリンの除去システムならびに除去方法
KR100527172B1 (ko) 축산폐수 및 분뇨등 고농도의 질소를 함유하는 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WO2000061503A1 (fr) Systeme de traitement d'eau du sol par boue activee et procede afferent
KR100357771B1 (ko) 질소 및 인 제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헐폭기식 원형산화구를 이용한하수의 고도처리 방법 및 장치
GB15634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waste water or sewage
KR200267140Y1 (ko) 고도 하수 처리 장치
KR20240086439A (ko) 탈질 반응조 및 sbr 반응조를 포함하는 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Early Opening

Patent event code: PG15011R01I

Patent event date: 199702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