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643B1 -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643B1
KR100868643B1 KR1020070072711A KR20070072711A KR100868643B1 KR 100868643 B1 KR100868643 B1 KR 100868643B1 KR 1020070072711 A KR1020070072711 A KR 1020070072711A KR 20070072711 A KR20070072711 A KR 20070072711A KR 100868643 B1 KR100868643 B1 KR 10086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image sensor
layer
deuterium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Priority to KR102007007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9MOS based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03Hydrogenation or deuterisation, e.g. using atomic hydrogen from a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Pixel isol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는 기판의 트렌치에 형성된 소자분리막; 상기 트렌치를 따라 형성된 대미지 회복층; 상기 대미지 회복층의 하측에 형성된 중수소 이온주입층; 및 상기 소자분리막의 일측에 형성된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미지센서, 씨모스 이미지센서, 소자분리막

Description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단면도.
도 2 내지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의 공정단면도.
실시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는 광학적 영상(optical image)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써, 크게 전하결합소자(charge coupled device: CCD)와 씨모스(CMOS; Complementary Metal Oxide Silicon) 이미지 센서(Image Sensor)(CIS)로 구분된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는 단위 화소 내에 포토 다이오드와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시킴으로써 스위칭 방식으로 각 단위 화소의 전기적 신호를 순차적으로 검출하여 영상을 구현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CIS소자는 빛 신호를 받아서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 영역(미도시)과, 이 전기 신호를 처리하는 트랜지스터 영 역(미도시)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의하면 소자분리막에 의해 액티브 영역이 설정되는 데, 이러한 소자분리막을 형성하기 위해 진행하는 식각공정 또는 이온주입공정 등에서 대미지(Damage)가 발생하며 이러한 대미지는 누설전류(Leakage Current)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소자분리막 형성공정 등의 열공정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는 등 공정 최적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실시예는 소자분리막을 형성공정 중에 발생하는 대미지(Damage)를 제거하여 누설전류(Leakage Current)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는 기판의 트렌치에 형성된 소자분리막; 상기 트렌치를 따라 형성된 대미지 회복층; 상기 대미지 회복층의 하측에 형성된 중수소 이온주입층; 및 상기 소자분리막의 일측에 형성된 포토다이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은 기판의 소자분리영역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를 포함하는 기판에 레이저 어닐링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어닐링된 트렌치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자분리막의 일측에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레이저 어닐링공정에 의해 소자분리막을 형성공정 중에 발생하는 대미지(Damage)를 제거하여 누설전류(Leakage Current)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중수소이온 주입에 의해 소자분리막의 계면에 발생한 결함과 결합하여 이미지센서의 동작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의 "상/아래(on/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아래는 직접(directly)와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씨모스이미지센서(CIS)에 대한 구조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씨모스이미지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CCD 이미지센서 등 소자분리막을 채용하는 모든 이미지센서에 적용이 가능하다.
(실시예)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는 기판(110)의 트렌치(T)에 형성된 소자분리막(160); 상기 트렌치를 따라 형성된 대미지 회복층(150); 및 상기 소자분리막(160)의 일측에 형성된 포토다이오드(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대미지 회복층(150)의 하측에 형성된 중수소 이온주입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에 의하면, 레이저 어닐링공정에 의해 소자분리막(160) 하측에 대미지 회복층(150)을 형성함으로써, 소자분리막(160) 형성공정 중에 발생하는 대미지(Damage)를 제거하여 누설전류(Leakage Current)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중수소이온 주입에 의해 상기 대미지 회복층(150)의 하측에 중수소 이온주입층(140)을 형성함으로써 소자분리막(160)의 계면에 발생한 결함과 결합하여 이미지센서의 동작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2와 같이 기판(110)의 소자분리영역에 트렌치(T)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패드산화막(120)과 패드질화막(130)을 식각마스크로 하여 상기 기판(110)의 소자분리영역 상에 트렌치(T)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T)를 형성하기 위한 식각공정(E)은 건식식각, 예를 들어 반응이온성식각(RIE)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상기 트렌치(T) 표면에 중수소이온 주입공정(I)을 진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중소수이온 주입공정(I)은 반드시 필수적인 공정은 아니다.
상기 중수소이온 주입공정(I)은 중수소 이온을 수직 주입각도가 20~45°이며, 4스텝 스캔으로 1~5KeV에 의해 이온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E16 dose/cm2 이상의 높은 주입량으로 중수소 이온을 주입을 한다. 이때, 이온 주입각도는 20~45 degree의 각도로 이온 주입하되, 4step으로 스캔하며, 표면에 근접하여 분포할 수 있도록 낮은 에너지로 주입한다.
상기 중수소 이온은 듀테륨이온(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중수소 이온은 트리툼이온(T+) 일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중수소이온 주입에 의해 중수소 이온주입층(140)을 형성함으로써 소자분리막(160)의 계면에 발생한 결함과 결합하여 이미지센서의 동작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중수소이온을 주입하여 향후 소자분리막(SiO2)(160)과 기판(110) 사이의 계면의 결함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이미지센서의 동작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트렌치(T)를 포함하는 기판(110)에 레이저 어닐링(A)을 실시한다.
상기 레이저 어닐링(A)을 실시하는 단계는 질소분위기에서 250~1000mJ/cm2의 에너지로 4방향 틸트어닐링과 수직방향 어닐링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의하면 RIE 또는 이온주입(Ion Implantation)에 의하여 생긴 대미지(Damage)를 복구하기 위하여 레이저어닐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빔은 스캔 방식일 수 있으며, 소자분리막(160) 표면에 고르게 조사될 수 있도록 4방향 틸트(Tilt)와 수직방향에서 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틸트각(Tilt angle)은 레이저 빔이 트렌치 바텀(bottom) 코너(corner)에 도달할 수 있는 각도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질소(N2) 분위기 하에서 250~1000mJ/cm2의 에너지로 표면과 코너(Corner)에 조사되어 대미지(Damage)가 제거될 수 있도록 레이저 어닐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레이저 어닐링공정(A)에 의해 상기 트렌치(T) 표면에 대미지 회복층(150)이 형성됨으로써, 소자분리막(160) 형성공정 중에 발생하는 대미지(Damage)를 제거하여 누설전류(Leakage Current)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중수소이온 주입공정(I)에 의해 트렌치(T)의 코너가 라운딩(R) 됨으로써 이후 진행되는 소자분리막(160)의 코너 라운딩이 되어 리키지 커런트 소스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5와 같이 상기 패드산화막(120), 상기 패드질화막(130)을 제거하고, 상기 레이저 어닐링된 트렌치(T)에 개필(gap fill)하여 소자분리막(160)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소자분리막(160)의 일측에 이온주입에 의해 포토다이오드(17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하기 된 청구항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레이저 어닐링공정에 의해 소자분리막을 형성공정 중에 발생하는 대미지(Damage)를 제거하여 누설전 류(Leakage Current)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의하면, 중수소이온 주입에 의해 소자분리막의 계면에 발생한 결함과 결합하여 이미지센서의 동작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기판의 소자분리영역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중수소이온 주입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트렌치 표면에 중수소 이온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중수소 이온주입층이 형성된 트렌치를 포함하는 기판에 레이저 어닐링을 실시하는 단계;
    상기 중수소 이온주입층이 형성되고 레이저 어닐링된 트렌치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소자분리막의 일측에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이온 주입공정은,
    중수소 이온을 수직 주입각도가 20~45°이며, 4스텝 스캔으로 1~5KeV에 의해 이온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수소 이온은
    듀테륨이온(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6. 제2 항, 4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어닐링을 실시하는 단계는,
    상기 레이저 어닐닝에 의해 상기 트렌치를 따라 대미지 회복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어닐링을 실시하는 단계는,
    질소분위기에서 250~1000mJ/cm2의 에너지로 4방향 틸트어닐링과 수직방향 어닐링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KR1020070072711A 2007-07-20 2007-07-20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86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711A KR100868643B1 (ko) 2007-07-20 2007-07-20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711A KR100868643B1 (ko) 2007-07-20 2007-07-20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643B1 true KR100868643B1 (ko) 2008-11-12

Family

ID=40284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711A KR100868643B1 (ko) 2007-07-20 2007-07-20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6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3224A3 (en) * 2015-06-12 2017-08-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549A (ko) * 2000-09-01 2002-03-08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반도체 장치 및 soi 기판
KR20030058576A (ko) *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60123255A (ko) * 2003-12-05 2006-12-0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KR20060127593A (ko) * 2005-06-08 2006-12-1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8549A (ko) * 2000-09-01 2002-03-08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반도체 장치 및 soi 기판
KR20030058576A (ko) * 2001-12-31 2003-07-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KR20060123255A (ko) * 2003-12-05 2006-12-01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반도체 기판의 제조 방법
KR20060127593A (ko) * 2005-06-08 2006-12-1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의 트렌치 소자 분리막 형성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13224A3 (en) * 2015-06-12 2017-08-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US10693023B2 (en) 2015-06-12 2020-06-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US11355658B2 (en) 2015-06-12 2022-06-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722B2 (en) Solid-state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94339B1 (ko) 이미징을 위한 포토센서의 다크 커런트 제거
JP5100988B2 (ja) イメージ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48661A (ko) 고체 촬상 장치, 카메라 및 고체 촬상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7288136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4554A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24585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64605A (ja) イメージセンサ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13178A (ja) Cmos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KR100868643B1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6506814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9110345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US20090179242A1 (en)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0194965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6093175A (ja)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06914B1 (ko) 반도체 소자의 격리영역 형성방법
JP2010103318A (ja) 半導体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固体撮像素子
US8089106B2 (en)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16914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954918B1 (ko)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CN114122038A (zh) 图像传感器的形成方法
KR100776162B1 (ko) 이미지 소자의 제조방법
JP2009194005A (ja)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JP2006165366A (ja) 光電変換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111769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