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296B1 - 압력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296B1
KR100867296B1 KR1020087015892A KR20087015892A KR100867296B1 KR 100867296 B1 KR100867296 B1 KR 100867296B1 KR 1020087015892 A KR1020087015892 A KR 1020087015892A KR 20087015892 A KR20087015892 A KR 20087015892A KR 100867296 B1 KR100867296 B1 KR 100867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iston
shaft portion
rotating shaft
axle h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5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2094A (ko
Inventor
히로시 이소노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23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2836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022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6263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05522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43866B2/ja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2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2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05Hubs with ball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Hubs with roller-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73Hubs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60C23/12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operated by a running wheel
    • B60C23/127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operated by a running wheel the pumps being mounted on the hu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 B60C23/12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operated by a running wheel
    • B60C23/137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operated by a running wheel comprising cam driven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in star- or fan-arrangement
    • F04B1/0404Details or component parts
    • F04B1/0413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00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1/04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in star- or fan-arrangement
    • F04B1/047Multi-cylinder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in star- or fan-arrangement with actuating or actuated elements at the outer ends of the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4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 F04B9/04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the means being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6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cams or eccentr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96Cam and slide
    • Y10T74/18304Axial cam
    • Y10T74/18312Gro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압력 생성 장치 (AP1) 는, 회전 불능인 원통 지지부 (11) 내에서 베어링 (12, 13) 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부 (21A) 를 구비한 차축 허브 (20) 와, 회전축부 (21A) 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펌프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펌프실 (Ro) 을 형성하는 피스톤 (30) 과, 차축 허브 (20) 의 원통 지지부 (11) 에 대한 회전 운동을 피스톤 (30) 의 펌프 작동으로 변환시키는 캠 부재 (41) 및 캠 종동자 (42) 를 구비함과 함께, 차축 허브 (20) 에 형성되어 펌프실 (Ro) 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 통로 (21d) 와, 차축 허브 (20) 에 형성되어 펌프실 (Ro) 로부터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토출 통로 (21e) 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압력 생성 장치{PRESSURE 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압력 생성 장치, 예를 들어 차량의 차축 허브에 의해 유지되며 회전 가능한 휠과, 동 휠에 장착되어 타이어 공기실을 형성하는 타이어를 구비한 차륜의 상기 타이어 공기실에,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압력 (공기압)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압력 생성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39118호에 나타나 있다. 이 공개 특허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압력 생성 장치 (타이어 공기압 조정 장치) 에 있어서는, 차량의 차축 허브를 회전 구동하는 차축과 함께 회전하는 부재에, 차축의 축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펌프 유닛을 배치하고, 이 펌프 유닛의 피스톤의 일단을 차륜의 회전에 대하여 비회전인 캠 부재의 사면에 맞닿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차륜의 회전에 따라 펌프 유닛의 피스톤이 왕복 운동하여 펌프 기능이 얻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공개 특허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압력 생성 장치의 구성에서는, 펌프 유닛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축심이 차축의 축심에 대하여 직경 외방으로 소정량 편심 (偏心)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의 일단과 맞닿는 캠 부재의 사면의 직경을 피스톤의 축심의 직경 방향 편심량에 상당하는 양 이상으로 해야 하고, 당해 압력 생성 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하여 차량에 대한 탑재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 휠 밸런스 (회전 밸런스) 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펌프 유닛의 중량을 상쇄하기 위한 카운터 웨이트 (밸런스 웨이트) 를 형성해야 하고, 이에 의해서도 당해 압력 생성 장치의 소형화를 곤란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여 압력 생성 장치의 소형화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당해 압력 생성 장치를, 회전 불능인 지지 부재 내에서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한 회전체, 이 회전체의 상기 회전축부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펌프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펌프실을 형성하는 펌프 작동체, 상기 회전체의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회전 운동을 상기 펌프 작동체의 펌프 작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실로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 통로,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실로부터 유체를 토출할 수 있는 토출 통로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차량의 차축 허브이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차축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이며, 상기 유체가 공기일 수도 있다. 또, 상기 펌프 작동체가 상기 회전축부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왕복동 (往復動)가능하게 장착되는 피스톤이고, 상기 운동 변환 기구가 상기 회전체의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회전 운동을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에는 상기 피스톤을 축방향에서 왕복동 가 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내 구멍이 동축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회전축부를 축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방향에서 이동 불능하게 관통하는 하중 전달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운동 변환 기구가 상기 하중 전달자의 피스톤 직경 방향 외단에 형성된 캠 종동자와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장착된 캠 부재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 상기 피스톤은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부의 바깥 둘레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에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축부 사이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을 축방향에서 왕복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 부재 사이에 상기 운동 변환 기구가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상기 회전축부에는 상기 피스톤을 상기 회전축부의 직경 방향에서 왕복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운동 변환 기구가,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 내 구멍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외단에 형성된 캠 종동자와,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장착된 원통 캠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또, 상기 캠 부재에는 상기 캠 종동자가 끼워 맞춰지는 캠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캠홈은, 상기 캠 종동자로부터 상기 회전축부의 축방향 하중과 직경 방향 하중을 받는 캠 면을 갖고 있어도 되고, 단면 형상이 V 자 형상일 수도 있다. 또, 상기 캠홈에 끼워 맞춰지는 상기 캠 종동자는 휠일 수도 있다.
또, 상기 하중 전달자는, 상기 피스톤을 피스톤 직경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회전축부에 형성된 축방향 긴 구멍에 의해 축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샤프트일 수 도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피스톤 내에서 2 분할되어 있고, 그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에 의해 피스톤 직경 방향의 외방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상기 축방향 긴 구멍과 상기 샤프트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가 상기 회전축부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축방향 긴 구멍을 따라 전동하는 롤러가 개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롤러에는 상기 캠 종동자를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회전체의 둘레 방향에서 상기 캠 종동자를 짝수 주기에서 축방향으로 왕복동시킬 수 있고, 주기수의 수만큼 상기 캠 종동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캠 부재는 상기 회전축부의 축방향으로 소정량 이간하여 형성된 왕동용 (往動用) 캠과 복동용 (復動用) 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캠 종동자는 상기 왕동용 캠에 걸어맞춤되는 왕동용 캠 종동자와, 상기 복동용 캠에 걸어맞춤되는 복동용 캠 종동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짝수 주기가 4 주기로서, 상기 왕동용 캠 종동자와 상기 복동용 캠 종동자가 둘레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왕동용 캠과 상기 복동용 캠은 각각 캠 링플레이트이고, 상기 왕동용 캠 종동자와 상기 복동용 캠 종동자는 각각 롤러이며, 각 롤러는 각 캠 링플레이트에 전동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상기 회전축부는, 축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지지 부재에 대한 회전체의 지지 강성을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과 상기 제 2 베어링 사이에 상기 운동 변환 기구가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 사이의 스페이스를 운동 변환 기구의 수용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 상기 제 1 베어링과 상기 제 2 베어링을 밀봉하기 위한 제 1 시일 부재와 제 2 시일 부재를, 상기 운동 변환 기구와 상기 양 베어링을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개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시일 부재와 제 2 시일 부재에 의해 제 1 베어링과 상기 제 2 베어링을 밀봉할 수 있음과 함께, 운동 변환 기구를 밀봉할 수 있고, 시일 부재의 공용화에 의해 당해 압력 생성 장치의 컴팩트화,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회전체가 지지 부재에 대하여 회전하면, 그 회전 운동이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펌프 작동체의 펌프 작동으로 변환되어 펌프 작동체가 펌프 작동한다. 이로써, 펌프실의 용적이 증감하고, 흡입 통로를 통과하여 펌프실로 흡입된 유체가 펌프실로부터 토출 통로를 통해 토출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회전체의 회전축부가 지지 부재 내에서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회전체의 회전축부에 대하여 펌프 작동체 (피스톤) 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펌프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펌프실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밸런스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회전체에 밸런스 웨이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당해 압력 생성 장치를 지지 부재 내에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1) 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에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압 생성 장치로서, 지지 부재로서의 너클의 일부인 원통 지지부 (11) 와, 회전체로서의 차축 허브 (20) 와, 펌프 작동체로서의 원주상의 피스톤 (30) 을 구비함과 함께, 차축 허브 (20) 의 원통 지지부 (11) 에 대한 회전 운동을 피스톤 (30) 의 왕복 운동 (도 1 의 상하 운동) 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캠 부재 (41) 및 2 개의 캠 종동자 (42) 와, 캠 종동자 (42) 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로드 (43) 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 지지부 (11) 는 축선 (Lo) 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선 (Lo) 주위에 회전 불능이며, 그 내부에는 차축 허브 (20) 의 회전축부 (21A) 가 1 쌍의 베어링 (12, 13) 과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4, 15) 를 통해 축선 (Lo)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액밀하게 지지되어 있다. 1 쌍의 베어링 (12, 13) 은,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 (축선 (Lo) 을 따른 방향) 으로 소정량 떨 어져 배치되어 있고, 캠 부재 (41) 를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원통 지지부 (11) 와 회전축부 (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차축 허브 (20) 를 원통 지지부 (11), 즉 너클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4, 15) 는,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캠 부재 (41) 와 양 베어링 (12, 13) 을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원통 지지부 (11) 와 회전축부 (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원통 지지부 (11) 와 회전축부 (2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차축 허브 (20) 는 허브 본체 (21) 와, 이 허브 본체 (21) 의 도 1 하단의 단부 바깥 둘레에 액밀하게 나선 장착된 슬리브 (2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허브 본체 (21) 는 회전축부 (21A) 와 고리형 플랜지부 (21B) 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축부 (21A) 에는 1 쌍의 축방향 긴 구멍 (21a) 과 실린더 내 구멍 (21b) 이 형성되고, 고리형 플랜지부 (21B) 에는 차륜 (도시 생략) 의 부착부 (21c) (자세한 것은 도시 생략) 가 형성되며, 회전축부 (21A) 와 고리형 플랜지부 (21B) 에는 흡입 통로 (21d) 와 토출 통로 (21e)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축방향 긴 구멍 (21a) 은, 피스톤 (30) 과 캠 종동자 (42) 와 로드 (43) 를 차축 허브 (20) 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차축 허브 (20) 에 있어서의 회전축부 (21A) 의 둘레 방향에서 180 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내 구멍 (21b) 은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피스톤 (30) 을 수용하고 있고, 피스톤 (30) 과 함께 회전축부 (21A) 내에 펌프실 (Ro) 을 형성하고 있다. 흡입 통로 (21d) 는 펌프실 (Ro) 로 공기를 도입 (흡입)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흡입 체크 밸브 (Vi) 가 개재되어 있다. 토출 통로 (21e) 는 펌프실 (Ro) 로부터 공기를 도출 (토출)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토출 체크 밸브 (Vo) 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펌프실 (Ro) 로부터 토출되는 가압 공기는 차축 허브 (20) 에 장착된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피스톤 (30) 은, 차축 허브 (20) 에 있어서의 회전축부 (21A) 의 실린더 내 구멍 (21b) 에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1,32) 를 통해 삽입되어 있고, 차축 허브 (20) 의 회전축부 (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피스톤 (30) 에는 고리형 홈 (30a) 과 피스톤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 (30b) 이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1,32) 는 피스톤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 (30) 의 축방향 단부에서 피스톤 (30) 과 회전축부 (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피스톤 (30) 과 회전축부 (21A) 사이를 기밀하게 및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고리형 홈 (30a) 은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1,32) 사이에서 피스톤 (30) 의 바깥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30) 과 회전축부 (21A) 사이에 고리형 공간 (R1) 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고리형 공간 (R1) 은 회전축부 (21A) 에 형성된 각 축방향 긴 구멍 (21a) 을 통과하여,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4, 15) 사이에 형성된 고리형 공간 (R2) 으로 연통하고 있다. 각 고리형 공간 (R1, R2) 은 피 스톤 (30) 이 축방향으로 왕복동하여도 용적이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서, 4 개의 시일 부재 (14, 15, 31, 32) 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 고리형 공간 (R1, R2) 등은 소요량의 윤활유를 수용하는 오일실로서, 이 오일실에는 베어링 (12, 13), 캠 부재 (41), 캠 종동자 (42), 로드 (43) 등이 수용되어 있다.
캠 부재 (41) 는 원통 지지부 (11) 에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능 또한 회전 불능하게) 형성된 원통 캠으로서, 축방향에서 연접한 1 쌍의 캠 슬리브 (41A, 41B)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부 (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캠 부재 (41) 는 고리형으로서 축방향으로 변동이 있는 캠부 (41a) 를 갖고 있고, 동 캠부 (41a) 는 캠홈으로서 캠 종동자 (42) 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캠부 (41a) 는 캠 종동자 (42) 로부터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 하중 (도 1 의 상하 방향 하중) 과 직경 방향 하중 (도 1 의 좌우 방향 하중) 을 받는 캠 면을 갖고 있고, 이 캠 면은 단면 형상이 V 자 형상으로서 회전축부 (21A) 의 둘레 방향에서 짝수 주기 (예를 들어, 2 주기) 로 형성되어 있다.
각 캠 종동자 (42) 는 로드 (43) 의 피스톤 직경 방향 외단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볼로서, 축선 (Lo) 에 직교하는 피스톤 직경 방향 단부에서 캠부 (캠홈) (41a) 에 걸어맞춤되어 있고, 캠 부재 (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함으로써 로드 (43) 와 함께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 (도 1 의 상하 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로드 (43) 는, 피스톤 (30) 의 관통 구멍 (30b) 에 피스톤 (30) 의 직경 방향 (관통 구멍 (30b) 의 축방향) 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중 전달자로서,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 긴 구멍 (21a) 에 대해서는,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 에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방향에서 이동 불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 1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1)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20) 가 원통 지지부 (11) 에 대하여 회전하면, 피스톤 (30) 과 로드 (43) 와 캠 종동자 (42) 가 차축 허브 (2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캠 부재 (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차축 허브 (20) 의 회전 운동을 피스톤 (30) 의 왕복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피스톤 (30) 의 왕복동에 의해 펌프실 (Ro) 의 용적을 증대·감소시킬 수 있으며, 흡입 체크 밸브 (Vi) 를 개재한 흡입 통로 (21d) 를 통해 공기를 펌프실 (Ro) 로 흡입하고, 펌프실 (Ro) 로부터 토출 체크 밸브 (Vo) 를 개재한 토출 통로 (21e) 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며, 이 토출 공기 (가압 공기) 를 차축 허브 (20) 에 장착되는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1)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20) 의 회전축부 (21A) 가 원통 지지부 (11) 내에서 베어링 (12, 13) 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차축 허브 (20) 의 회전축부 (21A) 에 대하여 피스톤 (30) 이 동축적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에서 왕복동 가능 (펌프 작동 가능) 하게 장착되어 회전축부 (21A) 에 노정되는 펌프실 (Ro)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밸런스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축 허브 (20) 에 밸런스 웨이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1) 를 원통 지지부 (11) 내에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1) 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1)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20) 의 회전축부 (21A) 가,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1 쌍의 베어링 (12, 13) 을 통해 원통 지지부 (11)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통 지지부 (11) 에 대한 차축 허브 (20) 의 지지 강성을 1 쌍의 베어링 (12, 13) 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또, 1 쌍의 베어링 (12, 13) 사이에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캠 부재 (41) 와 캠 종동자 (42) 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쌍의 베어링 (12, 13) 사이의 스페이스를 운동 변환 기구의 수용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1) 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1)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20) 의 회전축부 (21A) 와 원통 지지부 (11) 사이에, 캠 부재 (41) 와 양 베어링 (12, 13) 을 회전축부 (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1 쌍의 베어링 (12, 13) 을 밀봉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4, 15) 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4, 15) 에 의해 1 쌍의 베어링 (12, 13) 을 밀봉할 수 있음과 함께,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캠 부재 (41) 와 캠 종동자 (42) 를 밀봉할 수 있고, 시일 부재의 공용화에 의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1) 의 컴팩트화,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1) 에 있어서는, 피스톤 (30) 과 차축 허브 (20) 의 회전축부 (2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1,32) 가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됨과 함께, 차축 허브 (20) 의 회 전축부 (21A) 와 원통 지지부 (11)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4, 15) 가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이들 4 개의 시일 부재 (14, 15, 31, 32) 에 의해 밀봉되어 소요량의 작동유가 수용되는 오일실 (고리형 공간 (R1, R2)) 에는 베어링 (12, 13), 캠 부재 (41), 캠 종동자 (42), 로드 (43) 등이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슬라이딩부의 윤활성이 확보되고, 각 슬라이딩부에서의 슬라이딩 저항의 저감,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제 2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2) 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에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압 생성 장치로서, 지지 부재로서의 너클의 일부인 원통 지지부 (111) 와, 회전체로서의 차축 허브 (120) 와, 펌프 작동체로서의 원통상의 피스톤 (130) 을 구비함과 함께, 차축 허브 (120) 의 원통 지지부 (111) 에 대한 회전 운동을 피스톤 (130) 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원통 캠 (141) 및 캠 종동자 (142) 와, 피스톤 (130) 을 수용하는 실린더 부재 (150) 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 지지부 (111) 는 축선 (Lo) 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선 (Lo) 주위에 회전 불능이며, 그 내부에는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가, 1 쌍의 베어링 (112, 113) 과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14, 115) 를 통해 축선 (Lo)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액밀하게 지지되어 있다. 1 쌍의 베어링 (112, 113) 은,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 (축선 (Lo) 을 따른 방향) 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실린더 부재 (150) 를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에 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원통 지지부 (111) 와 회전축부 (1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차축 허브 (120) 를 원통 지지부 (111), 즉 너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14, 115) 는,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실린더 부재 (150) 와 양 베어링 (112, 113) 을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원통 지지부 (111) 와 회전축부 (1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원통 지지부 (111) 와 회전축부 (12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차축 허브 (120) 는 허브 본체 (121) 와, 이 허브 본체 (121) 의 하단부 바깥 둘레에 액밀하게 나선 장착된 슬리브 (12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허브 본체 (121) 는 회전축부 (121A) 와 고리형 플랜지부 (121B) 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축부 (121A) 에는 축방향 홈 (121a) 과 흡입 통로 (121b) 와 토출 통로 (121c) 가 형성되고, 고리형 플랜지부 (121B) 에는 차륜 (도시 생략) 의 부착부 (121d) (자세한 것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축방향 홈 (121a) 은 피스톤 (130) 의 안쪽 둘레에 형성된 돌기 (130a) 를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차축 허브 (120) 에 있어서의 회전축부 (121A) 의 바깥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흡입 통로 (121b) 는 피스톤 (130) 과 실린더 부재 (150) 사이에 형성된 펌프실 (Ro) 로 공기를 도입 (흡입)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흡입 체크 밸브 (Vi) 가 개재되어 있다. 토출 통로 (121c) 는 펌프실 (Ro) 로부터 공기를 도출 (토출)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토출 체크 밸브 (Vo) 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펌프실 (Ro) 로부터 토출되 는 가압 공기는 차축 허브 (120) 에 장착된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피스톤 (130) 은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밖에서 실린더 부재 (150)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한 돌기 (130a) 를 가짐과 함께, 피스톤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캠 종동자 (142) 와 스프링 (143) 과 홀더 (144) 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 (130b) 을 갖고 있다. 이 피스톤 (130) 은, 돌기 (130a) 에서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 홈 (121a) 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고,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피스톤 (130) 은 안쪽 둘레에서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에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31, 132) 를 통해 끼워 맞춰짐과 함께, 바깥 둘레에서 실린더 부재 (150) 의 실린더 내 구멍 (150a) 에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33, 134) 를 통해 삽입되어 있고, 회전축부 (121A) 의 바깥 둘레에서 실린더 부재 (150) 내에 상기한 펌프실 (Ro) 을 형성함과 함께 대기실 (Ra) 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대기실 (Ra) 은 회전축부 (121A) 에 형성된 연통로 (121e) 와 상기한 흡입 통로 (121b) 의 흡입 체크 밸브 (Vi) 로부터 대기측 부분을 통과하여 대기로 연통하고 있다.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31, 132) 는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 (130) 의 축방향 단부에서 피스톤 (130) 과 회 전축부 (1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피스톤 (130) 과 회전축부 (121A) 사이를 기밀하게 및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33, 134) 는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 (130) 의 축방향 단부에서 피스톤 (130) 과 실린더 부재 (150)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피스톤 (130) 과 실린더 부재 (150) 사이를 기밀하게 및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실린더 부재 (150) 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원통 지지부 (111) 내에서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바깥 둘레에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51, 152) 를 통해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원통 지지부 (111) 와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 실린더 부재 (150) 는 회전축부 (1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원통 지지부 (111) 에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능 또한 회전 불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안쪽 둘레에 피스톤 (130) 을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에서 왕복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내 구멍 (150a) 을 갖고, 바깥 둘레에 고리형 홈 (150b) 을 갖고 있다.
고리형 홈 (150b) 은 원통 지지부 (111) 와 실린더 부재 (150) 사이에 고리형 공간 (R11) 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고리형 공간 (R11) 은 실린더 부재 (150) 에 형성된 연통 구멍 (150c) 을 통해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14, 151) 사이에 형성된 고리형 공간 (R12) 으로 연통하고, 실린더 부재 (150) 에 형성된 연통 구멍 (150d) 을 통과하여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15, 152) 사이에 형성된 고리형 공간 (R13) 으로 연통하고 있다. 각 고리형 공간 (R11, R12, R13) 은 소요량의 윤활유를 수용하는 오일실로서, 이 오일실에 수용된 윤활유는 베어링 (112, 113), 고리형 시일 부재 (114, 115, 151, 152) 로 공급됨과 함께, 실린더 부재 (150) 에 형성된 연통 구멍 (150e) 을 통해 원통 캠 (141) 과 캠 종동자 (142) 의 걸어맞춤부와 피스톤 (130) 의 슬라이딩부 등에도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원통 캠 (141) 은 실린더 부재 (150) 의 안쪽 둘레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부 (1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원통 캠 (141) 은 고리형으로서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으로 변동이 있는 캠홈 (141a) 을 갖고 있고 캠 종동자 (142) 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캠홈 (141a) 은 캠 종동자 (142) 로부터 축방향의 하중 (도 2 의 상하 방향 하중) 과 직경 방향의 하중 (도 2 의 좌우 방향 하중) 을 받는 캠 면을 갖고 있고, 이 캠 면은 단면 형상이 V 자 형상으로서, 회전축부 (121A) 의 둘레 방향에서 짝수 주기 (예를 들어, 2 주기) 로 형성되어 있다.
캠 종동자 (142) 는 피스톤 (130) 의 부착 구멍 (130b) 에 장착된 홀더 (144) 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볼로서, 스프링 (143) 에 의해 피스톤 직경 외방으로 탄성 지지되고 캠홈 (141a) 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스프링 (143) 은 캠 종동자 (142) 와 홀더 (144)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캠 종동자 (142) 를 피스톤 직경 외방을 향하여 탄성 지지하고 있다. 홀더 (144) 는 저부 실린더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130) 의 부착 구멍 (130b) 에 피스톤 직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 2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2)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120) 가 원통 지지부 (111) 에 대하여 회전하면, 피스톤 (130) 과 캠 종 동자 (142) 가 차축 허브 (12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원통 캠 (1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차축 허브 (120) 의 회전 운동을 피스톤 (130) 의 왕복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피스톤 (130) 의 왕복동에 의해 펌프실 (Ro) 의 용적을 증대·감소시킬 수 있으며, 흡입 체크 밸브 (Vi) 를 개재한 흡입 통로 (121b) 를 통과하여 공기를 펌프실 (Ro) 로 흡입하고, 펌프실 (Ro) 로부터 토출 체크 밸브 (Vo) 를 개재한 토출 통로 (121c) 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며, 이 토출 공기 (가압 공기) 를 차축 허브 (120) 에 장착되는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제 2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2)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가 원통 지지부 (111) 내에서 베어링 (112, 113) 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에 대하여 피스톤 (130) 이 동축적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에서 왕복동 가능 (펌프 작동 가능) 하게 장착되어 회전축부 (121A) 에 노정 (露呈) 되는 펌프실 (Ro)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밸런스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축 허브 (120) 에 밸런스 웨이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2) 를 원통 지지부 (111) 내에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2) 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2)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가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1 쌍의 베어링 (112, 113) 을 통해 원통 지지부 (111)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 다. 이 때문에, 원통 지지부 (111) 에 대한 차축 허브 (120) 의 지지 강성을 1 쌍의 베어링 (112, 113) 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또, 1 쌍의 베어링 (112, 113) 사이에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원통 캠 (141) 과 캠 종동자 (142) 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쌍의 베어링 (112, 113) 사이의 스페이스를 운동 변환 기구의 수용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2) 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2)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120) 의 회전축부 (121A) 와 원통 지지부 (111) 사이에, 실린더 부재 (150) 와 양 베어링 (112, 113) 을 회전축부 (1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1 쌍의 베어링 (112, 113) 을 밀봉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14, 115) 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114, 115) 에 의해 1 쌍의 베어링 (112, 113) 을 밀봉할 수 있음과 함께,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원통 캠 (141) 과 캠 종동자 (142) 를 밀봉할 수 있고, 시일 부재의 공용화에 의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2) 의 컴팩트화,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 이 제 2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2) 에 있어서는, 고리형 시일 부재 (114, 115, 131∼134, 151, 152) 에 의해 밀봉되고 소요량의 작동유가 수용되는 오일실 (고리형 공간 (R12, R13)) 에 베어링 (112, 113) 이 수용됨과 함께, 오일실 (고리형 공간 (R11)) 로부터 연통 구멍 (150e) 을 통해 원통 캠 (141) 과 캠 종동자 (142) 의 걸어맞춤부나 피스톤 (130) 의 슬라이딩부 등에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슬라이딩부의 윤활성이 확보되고, 각 슬라이딩부에서의 슬라이딩 저항의 저감,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2) 에 있어서는, 피스톤 (130) 의 바깥 둘레에 형성된 캠 종동자 (142) 와, 실린더 부재 (150) 의 안쪽 둘레에 형성된 원통 캠 (141) 에 의해, 차축 허브 (120) 의 원통 지지부 (111) 에 대한 회전 운동을 피스톤 (130) 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 (내접 캠식 운동 변환 기구) 를 구성하였으나, 도 3 에 나타낸 변형 실시형태와 같이, 피스톤 (130) 의 바깥 둘레에 형성된 원통 캠 (141) 과, 실린더 부재 (150) 의 안쪽 둘레에 형성된 캠 종동자 (142) 에 의해, 차축 허브 (120) 의 원통 지지부 (111) 에 대한 회전 운동을 피스톤 (130) 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 (외접 캠식 운동 변환 기구) 를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2) 에 있어서는, 피스톤 (130) 의 안쪽 둘레에 돌기 (130a) 를 형성함과 함께, 회전축부 (121A) 의 바깥 둘레에 축방향 홈 (121a) 을 형성하고, 돌기 (130a) (피스톤 (130)) 가 축방향 홈 (121a) (회전축부 (121A)) 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하여 실시하였으나, 도 3 에 나타낸 변형 실시형태와 같이, 피스톤 (130) 의 안쪽 둘레에 축방향 홈 (130c) 을 형성함과 함께, 회전축부 (121A) 의 바깥 둘레에 돌기 (121f) 를 형성하고, 돌기 (121f) (회전축부 (121A)) 에 대하여 축방향 홈 (130c) (피스톤 (130)) 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 고 있고, 이 제 3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3) 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에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압 생성 장치로서, 지지 부재로서의 너클의 일부인 원통 지지부 (211) 와, 회전체로서의 차축 허브 (220) 와, 펌프 작동체로서의 2 개의 피스톤 (230) 을 구비함과 함께, 차축 허브 (220) 의 원통 지지부 (211) 에 대한 회전 운동을 각 피스톤 (230) 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캠 부재 (241) 및 2 개의 캠 종동자 (242) 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 지지부 (211) 는 축선 (Lo) 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선 (Lo) 주위에 회전 불능이며, 그 내부에는 차축 허브 (220) 의 회전축부 (221A) 가 1 쌍의 베어링 (212, 213) 과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214, 215) 를 통해 축선 (Lo)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액밀하게 지지되어 있다. 1 쌍의 베어링 (212, 213) 은, 회전축부 (221A) 의 축방향 (축선 (Lo) 을 따른 방향) 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캠 부재 (241) 를 회전축부 (2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원통 지지부 (211) 와 회전축부 (2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차축 허브 (220) 를 원통 지지부 (211), 즉 너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214, 215) 는, 회전축부 (221A) 의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캠 부재 (241) 와 양 베어링 (212, 213) 을 회전축부 (2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원통 지지부 (211) 와 회전축부 (2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원통 지지부 (211) 와 회전축부 (22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차축 허브 (220) 는 허브 본체 (221) 와, 이 허브 본체 (221) 의 하단부 바깥 둘레에 액밀하게 나선 장착된 슬리브 (22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허브 본체 (221) 는 회전축부 (221A) 와 고리형 플랜지부 (221B) 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축부 (221A) 에는 1 쌍 2 개의 실린더 내 구멍 (221a) 이 형성되고, 고리형 플랜지부 (221B) 에는 차륜 (도시 생략) 의 부착부 (221b) (자세한 것은 도시 생략) 가 형성되며, 회전축부 (221A) 와 고리형 플랜지부 (221B) 에는 흡입 통로 (221c) 와 토출 통로 (221d)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실린더 내 구멍 (221a) 은, 차축 허브 (220) 에 있어서의 회전축부 (221A) 의 둘레 방향에서 180 도의 간격으로 회전축부 (221A) 의 직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230) 이 회전축부 (221A) 의 직경 방향에서 왕복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어, 피스톤 (230) 과 함께 회전축부 (221A) 내에 펌프실 (Ro) 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각 펌프실 (Ro) 은 회전축부 (221A) 에 형성된 연통 구멍 (221e) 을 통해 서로 연통하고 있다.
*흡입 통로 (221c) 는 펌프실 (Ro) 로 공기를 도입 (흡입)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흡입 체크 밸브 (Vi) 가 개재되어 있다. 토출 통로 (221d) 는 펌프실 (Ro) 로부터 공기를 도출 (토출)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토출 체크 밸브 (Vo) 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펌프실 (Ro) 로부터 토출되는 가압 공기는 차축 허브 (220) 에 장착되는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각 피스톤 (230) 은,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차축 허브 (220) 에 있어서의 회전축부 (221A) 의 실린더 내 구멍 (221a) 에 고리형 시일 부재 (231) 를 통해 삽입되어 있고, 차축 허브 (220) 의 회전축부 (221A) 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실린더축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각 피스톤 (230) 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 (243) 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부 (230a) 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고리형 시일 부재 (231) 는 각 피스톤 (230) 의 바깥 둘레에 형성된 고리형 홈에 장착되어 있고, 피스톤 (230) 과 회전축부 (221A) 사이를 기밀하게 및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캠 부재 (241) 는 원통 지지부 (211) 에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능 또한 회전 불능하게) 형성된 원통 캠으로서, 회전축부 (2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캠 부재 (241) 는 안쪽 둘레에 타원형상의 캠 면 (241a) 을 갖고 있고, 동 캠 면 (241a) 에는 각 캠 종동자 (242) 가 걸어맞춤되어 있다. 캠 면 (241a) 은 원통 지지부 (211) 에 대하여 회전축부 (221A) 가 일회전하는 동안에, 각 캠 종동자 (242) 와 각 피스톤 (230) 을 피스톤 축방향으로 2 왕복시킬 수 있다.
각 캠 종동자 (242) 는, 피스톤 (230) 의 실린더 내 구멍 (221a) 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외단부 (230b) 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볼로서, 외단부에서 캠 부재 (241) 의 캠 면 (241a) 에 전동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고, 캠 부재 (2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함으로써 피스톤 (230) 과 함께 피스톤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각 캠 종동자 (242) 등을 수용하는 고리형 공간 (R21) 은 각 시일 부재 (214, 215, 231, 231) 에 의해 밀봉되어 있고, 내부에는 베어링 (212, 213), 캠 부재 (241), 각 캠 종동자 (242), 각 피스톤 (230) 등을 윤활하기 위한 윤활유가 소요량 수용되어 있다.
또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양 피스톤 (230) 의 왕복동에 따른 고리형 공간 (R21) 의 용적 변화량을 저감시키는 용적 변화량 저감 수단으로서의 에어 챔버 (R22) (도 5 참조) 가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에어 챔버 (R22) 는 고리형 공간 (R21) 의 용적 감소에 따라 용적이 감소되고, 고리형 공간 (R21) 의 용적 증대에 따라 용적이 증대되는 것으로서, 회전축부 (221A) 의 바깥 둘레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공기 주머니 (250)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공기 주머니 (250) 는 고무 등의 탄성 및 기밀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압축 공기가 밀봉되어 있으며, 고리형 공간 (R21) 의 용적이 감소되어 내부 압력이 상승됨에 따라 수축되고, 고리형 공간 (R21) 의 용적이 증대되어 내부 압력이 저하됨에 따라 팽창된다. 이 때문에, 작동시에 있어서의 고리형 공간 (R21) 내의 압력 증감을 줄여서 이에 따른 펌프 로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 3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3)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220) 가 원통 지지부 (211) 에 대하여 회전하면, 각 피스톤 (230) 과 각 캠 종동자 (242) 가 차축 허브 (22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캠 부재 (2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피스톤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차축 허브 (220) 의 회전 운동을 각 피스톤 (230) 의 왕복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각 피스톤 (230) 의 왕복동에 의해 펌프실 (Ro) 의 용적을 증대·감소시킬 수 있으며, 흡입 체크 밸브 (Vi) 를 개재한 흡입 통로 (211c) 와 연통 구멍 (221e) 을 통해 공기를 각 펌프실 (Ro) 로 흡입하고, 각 펌프실 (Ro) 로부터 연통 구멍 (221e) 과 토출 체크 밸브 (Vo) 를 개재한 토출 통로 (211d) 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이 토출 공기 (가압 공기) 를 차축 허브 (220) 에 장착된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제 3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3)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220) 의 회전축부 (221A) 가 원통 지지부 (211) 내에서 베어링 (212, 213) 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차축 허브 (220) 의 회전축부 (221A) 에 대하여 각 피스톤 (230) 이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 (펌프 작동 가능) 하게 장착되어 회전축부 (221A) 에 노정되는 펌프실 (Ro)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밸런스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축 허브 (220) 에 밸런스 웨이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3) 를 원통 지지부 (211) 내에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3) 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이 제 3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3)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220) 의 회전축부 (221A) 가, 회전축부 (221A) 의 축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1 쌍의 베어링 (212, 213) 을 통해 원통 지지부 (211)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원통 지지부 (211) 에 대한 차축 허브 (220) 의 지지 강성을 1 쌍의 베어링 (212, 213) 에 의해 확보할 수 있다. 또, 1 쌍의 베어링 (212, 213) 사이에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캠 부재 (241) 와 캠 종동자 (242) 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쌍의 베어링 (212, 213) 사이의 스페이스를 운동 변환 기구의 수용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3) 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제 3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3)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220) 의 회전축부 (221A) 와 원통 지지부 (211) 사이에, 캠 부재 (241) 와 양 베어링 (212, 213) 을 회전축부 (2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1 쌍의 베어링 (212, 213) 을 밀봉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214, 215) 가 개재되어 있다. 이 때문에,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214, 215) 에 의해 1 쌍의 베어링 (212, 213) 을 밀봉할 수 있음과 함께,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캠 부재 (241) 와 캠 종동자 (242) 를 밀봉할 수 있고, 시일 부재의 공용화에 의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3) 의 컴팩트화, 저비용화가 가능하다.
또 이 제 3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3) 에 있어서는, 각 피스톤 (230) 과 차축 허브 (220) 의 회전축부 (22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고리형 시일 부재 (231) 가 형성됨과 함께, 차축 허브 (220) 의 회전축부 (221A) 와 원통 지지부 (211)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고리형 시일 부재 (214, 215) 가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이들 시일 부재 (214, 215, 231, 231) 에 의해 밀봉되어 소요량의 작동유가 수용되는 고리형 공간 (R21) 에는 베어링 (212, 213), 캠 부재 (241), 각 캠 종동자 (242), 각 피스톤 (230) 등이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슬라이딩부의 윤활성이 확보되고, 각 슬라이딩부에서의 슬라이딩 저항의 저감,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이 제 4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4) 는, 차량에 있어서의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에 가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압 생성 장치로서, 지지 부재로서의 너클의 일부인 원통 지지부 (311) 와, 회전체로서의 차축 허브 (320) 와, 펌프 작동체로서의 원주상의 피스톤 (330) 을 구비함과 함께, 차축 허브 (320) 의 원통 지지부 (311) 에 대한 회전 운동을 피스톤 (330) 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로서의 캠 부재 (341) 및 2 개의 캠 종동자 (342) 와, 캠 종동자 (342) 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샤프트 (343) 를 구비하고 있다.
원통 지지부 (311) 는 축선 (Lo) 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선 (Lo) 주위에 회전 불능이며, 그 내부에는 차축 허브 (320) 의 회전축부 (321A) 가 1 쌍의 베어링 (312, 313) 과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14, 315) 를 통해 축선 (Lo)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액밀하게 지지되어 있다. 1 쌍의 베어링 (312, 313) 은,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 (축선 (Lo) 을 따른 방향) 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캠 부재 (341) 를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원통 지지부 (311) 와 회전축부 (3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차축 허브 (320) 를 원통 지지부 (311), 즉 너클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다.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14, 315) 는,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캠 부재 (341) 와 양 베어링 (312, 313) 을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원통 지지부 (311) 와 회전축부 (3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원통 지지부 (311) 와 회전축부 (321A) 사이를 액밀 하게 시일하고 있다.
차축 허브 (320) 는 허브 본체 (321) 와, 이 허브 본체 (321) 의 도시 하단부 바깥 둘레에 액밀하게 나선 장착된 슬리브 (32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허브 본체 (321) 는 회전축부 (321A) 와 고리형 플랜지부 (321B) 를 구비하고 있고, 회전축부 (321A) 에는 1 쌍의 축방향 긴 구멍 (321a) 과 실린더 내 구멍 (321b) 이 형성되고, 고리형 플랜지부 (321B) 에는 차륜 (도시 생략) 의 부착부 (321c) (자세한 것은 도시 생략) 가 형성되고, 회전축부 (321A) 와 고리형 플랜지부 (321B) 에는 흡입 통로 (321d) 와 토출 통로 (321e)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축방향 긴 구멍 (321a) 은, 피스톤 (330) 과 캠 종동자 (342) 와 샤프트 (343) 를 차축 허브 (320) 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수단으로서,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차축 허브 (320) 에 있어서의 회전축부 (321A) 의 둘레 방향에서 180 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내 구멍 (321b) 은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피스톤 (330) 을 수용하고 있으며 피스톤 (330) 과 함께 회전축부 (321A) 내에 펌프실 (Ro) 을 형성하고 있다. 흡입 통로 (321d) 는 펌프실 (Ro) 로 공기를 도입 (흡입)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흡입 체크 밸브 (Vi) 가 개재되어 있다. 토출 통로 (321e) 는 펌프실 (Ro) 로부터 공기를 도출 (토출)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토출 체크 밸브 (Vo) 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펌프실 (Ro) 로부터 토출되는 가압 공기는 차축 허브 (320) 에 장착된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피스톤 (330) 은, 차축 허브 (320) 에 있어서의 회전축부 (321A) 의 실린더 내 구멍 (321b) 에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31, 332) 를 통해 삽입되어 있고, 차축 허브 (320) 의 회전축부 (3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피스톤 (330) 에는 고리형 홈 (330a) 과 피스톤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 (330b) 이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31, 332) 는 피스톤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 (330) 의 축방향 단부에서 피스톤 (330) 과 회전축부 (321A) 사이에 개재되어 있고, 피스톤 (330) 과 회전축부 (321A) 사이를 기밀하게 및 액밀하게 시일하고 있다.
고리형 홈 (330a) 은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31, 332) 사이에서 피스톤 (330) 의 바깥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330) 과 회전축부 (321A) 사이에 고리형 공간 (R1) 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고리형 공간 (R1) 은, 회전축부 (321A) 에 형성된 각 축방향 긴 구멍 (321a) 을 통과하여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14, 315) 사이에 형성된 고리형 공간 (R2) 으로 연통하고 있다. 각 고리형 공간 (R1, R2) 은 피스톤 (330) 이 축방향으로 왕복동하여도 용적이 변화되지 않는 것으로서, 4 개의 시일 부재 (314, 315, 331, 332) 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또, 고리형 공간 (R1, R2) 등은 소요량의 윤활유를 수용하는 오일실로서, 이 오일실에는 베어링 (312, 313), 캠 부재 (341), 캠 종동자 (342), 샤프트 (343) 등이 수용되어 있다.
캠 부재 (341) 는 원통 지지부 (311) 에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능 또한 회전 불능하게) 형성된 원통 캠으로서, 축방향에서 연접한 1 쌍의 캠 슬리브 (341A, 341B)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회전축부 (3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캠 부재 (341) 는 고리형으로서 축방향으로 변동이 있는 캠부 (341a) 를 갖고 있고, 동 캠부 (341a) 는 캠홈으로서 캠 종동자 (342) 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캠부 (341a) 는 캠 종동자 (342) 로부터 축방향의 하중 (도 6 의 상하 방향 하중) 과 직경 방향의 하중 (도 6 의 좌우 방향 하중) 을 받는 캠 면을 갖고 있고, 이 캠 면은 단면 형상이 V 자 형상으로서 회전축부 (321A) 의 둘레 방향에서 짝수 주기 (예를 들어, 2 주기) 로 형성되어 있다.
각 캠 종동자 (342) 는 피스톤 (330) 내에서 2 분할된 샤프트 (343) 의 피스톤 직경 방향 외단에 롤러 (344) 를 통해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 볼로서, 축선 (Lo) 에 직교하는 피스톤 직경 방향 단부에서 캠부 (캠홈) (341a) 에 걸어맞춤되어 있고, 캠 부재 (3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함으로써 샤프트 (343) 와 함께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 (도 6 의 상하 방향) 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샤프트 (343) 는 피스톤 (330) 의 관통 구멍 (330b) 에 피스톤 (330) 의 직경 방향 (관통 구멍 (330b) 의 축방향) 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하중 전달자로서, 각 소직경 단부에는 롤러 (344) 가 장착되어 있고,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 긴 구멍 (321a) 에 대해서는, 각 롤러 (344) 에 의해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방향에서 이동 불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또, 샤프트 (343) 는 내부에 장착된 압축 코일 스프링 (345) 에 의해 피스톤 직경 외방을 향하여 탄성 지지되어 있다.
각 롤러 (344) 는, 샤프트 (343) 의 소직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 긴 구멍 (321a) 에 전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져 있고, 캠 종동자 (342) 의 축방향 이동에 수반하여 회전축부 (321A) 의 축방향 긴 구멍 (321a) 을 따라 전동할 수 있다. 또, 각 롤러 (344) 는 외단에 반구 오목상의 수승부 (受承部) 를 갖고 있고, 이 수승부에서 캠 종동자 (볼) (342) 를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 (345) 은, 샤프트 (343) 와 롤러 (344) 를 통해 각 캠 종동자 (342) 를 캠 부재 (341) 의 캠부 (캠홈) (341a) 를 향하여 피스톤 (330) 의 직경 방향으로 압압하는 압압 수단으로서, 샤프트 (343) 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부착 구멍에 소정의 예비 하중을 부여한 상태에서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 4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4)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320) 가 원통 지지부 (311) 에 대하여 회전하면, 피스톤 (330) 과 샤프트 (343) 와 캠 종동자 (342) 가 차축 허브 (32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캠 부재 (3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차축 허브 (320) 의 회전 운동을 피스톤 (330) 의 왕복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피스톤 (330) 의 왕복동에 의해 펌프실 (Ro) 의 용적을 증대·감소시킬 수 있으며, 흡입 체크 밸브 (Vi) 를 개재한 흡입 통로 (321d) 를 통해 공기를 펌프실 (Ro) 로 흡입하고, 펌프실 (Ro) 로부터 토출 체크 밸브 (Vo) 를 개재한 토출 통로 (321e) 를 통과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이 토출 공기 (가압 공기) 를 차축 허브 (320) 에 장착되는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제 4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4)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320) 의 회전축부 (321A) 가 원통 지지부 (311) 내에서 베어링 (312, 313) 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차축 허브 (320) 의 회전축부 (321A) 에 대하여 피스톤 (330) 이 동축적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에서 왕복동 가능 (펌프 작동 가능) 하게 장착되어 회전축부 (321A) 에 노정되는 펌프실 (Ro)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밸런스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축 허브 (320) 에 밸런스 웨이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4) 를 원통 지지부 (311) 내에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4) 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 (345) 이 각 캠 종동자 (342) 를 캠 부재 (341) 의 캠부 (캠홈) (341a) 를 향하여 압압하고 있기 때문에, 각 캠 종동자 (342) 와 캠 부재 (341) 의 캠부 (캠홈) (341a) 사이에서 발생하는 피스톤 (330) 의 축방향 및 직경 방향의 간극 (백래시(backlash)) 을 억제할 수 있고, 동 간극에 기인하는 운동 변환 로스를 억제할 수 있어, 운동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스톤 (330) 과 각 캠 종동자 (342) 를 회전축부 (321A) 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선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축방향 긴 구멍 (321a) 이 회전축부 (321A) 에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330) 이 회전축부 (321A) 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선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 (330) 과 회전축부 (321A) 사이에 개재한 고리형 시일 부재 (331, 332) 에는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스톤 (330) 에 형성된 샤프트 (343) 에 각 롤러 (344)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각 롤러 (344) 에 캠 종동자 (342) 가 전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캠 부재 (341) 의 캠부 (캠홈) (341a) 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롤러 (344) 에 의해 축방향 긴 구멍 (321a) 과 캠 종동자 (342)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각 캠 종동자 (342) 에 의해 캠 부재 (341) 의 캠부 (캠홈) (341a) 와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운동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스톤 (330) 과 차축 허브 (320) 의 회전축부 (32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31, 332) 가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됨과 함께, 차축 허브 (320) 의 회전축부 (321A) 와 원통 지지부 (311)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314, 315) 가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이들 4 개의 시일 부재 (314, 315, 331, 332) 에 의해 밀봉되어 소요량의 작동유가 수용되는 오일실 (고리형 공간 (R1, R2)) 에는 베어링 (312, 313), 캠 부재 (341), 캠 종동자 (342), 샤프트 (343), 롤러 (344) 및 압축 코일 스프링 (345) 등이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슬라이딩부의 윤활성이 확보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캠 종동자 (342) 가 롤러 (344) 에 전동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하여 실시하였는데,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 (344) 에 장착되어 롤러 (344) 와 캠 종동자 (342)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346) 이 캠 종동자 (342) 를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베어링 (346) 에 의해 롤러 (344) 와 캠 종동자 (342)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운동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샤프트 (343) 가 롤러 (344) 를 관통하도록 구성하고, 샤프트 (343) 가 롤러 (344) 를 통하지 않고 캠 종동자 (342) 를 전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상기한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캠 부재 (341) 에 있어서의 캠부 (캠홈) (341a) 를 회전축부 (321A) 의 둘레 방향에서 2 주기 (회전축부 (321A) 의 1 회전에 의해 피스톤 (330) 이 2 왕복한다) 로 설정함과 함께, 이 캠부 (캠홈) (341a) 에 걸어맞춤되는 1 쌍 2 개의 캠 종동자 (342) 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 실시하였는데, 도 8 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캠 부재 (441) 에 있어서의 캠 링플레이트 (441A, 441B) 의 캠부 (캠 요철면) (441a, 441b) 를 회전축부 (421A) 의 둘레 방향에서 4 주기로 설정함과 함께, 캠 링플레이트 (441A) 의 캠부 (캠 요철면) (441a) 에 걸어맞춤되는 1 쌍 2 개의 캠 종동자 (442A) 와, 캠 링플레이트 (441B) 의 캠부 (캠 요철면) (441b) 에 걸어맞춤되는 1 쌍 2 개의 캠 종동자 (442B) 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도 8 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5) 에서는, 피스톤 (430) 에 축심에서 교차하여 축방향에서 약간 변위하는 상하 1 쌍의 관통 구멍 (430b1, 430b2)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캠 부재 (441) 가 축방향에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된 1 쌍의 캠 링플레이트 (441A, 441B)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원통 지지부 (411) 에 일체적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불능 또한 회전 불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부 (421A) 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방의 각 캠 종동자 (442A) 는 피스톤 (430) 을 왕동 (하동) 시키기 위한 왕동용 캠 종동자 (롤러) 로서, 피스톤 (430) 의 관통 구멍 (430b1) 에 장착되어 관통함과 함께, 회전축부 (421A) 의 축방향 긴 구멍 (421a) 에 끼워 맞춤 관통하여 축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상방의 샤프트 (443A) 의 소직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방의 캠 링플레이트 (441A) 의 캠부 (캠 요철면) (441a) 에 전동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하방의 각 캠 종동자 (442B) 는 피스톤 (430) 을 복동 (상동) 시키기 위한 복동용 캠 종동자 (롤러) 로서, 피스톤 (430) 의 관통 구멍 (430b2) 에 장착되어 관통함과 함께, 회전축부 (421A) 의 축방향 긴 구멍 (421a) 에 끼워 맞춤 관통하여 축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하방의 샤프트 (443B) 의 소직경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하방의 캠 링플레이트 (441B) 의 캠부 (캠 요철면) (441b) 에 전동 가능하게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한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방의 캠 종동자 (왕동용 캠 종동자) (442A) 와 하방의 캠 종동자 (복동용 캠 종동자) (442B) 가 회전축부 (421A) 의 둘레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다. 또, 상방의 샤프트 (443A) 와 하방의 샤프트 (443B) 가 교차하는 중간 부위에서 맞닿음되어 있고, 상방의 캠 종동자 (442A) 를 상방의 캠 링플레이트 (441A) 의 캠부 (캠 요철면) (441a) 를 향하 여 압압함과 함께, 하방의 캠 종동자 (442B) 를 하방의 캠 링플레이트 (441B) 의 캠부 (캠 요철면) (441b) 를 향하여 압압하고 있다.
상기한 제 5 실시형태의 상기한 구성 이외의 구성 (피스톤 (430), 캠 부재 (441) 의 캠 링플레이트 (441A, 441B), 캠 종동자 (442A, 442B) 이외의 구성) 은, 상기한 제 4 실시형태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400 번대의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방의 샤프트 (443A) 와 하방의 샤프트 (443B) 를 중간 부위에서 맞닿게 함으로써, 각 캠 종동자 (442A, 442B) 를 각 캠부 (캠 요철면) (441a, 441b) 를 향하여 압압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 4 실시형태의 압축 코일 스프링 (345) 에 상당하는 것이 생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제 5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5)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420) 가 원통 지지부 (411) 에 대하여 회전하면, 피스톤 (430) 과 샤프트 (443A, 443B) 와 캠 종동자 (442A, 442B) 가 차축 허브 (420) 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캠 부재 (441) 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차축 허브 (420) 의 회전 운동을 피스톤 (430) 의 왕복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고, 피스톤 (430) 의 왕복동에 의해 펌프실 (Ro) 의 용적을 증대·감소시킬 수 있으며, 흡입 체크 밸브 (Vi) 를 개재한 흡입 통로 (421d) 를 통해 공기를 펌프실 (Ro) 로 흡입하고, 펌프실 (Ro) 로부터 토출 체크 밸브 (Vo) 를 개재한 토출 통로 (421e) 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이 토출 공기 (가압 공기) 를 차축 허브 (420) 에 장착된 차륜의 타이어 공기실 (도시 생략) 로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제 5 실시형태의 압력 생성 장치 (AP5) 에 있어서는, 차축 허브 (420) 의 회전축부 (421A) 가 원통 지지부 (411) 내에서 베어링 (412, 413) 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차축 허브 (420) 의 회전축부 (421A) 에 대하여 피스톤 (430) 이 동축적으로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에서 왕복동 가능 (펌프 작동 가능) 하게 장착되어 회전축부 (421A) 에 노정되는 펌프실 (Ro) 을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회전 밸런스의 균형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축 허브 (420) 에 밸런스 웨이트를 형성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5) 를 원통 지지부 (411) 내에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어, 당해 압력 생성 장치 (AP5) 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양 샤프트 (443A, 443B) 가 각 캠 종동자 (442A, 442B) 를 각 캠부 (캠 요철면) (441a, 441b) 를 향하여 압압하고 있기 때문에, 각 캠 종동자 (442A, 442B) 와 각 캠부 (캠 요철면) (441a, 441b) 사이에서 발생하는 피스톤 (430) 의 축방향의 간극 (백래시) 을 억제할 수 있고, 동 간극에 기인하는 운동 변환 로스를 억제할 수 있어, 운동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캠 종동자 (442A, 442B) 를 회전축부 (421A) 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선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축방향 긴 구멍 (421a) 이 회전축부 (421A) 에 형성되어 있고, 피스톤 (430) 이 회전축부 (421A) 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선 방향으로 왕복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스톤 (430) 과 회전축부 (421A) 사이에 개재한 고리형 시일 부재 (431, 432) 에는 회전력이 작용하지 않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캠 종동자 (442A, 442B) 가 각 캠부 (캠 요철면) (441a, 441b) 에 전동 가능하게 걸어맞춤되는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캠 종동자 (442A, 442B) 의 각 캠부 (캠 요철면) (441a, 441b) 에 대한 슬라이딩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어, 운동 변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스톤 (430) 과 회전축부 (421A)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431, 432) 가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됨과 함께, 회전축부 (421A) 와 원통 지지부 (411) 사이를 액밀하게 시일하는 1 쌍의 고리형 시일 부재 (414, 415) 가 축방향으로 소정량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이들 4 개의 시일 부재 (414, 415, 431, 432) 에 의해 밀봉되어 소요량의 작동유가 수용되는 오일실 (고리형 공간 (R1, R2)) 에는 베어링 (412, 413), 캠 부재 (441), 캠 종동자 (442A, 442B), 샤프트 (443A, 443B) 등이 수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슬라이딩부의 윤활성이 확보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제 2 실시형태의 변형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의 5-5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4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캠 종동자가 롤러에 장착된 베어링에 의해 전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변형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 생성 장치의 제 5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낸 캠 부재 (1 쌍의 캠 링플레이트) 의 사시도이다.

Claims (4)

  1. 회전 불능인 지지 부재 내에서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부를 구비한 회전체, 이 회전체의 상기 회전축부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펌프실을 형성하는 피스톤, 상기 회전체의 상기 지지 부재에 대한 회전 운동을 상기 피스톤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운동 변환 기구,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실로 유체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 통로,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상기 펌프실로부터 유체를 토출할 수 있는 토출 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가 차량의 차축 허브이고,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차축 허브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이며, 상기 유체가 공기이며,
    상기 회전축부에는 상기 피스톤을 상기 회전축부의 직경 방향에서 왕복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실린더 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운동 변환 기구가, 상기 피스톤의 상기 실린더 내 구멍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외단에 형성된 캠 종동자와, 상기 지지 부재 내에 장착된 원통 캠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축방향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제 1 베어링과 제 2 베어링을 통해 상기 지지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어링과 상기 제 2 베어링 사이에는 상기 운동 변환 기구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와 상기 지지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 1 베어링과 상기 제 2 베어링을 밀봉하기 위한 제 1 시일 부재와 제 2 시일 부재가, 상기 운동 변환 기구와 상기 양 베어링을 축방향에서 사이에 끼우듯이 하여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생성 장치.
KR1020087015892A 2005-03-31 2006-03-29 압력 생성 장치 KR100867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02304 2005-03-31
JP2005102304A JP2006283612A (ja) 2005-03-31 2005-03-31 ラジアルピストンポンプ
JPJP-P-2005-00102256 2005-03-31
JP2005102256A JP4626363B2 (ja) 2005-03-31 2005-03-31 運動変換機構
JP2005186064 2005-06-27
JPJP-P-2005-00186064 2005-06-27
JPJP-P-2006-00055220 2006-03-01
JP2006055220A JP4243866B2 (ja) 2005-06-27 2006-03-01 圧力生成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029A Division KR100867907B1 (ko) 2005-03-31 2006-03-29 압력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2094A KR20080072094A (ko) 2008-08-05
KR100867296B1 true KR100867296B1 (ko) 2008-11-06

Family

ID=3707360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892A KR100867296B1 (ko) 2005-03-31 2006-03-29 압력 생성 장치
KR1020087015891A KR100867297B1 (ko) 2005-03-31 2006-03-29 압력 생성 장치
KR1020077014029A KR100867907B1 (ko) 2005-03-31 2006-03-29 압력 생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5891A KR100867297B1 (ko) 2005-03-31 2006-03-29 압력 생성 장치
KR1020077014029A KR100867907B1 (ko) 2005-03-31 2006-03-29 압력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22459B2 (ko)
EP (1) EP1881197B1 (ko)
KR (3) KR100867296B1 (ko)
AU (1) AU2006231420B2 (ko)
CA (1) CA2579575C (ko)
WO (1) WO2006107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296B1 (ko) 2005-03-31 2008-11-06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압력 생성 장치
JP4529815B2 (ja) * 2005-06-24 2010-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圧力生成装置
JP4529899B2 (ja) * 2005-12-28 2010-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供給装置
JP4626765B2 (ja) * 2005-12-28 2011-02-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生成装置
JP4997864B2 (ja) * 2006-06-28 2012-08-08 日本精工株式会社 エアコンプレッサ付車輪支持用転がり軸受ユニット
EP1878594B1 (en) * 2006-07-11 2009-03-04 Aktiebolaget SKF A hub-bearing assembly allowing pressurized air to be supplied to the tyre of a vehicle wheel
JP2008143333A (ja) * 2006-12-08 2008-06-26 Toyota Motor Corp 操作シミュレータ
JP4835415B2 (ja) * 2006-12-08 2011-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動変換伝達装置
JP4407695B2 (ja) * 2006-12-28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タイヤ空気圧制御装置
JP4640358B2 (ja) * 2007-03-09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式のスラストピストンポンプ装置
AU2008224388B2 (en) * 2007-03-09 2010-06-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Electric thrust piston pump device
JP4640357B2 (ja) * 2007-03-09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ラストピストンポンプ装置
KR101081015B1 (ko) * 2009-12-01 2011-11-0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내부 공기압 유지장치
US10144254B2 (en) 2013-03-12 2018-12-04 Aperia Technologies, Inc. Tire inflation system
US10245908B2 (en) 2016-09-06 2019-04-02 Aperia Technologies, Inc. System for tire inflation
US11453258B2 (en) 2013-03-12 2022-09-27 Aperia Technologies, Inc. System for tire inflation
US20150147199A1 (en) * 2013-11-27 2015-05-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ir maintenance tire assembly
US20150147200A1 (en) * 2013-11-27 2015-05-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ir maintenance tire assembly
US20150147201A1 (en) * 2013-11-27 2015-05-28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Air maintenance tire assembly
DE102016010054B4 (de) * 2016-08-19 2022-04-28 Illinois Tool Works Inc. Verdichteranordnung zur Druckmittelversorgung eines Reifens
DE102016122737A1 (de)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Verdichteranordnung
DE102016122736A1 (de)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Fahrzeug mit Verdichteranordnung
DE102016122739A1 (de) *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Verdichteranordnung mit Wulstzylinderkurve
DE102016122738A1 (de) 2016-11-24 2018-05-24 Kt Projektentwicklungs-Gmbh Verdichteranordnung mit radialen Kolben
DE102017106805A1 (de) 2017-03-03 2018-09-06 Kt Projektentwicklungs-Gmbh Verdichteranordnung mit Magnetkopplung
US11199186B2 (en) 2017-08-31 2021-12-14 Dana Heavy Vehicle Systems Group, Llc Pressurized fluid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pressurized fluid
CN110230583B (zh) * 2018-08-06 2020-09-04 青岛极致创新科技有限公司 柱塞泵及柱塞马达
WO2020112686A1 (en) * 2018-11-27 2020-06-04 Aperia Technologies, Inc. Hub-integrated infl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503Y1 (ko) * 1996-11-27 1999-08-16 양재신 자동차 사이드 씰 아웃터 패널의 드레인 홈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5618A (en) * 1945-05-21 1947-02-11 William S West Pump
US2401466A (en) * 1945-05-23 1946-06-04 Cecil B Davis Internal-combustion engine
US2855176A (en) * 1954-04-28 1958-10-07 Grinnell Corp Diaphragm valves
US3477345A (en) * 1967-08-25 1969-11-11 Thermodynamic Systems Inc Reciprocating engine,pump or motor
JPS50245Y1 (ko) * 1969-09-05 1975-01-07
JPS4963877A (ko) 1972-10-20 1974-06-20
JPS5312652B2 (ko) 1973-05-10 1978-05-02
JPS50148912A (ko) * 1974-05-20 1975-11-28
DE3224482C2 (de) * 1981-09-23 1991-11-21 Prodromos Bekiaroglou Kolbenmaschine
JPS58109571A (ja) 1981-12-24 1983-06-29 Toagosei Chem Ind Co Ltd 感圧加熱接着用組成物
JPS58109571U (ja) * 1982-01-20 1983-07-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縮機
JPS60143177A (ja) 1983-12-29 1985-07-29 Hino Motors Ltd 車両に使用されるパワ−・ステアリング
JPS60143177U (ja) * 1984-03-05 1985-09-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往復動型圧縮機
DE3423318A1 (de) 1984-06-23 1986-01-02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uer eine reifendruckregelanlage
JPS63263286A (ja) * 1987-04-17 1988-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ル流体機械
GB2213549A (en) 1987-12-10 1989-08-16 Kevin Wilcox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chanisms for transla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and vice versa
JPH01172003A (ja) 1987-12-25 1989-07-06 Honda Motor Co Ltd タイヤの空気圧補填装置
US5221381A (en) * 1989-06-28 1993-06-22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with easily removed wheel and tire
US5342177A (en) * 1992-04-01 1994-08-30 Cheng Chen Kuang Tire automatic pneumatic pump device
JP2857294B2 (ja) 1992-12-15 1999-02-17 株式会社スリーデイコンポリサーチ ステッピング・アクチュエータ
JP2615435B2 (ja) 1994-11-24 1997-05-28 工業技術院長 気体用圧縮機
ES2166896T3 (es) 1995-07-10 2002-05-01 Cycloid Co Aparato de presurizacion y regulacion de neumaticos.
US5667606A (en) * 1996-07-05 1997-09-16 Cycloid Company Tire pressurizing and regulating apparatus
US5947696A (en) * 1996-07-31 1999-09-07 Hayes Lemmerz International, Inc. Wheel mounted tire pump with a reciprocating piston
JPH1122638A (ja) 1997-07-02 1999-01-26 Tochigi Fuji Ind Co Ltd ラジアルピストンポンプとこれを備えるカップリング
JPH11139118A (ja) 1997-11-07 1999-05-25 Sumitomo Electric Ind Ltd タイヤ空気圧調整装置
KR100322554B1 (ko) 1998-03-06 2002-06-24 윤종용 습식인쇄기의현상액농도측정장치
KR20010054503A (ko) * 1999-12-07 2001-07-02 추수욱 유압펌프
US6505590B1 (en) * 2001-08-10 2003-01-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Desmodromic valve designs for improved operation smoothness, stability and package space
JP2004278363A (ja) 2003-03-13 2004-10-07 Torii System Kk 定電流形同期電動機式ピストンポンプ
JP4010454B2 (ja) * 2003-04-09 2007-11-21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タイヤ圧保持システム、タイヤ付き車輪、車両及びタイヤ用バルブユニット
US6994136B2 (en) * 2003-05-02 2006-02-07 Arvinmeritor Technology, Llc Wheel end tire air pump
CN2660164Y (zh) 2003-11-18 2004-12-01 冯星火 微型空气压缩泵
KR100867296B1 (ko) 2005-03-31 2008-11-06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압력 생성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503Y1 (ko) * 1996-11-27 1999-08-16 양재신 자동차 사이드 씰 아웃터 패널의 드레인 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6231420A1 (en) 2006-10-12
KR20080067716A (ko) 2008-07-21
KR20070086480A (ko) 2007-08-27
CA2579575A1 (en) 2006-10-12
US20080003110A1 (en) 2008-01-03
EP1881197A4 (en) 2011-01-26
WO2006107064A1 (ja) 2006-10-12
AU2006231420B2 (en) 2008-11-27
EP1881197A1 (en) 2008-01-23
KR20080072094A (ko) 2008-08-05
US7922459B2 (en) 2011-04-12
KR100867297B1 (ko) 2008-11-06
EP1881197B1 (en) 2012-07-25
KR100867907B1 (ko) 2008-11-10
CA2579575C (en) 200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96B1 (ko) 압력 생성 장치
JP4243866B2 (ja) 圧力生成装置
CN100540891C (zh) 压力生成装置
US9441619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US20180010587A1 (en) Durable canted off-axis driver for quiet pneumatic pumping
CN105765220B (zh) 具有自旋行星式几何结构的自旋泵
US9822773B2 (en) Durable canted off-axis driver for quiet pneumatic pumping
US8257062B2 (en) Electric thrust piston pump device
CN115045817A (zh) 柱塞泵
CN105134539A (zh) 一种往复泵的偏心回转动力端结构
JP2006283612A (ja) ラジアルピストンポンプ
JP4529815B2 (ja) 圧力生成装置
JP4330479B2 (ja) ダイヤフラムポンプ
KR101903897B1 (ko) 피스톤 펌프
US20240141881A1 (en) Energy accumulator for piston-type fuel pump
KR20060002165A (ko) 밀폐형 압축기
KR20050101475A (ko) 다중 압축기
JP4640358B2 (ja) 電動式のスラストピストンポンプ装置
CN117905666A (zh) 流体机械
CN115370567A (zh) 柱塞泵
KR20180100882A (ko) 왕복동식 압축기
KR20050054722A (ko) 다중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