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445B1 -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 장치와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 장치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445B1
KR100866445B1 KR1020027011160A KR20027011160A KR100866445B1 KR 100866445 B1 KR100866445 B1 KR 100866445B1 KR 1020027011160 A KR1020027011160 A KR 1020027011160A KR 20027011160 A KR20027011160 A KR 20027011160A KR 100866445 B1 KR100866445 B1 KR 100866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ser
recording
charging
cont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1368A (ko
Inventor
요이찌로 사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01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1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5Avoiding frau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6Incentive or reward received by requiring registration or ID from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배포하고 구입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부(33)와, 이 축적부(33)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입력 조작부(23)와, 입력 조작부(23)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21)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33)와, 구입 이력 기억부(33)에 기억되는 구입 이력에 따라 상기 기록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39)를 구비함으로써,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이 구입 이력 기억부(33)에 의해 관리된다. 구입 이력 기억부(33)에 기억된 구입 이력을 이용하여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이용자에게만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때의 할인 등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27011160
데이터 기록 장치, 데이터 재생 장치, 콘텐츠 데이터, 통신 장치, 과금 데이터, 패키지 미디어

Description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 장치와 방법{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을 통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구입할 때,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따라 할인을 행하고, 또한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할 때,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을 통한 콘텐츠 데이터의 구입 이력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의 할인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 데이터를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반포하는 시장과, 콘텐츠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에 의해 배포하는 시장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오디오 데이터, 화상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컴퓨터 프로그램 등의 콘텐츠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 등의 독립된 기록 매체를 수납체에 수납한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반포되고 있다. 또한, 콘텐츠 데이터는 인터넷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하여 유료로 전자 배포됨으로써 반포되고 있다.
콘텐츠 데이터의 반포는 패키지 미디어에 의한 반포보다 전자 배포 쪽이, 유체물인 패키지 미디어를 주고 받을 필요가 없고, 컴퓨터 사이에서 직접 콘텐츠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따라서, 콘텐츠 데이터를 널리 퍼뜨리고자 할 때에는, 전자 배포를 행하는 편이 효율적이다. 한편, 본래 인간은 소유욕을 가지며, 소유욕이 큰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패키지 미디어를 소유하지 않게 되면 소유욕을 만족시킬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텐츠 데이터를 패키지 미디어에 의해 반포하는 시장과, 콘텐츠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배포하는 시장 모두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데이터 기록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부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부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와, 구입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구입 이력에 따라 기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데이터 기록 장치는 각 사용자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기록부가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록할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기록 장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사용자 식별자 및 미디어 식별자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미디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미디어가 서비스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판별부에 의해 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별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구입 매수를 증가(increment)하는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데이터 기록 장치의 제어부는, 구입 이력 기억부에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이 기억되어 있지 않을 때, 기록부가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록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재생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부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부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와, 구입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구입 이력에 따라 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는 각 사용자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재생부가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재생 장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사용자 식별자 및 미디어 식별자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미디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미디어가 서비스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이 판별부에 의해 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별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구입 매수를 증가하는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데이터 재생 장치의 제어부는, 구입 이력 기억부에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이 기억되어 있지 않을 때, 재생부가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부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와, 축적부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구입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구입 이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기억부로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통신 장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사용자 식별자 및 미디어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미디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미디어가 서비스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이 판별부에 의해 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별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구입 매수를 증가하는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데이터 기록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부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부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따라 기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데이터 기록 장치는 각 사용자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기록부가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록할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데이터 기록 장치는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미디어 식별자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이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부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와, 축적부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구입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구입 이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통신 장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사용자 식별자 및 미디어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미디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미디어가 서비스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이 판별 수단에 의해 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별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 기억부에 기억되는 구입 매수를 증가하는 갱신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데이터 재생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부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따라 재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 데이터 재생 장치는 각 사용자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재생부가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데이터 재생 장치는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미디어 식별자를 판독하는 판독부와, 이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기록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부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부에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이 기록 수단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기억부에 기록된 횟수에 따른 기록 횟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록 횟수 데이터 생성부와, 기록 횟수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기록 횟수 데이터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틀 구입할 때의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할인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데이터 재생 장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부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이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이 재생부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된 횟수에 따른 재생 횟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재생 횟수 데이터 생성부 와, 재생 횟수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재생 횟수 데이터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할 때의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할인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데이터 기록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 수단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단계와, 구입 이력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재생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부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단계와, 구입 이력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은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단계와, 축적부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 및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구입 이력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콘텐츠 데이터의 기억 수단으로의 기록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구체적인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확실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상기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서비스에서 전자 음악 배포의 요금 할인 대상이 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성하는 광 디스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광 디스크의 기록 재생 장치.
도 5는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는 서버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패키지 미디어의 판매점에 설치되는 단말기 장치의 블록도.
도 7은 과금 서버 장치의 블록도.
도 8은 이용자가 판매점에서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하였을 때, 판매점이 서버 장치에 구입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서버 장치로 송신하고,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까지의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9는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자가 자신이 소유하는 기록 재생 장치에서 서버 장치에 액세스하여 구입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서버 장치에 등록하기까지의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0은 전자 음악 배포에 있어서 기록 재생 장치에서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하고, 다운로드하기까지의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1A 및 도 11B는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때, 기록 재생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서버 장치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에 구입 이력을 다운로드할 때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3은 기록 재생 장치에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할 때에 과금을 실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4는 기록 재생 장치에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 횟수에 따라 과금을 실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15는 결제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자에 한하여 이 패키지 미디어와 관련된 데이터의 배포를 실행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자에 한하여 이 패키지 미디어와 관련된 데이터의 배포를 실행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8은 전자 음악 배포의 이용자의 이용 빈도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할 때의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9는 판매점의 단말기 장치에서 이용자의 할인 데이터를 확인할 때의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20은 전자 음악 배포의 이용자의 이용 빈도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할 때의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스템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된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 A, 이용자 B, 이용자 C···(이하에서는 간단히 이용자라고도 함)가 소유하는 장치로, 패키지 미디어(2)인 기록 매체의 기록 재생을 행하는 기록 재생 장치(10, 20)와, 본 서비스를 운영하는 레코드 회사 등이 소유하는 장치로, 이용자에게 배포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축적하고, 액세스한 기록 재생 장치(10)에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버 장치(30)와,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이 소유하는 장치로, 광 디스크(4)를 구입한 구입 이력을 서버 장치(30)로 송신하는 단말기 장치(50)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은 오디오 데이터 AU.D를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이용자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서버 장치(60)를 구비한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에서는, 서버 장치(30)와 각 이용자의 기록 재생 장치(10)와 단말기 장치(50)와 과금 서버 장치(60)가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회선, CATV(Cable Television) 회선, 광 케이블 회선 등의 전기 통신 회선을 통하여 인터넷(3)내의 서버 장치(30)에 접속되어 있다.
이용자는 서버 장치(30)를 운영하는 레코드 회사 등과, 월정액 등 소정 기간내에 정액으로 또는 1곡마다 지불하는 종량제로 자신의 기호에 맞는 오디오 데이터 AU.D를 무제한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 계약을 맺고 있다.
또한, 이용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는 기록 매체의 판매점에서 컴팩트 디스크(이하에서는 간단히 CD라고도 함), 디지털 버서타일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k)(이하에서는 간단히 DVD라고도 함) 등의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함으로써,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의 앨범이나 악곡을 입수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 및 이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체에는, 기록 매체 단일체를 식별하는 식별 ID가 기록되어 있다. 판매점은 이용자가 기록 매체를 구입하면, 구입자(구입자가 전자 음악 배포를 이용하고 있을 때에는 이용자) ID와 함께 기록 매체의 기록 매체 ID를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또, 기록 매체 ID와 구입자(이용자) ID는, 이용자가 소유하는 기록 재생 장치(10)에 패키지 미디어(2)의 기록 매체를 장착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또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서버 장치(30)에 송신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용자는 소정 기간 정액으로, 또는 1곡마다 지불함으로써, 기록 재생 장치(10)를 사용하여 서버 장치(30)에 액세스하여, 원하는 오디오 데이터 AU.D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 때, 서버 장치(30)는 각 구입자(이용자) ID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수를 카운트하고, 각 이용자의 구입 매수에 따라 이용자가 오디오 데이터 AU.D를 서버 장치(3)로부터 다운로드하기 위한 계약을 맺을 때 할인을 행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계 S1에서, 이용자가 인터넷(3)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AU.D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계약을 맺을 때, 레코드 회사는 계약을 맺은 이용자가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레코드 회사는 이용자가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일 때, 단계 S2로 진행하고, 구입자가 아닐 때, 단계 S7로 진행한다.
단계 S2에서, 레코드 회사는 이용자가 패키지 미디어(2)를 지금까지, 또는 소정 기간내에 소정 매수, 예를 들면 2매 이상 구입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레코드 회사는 이용자가 지금까지 2매 이상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였을 때, 단계 S3으로 진행하고, 소정 매수 이상 구입하지 않았을 때, 단계 S4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패키지 미디어의 매수는 2매 이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레코드 회사는 단계 S3에서, 이용자가 2매 이상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였을 때, 요금을 무료로 한다.
이용자가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이지만 패키지 미디어(2)를 2매 이상 구입하지 않았을 때, 레코드 회사는 단계 S4에서, 해당 이용자에 대한 요금을 1000엔으로 설정하고, 1000엔이 불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레코드 회사는 1000엔이 불입되었을 때, 단계 S5로 진행하고, 1000엔이 불입되지 않았을 때, 단계 S6으로 진행한다.
단계 S5에서, 레코드 회사는 1000엔으로 본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계 S6에서, 계약이 성립하지 않은 것으로 하여, 본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용자가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가 아닐 때, 단계 S7에서, 레코드 회사는 요금을 2000엔으로 설정하고, 2000엔이 불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레코드 회사는 2000엔이 불입되었을 때, 단계 S8로 진행하고, 2000엔이 불입되지 않았을 때, 단계 S9로 진행한다.
단계 S8에서, 레코드 회사는 2000엔으로 본 서비스를 제공하고, 단계 S9에서, 계약이 성립되지 않은 것으로 하여, 본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에서는,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회수에 따라, EMD(Electronic Music Distribution) 등의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할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지 미디어(2)의 이용자를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로 불러들일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음악 배포의 이용자에게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에서는, 패키지 미디어(2)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면서 전자 음악 배포 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적용된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에 의한 서비스 대상이 되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성하는 광 디스크(4)에 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광 디스크(4)는, 기록 재생 장치(10)측의 디스크 회전 조작 기구의 디스크 테이블이 걸어맞춰지는 중심 구멍(4a)의 외주측에 내주측 비신호 기록 영역(4b)이 형성되며, 이 내주측 비신호 기록 영역(4b)의 외주측에 제1 데이터 기록 영역(4c)이 형성되며, 이 제1 데이터 기록 영역(4c)의 외주측에 광 디스크의 기록 매체 ID 등을 기록하기 위한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4d)이 형성되며, 이 식별 데이터 영역(4d)의 외주측에 제2 데이터 기록 영역(4e)이 형성되며, 이 제2 데이터 영역(4e)의 외주측에 외주측 비신호 기록 영역(4f)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제1 데이터 영역(4c)에는 종래부터 임의의 CD의 기록 포맷으로 제1 디지털 콘텐츠가 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CD와 동일한 기록 밀도로 기록되어 있다. 즉 이 제1 데이터 영역(4c)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는 CD 재생 장치에 의해서도 재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디지털 콘텐츠는 CD와 동일한 음질의 오디오 데이터이다. 물론, 제2 데이터 영역(4e)에 기록되어 있는 디지털 콘텐츠의 선전용 오디오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제2 데이터 영역(4e)에는, 제1 데이터 영역(4c)과 기록 포맷을 동일하게 하면서, 제2 디지털 콘텐츠가 제1 데이터 영역(4c)보다 2배의 기록 밀도로 기록 되어 있다. 이 제2 데이터 영역(4e)에는, 제1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되거나 또는 관련되지 않는 제2 디지털 콘텐츠가 기록되어 있다. 이 제2 디지털 콘텐츠는 예를 들면 제1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데이터로서, 신호 압축된 화상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디지털 콘텐츠에 부속되는 포스터, 가사, 인터뷰 기사, 신곡 안내 등이다. 또한, 제2 디지털 콘텐츠는 제1 디지털 콘텐츠보다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이어도 된다. 이 제2 데이터 영역(4e)에 기록되어 있는 제2 디지털 콘텐츠는 암호화하여 기록하고, 전용의 기록 재생 장치(10)에 의해 장진되었을 때에 한하여 암호 해독되어 재생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4d)에는, 광 디스크(4)를 1매씩 식별하기 위한 기록 매체 고유의 기록 매체 ID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그 밖에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4d)에는, 제조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제조 장치 ID, 저작권의 소유자나 관리자를 특정하기 위한 저작권 ID, 광 디스크(4)에 기록된 제1 및 제2 디지털 콘텐츠와 관련된 인터넷 상의 소정의 웹 사이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용자는 이상과 같은 광 디스크(4)를 가사 카드 또는 아티스트가 소개된 책자 등과 함께 수납체에 수납된 패키지 미디어(2)의 상태로 판매점에서 판매된다. 물론, 기록 매체 ID는 판매점에서도 알 수 있도록 수납체에 인쇄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광 디스크(4)를 재생하는 기록 재생 장치(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기록 재생 장치(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판독하는 광 픽업(11)과, 광 픽업(11)으로부터의 출력이 입력되는 RF 회로(12)와, RF 회로(12)의 출력에 기초하여 대물 렌즈의 포커싱 서보 신호와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는 서보 회로(13)와, 광 디스크(4)를 회전시키는 모터(14)와, RF 회로(12)로부터의 출력을 복조하는 복조 회로(15)와, 복조 회로(15)로부터의 출력의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는 에러 정정 회로(16)와,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독하는 암호 해독 회로(17)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18)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19)를 구비한다.
RF 회로(12)는 광 픽업(11)을 구성하는 광 검출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RF 신호,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포커싱 에러 신호는 비점수차법(非點收差法;astigmatism)에 의해 생성되며, 트래킹 에러 신호는 3빔법 또는 푸시풀법에 의해 생성된다. 그리고, RF 회로(12)는 RF 신호를 복조 회로(15)에 출력하고,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래킹 에러 신호를 서보 회로(13)에 출력한다.
서보 회로(13)는 광 디스크(4)를 재생할 때의 서보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서보 회로(13)는 포커싱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이 포커싱 에러 신호가 0이 되도록, 포커싱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트래킹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이 트래킹 에러 신호가 0이 되도록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보 회로(13)는 포커싱 서보 신호 및 트래킹 서보 신호를 광 픽업(11)을 구성하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그리고, 이 구동 회로는 포커싱 서보 신호 및 트래킹 서보 신호에 기초하여, 대물 렌즈를 구동하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를 구동 제어한다. 즉 구동 회로는 포커싱 서보 신호에 기초하여 2축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대물 렌즈를 대물 렌즈의 광축과 평행한 포커싱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키며, 트래킹 서보 신호에 기초하여 2축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고, 대물 렌즈의 광축에 직교하는 트래킹 방향으로 대물 렌즈를 구동 변위시킨다. 또한, 서보 회로(13)는 모터(14)를 서보 제어하기 위한 서보 신호를 모터(14)에 출력하고, 광 디스크(4)가 예를 들면 선속도 일정으로 회전되도록 구동 제어한다. 모터(14)의 출력축에는, 디스크 회전 조작 기구를 구성하는 디스크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으며, 광 디스크(14)는 중심 구멍(4a)이 디스크 테이블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출력축과 일체로 선속도 일정으로 회전한다.
복조 회로(15)는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등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조된 광 디스크(14)로부터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를 EFM 복조한다. 또한, 에러 정정 회로(16)는 크로스 인터리브 리드-솔로몬 부호화(Cross Interleave Reed-Solomon Code;CIRC) 등의 알고리즘에 따라 정정 처리를 실시하여 에러 정정후의 각 데이터를 암호 해독 회로(17)에 출력한다.
암호 해독 회로(17)는 광 디스크(4)의 제2 데이터 영역(4e)에 암호화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2 콘텐츠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암호 해독 키를 갖고 있으며, 제2 콘텐츠 데이터가 에러 정정 회로(16)로부터 입력되었을 때,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 해독 키에 의해 제2 콘텐츠 데이터를 해독한다. 또한, 이 암호 해독 회로(17)는 인터넷(3)을 통하여 다운로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 해독 키 또는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암호 해독 키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를 해독한다. 그리고, 암호 해독 회로(17)는 제1 디지털 콘텐츠나 제2 디지털 콘텐츠가 오디오 데이터일 때, D/A 컨버터에 출력하고, 화상 데이터 등일 때, 표시부에 출력한다.
D/A 컨버터(18)는 암호 해독 회로(17)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등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9)에 출력한다. 스피커(19)는 전기 신호를 전기 음향 변환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이 기록 재생 장치(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21)와,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처리부(22)와, 문자 등의 입력 조작이나 선택 조작을 행하는 입력 조작부(23)와,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24)와, 서버 장치(30)와 인터넷(3)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이하에서는 간단히 통신 I/F라고 함)(25)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를 구비한다.
기억부(21)는 하드 디스크(Hard disk) 등으로 이루어지며,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가 보존됨과 아울러, 서버 장치(30)에 개설된 홈 페이지를 열람하기 위한 열람 검색 프로그램 등의 각종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1)에는 광 디스크(4)의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4d)으로부터 판독한 기록 매체 ID가 기억되어 있다.
과금 처리부(22)는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 암호 해독 회로(17)에서 암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해독할 때에 과금 처리를 행한다.
입력 조작부(23)는 광 디스크(4)에 기록된 제1 및 제2 디지털 콘텐츠의 판독을 개시하는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재생 버튼, 재생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 재생 정지 버튼, 광 디스크(4)의 기록 트랙을 순방향으로 트랙 점프하기 위한 순방향 트랙 점프 버튼, 기록 트랙을 역방향으로 트랙 점프하기 위한 역방향 트랙 점프 버튼,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나 텐 키(ten key), 화면 상의 커서 위치를 입력하기 위한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키보드는 인터넷(3)을 통해 소정의 홈 페이지에 액세스할 때, URL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마우스 등은 표시부(24)에 다운로드할 오디오 데이터의 일람이 표시되었을 때, 표시된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하나 또는 복수개의 다운로드할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할 때에 사용된다.
표시부(24)는 CRT(Cathode-ray Tube) 또는 액정 표시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며, 광 디스크(4)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광 디스크(4)의 재생 시간, 재생 중인 트랙 번호 등, 광 디스크(4)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24)는 소정의 URL에 액세스하였을 때, 홈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록 재생 장치(10)에서 광 디스크(4)를 재생할 때, 이용자에 의해 입력 조작부(23)를 구성하는 재생 버튼가 눌려지면, 모터(14)는 광 디스크(4)의 선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구동되며, 광 디스크(4)를 회전 조작한다. 이와 함께, 광 픽업(11)은 광 빔을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한다. 그리고,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온 광 빔은 광 검출기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광 검출기는 이 전기 신호를 RF 회로(12)에 출력한다. RF 회로(12)는 RF 신호를 생성하여 복조 회로(15)에 출력함과 아울러, 포커싱 에러 신호와 트래킹 에러 신호를 생성하여, 서보 회로(13)에 출력한다.
서보 회로(13)는 포커싱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포커싱 서보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트래킹 에러 신호에 기초하여 트래킹 서보 신호를 생성하며, 이들 에러 신호를 광 픽업(11)을 구성하는 대물 렌즈 구동 기구의 구동 회로에 출력한다. 그리고, 광 픽업(11)은 대물 렌즈 구동 기구를 구동하여, 대물 렌즈를 광 빔의 광축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킴으로써 포커싱 제어를 실행하고, 대물 렌즈를 광 빔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동 변위시킴으로써 트래킹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복조 회로(15)는 RF 회로(12)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조하여, 에러 정정 회로(16)에 출력하고, 에러 정정 회로(16)는 CIRC의 알고리즘에 따라 에러 정정 처리를 행하여, 암호 해독 회로(17)에 출력한다. 암호 해독 회로(17)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 해독 키에 의해 제2 콘텐츠 데이터를 해독하여, D/A 컨버터(18)에 출력한다. 또한, 암호 해독 회로(17)는 암호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제1 디지털 콘텐츠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어떠한 처리도 실시하지 않고 D/A 컨버터(18)에 출력한다. D/A 컨버터(18)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9)에 출력하고, 스피커(19)는 전기 음향 변환하여 음향 재생을 실행한다.
또한, 서버 장치(30)에 형성된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기 위한 홈 페이지를 열람할 때에는, 이용자가 입력 조작부(23)를 구성하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사용하여 그 홈 페이지의 소재를 나타내는 URL을 입력하면, 제어부(26)가 열람 검색 프로그램이나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전송 프로토콜을 실행한다. 그러면, 기록 재생 장치(10)는 인터넷(3)을 통하여 서버 장치(30)에 액세스하고, 해당하는 홈 페이지를 다운로드하여 표시부(24)에 표시한다. 그리고, 제어부(26)는 자동적으로 또는 입력 조작부(23)의 조작에 따라 예를 들면 광 디스크(4)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ID를 이용자 ID와 함께 구입 이력 정보로 하여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또한, 입력 조작부(23)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에 의해 다운로드할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선택되면, 제어부(26)는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억부(21)에 보존한다.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기억부(21)에 기억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재생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부(26)는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부(21)로부터 판독하여, 암호화되어 있으면 암호 해독 회로(17)에 출력하고, 암호화되어 있지 않으면, D/A 컨버터(18)에 출력한다. 그리고, D/A 컨버터(18)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9)에 출력하고, 스피커(19)는 전기 음향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 1곡씩 기록이나 재생이 이루어질 때마다 과금을 행할 때에는,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겠지만 과금 처리부(22)가 과금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6)는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과금 처리부(22)에 기록되어 있는 과금 데이터 등을 통신 I/F(25)를 통하여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다음에, EMD 등의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는 서버 장치(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축적된 제1 기억부(31)와, 판매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패키지 미디어(2)의 기록 매체 ID가 기억되어 있는 제2 기억부(32)와,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이력이 기억되는 제3 기억부(33)와, 이용자의 기록 재생 장치(10) 또는 판매점의 단말기 장치(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I/F(34)와, 이용자의 기록 재생 장치(10) 또는 판매점의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기록 매체 ID와 제2 기억부(32)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ID를 비교하여 인증하는 비교 인증부(35)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된 리드 온리 메모리(read only memory:이하에서는 간단히 ROM이라 함)(36)와, ROM(36)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로드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이하에서는 간단히 RAM이라 함)(37)와,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카운트하는 타이머(38)와, RAM(37)에 로드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39)를 구비한다.
제1 기억부(31)는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제1 기억부(31)에 구축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데이터 베이스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데이터 베이스는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아티스트명 AAA BBB CCC ···
곡명 a e i ·
b f j ·
c g k ·
d h l ·
· · · ·
· · · ·
· · · ·
즉,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억부(31)에 구축되는 데이터 베이스는 아티스트마다 해당하는 아티스트의 곡, 즉 오디오 데이터가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 "AAA"에는 이 아티스트의 곡, 즉 오디오 데이터 "a", "b", "c", "d"가 대응되며, 아티스트 "BBB"에는 오디오 데이터 "e", "f", "g", "h"가 대응되어 있다.
또한, 이 데이터 베이스는 하기 표 2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장르 재즈
아티스트명 AAA BBB CCC ···
곡명 a e i ·
b f j ·
c g k ·
d h l ·
· · · ·
· · · ·
· · · ·
즉,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억부(31)에 구축되는 데이터 베이스는 아티스트가 장르별로 분류되어 있으며, 각 아티스트마다 해당 아티스트의 곡, 즉 오디오 데이터가 분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 "AAA"와 "BBB"는 "록" 장르로 분류되어 있으며, "CCC"는 "재즈" 장르로 분류되어 있다. 그리고, 장르별로 분류된 아티스트, 예를 들면 "록" 장르에 속하는 아티스트 "AAA"에는, 이 아티스트의 곡, 즉 오디오 데이터 "a", "b", "c", "d"가 대응되어 있다.
또한, 제2 기억부(32)도 제1 기억부(31)와 마찬가지로 대용량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매되고 있는 광 디스크(4)의 패키지 미디어(2)가 해당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처의 레코드 회사별로 분류되어 기억되어 있다.
레코드 회사 ID 기록 매체 ID 앨범명 발매 연월일
ABC A1234 KAKIKUKEKO 2000.07.14
DEF D5678 SASISUSESO 2000.06.07
GHI G9012 TATITUTETO 2001.01.01
· · · ·
· · · ·
· · · ·
예를 들면, 데이터 베이스는 레코드 회사 ID "ABC"와 대응되어, 기록 매체 ID "A1234"와 발매일 "2000년 7월 14일"이 기록되며, 또한 레코드 회사 ID "DEF"에 대응되어, 기록 매체 ID "D5678"과 발매일 "2000년 6월 7일"이 기록되어 있다. 이 레코드 회사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레코드 회사와 관계없는 레코드 회사를 포함해도 좋지만, 여기에서는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고 있는 레코드 회사와 이 레코드 회사와 관련된 레코드 회사이다.
또한, 제3 기억부(33)도 제1 및 제2 기억부(31, 32)와 마찬가지로 대용량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이용자)의 구입 매수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이 제3 기억부(33)에는 구입자(이용자)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에 따른 전자 음악 배포 요금이 기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패키지 미디어(23)의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데이터 베이스는 하기 표 4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구입자(이용자) ID 구입수 감액 플래그 과금 데이터
OPQ 10매 10 1000엔
RST 20매 10 1000엔
UVW 30매 11 0엔
XYZ 0매 00 2000엔
· · · ·
· · · ·
· · · ·
즉,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는 데이터 베이스는 각 구입자(이용자) ID에 대하여, 구입 매수와 감액 플래그와 과금 데이터가 대응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전자 음악 배포 요금의 기본 요금을 월정액 2000엔으로 하고, 패키지 미디어(2)를 0매∼9매 구입한 구입자에게는 할인하지 않고, 이 때의 감액 플래그를 "00"으로 하고, 10매∼29매 구입한 구입자에게는 1000엔을 할인하고, 이 때의 감액 플래그를 "10"으로 하고, 30매 이상 구입한 구입자에게는 전자 음악 배포 요금을 무료로 하고, 이 때의 감액 플래그를 "11"로 한다.
그러면, 예를 들면 구입자(이용자) ID "XYZ"는 구입 매수가 10매와 0매이기 때문에, 감액 플래그가 "00"으로 할인을 받을 수 없어서 과금 데이터가 2000엔이 되고, 구입자(이용자) ID "OPQ"와 "RST"는 구입 매수가 10매와 20매이기 때문에, 감액 플래그가 "10"으로 1000엔을 할인받아서 과금 데이터가 1000엔이 되며, 구입자(이용자) ID "UVW"는 구입 매수가 30매이기 때문에, 감액 플래그가 "11"로 과금 데이터가 0엔이 된다.
또,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는 계약을 맺지 않은 구입자(이용자) ID의 란은 구입수의 란만이 기입되고, 감액 플래그의 란과 과금 데이터의 란은 공백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버 장치(30)는 이들을 대상으로 전자 음악 배포를 용이하게 선전할 수 있다. 또한, 월정액으로 전자 음악 배포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기록 재생 장치(10)에서의 기록 또는 재생 횟수에 따라 종량제로 요금을 지불하는 이용자에 대해서는, 할인 데이터를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통신 I/F(34)는 기록 재생 장치(10) 또는 판매점의 단말기 장치(50)와 인터 넷(3)을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통신 I/F(34)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수신함과 아울러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 I/F(34)는 판매점의 단말기 장치(50)로부터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수신한다. 또한, 통신 I/F(34)는 각 이용자 ID의 과금 데이터를 과금 서버 장치(60)로 송신한다.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 또는 판매점의 단말기 장치(50)로부터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통신 I/F(34)가 수신하였을 때, 먼저 제3 기억부(33)에 이용자(구입자)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없을 때에는 새롭게 구입자(이용자) ID를 제3 기억부(33)에 추가한다. 이어서,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 또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기록 매체 ID가 제2 기억부(32)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ID 중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매체 ID가 제2 기억부(32)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에 있을 때, 해당하는 구입자(이용자) ID의 구입 매수의 란을 증가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갱신된 구입 매수에 따라 과금 데이터와 할인 데이터를 갱신한다.
또한, 타이머(38)는 상기 전자 음악 배포 요금을 월정액으로 징수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각 이용자(구입자) ID에 대하여 소정 기간, 즉 1개월이 경과하였는지를 카운트한다.
이상과 같은 서버 장치(3)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9)가 이 선택 신호에 대응한 제1 기억부(31)에 기 억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를 통신 I/F(34)를 통하여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또한, 기록 재생 장치(10) 또는 판매점의 단말기 장치(50)로부터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이용자) ID를 수신하면, 제어부(39)는 비교 인증부(35)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기억부(32)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ID를 참조하여,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자(이용자) ID의 구입 이력을 갱신시킨다.
또한, 제어부(39)는 소정 기간, 예를 들면 1개월이 경과하였을 때, 전자 음악 배포 요금을 이용자로부터 징수하기 위하여, 과금 센터에 과금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음에,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 등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기 장치(50)에 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 단말기 장치(50)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한 것이며, 홈 페이지를 검색 열람하는 검색 열람 프로그램, 전자 메일 프로그램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과 고객 리스트 등의 데이터 베이스가 보존된 기억부(51)와, 서버 장치(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I/F(52)와, 전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등이 기억된 ROM(53)과, ROM(53)으로부터 제어 프로그램 등이 일단 판독되는 RAM(54)과,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 조작부(55)와, 서버 장치(30)에 액세스하였을 때에 홈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부(56)와, 기억부(51) 또는 ROM(53)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57)를 구비한다.
이용자가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에서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면, 점원은 입력 조작부(55)를 조작함으로써, 구입자의 구입자(이용자) ID와 패키지 미디어(2)의 기록 매체 ID를 입력한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50)는 입력 조작부(55)에서 서버 장치(30)에 액세스하기 위한 URL이 입력되면 TCP/IP 등의 전송 프로토콜이 실행되고,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다음에, 오디오 데이터를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이용자에 대하여 과금 처리를 행하는 과금 서버 장치(60)에 관하여, 도 7을 참조하며 설명하면, 이 과금 서버 장치(6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용자 등의 계좌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61)와, 데이터를 부호화 복호하는 코덱(codec;coder/decoder, 62)과, 서버 장치(30)와 과금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I/F(63)와, 전체 동작 제어용의 프로그램이 기억된 ROM(64)과, ROM(64)에 기억된 프로그램이 로드되는 RAM(65)과,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66)를 구비한다. 과금 서버 장치(6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과금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 전자 음악 배포 이용자의 계좌 데이터를 갱신함으로써 결제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이용자가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에서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였을 때, 판매점이 서버 장치(30)에 구입자 ID와 구입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의 기록 매체 ID를 서버 장치(3)로 송신하고, 서버 장치(30)에 등록하기까지의 순서에 관하여, 도 8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용자가 판매점에서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면, 단계 S11 에서, 점원이 입력 조작부(55)를 조작함으로써, 서버 장치(30)의 URL을 입력하면, 단말기 장치(50)는 서버 장치(30)에 액세스한다. 단계 S12에서, 서버 장치(30)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 단말기 장치(50)에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의 구입자(이용자) ID와, 구입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의 기록 매체 ID의 입력 요구를 단말기 장치(50)로 송신한다.
단말기 장치(50)가 서버 장치(30)로부터의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의 입력 요구를 수신하면, 단말기 장치(50)는 먼저 표시부(56)에,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13에서, 단말기 장치(50)에는 판매점의 점원 등에 의해 입력 조작부(55)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으로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의 입력란이 지정되고, 키보드 등이 조작됨으로써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가 입력된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50)는 단계 S14에서, 점원 등에 의해 송신 조작이 행해지면, TCP/IP 등의 전송 프로토콜이 실행되고,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15에서, 서버 장치(3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장치(50)로부터의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수신하면, 단계 S16에서, 제어부(39)는 비교 인증부(35)를 동작시킨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구입자(이용자) ID가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구입자(이용자) ID가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을 때,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가 지금까지도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고 있는 등록완료된 자라고 판단하고, 단계 S17로 진행한다. 또한, 비교 인증부(35)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구입자(이용자) ID가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없을 때,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가 처음으로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자라고 판단하고, 단계 S21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서, 비교 인증부(35)는 제2 기억부(32)에 구축되어 있는 기록 매체 ID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 단계에서, 비교 인증부(35)는 구입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단말기 장치(35)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있을 때, 구입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품이라 하여 단계 S18로 진행하고,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내에 없을 때, 본 서비스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서, 비교 인증부(35)는 제3 기억부(33)의 구입자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구입자(이용자) ID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의 란을 소매점에서의 구입 매수만큼 증가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갱신된 구입 매수에 따라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자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의 감액 플래그와 과금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해당하는 구입자(이용자) ID의 감액 플래그를 검출하여,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가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비교 인증부(35)는 단말기 장치(35)로부터 송신된 구입자(이용자) ID에 해당하는 구입자의 과금 데이터가 무료인지 1000엔인지 2000엔인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19에서, 서버 장치(30)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구입자(이용자) ID가 이미 서버 장치(30)에 등록되어 있으며,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과금 데이터, 패키지 미디어(2)의 총 구입 매수 등의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 장치(50)로 송신한다. 단계 S20에서, 단말기 장치(5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갱신 통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의 점원은 이 갱신 데이터의 내용을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또한, 갱신 데이터를 통지받은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요금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6에서, 비교 인증부(35)가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구입자(이용자) ID가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없다고 판단하면, 단계 S21에서, 비교 인증부(35)는 단계 S17과 마찬가지로, 제2 기억부(32)에 구축되어 있는 기록 매체 ID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 단계에서, 비교 인증부(35)는 구입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있을 때, 구입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품이라 하여 단계 S22로 진행하고, 단말기 장치(50) 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없을 때, 본 서비스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단계 S25로 진행한다.
단계 S22에서, 비교 인증부(35)는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구입자(이용자) ID를 신규 등록하고, 구입자(이용자) ID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의 란을 판매점에서의 구입 매수만큼 증가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갱신된 구입 매수에 따라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자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의 감액 플래그와 과금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해당하는 구입자(이용자) ID의 감액 플래그를 검출하여,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가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비교 인증부(35)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구입자(이용자) ID에 해당하는 구입자의 과금 데이터가 무료인지 1000엔인지 2000엔인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23에서, 서버 장치(30)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구입자(이용자) ID를 서버 장치(30)에 신규 등록하고,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과금 데이터, 패키지 미디어(2)의 총 구입 매수 등의 갱신 데이터를 단말기 장치(50)로 송신한다. 단계 S24에서, 단말기 장치(5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갱신 통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의 점원은 이 갱신 데이터의 내용을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또한 갱신 데이터를 통지받은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요금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7 및 단계 S21에서 비교 인증부(35)가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내에 없고, 본 서비스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서버 장치(30)는 단계 S25에서, 구입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이 아닌 패키지 미디어(2)이라는 것을 구입자에게 알리기 위한 서비스 대상외 통지를 단말기 장치(50)로 송신한다. 단계 S26에서, 단말기 장치(5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서비스 대상외 통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의 점원은 이 서비스 대상외 통지의 내용을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또한 서비스 대상외 통지를 받은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할인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이용자가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에서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고, 광 디스크(4)를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서버 장치(30)에 구입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하고, 서버 장치(30)에 등록하기까지의 순서에 관하여, 도 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구입자(이용자)가 자택의 기록 재생 장치(10)에 장착하면, 단계 S31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광 디스크(4)의 재생을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에 의해 입력 조작부(23)를 구성하는 재생 버튼이 눌려지면, 광 디스크(4)는 모터(14)에 의해 선속도가 일정하게 되도록 회전된다. 이와 함께, 광 픽업(11)은 광 빔을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에 조사한다. 그리고, 광 디스크(4)의 신호 기록면에서 반사되어 돌아온 광 빔은 광 검출 기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광 검출기는 이 전기 신호를 RF 회로(12)에 출력하고, RF 회로(12)는 RF 신호를 생성하여 복조 회로(15)에 출력하고, 복조 회로(15)는 RF 회로(12)로부터 입력된 RF 신호를 EFM의 알고리즘에 따라 복조하여, 에러 정정 회로(16)에 출력하고, 에러 정정 회로(16)는 CIRC의 알고리즘에 따라 정정 처리를 행하여, 기억부(21)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광 디스크(4)의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4d)에 기록되어 있는 서버 장치(30)의 URL과 기록 매체 ID는, 일단 기억부(21)에 기억된다. 그리고, 단계 S32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에 의해 송신 조작이 행해지면 TCP/IP 등의 전송 프로토콜이 실행되고, 기록 재생 장치(10)의 기억부(21) 등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구입자(이용자) ID와 함께 기록 매체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33에서, 서버 장치(5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장치(50)로부터의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수신하면, 단계 S34에서, 제어부(39)는 비교 인증부(35)를 동작시킨다.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이용자 ID가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이용자 ID가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있을 때, 이용자가 지금까지도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고 있는 등록완료된 자라고 판단하고, 단계 S35로 진행한다. 또한,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이용자 ID가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없을 때, 이용자가 처음으로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자라고 판단하고, 단계 S39로 진행한다.
단계 S35에서, 비교 인증부(35)는 제2 기억부(32)에 구축되어 있는 기록 매체 ID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 단계에서, 비교 인증부(35)는 이용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있을 때, 구입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품이라 하여 단계 S36으로 진행하고,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없을 때, 본 서비스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단계 S43으로 진행한다.
단계 S36에서, 비교 인증부(35)는 제3 기억부(33)의 구입자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 ID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를 증가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갱신후의 구입 매수에 따라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자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의 감액 플래그와 과금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해당하는 이용자 ID의 감액 플래그를 검출하여, 기록 재생 장치(10)의 이용자가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과금 데이터가 무료인지 1000엔인지 2000엔인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37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가 이미 서버 장치(30)에 등록되어 있으며,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과금 데이터, 패키지 미디어(2)의 총 구입 매수 등의 갱신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38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갱신 통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요금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S34에서, 비교 인증부(35)가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이용자 ID가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없다고 판단하면, 단계 S39에서, 비교 인증부(35)는 단계 S25와 마찬가지로, 제2 기억부(32)에 구축되어 있는 기록 매체 ID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의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이 단계에서, 비교 인증부(35)는 이용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품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있을 때, 이용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품이라 하여 단계 S40으로 진행하고,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없을 때, 본 서비스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단계 S4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에서, 비교 인증부(35)는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를 신규 등록하고, 이용자 ID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를 증가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갱신된 구입 매수에 따라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구입자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의 감액 플래그와 과금 데이터를 갱신한다. 그리고, 비교 인증부(35)는 해당하는 구입자(이용자) ID의 감액 플래그를 검출하여, 이용자가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비교 인증부(35)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에 해당하는 이용자의 과금 데이터가 무료인지 1000엔인지 2000엔인지를 선택한다.
그리고, 단계 S41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를 서버 장치(30)에 신규 등록하고,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과금 데이터, 패키지 미디어(2)의 총 구입 매수 등의 갱신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42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갱신 통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요금을 알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S35 및 단계 S39에서 비교 인증부(35)가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되어 온 기록 매체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없고, 본 서비스의 대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서버 장치(30)는 단계 S43에서, 이용자가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가 본 서비스의 대상외의 패키지 미디어(2)라는 것을 구입자에게 알리기 위한 서비스 대상외 통지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44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서비스 대상외 통지를 수신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할인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에 있어서 기록 재생 장치(10)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때의 순서에 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51에서, 서버 장치(30)는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기 위한 홈 페이지를 인터넷(3) 상에 공표한다. 단계 S52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광 디스크(4)의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4d)에 기록되어 있는 URL 또는 잡지 등의 기사에서 알게 된 URL에 따라, 서버 장치(30)에 개설된 홈 페이지에 액세스한다. 서버 장치(30)는 단계 S53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 기록 재생 장치(10)에 이용자 ID의 입력을 요구한다. 단계 S54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입력 요구를 수신하면, 입력 요구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기록 재생 장치(10)의 기억부(21) 등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이용자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서버 장치(30)는 단계 S55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이용자 ID를 수신하면, 단계 S56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에 기초하여, 전자 음악 배포의 계약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단계 S57로 진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57에서, 서버 장치(30)는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리스트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58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리스트를 수신하여, 표시부(24)에 표시한다.
표시부(24)에 표시되는 화면은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티스트마다 해당 아티스트의 곡명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 "AAA"에는 이 아티스트의 곡, "a", "b", "c", "d"의 곡명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곡명의 란에는 다운로드할 곡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체크란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A에 나타낸 예에서는, 아티스트 "AAA"의 곡 "b"가 선택되어 있다. 또한, 이 화면에는 하측에,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선택 신호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화면은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어도 된다. 이 화면은 아티스트가 장르별로 분류되어 있으며, 장르별로 분류된 아티스트마다 해당 아티스트의 곡명이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 "AAA"에는 이 아티스트의 곡"a", "b", "c", "d"의 곡명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곡명란에는 다운로드할 곡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체크란이 형성되어 있다. 도 11A에 나타낸 예에서는, 아티스트 "AAA"의 곡 "d"와 아티스트 "CCC"의 곡 "j"가 선택되어 있다. 또한, 이 화면에는 하측에, 선택한 오디오 데이터를 나타내는 선택 신호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 버튼이 형성되어 있다.
단계 S59에서, 입력 조작부(23)를 구성하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사용함으로써, 이용자는 다운로드할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오디오 데이터의 선택은 입력 조작부(23)를 조작함으로써 선택 체크란을 체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송신 버튼이 입력 조작부(23)에 의해 클릭되면,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60에 서, 이용자가 선택한 다운로드할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 선택 신호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61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 신호에 대응한 오디오 데이터를 제1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검색하고, 단계 S62에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여기서, 서버 장치(30)가 송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는 암호화된 데이터이다.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63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억부(21)에 기록하고, 단계 S64에서,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구체적으로 기록 재생 장치(10)의 재생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버튼가 눌려지면, 제어부(26)는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부(21)로부터 판독하여, 암호 해독 회로(17)에 출력한다. 암호 해독 회로(17)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 해독 키를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의 암호를 해독하여 D/A 컨버터(18)에 출력한다. D/A 컨버터(18)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9)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이용자는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다음에, 1곡 오디오 데이터를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할 때마다, 기록 재생 장치(10)측에서 과금 처리를 행하는 예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단계 S71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광 디스크(4)의 식별 데이터 기 록 영역(4d)에 기록되어 있는 URL에 따라, 서버 장치(30)에 개설된 홈 페이지에 액세스한다.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 단계 S72에서, 기록 재생 장치(10)에 이용자 ID의 입력을 요구한다. 단계 S73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입력 요구를 수신하면, 입력 요구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기록 재생 장치(10)의 기억부(21) 등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이용자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서버 장치(30)는 단계 S74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이용자 ID를 수신하면, 단계 S75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에 기초하여, 전자 음악 배포의 계약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단계 S76에 진행하여, 인증 통지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77에서,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인증 통지를 수신하면, 이어서 단계 S78에서, 자신이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이력 데이터의 취득 요구를 송신한다. 단계 S79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이력 데이터의 취득 요구를 수신하면, 제3 기억부(33)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 해당하는 이용자 ID를 추출하고, 이 이용자의 이력 데이터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를 송신한다. 여기서, 서버 장치(30)는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에 따른 감액 플래그도 구입 매수와 함께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80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이력 데이터를 수신하면, 과금 처리부(22)에 입력한다. 여기에서, 과금 처리부(22)는 이용자가 오디오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였을 때 과금되는 금액의 할인 데이터 등을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에 따라 생성한다.
이어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도 12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따라, 이력 데이터를 다운로드한 후,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를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다.
먼저, 단계 S91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도 10에 나타낸 단계 S52, S54, S58, S59, S60의 순서에 따라,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할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어서, 서버 장치(30)는 단계 S92에서, 도 10에 나타낸 단계 S51, S53, S55, S56, S57, S61, S62의 순서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10)에 기록 재생 장치(10)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 S93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억부(21)에 보존한다. 단계 S95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과금 처리부(22)가 기억부(21)에 보존된 오디오 데이터의 곡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과금 처리부(22)는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의 곡수에 따라 예를 들면 1곡 100엔으로 과금하고, 이것을 기억한다.
그리고, 단계 S96에서,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부(26)가,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부(21)로부터 판독하고, 암호 해독 회로(17)에 출력한다. 암호 해독 회로(17)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 해독 키를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의 암호를 해독하여 D/A 컨버터(18)에 출력한다. D/A 컨버터(18)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9)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이용자는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단계 S97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소정 기간, 예를 들면 1개월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단계 S98로 진행하고, 소정 기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때, 단계 S91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기록 재생 장치(10)는 월정액으로 다운로드 곡수에 따른 금액을 산출한다.
단계 S98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소정 기간에 다운로드한 곡수에 따른 금액에,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함에 따른 할인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할인 후의 과금 데이터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그리고, 단계 S99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과금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렇게 하여,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실행하고 있는 서버 장치(30)의 관리자는 이용자의 과금 데이터를 알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10)측에서 1곡 다운로드할 때마다 과금 처리를 행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1곡 다운로드할 때마다 실행하는 과금 처리를 후술하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버 장치(30)측에서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도 13에 나타낸 예에서는,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에 다운 로드하여, 기억부(21)에 보존하였을 때에 과금 처리를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기록 재생 장치(10)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시에 과금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먼저 단계 S101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도 10에 나타낸 단계 S52, S54, S58, S59, S60의 순서에 따라,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할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다. 이어서, 서버 장치(30)는 단계 S102에서, 도 10에 나타낸 단계 S51, S53, S55, S56, S57, S61, S62의 순서에 따라, 기록 재생 장치(10)에 기록 재생 장치(10)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 S103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어서, 단계 S104에서, 기억부(11)에 보존한다. 그리고, 단계 S105에서,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부(26)는 선택된 오디오 데이터를 기억부(21)로부터 판독하고, 암호 해독 회로(17)에 출력한다. 암호 해독 회로(17)는 미리 기억하고 있는 암호 해독 키를 사용함으로써, 오디오 데이터의 암호를 해독하여 D/A 컨버터(18)에 출력한다. D/A 컨버터(18)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9)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이용자는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단계 S106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과금 처리부(22)가 암호 해독 회로(17)에서 오디오 데이터의 암호를 해독한 횟수를 카운트한다. 그리고, 과금 처리부(22)는 재생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에 따라 예를 들면 1곡 100엔으로 과금하고, 이것을 기억한다.
단계 S107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소정 기간, 예를 들면 1개월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 기간을 경과하였을 때, 단계 S108로 진행하고, 소정 기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때, 단계 S101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기록 재생 장치(10)는 소정 기간내에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에 따른 금액을 산출한다.
단계 S108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소정 기간에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에 따른 금액에,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함에 따른 할인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할인 후의 과금 데이터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그리고, 단계 S99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과금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렇게 하여,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서버 장치(30)의 관리자는 이용자의 과금 데이터를 알 수 있다.
도 14에 나타낸 예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10)측에서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 즉 암호 해독할 때마다 과금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의 암호 해독 키를,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때마다 서버 장치(30)로부터 취득하도록 하고, 서버 장치(30)가 상기 암호 해독 키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할 때에 서버 장치(30)측에서 과금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은 기록 재생 시스템(1)에서의 결제 처리 방법에 관하여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서버 장치(30)는 제3 기억부(33)에 예를 들면 1개월 일정 요금으로 계약하고 있는 이용자에 대해서는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에 따른 할인을 반영시킨 과금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으며, 또한 1곡 다운로드하여 기록 재생 장치(10)의 기억부(21)에 기록한 곡수만큼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에 따른 할인을 반영시켜서 과금하는 도 13의 시스템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과금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으며, 재생 횟수만큼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에 따른 할인을 반영시켜서 과금하는 도 14의 시스템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과금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단계 S111에서, 소정 기간, 예를 들면 1개월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소정 기간을 경과하였을 때, 단계 S112로 진행하고,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을 때, 단계 S111을 반복한다. 이어서, 서버 장치(30)는 단계 S112에서, 서버 ID와 함께 과금 서버 장치(60)에 액세스를 요구한다. 액세스 요구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과금 서버 장치(60)는 단계 S113에서,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서버 ID에 기초하여 인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과금 서버 장치(60)는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단계 S115로 진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단계 S116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기록 재생 장치(10)의 소유자인 이용자는 미리 본 시스템의 서비스용으로 계좌를 지정하고 있으며, 과금 서버 장치(60)는 계좌에 대응하여 이용자용 키를 기억하고 있다. 따라서,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과금 서버 장치(60)는 단 계 S115에서, 서버 장치(30)에 이용자용 키를 송신한다.
또한, 단계 S114에서,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과금 서버 장치(60)는 서버 장치(30)에 비인증 신호를 송신하고, 서버 장치(30)의 관리자, 즉 본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림과 아울러 서버 장치의 처리도 종료한다.
단계 S117에서, 서버 장치(30)는 이용자용 키를 수신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수신하였을 때, 단계 S117로 진행하고, 수신하지 않았을 때, 단계 S117을 반복한다. 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계좌용 키의 재송신을 과금 서버 장치에 요구하고, 단계 S117을 반복하도록 해도 된다. 단계 S118에서, 서버 장치(30)는 이용자용 키와 함께 과금 데이터를 과금 서버 장치(60)로 송신한다.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과금 서버 장치(60)는 단계 S119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이용자용 키와 과금 데이터를 수신하면, 단계 S120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이용자에 대한 과금 데이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의 갱신, 즉 날짜, 입출금 이력, 잔금 등을 갱신한다.
즉, 과금 서버 장치(6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과금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계좌 데이터의 감액 처리를 행하고, 또한 서버 장치(30)의 관리자의 계좌 데이터에 그 만큼의 불입 처리를 행한다.
이상과 같은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에서는,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수에 따라, 레코드 회사가 실시하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을 때의 할인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자를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로 불러들일 수 있으며, 또한 전자 음악 배포 이용자에게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을 촉진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에서는, 패키지 미디어(2)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전자 음악 배포 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예에서는,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는 이용자에게 과금 처리를 실시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이용자에 한하여, 무료로 해당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 예를 들면 해당 패키지 미디어(2)의 아티스트의 신곡의 오디오 데이터의 일부, 인터뷰 기사, 화상 데이터, 또는 영상 데이터를 무료로 배포하는 서비스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것을 도 16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록 재생 장치(10)는 먼저 단계 S121에서, 구입한 패키지 미디어(2)의 광 디스크(4)의 식별 데이터 기록 영역(4d)에 기록되어 있는 URL에 따라, 서버 장치(30)에 개설된 홈 페이지에 액세스한다.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 단계 S122에서, 기록 재생 장치(10)에 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의 입력을 요구한다. 단계 S123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입력 요구를 수신하면, 입력 요구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하고,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기록 재생 장치(10)의 기억부(21) 등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서버 장치(30)는 단계 S124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를 수신하면, 단계 S125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에 기초하여, 제2 기억부(32)의 광 디스크(4)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기록 매체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제3 기억부(33)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이용자 ID가 있는지의 여부의 인증을 행한다. 즉 이 단계에서, 서버 장치(30)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이용자의 기록 재생 장치(10)에만 패키지 미디어(2)의 관련 데이터를 배포하도록 인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인증이 이루어지면 단계 S126으로 진행하여, 인증 통지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처리를 종료하고,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에 배포하지 않도록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27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인증 통지를 수신하면, 이어서 단계 S128에서,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의 다운로드 요구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서버 장치(30)는 단계 S129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다운로드 요구를 수신하면, 이어서 해당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130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억부(21)에 보존한다. 단계 S131에서, 다운로드한 데이터를 재생할 때,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부(23)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26)가 기억부(21)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일 때, 이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있으면 암호 처리 회로(17)에 출력되고, 암호화되어 있지 않으면 D/A 컨버터(18)에 출력된다. 그리고, 암호 처리 회로(17)에서 암호 해독된 데이터는 D/A 컨버터(18)에 출력된다. D/A 컨버터(18) 는 암호 처리 회로(17) 또는 기억부(21)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19)에 출력하고, 스피커(19)는 전기 음향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다운로드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또는 인터뷰 기사 등의 데이터일 때에는, 제어부(26)는 표시부(24)에 이들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이력을 서버 장치(30)에서 관리함으로써,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이용자에게만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도 16에 나타낸 예에서는,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제한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의 재생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해도 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먼저 단계 S141에서, 잡지 등에 기재되어 있는 URL에 따라서, 서버 장치(30)에 개설된 홈 페이지에 액세스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10)는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를 선택하고, 이 선택 신호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142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응하는 패키지 미디어(2)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143에서, 서버 장치(30)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데이터를 기억부(21)에 보존한다.
단계 S144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에 의해,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의 재생 조작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되었을 때 단계 S145로 진행하고, 실행되지 않았을 때, 단계 S144를 반복한다. 단계 S145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에 대하여, 해당하는 패키지 미디어(2)의 기록 매체 ID와 이용자 ID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4)에 표시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에 의해 기록 매체 ID와 이용자 ID가 입력되면, 입력된 기록 매체 ID와 이용자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146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기록 매체 ID와 이용자 ID를 수신하면, 단계 S146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에 기초하여, 제2 기억부(32)의 광 디스크(4)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기록 매체 ID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과 아울러, 제3 기억부(33)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이력의 데이터 베이스에 이용자 ID가 있는지의 여부의 인증을 행한다. 즉 이 단계에서, 서버 장치(30)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이용자의 기록 재생 장치(10)에만 패키지 미디어(2)의 관련 데이터를 배포하도록 인증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인증이 이루어지면 단계 S148로 진행하고, 기록 재생 장치(10)의 기억부(21)에 암호화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는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의 암호 해독 키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처리를 종료하고,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에 배포하지 않도록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149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암호 해독 키를 수신하면, 단계 S150으로 진행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제어부(26)를 동작시킴으로써, 기억부(21)로부터 해당 하는 패키지 미디어(2)와 관련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26)는 이 데이터를 암호 해독 회로(17)에 출력한다. 단계 S150에서, 암호 해독 회로(17)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암호 해독 키에 의해, 상기 데이터의 암호를 해독한다. 그리고, 암호 해독 회로(17)는 암호 해독한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일 때, D/A 컨버터(18)에 출력하고, D/A 컨버터(18)는 스피커(19)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신곡 등의 오디오 데이터는 재생된다. 또한, 암호 해독한 데이터가 화상 데이터 등일 때에는 암호 해독 회로(17)는 표시부(24)에 출력하고, 표시부(24)는 이것을 표시한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에 의해서도,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이력을 서버 장치(30)에서 관리함으로써,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한 이용자에게만 특별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에서 설명한 예에서는, 전자 음악 배포 이용자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이력, 즉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 매수를 기초로 전자 음악 배포의 요금을 감액함으로써, 이용자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을 촉구하고, 또한 전자 음악 배포의 이용을 촉구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음악 배포 이용자의 이용 빈도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의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을 촉구하고, 또한 전자 음악 배포의 이용을 더욱 촉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161에서, 서버 장치(30)는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기 위한 홈 페이지를 인터넷(3) 상에 공표한다. 단계 S162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잡지 등의 기사에서 알게 된 URL에 따라, 서버 장치(30)에 개설된 홈 페이지에 액세스한다.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 단계 S163에서, 기록 재생 장치(10)에 이용자 ID의 입력을 요구한다. 단계 S164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입력 요구를 수신하면, 입력 요구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미리 서버 장치(30)에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서버 장치(30)는 단계 S165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이용자 ID를 수신하면, 단계 S166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에 기초하여, 전자 음악 배포의 계약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단계 S167로 진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단계 S163으로 돌아가서, 다시 이용자 ID의 입력을 요구한다.
단계 S167에서, 서버 장치(30)는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리스트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168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상술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4)에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169에서, 입력 조작부(23)를 구성하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사용함으로써, 이용자는 다운로드할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송신 버튼이 입력 조작부(23)에 의해 클릭되면,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170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다운로드할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 선택 신호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171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 신호에 대응한 오디오 데이터를 제1 기억부(31)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선택하고, 단계 S172에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173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억부(21)에 기록하고, 단계 S174에서, 이용자의 조작에 따라,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한다.
한편, 서버 장치(30)는 단계 S172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20)로 송신하면, 이어서, 단계 S175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한 이용자 ID의 송신 곡수를 증가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단계 S176에서, 소정 기간, 예를 들면 1개월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소정 기간이 경과하면, 단계 S177로 진행하고,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을 때, 단계 S176을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177에서,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의 각 이용자 ID의 전체 송신 곡수에 따라 과금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서버 장치(30)는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의 전체 송신 곡수가 많아짐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의 할인율이 커지게 되는 할인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단계 S178에서, 과금 데이터를 과금 서버 장치(60)로 송신하고, 할인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179에서, 기록 재생 장치(10)가 서버 장치(30)로부터의 할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용자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이 할인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에 접속된 프린터 장치로부터 종이에 출력하고, 이것을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에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에 제시함으로써, 패키지 미디어(2)의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다.
또, 이상의 예에서 서버 장치(30)가 생성하는 과금 데이터 또는 할인 데이터는 상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10)측에서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서버 장치(30)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된 할인 데이터를 종이에 출력하여 할인권으로 하여,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에 이 할인권을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에 제시함으로써 패키지 미디어(2)의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러 온 이용자의 할인 데이터를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이 확인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판매점을 방문하여 원하는 패키지 미디어(2)를 선택하고 회계를 행할 때, 먼저 단계 S181에서, 단말기 장치(50)는 점원이 입력 조작부(55)를 조작함으로써, 서버 장치(30)의 URL을 입력하면, 서버 장치(30)에 액세스한다. 단계 S182에서, 서버 장치(30)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 단말기 장치(50)에 패키지 미디어의 서버 장치(30)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판매점 ID의 입력 요구를 단말기 장치(50)로 송신한다.
단말기 장치(5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판매점 ID의 입력 요구를 수신하면, 표시부(56)에, 판매점 ID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 S183에서, 단말기 장치(50)에는 판매점의 점원 등에 의해 입력 조작부(55)를 구성하는 마우스 등으로 구입자(이용자) ID와 기록 매체 ID의 입력란이 지정되며, 키보드 등이 조작됨으로써 판매점 ID가 입력된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50)는 점원 등에 의해 송신 조작이 행해지면, TCP/IP 등의 전송 프로토콜이 실행되며, 판매점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수신 대기 상태에 있는 서버 장치(30)는 단계 S184에서, 단말기 장치(50)로부터의 판매점 ID를 수신하면, 단계 S185에서,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판매점 ID에 기초하여, 전자 음악 배포의 계약자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인증이 이루어졌을 때, 단계 S186으로 진행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단계 S182로 돌아가서, 다시 판매점 ID의 입력을 요구한다.
서버 장치(30)는 판매점 ID의 인증이 이루어지면, 단계 S186에서, 단말기 장치(50)에,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고 하는 이용자의 이용자 ID의 입력을 요구한다. 단말기 장치(50)는 서버 장치(30)로부터의 이용자 ID의 입력 요구를 수신하면, 표시부(56)에, 판매점 ID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고, 단계 S187에서, 판매점의 점원 등의 조작에 의해 이용자 ID가 입력된다. 그리고, 단말기 장치(50)는 점원 등에 의해 송신 조작이 행해지면 이용자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188에서, 서버 장치(30)는 이용자 ID를 수신하면, 이어서 단계 S189에서,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를 전자 음악 배포 서비스를 받고 있는 이용자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있을 때, 단계 S190로 진행하고, 단말기 장치(5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가 데이터 베이스 내에 없을 때, 단계 S192로 진행한다.
단계 S190에서, 서버 장치(30)는 검색한 이용자 ID의 할인 데이터를 단말기 장치(50)로 송신한다. 단계 S191에서, 단말기 장치(50)가 이 할인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판매점의 점원은 이용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패키지 미디어(2)의 요금을 할인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단계 S192에서, 서버 장치(30)는 단말기 장치(50)에 할인 없음 통지를 송신한다. 단계 S193에서, 단말기 장치(50)가 이 할인 없음 통지를 수신함으로써, 판매점의 점원은 이용자가 구입하고자 하는 패키지 미디어(2)의 요금을 할인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예에서는, 이용자가 판매점에서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하고자 할 때, 판매점이 단말기 장치(5)를 통하여 패키지 미디어(2)의 요금 할인을 확인하는 용도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도 18에 나타낸 예와 같이, 이용자가 기록 재생 장치(20)로 송신된 할인 데이터를 종이에 출력할 필요가 없어지며, 이용자에게는 편리하게 된다.
상기 도 18의 예에서는, 서버 장치(30)가 기록 재생 장치(10)에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한 횟수를 카운트함으로써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호 해독 키를 다운로드하였을 때에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단계 S201에서, 서버 장치(30)는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하기 위한 홈 페이지를 인터넷(3) 상에 공표한다. 단계 S202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잡지 등의 기사에서 알게 된 URL에 따라, 서버 장치(30)에 개설된 홈 페이지에 액세스한다.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액세스 요구를 수신하면, 단계 S203에서, 전자 음악 배포를 실행할 수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리스트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204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의 리스트를 수신하면, 상술한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24)에 표시한다. 그리고, 입력 조작부(23)를 구성하는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사용함으로써, 단계 S205에서, 이용자는 다운로드할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다. 그리고, 이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송신 버튼이 입력 조작부(23)에 의해 클릭되면,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206에서, 이용자가 선택한 다운로드할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한 선택 신호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207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검색하고, 단계 S208에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서버 장치(30)는 단계 S209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오디오 데이터를 보존한다. 여기에서, 단계 S210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에 의해,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동작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실행되었을 때 단계 S211로 진행하고, 실행되지 않았을 때, 단계 S210을 반복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이용자에 대하여, 이용자 ID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부(24)에 표시한다. 그리고,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211에서, 이용자에 의해 이용자 ID가 입력되면, 입력된 이용자 ID를 서버 장치(30)로 송신한다.
단계 S212에서, 서버 장치(30)는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를 수신하면, 단계 S213에서, 기록 재생 장치(1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ID에 기초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이용자 ID와의 인증을 행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인증이 이루어지면 단계 S214로 진행하여, 기록 재생 장치(10)의 기억부(21)에 암호화된 상태로 보존되어 있는 오디오 데이터의 암호 해독 키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하고,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 처리를 종료한다.
기록 재생 장치(10)는 단계 S215에서,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암호 해독 키를 수신하면, 단계 S216에서, 제어부(26)를 동작시킴으로써, 기억부(21)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26)는 이 오디오 데이터를 암호 해독 회로(17)에 출력한다. 단계 S217에서, 암호 해독 회로(17)는 서버 장치(30)로부터 송신된 암호 해독 키에 의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암호를 해독한다. 그리고, 암호 해독 회로(17)는 암호 해독한 오디오 데이터를 D/A 컨버터(18)에 출력하고, D/A 컨버터(18)는 스피커(19)에 출력한다. 이렇게 하여 서버 장치(30)로부터 다운로드한 오디오 데이터는 재생된다.
한편, 서버 장치(30)는 단계 S218에서 암호 해독 키를 기록 재생 장치(20)로 송신하면, 이어서 단계 S218에서, 암호 해독 키를 송신한 이용자 ID의 암호 해독 키의 송신 횟수를 증가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단계 S219에서, 소정 기간, 예를 들면 1개월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소정 기간을 경과하면, 단계 S220으로 진행하고, 소정 기간을 경과하고 있지 않을 때, 단계 S219를 반복한다.
그리고, 단계 S220에서,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의 각 이용자 ID의 암호 해독 키의 송신 횟수, 즉 기록 재생 장치(10)에서의 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횟수에 따라 과금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 서버 장치(30)는 소정 기간내에 있어서의 암호 해독 키의 송신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의 할인율이 커지게 되는 할인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30)는 단계 S221에서, 과금 데이터를 과금 서버 장치(60)로 송신하고, 할인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로 송신한다.
단계 S222에서, 기록 재생 장치(10)가 서버 장치(30)로부터의 할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용자는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이 할인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10)에 접속된 프린터 장치로부터 종이에 출력하고, 이것을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에 패키지 미디어(2)의 판매점에 제시함으로써, 패키지 미디어(2)의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시스템에 있어서도, 상기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매점의 단말기 장치(50)에서 패키지 미디어(2)가 구입하고자 하는 이용자의 할인 데이터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이상의 예에서 서버 장치(30)가 생성하는 과금 데이터 또는 할인 데이터 는 상기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 재생 장치(10)측에서 생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낸 시스템에서는, 전자 음악 배포 이용자의 이용 빈도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2)를 구입할 때의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패키지 미디어(2)의 구입을 촉진하고, 또한 전자 음악 배포의 이용을 더욱 촉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이상, 광 디스크(4)의 패키지 미디어(2)를 할인받을 수 있는 데이터 기록 재생 시스템(1)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록 매체로서는, 자기 디스크, 광 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 카트리지 또는 고체 메모리를 기록 매체에 사용하는 IC 카드이어도 된다. 또한, 패키지 미디어를 구성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와 인터넷(3)을 통하여 전자 배포되는 데이터는 오디오 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상 데이터, 게임 소프트 등이어도 된다. 또한, 광 디스크(4)는 반드시 미리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된 재생 전용의 광 디스크일 필요는 없으며, 콘텐츠 데이터가 기록되지 않은 데이터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구입 이력 기억 수단에서 관리하고 있으므로,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이용자에게만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때의 할인 등 특별한 서비스틀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4)

  1.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 수단과,
    상기 각 사용자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수단이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할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할 때 상기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감액된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 대해 과금하기 위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과금 금액이 0엔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사용자 식별자 및 미디어 식별자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미디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미디어가 서비스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별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구입 이력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구입 매수를 증가(increment)하는 갱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미디어 식별자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가지며,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8. 삭제
  9.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 수단과,
    상기 각 사용자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수단이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때 상기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감액된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 대해 과금하기 위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과금 금액이 0엔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사용자 식별자 및 미디어 식별자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과, 상기 미디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미디어가 서비스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별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구입 이력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구입 매수를 증가하는 갱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미디어 식별자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을 가지며,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상기 사용자 식별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16. 삭제
  17.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 수단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사용자 식별자 및 미디어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미디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미디어가 서비스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별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구입 이력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구입 매수를 증가하는 갱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8. 삭제
  19.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 수단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각 사용자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수단이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할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20. 삭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할 때 상기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감액된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 대해 과금하기 위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상기 기록 수단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과금 금액이 0엔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미디어 식별자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25. 삭제
  26.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사용자의 실세계에서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을 기억하는 구입 이력 기억 수단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에 대응하는 구입 이력을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송신 수단과,
    상기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한 사용자 식별자 및 미디어 식별자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미디어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미디어가 서비스 대상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서비스 대상이라고 판별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입력된 상기 사용자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구입 이력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구입 매수를 증가하는 갱신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7. 삭제
  28.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축적 수단에 축적되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각 사용자의 패키지 미디어의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재생 수단이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때의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29. 삭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할 때 상기 구입 이력에 기초하여 감액된 금액을 상기 사용자에 대해 과금하기 위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이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수단은 과금 금액이 0엔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미디어로부터 미디어 식별자를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미디어 식별자와 함께 사용자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34. 삭제
  35.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기억 수단에 기록하는 기록 수단과,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콘텐츠 데이터가 상기 기억 수단에 기록된 횟수에 따른 기록 횟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록 횟수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기록 횟수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기록 횟수 데이터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틀 구입할 때의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할인 데이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록 시스템.
  36.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를 축적하는 축적 수단과,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축적 수단에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콘텐츠 데이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상기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된 횟수에 따른 재생 횟수 데이터를 생성하는 재생 횟수 데이터 생성 수단과,
    상기 재생 횟수 데이터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재생 횟수 데이터에 따라 패키지 미디어를 구입할 때의 할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할인 데이터 생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시스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20027011160A 2000-12-27 2001-12-27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 장치와 방법 KR100866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98778 2000-12-27
JPJP-P-2000-00398778 2000-12-27
PCT/JP2001/011590 WO2002052473A1 (fr) 2000-12-27 2001-12-27 Appareil d'enregistrement de donnees et appareil et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368A KR20030001368A (ko) 2003-01-06
KR100866445B1 true KR100866445B1 (ko) 2008-10-31

Family

ID=1886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160A KR100866445B1 (ko) 2000-12-27 2001-12-27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 장치와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093754B2 (ko)
JP (1) JP4447836B2 (ko)
KR (1) KR100866445B1 (ko)
CN (2) CN101383036A (ko)
WO (1) WO2002052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74622B2 (ja) * 2001-04-27 2011-09-1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授受方法および情報授受システム
FR2836322B1 (fr) * 2002-02-15 2004-07-30 France Telecom Procede pour controler l'acces a un contenu par un terminal, terminal, serveur de droits d'usage, automate de distribution, serveur fournisseur, support de donnees et systeme associes
JP3945644B2 (ja) 2002-11-05 2007-07-18 ソニー株式会社 コピー回数制御方法、サーバ装置、記録制御方法および記録制御装置
EP1597691A1 (en) * 2003-02-18 2005-11-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ales system and recording medium
JP4179093B2 (ja) * 2003-07-31 2008-11-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
US20070061834A1 (en) * 2003-09-08 2007-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usiness model for providing on demand digital content
US8588582B2 (en) * 2003-11-17 2013-11-19 Diana Lynn Fitzgerald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storage of randomly selected data
US8615157B1 (en) 2003-11-17 2013-12-24 David C. Isaacson System and method for on-demand storage of randomly selected data
US7720983B2 (en) * 2004-05-03 2010-05-18 Microsoft Corporation Fast startup for streaming media
KR100648926B1 (ko) * 2005-07-11 2006-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식별 정보 부가기능을 갖는 복합기 및 그 방법
US7565506B2 (en) * 2005-09-08 2009-07-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content based on receivers characteristics
US8893179B2 (en) 2005-09-12 2014-11-1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presenting customized channel information
US8528029B2 (en) * 2005-09-12 2013-09-0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of open and closed package subscription
US20070078944A1 (en) * 2005-09-12 2007-04-05 Mark Charlebois Apparatus and methods for delivering and presenting auxiliary services for customizing a channel
US8600836B2 (en) * 2005-11-08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for distributing packages and channels to a device
US8571570B2 (en) 2005-11-08 2013-10-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regional parameters
US20070115929A1 (en) * 2005-11-08 2007-05-24 Bruce Collins Flexible system for distributing content to a device
US8533358B2 (en) 2005-11-08 2013-09-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ragmenting system information messages in wireless networks
US20080071617A1 (en) * 2006-06-29 2008-03-20 Lance Ware Apparatus and methods for validating media
BRPI0721261A2 (pt) * 2007-03-08 2011-11-01 Thomson Licensing método, aparelho e sistema para fluxo de trabalho de distribuição coordenada de conteúdo
JP2009064171A (ja) * 2007-09-05 2009-03-26 Xing Inc デジタルコンテンツ情報配信システム、デジタルコンテンツ情報配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情報配信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90086607A1 (en) * 2007-09-28 2009-04-02 Hitachi.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WO2011120450A2 (zh) * 2011-04-28 2011-10-06 华为终端有限公司 基于http的内容获取方法及客户端
US10405041B2 (en) * 2016-11-28 2019-09-0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spoiler prevention in media assets based on user behavior
JP6300335B1 (ja) * 2017-04-13 2018-03-2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コード読取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835A (ja) 1998-11-09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タ著作権保護システムにおけるデ―タ変換装置、デ―タ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0259957A (ja) 1999-03-05 2000-09-22 Minoru Hattori 顧客別管理による売価差別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6482A (en) * 1996-05-15 1999-09-21 At&T Corp Multimedia information service access
JPH10149388A (ja) * 1996-09-20 1998-06-02 Fujitsu Ltd 商品課金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られ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616901B2 (ja) * 1998-04-27 2005-02-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US6446080B1 (en) * 1998-05-08 2002-09-03 Sony Corporation Method for creating, modifying, and playing a custom playlist, saved as a virtual CD, to be played by a digital audio/visual actuator device
US6102287A (en) * 1998-05-15 2000-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duct survey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ayment system
JP4238410B2 (ja) * 1999-04-09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
US6496802B1 (en) * 2000-01-07 2002-12-17 Mp3.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electronic works
US20020077984A1 (en) * 2000-12-19 2002-06-20 Mark Ireton Enabling protected digital media to be shared between playback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7835A (ja) 1998-11-09 2000-07-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タ著作権保護システムにおけるデ―タ変換装置、デ―タ変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2000259957A (ja) 1999-03-05 2000-09-22 Minoru Hattori 顧客別管理による売価差別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1368A (ko) 2003-01-06
CN101383036A (zh) 2009-03-11
US20050281161A1 (en) 2005-12-22
JP4447836B2 (ja) 2010-04-07
WO2002052473A1 (fr) 2002-07-04
JPWO2002052473A1 (ja) 2004-04-30
CN1422410A (zh) 2003-06-04
US7093754B2 (en) 2006-08-22
US20030010819A1 (en) 2003-01-16
US7134596B2 (en) 2006-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445B1 (ko) 데이터 기록 장치와 방법, 및 데이터 재생 장치와 방법
JP4604422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US9679320B2 (en) User-personalized media sampling, recommendation and purchasing system using real-time inventory database
JP5893779B2 (ja) ユニバーサルマルチメディア販売、格納、および再生システムおよび方法
RU2573777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содержимым
US20020154157A1 (en) Website system and process for selection and delivery of electronic information on a network
US5963916A (en) Network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iew of music products and compilation of market data
CN1260671C (zh) 使得对软件产品进行访问的方法
WO2001078304A1 (en) Website system and process for selection and delivery of electronic information on a network
JP2005523487A (ja) リチャージ可能なメディア配布/再生システム
WO2002067166A1 (fr) Système de génération/acquisition de contenus
JP4588020B2 (ja) 端末機器、再生機器、再生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2002203180A (ja) 制御情報出力装置および制御情報出力方法
JP2003271458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
KR20000036637A (ko) 인터넷을 이용한 곡 비즈니스 방법 및 그 비즈니스 시스템
JP2006301680A (ja) 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用プログラム、および、ノベルティシステム
JP200423414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H11272762A (ja) オフラインデータの課金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5025365A (ja) 情報提供システム、端末装置、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2215923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4199590A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10000194A (ko) 유무선 통합 멀티미디어 정보 관리 및 판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