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359B1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유기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359B1
KR100866359B1 KR1020070072321A KR20070072321A KR100866359B1 KR 100866359 B1 KR100866359 B1 KR 100866359B1 KR 1020070072321 A KR1020070072321 A KR 1020070072321A KR 20070072321 A KR20070072321 A KR 20070072321A KR 100866359 B1 KR100866359 B1 KR 100866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doped
transport layer
charg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운
이종호
최범호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72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부분 염료 도핑에 기초한 새로운 형광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게스트 도펀트가 부분적으로 두 개의 다른 호스트 물질에 도핑되어 CIE 좌표를 등가에너지 백색 포인트로 조정할 뿐만 아니라 효율도 증가시킨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듀얼 부분 염료 도핑, 게스트 도펀트, 호스트 물질

Description

백색 유기 발광 소자{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본 발명은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듀얼 부분 염료 도핑에 기초하여 게스트 도펀트가 부분적으로 두 개의 다른 호스트 물질에 도핑되어 CIE 좌표를 등가에너지 백색 포인트로 조정할 뿐만 아니라 효율도 증가시킨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는 유기 재료에 전계를 가하여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바꾸어주는 소자로서, 자체발광, 고속응답, 광시야각, 초박형, 고화질, 내구성 및 넓은 온도범위 등 디스플레이로서 필요한 모든 요소를 갖추고 있어 이상적인 디스플레이로 각광받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한 연구는 1960년대 초에 시작되었으며, 1987년 'Eastman Kodak'에 의해 고효율 다층 박막 형태의 구조가 개발되면서 본격적인 연구개발이 시작되었으며, 발표 당시 소자 효율은 1.5lm/W, 소자의 수명은 200시간 정도였으나 현재는 적색 소자의 경우 110lm/W, 소자의 수명은 30,000시간 이상이 발표되고 있어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또한 현재 패시브(Passive)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는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있고, 액티브(Active) 방식의 유기 발광 소자는 40인치의 시제품이 개발되는 단계에 이르러 주요 평판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청색, 적색 및 녹색 등의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기술 위주로 발전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의 다양한 가능성으로 인하여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대해서도 1980년 말부터 꾸준히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최근에는 20 내지 30lm/W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발표하여 발광 다이오드(Luminescent Diode : LED)와 더불어 조명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크게 하나의 발광층에서 백색을 구현할 수 있는 단층발광 방식, 여러 층에서 발광이 일어나며 각 색의 조합에 의해 백색을 구현하는 다층 발광 방식, 청색을 이용하고 청색 빛이 형광체를 조사하여 백색으로 변화되는 색변환 방식, 파장을 변화시키는 마이크로캐비티(Microcavity) 방식 및 각각의 녹색, 적색 및 청색의 유기 발광 소자를 수직으로 적층시키는 적층 방식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높은 휘도, 효율, 구동 전압(Driving voltage)에 대한 컬러의 안정성 그리고 국제조명위원회(CIE)의 표준 색도(Chromaticity) 좌표상의 근접한 백색 포인트(x=0.33, y=0.33)에 준한 등가 에너지가 요구되어지나 상기에서 상술한 방식들은 각각 장단점이 있어 이를 모두 충족하지는 못한다는 단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듀얼 부분 염료 도핑에 기초하여 게스트 도펀트가 부분적으로 두 개의 다른 호스트 물질에 도핑되어 CIE 좌표를 등가에너지 백색 포인트로 조정할 뿐만 아니라 효율도 증가시키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구비된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구비된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구비되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층과의 계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와 동일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된 전하수송층; 및 상기 전하수송층 상에 구비된 제2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발광층은 DPVBi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하수송층은 Alq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게스트 도펀트는 DCM이고, 상기 DPVBi로 이루어진 발광층은 청색을 발광하고, 상기 Alq3로 이루어진 전하수송층은 녹색을 발광하고, 상기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도핑된 영역은 적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발광층 및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DCM의 도핑 두께는 각각 1 내지 7nm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3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발광층 및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DCM의 농도는 각각 0.5 내지 3wt%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DCM의 농도는 1wt%이고, 상기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DCM의 농도는 2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다른 두 개의 호스트에 하나의 게스트를 도핑하여 CIE 좌표를 등가에너지 백색 포인트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구비된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구비된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구비되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게스트 도펀트인 DCM(4-(dicyanomethylene)-2-methyl-6-(p-dimethlaminostyryl)-4H-pyran)이 도핑된 DPVBi(4,4'-bis(2,2'-diphenylvinyl)-1, 1'-biphenyl)로 이루어진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층과의 계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도핑된 Alq3로 이루어진 전하수송층 및 상기 전하수송층 상에 구비된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DCM의 도핑 두께는 1 내지 7nm로 도핑되어 있고, 상기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DCM의 도핑 두께도 1 내지 7nm로 되어 있다. 즉, 상기 발광층과 전하수송층에는 상기 발광층과 전하수송층의 계면을 중심으로 각각 1 내지 7nm의 깊이 범위로 동일한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도핑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층 및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DCM의 도핑 두께는 각각 2 내지 4nm이다.
또한, 상기 발광층 및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DCM의 농도는 각각 0.5 내지 3wt%이고, 바람직하게는 각각 1 내지 2wt%으로 농도로 도핑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하수송층과 제2전극 사이에 전하주입층을 더 구비하여 전자의 주입을 원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각각 투명 전도체 및 금속 도전체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는데 상기 투명 전도체는 ITO, IZO 및 ZnO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상기 금속 도전체는 LiF/Al 및 MgAg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정공주입층은 CuPc(Phthalocyanine)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고, 상기 정공수송층은 α-NPD(NN'-diphenyl-N,N'-bis(1-naphthyl)-1- 1'biphenyl-4,4"diamine)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정공주입층의 두께는 10 내지 30nm이고, 상기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40 내지 60nm이고, 상기 발광층의 두께는 10 내지 20nm이고, 상기 전하수송층의 두께는 20 내지 60nm이다.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100)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기판(11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기판(110)상에는 이후 설명할 소자들을 형성하기 전에 미리 필요한 소자들, 예컨대, 전원 공급 및 신호 전송을 위한 배선과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 상에는 제1전극(12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전극(120)은 투명 전도체일 수 있는데, 상기 투명 전도체는 투명하면서 도전성 물질이여야 함으로 ITO, IZO 및 ZnO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전극(120)은 50 내지 150n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10nm의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120) 상에 정공주입층(1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공주입층(130)은 CuPc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공주 입층(130)은 10 내지 30n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20nm의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공주입층(130) 상에 정공수송층(14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정공수송층(140)은 α-NPD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공수송층(140)은 40 내지 60n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50nm의 두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공수송층(140) 상에 발광층(150)이 구비한다.
이때, 상기 발광층(150)은 DPVBi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층(150)은 10 내지 20n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5nm의 두께로 구비된다.
상기 발광층(150) 상에 전하수송층(16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하수송층(160)은 Alq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하수송층(160)은 20 내지 60n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45nm의 두께로 구비된다.
상기 전하수송층(160) 상에 제2전극(17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전극(170)은 금속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광을 반사하는 반사특성이 우수하고 도전체인 재료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Al 및 MgAg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전극(170)이 Al으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상기 전하수송층(160)과 인접한 표면에 LiF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170)은 50 내지 300nm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101nm의 두께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전극(170)이 LiF층 및 Al층으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상기 LiF층의 두께는 1nm이고, 상기 Al층의 두께는 100nm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하수송층(160)과 제2전극(170) 사에는 전하주입층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에는 동일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상기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의 계면으로부터 각각 일정 두께로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도핑된 도핑 영역(155,165)이 구비되어 있다. 도면 부호 155는 발광층(150) 중 DCM이 도핑된 영역을 지시하고 있는데 상기 발광층(150) 중 상기 DCM이 도핑된 영역을 제1도핑영역이라 하고, 도면 부호 165는 전하수송층(160) 중 DCM이 도핑된 영역을 지시하고 있는데, 상기 전하수송층(160) 중 DCM이 도핑된 영역을 제2도핑영역이라 정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상기 발광층(150)은 DPVBi로 이루어져 있어 청색을 발광하고, 상기 전하수송층(160)은 Alq3로 이루어져 있어 녹색을 발광하고, 상기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 중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도핑된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65)는 적색을 발광하게 된다.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백색을 발광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발광층(150), 전하수송층(160) 및 제1 및 제2도핑영역(155,165)에서 각각 청색, 녹색 및 적색을 발광하여 백색을 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인 DCM의 두께, 즉, 상기 제1도핑영역(155)과 제2 도핑영역(165)의 두께에 의해 백색의 등가에너지 백색 포인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서 이용되는 게스트 도펀트인 DCM의 흡수 스펙트럼과 클로로프롬에 희석된 DPVBi 및 Alq3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DPVBi 및 Alq3의 발광 스펙트럼과 DCM의 흡수 스펙트럼이 잘 겹쳐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그래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스트로부터 게스트로의 효율적인 에너지 변환이 기대되어지므로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호스트인 DPVBi와 Alq3의 두 층에 모두 도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2의 그래프로부터 아래와 같은 세 개의 소자를 설계할 수 있다.
1번 소자 :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제1도핑영역/전하수송층/제2전극
2번 소자 :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제2도핑영역:전하수송층/제2전극
3번 소자 :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제1도핑영역/제2도핑영역:전하수송층/제2전극
상기 1번 소자, 2번 소자 및 3번 소자는 상기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에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55)을 각각 또는 모두 구비한 소자들을 제시한 것으로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에 도핑 영역이 구비됨으로써 백색의 등가에너지 백색 포인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소자들이다. 즉, 상기 1번 소자는 발광층(150)에 제1도핑 영역(155)이, 2번 소자는 전하수송층(160)에 제2도핑영역(165)이, 3번 소자는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 각각에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65)이 구비되어 있는 소자들이다.
이때, 상기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65)에는 각각 1wt% 및 2wt%의 DCM이 도핑되어 있고 그 두께는 두 영역 모두 3nm이다. 상기 1번 소자의 제1도핑영역(155)에는 2wt% DCM이, 상기 2번 소자의 제2도핑영역(165)에 2wt% DCM이, 상기 3번 소자의 제1도핑영역(155)에는 1wt% DCM이 그리고 상기 제3번 소자의 제2도핑영역(165)에 2wt% DCM이 도핑되어 있다.
도 3은 세 소자에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스펙트럼과 이에 대응하는 CIE 좌표들을 나타내고 있는 그래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65) 각각에만 도핑되어 있는 경우, 즉, 1번 소자와 2번 소자의 경우 DCM의 스펙트럼 피크가 약 24nm 정도 붉은 색 계열로 이동됨을 알 수 있다. 이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서 발광되는 백색이 보다 붉은 색 성분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1번 소자 및 2번 소자의 CIE 좌표는 각각 (x=0.29,y=0.33)과 (x=0.31,y=0.303)으로 측정되어 졌는데 이 좌표들은 등가에너지 백색 포인트로부터 다소 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3번 소자에서처럼 DCM이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65) 모두에 도핑되어 있는 경우 CIE 좌표가 x=0.331,y=0.337을 나타내고 있음으로 등가에너지 백색 포인트와의 컬러 매칭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1은 상기 세 소자들의 휘도, 최대 외부양자효율, 최대 전력효율 및 CIE 좌표들을 정리하는 표이다.
1번 소자 2번 소자 3번 소자
Luminance(cd/m2) at 10V 2,140 2,386 2,575
Maximum external quantum efficency(%) 1.48 1.96 1.94
Maximum power efficiency(lm/W) 2.58 3.16 3.44
CIEx 0.29 0.31 0.331
CIEy 0.33 0.303 0.337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개의 소자에 각각 10V의 전압을 인가하여 각각의 특성을 파악해 본 결과, 휘도(Luminance) 면에서는 3번 소자가 2,575cd/m2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번 소자 및 2번 소자는 각각 2,140cd/m2 및 2,386cd/m2으로 측정되었으며, 최대 외부양자효율(Maximun external quantum efficency) 면에서는 2번 소자가 1.96%로 가장 높았으나 3번 소자 역시 2번 소자와 차이가 거의 없는 1.94%로 측정되었으며 1번 소자가 1.48%로 가장 낮았다.
도 4는 세 소자의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전력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세 소자들 중 바이어스 전압(Vias voltage)의 변화에서 가장 우수한 전력효율을 보이는 소자는 3번 소자이고 그 다음이 2번 소자 및 1번 소자임을 알 수 있고, 상기 표 1에서 표시된 최대 전력효율(Maximun power efficiency)은 3번 소자가 3.44lm/W로 가장 높고, 1번 소자 및 2번 소자가 각각 2.58lm/W 및 3.16lm/W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세 소자 모두의 턴온(Turn-on) 전압은 약 2.6V로 거의 비슷함으로 보였다.
상기 도 2 내지 도 4 및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은 결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에 각각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도핑되어 있는 것이 컬러를 백색으로 매칭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세 소자에 도핑된 전체 DCM의 농도가 3wt% 인 경우의 전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에서 상술한 세 소자들의 발광층(150) 및 전하수송층(160)에 도핑된 DCM, 즉,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65)에 도핑된 DCM은 각각 1wt% 및 2wt%의 농도로 도핑되어 있다.
이때, 상기 DCM의 농도를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1번 소자 및 2번 소자의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65)에 각각 3wt%의 농도로 DCM을 도핑하는 경우, 상기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비교하여 볼 때, 1번 소자 및 2번 소자의 전력 효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상기 각 영역에 도핑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CIE 색도 좌표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높은 농도로 도핑하게 되면 1중항-1중항 소멸(Self-quenching)을 야기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서와 같이 두 개의 영역, 즉 제1도핑영역(155) 및 제2도핑영역(165)의 전체 도핑 농도가 3wt%로 도핑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도핑 농도가 높아짐으로써 전력 효율이 낮아지는 현상없이 CIE 좌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어떤 목적을 위해 고농도 도핑(heavy doping)이 필요한 경우, 상기와 같은 듀얼 부분 염료 도핑 방식이 1중항-1중항 소멸을 억압하는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두 개의 다른 호스트 물질에 하나의 게스트 도펀트를 도핑하여 백색 유기 발광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컬러 튜닝 뿐만 아니라 성능이 향상된 백색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에서 이용되는 게스트 도펀트인 DCM의 흡수 스펙트럼과 클로로프롬에 희석된 DPVBi 및 Alq3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세 소자에 10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의 스펙트럼과 이에 대응하는 CIE 좌표들을 나타내고 있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세 소자의 바이어스 전압에 따른 전력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세 소자에 도핑된 전체 DCM의 농도가 3 wt%인 경우의 전력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백색 유기 발광 소자 110 : 기판
120 : 제1전극 130 : 정공주입층
140 : 정공수송층 150 : 발광층
155 : 제1도핑영역 160 : 전하수송층
165 : 제2도핑영역 170 : 제2전극

Claims (14)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구비된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구비된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구비되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층과의 계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와 동일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된 전하수송층; 및
    상기 전하수송층 상에 구비된 제2전극;을 포함하는데,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의 도핑 두께는 1 내지 7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DPVBi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하수송층은 Alq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게스트 도펀트는 D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PVBi로 이루어진 발광층은 청색을 발광하고, 상기 Alq3로 이루어진 전하수송층은 녹색을 발광하고, 상기 게스트 도펀트인 DCM이 도핑된 영역은 적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의 도핑 두께는 3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6.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구비된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구비된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구비되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층과의 계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와 동일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된 전하수송층; 및
    상기 전하수송층 상에 구비된 제2전극;을 포함하는데,
    상기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의 도핑 두께는 1 내지 7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의 도핑 두께는 3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8. 기판;
    상기 기판 상에 구비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구비된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구비된 정공수송층;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구비되며 상부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된 발광층;
    상기 발광층 상에 구비되며 상기 발광층과의 계면으로부터 일정 두께로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와 동일한 게스트 도펀트가 도핑된 전하수송층; 및
    상기 전하수송층 상에 구비된 제2전극;을 포함하는데,
    상기 발광층 및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의 농도는 각각 0.5 내지 3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의 농도는 1wt%이고, 상기 전하수송층에 도핑된 게스트 도펀트의 농도는 2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수송층과 제2전극 사이에 전하주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 및 제2전극은 각각 투명 전도체 및 금속 도전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체는 ITO, IZO 및 ZnO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정공주입층은 CuPc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정공수송층은 α-NPD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금속 도전체는 Al 및 MgAg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도전체의 하부면에 LiF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주입층의 두께는 10 내지 30nm이고, 상기 정공수송층의 두께는 40 내지 60nm이고, 상기 발광층의 두께는 10 내지 20nm이고, 상기 전하수송층의 두께는 20 내지 6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070072321A 2007-07-19 2007-07-19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0866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321A KR100866359B1 (ko) 2007-07-19 2007-07-19 백색 유기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321A KR100866359B1 (ko) 2007-07-19 2007-07-19 백색 유기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359B1 true KR100866359B1 (ko) 2008-10-31

Family

ID=40177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321A KR100866359B1 (ko) 2007-07-19 2007-07-19 백색 유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96B1 (ko) * 2011-09-09 2013-09-0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수송층의 백색발광을 포함한 백색 유기전계발광소자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583A (ja) 2000-08-30 2002-03-29 Eastman Kodak Co 有機発光ダイオードデバイス
KR20030015870A (ko) * 2001-08-15 2003-02-25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효율이 개선된 백색 유기 발광 소자
JP2003187978A (ja) * 2001-10-18 2003-07-04 Korai Kagi Kofun Yugenkoshi 白色光投射可能な有機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8564A (ko) * 2003-09-18 2005-03-23 학교법인 인하학원 고효율 3파장 백색 유기 전기 발광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20050039674A (ko) * 2003-10-24 2005-04-29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백색 유기 전자 발광 소자
KR20070009306A (ko) * 2005-07-15 2007-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583A (ja) 2000-08-30 2002-03-29 Eastman Kodak Co 有機発光ダイオードデバイス
KR20030015870A (ko) * 2001-08-15 2003-02-25 이스트맨 코닥 캄파니 효율이 개선된 백색 유기 발광 소자
JP2003086380A (ja) 2001-08-15 2003-03-20 Eastman Kodak Co 有機発光ダイオードデバイス
JP2003187978A (ja) * 2001-10-18 2003-07-04 Korai Kagi Kofun Yugenkoshi 白色光投射可能な有機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8564A (ko) * 2003-09-18 2005-03-23 학교법인 인하학원 고효율 3파장 백색 유기 전기 발광소자의 구조 및 제조방법
KR20050039674A (ko) * 2003-10-24 2005-04-29 펜탁스 가부시키가이샤 백색 유기 전자 발광 소자
KR20070009306A (ko) * 2005-07-15 2007-0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296B1 (ko) * 2011-09-09 2013-09-03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수송층의 백색발광을 포함한 백색 유기전계발광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 et al. Bright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iode
KR101135541B1 (ko) 유기 발광 장치
JP4895742B2 (ja) 白色有機電界発光素子
JP5194700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50279909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illumination device
JP2007011063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150078570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5194699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1155860A (ja) 有機el素子
KR201500396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640898B1 (ko) 발광다이오드 및 전계발광 표시장치
KR2014005971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78641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90036504A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20090090656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77712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0866359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070101516A (ko)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4282A (ko) 탠덤형 유기발광소자
KR100760901B1 (ko) 백색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0522792B1 (en) Luminance and color temperature tunable tandem OLED
KR1020811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70124012A (ko) 백색 유기전계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WO2014156021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KR10249227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