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122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122B1
KR102081122B1 KR1020130115914A KR20130115914A KR102081122B1 KR 102081122 B1 KR102081122 B1 KR 102081122B1 KR 1020130115914 A KR1020130115914 A KR 1020130115914A KR 20130115914 A KR20130115914 A KR 20130115914A KR 102081122 B1 KR102081122 B1 KR 10208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charge
layer
light emitting
type
charg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6908A (ko
Inventor
강혜승
서정대
김효석
유선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1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122B1/ko
Publication of KR2015003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2Stacked devices having two or more layers, each emitting at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5Hole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dop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9Tandem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전압을 낮추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유닛들과; 상기 발광 유닛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N형 전하 생성층 및 P형 전하 생성층을 구비하며,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N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며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1 P형 전하 생성층과;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며 전자 끌기 그룹을 포함하는 제2 P형 전하 생성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구동 전압을 낮추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전기적 정보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지닌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고 있다.
이 같은 평판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소자로서 다른 평판 표시 장치에 비해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음극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각각을 포함하는 단일 발광 유닛으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단일 발광 유닛이 다수개 형성되는 멀티 발광 유닛의 구조로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종래 멀티 발광 유닛의 구조의 경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유기물층이 많아지게 되어 구동 전압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멀티 발광 유닛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단일 발광 유닛을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비해 발광 유닛의 개수가 증가한 만큼의 효율이 나타나지 않고 수명과 효율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 전압을 낮추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발광 유닛들과; 상기 발광 유닛들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N형 전하 생성층 및 P형 전하 생성층을 구비하며,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N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며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1 P형 전하 생성층과;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며 전자 끌기 그룹을 포함하는 제2 P형 전하 생성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P형 도펀트로만 이루어지거나, 상기 P형 도펀트 및 P형 호스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이 상기 P형 도펀트 및 P형 호스트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 내의 상기 P형 도펀트의 부피 비율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P형 전하 생성층의 상기 P형 도펀트는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F4TCNQ)로 형성되며, 상기 P형 호스트는 NPB, CBP, NPD, TPD, TBA 및 TT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자 끌기 그룹은 CN, NO2, F, Cl, Br, I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P형 전하 생성층은 최저비점유분자궤도(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레벨이 -5eV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P형 전하 생성층은 HATC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 각각의 두께는 50Å~500Å이며, 상기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의 총 두께는 100Å~1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다수개의 발광 유닛들 사이에는 N형 전하 생성층과,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으로 이루어진 전하 생성층이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2개의 전하 분리 영역과, 1개의 전하 재결합 영역이 형성되므로 종래 단층의 P형 전하 생성층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비해 정공과 전자를 더 많이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하의 주입이 원활해져 구동 전압이 낮아지며, 발광층 내에서 정공과 전자의 양이 균일해져 발광 효율이 높아지며 수명이 향상된다. 결과적으로, 백색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밴드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비교예 1 및 2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컬러 필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1)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102,104), 제1 및 제2 전극(102,104)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발광 유닛(110,120)과, 제1 및 제2 발광 유닛(110,120) 사이에 위치하는 전하 생성층(130)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전극(102,10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투과 전극으로 형성된다. 제1 전극(102)이 반투과 전극이고, 제2 전극(104)이 반사 전극인 경우, 하부로 광을 출사하는 배면 발광 구조이다. 제2 전극(104)이 반투과 전극이고, 제1 전극(102)이 반사 전극인 경우, 상부로 광을 출사하는 전면 발광 구조이다. 한편, 제1 및 제2 전극(102,104) 모두 투과 전극으로 형성되어, 상하부로 광을 출사하는 양면 발광 구조일 수도 있다.
반투과 전극으로는 ITO(Indum Tin Oxide; 이하,ITO), IZO(Indum Zinc Oxide; 이하,IZ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과, 알루미늄(Al), 금(Au), 몰리브덴(MO), 크롬(Cr), 구리(Cu), LiF 등의 불투명 전도성 물질이 이용되며, 반사 전극으로는 반사성 금속 재질로 알루미늄(Al), 금(Au), 몰리브덴(MO), 크롬(Cr), 구리(Cu), LiF 등으로 형성되거나, 이들을 이용한 복층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전극(102)이 애노드로서 반투과 전극으로 형성되고, 제2 전극(104)이 캐소드로서, 반사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발광 유닛(110)은 제1 전극(102)과 N형 전하 생성층(132)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발광 유닛(110)은 제1 전극(102)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HIL; 112), 적어도 1층의 제1 정공 수송층(HTL1; 114), 제1 발광층(EML1; 116) 및 제1 전자 수송층(ETL1; 118)을 구비한다. 제1 정공 수송층(114)은 제1 전극(102)으로부터의 정공을 제1 발광층(116)에 공급하며, 제1 전자 수송층(118)은 N형 전하 생성층(132)으로부터의 전자를 제1 발광층(116)에 공급하며, 제1 발광층(116)에서는 제1 정공 수송층(114)을 통해 공급된 정공과 제1 전자 수송층(118)을 통해 공급된 전자들이 재결합되므로 광이 생성된다.
제2 발광 유닛(120)은 제2 전극(104)과 P형 전하 생성층(134) 사이에 형성된다. 제2 발광 유닛(120)은 P형 전하 생성층(134)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2 정공 수송층(124; HTL2), 제2 발광층(126; EML2) 및 제2 전자 수송층(128; ETL2)을 구비한다. 제2 정공 수송층(124)은 P형 전하 생성층(134)으로부터의 정공을 제2 발광층(126)에 공급하며, 제2 전자 수송층(128)은 제2 전극(104)으로부터의 전자를 제2 발광층(126)에 공급하며, 제2 발광층(126)에서는 제2 정공 수송층(124)을 통해 공급된 정공과 제2 전자 수송층(128)을 통해 공급된 전자들이 재결합되므로 광이 생성된다.
여기서, 제1 발광층(116)은 형광 또는 인광 청색 도펀트와 호스트가 포함된 발광층으로 청색광을 출사하고, 제2 발광층(126)은 형광 또는 인광 노란색-녹색 도펀트와 호스트가 포함된 발광층으로 노란색-녹색광을 출사하여 백색광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형광 또는 인광 도펀트를 이용하여 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다.
전하 생성층(130)은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 N형 전하 생성층(132)과 P형 전하 생성층(134)을 포함한다.
N형 전하 생성층(132)은 P형 전하 생성층(134)보다 제1 전극(102)에 더 가깝게 제1 전자 수송층(118) 상에 배치된다. 이 N형 전하 생성층(132)은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과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 사이의 계면과,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과 제2 정공 수송층(124) 사이의 계면에서 분리되는 n형 전하인 전자를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N형 전하 생성층(132)은 유기물에 알칼리 금속 입자가 도핑되어 형성된다.
P형 전하 생성층(134)은 N형 전하 생성층(132)보다 제2 전극(104)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이러한 P형 전하 생성층(134)은 N형 전하 생성층(132)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과,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으로 이루어진다.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은 N형 전하 생성층(132)과의 계면에서 정공을 끌어당겨 정공을 생성시킨다. 이를 위해,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은 P형 호스트와, 정공을 끌어당기는 P형 도펀트가 혼합되어 형성되거나, P형 도펀트로만 이루어져 형성된다. 여기서, P형 도펀트의 부피비율은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에서 1~100%이며, 바람직하게는 1~10%로 형성된다. 이 때, P형 도펀트의 부피 비율이 1%미만이거나 100%를 초과하면,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에서 정공과 전자가 제대로 생성되지 못한다.
P형 도펀트는 예를 들어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F4TCNQ)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에 도핑된 P형 도펀트는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과 인접한 판상 구조의 N형 전하 생성층(132)의 공극을 채울 수 있어 표면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P형 호스트는 제1 및 제2 정공 수송층(114,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P형 호스트는 NPB, CBP, NPD, TPD, TBA 및 TT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은 제2 정공 수송층(124)과의 계면에서 전자를 끌어당겨 전자를 생성시킨다. 이를 위해,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은 n형 유기물인 전자 끌기 그룹(electron withdrawing group)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전자 끌기 그룹은 CN, NO2, F, Cl, Br, I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은 HAT-CN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은 최저비점유분자궤도(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레벨이 -5eV이하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a,134b) 각각의 두께는 50~500Å으로 형성되며,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a,134b)을 이루는 P형 전하 생성층(134)의 총 두께는 100Å~1000Å로 형성된다. 여기서, P형 전하 생성층(134)의 총 두께가 100Å미만이거나 1000Å를 초과하면,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a,134b)에서 정공과 전자가 제대로 생성되지 못한다.
이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과 N형 전하 생성층(134b) 사이의 계면과,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과 제2 정공 수송층(124) 사이의 계면은 전하 분리 영역(CS)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형 전하인 전자와 p형 전하인 정공이 생성되고 분리된다. 또한,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a,134b) 사이의 계면은 전하 재결합 영역(CR)으로서,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한다.
전하 분리 영역(CS)에서 분리된 전자는 N형 전하 생성층(132)을 통해 제1 발광 유닛(110)으로 이동하고 제1 발광 유닛(110)의 제1 발광층(116)에서 제1 전극(102)으로부터 이동한 정공과 결합하여 여기자를 형성하고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낼 수 있다.
전하 분리 영역(CS)에서 분리된 정공은 제2 발광 유닛(120)으로 이동하고 제2 발광층(126)에서 제2 전극(104)로부터 이동한 전자와 결합하여 여기자를 형성하고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과 N형 전하 생성층(134b) 사이의 계면과,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과 제2 정공 수송층(124) 사이의 계면 각각의 2개의 전하 분리 영역(CS)이 형성되고,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a,134b) 사이의 계면의 1개의 전하 재결합 영역(CR)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원 발명은 종래 단층의 P형 전하 생성층을 가지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비해 정공과 전자를 더 많이 생성할 수 있으며 전하의 주입이 원활해져 구동 전압이 낮아진다. 특히, 제1 및 제2 발광층(116,126) 중 어느 한 발광층을 청색 발광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청색 발광층으로 전달되는 전자의 양이 증가하게 되어 청색 발광층 내에서 정공과 전자의 양이 균일해져 청색광의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백색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표 1은 비교예 1 및 2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전류밀도
(mA/cm2)
구동전압
(V)
효율
(cd/A)
양자효율
QE(%)
색좌표
CIEx
색좌표
CIEy
수명
(T95)
비교예1
10 3.6 75.3 22.3 0.448 0.541 100%
50 4.2 63.3 18.6 0.445 0.544
비교예2
10 3.7 74.1 22.0 0.449 0.541 113.9%
50 4.5 62.1 18.3 0.445 0.544
실시예
10 3.5 75.3 22.3 0.449 0.541 152.1%
50 4.1 62.8 18.5 0.445 0.544
표 1에서 비교예1은 HATCN으로 이루어진 단층의 P형 전하 생성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다. 비교예 2는 HATCN으로 이루어진 제1 P형 전하 생성층과, F4TCNQ의 P형 도펀트 및 NPD의 P형 호스트로 이루어진 제2 P형 전하 생성층으로 이루어진 복층의 P형 전하 생성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F4TCNQ의 P형 도펀트 및 NPD의 P형 호스트로 이루어진 제1 P형 전하 생성층(134a)과, HATCN으로 이루어진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b)으로 이루어진 복층의 P형 전하 생성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다. 표 1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특성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표 1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10mA/cm2의 전류 밀도와, 50mA/cm2의 전류 밀도를 얻기 위한 구동 전압이 비교예 1에 비해 0.1V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10mA/cm2의 전류 밀도와, 50mA/cm2의 전류 밀도를 얻기 위한 구동 전압 각각이 비교예 2에 비해 0.2 V, 0.4V 낮아지고, 양자 효율은 0.3%증가함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표 1과 같이 비교예 1 및 2 각각 보다 수명이 약 13.9%, 52.1%증가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비교예 1 및 2 대비 구동 전압이 0.1~0.4V 낮아지고, 수명이 약 13.9%~52.1%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노란색-녹색(YG)을 발광하는 약 564nm파장에서 비교예 1 및 2에 비해 광의 세기가 최대값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효율은 비교예 1과 유사하고 비교예 2보다 높은 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과 접속되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150R,150G,150B)를 가지는 구조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전하 생성층(130)과, 제1 및 제2 발광 유닛(110,120)을 통해 생성된 백색광은 적색 컬러필터(150R)가 형성된 서브 화소 영역을 통과하면서 적색광을 출사하고, 녹색 컬러 필터(150G)가 형성된 서브 화소 영역을 통과하면서 녹색광을 출사하고, 청색 컬러 필터(150B)가 형성된 서브 화소 영역을 통과하면서 청색광을 출사하고, 컬러 필터가 형성되지 않은 서브 화소 영역을 통과하면서 백색광을 출사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2개의 발광 유닛이 이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그 이상의 발광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다수개의 발광 유닛들 사이에는 N형 전하 생성층(132)과,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134a,134b)으로 이루어진 전하 생성층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2 : 제1 전극 104 : 제2 전극
110,120 : 발광 유닛 132 ; N형 전하 생성층
134 : P형 전하 생성층

Claims (7)

  1.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제 2 발광 유닛과;
    상기 제 1, 제 2 발광 유닛 사이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N형 전하 생성층 및 P형 전하 생성층으로 이루어진 전하 생성층을 포함하며,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N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며 P형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1 P형 전하 생성층과;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 상에 형성되며 전자 끌기 그룹을 포함하는 제2 P형 전하 생성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광유닛은 상기 제 1 전극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 제 1 정공 수송층, 제 1 발광층 및 제 1 전자 수송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발광유닛은 상기 제 2 전극과 P형 전하 생성층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 2 정공 수송층, 제 2 발광층 및 제 2 전자 수송층을 구비하며,
    상기 N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과 제2 P형 전하 생성층 사이의 계면과, 제2 P형 전하 생성층과 제2 정공 수송층 사이의 계면에서 분리되는 n형 전하인 전자를 끌어당기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1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N형 전하 생성층과의 계면에서 정공을 끌어당겨 정공을 생성하며,
    상기 제2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제2 정공 수송층과의 계면에서 전자를 끌어당겨 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P형 도펀트로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은 상기 P형 도펀트 및 P형 호스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P형 전하 생성층 내의 상기 P형 도펀트의 부피 비율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형 도펀트는 2,3,5,6-테트라플루오로-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F4TCNQ)로 형성되며, 상기 P형 호스트는 NPB, CBP, NPD, TPD, TBA 및 TTA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끌기 그룹은 CN, NO2, F, Cl, Br, I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제2 P형 전하 생성층은 최저비점유분자궤도(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레벨이 -5.0 eV이하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형 전하 생성층은 HATCN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 각각의 두께는 50Å~500Å이며,
    상기 제1 및 제2 P형 전하 생성층으로 이루어진 상기 P형 전하 생성층의 총 두께는 100Å~1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30115914A 2013-09-30 2013-09-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14A KR102081122B1 (ko) 2013-09-30 2013-09-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914A KR102081122B1 (ko) 2013-09-30 2013-09-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08A KR20150036908A (ko) 2015-04-08
KR102081122B1 true KR102081122B1 (ko) 2020-02-25

Family

ID=5303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5914A KR102081122B1 (ko) 2013-09-30 2013-09-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111B1 (ko) * 2015-09-16 2022-02-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422995B1 (ko) * 2015-10-08 2022-07-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1100A (ja) 2004-08-20 2008-04-10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複数の白色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ユニットを備える白色ole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339B1 (ko) * 2010-03-08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41460A (ko) * 2010-10-21 2012-05-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56657B1 (ko) * 2010-11-03 2017-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1100A (ja) 2004-08-20 2008-04-10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複数の白色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ユニットを備える白色o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908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54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08112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5796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904844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uxiliary charge generation layer
KR10208932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6523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135929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130006937A (ko) 유기 발광 소자
CN105514287A (zh) 有机发光二极管装置
KR10208111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50146290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09804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77124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0811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933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111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411214B2 (e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70124012A (ko) 백색 유기전계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230940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133407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595242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102369068B1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17003318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085259A (ko) 백색 유기 발광 소자
KR20160060258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