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6504A - 백색 유기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백색 유기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6504A
KR20090036504A KR1020080046292A KR20080046292A KR20090036504A KR 20090036504 A KR20090036504 A KR 20090036504A KR 1020080046292 A KR1020080046292 A KR 1020080046292A KR 20080046292 A KR20080046292 A KR 20080046292A KR 20090036504 A KR20090036504 A KR 20090036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blue fluorescent
emitting layer
phosph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훈
김상열
김무겸
송정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285,55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90091255A1/en
Priority to JP2008263177A priority patent/JP2009094076A/ja
Publication of KR2009003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10K50/13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comprising stacked EL layers within one EL uni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Abstract

백색 유기발광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가 개시된다. 개시된 백색 유기발광소자는, 애노드전극; 애노드전극 상에 형성되는 제1인광발광층(Phosphorescence layer); 제1인광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청색 형광발광층(Fluorescence layer); 청색 형광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인광발광층;을 구비하고, 청색 형광발광층의 호스트(Host)의 삼중항 에너지(Triplet energy)가 제1인광발광층 및 제2인광발광층의 도펀트(dopant)의 삼중항 에너지 보다 높다.
백색, 유기, 발광소자, 형광, 인광, 삼중항

Description

백색 유기발광소자{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형광발광층에서 인광발광층으로의 삼중항(triplet)의 확산을 허용하면서 에너지 전이는 억제시킴으로써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색 유기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는 애노드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홀(hole)과 캐소드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electron)가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 내에서 결합하며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이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는 우수한 색 재현성, 빠른 응답 속도, 자발광성, 얇은 두께, 높은 명암비, 넓은 시야각, 그리고 저소비 전력과 같은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TV, PC 모니터, 이동통신 단말기, MP3 플레이어 및 자동차 네비게이션 뿐 아니라 실내외 조명이나 간판 등으로도 이용이 가능한 발광소자이다.
백색 유기 발광 소자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소자로서 박형 광원,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또는 칼라필터를 채용하여 풀 칼라 표시가 가능한 장치(full color display device) 등에 응용될 수 있다.
백색 유기 발광 소자의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100%에 가 까운 내부 양자 효율(Internal Quantum Efficiency)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최근에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으로 인광 발광 재료를 발광층으로 사용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형광재료에서, 전체 엑시톤 중 25%에 달하는 일중항(singlet) 에너지가 발광성 천이(Radiative Transition)를 일으키는 한편, 나머지 75%의 삼중항 에너지는 비발광성 천이에 의해 열로 손실된다. 그러나, 인광물질에서는 삼중항의 엑시톤(Exciton)도 발광성 천이를 일으키므로 인광물질을 적절한 이용에 의해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발광층에서 인광발광층으로의 삼중항(triplet) 에너지의 확산은 허용하면서 에너지 전이는 억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높은 효율의 백색유기발광소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백색유기발광소자는:
호스트 물질과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1인광발광층;
상기 제1인광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호스트 물질과 도펀트를 포함하는 청색 형광발광층; 및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인광발광층;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색유기발광소자에서,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의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Triplet energy)가 상기 제1인광발광층 및 상기 제2인광발광층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보다 높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인광발광층의 호스트 물질은 정공 수송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2인광발광층의 호스트 물질은 전자 수송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과 제 1인광발광층 사이에,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고,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호스트보다 같거나 낮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고, 상기 제 1 인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는 같거나 높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는 제 1 기능성층이 더 마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과 제 2인광발광층 사이에,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고,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호스트보다 같거나 낮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고, 상기 제 2 인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는 같거나 높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는 제 2 기능성층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2기능성층의 HOMO의 에너지 준위가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 상기 제1인광발광층 및 상기 제2인광발광층과 같거나 이 보다 높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제 2 기능성층은 청색형광 발광층의 도펀트의 발광 스펙트럼을 흡수하지 않는 범위에서 넓은 밴드 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기능성층의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준위는 5.2~6.2eV이고,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 준위는 2.0~3.0 eV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능성층의 HOMO 에너지준위가 5.5~7.0 eV 사이이고, LUMO 에너지 준위는 2.5~3.5 eV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 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애노드전극(110) 위에 제1인광발광층(151), 청색 형광발광층(153), 제2인광발광층(155) 및 캐소드전극(19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110)은 유리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성 기판(미도시) 상에 형성된다.
상기 애노드전극(110)은 높은 전도성(conductivity) 및 일함수(work function)를 가진 투명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애노드 전극(110)은 배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산화인듐주석(ITO; Indium Tin Oxide), 산화인듐아연(IZO; Indium Zinc Oxide), 산화주석(SnO2)또는 산화아연(ZnO)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상기 애노드전극(110)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110) 상에는 제1인광발광층(151), 청색 형광발광층(153), 제2인광발광층(155)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153)의 호스트 재료는, 제1인광발광층(151) 및 제2인광발광층(155)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에 비해 높은 삼중항(triplet) 에너지를 가진다. 이러한 청색 형광발광층(153)은 상기와 같은 높은 삼중항 에너지의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로서 청색 형광 발광물질을 함유한다. 된다. 여기서,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153)의 호스트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ADN, TBADN, CBP, TCTA, Alq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색 형광 도펀트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DPAVBi, DPAVBi 유도체, 디스티릴아릴렌(DSA), 디스티릴아릴렌 유도체, 디스티릴벤젠(DSB), 디스티릴벤젠 유도체, 스피로-DPVBi 및 스피로-6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인광발광층(151)과 제2인광발광층(155)의 호스트 재료는 청색 형광발광층(153)의 호스트 재료와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제1인광발광층(151)과 제2인광발광층(155)의 도펀트는 인광물질로서, 청색 형광발광층(153)의 호스트보다 낮은 삼중항 에너지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153)의 엑시톤 양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2인광발광층(151, 155)의 호스트 재료들은 정공수송특성과 전자수송특성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제2인광발광층(151, 155)의 도펀트로 사용될 수 있는 인광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녹색 도펀트로는 [Coumarin 6], Ir(PPy)3(PPy=2-phenylpyridine) 등이, 적색 도펀트로서 [4-(dicyanomethylene)-2-t-butyl-6-(1,1,7,7- tetramethyljulolidyl-9-enyl)-4H-pyran (4-(dicyanomethylene)-2-t-butyl-6-(1,1,7, 7-tetramethyljulolidyl-9-enyl)- 4H-pyran;DCJTB)], PtOEP, UDC사의 RD 61, RD15, Merck 사의 TER021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153)의 호스트에서 형성된 삼중항(triplet) 엑시톤은 양 방향으로 확산하여 상기 제1인광발광층(151)과 상기 제2인광발광층(155)의 인광 도펀트에서 발광성 천이(radiative transition or recombination)를 일으킬 수 있 게 된다. 따라서, 제1, 2인광발광층(151, 155) 각각이 전술한 바와 같은 적색 및 녹색 도펀트를 함유하게 되면, 높은 발광효율의 백색 유기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인광발광층(155) 상에는 캐소드전극(19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전극(190)은 진공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캐소드전극(190)은 낮은 일함수를 가지는 금속이나 합금, 전기전도성 화합물이나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캐소드전극(190)은 리튬(Li),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알루미늄-리튬(Al-Li), 칼슘(Ca), 마그네슘-인듐(Mg-In) 또는 마그네슘-은(Mg-Ag)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면 발광형 유기발광소자에서는 상기 캐소드전극(190)은 산화인듐주석(ITO) 또는 산화인듐아연(IZO) 등과 같은 높은 전도성과 일함수를 가지는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110)과 상기 제1인광발광층(151) 사이에는 정공수송층(Hole transfer layer, 미도시) 또는 전자차단층(Electron blocking layer, 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소드전극(190)과 상기 제2인광발광층(155)사이에도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fer layer, 미도시) 또는 정공차단층(Hole blocking layer, 미도시)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는 애노드전극(210)위에 제1인광발광층(251), 청색 형광발광층(253), 제2기능성층(254), 제2인 광발광층(255), 캐소드전극(29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애노드전극(210)과 제1인광발광층(251), 청색 형광발광층(253), 제2인광발광층(255), 캐소드전극(29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인광발광층(251)과 청색형광발광층(253)과의 사이에 상기 발광층 간의 삼중항 엑시톤의 확산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포스터 에너지 전달(Foster Energy transfer, 이하 에너지 전달)은 억제할 수 있는 제1기능성층(25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능성층(252)은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253)의 도펀트 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고, 청색 형광발광층(253)의 호스트와 같거나 낮은 삼중항 에너지를 가지며, 이 에너지는 상기 제1인광발광층(251)의 도펀트에 비해서는 높거나 같다. 상기 제1기능성층(252)으로는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소자에 사용되는 정공수송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아미노 치환기(amino substituent)를 갖는 옥사다이아졸 화합물(oxadiazole compound), 아미노 치환기(amino substituent)를 갖는 트리페닐메탄 화합물(triphenylmethane compound), 터셔리 화합물(tertiary compound), 하이다존 화합물(hydazone compound), 파이라조린 화합물(pyrazoline compound), 이나민 화합물(enamine compound), 스티릴 화합물(styryl compound), 스틸벤 화합물(stilbene compound) 및 카바졸 화합물(carbazole compound) 등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기능성층(252)은 HOMO의 에너지준위가 5.2~6.2 eV이고, LUMO의 에너지 준위가 2.0~3.0 eV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253)과 제2인광발광층(255) 사이에도 상기 제1기능성층과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층 간의 삼중항 엑시톤의 확산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에너지 전달(Energy transfer)은 억제할 수 있는 제2기능성층(25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기능성층(254)은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253)의 도펀트 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고, 청색 형광발광층(253)의 호스트에 비해 낮거나 같은삼중항 에너지를 가지며, 이 에너지는 제2인광발광층(255)의 도펀트에 비해 높거나 같은 준위를 갖는다.
상기 제1기능성층(252)으로는 일반적으로 전자수송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트라센 화합물(anthracene compound), 페난트라센 화합물(phenanthracene compound), 피렌 화합물(pyrene compound), 피릴렌 화합물(perylene compound), 크라이신 화합물(chrysene compound), 트리페닐렌 화합물(triphenylene compound), 플로안텐 화합물(fluoranthene compound), 페리프란텐 화합물(periflanthene compound), 아졸 화합물(azole compound), 다이아졸 화합물(diazole compound) 및 비닐렌 화합물(vinylene compound)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기능성층(254)은 HOMO의 에너지준위가 5.5~7.0eV 사이이고, LUMO의 에너지 준위가 2.5~3.5eV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기능성층(252)와 제2기능성층(254)는 삼중항 엑시톤의 확산은 방해하지 않으면서 발광층 간의 에너지 전달(energy transfer)을 막아주는 동시에 전자와 정공을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253) 내에 제한하여 전하 밸런스를 최대화 할 수 있다.
아래의 표는 본 발명에 따른 백색 유기발광소자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제조된 종래 백색 유기발광소자(Fluorescence layer-Fluorescence layer-Phosphorescence layer, FFP)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소자(Phosphorescence layer-Fluorescence layer-Phosphorescence layer, PFP)의 적층 구조 및 각 적층의 물질을 보인다.
Prior Art (FFP) Present Invention (PFP) Remark
Cathode Al Al 1500Å
EIL LiF LiF 6Å
ETL Balq Balq 400Å
RED Layer Emission Type Phosphorescence Phosphorescence
Host Balq Balq 50Å
Dopant Ir(piq)2(acac) Ir(piq)2(acac) 2%
(2nd) Functional Layer Balq Balq 50Å
BLUE Layer Emission Type Fluorescence Fluorescence
Host TcTa TcTa 50Å
Dopant BPTA BPTA 12%
(1st) Funtional Layer CBP CBP 40Å
Green Layer Emission Type Fluorescence Phosphorescence
Host TcTa TcTa 150Å
Dopant C545T Ir(ppy)3 2%
HTL NPB NPB 100Å
HIL m-MTDATA m-MTDATA 500Å
Anode ITO ITO 500Å
위의 구조에서 종래 기술의 샘플(FFP)는 형광발광-형광발광-인광발광 적층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는 인광발광-형광발광-인광발광 적층 구조를 가진다. 종래 기술의 샘플(FFP)에서, 인광발광 타입의 적색층(Red Layer)과 형광 발광타입의 청색층(Blue Layer)의 사이에 기능성층이 개재(interposed)되고, 청색층(Blue Layer)와 녹색층(Green Layer)은 공히 형광발광 타입으로서 상호 접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은 형광발광 타입의 청색층((Blue Layer)의 양측에 인광발광 타입의 적색층(Red Layer)와 녹색층(Green Layer)가 마련되고, 청색층((Blue Layer)과 적색층(Red Layer)과의 사이와 청색층(Blue Layer)와 녹색층(Green Layer)의 사이에 기능성층이 개재되어 있다.
표 2는 이러한 두 샘플에 대한 발광특성을 실험한 결과로서 4,000nit에서의 특성을 보인다.
SAMPLE CIE @ 4,000 nit Efficiency (cd/A) @ 4,000nit External QE(%) @ 4,000nit Power Efficiency (lm/w)
x y
FFP 0.33 0.33 16 9 5.05
PFP 0.32 0.35 20 11 6.1
위의 표를 살펴보면, 종래의 샘플(FFP) CIE 좌표가 (0.33, 0.33)이며,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는 (0,32. 0.35)로서 양자가 백색의 스팩트럼을 가짐을 알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은 색변화가 작으면서도 높은 효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특히 효율면에서는 종래의 샘플(FFP)가 16 (cd/A)인데 비해 본 발명의 샘플(PFP)는 20 (cd/A)로 크게 향상되었다. 또한 외부 양자 효율(Quantum Efficiecy)에서 종래 샘플은 9%인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샘플은 11% 로 크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전력효율면에서는 종래 기술의 샘플(FFP)는 5.05 (lm/w)인데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은 6.1 (lm/w)로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샘플(FFP)과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샘플은 녹색 영역에서 피이크가 관측되고 종래 샘플에 비해 높은 녹색 발광 강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스펙트럼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에서는 청색 호스트의 삼중항 엑시톤이 녹색 도판트로 확산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이 되고, 이로 인해서 효율 향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의 발광 휘도별 발광 스펙트럼을 보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변화에 따라 스펙트럼의 변화가 아주 작게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디스플레이로 응용할 때 꼭 필요한 특성으로서, 이러한 결과로 엑시톤 프로파일이 전기장의 변화에도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샘플(FFP)과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의 발광 스펙트럼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샘플(PFP)의 발광 휘도별 발광 스펙트럼을 보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애노드전극 151,251...제1인광발광층
153,253... 청색 형광발광층 155,255... 제2인광발광층
190,290: 캐소드전극 252... 제1기능성층
254... 제2기능성층

Claims (12)

  1. 호스트 물질과 도펀트를 포함하는 제1인광발광층;
    상기 제1인광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호스트 물질과 도펀트를 포함하는 청색 형광발광층; 및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 상에 형성되는 제2인광발광층;을 구비하고,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의 호스트의 삼중항 에너지(Triplet energy)가 상기 제1인광발광층 및 상기 제2인광발광층의 도펀트의 삼중항 에너지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광발광층의 호스트 물질은 정공 수송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광발광층의 호스트 물질은 전자 수송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과 제 1인광발광층 사이에,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고,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호스트보다 같거나 낮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고, 상기 제 1 인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는 같거나 높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는 제 1 기능성층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성층은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에너지준위가 5.2~6.2eV이고,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에너지 준위가 2.0~3.0 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과 제 2인광발광층 사이에,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고,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호스트보다 같거나 낮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고, 상기 제 2 인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는 같거나 높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는 제 2 기능성층이 더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성층은 HOMO의 에너지준위가 5.5~7.0 eV 사이이고, LUMO의 에너지 준위가 2.5~3.5 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능성층의 HOMO의 에너지 준위가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 상기 제1인광발광층 및 상기 제2인광발광층 과 같거나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능성층의 HOMO의 에너지 준위가 상기 청색 형광발광층, 상기 제1인광발광층 및 상기 제2인광발광층 과 같거나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과 제 1인광발광층 사이에,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고,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호스트보다 같거나 낮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고, 상기 제 1 인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는 같거나 높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는 제 1 기능성층;과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과 제 2인광발광층 사이에,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 큰 밴드갭 에너지를 가지고, 상기 청색 형광 발광층의 호스트보다 같거나 낮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고, 상기 제 2 인광 발광층의 도판트 보다는 같거나 높은 삼중항 준위를 가지는 제 2 기능성층;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제 2 기능성층은 청색형광 발광층의 도펀트의 발광 스펙트럼을 흡수하지 않는 밴드 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능성층은 HOMO의 에너지준위가 5.2~6.2eV이고, LUMO의 에너지 준위가 2.0~3.0 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능성층은 HOMO의 에너지준위가 5.5~7.0 eV 사이이고, LUMO의 에너지 준위가 2.5~3.5 e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색유기발광소자.
KR1020080046292A 2007-10-09 2008-05-19 백색 유기발광소자 KR20090036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85,559 US20090091255A1 (en) 2007-10-09 2008-10-08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08263177A JP2009094076A (ja) 2007-10-09 2008-10-09 白色有機発光素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668 2007-10-09
KR20070101668 2007-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504A true KR20090036504A (ko) 2009-04-14

Family

ID=4076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292A KR20090036504A (ko) 2007-10-09 2008-05-19 백색 유기발광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36504A (ko)
CN (1) CN1014592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271A (ko) * 2009-09-04 2012-07-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30721B (zh) * 2009-08-11 2015-05-13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JP5475003B2 (ja) * 2009-11-27 2014-04-16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02376900A (zh) * 2010-08-05 2012-03-14 国立清华大学 有机发光二极管的制作方法
CN102683597B (zh) * 2011-03-09 2015-06-03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白光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KR101993015B1 (ko) * 2011-06-24 2019-06-25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KR102089271B1 (ko) * 2013-12-31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장치
CN105449109B (zh) * 2015-12-28 2017-07-11 工业和信息化部电子第五研究所 模拟太阳光的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
CN106328818B (zh) * 2016-08-26 2018-11-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荧光/磷光混合型白光有机发光二极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3271A (ko) * 2009-09-04 2012-07-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209415B2 (en) 2009-09-04 2015-12-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with multiple light-emitting layers having controlled carrier mobility and ligh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59224A (zh)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8504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711933B2 (en) OLED device structures
KR100899423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9655199B2 (en) Four component phosphorescent OLED for cool white lighting application
US7332860B2 (en) Efficient white-light OLED display with filters
US7955719B2 (en) Tandem OLED device with intermediate connector
KR101316752B1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21049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091255A1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102645366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1811586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090036504A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20070067769A (ko) 백색 유기 전계 발광소자
KR20100073417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90010761A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0933747B1 (ko) 유기 발광 소자
US7821201B2 (en) Tandem OLED device with intermediate connector
KR2010007264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CN111403438B (zh) 有机发光装置
KR2010001159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41084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00045326A (ko) 백색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90035874A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KR101427799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782791B2 (ja) 三原色光を利用する白色有機電界発光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