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094B1 -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094B1
KR100865094B1 KR1020060076803A KR20060076803A KR100865094B1 KR 100865094 B1 KR100865094 B1 KR 100865094B1 KR 1020060076803 A KR1020060076803 A KR 1020060076803A KR 20060076803 A KR20060076803 A KR 20060076803A KR 100865094 B1 KR100865094 B1 KR 100865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mb
dmb signal
signal
gain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5286A (ko
Inventor
장문석
육태형
박석흠
이창근
Original Assignee
알에프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에프컨트롤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에프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094B1/ko
Publication of KR20080015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MB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수신된 DMB신호를 이용하여, 이득이 높은 제1 DMB신호 및 이득이 낮은 제2 DMB신호를 제공하고, 증폭기 및 분기회로로 이루어진 이종신호 제공수단;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에 따라, 상기 이종신호 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DMB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AGC 드라이버로 이루어진 제어신호 제공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를 포함하는 DMB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발명은, 안테나에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에 따라 제1 DMB신호를 출력하거나 제2 DMB신호를 출력하므로, 강전계 지역이나 약전계 지역에서 균일한 고품질의 DMB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60076803
DMB, 이득, 강도, 제어, 출력

Description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DMB신호 수신장치 120 : 데이터 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전원부
150 : 수신부 151 : 안테나
152 : 분기회로 153 : 증폭기
154 : AGC 드라이버 155 : 셀렉터
156 : 로스회로
본 발명은 DMB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되는 DMB신호를 수신지역의 전계강도에 따라 적당한 강도로 조절해서 제공하는 DMB신호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기존의 AM 방송이나 FM 방송과 같은 단순한 오디오 서비스를 뛰어넘어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k) 수준의 고품질 음성은 물론 문자 그래픽 동화상까지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말한다. 통상 지역적으로 무료 방송을 실시하는 지상파 방송을 가리키지만 넓게는 위성과 지상망을 활용해 멀티미디어 유료 방송을 실시하는 위성 DMB도 DMB의 범주에 포함된다.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칭함)는 맨 처음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라 칭함)에서 출발하였다. DAB는 1987년부터 유럽에서 결성한 Eureka-147 공동 프로젝트 고유 명칭이며, 이동수신에서 고음질의 오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이였다. 1993년 ITU-R에서 Eureka-147(EUropean REserch Coordination Agency project-147)의 고유 명칭으로 DAB를 명명했으며 개발초기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차량을 이용한 이동수신을 목적으로 오디오 및 데이터 방송 이였다. 1995년 2월 DAB 규격이 완성되었으며, 1995년 9월 영국의 BBC에서 세계최초로 DAB방송이 시작 되었다. 이와 같이 DAB에서 시작한 DMB는 크게 위성파 DMB와 지상파 DMB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과 관련이 있는 DMB는 지상파 DMB이다.
지상파 DMB 기술방식으로는 미국의 IBOC(In-Band On-Channel) 방식, 유럽의 Eureka-147 방식, 일본의 ISDB-TSB 방식이 있는데 우리나라가 채택한 방식은 유럽의 Eureka-147 방식으로 유럽의 DAB 스트림모드 데이터 채널을 통해 비디오 서비스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MPEG-2 TS(Transport Stream)를 사용하고 그 상위계층에 멀티미디어 압축기술인 H.264 비디오 부호화 및 BSAC 오디오 부호화 기술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지상파 DMB는 유럽의 DAB 시스템의 모든 서비스 기능에 안정적인 비디오 서비스 제공기능도 갖추게 되었다. 기본적인 전송방식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에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지상파 DMB는 DAB의 4개의 전송모드 중에서 VHF(Very High Frequency) 채널의 이동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한 전송모드 I을 사용한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적인 음원 처리 방식이나 변조 방식과는 전혀 다른 오디오 방송 형태로서 주요 방송용으로, 음원의 디지털 처리부터 변조 방식 또한 열화나 잡음에 강한 디지털 변조 방식을 채택한 방식이다. 음원 처리 방식은 방대한 데이터를 전송과 저장에 적합하게 압축하는 MPEG I(Moving Picture Experts Group I) 계층 2의 오디오 압축 방식을 택하였고, 변조 방식으로는 이동체 수신 능력이 뛰어난 COFDM(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 부호화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DMB의 사용주파수가 밴드-III에서는 대략 174-240MHz이고, L 밴드에 서는 대략 1452~1492MHz인데, 예를 들어 200Mhz의 λ/4의 파장을 이용하여 안테나를 구현하면, 그 안테나의 길이는 대략 37cm 정도 되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되는 종래의 DMB용 안테나는 현재 차량 및 실내에서 VHF/UHF(Ultra High Frequency) 대역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TV를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에 해당한다. 또한, 일반적인 DMB용 안테나는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를 변형한 구조로, 다이폴 안테나의 방사체를 스트립라인으로 구현하고 이를 접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소형화시킨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안테나에서는 수신율을 높이기 위하여 대부분 증폭기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증폭기는 약전계 내에서는 약전파를 증폭시켜서 수신율을 높여주지만, 강전계 내에서는 강전파를 더욱 증폭시켜서 오히려 DMB 방송의 수신율에 부작용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안테나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분기시켜서 증폭하거나 미증폭하여, 이득이 서로 상이한 고이득 및 저이득 DMB신호를 생성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를 전파의 진폭 변동을 통해 측정한 후 측정된 전파의 세기에 따라, 생성된 고이득 또는 저이득 DMB신호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DMB신호 수신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는,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수신된 DMB신호를 이용하여, 이득이 높은 제1 DMB신호 및 이득이 낮은 제2 DMB신호를 제각기 제공하는 이종신호 제공수단;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에 따라, 상기 이종신호 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DMB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종신호 제공수단은, 상기 안테나에 수신되는 일부의 DMB신호를 증폭시켜서 이득이 높은 상기 제1 DMB신호를 제공하는 증폭기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전달되는 DMB신호를 분기시키되, 상기 안테나에 수신되는 나머지 일부의 DMB신호가 상기 증폭기를 경유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테나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달되는 DMB신호에서 나머지 일부의 DMB신호를 분기시킴으로써, 상기 증폭기에서 제공되는 상기 제1 DMB신호 보다 낮은 이득을 갖는 상기 제2 DMB신호를 상기 셀렉터에 제공하는 분기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 제공수단은,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진폭 변동을 검출해서, 검출된 진폭 변동을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적합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셀렉터에 제공하는 AGC 드라이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DMB신호 보다 낮은 이득을 갖는 상기 제2 DMB신호의 이득을 로스(Loss)시킴으로써, 상기 제2 DMB신호의 이득을 한층 약화시켜서 상기 셀렉터에 제공하는 로스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폭기는, 임피던스 매칭 및 필터링 기능을 갖는 패시브 타입(Passive Type)으로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선도이다. 여기서, 후술되는 DMB신호는 지상파 DMB신호를 적용한 것을 그 예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수신부(150), 데이터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및 전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수신부(150)를 통하여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소정의 코덱을 이용하여 디코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데이터 처리부(120)가 디코딩한 결과물인 동영상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원부(140)는 수신부(150), 데이터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등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여기서, 전술한 수신부(150)는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수신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DMB 안테나(151), 분기회로(152), 증폭기(153), AGC 드라이버(154 : Automatic Gain Controller Driver) 및 셀렉터(155)를 포함한다.
수신부(150)는 한 개의 DMB 안테나(151)를 이용하여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한다. 안테나(151)는 수신되는 DMB신호를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153)로 인가한다. 이때, 분기회로(152)는 증폭기(153)에 인가되는 DMB신호를 도시된 바와 같은 두 개의 신호로 분기한다. 따라서, 분기된 신호 중 하나의 DMB신호(일부의 DMB신호)는 증폭기(153)에서 증폭되어 셀렉터(155)로 전달된다. 그리고, 분기된 나머지 하나의 DMB신호(나머지 일부의 DMB신호)는 증폭 과정을 거치지 않고 셀렉터(155)로 전달된다. 즉, 분기회로(152)는 안테나(151)를 통해 전달되는 DMB신호를 분기시키되,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전술한 나머지 DMB신호가 증폭기(153)를 경유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로 분기시킨다. 물론, 분기회로(1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51)에서 증폭기(153)로 전달되는 DMB신호에서 전술한 나머지 일부의 DMB신호를 분기시킴으로써,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제1 DMB신호 보다 낮은 이득을 갖는 제2 DMB신호를 셀렉터(155)에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수신부(150)는 이득이 높은 DMB신호와 이득이 낮은 DMB신호를 모두 얻을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증폭기(153)에서 증폭되는 DMB신호, 즉 이득이 높은 DMB신호는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약전계의 영역에 있는 경우 사용된다. 그리고, 증폭과정을 거치지 않는 DMB신호, 즉 이득이 낮은 DMB신호는 전술한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송신소근처와 같은 강전계의 영역에 있는 경우 사용된다.
결론적으로, 수신부(150)는 분기회로(152)를 통해 이득이 서로 상이한 2개의 DMB신호를 셀렉터(155)에 전달한다. 이때, 전술한 증폭기(153)에 의해 증폭되는 고이득의 DMB신호는 제1 DMB신호이고, 증폭과정을 거지치 않는 저이득의 DMB신호는 제2 DMB신호이다.
한편, AGC 드라이버(154)는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 즉 전파의 이득 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되는 이득 강도에 따라 전술한 고이득의 제1 DMB신호(증폭신호) 또는 저이득의 제2 DMB신호(미증폭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AGC 드라이버(154)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수단이다.
이러한 AGC 드라이버(154)는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송신소 근처와 같은 강전계로 진입할 경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AGC 드라이버(154)는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할 경우 작동한다.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AGC 드라이버(154)는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강전계로 진입할 경우,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가 설정된 이득 강도(기준값)를 초과하는 것을 감지한다. 이때, AGC 드라이버(154)는 미증폭된 저이득의 제2 DMB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셀렉터(155)에 인가한다. 따라서, 셀렉터(155)는 AGC 드라이버(154)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2 DMB신호를 출력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AGC 드라이버(154)는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전파의 진폭변동을 검출해서, 검출된 진폭변동을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강도가 설정된 이득강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판단된 결과에 따라 적합한 스위칭 제어신호(온 또는 오프)를 셀렉터(155)에 제공한다. 즉, AGC 드라이버(154)는 전파의 진폭변동을 통해 전파의 강도를 측정한다.
한편, 셀렉터(15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증폭기(153)로부터 증폭된 DMB 신호를, 분기회로(152)로부터 직접 증폭되지 않은 DMB신호를 수신한다. 즉, 셀렉터(155)는 증폭된 고이득의 제1 DMB신호 및 미증폭된 저이득의 제2 DMB신호를 제각기 수신한다. 그리고, 셀렉터(155)는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수신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1 DMB신호 또는 제2 DMB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셀렉터(155)는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수신 하지 못할 경우,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약전계의 영역에 존재할 경우, 증폭된 고이득의 제1 DMB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할 경우, 미증폭된 저이득의 제2 DMB신호를 출력한다.
결론적으로, 셀렉터(155)는 약전계의 영역에서는 제1 DMB신호가 DMB신호 수신장치(100)의 데이터 처리부(120)로 인가되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셀렉터(155)는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강전계로 진입하게 되어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제2 DMB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제1 DMB신호가 데이터 처리부(120)로 인가되는 것을 차단하는 동시에, 제2 DMB신호가 데이터 처리부(120)로 인가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처리부(120)는 약전계 영역에서는 증폭된 제1 DMB신호를 출력하고, 강전계 영역에서는 미증폭된 제2 DMB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데이터 처리부(120)가 수신지역에 적합한 이득의 DMB신호를 출력하면서, 수신지역의 전계강도와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DMB방송을 송출한다.
한편, 전술한 증폭기(153)와 AGC 드라이버(154) 및 셀렉터(155)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증폭기(153)는 안테나(151)에서 인가되는 DMB신호의 이득(Gain)을 높이기 위한 회로이다. 이러한 증폭기(153)는 다수의 저항(Resistor), 인덕터(Inductor), 캐패시터(Capacitor) 및 트렌지스터(Transistor)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폭기(153)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증폭기(153)는 이득(Gain)을 높이기 위하여 Active Type의 회로를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Passive 타입의 회로를 이용하여 충분한 이득(Gain)을 확보할 수 있을 경우, 임피던스 매칭과 필터링 기능이 추가된 Passive Type의 회로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이 추가된 Passive Type의 회로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AGC 드라이버(154)에 대하여 설명하면, AGC(Auto Gain Control)는 무선 수신기나 증폭기 입력 신호의 진폭 변동을 검출하여 출력 신호의 진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자동 조절하는 장치를 의미(사전적 의미)한다. 이러한 AGC는 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높은 이득이 입력될 경우 역방향 바이어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이득 강도를 강하시키고, 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낮은 이득이 입력될 경우 순방향 바이어스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이득 강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AGC는 출력신호의 진폭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하지만, 본 발명의 AGC 드라이버(154)는 일반적인 전술한 AGC와 달리, 진폭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보다는 입력 신호의 진폭 변동을 검출하여 이를 셀렉터(155)에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AGC 드라이버(154)는 이득을 자동 조절하는 작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셀렉터(155)의 작동신호인 스위칭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AGC 드라이버(154)는 검출되는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가 보다 클 경우, 이 이득 강도를 설정된 강도 보다 낮게 강하시키는 역방향 바이어스를 생성하지 않고 셀렉터(155)를 작동시키는 전류를 생산한다. 따라서, AGC 드라이버(154)는 검출되는 이득 강도에 따라 셀렉터(155)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전술한 AGC 드라이버(154)는 두 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있는 BAS40-07 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BAS40-07 소자는 쇼트키 장벽 다이오드 회로(Schottky Barrier Diode)의 일종에 해당한다.
이와 같은 다이오드 소자를 이용하여 AGC 드라이버(154)는 안테나(151)에 수신된 현재 신호의 강도가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 결과는 연산 증폭기 등을 경유하여 셀렉터(155)로 인가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셀렉터(155)는 전술한 바와 같이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증폭기(153) 및 분기회로(152)로부터 각각 증폭된 신호와 증폭되지 않은 신호를 입력받는다. 즉, 증폭기(153)로부터는 증폭된 제1 DMB신호를, 분기회로(152)로부터는 미증폭된 제2 DMB신호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셀렉터(155)는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통상의 경우에는 증폭기(153)에서 전달되는 제1 DMB신호를 출력부로 전달한다. 그리고,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제어 명령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에는 분기회로(154)로부터 전달되는 제2 DMB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셀렉터(155)는 AGC 드라이버(154)의 제어 명령 신호에 따라 가변 스위치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전술한 셀렉터(155)는 멀티플렉서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트랜지스터 등의 소자를 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분기회로(152)는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두 개로 분리한다. 그리고, 전술한 증폭기(153)는 분기된 DMB신호 중 하나를 증폭시킨다. 따라서, 안테나(151)에 수신된 DMB신호는 분기회로(152) 및 증폭기(153)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득이 서로 상이한 증폭된 고이득의 제1 DMB신호 및 미증폭된 저이득의 제2 DMB신호로 분리된다. 즉, 안테나(151)에 수신된 DMB신호는 분기회로(152) 및 증폭기(153)에 의해 이득이 서로 상이한 이종신호(異種信號)로 변환되어 제공된다. 이러한 분기회로(152) 및 증폭기(153)는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이종신호로 변환시켜서 제공하는 이종신호 제공수단이다.
다른 한편, 미증폭되는 전술한 저이득의 제2 DMB신호는 도시된 바와 같은 로스회로(156)에 의해 이득이 보다 낮아질 수 있다. 즉, 로스회로(156)는 제2 DMB신호의 이득을 낮추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로스회로(156)는 안테나(151)에서 셀렉터(155)로 분기되는 DMB신호의 이득을 로스(Loss)시켜서 제2 DMB신호의 이득을 감쇠시킨다. 따라서, 제2 DMB신호는 로스회로(156)에 의해 이득이 낮아진다. 즉, 로스회로(156)는 증폭기(153)에서 출력되는 제1 DMB신호 보다 낮은 이득을 갖는 분기회로(152)의 제2 DMB신호의 이득을 한층 약화시켜서 셀렉터(155)에 제공한다.
여기서, 전술한 로스회로(156)는 보다 강도높은 강전계의 영역에 대비할 경우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로스회로(156)는 예컨대, 저항(Resistance), 인덕터(Inductor), 컨덕터(Conductor) 등의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를 이용한 수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DMB신호 수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를 이용한 수신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의 안테나(151)를 통해 DMB신호를 수신한다(S401). 즉, 하나의 안테나(151)를 통해 DMB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두 개의 신호로 분리한다(S402). 이때, DMB신호는 전술한 분기회로(152)를 통해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DMB신호는 제1 DMB신호 및 제2 DMB신호로 분리된다.
이때, 분리된 DMB신호들 중 제1 DMB신호는 증폭기(153)에 의해 증폭되어 셀렉터(155)에 전달된다(S403). 그리고, 분리된 DMB신호들 중 제2 DMB신호는 증폭기(153)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셀렉터(155)에 전달된다. 즉, 제1 DMB신호는 증폭에 의한 고이득의 DMB신호이고, 제2 DMB신호는 미증폭에 의한 저이득의 DMB신호이다. 따라서, 셀렉터(155)에는 이득이 서로 상이한 이종(異種)의 신호가 제공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를 감지한다(S404). 이때, 전파의 이득 강도는 전술한 AGC 드라이버(154)를 통해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AGC 드라이버(154)는 증폭되지 않은 신호의 세기, 즉 이득 강도를 감지하여,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약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실시예의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측정된 전파의 세기가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전파의 수신위치 가 강전계의 영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전파의 세기가 설정된 기준값에 미달할 경우 전파의 수신위치가 약전계의 영역(강전계가 아닌 지역)에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측정된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할 경우 강전계 영역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에 미달할 경우에는 약전계 영역으로 판단한다(S405). 물론,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전술한 AGC 드라이버(154)를 통해 측정된 전파의 이득 강도를 판단한다.
이러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수신위치가 강전계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즉 감지된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할 경우, 미증폭된 제2 DMB신호를 이용한 DMB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07)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증폭되지 않은 DMB신호를 디코딩해서 DMB 방송을 출력한다. 이때, AGC 드라이버(154)는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한 후, 이 측정된 이득 강도가 기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높음에 따라, 제2 DMB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셀렉터(155)에 인가(제공)한다. 따라서, 셀렉터(155)는 제2 DMB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사용자는 이러한 셀렉터(155)의 작동으로 인하여 미증폭된 제2 DMB신호에 의한 DMB방송을 시청한다.
반대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수신위치가 약전계의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즉 감지된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에 미달할 경우, 증폭된 제1 DMB신호를 이용한 DMB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08).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증폭된 DMB신호를 디코딩해서 DMB 방송을 출력한다. 이때, AGC 드라 이버(154)는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한 후, 이 측정된 이득 강도가 기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낮음에 따라, 제1 DMB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셀렉터(155)에 인가(제공)한다. 따라서, 셀렉터(155)는 제1 DMB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사용자는 이러한 셀렉터(155)의 작동으로 인하여 증폭된 제1 DMB신호에 의한 DMB방송을 시청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일반적인 강전계 보다 강도가 높은 고강전계의 영역에 있을 경우, 안테나(151)에서 분리된 제2 DMB신호의 이득을 감쇠(Loss)킨 후, 이득이 감쇠된 제2 DMB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S406). 이때, 제2 DMB신호의 이득은 전술한 바와 같은 로스회로(156)를 통해 감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DMB신호는 고강전계에서도 적합한 이득으로 보정되어 출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적인 강전계 보다 강도가 높은 고강전계의 영역에서도 원활하게 DMB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로서,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의 DMB신호 수신장치(100)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고, 다만 전술한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DMB신호가 증폭된 후 분기되도록 구성한 것이 차이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후술되는 DMB신호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상파 DMB신호를 적용한 것을 그 예로 설명한 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부(150)에 마련된 하나의 안테나(151)을 통해 DMB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안테나(151)에 연결된 도시된 바와 같은 증폭기(153)는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증폭한다. 그리고, 증폭된 DMB신호를 도시된 바와 같이 셀렉터(155)에 인가한다.
이때, 증폭기(153)에서 셀렉터(155)로 인가되는 증폭된 DMB신호는 도시된 바와 같은 분기회로(152)에 의해 분기된다. 그리고, 분기회로(152)에 의해 분기된 DMB신호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회로(152)에 마련된 로스회로(156)를 통해 이득이 감쇠된 상태로 셀렉터(155)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셀렉터(155)는 증폭기(153)로부터 증폭된 고이득의 DMB신호를 직접 인가받고, 분기회로(152)의 로스회로(156)을 통해서 이득이 감쇠된 저이득의 DMB신호를 인가받는다. 즉, 셀렉터(155)는 증폭기(153)로부터 고이득의 제1 DMB신호를 직접 인가받고, 로스회로(156)를 통해 저이득의 제2 DMB신호를 인가받는다. 따라서, 수신부(150)는 이득이 높은 DMB신호와 이득이 낮은 DMB신호를 모두 얻을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증폭기(153)에서 증폭된 고이득의 제1 DMB신호는 DMB신호 수신장치가 약전계의 영역에 있는 경우 사용된다. 그리고, 로스회로(156)에서 이득이 감쇠된 저이득의 제2 DMB신호는 DMB신호 수신장치가 강전계의 영역에 있는 경우 사용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신부(150)는 분기회로(152) 및 로스회로(156)를 통해 이득이 서로 상이한 2개의 DMB신호를 셀렉터(155)에 전달한다. 물론, 셀렉터(155)는 이러한 수신부(150)에 의해 이득이 서로 상이한 2개의 DMB신호를 수신한다. 즉, 셀렉터(155)는 전술한 고이득의 제1 DMB신호 및 저이득의 제2 DMB신호를 제각기 수신한다.
여기서, 전술한 증폭기(152)와 분기회로(152) 및 로스회로(15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득이 서로 상이한 제1 및 제2 DMB신호를 제공하는 이종신호 제공수단이다.
한편, AGC 드라이버(154)는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전파의 세기, 즉 전파의 이득 강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이득 강도에 따라 전술한 제1 DMB신호 또는 제2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AGC 드라이버(154)는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 출력수단이다.
이때, AGC 드라이버(1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153)에서 출력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달리 안테나(151)에서 증폭기(153)로 인가되는 전파를 이용하여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AGC 드라이버(154)는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할 경우 스위칭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AGC 드라이버(154)는 강전계에서 작동한다. 이때, AGC 드라이버(154)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는 셀렉터(155)로 인가된다.
한편, 셀렉터(155)는 증폭기(153)로부터 증폭된 고이득의 제1 DMB 신호를, 로스회로(156)를 갖는 분기회로(152)로부터 이득이 감쇠된 저이득의 제2 DMB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셀렉터(155)는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수신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제1 DMB신호 또는 제2 DMB신호를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셀렉터(155)는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약전계의 영역에 존재할 경우, 증폭된 고이득의 제1 DMB신호를 출력한다. 반대로 AGC 드라이버(154)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할 경우, 이득이 감쇠된 저이득의 제2 DMB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약전계 뿐만 아니라 강전계에서도 안정적으로 DMB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에 의한 수신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를 이용한 수신방법은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의 안테나(151)를 통해 DMB신호를 수신한다(S601). 즉, 하나의 안테나(151)를 통해 DMB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DMB신호를 증폭시킨다(S602). 이때, DMB신호는 전술한 증폭기(153)를 통해 증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증폭기(153)에 의해 증폭된 DMB신호를 두 개의 신호로 분리한다. 이때, DMB신호는 전술한 로스회로(156)를 갖는 분기회로(152)를 통해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증폭된 DMB신호를 로스회로(156)를 갖는 분기회로(152)를 통해 분리함에 따라, 증폭된 DMB신호는 증폭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이득의 제1 DMB신호 및, 로스회로(152)에 의해 이득이 감쇠되는 저이득의 제2 DMB신호로 분리된다(S603, S604). 이러한 고이득 및 저이득의 제1 및 제2 DMB신호는 제각기 셀렉터(155)에 전달된다. 따라서, 셀렉터(155)에는 이득이 서로 상이한 이종의 신호가 제각기 제공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한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안테나(151)에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를 감지한다(S605). 그리고, 감지된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강한지 비교한다(S606). 이때, 전파의 이득 강도는 전술한 AGC 드라이버(154)를 통해 감지 및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AGC 드라이버(154)는 증폭된 신호의 세기, 즉 이득 강도를 감지하고, 이를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약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즉, AGC 드라이버(154)는 감지된 이득 강도가 설정된 기준값 보다 초과할 경우,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감지된 이득 강도가 설정된 기준값에 미달할 경우, DMB신호 수신장치(100)가 약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의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AGC 드라이버(154)를 통해 현재의 수신위치가 강전계의 영역인지, 아니면 약전계의 영역인지를 판단한다.
한편,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수신위치가 강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감지된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할 경우, 이득이 감쇠된 저이득의 제2 DMB신호를 이용한 DMB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07) 즉, DMB신호 수신장치(100)는 증폭된 후 이득이 감쇠된 DMB신호를 디코딩해서 DMB 방송을 출력한다. 이때, AGC 드라이버(154)는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이득 강도가 기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높음에 따라, 제2 DMB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셀렉터(155)에 인가(제공)한다. 따라서, 셀렉터(155)는 제2 DMB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사용자는 이러한 셀렉터(155)의 작동으로 인하여 이득이 감쇠된 제2 DMB신호에 의한 DMB방송을 시청한다.
반대로, DMB신호 수신장치가 약전계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즉 감지된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에 미달할 경우, DMB신호 수신장치는 이득이 미감쇠된 고이득의 제1 DMB신호를 이용한 DMB 방송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08). 즉, DMB신호 수신장치는 증폭된 후 증폭된 상태를 유지하는 DMB신호를 디코딩해서 DMB방송을 출력한다. 이때, AGC 드라이버(154)는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이득 강도가 기설정된 이득 강도 보다 낮음에 따라, 제1 DMB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셀렉터(155)에 인가(제공)한다. 따라서, 셀렉터(155)는 제1 DMB신호를 출력한다. 물론, 사용자는 이러한 셀렉터(155)의 작동으로 인하여 고이득의 제1 DMB신호에 의한 DMB방송을 시청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MB신호 수신장치는, 약전계의 영역에 진입할 경우 증폭기를 통해 출력되는 이득 강도가 높은 신호만을 이용하고, 강전계의 영역에 진입할 경우 분기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이득 강도가 낮은 신호만을 이용하므로 DMB 방송 신호의 수신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디코딩시 에러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품질의 DMB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AGC와 같은 기존에 존재하는 소자를 이용하므로, DMB신호를 안정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DMB신호 수신장치를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DMB신호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은, 일반적인 강전계 보다 강도높은 강전계의 영역에 진입할 경우, 즉 고강전계의 영역에 진입할 경우, 이득 강도가 낮은 신호의 이득 강도를 로스회로를 통해 한층 감쇠시켜서 보다 낮은 저이득의 신호만을 이용하므로, 강도높은 강전계의 영역에서도 DMB 방송을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지지 않고,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10)

  1. DMB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DMB신호가 포함된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수신된 DMB신호를 이용하여, 이득이 높은 제1 DMB신호 및 이득이 낮은 제2 DMB신호를 제각기 제공하는 이종신호 제공수단;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세기)에 따라, 상기 이종신호 제공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또는 제2 DMB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신호 제공수단; 및
    상기 제어신호 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 DMB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셀렉터;를 포함하고,
    상기 이종신호 제공수단은,
    상기 안테나에 수신되는 일부의 DMB신호를 증폭시켜서 이득이 높은 상기 제1 DMB신호를 제공하는 증폭기; 및
    상기 안테나를 통해 전달되는 DMB신호를 분기시키되, 상기 안테나에 수신되는 나머지 일부의 DMB신호가 상기 증폭기를 경유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안테나에서 상기 증폭기로 전달되는 DMB신호에서 나머지 일부의 DMB신호를 분기시킴으로써,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상기 제1 DMB신호 보다 낮은 이득을 갖는 상기 제2 DMB신호를 상기 셀렉터에 제공하는 분기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 제공수단은,
    상기 안테나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진폭 변동을 검출해서, 검출된 진폭 변동을 통해 수신되는 전파의 이득 강도가 설정된 이득 강도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적합한 스위칭 제어신호를 상기 셀렉터에 제공하는 AGC 드라이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신호 수신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MB신호 보다 낮은 이득을 갖는 상기 제2 DMB신호의 이득을 로스(Loss)시킴으로써, 상기 제2 DMB신호의 이득을 한층 약화시켜서 상기 셀렉터에 제공하는 로스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신호 수신장치.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는, 임피던스 매칭 및 필터링 기능을 갖는 패시브 타입(Passive Ty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B신호 수신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60076803A 2006-08-14 2006-08-14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KR100865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03A KR100865094B1 (ko) 2006-08-14 2006-08-14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803A KR100865094B1 (ko) 2006-08-14 2006-08-14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286A KR20080015286A (ko) 2008-02-19
KR100865094B1 true KR100865094B1 (ko) 2008-10-23

Family

ID=39383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803A KR100865094B1 (ko) 2006-08-14 2006-08-14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141B1 (ko) 2008-03-31 201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테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30A (ko) * 2004-08-09 2006-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3930A (ko) * 2004-08-09 2006-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용 단말기에서 저잡음 증폭기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286A (ko) 200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4606B1 (ko)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US777396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reducing interfering phase-noise in the mobile terminal
US7454180B2 (en) Vehicle-mounted receiving apparatus for reducing distortion, improving reception sensitivity, and saving power
US7894786B2 (en) Gain controlled and multi-band processing receiver
US84632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inter-modulation to improve radio performance in single and dual tuner
US20090209217A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Chip and Method Enabling a Radio Signal Reception
KR20060107267A (ko) 아날로그/디지털 공용 프론트 엔드 모듈
JP2002050976A (ja) アンテナユニットおよび受信機
US20090083823A1 (en) Antenna switch and tuner apparatus
KR100865094B1 (ko)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US20080081630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 Frequency Modulation (FM) Antenna To Receive Digital Video Broadcasting Handheld (DVB-H) Signals
US8249205B2 (en) HD radio diversity receiver with shared processing paths
JPH09139681A (ja) ダウン・コンバータの変換利得を制御する装置
JPH1075191A (ja) アンテナブースタ付受信機
US7171180B2 (en) AM receiver circuit performing sound quality compensation of AM detection output signal
KR101539209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US8099069B2 (en) Broadcast receiver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70287398A1 (en) Radio receiver and method for detecting carrier waves
JP2005005848A (ja) Iboc放送受信機
KR20080047219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방송 서비스 채널들을 동시수신하는 방송 방법 및 방송 장치
KR100466070B1 (ko) 디지털 오디오 방송 튜너
KR100716909B1 (ko)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KR20060064359A (ko)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이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JP2010050663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放送受信方法
JP2011023870A (ja) 電子チューナおよび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