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909B1 -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 Google Patents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909B1
KR100716909B1 KR1020050085956A KR20050085956A KR100716909B1 KR 100716909 B1 KR100716909 B1 KR 100716909B1 KR 1020050085956 A KR1020050085956 A KR 1020050085956A KR 20050085956 A KR20050085956 A KR 20050085956A KR 100716909 B1 KR100716909 B1 KR 100716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cessing stage
pass
signal process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1191A (ko
Inventor
안정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9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3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2Frequency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은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1신호감지기;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2신호감지기; 상기 제1신호감지기 및 상기 제2신호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연산증폭기;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제1가변감쇄기; 및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제2가변감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가지 패쓰의 출력 레벨이 동일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수신 감도가 좋은 신호를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항시 안정적인 수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도체 공정 과정이나 설비를 개선할 필요 없이, 기본 소자로 이루어지는 보상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 of diversity receiver type}
도 1은 일반적인 위성 DMB수신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이 이용되는 DMB 수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의 제1가변감쇄기 또는 제2가변감쇄기에 의하여 신호가 조정되는 수신전계와 제어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안테나 a: 제1패쓰용 RF수신처리단
121a: 제1저잡음증폭기 122a: 제1RF필터
123a: 제1혼합기 124a: 제1전압제어증폭기
125a: 제1가변감쇄기 126a: 제2전압제어증폭기
b: 제2패쓰용 RF수신처리단 121b: 제2저잡음증폭기
122b: 제2RF필터 123b: 제2혼합기
124b: 제3전압제어증폭기 125b: 제2가변감쇄기
126b: 제4전압제어증폭기 127: 제1신호감지기
128: 제2신호감지기 129: 비교/연산증폭기
본 발명은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1패쓰와 제2패쓰의 출력 상태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출력전압 보상 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시스템이 제품화되어 상용화되고 있는데, DMB란 라디오(오디오) 방송, TV 방송 및 이동통신용 데이터를 포괄하는 첨단 방송을 의미하는 것으로, 2003년, "디지털 오디오 방송"과 "디지털 비디오 방송"이 기술적으로 통합되면서 DMB라는 포괄적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DMB는 지상파, 위성파, 무선주파수대역을 모두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송하기 때문에 이동방송, 휴대방송 그리고 개인용 방송에 이르기까지 그 이용범위가 매우 넓고, 컨텐츠의 개발이 광범위하다는 장점이 있다.
DMB는 기술 표준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크게 지상파 DMB와 위성 DMB로 분류되는데, 지상파 DMB는 OFE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직교 주 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따른 것이고, 위성 DMB는 CDM(Code Division Multiplex; 코드 분할 다중화)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서 이동통신기술과 동일한 원리를 가진다.
이렇게 주파수 대역 및 시스템의 구성이 상이하므로 여러가지 형태의 플랫폼(Platform)을 가지는 DMB 수신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는데, 간단히 주파수 대역에 따른 DMB 수신 시스템의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상파(초단파: VHF)를 이용하는 지상파 DMB 수신 시스템의 경우 6Mhz를 다시 3개의 주파수 블록으로 나누어 멀티플렉스하는 방식을 사용하는데, 각각의 대역폭은 1.2Mbps이고, 비디오 압축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하나의 채널에 여러 개의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채널을 실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로는 H.264(비디오 규격으로서, 384 Kbps의 대역폭으로 아날로그 비디오 테이프에 해당하는 수신화질을 구현할 수 있음) 및 MPEG-4BSAC(오디오 규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극초단파(UHF)를 이용하는 위성 DMB 수신 시스템은 2.630~ 2.655 GHz의 대역을 사용하고 인공위성이 중계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지상의 방송센터에서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위성 주파수(Ku 밴드, 12~13 GHz)대역으로 전송하면 위성은 이를 S밴드(2.630~2.655 GHz)를 통해 지상의 단말기로 방송하게 된다. 위성신호가 미치지 못하는 곳에는 갭필러(Gap Filler)라고 불리는 중계기가 이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위성 DMB수신시스템에 사용되는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일반적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20)은 크게 제1패쓰용 RF수신처리단(A), 제2패쓰용 RF수신처리단(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패쓰용 RF수신처리단(A)과 제2패쓰용 RF수신처리단(B) 모두 저잡음증폭기(21, 26), RF필터(22, 27), 혼합기(mixer)(23, 28), 2개의 전압제어증폭기(24, 25/ 29, 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두가지 패쓰의 신호처리단은 다이버서티 환경에서 각각 동일한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최종 출력신호를 비교하여 안정된 수신신호를 선택적으로 처리하게 되는데, 따라서, 두가지 패쓰의 신호처리단은 동일한 출력 상태를 기본적인 요건으로 갖추어야 한다.
우선, 안테나(11)는 위성 신호를 수신하고, 제1저잡음증폭기(21)와 제2저잡음증폭기(26)는 수신된 위성 신호를 저잡음증폭시킨다.
상기 제1RF필터(22)와 제2RF필터(27)는 해당 대역 주파수 신호만을 필터링하고, 제1혼합기(23)와 제2혼합기(28)는 위성 신호를 발진 신호와 혼합하여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로 생성한다.
또한, 제1전압제어증폭기(24)와 제2전압제어증폭기(25)는 차례대로 중간주파수 대역 신호를 증폭시켜 기저대역처리부에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전압제어증폭기(29)와 제4전압제어증폭기(30) 역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패쓰, 제2패쓰가 동일한 출력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나, 반도체 공정상에서 발생되는 원천적인 소자간의 기능 차이로 인하여 동일한 출력상태를 갖추기가 매우 힘들다.
이렇게 두가지 패쓰간 출력상태가 상이하게 되면, 다이버서티 수신 방식에 의하여 수신 감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며, 어느 패쓰의 출력신호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의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애매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두 가지 패쓰간의 출력 상태를 동일하게 유지해주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도체 공정이나 공정 장비를 개선할 필요없이, 기본적인 소자를 이용하여 보상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두 가지 패쓰의 출력 신호 상태를 동일한 레벨로 맞추어 줄 수 있는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은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1신호감지기;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2신호감지기; 상기 제1신호감지기 및 상기 제2신호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연산증폭기;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제1가변감쇄기; 및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제2가변감쇄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에 구비되는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은 제1저잡음증폭기, 제1RF필터, 제1혼합기, 제1전압제어증폭기, 제2전압제어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은 제2저잡음증폭기, 제2RF필터, 제2혼합기, 제3전압제어증폭기, 제4전압제어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에 구비되는 상기 제1신호감지기는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제2전압제어증폭기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감지기는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제4전압제어증폭기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각 출력신호를 커플링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에 구비되는 상기 제1가변감쇄기는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제1전압제어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변감쇄기는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제3전압제어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각의 출력신호를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의 상기 신호감지기는 다이오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성 DMB용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이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이 이용되는 DMB 수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MB 수신 시스템(100)은 안테나(110), RF모듈(120), 기저대역처리부(134), 메모리(132), 비디오데이터처리부(140), 비디오재생부(150), 오디오재생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안테나(110)는 DMB 위성파 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RF모듈(120)로 전달한다.
상기 RF모듈(120)은 안테나(110)로부터 DMB 위성파 신호가 전달되면 동기화 수단을 통하여 신호를 선택적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신호를 중간 주파수 대역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RF모듈(120)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4)와 메모리(132)는 연동하여 중간 주파수 대역신호로부터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를 얻어내는데, 메모리(132)는 기저대역처리부(134)의 신호처리용 데이터를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4)는 RF모듈(120)로부터 전달된 중간 주파수 대역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신호로 추출하고, 저대역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4)는 아날로그/디지털 신호 변환기(ADC, DAC), FFT(Fast Fourier Transform)회로, 저대역통과필터(LPF: Low Pass Filter), 변복조기, 에러 교정 회로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4)는 송신 시에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 환한 후, 저대역통과 필터를 통과시켜 저대역 신호를 필터링하고 IF신호로 변조한다.
메모리(132)는 클록 속도가 주연산장치와 동기화되어 있는 DRAM 종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DRAM을 이용하면 클록 속도의 동기화를 통하여 일정 시간 내에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는 신호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DMB수신 시스템 상에서 많이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DMB수신 시스템의 핵심이 되는 장치로서, 보통 "MSM(Mobile Station Modem)"이라 불리우며, 중앙연산장치(CPU)와 음성의 코딩을 위한 보코더 등을 구비하며, 연산/제어 기능을 수행하여 각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신호를 처리하여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RF모듈(120)과 연결되어 수신되는 신호의 전계에 따라 이득 전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신호를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4)에서 중간주파수 신호가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로 처리됨에 있어서, 오디오 신호는 제어부(170)의 보코더에 의하여 처리되며, 상기 오디오재생부(160)는 기저대역처리부(134)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반면,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4)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상기 비디오데이터처리부(미디어칩)(140)을 통하여 영상처리를 거친 후 비디오재생부(150)로 전달된다.
상기 비디오재생부(1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되는 비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함으로써 화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34)는 RF모듈(120)로부터 중간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전달받음에 있어서 두 개의 단자, IF_I 단자 및 IF_Q 단자를 통하여 각각 I신호 및 Q신호를 전달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은 크게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a)과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a)은 신호를 수신하는 메인 패쓰의 역할을 하고,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b)은 상기 메인 패쓰를 보조하는 다이버서티 패쓰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다이버서티 수신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선통신에서 페이딩 현상(fading phenomenon)에 의하여 신호 품질이 열화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며, 신호 품질이 열화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페이딩 환경에 노출된 2개 이상의 전파를 각각 수신하여, 그 수신출력을 신호처리함으로써 통신품질의 열화를 경감시키는 방식을 다이버서티 수신 방식이라 한다.
즉, 페이딩 현상은 수신지점 혹은 주파수, 편파 등이 바뀌면 그 상관 관계가 비정상적으로 작아지는 성질을 갖고 있는데, 다이버서티 수신 방식은 이러한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a)과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b)은 기 본적으로 하나의 RF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수신 특성을 가져야 하지만, 반도체 공정을 정교하게 수행하여도 오차가 생기게 되며, 각각의 출력 레벨에 차이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은 공정상에서 발생되는 이러한 출력 레벨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RF모듈의 수신 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a)은 제1저잡음증폭기(121a), 제1RF필터(122a), 제1혼합기(믹서; mixer)(123a), 제1전압제어증폭기(124a), 제1가변감쇄기(125a) 및 제2전압제어증폭기(126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b)은 제2저잡음증폭기(121b), 제2RF필터(122a), 제2혼합기(123b), 제3전압제어증폭기(124b), 제2가변감쇄기(125b) 및 제4전압제어증폭기(12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전압제어증폭기(126a)와 제4전압제어증폭기(126b)의 출력단에는 각각 제1신호감지기(127)와 제2신호감지기(128)가 연결되고, 제1신호감지기(127)와 제2신호감지기(128)의 출력단은 비교/연산증폭기(129)의 입력단과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비교/연산증폭기(129)의 출력단은 2개의 라인으로 분기되어 각각 제1가변감쇄기(125a)와 제2가변감쇄기(125b)로 연결된다.
상기 제1저잡음증폭기(121a)와 제2저잡음증폭기(121b)는 안테나(110)를 통하여 인입된 수신 신호가 중간 신호로 처리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신호로 증폭시 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함께 인입된 잡음 성분의 주파수가 함께 증폭되는 것을 억제하여 중저대역 주파수 신호(주로, 잡음 성분을 고대역 주파수 성분으로 검출됨)만을 증폭시킨다.
상기 제1RF필터(122a)와 제2RF필터(122b)는 증폭된 수신 신호 중에서 해당 대역 주파수 신호만을 필터링하여 각각 제1혼합기(123a) 및 제2혼합기(123b)로 전달하고, 상기 제1혼합기(123a) 및 제2혼합기(123b)는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제1혼합기(123a) 및 제2혼합기(123b)는 각각 위상동기회로(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는데, 위상동기회로는 TCXO(Temperature Compensated X-tal Oscillator; 온도보상수정발진기), 페이스 디덱터, 펄스/전압변환기, VCO, 피드백회로를 구비하여 주파수원이 변동되지 않고 혼합기로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며, 외부의 제어전압에 따라 주파수원을 정확히 가변시킨다.
상기 제1혼합기(123a)와 제2혼합기(123b)는 수신된 신호와 위상동기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를 혼합하여 중간 주파수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1전압제어증폭기(124a)와 제3전압제어증폭기(124b)는 제1혼합기(123a) 및 제2혼합기(123b)로부터 출력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전술한 기저대역처리부에서 처리가능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시키고, 상기 제2전압제어증폭기(126a)는 제1전압제어증폭기(124a)의 출력신호를, 그리고 상기 제4전압제어증폭기(126b)는 제3전압제어증폭기(124b)의 출력신호를 다시 증폭시킨다.
한편, 제2전압제어증폭기(126a)와 제4전압제어증폭기(126b)의 출력단에는 각 각 제1신호감지기(127)와 제2신호감지기(128)가 연결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커플링시키는데, 제1신호감지기(127) 및 제2신호감지기(128)로는 가령 다이오드와 같은 커플링 소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교/연산증폭기(129)는 상기 제1신호감지기(127) 및 상기 제2신호감지기(128)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감지 신호를 비교하고, 주파수/위상차를 계산한다.
상기 비교/연산증폭기(129)는 주파수/위상차에 해당되는 특정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클럭신호가 가지는 펄스폭과 부호를 소정 전압 레벨로 변환(증폭)시킨다.
소정 레벨 수치를 가지는 상기 전압은 제어 전압으로서, 제1가변감쇄기(125a)와 제2가변감쇄기(125b)로 각각 전달되고 제1가변감쇄기(125a) 및 제2가변감쇄기(125b)는 제1전압제어증폭기(124a)와 제3전압제어증폭기(124b)의 출력단 신호의 전압 수치를 조정한다.
따라서, 제2전압제어증폭기(126a)와 제4전압제어증폭기(126b)의 출력 신호는 동일한 레벨 수치를 가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의 제1가변감쇄기(125a) 또는 제2가변감쇄기(125b)에 의하여 신호가 조정되는 수신전계와 제어 전압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의하면, 강전계 영역으로부터 표준 전계, 약전계에 이르기까지 수신전계와, 제어 전압 사이에 선형적 특성이 유지되면서 위성 신호가 감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DMB신호가 네거티브(negative) 특성을 가지는 경우를 도시 한 것이고, 반면에 파지티브(positive) 특성을 갖는 경우의 DMB신호 또한 설계에 따라 동일한 선형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전술한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a)과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b)에 동일한 -90 dBm의 신호가 수신되었다고 가정하면, 혼합기, 전압제어증폭기 등을 거치면서 두 패쓰 간에 -10 내지 -20 dB의 전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각 감쇄기에서 선형적으로 전계를 조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1패쓰와 제2패쓰의 동일한 출력 상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에 의하면, 두 가지 패쓰의 출력 레벨이 동일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수신 감도가 좋은 신호를 확실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항시 안정적인 수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가지 패쓰의 출력 레벨을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반도체 공정 과정이나 설비를 개선할 필요 없이, 기본 소자로 이루어지 는 보상회로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1신호감지기;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2신호감지기;
    상기 제1신호감지기 및 상기 제2신호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감지 신호를 비교하여 제어전압을 생성하는 비교/연산증폭기;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제1가변감쇄기; 및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어전압을 전달받아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출력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제2가변감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은 제1저잡음증폭기, 제1RF필터, 제1혼합기, 제1전압제어증폭기, 제2전압제어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은 제2저잡음증폭기, 제2RF필터, 제2혼합기, 제3전압제어증폭기, 제4전압제어증폭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감지기는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제2전압제어증폭기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신호감지기는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제4전압제어증폭기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각 출력신호를 커플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감쇄기는 상기 제1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제1전압제어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가변감쇄기는 상기 제2패쓰용 RF신호처리단의 제3전압제어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각각의 출력신호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기는
    다이오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KR1020050085956A 2005-09-14 2005-09-14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KR100716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956A KR100716909B1 (ko) 2005-09-14 2005-09-14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956A KR100716909B1 (ko) 2005-09-14 2005-09-14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91A KR20070031191A (ko) 2007-03-19
KR100716909B1 true KR100716909B1 (ko) 2007-05-10

Family

ID=4163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956A KR100716909B1 (ko) 2005-09-14 2005-09-14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604B1 (ko) * 2007-11-14 2014-06-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135A (ko) * 2004-02-25 2005-08-3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성능 개선을위한 휴대형 알에프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6135A (ko) * 2004-02-25 2005-08-30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휴대폰의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성능 개선을위한 휴대형 알에프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191A (ko) 2007-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396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reducing interfering phase-noise in the mobile terminal
US20080137784A1 (en) Reducing noise during a gain change
US936909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power yield and linerization in radio frequency transmitters
JP2006506900A (ja) アナログ無線コンポーネントの障害の補償による仕様の緩和
KR100824606B1 (ko)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US20050221776A1 (en) Test signal generation circuit, and reception circuit
US5898906A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cellular radio transmitter device
KR100716909B1 (ko) 다이버서티 방식의 rf모듈
US7035610B2 (en) AGC circuit of receiver using several local oscillation frequencies
US20040085127A1 (en) Power amplifying method, power amplifi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7865135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satellite broadcasting and method thereof
KR100723151B1 (ko) 모바일 복합 디지탈 tv 수신 모듈
JP2004235758A (ja) ミリ波送受信システム、ミリ波送信装置、ミリ波受信装置、および、衛星放送受信アンテナ
JP4138639B2 (ja) マイクロ波帯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20090093268A1 (en)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820514B1 (ko) 위성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70050559A (ko) 인접주파수 대역과의 간섭이 최소화되는 rf모듈
US8107568B2 (en) Coupling channel noise canceling circuit
KR100503319B1 (ko) 피씨엠 방식의 차량용 라디오 방송 수신기
KR20080020051A (ko) Dmb 수신 시스템
KR200332436Y1 (ko) 기준신호를 이용한 동위상 제거 무선중계장치의 간섭신호제거회로
KR200315703Y1 (ko) 동위상 제거방식을 이용한 무선중계장치의 간섭신호제거회로
KR200332434Y1 (ko) 기준신호를 이용한 동위상 제거 무선중계장치의 간섭신호제거회로
KR20080015286A (ko) 디엠비신호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JP2003283940A (ja) Bsデジタルチューナ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