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022B1 -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022B1
KR100865022B1 KR1020070026865A KR20070026865A KR100865022B1 KR 100865022 B1 KR100865022 B1 KR 100865022B1 KR 1020070026865 A KR1020070026865 A KR 1020070026865A KR 20070026865 A KR20070026865 A KR 20070026865A KR 100865022 B1 KR100865022 B1 KR 10086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brown rice
cosmetic composition
whole wheat
yulm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5404A (ko
Inventor
장문식
이월자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이월자
장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월자, 장문식 filed Critical 이월자
Priority to KR1020070026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022B1/ko
Publication of KR20080085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5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61K36/8994Coix (Job's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로부터 추출한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 및 주름살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율무, 검은콩, 녹두, 화장료, 피부 노화

Description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 The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the skin aging }
본 발명은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부터 추출한 분획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내의 제기관을 기온 및 습도 변화와 자외선 등 외부 환경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받는 끊임없는 물리적, 화학적 자극은 피부 기능을 저하시키고 피부의 노화 현상을 촉진시키게 되는데 피부의 노화는 또한 피부 구성 성분의 전체적인 악화를 수반하여 결과적으로 피부가 쉽게 갈라지게 된다. 섬유 아세포의 감소 및 이 세포의 활성도 손상은 피부 노화 프로세스 중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러한 노화현상을 방지하고 보다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 각종 식물, 동물, 미생물로부터 얻은 생리활성물질들이 강화된 화장품을 사용함으로써 피부의 고유 기능을 유지시키고 피부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 노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 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 원료들은 그 효능이 미흡하거나 피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독성이 상대적으로 적고 자연친화적인 화장품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라디칼 제거 기능을 갖는 식물에 대한 탐색 과정을 거쳐 수종의 식물들이 피부 노화 및 주름살 억제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그 예로서 삼백초 추출물을 함유한 라디칼 제거제가 보고되었으며, 꿩의 비름속 식물의 추출물을 함유한 라디칼 제거제가 알려졌으며, 율피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가 알려졌고, 잠용유를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 등이 보고되어 있으나,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부터 추출한 분획물을 이용한 라디칼 제거에 의한 피부 노화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 노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천연 곡물 추출물을 이용한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여,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부터 추출한 분획물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부터 추출한 분획물을 함유하여 효능이 뛰어나며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율무(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는 열대 및 아열대가 원산으로 식물분류상으로는 옥수수에 가깝다. 인도 이외에 여러 지역에서 재배된다. 종자는 길이 6 내지 12 mm, 폭 6 mm 내외로 광택을 띤 암갈색의 단단한 껍질에 싸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꽃은 7 내지 9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이삭 끝에 길이 3cm 정도의 수꽃이삭이 달린다. 열매는 , 견과로서 10월에 익는다. 번식은 종자로 한다. 씨에는 단백질 8 내지 20 중량%, 지방질 2 내지 8 중량%, 당질 50 내지 78 중량%, 회분 0.5 내지 2.3 중량% 등으로 구성된다. 단백질을 이루고 있는 주요 아미노산은 로이신, 글루타민산, 타이로신, 티로신, 아르기닌, 페닐알라닌 등이며, 지방질을 이루고 있는 지방산에는 코익신산(시스-8-옥타데센산)이 있다. 당질의 대부분은 녹말이며 회분에는 인, 마그네슘, 칼슘, 철분, 알루미늄, 아연, 바륨, 구리, 몰리브덴, 니켈, 주석 등이 있다. 씨에는 코익세놀리드라는 지방족 불포화탄화수소의 에스테르 형태가 존재한다. 뿌리의 정유 성분으로 코익솔도 있다. 민간에서는 이뇨, 배농, 소염, 진통, 자양약으로서 부종, 피부 거침, 신체의 동통, 류마티스, 신경통 등에 응용되며, 특히 혹을 제거하는데 특효약으로 사용된다.
약리학적 실험을 통하여 소염작용, 혈중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암작용, 항지간작용, 진정 및 진통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피부 진정 효과와 항염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트러블을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검정콩(Glycine max Merr.)은 원산지는 만주를 중심으로 한 중국 일원이며 분포지역은 열대에서 온대 북부까지 이른다.
검정콩에는 100 중량% 기준 열량 378kcal, 수분 11.7 중량%, 단백질 34.3 중량%, 지질 18.1 중량%, 당질 26.5 중량%, 섬유소 4 중량%, 회분 5.4 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불포화지방산으로서 리놀레산과 비타민E, 칼륨 등이 풍부하며 아미노산, 카로틴, 비타민 B1, B2, B12 및 니코틴, 이소플라본, 다이드진, 제니스틴, 콜린, 엽산, 판토텐산, 레시틴, 사포닌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검정콩의 색소는 강한 노화 억제 효과와 돌연변이 억제작용,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및 항암효과가 있는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져 있다. 혈관의 벽에 쌓여있는 콜레스테롤을 없애주고, 항산화효과가 있는 사포닌은 불포화지방산과 함께 혈관을 깨끗하게 해주어 혈관의 노화 뿐만 아니라 암까지 예방할 수 있다.
검정콩에는 신진대사를 돕는 아스파르트산, 혈액을 정화하는 레시틴, 우레아제를 비롯한 각종 효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간장이나 신장의 활동을 강화시킨다. 간장이나 신장이 원할해지면 혈액이 깨끗해지고 혈관도 튼튼해지기 때문에 기미나 여드름이 없어져 피부가 고와진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녹두(Semen Phaseoli Radiati)는 인도에 분포하는 야생종에서 유래되었으며 중국, 일본, 우리 나라에서의 재배 역사도 오랜 작물의 하나이다. 녹두는 팥보다도 만파에 적응하여 윤재에 좋고 박토에서도 적응성이 강하다. 녹두의 성분은 팥과 비슷하나 당질에 차이가 있어 펜토산, 덱스트린, 갈락탄, 헤미 셀룰로오스가 많고 녹두의 점성에 관계가 있다. 당질의 함량은 45 중량%이고 그 대부분은 전분이지만 단백질도 21 중량% 정도 함유하고 있어 영양가도 높다. 그 밖에 사티오멤 이라는 성분이 밝혀졌고, 단백질, 인지질, 비타민, 탄수화물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현미(Oryza sativa L.N)는 밀, 옥수수와 더불어 세계 3대 곡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재배되는 벼의 품종은 아프리카 일부에서 생산되는 Oryzae glaberrima Steud 와 아시아권의 Oryzae sativa L 로 대별된다.
Oryzae sativa L 은 다시 우리가 먹고 있는 자포니카형과 남방 계열의 인디카형, 인도네시아의 자바니카형으로 나누어진다.
쌀의 주성분은 전분 70 내지 80 중량%, 덱스트린 1 중량%, 당분 0.5 중량%, 펜토산 1 중량%, 조섬유 0.3 중량%를 함유한다. 쌀의 주요 단백질은 80 중량% 수준으로 오리제닌(쌀 글루텔린)으로 존재하며, 글로불린, 알부민, 프롤라민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다. 지방 함량은 현미에 약 3 중량%의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산 조성은 올레인산 45 중량%, 리놀레산 30 중량%, 팔미틴산 20 중량%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기질은 회 분 함량이 현미의 경우 1.3 중량% 존재하며, 인, 칼륨, 칼슘 순으로 가장 많이 들어 있다. 현미의 경우 피부의 유수분 밸런스 조절과 클린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통밀(Tritium aestivum N)은 아프니카에서 카스피해 남안 지역이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며 인류가 재배한 가장 오래된 작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입질에 따라 연질밀과 경질밀로 구별되는데 일반적으로 경질밀은 글루텐 함 량이 높고 입질이 치밀한 유리질로 되어 있고 연질밀은 글루텐 함량이 낮고 전분이 많은 입질이 조잡한 분상질로 되어 있다. 밀은 품종이 많지만 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하고 있는 것은 보통밀로서 파종시기에 따라 겨울밀과 봄밀로 나눈다. 밀의 단백질은 7 내지 18 중량% 함유되어 있으며,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으로 전체 단백질의 각각 40 중량%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타 알부민, 글로불린 등도 들어 있다. 탄수화물 성분으로서는 60 내지 70 중량%가 전분으로 구성되며, 아밀로오스 함량은 약 25 중량%이다. 그밖에 소량의 설탕, 라피노스, 포도당, 과당 등의 당류와 펜토산, 헤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등도 들어 있다. 전분 입자는 냉수에는 녹지 않지만 끓는물에는 입자가 팽윤하고 더욱 가열하면 파열된다.
지방은 2 중량% 정도 존재하며 과피와 호분층에 30 중량%, 배아에 50 중량%, 배유에 20 중량%의 비율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옥수수(Zea mays L.)는 북아메리카에서는 corn, 그밖의 지역에서는 maize라고 불리우며 멕시코 또는 온두라스가 원산지이고 컬럼부스가 세계에 전파하였으며 대부분 사료로 사용되고 약 10%가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낟알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꽃술은 약용으로 사용된다. 열매에는 많은 녹말과 당질, 단백질, 지방질, 여러 종류의 아미노산과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다,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다. 옥수수눈에는 약 50 중량%의 기름이 있는데 지방산의 주성분은 리놀레산으로서 55 중량%, 올레인산으로서 중량 30%, 팔미틴산으로서 중량 13%, 스테아린산으로서 중량 2% 등이 들어 있다. 또한 기름에는 다량의 스테롤과 토코페롤이 들어 있으며 그밖에 포스파티딜콜린 등의 인지질 함량이 비교적 높 으며 당지방질 등이 들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를 이용하여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자연 건조하였다. 그리고,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즉 각각의 원료에 대해 1 ~ 30 중량% 로서 분쇄하여 건조 중량에 대하여 10배의 에탄올로 6 내지 48시간 동안 1 내지 3회 반복 추출한다. 여기서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하여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을 얻는다.
상기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은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은 추출공정의 수행 전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 성분을 제거하여 보다 정제된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추출 공정에서는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를 잘게 파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 유기용매는 시료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배 부피 비율로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효성분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장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추출 분획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를 함께 분쇄하여 에탄올로 12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다. 여기서 얻어진 탈지 성분을 24 내지 48시간 볼 밀링하여 입자크기가 10 내지 50㎛ 정도가 되도록 미세하게 분쇄한 후 사용한다.
여기에,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의 분쇄물을 증류수를 가하여 6 내지 24시간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증류하여 소량의 물 만 남긴 후, 에탄올을 가하여 침전을 유도시키고 원심분리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시킨다. 여기서 얻어진 건조 시료를 15% TCA(트리클로로아세트산)를 첨가하여 단백질을 제거하고 에탄올로 침전 후 동결 건조하여 물 추출 분획물을 얻는다.
상기 물추출 분획물에는 탈지 성분을 제거한 형태로서 주로 단당류 및 다당류를 다수 포함한 조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부터 추출된 분획물은 상기 제조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되어 혼합 추출한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 또는 물 추출 분획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에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대표적인 적용 사례로서 스킨과 로션 조성물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의 제조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의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를 재료로 하여 각각 동일한 질량비로서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자연 건조하였다.
그 다음 단계로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를 분쇄하여 건조 중량 10g에 대하여 10배의 에탄올로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을 여과하여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을 0.1g을 얻었다.
실시예 2 :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물 추출 분획물의 제조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물 추출 분획물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를 재료로 하여 각각 동일한 질량비로서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자연 건조하였다.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을 함께 분쇄 하여 에탄올로 24시간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거한 후 건조시켰다. 여기서 얻어진 탈지 성분을 48시간 볼 밀링하여 입자크기가 10 내지 50㎛ 정도가 되도록 미세하게 분쇄한 후 사용하였다.
여기에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분쇄물에 증류수를 가하여 6시간 3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증류하여 소량의 물만 남긴 후, 에탄올을 가하여 침전을 유도시키고 원심분리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시켰다. 여기서 얻어진 건조 시료를 15% TCA(트리클로로아세트산)를 첨가하여 단백질을 제거하고 에탄올로 침전 후 동결 건조하여 물 추출 분획물을 얻었다.
실시예 3 : 본 발명에 따른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스킨 로션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율로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알콜 부분은 곡정에서 생산하여 78℃ 증류한 알콜에 M-P, tween 20, NP-12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하였고, 정제수 부분은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1,3-BG, DC-193, 히아루론산, 알란토인, 구연산, 구여산소다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을 혼합하여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부분 에탄올 7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tween-20 0.2
노닐페닐에테르-12 0.2
정제수부분 정제수 90.51
글리세린 0.1
1,3-부틸렌글리콜 0.2
알라닌 193 0.1
히아루론산 0.5
알란토인 0.05
구연산 0.01
구연산소다 0.03
생약제부분 곡류혼합물의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 첨가부분 1.0
합계 100
실시예 4 : 본 발명에 따른 미백 효능이 뛰어나며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스킨 로션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비율로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알콜 부분은 곡정에서 생산하여 78℃ 증류한 알콜에 M-P, tween 20, NP-12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하였고, 정제수 부분은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1,3-BG, DC-193, 히아루론산, 알란토인, 구연산, 구여산소다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물 추출 분획물을 혼합하여 스킨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부분 에탄올 7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tween-20 0.2
노닐페닐에테르-12 0.2
정제수부분 정제수 90.51
글리세린 0.1
1,3-부틸렌글리콜 0.2
알라닌 193 0.1
히아루론산 0.5
알란토인 0.05
구연산 0.01
구연산소다 0.03
생약제부분 곡류 혼합물의 물 추출 분획물 첨가부분 1.0
합계 100
실시예 5 : 본 발명에 따른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밀크 로션의 제조
알콜 부분은 곡정에서 생산하여 78℃ 증류한 알콜에 스테아린산, 세탄올,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아라셀-60, tween-20,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파라벤, 알라닌 200F/100CS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하였고, 정제수 부분은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트리에탄올아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을 혼합하여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부분 스테아린산 2.1
세탄올 1.3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렌 0.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5
아라셀-60 0.85
tween-20 0.1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0.5
프로필파라벤 0.1
알라닌 200F/100CS 0.1
정제수부분 정제수 74.15
트리에탄올아민 0.7
프로필렌글리콜 7.0
글리세린 3.0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생약제 곡류 혼합물의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 1.0
합계 100
실시예 6 : 본 발명에 따른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한 밀크 로션의 제조
알콜 부분은 곡정에서 생산하여 78℃ 증류한 알콜에 스테아린산, 세탄올, 유동파라핀, 스쿠알렌,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아라셀-60, tween-20,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프로필파라벤, 알라닌 200F/100CS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하였고, 정제수 부분은 멸균 처리된 정제수에 글리세린, 트리에탄올아민, 프로필렌글리콜,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의 순서대로 용해시켜 제조한 다음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물 추출 분획물을 혼합하여 밀크 로션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알콜부분 스테아린산 2.1
세탄올 1.3
유동파라핀 7.0
스쿠알렌 0.5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1.0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0.5
아라셀-60 0.85
tween-20 0.1
이소스테아릴-이소스테아레이트 0.5
프로필파라벤 0.1
알라닌 200F/100CS 0.1
정제수부분 정제수 74.15
트리에탄올아민 0.7
프로필렌글리콜 7.0
글리세린 3.0
메틸파라히드록시벤조익산 0.1
생약제 곡류 혼합물의 물 추출 분획물 1.0
합계 100
실험예 1 : 본 발명에 따른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 추출물의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세포 사멸의 방어 효과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유도되는 세포 사멸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 추출물의 방어 효과를 평가한 것으로 활성산소종에 의한 세포 자극에 대한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먼저 NIH3T3 세포를 65mm 페트리디쉬에 1×106/ml 농도로 5ml씩 분주하여 세포의 부착을 유도한 후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추출물을 세포 사멸이 유도되지 않는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과산화수소를 0, 1, 2, 5, 10mM로 각각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세포 사멸에 대한 방어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하 세포 생존율 평가는 설퍼로다민 B 정량법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추출물은 각각 1.2 중량%, 1.5중량%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세포사멸 방어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하여 활성산소종에 대하여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추출물이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과산화수소(mM) 0 1 2 5 10
대조군 100% 50% 30% 0% 0%
실시예 1 100% 66% 47% 19% 0%
실시예 2 100% 65% 45% 12% 0%
% : 세포 생존율
실험예 2 : 본 발명에 따른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추출물의 자외선 B에 대한 세포 사멸 방어 효과
피부 표피세포를 24 웰 플레이트에 1×106/ml 농도로 분주하여 세포의 안정화를 유도한 후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추출물을 세포 사멸이 유도되지 않는 농도로 처리하고, 다시 자외선 B를 30mJ/cm로 조사한 후 24시간 배양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이하 세포 생존율 평가는 설퍼로다민 B 정량법으로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서 얻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추출물은 피부 표피세포에 대한 우수한 세포 생존율을 보여 광노화에 대한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외선 B 조사 세포손상율(%)
대조군 50
실시예 1 15
실시예 2 17
이상 상기 실시예와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를 이용하여 천연 유효성분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기용매 추출 방법 내지 물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기용매 추출 분획물 내지 물 추출 분획물을 함유함으로써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8)

  1.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에서 에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에서 물로 추출한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에서 에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거나, 물로 추출한 경우에 있어서 각 추출 분획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 중량%가 되게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에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분획물은 추출공정의 수행 전후에 디에틸에테르 가용 성분을 제거하여 보다 정제된 유기용매 추출물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물 추출 분획물은 에탄올로 12시간 이상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거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
    여기서 얻어진 탈지 성분을 24 내지 48시간 볼 밀링하여 입자크기가 10 내지 50㎛ 정도가 되도록 미세하게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물을 증류수를 가하여 6 내지 24시간 동안 2 내지 4회 반복 추출한 후 여과하고, 감압 증류하여 소량의 물만 남긴 후, 에탄올을 가하여 침전을 유도시키고 원심분리 후 침전물을 동결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얻어진 건조 시료를 15% 트리클로로아세트산을 첨가하여 단백질을 제거하고 에탄올로 침전 후 동결 건조시키는 단계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율무, 검은콩, 녹두, 현미, 통밀, 옥수수로 구성된 곡류 혼합물의 에탄올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의 유기용매 또는 물 추출 분획물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바디로션,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중에서 선택된 제형에 첨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삭제
KR1020070026865A 2007-03-20 2007-03-20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865A KR100865022B1 (ko) 2007-03-20 2007-03-20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865A KR100865022B1 (ko) 2007-03-20 2007-03-20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404A KR20080085404A (ko) 2008-09-24
KR100865022B1 true KR100865022B1 (ko) 2008-10-23

Family

ID=4002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865A KR100865022B1 (ko) 2007-03-20 2007-03-20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230B1 (ko) 2017-09-25 2019-11-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푸르푸로갈린을 포함하는, 활성산소종, 자외선 또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485B1 (ko) 2017-09-25 2019-11-0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3,4-디-카페오일퀴닌산을 포함하는, 활성산소종, 자외선 또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4263B1 (ko) 2018-03-13 2019-12-1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진세노사이드 Rb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4275B1 (ko) 2018-11-07 2020-05-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1000B1 (ko) 2018-12-10 2021-09-15 (의료)길의료재단 5-하이드록시메틸-2-푸르알데히드 비스(5-포르밀푸르푸릴)아세탈을 포함하는 만성 폐쇄성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271934B1 (ko) 2019-05-07 2021-07-0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시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3688B1 (ko) 2021-09-07 2021-12-02 에스엘코스메틱 주식회사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피부 보호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940A (ko) * 2001-07-27 2003-02-06 김영자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7441A (ko) * 2003-11-17 2005-05-20 조영국 씨앗혼합오일의 피부외용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940A (ko) * 2001-07-27 2003-02-06 김영자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47441A (ko) * 2003-11-17 2005-05-20 조영국 씨앗혼합오일의 피부외용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5404A (ko) 2008-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eedy et al. Nuts and seeds in health and disease prevention
KR100865022B1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15265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751398B1 (ko) 당귀, 산수유, 녹용, 홍삼, 숙지황, 침향 및 벌꿀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189989B1 (ko) 문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80124416A1 (en) Therapeutic composition from goji (lycium barbarum l.), methods of making and using
CN108477609A (zh) 一种牛蒡减肥代餐棒及其制备方法
KR20190116837A (ko) 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및 탄력 개선용 조성물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2358623B1 (ko)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식품 조성물
Kaur et al. Nutraceutical Potential and Processing Aspects of Moringa oleifera as a Superfood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37136B1 (ko) 호박 가수분해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강황 추출물 및 카카오닙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2481661B1 (ko) 비건엑소좀, 비건펩타이드, 비건히알루론산 및 비건세라마이드를 함유한 피부 장벽개선, 보습에 효과적인 화장료 조성물
KR100948281B1 (ko) 식물생약제를 이용한 추출물로된 다이어트용 식품의 제조방법
KR101829810B1 (ko) 청보리잎과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06552B1 (ko) 율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암 치료용 조성물과 그 추출방법
KR101768612B1 (ko) 간기능 개선 효과를 갖는 식품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차의 제조방법
KR101793230B1 (ko) 미강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Edo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iger Nut (Cyperus esculentus 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