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778B1 -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778B1
KR100862778B1 KR1020070070415A KR20070070415A KR100862778B1 KR 100862778 B1 KR100862778 B1 KR 100862778B1 KR 1020070070415 A KR1020070070415 A KR 1020070070415A KR 20070070415 A KR20070070415 A KR 20070070415A KR 100862778 B1 KR100862778 B1 KR 10086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roll
speed
pinch
mandre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용덕
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07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7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34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 B21C47/345Feeding or guiding devic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articular type of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tension or advance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48Tension control; Compres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8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핀치 롤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량에 의해 권취 중에 발생하는 텔레스코프 (telescope)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핀치 롤(pinch roll)에 권취된 코일이 느슨해지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는, 다듬질 연속 압연기와 멘드렐 사이에 제1 핀치 롤이 스트립을 통하여 연결된 열간압연 권취설비에 있어서, 상기 다듬질 연속 압연기와 제1 핀치 롤(the first pinch roll) 사이에 스트립을 통하여 연결된 제2 핀치 롤(the second pinch roll); 상기 제1 핀치 롤과 제2 핀치 롤 사이의 초기 장력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 각각의 좌우의 탄성 변형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에 대한 속도 제어 비율을 결정하는 서버; 및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 사이의 장력을 검출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열간압연, 권취설비, 다듬질 연속 압연기, 멘드렐, 핀치 롤

Description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Hot rolling winding apparatus control 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핀치 롤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량에 의해 권취 중에 발생하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핀치 롤(pinch roll)에 권취된 코일이 느슨해지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스코프는 연간압연 권취설비에서 권취 코일 측면이 들쑥 날쑥이 되어 감긴 상태를 말하는데, 열간압연 권취설비를 통하여 이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열간압연 권취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간압연 권취설비는 다듬질 연속 압연기(10), 멘드렐(20) 및 핀치 롤(30)을 포함한다.
다듬질 연속 압연기(10)는 열간압연 소재를 원하는 제품으로 만들고, 멘드렐 (20)은 최종 제품인 스트립(strip, 40)을 둥글게 감는다. 그리고, 핀치 롤(30)은 스트립 (40)의 선단부를 멘드렐(20)로 유도하고, 스트립(40)이 멘드렐(20)에 감긴 후부터 권취가 종료될 때까지 후방의 장력을 형성시킨다.
도 2는 종래의 열간압연 권취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롤(30)은 스트립(40)이 멘드렐(20)에 감기도록 스트립(40)의 방향을 아래쪽으로 기울인다. 스트립(40)의 선단부가 멘드렐(20)에 진입한 이후에는 동그랗게 말린 스트립(40)의 층 간에 공극이 발생하면 이송 도중에 스트립(40)의 층 간의 마찰로 인하여 표면에 긁힌 흠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핀치 롤(30)은 회전 속도를 적절히 제어하여 후방 장력이 형성되게 한다.
도 3은 종래의 다듬질 연속 압연기의 판 빠짐 시에 핀치 롤의 판이 겹치는 현상과 코일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열간압연 권취설비의 사시도이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치 롤(30)은 좌우에서 롤 갭(roll gap)을 유지하고,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스트립(40)을 잡는다. 그런데, 스트립(40)을 잡기 위해 압력을 가하게 되면 핀치 롤(30) 좌우의 탄성 변형량이 다르게 되어 핀치 롤(30) 좌우의 롤 갭의 차이를 유발시킨다.
이로 인하여, 핀치 롤(30)을 통과한 스트립(30)이 한 쪽으로 밀리게 하는 힘이 작용하게 되어 멘드렐(20) 내부에서 스트립(40)의 텔레스코프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핀치 롤(30)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가 없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코일 권취시 스트립(40)이 느슨하지 않게 코일이 권취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핀치 롤(30)의 사용 압력을 높여 주어야 하나 사용 압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핀치 롤(30)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차이가 크게 된다. 결과적으로, 롤 갭의 차이가 커서 스트립(40)의 텔레스코프를 더욱 크게 발생시켜 권취된 코일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립(40)이 다듬질 연속 압연기(10)의 최종 스탠드(stand)를 이탈하는 경우에, 핀치 롤(30)이 핀치 롤(30)과 멘드렐(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장력을 모두 흡수하지 못하면, 다듬질 연속 압연기(10)와 핀치 롤(30) 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장력이 갑자기 없어지게 되면서 고무줄을 잡고 있다가 놓아버리는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이때, 스트립(40)이 순간적으로 핀치 롤(30)의 입구로 당겨져 핀치 롤(30)의 입구에서 루프가 발생되는데, 심하면 스트립(40)이 겹쳐 2중판이 발생되기까지 한다. 특히, 다듬질 연속 압연기(10)와 핀치 롤(30)사이에 형성되어 있던 장력이 갑자기 없어지게 되면 핀치 롤(12)의 회전 속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핀치 롤(12)과 멘드렐(11) 사이의 스트립(40)은 장력이 전혀 형성되지 않아 스트립(40)의 층 간에 공극이 커져 코일 이송 또는 후 공정 작업 도중에 층 간 마찰에 의해 표면에 긁힌 흠이 발생하여 품질 불량을 유발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은 핀치 롤(30)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가 크게 되면 더욱 심화되어 심각한 품질 불량을 발생시킨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핀치 롤(30) 좌우의 탄성 변형량 편차를 적게 하기 위해 설비 관리를 더 철저히 하기도 하고, 핀치 롤(30)의 사용 압력을 낮추어 오고 있다.
그러나, 정밀한 설비관리를 위해서는 부품 교체를 자주 해야하고, 측정을 자주 해야 하는 부담이 생기게 된다. 핀치 롤(30)의 사용 압력을 낮추면 핀치 롤(30)이 장력을 모두 흡수하지 못하여 이중의 판이 형성되거나 텔레스코프를 발생시키고, 스트립(40)의 층 간에 공극이 크게 생겨 느슨한 코일을 만들게 되어 품질 불량 을 유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핀치 롤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량에 의해 권취 중에 발생하는 텔레스코프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핀치 롤에 권취된 코일이 느슨해지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듬질 연속 압연기와 멘드렐 사이에 제1 핀치 롤이 스트립을 통하여 연결된 열간압연 권취설비에 있어서, 상기 다듬질 연속 압연기와 제1 핀치 롤 사이에 스트립을 통하여 연결된 제2 핀치 롤; 상기 제1 핀치 롤과 제2 핀치 롤 사이의 초기 장력을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 각각의 좌우의 탄성 변형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에 대한 속도 제어 비율을 결정하는 서버; 및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 사이의 장력을 검출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핀치 롤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량에 의해 권취 중에 발생하는 텔레스코프 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핀치 롤에 권취된 코일이 느슨해지는 것을 저감시켜 스트립에 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부품을 자주 교체해야할 필요가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측정을 자주 해야할 필요도 없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는 다듬질 연속 압연기(100), 멘드렐 (200), 제1 핀치 롤(300), 제2 핀치 롤(500), 서버(600) 및 제어기(700)를 포함한다.
제1 핀치 롤(300)은 다듬질 연속 압연기(100)와 멘드렐(200) 사이에 스트립 (4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제2 핀치 롤(500)은 다듬질 연속 압연기(100)와 제1 핀치 롤(300) 사이에 스트립(400)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다듬질 연속 압연기(100)는 열간압연 소재를 원하는 제품으로 만들고, 멘드렐(200)은 최종 제품인 스트립(400)을 둥글게 감는다.
그리고, 서버(600)는 제1 핀치 롤(300)과 제2 핀치 롤(500) 사이의 초기 장력을 설정하고,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 각각의 좌우의 탄성 변형량을 측정하여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에 대한 속도 제어 비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에 대한 속도 제어 비율은,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 각각의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량에 대한 편차 비율이다.
또한, 제어기(700)는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 사이의 장력을 검출하고, 서버(600)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의 속도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기(700)는 스트립(400)의 미단부가 다듬 질 연속 압연기(100)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서버(600)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의 속도를 일정한 속도 이하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제어기(700)는 멘드렐(200)과 제1 핀치 롤(300) 사이의 장력이 일정한 한도 이하로 하락하거나 멘드렐(200)과 제1 핀치 롤(300) 사이의 속도 편차량이 일정한 한도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에, 서버(600)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제1 핀치 롤(300)의 속도를 일정한 속도 이하로 감속시킨다. 또한, 제어기(700)는 제1 핀치 롤(300)과 제2 핀치 롤(500) 사이의 장력이 일정한 한도 이하로 하락하거나 제1 핀치 롤(300)과 제2 핀치 롤(500) 사이의 속도 편차량이 일정한 한도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에, 서버(600)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제2 핀치 롤(700)의 속도를 일정한 속도 이하로 감속시킨다.
상기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핀치 롤(300) 전면에는 제2 핀치 롤(500)을 설치하여 제1 핀치 롤(300)과 멘드렐(200) 사이의 장력이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600)에서는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를 측정하는데, 제1 핀치 롤(300)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가 제2 핀치 롤(500)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보다 크면 제1 핀치 롤(300)의 압력 설정 목표치를 낮추고, 제2 핀치 롤(500)의 압력 설정 목표치를 높인다. 이와는 반대로, 제2 핀치 롤(500)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가 제1 핀치 롤(300)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보다 크면 제2 핀치 롤(500)의 압력 설정 목표치를 낮추고, 제2 핀치 롤(500)의 압력 설정 목표치를 높인다.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는 제1 핀치 롤(300)과 제2 핀치 롤(500)의 장력 목표치 배분식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1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2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3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4
여기서,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5
: 제1 핀치 롤의 장력 목표치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6
: 제2 핀치 롤의 장력 목표치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7
: 제1 핀치 롤의 좌우 탄성 변형량의 차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8
: 제2 핀치 롤의 좌우 탄성 변형량의 차
Figure 112007051041899-pat00009
: 목표 장력
Figure 112007051041899-pat00010
: 제1 핀치 롤의 목표 압력
Figure 112007051041899-pat00011
: 제2 핀치 롤의 목표 압력
Figure 112007051041899-pat00012
: 제1 핀치 롤의 마찰 계수
Figure 112007051041899-pat00013
: 제2 핀치 롤의 마찰 계수
그리고, 스트립(400)의 미단부가 다듬질 연속 압연기(100)의 최종 스탠드를 이탈하는 경우에, 스트립(400)의 장력이 풀리면서 제1 핀치롤(300) 및 제2 핀치 롤 (500)의 속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제1 핀치롤(300) 및 제2 핀치 롤(500)의 속도 상승량만큼 제1 핀치 롤(300)과 제2 핀치 롤(500)의 속도 제어량을 미리 낮추어 제1 핀치 롤(300)의 속도 상승으로 인하여 제1 핀치 롤(300)과 멘드렐(200) 사이의 장력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제1 핀치 롤(300)의 코일이 느슨해지게 되는 현상을 제거한다. 특히, 스트립(400)의 미단부가 느슨해지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제1 핀치 롤(300) 및 제2 핀치 롤(500)의 속도를 하강시키는 것은 스트립(400)이 다듬질 연속 압연기(100)의 최종 스탠드를 이탈하는 시점에는 서버(600)에서 초기치를 설정하여 계산하고, 이후에는 제어기(700)에서 장력의 차이를 계산하여 제1 핀치 롤 (300) 및 제2 핀치 롤(500)의 속도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 (700)는 제1 핀치 롤 (300) 및 제2 핀치 롤(500)에 연결된 모터(도시되지 않음)를 구동시킴으로써, 제1 핀치 롤 (300) 및 제2 핀치 롤(500)의 속도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간압연 권취설비에서의 제1 핀치 롤 및 제2 핀치 롤의 시간에 따른 속도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간압연 권취설비에서 제1 핀치 롤 및 제2 핀치 롤의 시간에 따른 속도 그래프의 횡축은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은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횡축은 0.05 초당 1 포인트(point)로 표시하였고, 종축은 분당 거리[m/분]로 표시하였다.
대략 1650 포인트에서 1720 포인트까지는 제1 핀치 롤과 제2 핀치 롤의 그래프의 기울기가 비슷하나, 대략 1840 포인트에서 1870까지는 제1 핀치 롤과 제2 핀치 롤의 그래프의 기울기의 차이가 심하다. 이와 같은 현상은 권취 코일 측면이 들쑥 날쑥이 되어 감긴 텔레스코프 현상을 말하는데, 본 발명의 제어장치의 구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에 텔레스코프 현상이 없어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열간압연 권취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열간압연 권취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듬질 연속 압연기의 판 빠짐 시에 핀치 롤의 판이 겹치는 현상과 코일이 느슨해지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열간압연 권취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열간압연 권취설비에서의 제1 핀치 롤 및 제2 핀치 롤의 시간에 따른 속도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다듬질 연속 압연기 200 : 멘드렐
300 : 제1 핀치 롤 400 : 스트립
500 : 제2 핀치 롤 600 : 서버
700 : 제어기

Claims (5)

  1. 스트립을 통하여 제1 핀치 롤이 다듬질 연속 압연기와 멘드렐 사이에 연결된 열간압연 권취설비에 있어서,
    스트립을 통하여 상기 다듬질 연속 압연기와 제1 핀치 롤 사이에 연결된 제2 핀치 롤;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 각각의 좌우의 탄성 변형량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좌우의 탄성 변형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에 대한 속도 제어 비율을 결정하는 서버; 및
    상기 멘드렐과 제1 핀치 롤 사이의 장력 및 속도 편차량과,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 사이의 장력 및 속도 편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장력 및 속도 편차량을 기초로 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는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핀치 롤에 대한 속도 제어 비율은, 제1 및 제2 핀치 롤 각각의 좌우의 탄성 변형량의 편차량에 대한 편차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스트립의 미단부가 다듬질 연속 압연기로부터 이탈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제1 및 제2 핀치 롤의 속도를 일정한 속도 이하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멘드렐과 상기 제1 핀치 롤 사이의 장력이 일정한 한도 이하로 하락하거나 상기 멘드렐과 상기 제1 핀치 롤 사이의 속도 편차량이 일정한 한도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제1 핀치 롤의 속도를 일정한 속도 이하로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1 핀치 롤과 제2 핀치 롤 사이의 장력이 일정한 한도 이하로 하락하거나 상기 제1 핀치 롤과 제2 핀치 롤 사이의 속도 편차량이 일정한 한도 이하로 하락하는 경우에, 상기 서버로부터 속도 제어 명령을 받아 제2 핀치 롤의 속도를 일정한 속도 이하로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KR1020070070415A 2007-07-13 2007-07-13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KR100862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415A KR100862778B1 (ko) 2007-07-13 2007-07-13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415A KR100862778B1 (ko) 2007-07-13 2007-07-13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778B1 true KR100862778B1 (ko) 2008-10-13

Family

ID=4015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415A KR100862778B1 (ko) 2007-07-13 2007-07-13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7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62B1 (ko) 2011-02-17 2011-05-27 한국엠테크(주) 압연장치의 텐션 조절장치
KR20170012641A (ko) 2015-07-21 2017-02-03 주식회사 포스코 핀치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설비
KR20180072399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권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649A (ja) * 1996-01-18 1997-07-31 Nippon Steel Corp ロール状回転体の摩耗劣化診断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6649A (ja) * 1996-01-18 1997-07-31 Nippon Steel Corp ロール状回転体の摩耗劣化診断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62B1 (ko) 2011-02-17 2011-05-27 한국엠테크(주) 압연장치의 텐션 조절장치
KR20170012641A (ko) 2015-07-21 2017-02-03 주식회사 포스코 핀치롤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트립 권취 설비
KR20180072399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권취 장치
KR101940870B1 (ko) * 2016-12-21 2019-01-21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권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0873C (en) Manufac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hot-rolled steel strip
EP2580006B1 (en) Method and device to control the section sizes of a rolled product
KR20020093862A (ko) 코일링 장치내의 열간 압연 스트립의 위치 정정 권선 방법및 장치
KR101767783B1 (ko) 압연 소재의 평탄 유지 장치 및 방법
KR100862778B1 (ko) 열간압연 권취설비 제어장치
JP2006263779A (ja) 熱間圧延設備のサイドガイド制御方法
JP7020445B2 (ja) 巻取装置の尾端停止位置制御方法、尾端停止位置制御装置及び巻取装置
KR101443082B1 (ko) 강판 두께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3690282B2 (ja) 熱間圧延におけるキャンバおよびウエッジの防止方法
JP2003136108A (ja) 熱間圧延システム及びランナウトテーブル通板方法並びに圧延板の製造方法
KR101800317B1 (ko) 압연코일의 형상교정장치
JP6912026B1 (ja) 圧延機の形状制御方法及び形状制御装置
JP6354068B2 (ja) 熱間圧延ラインおよび熱間圧延ラインの制御方法
JP4712580B2 (ja) リバース圧延における蛇行制御方法
KR101665814B1 (ko) 연연속 압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53621B1 (ko) 연속 열간 사상압연기의 사상압연방법
JP5278141B2 (ja) 板圧延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85643B2 (ja) 多段圧延機における板厚制御方法及び板厚制御装置
JP5376330B2 (ja) 熱延板の形状制御方法、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7118031A (ja) 熱間圧延ラインにおけるコイルボックスのピンチロールの押力調整方法、シートバーの蛇行防止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た熱延金属板の製造方法
KR20190113077A (ko) 강판의 폭 제어를 위한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S6117324A (ja) ホツトストリツプミル巻取設備のテレスコ−プ防止装置
JP3418740B2 (ja) スキンパスミルにおける蛇行防止方法
JPH08103810A (ja) 蛇行防止機能を有する熱間連続仕上圧延機
KR20200064800A (ko) 스트립의 엣지크랙 저감수단을 구비하는 가역식 냉간 압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트립의 엣지크랙 저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