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669B1 - 셔터 - Google Patents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669B1
KR100862669B1 KR1020020049370A KR20020049370A KR100862669B1 KR 100862669 B1 KR100862669 B1 KR 100862669B1 KR 1020020049370 A KR1020020049370 A KR 1020020049370A KR 20020049370 A KR20020049370 A KR 20020049370A KR 100862669 B1 KR100862669 B1 KR 10086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inge member
groove
shutter
end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7368A (ko
Inventor
모치즈키마사노리
모치즈키겐지
Original Assignee
아이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9/582Means to increase gliss, light, sound or thermal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77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 E06B2009/1588Slat end pieces used for guiding shutter inserted in engaging section of adjacent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 E06B2009/587Mounting of guiding devices to supporting structure

Abstract

벨트판형상의 복수의 플레이트(1) 상호를 힌지부재(2)에 의해 굴곡 자유롭게 연결한 셔터용 개폐판(10)과,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가이드홈(40)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레일(4)로 구성되는 셔터에 관해서, 상기 가이드홈(40)의 최소곡률의 부분보다도 곡률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만 굴곡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1) 상호를 연결하는 힌지부재(2)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미끄럼이동 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4)의 곡률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상기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플레이트, 힌지부재, 측면 홈, 가이드레일, 셔터용 개폐판, 가이드홈, 끝 가장자리부, 기둥형상체, 역동 저지수단, 순동 저지수단.

Description

셔터{SHUT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셔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셔터에 사용되는 셔터용 개폐판의 단면도,
도 3은 힌지부재와 플레이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가이드레일내에서 셔터용 개폐판의 미끄럼이동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5는 제 2의 실시형태로 셔터에 사용되는 힌지부재와 플레이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제 3의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힌지부재와 플레이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제 4의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힌지부재와 플레이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제 5의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힌지부재와 플레이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제 6의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힌지부재와 플레이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제 6의 실시형태의 셔터용 개폐판이 굴곡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 도,
도 11은 제 7의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셔터용 개폐판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셔터용 개폐판의 각 부재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A-A 단면도,
도 14는 종래예에 사용되는 힌지부재와 플레이트의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도 15는 종래예의 셔터용 개폐판의 미끄럼이동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본 발명은 셔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셔터용 개폐판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상호를 굴곡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벨트판형상의 플레이트를 힌지부재에 의해 굴곡 자유롭게 연결시킨 셔터용 개폐판의 일예로서, 도 14에 도시되는 구성의 것이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61-137792A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예의 셔터용 개폐판(10)은, 벨트판형상의 플레이트(1)의 장변측의 양 끝 가장자리를 따라서 원통부(17)를 일체적으로 연설(連設:연달아 설치)시킨 슬랫(slat)(18)과, 상기 원통부(17)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외부 끼움하는 유지부(28)와 상기 유지부(28) 상호간에 설치된 보강부재(29)로 이루어지는 힌지부재(2)로 구성되어 있고, 한쌍의 가이드레일(4)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2)의 유지부(28)는,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원통부(17)를 빠짐방지상태 또한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릿이 형성된 단면이 C자형상이고, 도 14중의 점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릿의 개방끝 가장자리 상호간의 범위내에서 상기 원통부(17)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도록 외부 끼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이 예의 셔터용 개폐판(10)을,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만곡부(R)를 갖는 가이드레일(4)의 가이드홈(40)에 유지시켜서 미끄럼이동시키면,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상기 가이드레일(4)의 만곡부(R)의 형상을 따라서 자동적으로 굴곡되면서 가이드홈(40)을 미끄럼이동한다. 또,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비사용시에는 상기 가이드레일(4)의 상방에 배열설치하게 한 원통형 드럼 등에 감아서 검팩트하게 수납시킬 수도 있다.
그렇지만,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상기 가이드레일(4)이나 감기 드럼을 따라서 용이하게 굴곡 또는 직선형상으로 신장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을 미끄럼이동 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1) 상호가 불필요하게 굴곡되어 상기 가이드홈(40)에 걸리고 상기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 가이드레일(4)이 만곡부(R)를 갖는 구성의 것에 있어서 현저하고,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셔터용 개폐판이 무질서하게 굴곡되므로, 상기 플레이트(1) 또는 힌지부재(2)가 상기 만곡부(R)의 가이드홈(40)에 걸려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을 미끄럼이동 할 수 없는 상태로 빠져들기 쉽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을 초기의 상태까지 일단 되돌려서 무질서한 굴곡을 개선시키고나서부터, 동일하게 하여, 재차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을 진행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게 할 수 밖에 없고, 상기 가이드홈(40)에 걸리지 않고 상기 만곡부(R)를 통과할 수 있기까지 몇번이고 동일작업을 반복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판형상의 복수의 플레이트 상호를 힌지부재에 의해 굴곡 자유롭게 연결한 셔터용 개폐판과,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곡률이 변화할 경우에도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강구한 본 발명의 셔터는,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최소곡률의 부분보다도 곡률이 크게되는 방향으로만 굴곡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호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부재를 통하여 인접하는 플레이트 상호는, 상기 가이드홈의 곡률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굴곡되므로, 셔터용 개폐판을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서 미끄럼이동하게 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곡률이 작게 되는 방향으로 굴곡되 어 상기 가이드홈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상기 가이드레일의 최소 곡률부 및 만곡부에 있어서 상기 셔터용 개폐판이 원활히 미끄럼이동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이므로 다음의 특유한 효과를 가진다.
가이드레일의 최소 곡률부 및 만곡부에서의 상기 셔터용 개폐판이 원활히 미끄럼이동되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곡률이 변화할 경우에도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징, 양태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하여 다음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에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의 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인 셔터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예의 셔터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만곡부(R)를 갖는 한쌍의 가이드레일(4)과, 상기 사이드레일(4) 상호간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되는 셔터용 개폐판(10)과, 상기 가이드레일(4)을 얹어놓고 고정시키기 위한 직사각형상의 토대 (土臺)프레임(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4)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알루미늄제의 직선상태의 스트레이트부재(41)와 원호형상의 커브부재(42)를 번갈아 연결시켜서 형성되는 역U자형상이다. 상기 가이드레일(4)의 대향 끝면에는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을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하기 위한 U자형상의 가이드홈(40)이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셔터의 배면부에는,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스토 퍼로서 가이드레일(4) 상호를 수평으로 가교하는 사이드 프레임(43)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투명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벨트판형상의 플레이트(1)와, 상기 플레이트(1)의 끝 가장자리부를 상호 굴곡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부재(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하단부에는, 이것을 미끄럼이동하기 위한 손잡이(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플레이트(1)의 한쪽 면에는, 후술하는 상기 힌지부재(2)의 측면 홈(3)에 형성된 볼록조부(凸條部)(30)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맞추어지는 단면 반원형의 오목홈(13)이 장변측의 양방 끝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2)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긴 단면 직사각형상의 기둥형상체이고, 중심부분에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한 공동부(空洞部)(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부재(2)의 상단부에는, 상기 플레이트(1)의 끝 가장자리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한쌍의 측면 홈(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방하도록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공동부(20)는, 상기 힌지부재(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단면 직사각형상의 각통부(角筒部)(22)와, 단면 원형의 원통부(21)가 조합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측면 홈(3)은, 상기 플레이트(1)의 오목홈(13)보다도 끝 가장자리부 측의 선단부(14)를 수용 가능한 ㄷ자형상이고, 상기 측면 홈(3)의 상측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레이트(1)의 오목홈(13)과 회전운동 자유롭게 요철 끼워맞추는 볼록조부(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홈(3)의 개방 끝부는 상기 플레이트(1)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플레이트(1)는, 상기 측면 홈(3)의 길이방향의 개방끝으로부터 상기 볼록조부(30)와 오목홈(13)이 요철 끼워맞추도록 삽입되게 하여 길이방향으로 상호 슬라이딩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힌지부재(1)에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측면 홈(3)의 하측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도 3중의 점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2)를 통하여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1) 상호가 일직선상태로 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1)의 표면에 맞닿아서 상기 일적선상태로부터 상기 가이드레일(4)의 만곡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逆動)저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측면 홈(3)의 상측의 대향내벽에는, 도 3의 우측부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운동했을 때에 상기 선단부(14)에 맞닿아서 상기 플레이트(1)의 순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순동(順動) 저지부(3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면 홈(3)의 하측의 대향내벽에는, 도 3의 좌측부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홈(3)에 유지된 플레이트(1)가 상기 직선상태로 될 때에 상기 역동 저지부(31)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1)의 선단부(14)에 맞닿아서 상기 플레이트(1)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순동 저지부(33)는,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이 미끄럼이동할 때에, 상기 플레이트(1)가 가이드레일(4)의 순방향으로 과잉 회전운동되어 미끄럼이동의 방해가 되는 일이 없도록, 상기 가이드레일(4)의 만곡부(R)의 최대곡률에 맞추어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이 예의 셔터를 실제로 폐쇄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셔터가 폐쇄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대부분은 전면측의 상기 스트레이트부재(41)를 따라서 일직선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상방의 1/4정도는 상기 만곡부(R)를 형성하는 상기 커브부재(42)를 따라서 굴곡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폐쇄상태로부터 상기 손잡이(6)를 파지하여,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을 도 1중의 화살표시의 방향으로 끌어 올릴 때,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각 플레이트(1)는 상기 역동 저지부(31, 34)에 의해 상기 커부부재(42)의 만곡방향과는 역의 방향으로 회전운동하지 않도록 지지되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상기 스트레이트부재(41)에 있어서 일직선상태로 미끄럼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이 상기 스트레이트부재(41)로부터 커부부재(42)에 다다르면, 상기 플레이트(1)는 상기 커브부재(42)의 만곡을 따라서 순번으로 순방향으로 회전운동되어, 상기 커브부재(42)를 따른 형상으로 굴곡된다. 이 때, 상기 순동 저지부(33)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의 순방향으로의 과잉 회전운동이 방지된다.
다음에,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이 상기 커브부재(42)를 통과하여 상기 셔터의 정상부의 스트레이트부재(41)로 미끄럼이동되면, 상기 플레이트(1)는 역방향으로 회전운동됨과 동시에 상기 역동 저지부(31, 34)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셔터 용 개폐판(10)은 원래의 일직선상태로 된다.
또, 이 셔터의 전면부가 개방된 개방상태로부터,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을 끌어 내려서 원래의 폐쇄상태로 할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셔터를 개방상태로 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상기 스트레이트부재(41) 또는 커브부재(42)를 따라서 원활하게 굴곡 또는 신장된다.
상기와 같이, 이 예의 셔터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는, 상기 역동 저지부(31, 34)에 지지되므로써 상기 커브부재(42)의 만곡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굴곡되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이 스트레이트부재(41)와 커브부재(42) 사이에서 미끄럼이동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1)나 힌지부재(2)가 상기 가이드홈(40)에 걸리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순동 저지부(33)에 의해 상기 커브부재(42)의 만곡방향으로의 과잉 굴곡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레일(4)의 곡률이 변화할 경우에도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다.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가 상기 힌지부재(2)의 측벽을 절결해서 형성한 측면 홈(3)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1)에 작용하는 힘을 상기 측면 홈(3) 및 이것에 연속하는 힌지부재(2)에 의해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도 4중의 화살표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강도가 높다. 또, 상기 플레이트(1)가 상기 볼록조부(30)와 오목홈(13)의 요철 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1)와 힌지부재(2)가 해체 이격되기 어려우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 은, 도 2중의 화살표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의 연결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강도가 높다. 이것에 의해,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굴곡의 유무에 무관하여 외력이나 충격 등에 대하여 높은 내구성을 갖는다.
또, 이 예에 있어서는, 상기 측면 홈(3)이 힌지부재(2)의 상단부에 치우쳐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 홈(3)의 하방부분이 크고,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에 걸리는 부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강도가 더한층 높다.
또,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힌지부재(2)에 유지된 플레이트(1)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이드홈(40)의 외측근처에서 미끄럼이동하므로, 만곡부(R)에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이 굴곡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1)가 상기 가이드홈(40)에 접촉되거나 또는 걸리기 어렵다. 이것에 의해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미끄럼이동이 원활함과 동시에, 상기 플레이트(1)가 상처나기 어렵다. 더욱이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2)의 정상부와 상기 플레이트(1)의 표면의 고저차이가 작고, 셔터용 개폐판(10)의 표면이 대략 평면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외관이 좋다.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측면 홈(3)의 한쌍의 대향내벽이 각각 순동 저지부(33), 역동 저지부(34)로서 기능하고 있으므로, 상기 측면 홈(3)의 개방끝 가장자리가 상기 순동 저지부, 역동 저지부로서 기능하는 것과 비교해서, 상기 플레이트 및 힌지부재(2)가 파손되기 어렵고,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내구성이 높다.
또, 이 예의 것은, 상기 플레이트(1)는 상기 볼록조부(30)와 오목홈(13)의 끼워 맞춤에 의해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예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의 원통부(17) 전체가 상기 힌지부재(2)의 유지부(28)에 내접되는 것과 비교해서, 상기 플레이트(1)의 회전운동시에 생기는 저항이 작으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굴곡 또는 신장이 원활하다.
<제 2의 실시형태>
도 5에는, 상기 측면 홈(3)의 상측의 개방끝 가장자리에 상기 플레이트(1)의 오목홈(13)과 끼워맞춤하는 볼록조부(30)를 형성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의 것은, 상기 힌지부재(2)의 측면 홈(3) 이외의 부분 및 이것에 유지되는 플레이트(1)는 상술한 실시형태(1)와 동일한 구성이다.
상기 측면 홈(3)의 상측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단면이 반원형의 볼록조부(30)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레이트(1)에 맞닿아서 상기 플레이트(1)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홈(3)의 상측의 대향내벽은, 상술하는 실시형태(1)와 동일하게, 상기 플레이트(1)의 선단부(14)에 맞닿아서 상기 플레이트(1)의 순방향으로의 과잉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순동 저지부(33)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대향 홈내벽에는, 상기 역동 저지부(31)와 함께 상기 플레이트(1)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이 예의 셔터는, 상술한 실시형태(1)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 3의 실시형태>
도 6에는, 상기 힌지부재(2)의 볼록조부(30)와 플레이트(1)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돌출부(19)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맞춤되는 구성의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의 힌지부재(2)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서 횡폭이 서서히 작게 되는 사다리꼴형상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술한 실시형태(1)와 동일하게, 그 상단부에는 상기 플레이트(1)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한쌍의 측면 홈(3)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홈(3)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대향내면에 역동 저지부(31) 및 순동 저지부(33)가 형성된 상측의 홈 측벽의 높이가 상기 볼록조부(30) 및 역동 저지부(34)가 형성된 하측의 홈 측벽의 높이보다 소정의 길이(D)만큼 높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홈(3)에 유지되는 플레이트(1)의 일방의 면에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홈(3)의 볼록조부(30)의 원호형상에 일치하는 만곡면을 가지고, 상기 볼록조부(30)에 대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맞추는 돌출부(19)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이 예의 것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1)와 동일하게, 상기 순동 저지부(33), 역동 저지부(31, 34)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의 회전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4)의 곡률이 변화할 경우에도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한 강도가 높음과 동시에,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가 상기 볼록조부(30)와 돌출부(19)의 걸어맞춤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1)의 연결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 강도가 높다. 이로부터,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굴곡의 유무에 관계없이, 외력이나 충격 등에 대하여 높은 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볼록조부(30)와 돌출부(19)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맞춤되므로, 상술한 실시형태 1의 상기 볼록조부(30)와 오목홈(13)이 요철 끼워맞춤하는 것과 비교해서,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운동시에 생기는 저항력이 작고 상기 셔터 개폐판의 굴곡 또는 신장이 보다 원활하다.
또, 이 예의 셔터용 개폐판(10)을, 도 1의 셔터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얹어놓기면에 직립하는 스트레이트부재(41)를 따라서 유지시킨 경우에, 이 셔터의 내부에 수용된 공작기계 등으로부터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배면측으로 물 등의 액체가 비산 또는 방사될 때, 상기 플레이트(1)를 통해서 흘러 떨어진 액체는 상기 볼록조부(30)가 형성된 낮은 홈측벽으로부터 상기 측면 홈(3)내로 침입한다. 그리고, 상기 액체는 상기 측면 홈(3)의 홈 바닥을 통하여 상기 플레이트(1)의 표면측으로 돌아 들어 가는데, 상기 순동 저지부(33)가 형성된 높은 홈 측벽을 넘어갈 수는 없으므로, 결국, 상기 낮은 홈 측벽으로부터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배면측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된다. 그 때문에, 이 예의 것에 있어서는, 상기 셔터용 개 폐판(10)의 표면측으로의 물 등의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 예에서, 상기 힌지부재(2)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해서 서서히 횡폭이 작게 되는 단면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이 외측으로부터 투명 합성수지제의 상기 플레이트(1)를 통하여 셔터의 내측을 볼 경우에, 상기 힌지부재(2)가 시계에 들어오기 어렵고 외관이 좋다.
<제 4의 실시형태>
도 7에는, 상기 측면 홈(3)의 한쌍의 개방끝 가장자리가 역동 저지부(31), 순동 저지부(33)로서 기능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의 것은, 플레이트(1)의 양 끝 가장자리부에 얇은 두께의 네크(neck)부(12)를 통하여 원주부(11)가 설치된 슬랫(18)과, 상기 원주부(11)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한쌍의 측면 홈(3)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힌지부재(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홈(3)은 단면이 C자형상이고,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홈(3)의 상측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인접하는 플레이트(1) 상호가 일직선상태로 될 때에, 상기 원주부(11)와 플레이트(1) 사이에 형성된 홈부(15a)에 끼워 맞추어져서, 상기 플레이트(1)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부(31)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측면 홈(3)의 하측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도 7중의 점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가 가이드홈(40)의 만곡부(R)를 따라서 회전운동할 때에, 상기 홈부(15b)에 끼워맞춤되어, 상기 플레이트(1)의 순방향으로의 과잉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순동 저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상기 순동 저지부(33), 역동 저지부(31)의 작용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의 회전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레일(4)의 곡률이 변화할 경우에도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원주부(11)와 플레이트(1)를 얇은 두께부인 네크부(12)에 의해 연결하므로써, 상기 플레이트(1)가 두꺼운 두께이더라도 작은 측면 홈(3)을 갖는 힌지부재(2)를 사용해서 상기 플레이트(1) 상호를 굴곡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측면 홈(3)의 개방끝 가장자리에 형성된 순동 저지부(33), 역동 저지부(31)가 상기 홈부(15a, 15b)에 끼워 맞추어지므로, 상기 플레이트(1)의 회전운동을 맞닿음에 의해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것과 비교해서, 상기 플레이트(1) 및 힌지부재(2)가 파손되기 어렵고,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내구성이 높다.
또, 상기 측면 홈(3)은, 상술한 실시형태 3과 동일하게, 상기 역동방향측의 홈측벽의 높이가 순동방향측의 홈측벽보다 소정높이(D)만큼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표면측으로의 물 등의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재 5의 실시형태>
도 8에는, 힌지부재(2)를 통하여 인접하는 플레이트(1)가 각각 소정의 각도(θ)만큼 만곡방향으로 회전운동한 상태를 최소곡률로 하여, 상기 플레이트(1)의 역동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의 것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1)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에 원주체(110)가 요철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된 슬랫(18)과, 상기 원주체(110)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한쌍의 C자형상의 측면 홈(3)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단면 T자형상의 힌지부재(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 홈(3)의 상측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레이트(1)에 맞닿아서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부(31)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상기 플레이트(1)의 순방향으로의 과잉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순동 저지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역동 저지부(31)는, 도 8중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플레이트(1)가 일직선상태로 연결된 상태보다도 소정의 각도(θ)만큼 상기 가이드홈(40)의 만곡방향으로 회전운동된 상태로부터 역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의 각도(θ)는, 상기 가이드레일(4)의 최소곡률부에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을 원활히 미끄럼이동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상기 순동 저지부(33), 역동 저지부(31)의 작용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1)의 회전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가이드레일(4)의 곡률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다.
또,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 상호가 상기 가이드레일(4)의 만곡 방향으로 미리 굴곡된 상태에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2)를 통하여 플레이트(1) 상호가 일직선상태로 되도록 연결되는 것과 비교해서, 상기 가이드레일(4)의 만곡부(R)에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미끄럼이동이 더 한층 원활하다.
또, 상기 원주부(110)가 상기 측면 홈(3)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되어 있으므로,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를 직선상태로부터 순동방향으로 90∼100도의 범위에 걸쳐서 회전운동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곡률이 큰 만곡부(R)를 갖는 가이드레일(4)에 대응할 수 있다. 또, 도 8중의 점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인접하는 플레이트(1) 상호를 절첩상태로 굴곡시킬 수도 있다.
또, 상기 측면 홈(3)은, 상술한 실시형태 3과 동일하게, 상기 역동방향측의 홈측벽의 높이가 순동방향측의 홈측벽보다도 소정의 높이(D)만큼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표면측으로의 물 등의 액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의 실시형태>
도 9에는, 힌지부재(2)로서, 상호 회전운동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내통(51)과 외통(52)으로 이루어지는 힌지통(5)을 사용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의 것은, 벨트판형상의 플레이트(1)와, 상기 플레이트(1)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에 연설되고 인접하는 플레이트(1) 상호를 굴곡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통(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통(5)은,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면이 C자형상으로 내통(51)과 이 내통(51)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외부 끼움되는 동일한 C자형상의 외통(5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51) 및 외통(52)의 측벽에는 상기 플레이트(1)의 끝 가장자리부를 삽입 유지하는 한쌍의 설편(舌片)으로 이루어지는 유지부(55)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설편의 대향내면에는, 상기 유지부(55)에 삽입된 상기 플레이트(1)를 빠짐방지상태로 끼워 지지하는 걸어맞춤 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통(51)의 측벽에는, 상기 힌지통(5)을 통하여 인접하는 플레이트(1)가 직선상태로 연결될 때에, 상기 외통(52)의 일방의 개방끝 가장자리(50a)가 맞닿아서 상기 플레이트(1)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부(53)와, 상기 내통(51) 및 외통(52)이 가이드홈(40)의 만곡방향으로 회전운동될 때에,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외통(52)의 타방의 개방끝 가장자리(50b)가 맞닿아서 상기 플레이트(1)의 순방향으로의 과잉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순동 저지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것에서는, 상기 플레이트(1)는, 상기 역동 저지부(53)에 지지되므로써 상기 가이드홈(40)의 만곡방향으로만 선택적으로 굴곡되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이 상기 가이드레일(4)을 따라서 미끄럼이동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1)나 힌지부재(2)가 상기 가이드홈(40)에 걸리는 일이 없다. 또, 상기 플레이트(1)는 상기 순동 저지부(54)에 의해 순방향으로의 과잉굴곡이 방지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셔터용 개폐판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직선부에서는 대 략 일직선상태로 미끄럼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만곡부(R)에 있어서는 가이드홈(40)을 따라서 굴곡되면서 미끄럼이동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4)이 직선부와 만곡부를 갖는 경우에도 셔터를 원활히 개폐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힌지통(5)은 외통(52)과 내통(51)이 상호 회전운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굴곡 또는 신장이 원활하다.
<제 7의 실시형태>
도 11에는, 상기 힌지부재(2)의 길이방향의 양 끝부에 탈출 저지판(6)과 롤러(7)를 부착한 구성의 셔터용 개폐판(10)을 도시하고 있다.
이 예의 것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변측의 양 끝부에 직사각형상의 연장편(100)이 연설된 플레이트(1)와, 상술한 실시예(1)의 셔터에서 사용된 힌지부재(2)와, 상기 힌지부재(2)와 동일 형상의 탈출 저지판(6)과, 상기 탈출 저지판(6)의 외측으로부터 이 탈출 저지판(6)을 삽입 통과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부재(2)의 공동부(20)에 나사고정되는 롤러(7)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플레이트(1)와 힌지부재(2)의 연결부의 구조, 상기 측면 홈(3)에 의한 상기 플레이트(1)의 회전운동제한 등은, 상술한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상기 연장편(100)의 길이(H)는, 도 11에 도시되는 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 상호를 연결하는 상기 힌지부재(2)의 끝부로부터 이것에 부착된 롤러(7)의 회전 헤드부(71)의 끝부까지의 돌출 높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연장편(100)의 폭(W)은, 상기 연장편(100)과 롤러(7) 사이에 생기는 간극이 작고 또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미끄럼이동시에 상기 연장편(100)이 상기 롤러(7) 에 맞닿는 일이 없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탈출 저지판(6)은,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2)의 단면형상과 대략 일치하는 박판부재로서, 그 중앙부에는, 상기 힌지부재(2)의 끝면에 대략 일치하는 상태로 맞닿을 때에, 상기 힌지부재(2)의 공동부(20)의 원통부(21)에 연통하는 삽입관통구멍(60)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탈출 저지판(6)의 상부에는,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부재(2)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동부(20)의 각통부(22)의 상단(22a)에 걸어맞추어지는 돌기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7)는, 상기 공동부(20)의 원통부(21)에 나사맞춤되는 나사부(70)와, 상기 나사부(70)를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헤드부(7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사부(70)에는, 상기 탈출 저지판(6)의 삽입관통구멍(60)보다도 대직경이고, 상기 탈출 저지판(6)을 상기 힌지부배(2)의 끝면으로 가압하는 원형의 플랜지(7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이 예의 셔터용 개폐판(10)의 양 끝 가장자리를 가이드레일(4)을 따라서 미끄럼이동시킬 때, 상기 롤러(7)가 상기 가이드홈(40)내를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상기 롤러(7)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은 가이드홈(40)을 따라서 원활히 미끄럼이동된다. 또, 상기 롤러(7)와 함께 상기 연장편(100)도 상기 가이드홈(40)내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레이트(1)의 단변측의 끝 가장자리부와 가이드레일(4)의 끝 가장자리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어렵고, 상기 간극으로부터 물 등의 액체나 분진 등이 외부로부터 셔터내부에 유입하거나, 상기 셔터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탈출 저지판(6)에 의해 상기 측면 홈(3)의 길이방향의 개방끝이 폐쇄되어 있으므로, 상기 측면 홈(3)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유지된 플레이트(1)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측면 홈(3)으로부터 튀어나가서,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의 양 끝 가장자리부가 가지런하지 않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상기 셔터용 개폐판(10)이 상기 가이드홈(40)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미끄럼이동될 수 있다.
또, 이 예의 것에서는, 상기 탈출 저지판(6)의 돌기부(61)와 힌지부재(2)의 공동부(20)가 걸어맞추어지므로, 상기 탈출 저지판(6)은, 상기 힌지부재(2)에 맞닿을 때의 위치결정이 용이함과 동시에, 상기 힌지부재(2)의 끝면에 대하여 회전운동 저지상태로 맞닿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이므로 다음과 같은 특유한 효과를 갖는다.
가이드레일의 최소 곡률부 및 만곡부에서의 상기 셔터용 개폐판이 원활히 미끄럼이동되므로,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곡률이 변화할 경우에도 셔터를 원활히 개폐할 수 있다.

Claims (12)

  1. 벨트판형상의 복수의 플레이트 상호를 힌지부재에 의해 굴곡 자유롭게 연결한 셔터용 개폐판과,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최소곡률의 부분보다도 곡률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만 굴곡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호를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 상호를 연결하는 기둥형상체이고,
    상기 힌지부재의 측벽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한쌍의 측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홈에는 상기 힌지부재를 통해서 인접하는 플레이트가 대략 일적선상태로 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에 맞닿아서 상기 가이드홈의 곡률이 크게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수단과,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곡률이 크게 되는 순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운동했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에 맞닿아서 상기 순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순동 저지수단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측면 홈의 한 쪽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볼록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한 쪽의 면에는, 상기 볼록조부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지는 오목홈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역동 방지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쪽의 면에 맞닿는 상기 측면 홈의 다른 쪽의 개방끝 가장자리이고,
    상기 순동 저지수단은, 상기 플레이트가 순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운동된 때에 상기 플레이트의 오목홈보다도 끝 가장자리부 측을 맞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된 상기 측면 홈의 한 쪽의 대향내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2. 벨트판형상의 복수의 플레이트 상호를 힌지부재에 의해 굴곡 자유롭게 연결한 셔터용 개폐판과,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최소곡률의 부분보다도 곡률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만 굴곡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호를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 상호를 연결하는 기둥형상체이고,
    상기 힌지부재의 측벽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한쌍의 측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홈에는 상기 힌지부재를 통해서 인접하는 플레이트가 대략 일적선상태로 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에 맞닿아서 상기 가이드홈의 곡률이 크게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수단과,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곡률이 크게 되는 순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운동했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에 맞닿아서 상기 순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순동 저지수단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측면 홈의 한 쪽의 개방끝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볼록조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끝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플레이트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도록 상기 볼록조부에 걸어맞추어지는 돌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역동 방지수단은,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쪽의 면에 맞닿는 상기 측면 홈의 다른 쪽의 개방끝 가장자리이고,
    상기 순동 저지수단은, 상기 플레이트가 순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운동된 때에 상기 플레이트의 오목홈보다도 끝 가장자리부측을 맞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된 상기 측면 홈의 한 쪽의 대향내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홈의 다른 쪽의 대향내벽은, 상기 힌지부재를 통하여 인접하는 플레이트가 대략 일직선상태로 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의 오목홈보다도 끝 가장자리부측을 맞닿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셔터용 개폐판을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홈폭방향으로 긴 단면 직사각형상의 기둥형상체이고,
    상기 한쌍의 측면 홈은, 상기 측면 홈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되는 상기 플레이트의 역동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홈은, 상기 측면 홈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되는 상기 플레이트의 역동방향측에 위치하는 홈측벽의 높이가, 이것에 대향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순동방향측에 위치하는 홈측벽의 높이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의 양 끝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되고 또한 상기 셔터용 개폐판이 미끄럼이동될 때에 상기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내를 회전운동하는 롤러부재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의 단변측의 양 끝 가장자리에는, 상기 힌지부재의 끝 가장자리로부터의 상기 롤러부재의 돌출높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또한 인접하는 롤러부재 상호간에 수용되는 연장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로우며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연결방향으로 빠짐방지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재의 양 끝부에는, 상기 측면 홈의 길이방향의 개방끝을 폐쇄하는 탈출 저지부재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8. 벨트판형상의 복수의 플레이트 상호를 힌지부재에 의해 굴곡 자유롭게 연결한 셔터용 개폐판과, 상기 셔터용 개폐판의 양 끝 가장자리부를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쌍의 가이드레일로 구성되는 셔터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의 최소곡률의 부분보다도 곡률이 크게 되는 방향으로만 굴곡할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 상호를 연결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인접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 상호를 연결하는 기둥형상체이고,
    상기 힌지부재의 측벽에는, 상기 플레이트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또한 빠짐방지상태로 유지하는 한쌍의 측면 홈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 홈에는 상기 힌지부재를 통해서 인접하는 플레이트가 대략 일적선상태로 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에 맞닿아서 상기 가이드홈의 곡률이 크게되는 방향과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역동 저지수단과,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곡률이 크게 되는 순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운동했을 때에 상기 플레이트에 맞닿아서 상기 순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저지하는 순동 저지수단이 형성되어있고,
    상기 플레이트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힌지부재의 벽면에 형성된 단면 원형상의 측면 홈에 회전운동 자유로우며 또한 빠짐방지상태로 유지되는 원주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역동 저지수단은, 상기 인접하는 플레이트가 대략 일직선상태로 될 때에 상기 플레이트의 한 쪽의 면에 맞닿는 상기 측면 홈의 한 쪽의 개방끝 가장자리이고,
    상기 순동 저지수단은, 상기 플레이트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운동된 때에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쪽의 면에 맞닿는 상기 측면 홈의 다른 쪽의 개방끝 가장자리이고,
    상기 원주부는, 상기 원주부의 직경보다도 작은 두께의 얇은 두께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끝 가장자리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역동 저지수단인 한 쪽의 개방끝 가장자리는, 상기 플레이트의 한 쪽의 면측으로부터 상기 얇은 두께부에 맞닿고,
    상기 순동 저지수단인 다른 쪽의 개방끝 가장자리는, 상기 플레이트의 다른 쪽의 면측으로부터 상기 얇은 두께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셔터용 개폐판을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하는 상기 가이드홈의 홈폭방향으로 긴 단면 직사각형상의 기둥형상체이고,
    상기 한쌍의 측면 홈은, 상기 측면 홈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되는 상기 플레이트의 역동방향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홈은, 상기 측면 홈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유지되는 상기 플레이트의 역동방향측에 위치하는 홈측벽의 높이가, 이것에 대향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순동방향측에 위치하는 홈측벽의 높이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의 양 끝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미끄럼이동 자유롭게 유지되고 또한 상기 셔터용 개폐판이 미끄럼이동될 때에 상기 미끄럼이동방향을 따라서 상기 가이드홈내를 회전운동하는 롤러부재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플레이트의 단변측의 양 끝 가장자리에는, 상기 힌지부재의 끝 가장자리로부터의 상기 롤러부재의 돌출높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또한 인접하는 롤러부재 상호간에 수용되는 연장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장변측의 끝 가장자리부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로우며 또한 상기 플레이트의 연결방향으로 빠짐방지의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힌지부재의 양 끝부에는, 상기 측면 홈의 길이방향의 개방끝을 폐쇄하는 탈출 저지부재가 각각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KR1020020049370A 2001-08-23 2002-08-21 셔터 KR100862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52852 2001-08-23
JPJP-P-2001-00252852 2001-08-23
JP2002214907A JP3950761B2 (ja) 2001-08-23 2002-07-24 シャッタ
JPJP-P-2002-00214907 2002-07-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68A KR20030017368A (ko) 2003-03-03
KR100862669B1 true KR100862669B1 (ko) 2008-10-10

Family

ID=2662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370A KR100862669B1 (ko) 2001-08-23 2002-08-21 셔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55443B2 (ko)
EP (1) EP1286017B1 (ko)
JP (1) JP3950761B2 (ko)
KR (1) KR100862669B1 (ko)
CN (1) CN100378287C (ko)
TW (1) TW5731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8547B2 (en) * 2002-03-18 2005-09-27 Frenchporte, L.L.C. Overhead garage door with decorative house facade elements
SG110075A1 (en) * 2003-10-06 2005-04-28 Lok Yung Wong Improvements to roller shutters
US7748429B2 (en) * 2008-12-09 2010-07-06 Marie France Caire Patio cover and storm protection device
JP5807269B2 (ja) * 2011-11-02 2015-11-10 アイセル株式会社 シャッタ
FR2992994B1 (fr) * 2012-07-04 2017-09-22 Guy Meyere Rideau roulant transparent
DE102012021924B4 (de) * 2012-11-09 2016-02-11 Bernhard Bachmann Abdeckvorrichtung mit einer 1. Abdeckung, die mit einer 2. Abdeckung verbindbar ist
JP6390529B2 (ja) * 2015-06-10 2018-09-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処理設備
JP7014087B2 (ja) * 2018-08-02 2022-02-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の開閉構造
KR102371029B1 (ko) * 2021-08-06 2022-03-11 주식회사 메인터넌스 기능성이 개선된 차량용 인터쿨러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67022U (ko) * 1978-05-11 1979-11-24
US4222428A (en) * 1977-03-08 1980-09-16 Anton Scherer Folding partition
JPS62199494U (ko) * 1986-06-06 1987-12-18
JPH0561392U (ja) * 1991-11-30 1993-08-13 フソー化成株式会社 シャッター構成部品、シャッター及びシャッター付き構造物
KR930021851U (ko) * 1992-03-05 1993-10-16 임경묵 문자나 도형이 표현되는 셔터
US5265663A (en) * 1991-02-14 1993-11-30 Sanwa Shutter Corporation Architectural shutter curtain device
US5456305A (en) * 1989-03-02 1995-10-10 Snarli; Roger S. Rollable or foldable shutter
JPH0932436A (ja) * 1995-07-21 1997-02-04 Takubo Kogyosho Kk シャッターのスラット連係装置
KR970004547U (ko) * 1995-07-13 1997-02-19 박스 렌치
EP0903460A1 (fr) * 1997-09-23 1999-03-24 Lapeyre Persienne coulissante à charnière
JPH11152972A (ja) * 1997-11-21 1999-06-08 Sanwa Shutter Corp パネルシャッターのパネル構造
KR20020040549A (ko) * 2000-11-22 2002-05-30 모치즈키 마사노리 셔터용 개폐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01485A (en) * 1961-01-24 1963-08-27 Kirshenbaum David Shower curtain and installation therefor
US4332287A (en) * 1980-05-13 1982-06-01 Dynaflair Corporation Canada, Inc. Rolling safety doors
US4345635A (en) * 1980-08-29 1982-08-24 Solomon Martin D Rolling protective gate for store fronts or the like
US4432591A (en) * 1981-04-27 1984-02-21 M.I.T. Poly-Cart Corp. Storage and transport cart with improved security
JPS61137792A (ja) 1984-12-10 1986-06-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熱転写記録方法
DE3915233A1 (de) * 1988-07-05 1990-11-15 Andre Janssen Rolladen fuer oeffnungsabschluesse
CN2071695U (zh) * 1990-05-16 1991-02-20 柯敬之 可调防盗百叶窗
CN1062328C (zh) * 1994-09-10 2001-02-21 雷奥两合股份公司 尤其是用于卷帘式百叶窗的带开口横截面的型材
US5850862A (en) * 1997-02-20 1998-12-22 Miller; James V. Rolling protective shutters
DE20001368U1 (de) * 2000-01-26 2000-03-30 Achenbach Karl Gmbh & Co Kg Deckenlauftor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2428A (en) * 1977-03-08 1980-09-16 Anton Scherer Folding partition
JPS54167022U (ko) * 1978-05-11 1979-11-24
JPS62199494U (ko) * 1986-06-06 1987-12-18
US5456305A (en) * 1989-03-02 1995-10-10 Snarli; Roger S. Rollable or foldable shutter
US5265663A (en) * 1991-02-14 1993-11-30 Sanwa Shutter Corporation Architectural shutter curtain device
JPH0561392U (ja) * 1991-11-30 1993-08-13 フソー化成株式会社 シャッター構成部品、シャッター及びシャッター付き構造物
KR930021851U (ko) * 1992-03-05 1993-10-16 임경묵 문자나 도형이 표현되는 셔터
KR970004547U (ko) * 1995-07-13 1997-02-19 박스 렌치
JPH0932436A (ja) * 1995-07-21 1997-02-04 Takubo Kogyosho Kk シャッターのスラット連係装置
EP0903460A1 (fr) * 1997-09-23 1999-03-24 Lapeyre Persienne coulissante à charnière
JPH11152972A (ja) * 1997-11-21 1999-06-08 Sanwa Shutter Corp パネルシャッターのパネル構造
KR20020040549A (ko) * 2000-11-22 2002-05-30 모치즈키 마사노리 셔터용 개폐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78287C (zh) 2008-04-02
KR20030017368A (ko) 2003-03-03
EP1286017A3 (en) 2003-11-12
TW573103B (en) 2004-01-21
EP1286017B1 (en) 2015-12-09
JP2003138860A (ja) 2003-05-14
CN1407203A (zh) 2003-04-02
US6655443B2 (en) 2003-12-02
JP3950761B2 (ja) 2007-08-01
EP1286017A2 (en) 2003-02-26
US20030037888A1 (en) 200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669B1 (ko) 셔터
US9032588B2 (en) Covering of building opening
CA2328004C (en) Window stay
PT1867822E (pt) Caixilho para porta e janela com uma área de engate rebaixada para um mecanismo de accionamento
JP2002155680A (ja) シャッター用開閉板
JP3770788B2 (ja) シャッタ
US5492381A (en) Retractable door or window stop
ITBO990600A1 (it) Dispositivo di cerniera con apertura - chiusura bistadio per il portello di apparecchi elettrodomestici , in particolare lavatrici .
EP2495383B1 (en) Slide brake for turnable windows, doors or shutters
JPH05133157A (ja) 引戸装置
CN209610570U (zh) 一种婴儿床折叠关节结构
AU2008200245B2 (en) Window winder
KR200328446Y1 (ko) 화장품냉장고 케이스
US6658695B1 (en) Door securing device
JP3960927B2 (ja) シャッタ
JP2003082934A (ja) 連動引戸装置
GB2429042A (en) Stay including releasable slider that automatically resets for engagement
KR102485230B1 (ko) 손끼임방지 기능이 구비된 회동식 창호
JP3433145B2 (ja) 窓枠のレール構造
JP2548398Y2 (ja) 家具用ステー
JP3143021B2 (ja) 網 戸
JP3108905B2 (ja) 連動折り戸用着脱式ストッパ
JP3499841B2 (ja) 引戸連動機構
KR0138278Y1 (ko) 셔터의 개폐장치
JPH0754522Y2 (ja) 用心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