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528B1 -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528B1
KR100861528B1 KR1020070104625A KR20070104625A KR100861528B1 KR 100861528 B1 KR100861528 B1 KR 100861528B1 KR 1020070104625 A KR1020070104625 A KR 1020070104625A KR 20070104625 A KR20070104625 A KR 20070104625A KR 100861528 B1 KR100861528 B1 KR 100861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unit
fuel supply
supply unit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00Feeding or distributing of lump or pulverulent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3/16Over-feed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004Feeding devices with reciproca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2203/00Feeding arrangements
    • F23K2203/20Feeding/conveying devices
    • F23K2203/203Feeding/conveying devices using pistons or r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에 연료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를 제공받는 연료투입부와; 상기 연료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연료공급부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배출부와;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료투입부를 일치시키고,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료배출부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연료공급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에 화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연료공급 중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보일러가 설정된 시간동안 꺼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가동되도록 일정하게 연료를 공급할 수 있으며,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여 보일러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일러, 고체연료, 연료공급, 공급시간

Description

연료공급장치 {SOLID FUEL SUPPL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4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도 1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8에 적용된 본발명의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14는 도 13에 적용된 본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동작중인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동작 후의 단면도.
도 18은 도 14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예를 보인 측면도.
도 19는 도 18의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0은 도 14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도.
도 21은 도 20의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22는 도 14의 피스톤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3은 도 22의 단면도.
도 24는 도 21의 동작중인 단면도.
도 25는 도 21의 동작 후의 단면도.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후방피스톤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7은 도 26의 단면도.
도 28은 도 2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연료투입부
30 : 연료공급부
50 : 연료배출부
70 : 구동부
본 발명은 보일러에 연료를 일정하게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덩어리진 고체연료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는 보일러에 있어서는, 연료를 인력으로 보일러의 로스톨이나 연료가 소비되는 시간에 맞춰 적기에 공급해 주기가 어려워, 근래에는 여러 종류의 기계적인 수단이 쓰여지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연료는 분말형태의 연료(톱밥, 분탄 등)를 일정크기로 고체화시켜 사용한다. 그리고, 고체연료는 일정한 크기별로 입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생산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의 종류에 맞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체연료는 먼지가 날리지 않으면서 운반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일러에 고체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장치로는 컨베이어를 이용해서 일정량의 석탄과 같은 고체연료를 보일러에 공급시켜주거나, 또는 외주면에 스크류드라이버가 형성된 나선봉을 모우터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연료를 보일러의 연소실로 급송시켜주는 장치들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연료공급장치들은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연소실의 화력이 컨베이어 또는 나선봉의 끝단에 미치게 되어, 연료공급과정에서 연료에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료에 화력의 열이 간접적으로 연료에 전달되어 연료의 부스러기 등이 컨베이어 또는 나선봉에 접착되어 연료공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에 화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연료공급 중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일러가 설정된 시간동안 일정한 온도로 가동되도록 일정하게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여 보일러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를 제공받는 연료투입부와; 상기 연료투입부를 통해 투입되는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공급부와; 상기 연료공급부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배출부와;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료투입부를 일치시키고, 상기 연료공급부와 연료배출부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연료공급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료공급부는 상기 연료투입부와 연료배출부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원통과; 상기 원통의 내부에 복수개의 원통공간이 형성되도록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격벽과; 상기 연료투입부와 연료배출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원통의 외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공급부는 상기 연료투입부와 연결되는 연료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투입홀의 반대편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투입된 연료를 배출하도록 연료배출부와 연결되는 연료배출홀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관과; 상기 장방형의 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연료투입홀을 통해 투입된 연료를 상기 연료배출홀에 이동시키도록 연료저장공간이 형성된 피스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의 공급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보일러의 화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를 제공받는 연료투입부(10)와; 상기 연료투입부(10)를 통해 투입되는 연료가 저장되는 연료공급부(30)와; 상기 연료공급부(30)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배출부(50)와; 상기 연 료공급부(30)와 연료투입부(10)를 일치시키고, 상기 연료공급부(30)와 연료배출부(50)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연료공급부(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료투입부(10)는 연료를 제공하는 연료탱크(1)에 연결되고, 연료배출부(70)는 배출관(2)에 의해 보일러(3)에 연결된다. 이때, 연료투입부(10) 및 연료배출부(70)는 각각 연료탱크(1) 및 보일러(3)에 체결부재인 볼트(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게 체결되거나, 또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배출관(2)은 보일러(3)의 화실(7)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연료를 화실(7)에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연료투입부(10)는 연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공급부(30)의 상부에 위치되는 투입판(13)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료공급부(30)는 상기 연료투입부(10)에서 투입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저장실(31)과; 상기 저장실(31)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나누도록 상기 저장실(31)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격판(33)과; 상기 저장실(31)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복수개의 격판(33)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홀(35)이 형성된 상부판(37)과; 상기 저장실(31)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복수개 격판(33)의 사이에 위치되는 하부홀(38)이 형성된 하부판(3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저장실(31)은 격판(33)의 개수만큼 구획되어 나누어진다. 이때, 격판(33)이 많을수록 저장실(31)의 공간은 많아지게 되며, 각각의 공간에 연료들이 저장된다.
그리고, 상부판(37) 및 하부판(39)은 연료공급부(30)의 상/하부를 정확하게 커버하도록 연료공급부(3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료공급부(30)가 원통형상이면 상부판(37) 및 하부판(39)은 원판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연료배출부(50)는 연료가 배출되는 배출구(51)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공급부(3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배출판(5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동작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판(13) 및 배출판(53)은 상부판(37) 및 하부판(39)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저장실(31)은 상부판(37) 및 하부판(39)이 상/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저장실(31)은 상부판(37) 및 하부판(39)과 일체로 고정된다.
이때, 저장실(31)은 투입판(13)과 배출판(53)의 사이에서 회전되며, 투입판(13)의 투입구(11)와 상부판(37)의 상부홀(35)이 일치되면, 연료탱크(1)에서 공급되는 연료가 투입구(11)를 통하여 상부홀(35)을 거쳐 저장실(31)에 공급되어 저장된다.
이어서, 저장실(31)이 회전되면 다른 상부홀(35)이 투입구(11)와 일치되어 연료가 저장실(31)의 다른 공간에 저장된다.
계속해서, 저장실(31)이 회전되어 하부판(39)의 하부홀(38)이 배출판(53)의 배출구(51)와 일치하면, 저장실(31)의 공간에 저장되었던 연료는 하부홀(38)을 거쳐 배출구(51)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된다. 이때, 연료는 배출구(51)와 연결된 보일 러(3)로 공급된다.
또한, 저장실(31)이 회전될 때 투입구(11)와 상부홀(35)이 일치되지 않으면 연료는 공급되지 않고, 배출구(51)와 하부홀(38)이 일치되지 않으면 연료는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연료가 투입구(11)를 통해 계속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일정량이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고, 연료가 배출구(51)를 통해 배출되지 않을 때는 보일러(3)의 화력이 배출구(51)를 통해 저장실(31)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상부판(37)은 저장실(31)의 상부에서 연료의 저장량을 조절하고, 하부판(39)은 저장실(31)의 하부에서 연료의 배출량을 조절하면서 보일러(3)에서 전달되는 화력을 방지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연료공급부(30)에 끼워지는 회전축(71)과; 상기 회전축(71)을 회전시키는 모터(73)와; 상기 모터(73)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료공급부(30)의 중심에 체결홀(32)을 형성하고, 이 체결홀(32)에 회전축(71)이 끼워진다. 이때, 체결홀(32)에는 홈(34)이 형성되고, 회전축(71)에는 돌기(72)가 형성되며, 슬라이딩되어 결합된 홈(34)과 돌기(72)는 상호 접촉되어 회전축(71)이 회전되면 연료공급부(30)는 회전된다.
그리고, 타이머(5)의 시간을 조절하여 모터(73)의 동작시간을 조절할 수 있 다. 즉, 모터(73)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면 연료가 일정량만큼 주기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크기가 서로 다른 구동풀리(74) 및 피동풀리(76)와 이 풀리들(74)(76)에 개재되는 벨트(78)를 더 설치하여 연료공급부(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풀리들(74)(76)과 벨트(78)를 대신하여 기어들(미도시)과 체인(미도시)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연료공급부(30)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7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감지센서(77)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771)와 발광부(771)에서 발광된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77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광부(771)는 연료공급부(30)에 설치되고, 수광부(773)는 연료공급부(30)를 제외한 회전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하면 수광부(773)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771)는 하나이고, 수광부(773)는 격판(33)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의 개수만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감지센서(77)는 리미트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적용된 본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동작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동작 후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부는(30)는 상기 연료투입부(10)와 연료배출부(5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되는 원통(310)과; 상기 원통(310)의 내부에 복수개의 원통공간(321)이 형성되도록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격벽(320)과; 상기 연료투입부(10)와 연료배출부(50)에 대응되도록 상기 원통(310)의 외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3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료투입부(10)는 연료를 제공하는 연료탱크(1)에 연결되고, 연료배출부(70)는 배출관(2)에 의해 보일러(3)에 연결된다.
그리고, 연료투입부(10)와 연료배출부(50)는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이고, 이 연료투입부(10)와 연료배출부(50)의 사이에 소정간극으로 이격되게 위치된 원통(310)은 연료투입부(10)와 연료배출부(50)의 사이에서 회전되어 연료를 공급받고 받은 연료를 배출한다.
삭제
또한, 구동부(70)는 구동부(70)의 축(75)이 원통(310)의 중심에 직접 고정되게 연결되어 원통(310)을 일정 속도로 회전시키거나, 원통(310)과 구동부(70)의 사이에 크기가 서로 다른 구동풀리(74) 및 피동풀리(76)와 이 풀리들(74)(76)에 개재되는 벨트(78)를 더 설치하여 원통(310)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연료투입부(10)와 연료배출부(50)의 간격은 원통(310)의 외주면보다 약간 크게 설치되도록 하여, 공급 및 배출되는 연료의 이탈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관통홀(330)은 대칭되게 2개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바람직하나, 사용자가 많은 양의 연료를 공급하고자 할 때는 원통(310)을 빠르게 회전시켜 빈번하게 연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원통(310)의 외주면에 많은 수의 관통홀(330)을 형성하면 된다.
상기 원통(310)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77)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회전감지센서(77)인 발광부(771)와 수광부(773)는 각각 원통(310)과 연료투입부(10)에 설치되거나, 원통(310)과 연료배출부(5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되는 원통(310)은 연료투입부(10) 및 연료배출부(50)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연료를 공급 및 배출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0)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5)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타이머(5)는 구동부(70)인 모터(73)의 동작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모터(73)의 동작시간을 조절하면 연료가 일정량만큼 주기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공급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적용된 본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동작중인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동작 후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부(30)는 상기 연료투입부(10)와 연결되는 연료투입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투입홀(351)의 반대편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투입된 연료를 배출하도록 연료배출부(50)와 연결되는 연료배출홀(353)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관(350)과; 상기 장방형의 관(35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연료투입홀(351)을 통해 투입된 연료를 상기 연료배출홀(353)에 이동시키도록 연료저장공간(371)이 형성된 피스톤(37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료저장공간(371)은 연료투입홀(351) 및 연료배출홀(353)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피스톤(370)은 연료저장공간(371)의 후방부가 전진 이동된 상태에서 연료투입홀(351)을 폐쇄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방형의 관(350)은 원형 또는 직사각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장방형의 관(350)의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370)의 외형도 장방형의 관(350)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료투입부(10)와 연료투입홀(351)은 상호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고, 연료배출부(50)와 연료배출홀(353) 역시 상호 접촉된 상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스톤(370)이 장방형의 관(350)의 내부를 따라 직선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연료를 일정간격으로 보일러(3)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70)는 타이머(5)에 의해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피스톤(370)을 구동시키는 구동부(70)가 타이머(5)에 의해 조절되어 연료를 일정간격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370)의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장방형의 관(350)의 전단에 형성되는 턱(357)과; 상기 장방형의 관(350)의 후단에 형성되는 체결홀(358)과; 상기 체결홀(358)에 체결되는 핀부재(359)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턱(357)과 핀부재(359)에 의해 피스톤(370)은 관(350)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체결홀(358)은 나사선을 형성하고, 핀부재(359)는 볼트를 사용하면 핀부재(359)가 체결홀(358)에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다.
이때, 턱(357)과 핀부재(359)를 대신하여 피스톤(370)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8은 도 14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예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20은 도 14에 적용되는 구동부의 다른 예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구동부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피스톤(370)을 직선으로 왕복이동 시키는 실린더(373), 또는 상기 피스톤(370)에 연결되는 래 크(375)와, 상기 래크(375)를 이동시키는 피니언(377)과, 상기 피니언(377)을 회전시키는 모터(379)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구동부(70)는 피스톤(370)을 직선이동 시켜야 하므로, 구동부(70)는 실린더(373)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70)는 가 모터(379)일 경우에는 피스톤(370)에 연결되는 래크(379)와 래크(375)를 이동시키는 피니언(377)을 더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는 도 14의 피스톤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의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1의 동작중인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1의 동작 후의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공급부(30)는 상기 연료투입부(10)와 연결되는 연료투입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투입홀(351)의 반대편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투입된 연료를 배출하도록 연료배출부(50)와 연결되는 연료배출홀(353)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관(350)과; 상기 장방형의 관(35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연료투입홀(351)을 통해 투입된 연료를 상기 연료배출홀(353)에 이동시키도록 전방피스톤부재(361)가 구비되고, 상기 전방피스톤부재(361)의 후방에 연결부재(363)의 일단이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363)의 타단에 후방피스톤부재(365)가 연결되게 형성된 피스톤부(3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피스톤부재(361)와 후방피스톤부재(365)는 연결부재(363)에 의 해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때, 연결부재(363)에 의해 이격된 거리만큼 형성된 공간(367)에 연료가 충진되게 된다.
상기 후방피스톤부재(365)는 상기 연료투입홀(351)을 통해 투입되는 연료를 절단할 수 있도록 전방에 경사면(365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후방피스톤부재(365)는 경사면(365a)에 의해 상부가 날카롭게 되어 연료를 절단할 수 있다. 이때, 경사가 심할수록 연료는 더욱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다.
도 26은 도 22에 도시된 후방피스톤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고, 도 27은 도 26의 단면도이며, 도 28은 도 26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피스톤부재(365)는 상기 연료투입홀(351)을 통해 투입되는 연료를 절단할 수 있는 절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부는,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피스톤(365)의 전방 상부에 형성되는 블레이드(365b) 또는 톱니부재(365c)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블레이드(365b) 또는 톱니부재(365c)는 연료투입홀(351)을 통해 투입되는 연료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투입되는 연료가 연료투입홀(351)과 후방피스톤부재(365)의 사이에 끼이지 않으면서 연료를 정확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에 화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연료공급 중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가 설정된 시간동안 꺼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가동되도록 일정하게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여 보일러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보일러에 공급되는 연료를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으므로, 연료가 끼이지 않게 되어 연료공급이 중단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Claims (17)

  1. 연료를 제공받는 연료투입부(10)와;
    상기 연료투입부(10)를 통해 투입되는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공급부(30)와;
    상기 연료공급부(30)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배출부(50)와;
    상기 연료공급부(30)와 연료투입부(10)를 일치시키고, 상기 연료공급부(30)와 연료배출부(50)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연료공급부(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공급부(30)는
    상기 연료투입부(10)에서 투입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저장실(31)과;
    상기 저장실(31)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나누도록 상기 저장실(31)에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격판(33)과;
    상기 저장실(31)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복수개의 격판(33)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홀(35)이 형성된 상부판(37)과;
    상기 저장실(31)의 하부를 커버하며, 상기 복수개 격판(33)의 사이에 위치되는 하부홀(38)이 형성된 하부판(3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투입부(10)는
    연료가 투입되는 투입구(11)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공급부(30)의 상부에 위치되는 투입판(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배출부(50)는
    연료가 배출되는 배출구(51)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공급부(30)의 하부에 위치되는 배출판(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연료공급부(30)에 끼워지는 회전축(71)과;
    상기 회전축(71)을 회전시키는 모터(73)와;
    상기 모터(73)의 동작을 제어하는 타이머(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70)는
    상기 연료공급부(30)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77)를 더 포 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7. 삭제
  8. 연료를 제공받는 연료투입부(10)와;
    상기 연료투입부(10)를 통해 투입되는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공급부(30)와;
    상기 연료공급부(30)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배출부(50)와;
    상기 연료공급부(30)와 연료투입부(10)를 일치시키고, 상기 연료공급부(30)와 연료배출부(50)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연료공급부(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공급부(30)는
    상기 연료투입부(10)와 연료배출부(50)의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되는 원통(310)과;
    상기 원통(310)의 내부에 복수개의 원통공간(321)이 형성되도록 방사형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격벽(320)과;
    상기 연료투입부(10)와 연료배출부(50)에 대응되도록 상기 원통(310)의 외부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홀(3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통(310)의 회전을 정확하게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7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연료를 제공받는 연료투입부(10)와;
    상기 연료투입부(10)를 통해 투입되는 연료를 저장 및 공급하는 연료공급부(30)와;
    상기 연료공급부(30)에 저장된 연료를 배출시키는 연료배출부(50)와;
    상기 연료공급부(30)와 연료투입부(10)를 일치시키고, 상기 연료공급부(30)와 연료배출부(50)를 일치시키도록 상기 연료공급부(3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0)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공급부(30)는
    상기 연료투입부(10)와 연결되는 연료투입홀(351)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투입홀(351)의 반대편에서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투입된 연료를 배출하도록 연료배출부(50)와 연결되는 연료배출홀(353)이 형성되는 장방형의 관(350)과;
    상기 장방형의 관(35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구동부(7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연료투입홀(351)을 통해 투입된 연료를 상기 연료배출홀(353)에 이동시키도록 연료저장공간(371)이 형성된 피스톤(370)과;
    상기 피스톤(370)의 이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장방형의 관(350)의 전단에 형성되는 턱(357)과;
    상기 장방형의 관(350)의 후단에 형성되는 체결홀(358)과;
    상기 체결홀(358)에 체결되는 핀부재(35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공급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70104625A 2007-07-27 2007-10-17 연료공급장치 KR1008615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848 2007-07-27
KR20070075848 2007-07-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412A Division KR100861529B1 (ko) 2008-07-07 2008-07-07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528B1 true KR100861528B1 (ko) 2008-10-02

Family

ID=40152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625A KR100861528B1 (ko) 2007-07-27 2007-10-17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5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7057A (en) * 1981-05-29 1982-12-03 Iseki & Co Ltd Apparatus for feeding material to be incinerated in incinerator
JPH07309301A (ja) * 1994-05-11 1995-11-28 Nippon Carbon Co Ltd 粉体用定量供給装置
JPH10129603A (ja) * 1996-10-28 1998-05-19 Ueda Seisakusho:Kk 錠剤搬送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7057A (en) * 1981-05-29 1982-12-03 Iseki & Co Ltd Apparatus for feeding material to be incinerated in incinerator
JPH07309301A (ja) * 1994-05-11 1995-11-28 Nippon Carbon Co Ltd 粉体用定量供給装置
JPH10129603A (ja) * 1996-10-28 1998-05-19 Ueda Seisakusho:Kk 錠剤搬送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209A (en) Furnace construction
KR101026191B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 및 이의 연소장치
MXPA05010688A (es) Dispositivo para preparar material plastico.
KR101062979B1 (ko) 연소기구 및 이를 구비한 온풍기와 난방장치
WO2006049427A1 (en) A stove equipped with control means
KR100861529B1 (ko) 연료공급장치
KR200446832Y1 (ko) 목재 펠릿 보일러
KR100861528B1 (ko) 연료공급장치
US5269233A (en) Stoker or particulate conveyor
JP6039005B1 (ja) バイオマス燃料焼却炉
CN110779037A (zh) 片状燃料馈送机
JP5393734B2 (ja) 粒状燃料用自動投入機、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粒状燃料用燃焼装置
US7419049B2 (en) Archimedean conveyors and combustion engines
JP5100232B2 (ja) 木質ペレット燃焼装置
WO2016014004A1 (en) A continuous granular fuel burner
JP6653901B2 (ja) 燃焼装置
JP3127284U (ja) 粉体供給機
KR20110102968A (ko) 로터리 피더
EP2010822B1 (en) Device at a container for combustible goods arranged to be transported by a conveyor from the container to subsequent management
JP2012002401A (ja) 燃焼装置
US20210162426A1 (en) Ice Blasting Machine with Dual-Mode Operation for Water Ice and Dry Ice
JP5030111B2 (ja) 固形燃料燃焼装置の灰除去手段
KR20200143553A (ko) 펠렛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펠렛난로
JP7153399B2 (ja) 燃焼装置
JP4443825B2 (ja) ペレット燃料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