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381B1 -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381B1
KR100861381B1 KR1020060136421A KR20060136421A KR100861381B1 KR 100861381 B1 KR100861381 B1 KR 100861381B1 KR 1020060136421 A KR1020060136421 A KR 1020060136421A KR 20060136421 A KR20060136421 A KR 20060136421A KR 100861381 B1 KR100861381 B1 KR 100861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conveyor
classification
belt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6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1553A (ko
Inventor
김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Priority to KR1020060136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381B1/ko
Publication of KR20080061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1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화물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집차량(300)으로부터 화물을 하차하여 분류하는 하차부(100)와 상기 하차부(100)에서 분류된 화물이 이송되어 배송차량(400)에 분배되는 상차부(20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화물을 하역하는 하역부와 분류하여 상차하는 상차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화물의 이동 동선이 짧아져 분류시간이 단축되며, 하차부에서 1차로 대분류한 다음 상차부로 이송시켜 상차 함에 따라 화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게 되는 것고, 특히, 하차부의 구성을 개선하게 됨으로써 분류시 소요되는 인원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60136421
화물, 컨베이어, 분류.

Description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CONSIGNMENTS SEPARATING SYSTEM BY CONVEYER BELT}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분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평면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차부의 정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차부의 정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차부의 평면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차부의 구성을 성세하게 보여주는 사시 방향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화물이 분류되는 과정을 하차부를 일부 발췌하여 보여주는 분류과정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차부, 110a, 110b : 제1분류벨트,
120 : 제2분류벨트, 130 : 제3분류벨트,
140 : 제4분류벨트, 190L : 좌측 라인,
190R : 우측 라인, 192 : 외측 컨베이어,
194 : 내측 컨베이어, 200 : 상차부,
300 : 수집차량, 400 : 배송차량.
본 발명은 컨베이어 화물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화물이 이송되는 컨베이어를 직선화하고 단순화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화물을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화물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택배와 같은 화물운송회사의 물류창고에서는 수집된 화물을 차량에서 하역하면서 동일 구역의 목적지 끼리 화물을 분류하여 이를 각 지역 담당자가 배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컨베이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화물을 분류하고 있는데, 하역된 화물이 컨베이어 상에 올려지게 되면 라인을 따라 이동하면서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그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주로 전체 시스템의 중앙부에서 화물을 하차시켜 각자 목적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한꺼번에 여러 지점으로 이동시켜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에 따라 컨베이어 라인이 상당히 복잡하게 얽혀 있어 작업공간의 확보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게다가 전체 시스템의 중앙부에서 화물을 하차하게 되면, 화물을 여러 지점 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당히 긴 길이의 컨베이어 라인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결국 컨베이어에서 화물이 이동되는 시간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분류작업에 필요한 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를 유발하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컨베이어 화물분류 시스템이 가진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동선을 정리하여 화물이 이동되는 거리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적은 인원으로도 분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화물분류 시스템을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수집차량으로부터 화물을 하차하여 분류하는 하차부와 상기 하차부에서 분류된 화물이 이송되어 배송차량에 분배되는 상차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화물 분류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평면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각지에서 수집차량(300)에 의해 수집된 화물을 분류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분류시스템의 개략적은 구성을 볼 수 있다. 수집차량(300)으로 부터 화물을 하역하는 하차부(100)와, 상기 하차부(100)에서 하역된 화물이 이송되어 배송차량(400)에 분류되어 상차되는 상차부(20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하차부(100)에서 하역 된 화물은 외측 컨베이어(192)와 내측 컨베이어(194)가 한 조를 이루되 서로 높이 차를 두고 배치되어 구성된 각각의 좌측라인(190L)과 우측라인(190R)을 통해 상차부(200)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좌측라인(190L)과 우측라인(190R)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하차부(100)에서 상차부(200)로 이어지는바, 본 발명에 의한 화물 분류시스템이 상기 두 라인(190L)(190R)을 한번에 작동하여 좌·우측에서 동시에 분류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두 라인(190L)(190R)에서 상차부(200) 부분에는 배송차량(400)으로 화물을 이송하는 다수개의 적재벨트(2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적재벨트(210)와 상기 두 라인(190L)(190R)이 이어지는 지점에 작업자가 배치되게 되며, 작업자는 상기 두 라인(190L)(190R)을 통해 이송되는 화물을 눈으로 확인한 다음 분류될 화물을 적재벨트(210) 쪽으로 끌어당겨 방향을 바꾸어 줌으로써 분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두 라인(190L)(190R)을 구성하는 두 컨베이어(192)(194) 중 외측 컨베이어(192)가 내측 컨베이어(194)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두 컨베이어(192)(194)가 상차부(200)에 이르러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앞쪽에서는 외측 컨베이어(192)로부터 이송된 화물을 분류하고, 뒤쪽에서는 내측 컨베이어(194)로 부터 이송된 화물을 분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차부의 정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차부의 정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차부(100)에서는 좌측라인(190L)과 우측라인(190R)을 구성하는 각각의 외측 컨베이어(192)는 내측 컨베이어(194)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두 대의 수집차량(300)에서 하차 되는 화물을 서로 분류하고 합하여 한번에 네 종류로 구분하여 분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반면, 상차부(200)에서는 좌측라인(190L)과 우측라인(190R)을 구성하는 각각의 외측 컨베이어(192)와 내측 컨베이어(194)가 높이 차가 없이 수평 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외측 컨베이어(192)가 내측 컨베이어(194)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이송된 화물을 분류하여 적재벨트(210)을 통해 배송차량(400)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높이 차를 둘 필요가 없는 구성이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차부의 평면 구성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확대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차부의 구성을 성세하게 보여주는 사시 방향 확대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차부(100)는 수집차량(300)으로부터 하역된 화물을 최초로 이송하는 제1분류벨트(110a)(110b) 및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에서 분기 되 어 화물을 이송하는 제2분류벨트(120), 제3분류벨트(130), 제4분류벨트(140)를 가지며, 상기 각 분류벨트(110a)(110b)(120)(130)(140)에서 분류된 화물을 이송하는 좌·우측라인(190L)(190R)으로 구성된다.
좌·우측라인(190L)(190R)은 각각 외측 컨베이어(192)와 내측 컨베이어(194)가 높이 차를 두고 형성되어 한 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화물 분류시스템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며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좌·우측라인(190L)(190R)은 컨베이어 벨트로써 분류된 화물을 이송하는 작용을 한다.
제1분류벨트(110a)(110b)는 상기 좌측라인(190L)의 좌측과 상기 우측라인(190R)의 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최초 개별적으로 연장되다가 중간지점인 좌·우측라인(190L)(190R)의 아랫부분에 형성된 공간에서 합류되며, 그 끝단은 서로 반대편 라인의 외측 컨베이어(19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제1분류벨트(110a)(110b)는 두 대의 수집차량(300)에서 하역되는 화물을 한꺼번에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하역부(100)를 이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최소 단위이다.
제2분류벨트(120)는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의 시작지점 부근 바깥쪽에서 분기 되어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끝단이 인접한 외측 컨베이어(192)에 연결되어 있다. 즉, 좌측에서 시작된 제2분류벨트(120)는 좌측 라인(190L)측에 형성된, 우측에서 시작된 제2분류벨트(120)는 우측 라인(190R)에 형성된 외측 컨베이어(192)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제3분류벨트(130)는 상기 두 제1분류벨트(110a)(110b)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 로서, 시작 지점이 분기 되어 각각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연결되어 있으며 그 끝단은 인접한 내측 컨베이어(194)에 연결되게 된다. 상기 제2분류벨트(120)와 마찬가지로 좌측에서 시작된 제3분류벨트(130)는 좌측라인(190L)측에 형성된, 우측에서 시작된 제3분류벨트(130)는 우측라인(190R)에 형성된 내측 컨베이어(194)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제4분류벨트(140)는 상기 두 개의 제1분류벨트(110a)(110b)가 합류된 지점 이후인 좌·우측라인(190L)(190R)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작지점은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에 연결되어 있으며 끝단은 진행방향에 형성된 내측 컨베이어(194)에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두 개의 제1분류벨트(110a)(110b)를 기본으로 하여 제2분류벨트(120), 제3분류벨트(130), 제4분류벨트(140)로 분기 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하역부(300)를 이루는 최소 단위의 구성으로서, 두 대의 수집차량(300)으로부터 하역되는 화물을 한꺼번에 분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며, 필요에 따라 하역부(300) 내에서 설치 숫자를 조절할 수 있는바, 바람직하게는 3~5개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라인의 외측 컨베이어(192)와 내측 컨베이어(194)에는 각각 네 개씩의 벨트가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최초 수집차량(300)에서 하역된 화물을 네 개의 대분류로 분리하여 이송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화물 분류 시스템의 작동을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해 화물이 분류되는 과정을 하차부를 일부 발췌하여 보 여주는 분류과정 설명도 이다.
도면에서 좌측과 우측에서 분류과정이 동일하므로 한쪽인 좌측의 분류과정을 선정하여 설명한다.
최초 하역된 화물은 두 개의 제1분류벨트(110a)(110b)로 유입되게 된다. 각각의 제1분류벨트(110a)(110b)는 차량 한 대씩이 배치되어 화물을 한꺼번에 분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시작지점에서 제2분류벨트(120)와 제3분류벨트(130)로 화물을 분리하여 보내주게 된다. 1차 분류 작업자(P1)(P2)는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와 제2분류벨트(120)가 갈라지는 지점에서 유입되는 화물을 눈으로 확인하고 미리 약속된 방향으로 밀어 제2분류벨트(120)와 제3분류벨트(130) 방향으로 분류하여 주게 된다.
제2분류벨트(120) 쪽으로 밀려 분리된 화물은 좌측 라인(190L)의 외측 컨베이어(192)로 이송되게 되며, 제3분류벨트(130)로 밀려 분리된 화물은 좌측 라인(190L)의 내측 컨베이어(194)로 이송되게 된다. 이를 통해 1차 분류 작업자(P1)(P2)에 의한 한 번의 작업만으로 두 개의 대분류로 화물이 분류된다.
상기 1차 분류 작업자(P1)(P2)에 의해 분류되지 않은 화물은 계속하여 제1분류벨트(110a)(110b)를 따라 이송된다.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를 따라 이송되는 화물은 좌측 라인(190L) 아래에 형성된 합류지점에서 합류된 다음 계속하여 이송된다.
이후, 화물은 계속 진행하다가 상기 제4분류벨트(140)와 분기 되는 지점에서 2차 분류 작업자(P3)에 의해 분리되는데, 일부는 제4분류벨트(140) 측으로 진행하 고 나머지는 계속 직진하게 된다. 즉, 상기 제4분류벨트(140)로 분류된 화물은 우측 라인(190R)의 내측 컨베이어(194)에 이르게 되며, 나머지는 계속 진행하여 우측 라인(190R)의 외측 컨베이어(192)에 이르러 분류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두 대의 차량에서 하역된 화물이 총 네 개의 대분류로 분류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류된 화물은 내측과 외측 컨베이어(192)(194)를 따라 직선으로 이송되어 상차 과정을 거쳐 각지로 배송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물을 하역하는 하역부와 분류하여 상차하는 상차부가 일직선상에 배치되어 화물의 이동 동선이 짧아져 분류시간이 단축되며, 하차부에서 1차로 대분류한 다음 상차부로 이송시켜 상차 함에 따라 화물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분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하차부의 구성을 개선하게 됨으로써 분류시 소요되는 인원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삭제
  2. 수집차량(300)으로부터 화물을 하차하여 분류하는 하차부(100)와 상기 하차부(100)에서 분류된 화물이 이송되어 배송차량(400)에 분배되는 상차부(200)가 일직선상에 배치되게 구성되되,
    상기 하차부(100)는,
    외측 컨베이어(192)와 내측 컨베이어(194)가 한 조를 이루되 서로 높이 차를 두고 배치되어 구성된 좌측라인(190L);
    상기 좌측라인(190L)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외측 컨베이어(192)와 내측 컨베이어(194)가 한 조를 이루되 서로 높이 차를 두고 배치되어 구성된 우측라인(190R)과;
    상기 좌측라인(190L)의 좌측과 상기 우측라인(190R)의 우측에 각각 한 쌍으로 설치되되, 중간지점에서 합류되며, 그 끝단은 서로 반대편 라인의 외측 컨베이어(192)에 연결되는 제1분류벨트(110a)(110b)와;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의 바깥쪽에 인접하여 설치되되, 시작지점은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에 연결되고 그 끝단이 외측 컨베이어(192)에 연결되는 제2분류벨트(120)와;
    상기 두 제1분류벨트(110a)(110b) 사이에 설치되되, 시작 지점이 분기 되어 각각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연결되고 그 끝단은 내측 컨베이어(194)에 연결되는 제3분류벨트(130)와;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의 중간지점에서 인접하여 설치되되, 시작지점은 상기 제1분류벨트(110a)(110b)에 연결되고 끝단은 상기 내측 컨베이어(194)에 연결되는 제4분류벨트(140)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차부(200)는,
    상기 내측 컨베이어(194)가 외측 컨베이어(192)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분류된 화물을 각각 배송차량(400)에 운반하는 다수개의 적재벨트(210)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컨베이어(194)에 형성되는 적재벨트(210)는 상기 외측 컨베이어(192)의 끝단 지점에서부터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화물분류 시스템.
KR1020060136421A 2006-12-28 2006-12-28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KR100861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421A KR100861381B1 (ko) 2006-12-28 2006-12-28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6421A KR100861381B1 (ko) 2006-12-28 2006-12-28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553A KR20080061553A (ko) 2008-07-03
KR100861381B1 true KR100861381B1 (ko) 2008-10-01

Family

ID=39813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6421A KR100861381B1 (ko) 2006-12-28 2006-12-28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625A (ko) * 2014-04-18 2015-10-28 주식회사 코로텍 화물 자동분류 시스템
WO2018231349A1 (en) * 2017-06-15 2018-12-20 Laitram, L.L.C. Building expansion module for parcel sor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303A (ko) 2015-09-24 2017-04-03 우양정공주식회사 컨베이어의 방향전환장치
KR102610228B1 (ko) * 2021-11-19 2023-12-06 주식회사 보우시스템 택배 물류 상하차 자동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619A (ja) 1984-07-27 1986-02-22 Sandobitsuku Kk 荷物仕分け装置
JPH09156761A (ja) * 1995-12-14 1997-06-17 Murata Mach Ltd 仕分けシステム
JPH09202437A (ja) * 1996-01-25 1997-08-05 Murata Mach Ltd 仕分けシステム
JPH09278127A (ja) * 1996-04-10 1997-10-28 Toyo Kanetsu Kk 物品の入出荷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075636A (ja) * 2003-09-04 2005-03-24 Daifuku Co Ltd 仕分装置
KR20060038334A (ko) * 2004-10-29 2006-05-03 샌드빅 소팅 시스템즈 가부시키 가이샤 분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7619A (ja) 1984-07-27 1986-02-22 Sandobitsuku Kk 荷物仕分け装置
JPH09156761A (ja) * 1995-12-14 1997-06-17 Murata Mach Ltd 仕分けシステム
JPH09202437A (ja) * 1996-01-25 1997-08-05 Murata Mach Ltd 仕分けシステム
JPH09278127A (ja) * 1996-04-10 1997-10-28 Toyo Kanetsu Kk 物品の入出荷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5075636A (ja) * 2003-09-04 2005-03-24 Daifuku Co Ltd 仕分装置
KR20060038334A (ko) * 2004-10-29 2006-05-03 샌드빅 소팅 시스템즈 가부시키 가이샤 분류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625A (ko) * 2014-04-18 2015-10-28 주식회사 코로텍 화물 자동분류 시스템
KR101642447B1 (ko) 2014-04-18 2016-07-25 주식회사 코로텍 화물 자동분류 시스템
WO2018231349A1 (en) * 2017-06-15 2018-12-20 Laitram, L.L.C. Building expansion module for parcel sor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1553A (ko)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9158B2 (en) Conveying device
KR100861381B1 (ko) 컨베이어 화물 분류시스템
EP1167246A1 (en) Dual entry - double helix spiral chute
AU2015290093A2 (en) High rate bulk flow sortation
CN102844251A (zh) 拣选设备和用于拣选包装件的方法
CN105189291B (zh) 用于处理分拣物品的设备
KR102247934B1 (ko) 통합 물품 분류 시스템
CN107899958A (zh) 多平台物品逐级分拣系统及方法
CN207192349U (zh) 一种多向分拣辅助装车装置
WO2011141450A1 (de) Stückgutbehandlungsanlage
CN204276368U (zh) 带有两个存储区域的分类设备
KR20200025317A (ko) 물품 분류 시스템
US10744536B2 (en) Equipment for automatically sorting non-standard parcels
KR101025982B1 (ko) 분류 라인
JP4276161B2 (ja) 仕分けシステム
KR102317010B1 (ko) 탑차 적재물의 자동 분류 및 이송장치
CN214494605U (zh) 一种包裹分类装置
JPH0853221A (ja) 荷物搬送仕分方法および装置
CN109570039B (zh) 一种实现包裹单件分离的方法
CN209901742U (zh) 分拣装车装置
CN213051552U (zh) 快递快运分拣系统
US20200086350A1 (en) A shuttle trolley having a deck structured for sorting non-standard parcels
KR101642447B1 (ko) 화물 자동분류 시스템
CN208813990U (zh) 货场结构
CN206218613U (zh) 一种立体仓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