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335B1 -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335B1
KR100861335B1 KR1020020001154A KR20020001154A KR100861335B1 KR 100861335 B1 KR100861335 B1 KR 100861335B1 KR 1020020001154 A KR1020020001154 A KR 1020020001154A KR 20020001154 A KR20020001154 A KR 20020001154A KR 100861335 B1 KR100861335 B1 KR 10086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pipe
rice
weight
hopper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5419A (ko
Inventor
사이구사다쓰노리
미토모세이키
후쿠시마유키오
미야모토마사아키
다카하시쇼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플랜트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020095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66Use of indicator or control devices, e.g. for controlling gas pressure, for controlling proportions of material and gas, for indicating or preventing jamm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 G01G13/02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 G01G13/04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 G01G13/10Means for automatically loading weigh pans or other receptacles, e.g. disposable containers, under control of the weighing mechanism involving dribble-feed means controlled by the weighing mechanism to top up the receptacle to the target weight wherein the main feed is effected by pneumatic conveying means, e.g. by fluidised feed of gran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분립체(粉粒體)를 규정 중량만큼 정확하게 수송시킬 수 있는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및 공기수송방법을 제공한다.
송기류(17)를 발생 가능하게 하는 수송관(18)과, 이 수송관(18)의 상류측에 설치되는 호퍼(14)와, 수송관(18)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계량탱크(16)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들 기기에 제어수단(28)을 접속하여, 쌀(12)의 중량과 시간 경과에 대한 중량 증가율을 산출하여 로터리피더(20)의 정지시점을 판단하도록 하였다.
Figure 112002000611408-pat00008
공기수송시스템, 호퍼, 로터리피더, 계량탱크, 쌀, 분립체

Description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및 공기수송방법{AIR TRANSFER SYSTEM FOR GRANULAR MATERIAL AND THE METHOD THEREFOR}
도 1a 및 1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의 구성 설명도.
도 2는 계량탱크에 수용되는 쌀의 중량증가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의 응용예를 나타낸 구성 설명도.
도 4a 및 4b는 계량탱크에 수송된 각종 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브랜드미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의 혼합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12 : 쌀
14 : 호퍼 16 : 계량탱크
17 : 송기류 18 : 수송관
20 : 로터리피더 22 : 블레이드
24 : 블로어 26 : 로드셀
28 : 제어수단 30 : 신호선
32 : 신호선 34 : 직선
36 : 중량설정치 40 : 제1호퍼
38 :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42 : 제2호퍼
44 : 제3호퍼 46 : 쌀(A)
48 : 쌀(B) 50 : 쌀(C)
52 : 계량탱크 54 : 회전축
56 : 브랜드미
본 발명은 분립체(粉粒體) 공기수송시스템 및 공기수송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호퍼에서 정확하게 분립체를 계량탱크에 수송하는데 적합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및 공기수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 품종 또는 각 생산지의 쌀이 혼합되어 브랜드미로서 출하되고 있다. 이 분립체가 되는 브랜드미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브랜드미의 혼합장치 (61)에 의해 혼합되고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정미나 겨 제거 등의 공정을 거친 각종 백미(A),(B) ,(C),(D)…가, 복수의 백미용 수용탱크(63A),(63B),(63C),(63D)…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이 복수의 백미용 수용탱크(63A),(63B),(63C),(63D)…에는 각각 브랜드계량기(65A),(65B),(65C),(65D)…가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브랜드미로서 지정된 백미(A),(B),(C)는 브랜드계량기(65A),(65 B),(65C)로 계측되면서 제1컨베이어(67)상에 낙하하여 반송된다. 백미(A),(B),(C)는 제1수직용 컨베이어(69)에 올려져 위쪽으로 반송된 후에, 브랜드 수용용 탱크 (71)에 수용된다.
또한, 백미(A),(B),(C)는 브랜드 수용용 탱크 (71)에서 정선(精選)장치(73)로 옮겨져, 소정 크기의 백미로 선정된 후에 제2컨베이어(75), 제2수직용 컨베이어 (77) 및 제3컨베이어(78)를 거쳐 복수개로 이루어지는 브랜드미용 계량탱크(79A) ,(79B),(79C)…내의 브랜드미용 계량탱크(79A)에 수용된다.
각 브랜드미용 계량탱크(79A),(79B),(79C)…에는, 각각 중량지정배출장치(단량(端量)계량기)(81A),(81B),(81C),(81D)…에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면, 브랜드미(A),(B),(C)는, 중량지정배출장치(81A)에서 중량을 계측하면서 제4컨베이어(83)상에 낙하하여 반송된다.
반송된 브랜드미(A),(B),(C)는 제3수직용 컨베이어(85)로 위쪽으로 반송된 후에, 섭취(攝取)장치(87)에서 이물질이 제거되고, 또한 수용되어 있는 금속이 금속검출기(89)에서 검사되어 제거되고 있다.
이물질이 제거된 브랜드미(A),(B),(C)는 제4수직용 컨베이어(91)로 위쪽으로 반송된 후에, 제5컨베이어(93)를 거쳐 계량용 탱크(95)에 저장된다.
계량용 탱크(95)에 저장된 브랜드미(A),(B),(C)는 계량용 탱크(95)로 계측하면서 포장설비(97)에 옮겨져 소정 중량씩 포장되어 출하되고 있다.
그러나,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브랜드미(A),(B),(C)의 혼합장치에서는, 탱크의 제품이 백미용 수용탱크, 브랜드수용용 탱크, 브랜드미용 계량탱크 및 계량용 탱크 등의 복수 종류의 제품탱크가 필요해져서 설비비가 증가하는 동시에 넓은 설비장소가 필요해진다.
또, 종래의 혼합장치에서는 복수 종류의 제품 탱크 및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송시간이 많이 걸리고 브랜드미를 혼합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걸리고, 브랜드미를 저장하기 위해 소정 개수의 브랜드미용 계량탱크와 중량지정배출장치(단량계량기)가 필요해지고 있다.
또한, 이 혼합장치에서는 쌀을 반송하기 위한 다수의 컨베이어와, 각 공정에서 쌀을 계량하는 계량장치 및 컨베이어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의 이물질검출장치 등 각종 기기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설비가 복잡해지는 동시에, 메인티넌스 및 청소에 많은 시간이 걸려 비용이 높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분립체를 규정중량만큼 정확하게 수송시킬 수 있는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및 공기수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은, 송기수단을 구비하여 관내에 송기류를 발생 가능하게 하는 수송관과, 이 수송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송관내에 분립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호퍼와, 상기 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립체를 상기 수송관을 통하여 수용 가능하게 하는 계량탱크와, 상기 수송관 도중에 있는 상기 분립체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계량탱크에 도달한 분립체의 중량을 가산한 값이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호퍼에 상기 분립체의 공급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을, 송기수단을 구비하여 관내에 송기류를 발생 가능하게 하는 수송관과, 이 수송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송관내에 분립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호퍼와, 상기 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립 체를 상기 수송관을 통하여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된 상기 분립 체위 휘저음을 하는 계량탱크와, 임의의 상기 호프에서 공급된 상기 수송관 도중의 상기 분립 체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계량탱크에 도달한 분립 체의 중량을 가산한 값이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임의의 상기 호프에 상기 분립 체의 공급정지신호늘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며, 복수의 상기 호프로부터 수용된 각종 분립 체를 상기 계량탱크에서 휘저음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공기수송방법은, 호프를 통하여 분립 체를 수송관의 상류 측에 공급하고, 상기 수송관에서의 하류 측의 계량탱크에서 상기 분립 체를 수용할 때에, 상기 계량탱크에서의 상기 분립 체의 중량 증가의 변화고를 산출하고, 이 변화 도에서 상기 계량탱크에서의 상기 분립 체의 중량을 설정치로 일치시키기 위해, 얼마만큼 사전에 상기 호프를 정지시키는가의 시간차를 산출하여, 이 시간차에 따라 상기 호프에서 상기 분립 체의 공급을 정지하는 순서로 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송기 수단을 가동시켜 수송관 내에 송이류를 발생시킨 후, 상기 수송관의 상류 측에 설치된 호프에서 분립 체를 공급하면, 해당 분립 체는 송이류에 의해 수송관의 하류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하류 측으로 이동한 분립 체는 계량탱크에 수용된다. 여기서, 계량탱크는 수용되는 분립 체를 계측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시간 경과와 함께 증가하는 분립 체의 중량을 계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계량탱크에 미리 설정한 중량 분만큼 분립 체를 수용시키고자 하면 제어수단은, 먼저 현시점에서의 계량탱크내에 있는 분립체의 중량을 계측하는 동시에, 상기 계량탱크에서 시간경과에 대한 분립체의 증가만큼, 즉 분립체의 중량 증가의 변화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중량증가의 변화도에서 계량탱크에 미리 설정된 중량만큼 분립체를 수용하는 데는, 수송관 도중에 있는 분립체의 중량을 고려하여, 계량탱크에서의 분립체의 중량계측기가 설정치에 도달하는 몇 초 전에(어느 정도 사전에), 호퍼를 정지시키면 되는가를 산출한다.
이와 같이 계량탱크에서의 분립체의 중량계측치가 설정치에 도달하는 몇 초 전에 호퍼를 정지시키면 되는가를 산출한 후에는, 제어수단은 이값에 따라 호퍼를 정지시킨다.
그런데, 호퍼를 정지시켜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한 후에도, 송기수단은 가동하고 있으며, 수송관내에는 송기류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송관 도중에 있는 분립체는 호퍼를 정지시킨 후에도 상기 송기류에 의해 하류측으로 이동하고, 계량탱크에 수용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송관 도중에 있는 분립체의 중량을 예측하여 호퍼를 사전에 정지시키고 있으므로, 계량탱크에는 분립체를 정확한 양만큼 수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수송관에 복수의 호퍼를 접속하는 동시에, 계량탱크에 수용된 분립체를 교반 가능하게 하면, 정확한 혼합율을 가진 브랜드분립체를 만들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호퍼에 종류가 다른 분립체를 투입한 후, 임의의 호퍼를 가동시켜, 특정의 분립체를 계량탱크에 보낸다.
제어수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계량탱크에 수용된 분립체의 중량 및 중량 증가의 변화도에서 임의의 호퍼의 정지시간을 산출하므로, 임의의 호퍼에서 계량탱크에는 정확한 양의 분립체를 수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계량탱크에 임의의 양만큼 분립체를 수송시킨 후에는, 다른 호퍼에서 다른 종류의 분립체를 공급하여, 미리 정해진 중량분만큼 분립체의 수송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호퍼로부터 차례로 분립체를 계량탱크에 수송시키면, 미리 정한 혼합비(중량비)에 따라 분립체를 계량탱크에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분립체를 미리 정한 혼합비에 따라 계량탱크에 수용한 후에는, 상기 계량탱크를 회전시켜, 교반작업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계량탱크에 의한 교반작업을 하면, 정확한 혼합비를 가진 분립체를 균일하게 브랜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및 공기수송방법에 적합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의 구성 설명도이며, 상기 도 1a는 상기 시스템의 전체도이며, 상기 도 1b는 상기 도 1a에서의 A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10)에서는 수송입구측에 분립체가 되는 쌀(12)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방향(一方向) 시스템(10)에서의 수송출구 측에는, 상기 쌀(12)을 수용하기 위한 계량탱크(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호퍼(14)와 계량탱크(16)를 접속하도록, 공기수송을 하는 수송관(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한 조(組)의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10)만을 표시하고 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10)을 직렬로 접속하여, 수송 대상이 되는 쌀(12)을 각종 처리공정에 투입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수송입구측에 배치되어, 쌀(12)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호퍼(14)는, 그 하부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그 선단부는 전술한 수송관(18)의 측부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호퍼(14)에서의 상기 선단부의 도중에는 로터리피더(rotary feeder) (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터리피더(20)는 회전축에 대하여 균등한 위치에 블레이드(24)를 배치한 것이며, 이것을 도시하지 않은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호퍼(14)에 투입된 쌀(12)을 수송관(18)에 투입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로터리피더(20)를 설치함으로써 수송관(18)내의 압력이 호퍼(14)측으로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러므로 상기 수송관(18)내의 압력에 의해 호퍼(14)내의 쌀(12)이 낙하하지 않고, 이 쌀(12)을 수송관(18)내에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수송관(18)에 있어서는, 그 시단측(始端側)에 송기를 가능하게 하는 블로어(2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블로어(24)를 가동시킴으로써, 수송관 (18)의 내부에 호퍼(14)측에서 계량탱크(16)를 향한 송기류(17)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 있어서는, 수송관(18)에는 3곳의 굴곡부분이 존재하고 있지만, 수송 도중의 쌀(12)이 상기 수송관(18)의 내벽에 충돌하여, 분쇄(粉碎)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굴곡 부분은 큰 코너부로 하고, 충돌에 의한 에너지를 완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송관(18)에 있어서의 종단부(終端部), 즉 상기 시스템(10)에서의 수송출구측에는, 상기 수송관(18)을 경유한 쌀(12)을 수용하기 위한 계량탱크(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량탱크(16)는 수송관(18)을 경유하여 수용된 쌀(12)의 중량을 계측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그 중량계측은 계량탱크(16)의 측부에 장착된 1쌍의 로드셀 (26)에 의해 행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10)에 있어서는, 도면 중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수단(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제어수단(28)은 상기 계량탱크(16)에서의 로드셀(26) 및 호퍼(14)에서의 로터리피더(20)와 신호선(30),(3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28)은 로드셀(26)로부터의 중량신호를 받음으로써, 그 내부에서 수송관(18) 도중에 있는 쌀(12)의 중량을 산출하여, 이 수송관(18)의 도중에 있는 쌀(12)의 중량을 고려하여, 계량탱크(16)에 수용되는 쌀(12)의 중량을 미리 설정한 값에 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10)을 이용하여, 계량탱크(16)에 규정 중량만큼 쌀(12)을 수송시키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계량탱크(16)에 수송되는 쌀(12)의 규정중량을 설정하고, 이 값을 제어수단(28)에 입력한 후에는, 블로어(24)를 가동시켜, 수송관(18)의 내부에 송기류 (17)를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수송관(18)의 내부에 송기류(17)를 발생시킨 후에는, 로터리피더 (20)를 가동시켜, 이 로터리피더(20)에서의 블레이드(22)를 등속(等速)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22)를 등속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호퍼(14)내에 투입된 쌀 (12)은 거의 균일하게 수송관(18)에 공급된다.
도 2는 계량탱크에 수용되는 쌀의 중량 증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그래프에서는, 횡축에 로터리피더(20)의 가동시점으로부터의 시간 경과가 나타나 있으며(즉 원점은 로터리피더(20)의 가동시점임), 종축은 로드셀 (26)로 계측되는 쌀(12)의 중량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퍼(14)에서 로터리피더(20)를 통하여 수송관 (18)에 쌀(12)이 투입되면, 이 쌀(12)은 수송관(18)내를 이동하여, 계량탱크(16)에 일정한 시간차(t1)를 가지고 도달한다.
그런데, 로터리피더(20)는 거의 일정한 쌀(12)을 수송관(18)내에 보낼 수 있으므로, 이 쌀(12)의 송출에 따라 수송관(18) 말단의 계량탱크(16)에도 거의 일정한 쌀(12)이 도달한다.
그러므로,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간경과에 대한 쌀(12)의 수송량은 거의 직선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시간경과에 대한 쌀(12)의 수송량은 거의 직선으로 표시되므로, 수송 도중에 이 직선(34)과 미리 설정된 중량 설정치(36)가 교차하는 시간(t3)을 제어수단(28)으로 산출하여, 이 시점(t3)에서 쌀(12)이 수송관(18)내를 이동하는 시간(t1)을 빼면, 이 시점(t2)에서 수송관(18) 도중에 있는 쌀(12)의 중량과 계량탱크(16)에 도달한 쌀(12)의 중량의 합이 중량설정치와 동등해지는 것을 알았다.
이와 같이 제어수단(28)으로, 수송관(18) 도중에 있는 쌀(12)의 중량과 계량탱크(16)에 도달한 쌀(12)의 중량의 합이 중량설정치와 동등해지는 시간(t2)을 산출하면, 이 제어수단(28)은 신호선(32)을 통하여 로터리피더(20)에 쌀(12)의 공급정지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쌀(12)의 공급개시로부터 t2를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로터리피더(20)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 로터리피더(20)를 정지시킴으로써, 쌀(12)의 수송관(18)에의 공 급은 정지되지만, 블로어(24)는 가동한 상태에 있으므로, 이미 수송관(18)내에 공급된 쌀(12)은 상기 블로어(24)에 의한 송기류(17)에 의해 계량탱크(16)에 도달한다.
그리고 이들 수송관(18)의 도중에 있는 쌀(12)은 계량탱크(16)에 이미 도달한 쌀(12)과 함께 이미 중량설정치내에 더함으로써 상기 수송관(18) 도중에 있는 쌀(12)이 계량탱크(16)에 도달함으로써, 이 계량탱크(16)에는 정확한 양의 쌀이 수송된다.
그런데, 전술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10)에서는, 수송관(18)의 단부에 단일의 호퍼(14)와, 계량탱크(16)를 설치하고, 상기 호퍼(14)에서 방출되는 쌀(12)을계량탱크(16)에서 수용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각종 형태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은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의 응용예를 나타낸 구성 설명도이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10)의 응용예가 되는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38)은 상기 시스템(10)에 대하여 호퍼의 수와, 계량탱크의 작용이 다른 것뿐이다.
그러므로, 상기 시스템(38)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10)과 동일한 곳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기로 하고, 또한 동일한 곳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38)에서는 수송관(18)에 제1호퍼(40), 제2호퍼(42), 제3호퍼(4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호퍼 구조는, 전술한 호퍼(14)와 동일하며, 이 호퍼의 하측에 설치된 로터리피더(20)를 가동시킴으로써, 수송관(18)내에 분립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제1호퍼(40)에는 쌀(A46)이 투입되고, 제2호퍼 (43) 및 제3호퍼(44)에는 쌀(B48) 및 쌀(C50)이 각각 투입된다.
한편, 수송관(18)의 말단에 배치되는 계량탱크(52)는, 복수의 호퍼에서 공급된 쌀을 수용이 가능하게 하고 있는 동시에, 회전축(54) 주위에 탱크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탱크내에 수용한 쌀의 교반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계량탱크(52)의 회전은, 상기 회전축(54) 주위에 모터 등과 장착하여, 이 모터 등의 가동에 의해 행하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38)을 사용하여, 브랜드미를 제조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쌀(A46), 쌀(B48), 쌀(C50)로 이루어지는 브랜드미의 중량혼합비를 설정하고, 이 중량혼합비를 제어수단(28)에 입력한다.
그리고, 블로어(24)를 가동시켜 수송관(18)내에 송기류를 발생시킨 후, 제1호퍼(40)에서의 로터리피더(20)를 가동시킨다.
이 로터리피더(20)를 가동시키면 쌀(A46)은, 수송관(18)을 경유하여 계량탱크(52)에 도달한다. 여기서 제어수단(28)은, 로드셀(26)의 값에서 계량탱크(52)에서의 쌀(A46)의 중량과, 그 중량증가율을 산출하여 쌀(A46)이 소정의 중량만큼 투입되는데는, 어느 시점에서 로터리피더(20)를 정지시키면 되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에 따라 그 경과시점에서 상기 로터리피더(20)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계량탱크(52)에 쌀(A46)을 미리 설정한 중량만큼 투입시킨 후에는, 제어수단(28)은 이번에는 제2호퍼(42)에서의 로터리피더(20)를 가동시켜, 수송관(18)내에 쌀(B48)을 공급한다.
그리고, 수송관(18)내에 쌀(B48)이 공급되면, 이 쌀(B48)은 수송관(18)을 경유하여 계량탱크(52)에 도달한다.
여기서 제어수단(28)은, 이미 계량탱크(52)에 투입된 쌀(A46)의 중량을 빼고, 쌀(B48)의 중량과 그 중량증가율을 산출하여, 쌀 (B48)이 소정의 중량만큼 투입하는데는, 어느 시점에서 로터리피더(20)를 정지시키면 되는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에 따라 그 경과시점에서 상기 로터리피더(20)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계량탱크(52)에 쌀(B48)을 미리 설정한 중량만큼 투입시킨 후에는, 제어수단(28)은 제3호퍼(44)에서의 로터리피더(20)를 가동시켜, 수송관(18)내에 쌀 (C50)을 공급한다. 그리고, 계량탱크(52)에 쌀(C50)을 투입하는 순서는 전술한 쌀 (A46) 및 쌀(B48)과 동일하다.
도 4a 및 4b는 계량탱크에 수송된 각종 쌀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상기 도 4a는 계량탱크의 교반 전을 나타내고, 상기 도 4b는 계량탱크의 교반 후를 나타낸다. 상기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호퍼(40), 제2호퍼(42), 제3호퍼 (44)에서 개별로 투입된 쌀(A46), 쌀(B48), 쌀(C50)은 호퍼가 연속하여 전환되므로, 계량탱크(52)내에서 적층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는 계량탱크(52)를 회전축(54)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적층된 상태가 무너지고 상기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쌀이 균일하게 교반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각 호퍼에서 공급되는 쌀을 정확하게 계량탱크(52)에 수용하고, 그 후 상기 계량탱크(52)를 교반하면, 혼합비율이 정확하고 치우침이 없는 브랜드미 (56)를 안정적으로 제조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전술한 설명에서는 계량탱크를 회전 가능하게 하여 교반을 하도록 하였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예를 들면 계량탱크의 후단에 교반기를 설치해두고, 이 교반기에 의해 계량탱크에 수송된 분립체의 교반을 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호퍼에서 공급되는 쌀을 정확하게 계량탱크에 수송하는 수단으로서 쌀의 중량과 그 중량증가율을 산출하여, 로터리피더의 정지시점을 판단하도록 하였지만, 이 방식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다른 수단을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호퍼(단일의 호퍼도 됨)에서 계량탱크에 이르기까지의 수송관의 길이를 미리 알고 있으므로, 이 수송관을 통과하는 공기량, 로터리피더에 의한 분립체의 공급량, 이 분립체의 실질 비중, 혼합비(단위시간당 수송되는 분립체 질량/단위시간당 공기질량)을 요소(要素)로 하여 제어수단으로 연산을 하면, 수송관 도중에 있는 분립체의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도 본 발명에 관한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송기수단을 구비하여 관내에 송기류를 발생 가능하게 하는 수송관과, 이 수송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송관 내에 분립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호퍼와, 상기 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립체를 상기 수송관을 통하여 수용이 가능하게 하는 계량탱크와, 상기 수송관 도중에 있는 상기 분립체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계량탱크에 도달한 분립체의 중량을 가산한 값이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호퍼에 상기 분립체의 공급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갖거나 또는 송기수단을 구비하여 관내에 송기류를 발생 가능하게 하는 수송관과, 이 수송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송관내에 분립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호퍼와, 상기 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립체를 상기 수송관을 통하여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된 상기 분립체의 교반을 하는 계량탱크와, 임의의 상기 호퍼에서 공급된 상기 수송관 도중의 상기 분립체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계량탱크에 도달한 분립체의 중량을 가산한 값이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임의의 상기 호퍼에 상기 분립체의 공급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며, 복수의 상기 호퍼로부터 수용된 각종 분립체를 상기 계량탱크에서 교반 가능하게 하거나, 또한 호퍼를 통하여 분립체를 수송관의 상류측에 공급하고, 상기 수송관에서의 하류측의 계량탱크에서 상기 분립체를 수용할 때에, 상기 계량탱크에서의 상기 분립체의 중량 증가의 변화도를 산출하고, 이 변화도에서 상기 계량탱크에서의 상기 분립체의 중량을 설정치에 일치시키기 위해, 얼마만큼 사전에 상기 호퍼를 정지시키는가의 시간차를 산출하여, 이 시간차에 따라 상기 호퍼에서 상기 분립체의 공급을 정지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메인티넌스가 양호하여 이물질 수용의 우려가 없는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분립체의 수송량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호퍼에서 이종(異種)의 분립체를 공급하면. 정확한 혼합비율로 이루어지는 분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송기수단을 구비하여 관내에 송기류를 발생 가능하게 하는 수송관과, 이 수송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송관 내에 분립체(粉粒體)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호퍼와, 상기 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립체를 상기 수송관을 통하여 수용 가능하게 하는 계량탱크와, 상기 수송관 도중에 있는 상기 분립체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계량탱크에 도달한 분립체의 중량을 가산한 값이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상기 호퍼에 상기 분립체의 공급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2. 송기수단을 구비하여 관내에 송기류를 발생 가능하게 하는 수송관과, 이 수송관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송관내에 분립체를 공급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호퍼와, 상기 수송관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분립체를 상기 수송관을 통하여 수용하는 동시에 수용된 상기 분립체의 교반을 하는 계량탱크와, 임의의 상기 호퍼에서 공급된 상기 수송관 도중의 상기 분립체의 중량을 산출하고, 상기 계량탱크에 도달한 분립체의 중량을 가산한 값이 설정치에 도달했을 때에 임의의 상기 호퍼에 상기 분립체의 공급정지신호를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가지며, 복수의 상기 호퍼로부터 수용된 각종 분립체를 상기 계량탱크에서 교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3. 삭제
KR1020020001154A 2001-06-14 2002-01-09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KR100861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80056 2001-06-14
JP2001180056A JP2002370823A (ja) 2001-06-14 2001-06-14 粉粒体空気輸送システムおよび空気輸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19A KR20020095419A (ko) 2002-12-26
KR100861335B1 true KR100861335B1 (ko) 2008-10-02

Family

ID=1902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154A KR100861335B1 (ko) 2001-06-14 2002-01-09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370823A (ko)
KR (1) KR100861335B1 (ko)
TW (1) TW5428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275B2 (ja) * 2001-04-24 2005-08-03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米の輸送方法
CN107197900A (zh) * 2017-05-25 2017-09-26 贵州省榕江县盛源天然食品开发有限公司 一种葛根面条生产用原料混合装置
CN111013372B (zh) * 2019-12-26 2022-05-13 广东建绿环保工程有限公司 一种烟气处理流程用流化槽
CN111920062A (zh) * 2020-09-01 2020-11-13 湖南日灿农业生态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茶油生产用茶籽剥离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4833A (ja) * 1981-12-12 1983-06-22 Kawasaki Steel Corp 1個の粉粒体分配輸送タンクから粉粒体を複数供給端に質量流量を任意の設定値に制御して連続供給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S59147928A (ja) * 1983-02-09 1984-08-24 Mitsubishi Heavy Ind Ltd 粉体供給装置
JPS60101192A (ja) * 1983-11-07 1985-06-05 Hitachi Ltd 粉体供給装置
JPH07144753A (ja) * 1993-11-26 1995-06-06 Matsui Mfg Co 粉粒体材料の混合輸送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90241A (ko) * 2000-04-27 2002-11-30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점착성 벌크 고형 분말을 정확하게 계량하고 운반하기위한 이동가능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4833A (ja) * 1981-12-12 1983-06-22 Kawasaki Steel Corp 1個の粉粒体分配輸送タンクから粉粒体を複数供給端に質量流量を任意の設定値に制御して連続供給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S59147928A (ja) * 1983-02-09 1984-08-24 Mitsubishi Heavy Ind Ltd 粉体供給装置
JPS60101192A (ja) * 1983-11-07 1985-06-05 Hitachi Ltd 粉体供給装置
JPH07144753A (ja) * 1993-11-26 1995-06-06 Matsui Mfg Co 粉粒体材料の混合輸送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20090241A (ko) * 2000-04-27 2002-11-30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점착성 벌크 고형 분말을 정확하게 계량하고 운반하기위한 이동가능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419A (ko) 2002-12-26
TW542818B (en) 2003-07-21
JP2002370823A (ja) 2002-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0521A (en) Hybrid apparatus and method for blending materials
KR950011541B1 (ko) 곡물 연속 혼합장치
US20070251596A1 (en) Blending System and Method
US20020074055A1 (en) Weighing apparatus
CA2327599C (en) Dispensing measured quantities of materials for mixing into a larger batch
CN110697100B (zh) 直落式多组份物料下料装置控制器
KR100861335B1 (ko) 분립체 공기수송시스템
WO2017068071A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iquid enzyme, and a system & method for coating pellets with the liquid enzyme
US20040107845A1 (en) Weighing and flavoring system, and packaging apparatus
GB2291600A (en) Anti-blocking sand/pigment premix
US11959794B2 (en) Combination weighing apparatus with a plurality of article suppliers
US20210381879A1 (en) Combinatorial weighing device
WO20030455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sing and mixing
JP2007139422A (ja) 粉末供給機および味付けシステム
WO199905800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coating material
GB2327623A (en) Automatically discharging milk powder from an in flight weigher and blending it with a feedstuff adjunct
RU2235978C1 (ru) Весовой дозатор дискрет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взрывоопасных порошкообразных материалов
RU204032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мешивания и гомогенизаци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дозирования муки и подобных материалов
US2630997A (en) Filling machine
JP7144842B2 (ja) 材料配合装置
CN214086741U (zh) 一种工程陶瓷原料全自动配料系统
JP3965428B2 (ja) 混合システムおよび混合方法
JPS6184209A (ja) 生コンクリ−ト用骨材の連続計量方法
US737058A (en) Measuring device.
JPS624548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