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849B1 -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849B1
KR100860849B1 KR1020070032766A KR20070032766A KR100860849B1 KR 100860849 B1 KR100860849 B1 KR 100860849B1 KR 1020070032766 A KR1020070032766 A KR 1020070032766A KR 20070032766 A KR20070032766 A KR 20070032766A KR 100860849 B1 KR100860849 B1 KR 10086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urrent
time range
communication tim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하
Original Assignee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은 노변기지국이 차량단말과 통신하여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차로제어기에 통보하는 제1단계와, 통보된 상기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상기 차로제어기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을 차종분류기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차종데이터를 차로 제어기기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유무를 감지하고,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유무 및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에 따른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를 지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통신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차량진입데이터를 검색하는 제5단계와, 검색된 상기 차량진입데이터에 해당하는 단말이 현행차량의 차종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통행요금을 정산하고, 불일치 할 경우 해당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차량단말, 매칭, 차종, 진입

Description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METHODE OF COMMUNICATION FOR MATCHING CAR CLASSIFICATION DATA WITH COMMUNICATION DATA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을 구체화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신시간범위지정을 구체화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노변기지국 20: 차종분류기
30: 차로제어기 40: 촬영기
50: 표시장치
본 발명은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통합차로를 통과하는 선행차량과 후행차량 각각의 차 종에 따라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를 지정하여 통신시간범위에 해당하는 현행차량 통신함과 동시에 단말의 위반여부 판단할 수 있게 함으로서 통신 정확도를 향상시킨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등의 유로도로에는 통행하는 차량의 요금을 징수할 수 있도록 톨게이트가 마련되고 있고, 이러한 톨게이트에는 통행권을 발급하고, 발급된 통행권에 의해 요금을 징수하는 수동적인 방법과, 차량에 단말을 설치하여 차량의 단말과, RF(Radio Frequency), IR(Infrared Rays)통신 중에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징수하는 방법으로 분류되고 있다.
여기서 요금을 징수하는 방법으로는 수동과 자동을 병행하여 징수하는 통합차로 제어시스템이 적용되고 있고, 즉, 2006년 대한민국등록특허 제63775호 "통행요금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RF통신방식과 IR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진입시 차량단말과 통신이 선행되면, 자동으로 요금을 징수하게 되고, 차종분류가 선행되면, 통행권을 발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차종분류에서 분류된 차종데이터와 차량단말에서 수신된 진입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종의 일치 또는 불일치를 판단하고 불일치할 경우 위반차량의 번호판 영상을 확보토록 되어 있다.
이때 차로를 지나는 현행차량은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에 따른 간섭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인접할 경우 매칭이 안정적이지 못하여 차종분류에서 분류된 차종데이터와 차량단말에서 수신된 진입데이터가 일치되지 못하 므로 매칭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통합차로를 통과하는 차량 단말과의 통신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현행차량에 설치된 차량단말이 차종에 일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에 따른 통신시간범위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은 노변기지국이 차량단말과 통신하여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차로제어기에 통보하는 제1단계와, 통보된 상기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상기 차로제어기에 저장하는 제2단계와,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을 차종분류기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차종데이터를 차로 제어기기에 저장하는 제3단계와,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유무를 감지하고,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유무 및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에 따른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를 지정하는 제4단계와, 상기 통신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차량진입데이터를 검색하는 제5단계와, 검색된 상기 차량진입데이터에 해당하는 단말이 현행차량의 차종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통행요금을 정산하고, 불일치 할 경우 해당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의 유무를 검사하고, 상 기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가 있으면, 현행차량의 차종분류시각과, 후행차량의 진입시간의 중간 값을 산출하여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 0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이 대형이면, 상기 중간 값에 제1보정 값을 가감하여 통신시간범위 1을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분류가 중소형이고, 후행차량의 대형이면, 상기 중간 값에 제2보정 값을 가감하여 통신시간범위 2를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4단계는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가 없는 경우, 후행차량의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후행차량이 있으면, 현행차량의 차종을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이 대형이면, 통신시간범위 A를 지정하고, 중소형이면,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종류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현행차량이 중소형일 경우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모두 대형이면, 통신시간범위 B를 지정하고,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각각 대형과 중소형이면 선행차량과 현행차량과의 차종분류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일정범위 이내일 경우 통신시간범위 C를 지정하고, 일정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통신시간범위 D를 지정하며, 상기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각각 중소형과, 대형이면, 통신시간범위 B를 지정하고,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모두 중소형이면, 통신시간범위 D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행차량이 없는 경우 현행차량의 종류를 검사하여 대형이면, 통신시간범위 A를 지정하고, 상기 현행차량의 중소형이면, 선행차량의 차종을 검사하 는 단계와, 상기 선행차량이 차종을 검사하여 선행차량이 대형이면, 선행차량과 현행차량의 차종분류기간 차이를 검사하여 일정범위 이내이면, 통신시간범위 C를 배당하고, 일정범위 이상이거나, 선행차량이 중소형이면, 통신시간범위 D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를 보인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을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통신시간범위지정을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차로제어기(30)의 위반차량 판별을 위한 통합차로 제어기는 차량의 단말과 통신하는 노변기지국(10)과,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는 차종분류기(20), 차로제어기(30), 위반차량을 촬영하는 촬영기(40)를 포함한다. 또한, 차량의 단말과 차종의 일치되거나, 불일치될 경우 그 정산 및 불일치 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장치(50)를 더 포함한다.
노변기지국(10)은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단말(OBU:On-Board Unit)과 무선통신 한다. 그리고 무선통신은 RF통신 또는 IR통신 중에 어느 하나로 하거나 병행하며, RF 또는 IR 중에 어느 하나가 노변기지국(10)에 수신되면 노변기지국(10)은 수신된 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차로제어기(30)에 전송하고 차로제어기(30)는 수신된 차량진입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차량진입데이터는 차량단말의 진입시간과, 차량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며, 한 대의 차량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데이터가 발생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입데이터가 차로제어기(30)의 메모리에 각각 저장된다.
그리고 차종분류기(20)가 마련된다. 여기서 차종분류기(20)는 진입하는 차량의 차종을 분류하는 것으로 해당하는 차량이 진입하면 차량의 전장 및 차폭 그리고 차고 등을 감지하여 현행차량의 차종을 분류한다. 이때 차종분류는 각각의 차량 모델별로 정확하게 분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요금징수기준에 따라 대형과 중소형 등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분류기준은 대형과 중소형으로 분류되었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차종분류기(20)는 분류된 차종데이터를 차로제어기(30)에 전송하고 차로제어기(30)는 수신된 차종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서 차종데이터는 차종분류 시작시각 및 차종분류가 완료된 시각 및 차종 그리고 차량방향을 포함한다. 이때 차종분류 시작시간은 차종분류기(20)에 차량이 진입하는 시간이며, 차종분류가 완료된 시간은 차종분류기(20)로부터 차량이 진출한 시간이다.
차로제어기(30)는 수신된 진입데이터와 차종데이터를 매칭시켜 차량의 위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량진입데이터와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데이터에 따라 각각 다른 통신시간범위를 지정한다.
그리고 통신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차량단말을 검색하여 상기 차량단말이 차종분류기(20)에서 분류된 차종데이터와 일치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통신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차량단말이 차종분류기(20)에서 분류된 차종데이터와 일치되지 않을 경우 위반차량으로 판단하고 위반차량의 번호판을 촬영기(40)로 촬영한다. 그리고 일치되면, 표시장치(50)를 통해 요금 정산결과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상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30)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량이 진입하면 노변기지국(10)이 차량단말과 통신하여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차로제어기(30)에 통보한다(S10). 여기서 진입데이터에는 차량단말의 진입시간과, 차량단말의 정보를 포함하며, 한 대의 차량에 대하여 적어도 1회 이상 복수건의 진입데이터가 발생된다.
그리고 통보된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상기 차로제어기(30)에 저장한다(S20). 이때 적어도 1회 이상의 진입데이터는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이후, 현행차량의 차종을 차종분류기(20)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차종데이터를 차로 제어기기에 저장한다(S30). 여기서 차종의 대형과 중소형 등으로 구분되며, 차종데이터에는 분류된 차종과, 차종분류기(20)에 진입한 시각, 완료된 시각, 그리고 차량의 진행방향이 포함된다.
이후,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유무를 감지하고,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유무 및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에 따른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를 지정한다(S40).
여기서 통신시간범위 지정을 도 3을 더 포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S400)가 노변기지국(10)에서 송수신 되었을 경우에는 현행차량을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 또는 차종분류기(20)에 의한 차종데이터에 의해 차종을 판단(S401)할 수 있고 후행차량은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에 의해 차종을 판단(S403)할 수 있다.
따라서 현행차량과 후행차량이 모두 대형이거나 모두 중소형일 경우에는 현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분류시각과 후행차량의 진입시간을 중간점을 잡아 통신시간범위 0(S405)을 지정한다.
따라서 차종분류기(20)에서 통과한 현행차량이 대형이고 후행차량이 중소형이면, 차량의 차종분류시각과, 후행차량의 진입시각의 중간점을 잡고, 여기에 제1보정 값을 더한 값을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 1(S402)로 지정한다.
그리고 현행차량이 대형이 아니고, 후행차량이 대형이면 현재차량의 차종분류시각과, 후행차량의 진입시각의 중간점을 잡고, 여기에 제2보정 값을 더한 값을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 2(S404)로 지정한다.
만약,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S400)가 없는 경우 후행차량의 유무(S406)를 감지한다. 여기서 후행차량의 유무(S406)는 차종분류기(20)에 후행차량 진입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후행차량이 있으면, 현행차량의 차종(S407)을 판단하여 현행차량의 차종(S407)이 대형이면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에 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시간범위 A(S408)를 지정한다.
그러나 현행차량의 차종(S408)이 중소형이면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을 검사(S409), (S410), (S415)한다. 여기서 선행차량은 차로제어기(30)에 저장된 차종데이터에 의해 차종을 판단하거나, 저장된 진입데이터에 의해 판단(S409)할 수 있다. 그리고 후행차량은 차종분류기(20)를 통해 차종을 판단한다(S410), (S415).
현행차량이 중소형인 상태에서 선행차량의 차종(S419)이 대형이고 후행차량의 차종(S410)이 대형이면 후행 대형차량의 영향을 고려한 통신시간범위 B(S411)를 지정한다. 그리고 선행차량의 차종(S409)이 대형이고, 후행차량의 차종(S410)이 중소형이면(S412), 선행차량과 후행차량과의 시간차를 계산하여 그 시간차(S412)가 일정범위(예:500msec) 이내일 경우 선행대형차량의 영향을 고려한 통신시간범위 C(S413)를 지정하고, 그 시간차가 일정범위(예:500msec)를 벗어날 경우 선행차량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통신시간범위 D(S414)를 지정한다.
그리고 현행차량의 차종(S407)이 중소형인 상태에서 선행차량의 차종(S409)이 중소형이고, 후행차량의 차종(S415)이 대형이면, 후행대형차량의 영향을 고려한 통신시간범위 B(S416)를 지정한다. 그리고 선행차량의 차종(S409)이 중소형이고, 후행차량의 차종(S415)이 중소형이면 선행차량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통신시간범위 D(S417)를 지정한다.
한편, 후행차량 유무(S406)에서 후행차량이 없는 경우에는 후행차량의 영향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후행차량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하는 통신시간범위 B는 지정되지 않는다.
즉, 현행차량의 차종(S418)이 대형이면,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에 의한 영향이 없는 통신시간범위 A(S419)를 지정하고, 현행차량의 차종(S418)이 중소형이 면 선행차량의 차종(S420)을 검사한다.
이때 선행차량의 차종(S420)이 대형이면, 선행차량과 현행차량의 차종분류시간 차(S421)를 검사하여 일정범위(예:500msec) 이내일 경우 선행 대형차량의 영향을 고려한 통신시간범위 C(S422)를 지정하고, 일정범위(예:500msec)를 벗어날 경우 선행차량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통신시간범위 D(S423)를 지정한다.
그리고 선행차량의 차종(S420)이 중소형이면, 통신시간범위 D(S424)를 지정한다.
이후 통신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차량의 진입데이터를 검색한다(S50). 검색된 데이터에서 해당하는 차량이의 차량단말과 통신하여 차량단말과 차종이 일치되는 지를 판단한다(S60).
여기서 차량단말과 차종이 일치되면 요금을 정산하고, 정산과정을 표시장치(5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하고(S70), 차량단말과 차종이 일치되지 않으면 위반차량으로 판단하여 위반차량의 번호판을 촬영기(40)로 촬영한다(S8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을 고력하여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를 지정하는 본 발명의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은 통신시간범위에 포함되는 차량단말과 통신하므로 통신정확도가 향상되고, 통합차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차량 단말이 차종에 일치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노변기지국이 차량단말과 통신하여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차로제어기에 통보하는 제1단계;
    통보된 상기 현행차량의 진입데이터를 상기 차로제어기에 저장하는 제2단계;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을 차종분류기에서 감지하고, 감지된 차종데이터를 차로 제어기기에 저장하는 제3단계;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유무를 감지하고,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유무 및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차종에 따른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를 지정하는 제4단계;
    상기 통신시간범위에 해당하는 차량진입데이터를 검색하는 제5단계;
    검색된 상기 차량진입데이터에 해당하는 단말이 현행차량의 차종과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할 경우 통행요금을 정산하고, 불일치 할 경우 해당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는 제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의 유무를 검사하고, 상기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가 있으면, 현행차량의 차종분류시각과, 후행차량의 진입시간의 중간 값을 산출하여 현행차량의 통신시간범위 0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이 대형이면, 상기 중간 값에 제1보정 값을 가감하여 통신시간범위 1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분류가 중소형이고, 후행차량의 대형이면, 상기 중간 값에 제2보정 값을 가감하여 통신시간범위 2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후행차량의 진입데이터가 없는 경우
    후행차량의 유무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후행차량이 있으면, 현행차량의 차종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현행차량의 차종이 대형이면, 통신시간범위 A를 지정하고, 중소형이면,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의 종류를 검사하는 단계;
    상기 현행차량이 중소형일 경우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모두 대형이면, 통신시간범위 B를 지정하고,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각각 대형과 중소형이면 선행차량과 현행차량과의 차종분류시간 차이를 계산하여 일정범위 이내일 경우 통신시간범 위 C를 지정하고, 일정범위에서 벗어날 경우 통신시간범위 D를 지정하며,
    상기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각각 중소형과, 대형이면, 통신시간범위 B를 지정하고, 선행차량과 후행차량이 모두 중소형이면, 통신시간범위 D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후행차량이 없는 경우 현행차량의 종류를 검사하여 대형이면, 통신시간범위 A를 지정하고, 상기 현행차량의 중소형이면, 선행차량의 차종을 검사하는 단계;
    상기 선행차량이 차종을 검사하여 선행차량이 대형이면, 선행차량과 현행차량의 차종분류기간 차이를 검사하여 일정범위 이내이면, 통신시간범위 C를 배당하고, 일정범위 이상이거나, 선행차량이 중소형이면, 통신시간범위 D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 통신방법.
KR1020070032766A 2007-04-03 2007-04-03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통신방법 KR10086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766A KR100860849B1 (ko) 2007-04-03 2007-04-03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766A KR100860849B1 (ko) 2007-04-03 2007-04-03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통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849B1 true KR100860849B1 (ko) 2008-09-29

Family

ID=4002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766A KR100860849B1 (ko) 2007-04-03 2007-04-03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63A (ko) * 2001-02-02 2002-08-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요금징수 시스템, 차량탑재기 및 요금징수방법
KR20030035258A (ko) * 2001-10-30 2003-05-09 주식회사 케이티 능동형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하여 다중접속과 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8093A (ko) * 2002-09-28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통행요금자동징수시스템에서의 이종차량 간 통신역전 검출방법
KR20050068832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역전 처리 기능을 가지는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4663A (ko) * 2001-02-02 2002-08-09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요금징수 시스템, 차량탑재기 및 요금징수방법
KR20030035258A (ko) * 2001-10-30 2003-05-09 주식회사 케이티 능동형 단거리전용통신을 이용하여 다중접속과 복합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자 통행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28093A (ko) * 2002-09-28 2004-04-03 주식회사 케이티 통행요금자동징수시스템에서의 이종차량 간 통신역전 검출방법
KR20050068832A (ko) * 2003-12-30 2005-07-05 주식회사 케이티 통신역전 처리 기능을 가지는 자동요금징수 시스템 및 그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5884B1 (en)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and mobile object charging method by mobile object charging system
CN106485801B (zh) 基于etc和车牌识别的车辆管理方法、装置及其系统
JP4813987B2 (ja) 車種判別装置を要しない料金自動収受システム
US6690293B2 (en) Gate apparatus, on-board unit, setup method of the on-board unit, toll collecting method and judging method of the entrance and exit
CN108241822B (zh) 一种车辆类型的识别方法及装置
US201100900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oll Charging Parameters
CZ298191B6 (cs) Vnejsí kontrolní zarízení pro kontrolu provozu mýtního prístroje
KR102205057B1 (ko) 동일 차량 검출 장치, 요금 수수 설비, 동일 차량 검출 방법 및 프로그램
JP6960279B2 (ja) 車載装置、基地局装置、映像情報提供システム、映像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20132812A (ko) 하이패스 다차로의 위반차량 매칭 시스템
KR100838277B1 (ko) 차량 탑재형 거주자 우선지정 주차관리시스템 및 그운영방법
ES2401324T3 (es) Procedimiento para el reconocimiento de matrícula y la categorización de peaje de vehículos
JP2014048964A (ja) 駐車場システム
KR100860849B1 (ko) 선, 후행차량을 고려한 통합차로제어기의 현행차량통신방법
KR20140035666A (ko) 다차로 서비스를 위한 자동 요금 징수 시스템 및 그 방법
JP6369494B2 (ja) 識別情報判定装置、識別情報判定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識別情報判定方法
KR20040071479A (ko) 차량번호판 인식 시스템 및 그것을 이용한 차량 관리 방법
EP3273408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istance to a vehicle
KR100962414B1 (ko) 차량 상태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3058980A (ja) 車両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システム及び車両ナンバープレート認識方法
JP2019125234A (ja) サービス管理装置及びサービス管理方法
JP2004303164A (ja) 車種判別システム、車種判別制御装置、及び車種判別方法
CN112133120A (zh) 一种车辆提示处理方法及装置
KR101912302B1 (ko) 영수증 출력 기능을 구비하는 하이패스 단말기, 그것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하이패스 단말기용 영수증 출력 장치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JP2021163050A (ja) 学習データ収集装置、学習データ収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