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617B1 -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617B1
KR100860617B1 KR1020080022196A KR20080022196A KR100860617B1 KR 100860617 B1 KR100860617 B1 KR 100860617B1 KR 1020080022196 A KR1020080022196 A KR 1020080022196A KR 20080022196 A KR20080022196 A KR 20080022196A KR 100860617 B1 KR100860617 B1 KR 100860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water
water
burn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용
김성태
Original Assignee
정재용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용, 김성태 filed Critical 정재용
Priority to KR1020080022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너로부터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와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가운데 부분에 장착되어 조리할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통(110); 상기 가열통(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통(110)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120); 난방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통(110)이 위치한 외주변부에 링 형탤 위치한 난방수 저장통(200);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으로부터 인출되며, 버너(120)의 상부로 연장되어 난바우 저장통(20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관(201);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측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난방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행하는 난방수 순환관(210,220);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를 따라서 설치되어 난방수 저장통(200)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 코일(280); 일측이 직수관(260)과 연결되고,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를 따라서 설치되고, 이로부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와 내측으로 번갈아가면서 순환 설치되며, 타측은 온수 배출관(250)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버너, 잔열, 난방수, 온수

Description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Cooker having a Boiler}
본 발명은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당이나 단체 급식 장소에서 사용하는 조리 기구의 버너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당이나 단체 급식 장소에서 국이나 탕 또는 면을 삶기 위하여 큰 국솥에 물을 채우고, 하부로부터 버너를 이용하여 장시간 열을 가열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조리 기구는 버너의 열을 조리를 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하게 되어 잔열을 그대로 배출하게 됨으로써 이렇게 배출되는 열을 재차 사용할 수 없어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버너로부터 발생된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와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를 제 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가운데 부분에 장착되어 조리할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통(110);
상기 가열통(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통(110)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120);
난방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통(110)이 위치한 외주변부에 링 형태로 위치한 난방수 저장통(200);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으로부터 인출되며, 버너(120)의 상부로 연장되어 난방수 저장통(20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관(201);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측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난방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행하는 난방수 순환관(210,220);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를 따라서 설치되어 난방수 저장통(200)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 코일(280);
일측이 직수관(260)과 연결되고,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를 따라서 설치되고, 이로부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와 내측으로 번갈아가면서 순환 설치되며, 타측은 온 수 배출관(250)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리 기구의 버너로부터 발생한 잔열을 이용하여 난방수와 온수를 공급함으로써 별도를 에너지가 필요치 않아서 에너지 절약은 물론 난방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선 코일에 의하여 조리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 난방수 및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에는 국이나 탕, 그리고 면 등을 삶기 위한 물이나 음식이 채워진 가열통(110)이 장착되고, 그 가열통(110)의 하부에는 상기 가열통(110)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120)가 위치한다.
상기 본체(100)는 도 2에서와 같이 가열통(110)이 위치한 외주변부 즉, 버너(120)의 상부 측부로 난방수를 저장하기 위한 난방수 저장통(200)이 링 형태로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하부로부터 인출된 가열관(201)은 버너의 상부로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버너(120)로부터의 열을 직접 인가받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열관은(201)의 버너(120)의 상부를 가로질러 복수개가 설치됨으로써 가열관(201)이 설치된 부분 이외로는 버너(120)의 불 꽃이 직접 상부의 가열통(110)에 열을 인가하도록 하고, 이때 버너(120)의 열이 상부에 가로질러 설치된 가열관(220)에 전달되어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관(220)을 통하여 순환함으로써 뜨겁게 데워진다.
이렇게 데워진 난방수는 난방수 저장통(200)의 측부에 설치된 난방수 순환관(210,220)을 통하여 난방 배관을 순환함으로써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지며, 난방수의 원활한 순환을 위하여 순환펌프(230)가 난방수 순환관(220)에 장착된다.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부 즉, 가열통(110)과의 사이에는 그 둘레를 따라서 열선 코일(280)이 감겨져서 설치되어, 조리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열선 코일(280)에 의하여 난방수 저장통(200)이 가열됨으로써 난방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 가열관(240)이 설치되는데, 상기 온수 가열관(240)의 일측은 수도 등의 직수관(260)에 직접 연결되어 직수를 공급받도록 구설치되고, 직수관(260)과 연결된 부위부터 열선 코일(280)과 근접되게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부를 따라서 코일 형태로 감겨지며, 이로부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그 내부에서 또한 코일 형태로 감겨지도록 설치된다.
또한,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으로부터 다시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부로 연장되어 열선 코일(280)에 다시 근접하여 코일 형태로 감겨지도록 설치되고, 이후 타측은 온수 배출관(250)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온수 가열관(240)을 흐르는 직수는 열선 코일(280)에 의하여 1차 가열되어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난방수를 가열하여 난방수 가열의 효율을 높이고, 다시 어느 정도 식혀진 온수는 다시 열선 코일(280)에 의하여 2차 가열되어 비로소 온수 배출관(250)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외관도.
도 2 는 도 1의 단면도.

Claims (1)

  1.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가운데 부분에 장착되어 조리할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통(110);
    상기 가열통(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가열통(110)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120);
    난방수를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가열통(110)이 위치한 외주변부에 링 형태로 위치한 난방수 저장통(200);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으로부터 인출되며, 버너(120)의 상부로 연장되어 난방수 저장통(200)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가열관(201);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측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저장된 난방수를 순환시켜 난방을 행하는 난방수 순환관(210,220);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를 따라서 설치되어 난방수 저장통(200)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 코일(280);
    일측이 직수관(260)과 연결되고, 상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를 따라서 설치되고, 이로부터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난방수 저장통(200)의 내측벽 둘레와 내측으로 번갈아가면서 순환 설치되며, 타측은 온수 배출관(250)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
KR1020080022196A 2008-03-10 2008-03-10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 KR100860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96A KR100860617B1 (ko) 2008-03-10 2008-03-10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196A KR100860617B1 (ko) 2008-03-10 2008-03-10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617B1 true KR100860617B1 (ko) 2008-09-29

Family

ID=4002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196A KR100860617B1 (ko) 2008-03-10 2008-03-10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6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016Y1 (ko) * 2006-01-26 2006-07-07 김협중 온수 순환시스템
KR100776971B1 (ko) * 2007-08-13 2007-11-21 이영순 연탄 겸용 기름 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016Y1 (ko) * 2006-01-26 2006-07-07 김협중 온수 순환시스템
KR100776971B1 (ko) * 2007-08-13 2007-11-21 이영순 연탄 겸용 기름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044Y1 (ko) 업소용 대형 국솥
CN101791190B (zh) 蒸饮压力锅
JP2012223222A (ja) 炊飯器
KR20120136710A (ko) 중화렌지 열을 이용한 온수발생장치
EA005388B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емкость
CN201085455Y (zh) 多功能组合厨具
KR100860617B1 (ko)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
CN201101412Y (zh) 内外加热式陶瓷内胆电饭锅
KR20120080047A (ko)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CN101813329B (zh) 一种节能灶的水箱结构
CN201079272Y (zh) 双桶电热蒸气汤粥煲
CN209106929U (zh) 一种节能锅
CN201079299Y (zh) 电热蒸气汤粥煲
KR20110045433A (ko) 직화폐열 온수난방장치
CN214230876U (zh) 外锅结构及烹饪器具
KR200421016Y1 (ko) 온수 순환시스템
CN202681627U (zh) 蒸汽火锅
CN211823119U (zh) 一种开水器
CN107259972A (zh) 一种高温蒸煮器
CN217907308U (zh) 一种液态导热锅
KR100520424B1 (ko) 뚜껑에 가열통이 구비된 냄비
CN201701016U (zh) 蒸饮压力锅
CN112401637A (zh) 外锅结构及烹饪器具
CN202515399U (zh) 多层循环保温快速节能煮饭煮粥锅
KR102057041B1 (ko) 인덕션 가열 방식의 조리장치 및 조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