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047A -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047A
KR20120080047A KR1020110001484A KR20110001484A KR20120080047A KR 20120080047 A KR20120080047 A KR 20120080047A KR 1020110001484 A KR1020110001484 A KR 1020110001484A KR 20110001484 A KR20110001484 A KR 20110001484A KR 20120080047 A KR20120080047 A KR 20120080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storage tank
water storage
hot water
hea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성태
Priority to KR102011000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047A/ko
Publication of KR2012008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0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2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forced circulation, e.g. by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in combination with systems for domestic hot-water supply
    • F24D3/082Hot water storage tan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가 개시된다.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는 가열될 물과 식 재료가 담기는 가열통; 상기 가열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통을 가열하는 버너; 상기 가열통의 외주면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도록, 상기 가열통과 상기 버너가 설치되는 내측부를 구비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측면에 상기 제 1 부분 보다 확장되게 설치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된 온수저장탱크;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사이를 덮도록 상기 제 1 부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열챔버;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가열된 온수가 순환하여 저장되는 난방수저장탱크; 및,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 사이로 배출되는 배기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통의 하부 외면을 직접 가열하고 배출되는 배기열은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에 사이로 배출되어, 상기 배기열이 상기 가열통 측면과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가열함으로써, 온수저장탱크 내의 물이 가열되고, 상기 상부가열챔버는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 사이를 거쳐 상부로 배출되는 상기 버너의 배기열에 의해 내부의 물이 가열되며, 상기 연통은,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내부를 지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배기열에 의해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물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HEATING APPARATUS FOR KITCHEN HAVING BOILER-FUNCTION}
본 발명은 물과 음식물이 채워진 가열통을 가열할 수 있는 주방용 가열장치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업용 식당이나 단체급식장소의 주방에는 대량의 육수, 국, 탕 등을 끓이기 위하여 큰 솥에 물을 채우고 식 재료를 넣은 후, 국솥(가열통)의 하부에서 버너를 이용해 열기를 제공하여 상기 솥을 가열한다.이 경우, 버너의 열을 조리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하게 되어 잔열을 그대로 배출하게 됨으로써 에너지가 낭비를 초래하였다.
특히, 영업용 식당이나 단체급식장소에서는 국솥을 가열하기 위한 버너에 사용하는 연료(가스)뿐만 아니라, 난방 및 온수사용에 의한 보일러에 사용하는 연료(가스)도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연료비용이 상승하여 운영비용에 부담을 주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0860617호에서 그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등록특허 10-0860617호에 개시된 보일러가 일체화된 조리기구는 버너의 열을 조리용 뿐 아니라, 온수와 난방수를 제공하도록 사용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낭비되는 잔열을 일정부분 줄일 수 있었다.
하지만, 가열통과 난방수 저장통 사이의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잔열은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고, 버너의 아래쪽으로 향하는 잔열도 외부로 배출되어 열 에너지가 낭비되었다. 즉, 가열통을 위한 버너의 열로 온수와 난방수를 제공하여 잔열을 줄일 수는 있었으나, 그 구조에 있어 효율성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온수 제공을 위한 직수관과 온수 배출관은 난방수 저장통의 내측벽부를 따라 코일형태로 감겨지고, 이로부터 난방수 저장통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코일형태로 감겨지는 형상으로서, 난방수 저장통을 뚫어서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설치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가열관이 버너의 상부를 가로질러 복수 개가 설치되어 버너의 열이 가열관에 직접전달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버너의 열의 일부는 가열관을 먼저 가열한 후 가열통에 인가됨으로써, 조리기구장치의 원래의 기능 즉, 가열통을 가열하는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버너로부터 발생된 열로 가열통을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할 뿐 아니라, 잔열로 난방수 및 온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종래에 비해 성능이 개선된 구조를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는 가열될 물과 식 재료가 담기는 가열통; 상기 가열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통을 가열하는 버너; 상기 가열통의 외주면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도록, 상기 가열통과 상기 버너가 설치되는 내측부를 구비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측면에 상기 제 1 부분 보다 확장되게 설치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된 온수저장탱크;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사이를 덮도록 상기 제 1 부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열챔버;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가열된 온수가 순환하여 저장되는 난방수저장탱크; 및,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 사이로 배출되는 배기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통의 하부 외면을 직접 가열하고 배출되는 배기열은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에 사이로 배출되어, 상기 배기열이 상기 가열통 측면과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가열함으로써, 온수저장탱크 내의 물이 가열되고, 상기 상부가열챔버는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 사이를 거쳐 상부로 배출되는 상기 버너의 배기열에 의해 내부의 물이 가열되며, 상기 연통은,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내부를 지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배기열에 의해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물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가열챔버는, 상기 가열통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난방수저장탱크는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가열챔버와 상기 난방수저장탱크를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가열챔버로부터 상기 난방수저장탱크를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 각각에는 유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1 밸브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난방수저장탱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난방수저장탱크에 저장된 난방수가 순환하게 함으로써, 실내가 난방되게 하는 한 쌍의 난방수 순환관;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와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 2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연결파이프 각각에는 유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2 밸브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열챔버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상기 제 1 부분은 볼트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제 1 부분을 결합하는 상기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사결합방식으로 상기 나사구멍을 막아 상기 상부가열챔버로부터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온수저장탱크와 연통되도록 상기 버너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열챔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너의 하부로 배출되는 배기열에 의해 상기 하부가열챔버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순환함으로써 상기 온수저장탱크 내의 물이 데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온수저장탱크 또는 상기 난방수 저장탱크와 연결되도록 상기 연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주름진 형상의 가열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배기열에 의해 상기 가열관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상기 온수 저장탱크 또는 상기 난방수 저장탱크를 순환함으로써 상기 온수저장탱크 또는 상기 난방수 저장탱크 내의 물이 데워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버너로부터 발생한 열을 이용해, 가열통을 가열하여 음식을 조리할 뿐 아니라, 잔열을 이용해 물을 데워 온수 및 난방수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를 고효율로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버너에서 발생한 열로 가열통의 하부를 가열하여 물과 식재료를 가열하고 가열통과 온수저장탱크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가는 잔열(배기열)을 통해 온수저장탱크를 직접 가열하여 물을 데움으로써 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열통과 온수저장탱크 사이 공간의 상부로 이동하는 잔열에 의해 상부가열챔버 내의 물을 가열하여 난방수 저장탱크의 난방수를 뜨겁게 데울 수 있기 때문에 더욱더 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통과 온수저장탱크 사이의 공간의 상부를 통해 빠져나가는 잔열이 온수저장탱크 내부를 지나도록 설치된 연통을 통해 빠져나가게 하여, 온수저장탱크의 물을 가열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더 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통 내부에 가열관을 설치하여, 연통을 통해 빠져나가는 잔열이 가열관 내부의 물을 가열하고, 이 물이 온수저장탱크 또는 난방수 저장탱크를 순환하게 하여, 온수저장탱크 또는 난방수 저장탱크 내의 물을 데울 수 있기 때문에, 더욱더 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버너의 하부로 빠져나가는 잔열을 이용하도록 버너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가열챔버를 가열하여 온수저장탱크의 물을 데움으로써, 더욱더 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III-III를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을 밑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축소된 저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온수저장탱크와 상부가열챔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주방용 가열장치는 가열통(110), 버너(120), 온수저장탱크(130), 상부가열챔버(140), 난방수저장탱크(150), 연통(160), 가열관(170) 및, 하부가열챔버(180)를 포함한다.
버너(120)는 가열통(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가스 공급라인(125)에 의해 가스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켜, 가열통(100)을 가열시킨다.
온수저장탱크(130)는 가열통(120)의 외주면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도록 설치된다. 온수저장탱크(130)는 가열통(110) 및 버너(120)를 감싸는 제 1 부분(130a)과, 제 1 부분(130a)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부분(130a)보다 확장된 공간을 갖는 제 2 부분(130b)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제 1 부분(130a)은 일부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2 부분(130b)은 제 1 부분(130a)의 측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부분(130b)은 제 1 부분(130a)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 2 부분(103b)의 상단 일측에는 온수저장탱크(130)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가열된 물로 인해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증기배출관(139)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 1 부분(130a)의 일부가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가열통(110) 및 버너(120)를 소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구조는 갖는 것이라면 외곽이 사각형상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버터(120)로부터 발생된 열은 가열통(110)의 하부 외면을 직접 가열하고, 남은 잔열(배기열)은 가열통(110)과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부분(130a)의 내측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S1)으로 배출되면서 가열통(110)의 측면과 온수저장탱크(130) 제 1부분(130a)의 내측부를 가열함으로써, 온수저장탱크(13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뜨겁게 데워진다.
온수저장탱크(130)의 하부측면에는 주방의 수도파이프와 연결된 냉수공급관(135)이 형성되고,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2 부분(130b) 상부측면에 온수 배출관(137)이 형성된다. 이 경우, 온수저장탱크(130)에는 통상적인 볼탑(미도시)이 설치되어 온수저장탱크(13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부가열챔버(140)는 가열통(110)과 온수저장탱크(130) 제 1 부분(130a)의 내측부 사이 공간(S1)의 상부를 덮도록 제 1 부분(130a)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설치된다. 이 경우, 상부가열챔버(140)는 단면이 원형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열통(110)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부가열챔버(140)는 가열통(110)과 온수저장탱크(120) 사이 공간(S1)를 거쳐 배출되는 버너(120)의 배기열(잔열)에 의해 내부의 물이 가열된다. 이 경우, 가열통(110)에 상단에는 걸림부(113)가 형성되어, 걸림부(113)가 상부가열챔버(140)의 상단에 걸려, 가열통(110)이 상부가열챔버(140)에 안착된다.
난방수저장탱크(150)는 상부가열챔버(140)의 상부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부가열챔버(140)와 난방수 저장탱크(150)는 수직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151,15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난방수 저장탱크(150)에 수용된 물은 상부가열챔버(140)를 통해 순환하면서 뜨겁게 가열된다.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151,152) 상에는 각각 제 1 밸브(V1)가 설치된다. 한 쌍의 제 1 밸브(V1)는 난방수 저장탱크(150)와 상부가열챔버(140) 사이의 유체의 흐름 즉, 물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151,152)와 온수저장탱크(130)의 제2부분(130b)의 상부 측면은 한 쌍의 제 2 연결파이프(153,154)에 의해 연결된다. 한 쌍의 제 2 연결파이프(153,154)는 수평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온수저장탱크(13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은 상부가열챔버(140)를 통해 순환함으로써 뜨겁게 가열된다.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151,152) 상에는 각각 제 2 밸브(V2)가 설치된다. 한 쌍의 제 2 밸브(V2)는 온수저장탱크(130)와 상부가열챔버(140) 사이의 유체 즉,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난방수 저장탱크(150)의 측면에는 한 쌍의 난방수 순환관(155,157)이 설치된다. 이 경우, 난방수 저장탱크(150)에 저장된 온수는 난방수 순환관(155,157)을 통해 연결된 난방배관(미도시)을 순환함으로써,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진다. 한편, 난방수의 원활한 순환을 위하여 난방수 순환관(157,157)상에 보일러 순환펌프(미도시)가 설치된다.
난방수 저장탱크(150)의 상단에는 난방수 저장탱크(15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뜨겁게 가열된 물로 인해 생성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증기배출관(152)이 형성되며, 난방수 저장탱크(150)의 하부 측면에는 난방수 저장탱크(150) 내부로 냉수를 공급하도록 주방의 수도 파이프와 연결된 냉수공급관(156)이 형성된다. 이 경우, 난방수 저장탱크(150)에는 통상적인 볼탑(미도시)이 설치되어 난방수 저장탱크(15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상부가열챔버(140)는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 부분(130a)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상부가열챔버(140)의 하부면(140a)은 볼트(B)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이 경우, 상부가열챔버(140)의 상부면(140b)에는 볼트(B)의 중심축과 동일축상에 볼트(B)의 해드부분의 직경(D)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나사구멍(143)이 형성된다. 따라서, 볼트(B)는 나사구멍(143)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부가열챔버(140)와 온수저장탱크(130)의 결합시, 볼트(B)를 나사구멍(143)을 통해 상부가열챔버(140) 내부로 집어넣은 후, 상부가열챔버(140)의 하부면(140a)과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 부분(130a)의 상부면을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볼트(B) 결합 후, 개방된 나사구멍(143)은 나사 결합가능한 패킹수단으로서의 마개(C)로 막는다. 따라서, 상부가열챔버(140) 내의 물은 나사구멍(143)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가열챔버(140)가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 부분(130a)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용접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가열장치는 가열통(110)과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 부분(130a) 내측부 사이 공간(S1)으로 배출되는 배기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통(160)을 더 구성할 수 있다.
연통(160)은 제 1 부분(130a) 내측부의 상부 일측을 관통하고, 온수저장탱크(130) 제 2 부분(130b)의 내부를 지나, 연통(160)의 끝단이 제 2 부분(130b)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도 2와 같이, 연통(160)은 최대한 상부가열챔버(140)와 근접한 위치의 제 1 부분(130a) 내측부를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 연통(160)의 단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만, 연통(160)의 단면이 소정길이를 가질 수 있는 구성이라면 타원형이나 여타의 형상이 되어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인해, 온수저장탱크(130)에 수용된 물이 연통(160) 내부를 지나는 배기열에 의해 가열되어 데워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가열장치는 연통(16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열관(170)을 더 설치할 수 있다. 가열관(170)은 연통(160)을 거쳐 배출되는 배기열에 의해 가열되어, 내부의 물이 가열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열관(170)은 도 3과 같이, 주름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배기열로부터의 열전달 면적을 높일 수 있다.
가열관(170)은 온수저장탱크(130) 또는 난방수 저장탱크(150)와 연결되어, 온수저장탱크(130) 또는 난방수 저장탱크(150) 내에 수용된 물이 가열관(170)을 통해 순환함으로써 뜨겁게 데워진다.
가열관(170)의 양 끝단은 온수저장탱크(130)와 연통(160)의 측면을 관통한 한 쌍의 T형 파이프(172a,172b)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T형 파이프(172a,172b) 타단의 제1관(172aa, 172ba)은 한 쌍의 튜브(T1,T2)를 통해 온수저장탱크(130)에 형성된 온수 탱크 물 유입관(134a) 및 온수 탱크 물 배출관(134b)과 연결된다.
온수 탱크 물 유입관(134a) 및 온수 탱크 물 배출관(134b)에는 각각 제 3 밸브(V3)가 설치된다. 한 쌍의 제 3 밸브(V3)는 가열관(170)과 온수저장탱크(130) 사이의 유체 즉,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또한, 상기 T형 파이프(172a,172b) 타단의 제2관(172ab, 172bb)은 한 쌍의 튜브(T3,T4)를 통해 난방수 저장탱크(130)에 형성된 난방수 탱크 물 유입관(158) 및 난방수 탱크 물 배출관(159)과 연결된다.
난방수 탱크 물 유입관(158) 및 난방수 탱크 물 배출관(159)에는 각각 제 4 밸브(V4)가 설치된다. 한 쌍의 제 4 밸브(V4)는 가열관(170)과 난방수 저장탱크(150) 사이의 유체 즉, 물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열관(170)은 연통(16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수저장탱크(130) 제 2 부분(130b)의 상부에는 서로 소정 높이만큼 이격되고 제 2 부분(130b)의 외측면으로부터 내부의 연통(160)을 향해 수평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원통형 채널(132a, 132b)이 형성된다. 가열관(170) 설치시, 가열관(170)을 연통(160) 내부에 배치한 후, T형 파이프(172a,172b)를 상기 한 쌍의 채널(132a,132b)에 삽입하고, T형 파이프(172a,172b)의 일단을 연통(160)에 형성된 관통구(163a,163b)에 끼운 다음, 가열관(170)의 끝단에 결합된 소켓(174a,174b)에 결합한다. T형 파이프(172a,172b)의 각각의 타단(172aa,172ab, 172ba,172bb)은 도 1 같이, 각각의 튜브(T1,T2,T3,T4)를 이용해, 온수저장탱크(130) 및 난방수 저장탱크(150)의 물유입관(134a,158) 및 물 배출관(134b,159)에 연결한다. 이처럼, 가열관(170)은 연통(16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열관(17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통(160)으로부터 가열관(170)을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주방용 가열장치는 버너(120)의 하부에 원판형상의 하부가열챔버(180)가 더 설치된다. 버너(110)로부터 발생한 열 중 배기열은 공간(S1)을 거쳐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도 하지만, 일부는 버너(110)의 하부공간(S2)을 가열한다. 따라서, 버너(110)로부터 발생한 열의 일부는 하부가열챔버(180)를 가열하게 된다.
이 경우, 도 4와 같이, 하부가열챔버(180)의 양측은 제 3 연결파이프(181,183)에 의해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 부분(130a)의 내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온수저장탱크(13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하부가열챔버(180)를 통해 순환함으로써 뜨겁게 가열된다. 한편, 하부가열챔버(180)와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 부분(130a)의 내측부 사이에는 공기유입공간(S3)이 형성되어 버너(110)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받는다.
본 실시 예에서, 하부가열챔버(180)는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 부분(130a) 내측부는 한 쌍의 제 3 연결파이프(181,183)를 용접방식으로 결합시킨다. 다만, 볼트 또는 나사결합방식을 통해 하부가열챔버(180)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버너(110)에서 발생한 열로 가열통(110)의 하부를 가열하여 물과 식재료를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통(110)과 온수저장탱크(130) 사이 공간(S1)으로 빠져나가는 잔열(배기열)을 통해 온수저장탱크(130) 내부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공간(S1)의 상부로 이동하는 잔열에 의해 상부가열챔버(140) 내의 물을 가열하여 난방수 저장탱크(150)의 난방수를 뜨겁게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공간(S1)의 상부 측면을 통해 빠져나가는 잔열을 연통(16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되, 상기 연통(160)이 온수저장탱크(130) 내부를 지나도록 배치함으로써, 온수저장탱크(130)의 물을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연통(160) 내부에 가열관(170)을 설치하여, 연통(160)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는 잔열이 가열관(170)을 가열하고, 이 물이 온수저장탱크(130) 또는 난방수 저장탱크(150)를 순환하게 함으로써, 온수저장탱크(130) 또는 난방수 저장탱크(150) 내의 물을 뜨겁게 데울 수 있다.
또한, 버너(120)의 하부로 빠져나가는 열을 이용하도록 버너(120)의 하부에 하부가열챔버(180)가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가열챔버(180) 내부의 물이 가열되고, 이 물이 순환됨으로써, 온수저장탱크(130) 내의 물을 뜨겁게 가열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버너(110)로부터 발생한 열은 거의 낭비되어 배출됨이 없이 온수 및 난방수를 가열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주방용 가열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난방수를 사용하지 않는 여름철에는 제 1 밸브(V1)를 조작하여 제 1 연결파이프(151,152)를 차단시키고, 제 2 밸브(V2)를 조작하여 제 2 연결파이프(153,154)는 개방시킴으로써, 상부가열챔버(140)에서 뜨겁게 가열된 물이 온수저장탱크(130)로 순환되도록 하여 온수저장탱크(130)의 물을 데우는데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즉, 여름철에는 난방수를 사용하지 않고, 주방에서 필요한 온수로만 사용하기 때문에, 버너(120)의 잔열이 온수저장탱크(130)의 제 1 부분(130a), 상부가열챔버(140), 연통(160) 및 하부가열챔버(180) 내의 물을 가열시킴으로써, 온수저장탱크(130) 내부의 물을 뜨겁게 데우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난방수를 사용해야 하는 겨울철에는 제 1 밸브(V1) 및 제 2 밸브(V2)를 조작하여 제 1 연결파이프(151,152)는 개방시키고, 제 2 연결파이프(153,154)는 차단시킴으로써, 상부가열챔버(140)에서 뜨겁게 가열된 물이 난방수저장탱크(150)로 순환되도록 하여 난방수저장탱크(150) 물을 데우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 1 밸브(V1) 및 제 2 밸브(V1)를 조작하여 제 1 연결파이프(151,152) 및 제 2 연결파이프(153,154) 모두가 개방하도록 하여 온수저장탱크(130)의 데어진 물과 난방수저탱크(150)의 데어진 물을 서로 공통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주방용 가열장치에 있어, 가열관(170)을 온수저장탱크(130)의 물을 데우는 것으로만 사용할 경우, 제 3 밸브(V3) 및 제 4 밸브(V4)를 조작하여 온수 탱크 물 유입관(134a) 및 온수 탱크 물 배출관(134b)는 개방시키고, 난방수 탱크 물 유입관(158) 및 난방수 탱크 물 배출관(159)은 차단시킴으로써, 가열관(170)에서 뜨겁게 가열된 물이 온수저장탱크(130)로 순환되도록 하여 온수저장탱크(130)의 물을 데우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열관(170)을 난방수 저장탱크(130)의 물을 데우는 것으로만 사용할 경우, 제 3 밸브(V3) 및 제 4 밸브(V4)를 조작하여 난방수 탱크 물 유입관(158) 및 난방수 탱크 물 배출관(159)은 개방시키고, 온수 탱크 물 유입관(134a) 및 온수 탱크 물 배출관(134b)은 차단시킴으로써, 가열관(170)에서 뜨겁게 가열된 물이 난방수 저장탱크(150)로 순환되도록 하여 난방수 저장탱크(150)의 물을 데우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0...가열통 113...걸림부
120...버너 125...가스공급라인
130...온수저장탱크 130a...제1부분
130b...제2부분 135...냉수공급관
137...온수배출관 140...상부가열챔버
150...난방수저장탱크 151,152...제1연결파이프
153,154...제2연결파이프 155,157..난방수 순환관
160...연통 170...가열관
172a,172b...T형 파이프 180...하부가열챔버
181,183...제 3 연결파이프 B...볼트
C...마개 V1...제1밸브
V2...제2밸브 V3...제3밸브
V4...제4밸브 T1,T2,T3,T4...튜브

Claims (12)

  1. 가열될 물과 식 재료가 담기는 가열통;
    상기 가열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열통을 가열하는 버너;
    상기 가열통의 외주면을 소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도록, 상기 가열통과 상기 버너가 설치되는 내측부를 구비한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의 측면에 상기 제 1 부분 보다 확장되게 설치되는 제 2 부분으로 구성된 온수저장탱크;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사이를 덮도록 상기 제 1 부분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가열챔버;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가열된 온수가 순환하여 저장되는 난방수저장탱크; 및,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 사이로 배출되는 배기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통;을 포함하며,
    상기 가열통의 하부 외면을 직접 가열하고 배출되는 배기열은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에 사이로 배출되어, 상기 배기열이 상기 가열통 측면과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가열함으로써, 상기 온수저장탱크 내의 물이 가열되고,
    상기 상부가열챔버는 상기 가열통과 상기 온수저장탱크 사이를 거쳐 배출되는 상기 버너의 배기열에 의해 내부의 물이 가열되며,
    상기 연통은,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내부를 지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배기열에 의해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물이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열챔버는, 상기 가열통의 상부 둘레를 감싸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저장탱크는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상부가열챔버와 상기 난방수저장탱크를 연결하도록 상기 상부가열챔버로부터 상기 난방수저장탱크를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 각각에는 유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1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수저장탱크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난방수저장탱크에 저장된 난방수가 순환하게 함으로써, 실내가 난방되게 하는 한 쌍의 난방수 순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연결파이프와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한 쌍의 제 2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2 연결파이프 각각에는 유로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 2 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열챔버과 상기 온수저장탱크의 상기 제 1 부분은 볼트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상부면에는, 상기 상부가열챔버의 하부면과 상기 제 1 부분을 결합하는 상기 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나사결합방식으로 상기 나사구멍을 막아 상기 상부가열챔버로부터 물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저장탱크와 연통되도록 상기 버너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열챔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버너의 하부로 배출되는 배기열에 의해 상기 하부가열챔버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상기 온수저장탱크를 순환함으로써, 상기 온수저장탱크 내의 물이 데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저장탱크 또는 상기 난방수 저장탱크와 연결되도록 상기 연통의 내부에 설치되는 주름진 형상의 가열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통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배기열에 의해 상기 가열관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상기 온수 저장탱크 또는 상기 난방수 저장탱크를 순환함으로써 상기 온수저장탱크 또는 상기 난방수 저장탱크 내의 물이 데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가열장치.
KR1020110001484A 2011-01-06 2011-01-06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KR201200800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484A KR20120080047A (ko) 2011-01-06 2011-01-06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484A KR20120080047A (ko) 2011-01-06 2011-01-06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047A true KR20120080047A (ko) 2012-07-16

Family

ID=4671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484A KR20120080047A (ko) 2011-01-06 2011-01-06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004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062B1 (ko) * 2013-03-14 2014-03-05 정무성 연소가스 밀폐형 조리기구
CN106016389A (zh) * 2016-07-07 2016-10-12 张国华 一种节能环保灶
CN109099470A (zh) * 2018-06-05 2018-12-28 佛山市易轩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燃气灶
CN112555908A (zh) * 2020-12-24 2021-03-26 陕西金阳光厨房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余热回收再利用功能的厨房设备
CN113310080A (zh) * 2021-06-07 2021-08-27 厦门成之韵工贸有限公司 一种余热可利用的燃气取暖火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062B1 (ko) * 2013-03-14 2014-03-05 정무성 연소가스 밀폐형 조리기구
CN106016389A (zh) * 2016-07-07 2016-10-12 张国华 一种节能环保灶
CN109099470A (zh) * 2018-06-05 2018-12-28 佛山市易轩软件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燃气灶
CN112555908A (zh) * 2020-12-24 2021-03-26 陕西金阳光厨房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余热回收再利用功能的厨房设备
CN113310080A (zh) * 2021-06-07 2021-08-27 厦门成之韵工贸有限公司 一种余热可利用的燃气取暖火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0047A (ko) 보일러 기능을 갖는 주방용 가열장치
KR101284544B1 (ko) 중화렌지 열을 이용한 온수발생장치
CN101813329B (zh) 一种节能灶的水箱结构
CN210374032U (zh) 一种炉灶装置
KR100982908B1 (ko) 가스 튀김기
CN205447853U (zh) 节能蒸炉
KR20090070462A (ko) 열 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JP5362267B2 (ja) 業務用厨房の廃熱利用システム
KR101640938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보일러
JP5858555B1 (ja) 薪ストーブ及び温水供給装置
CN201652512U (zh) 一种节能灶的水箱结构
KR100964180B1 (ko) 온수 공급 장치
KR20160109316A (ko) 폐열 회수형 가스 조리 기구를 이용한 난방 및 급탕 시스템
CN204105691U (zh) 燃气不粘底汤粥炉
KR100992701B1 (ko) 가스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보일러
KR101024489B1 (ko) 에너지 절약형 전기보일러
KR20030061169A (ko) 다층 보일러
US824808A (en) Water-heater.
JP6603088B2 (ja) 加熱調理釜
KR200412325Y1 (ko) 보일러
KR200412326Y1 (ko) 보일러
KR200273995Y1 (ko) 다층 보일러
GB2169397A (en) Heat recovery from commercial cookers
CN216652028U (zh) 一种蒸汽煮粥锅
CN211011506U (zh) 一种余热利用炒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