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381B1 -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381B1
KR100860381B1 KR1020080036466A KR20080036466A KR100860381B1 KR 100860381 B1 KR100860381 B1 KR 100860381B1 KR 1020080036466 A KR1020080036466 A KR 1020080036466A KR 20080036466 A KR20080036466 A KR 20080036466A KR 100860381 B1 KR100860381 B1 KR 1008603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xed
gear
fix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진
Original Assignee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8003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3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18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 E04H12/182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movable or with movable sections, e.g. rotatable or telescopic telescop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에 관한 것으로, 중공(111)을 갖는 관 형상으로 내면에 회전홈(112)과 고정홈(113)이 형성되고 전주(P)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110)와, 회전홈(11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121)과 회전축(121)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기어부(122)와 기어부(122)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조작을 위해 본체(110)의 외면에 노출형성된 손잡이부(123)와 고정홈(113)과 맞물려 기어부(122)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24)가 구비된 피니언(120)과, 본체(110)의 중공(11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바 형상으로 중공(111)에 위치하는 일단은 기어부(122)와 맞물리는 래크(131)가 형성되어서 기어부(122)의 회전으로 직선이동하는 연장대(130)를 포함하되, 연장대(130)는 기어부(122)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게 직선이동하는 한 쌍으로 되고 상기 일단이 연장돌출되어 스토퍼(132)로 된 완철본체(100); 상기 전주(P)의 둘레면을 감싸는 곡면형상을 이루고 본체(110)의 하방에 고정설치되어, 배전기(D)을 고정하는 지지대(210)를 구비하는 고정관(200); 전원공급부(310)와, 전원공급부(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320)와, 상기 스토퍼(132)와 래크(131)의 경계에 기어부(122)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기어부(122)의 압력을 받아 닫히면서 전원공급부(310)의 전력을 스피커(320)로 공급하는 스위치(330)로 된 경보기(300); 및 상기 손잡이부(123)가 노출된 본체(110)의 일면에 회전축(121)의 직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체(410)와, 고정체(410)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손잡이부(123)를 덮도록 형성되는 누름대(420)로 된 홀더(400)로 이루어져서, 시공시 배전기(D)가 완철본체(100)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므로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완철본체(100)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Supporting Bar for Distributor Fixed at a Pole}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전주에 완철이 설치되며 완철에 애자가 고정되어 애자를 매개로 전선이 전주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 고정된 전선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여러 수용가가 사용할 수 있도록 분전하는 배전기도 완철과 분리되어 지지대를 매개로 전주에 고정설치되는 구조였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가 전주의 상부에 완철을 전주와 교차되도록 설치한 후, 전주의 하부로 이동하여 수배전함을 설치하게 되므로 설치작업을 이중으로 하게 되어 번거로웠다.
한편, 이러한 완철은 대부분 금속재로 되어 애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도록 단단히 고정되므로 시공 후 파손에 의한 애자의 교체 전선의 추가 연결 등으로 인한 애자의 위치 변경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 완철에 고정된 애자를 완철로부터 분리하여 위치를 변경한 후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 애자의 고정위치 변경 또는 전선의 배선방향 변경에 따른 조정이 필요할 경우엔, 완철을 전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재조립해야하는데 단순한 바 형태의 완철에 애자의 고정위치를 변경하여 단단히 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변경된 고정위치에 볼팅구멍을 뚫어서 형성하여 애자를 핀 또는 볼팅방식으로 체결한다. 하지만, 볼팅구멍을 형성하는 작업은 현장에서 수행하기엔 그 작업이 곤란하고 다소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장에서 볼팅구멍을 뚫는 작업을 피할 목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완철로 대체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불필요한 자재의 소모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특허 10-2006-0107955와 같이 길이연장이 가능한 완철이 있다. 하지만, 상기 발명은 완철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승주하여 완철 일단의 연장대를 잡아빼서 연장한 후, 완철의 타단으로 이동하여 타단의 연장대를 잡아빼 연장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승주한 상태에서 완철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해야하므로 작업자의 낙하에 대한 위험부담이 큰 문제도 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완철은 전주의 상부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전주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데 연장대를 각각 연장시켜야 하므로 비대칭되게 연장되는 경우에는 재작업을 하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배전기가 완철본체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을 갖는 관 형상으로 내면에 회전홈과 고정홈이 형성되고 전주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와, 회전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과 회전축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기어부와 기어부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조작을 위해 본체의 외면에 노출형성되는 손잡이부와 고정홈과 맞물려 기어부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돌출형성된 걸림돌기가 구비된 피니언과, 본체의 중공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바 형상으로 중공에 위치하는 일단은 기어부와 맞물리는 래크가 형성되어서 기어부의 회전으로 직선이동하는 연장대를 포함하되, 연장대는 기어부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게 직선이동하는 한 쌍으로 되고 상기 일단이 연장돌출되어 스토퍼로 된 완철본체; 상기 전주의 둘레면을 감싸는 곡면형상을 이루고 본체의 하방에 고정설치되어, 배전기를 고정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고정관;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상기 스토퍼와 래크의 경계에 기어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기어부의 압력을 받아 닫히면서 전원공급부의 전력을 스피커로 공급하는 스위치로 된 경보기; 및 상기 손잡이부가 노출된 본체의 일면에 회전축의 직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체와, 고정체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손잡이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누름대로 된 홀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시공시 배전기가 완철본체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므로 시공이 용이하면서도 완철본체의 길이조절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의 요부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은, 전주(P)에 고정설치되는 본체(110), 본체(110)에 손잡이부(123)가 노출되어 조작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120) 및 본체(110)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연장대(130)로 이루어져서 전주(P)에 고정설치되는 완철본체(100)와; 배전기(D)가 설치되는 고정관(200)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보기(300)와; 및 손잡이부(123)를 고정시키는 홀더(4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통상 완금이라 지칭되며, 중공(111)을 갖는 긴 관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U자 밴드(B)를 매개로 전주(P)에 횡 방향으로 배치한 뒤 볼팅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본체(110)의 내면 중앙에는, 회전홈(112)이 형성되고, 회전홈(112)의 측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회전홈(112) 보다 얕은 깊이를 가진 고정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120)은, 회전홈(11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121), 회전축(121)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기어부(122), 기어부(122)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조작을 위해 본체(110)의 외면에 노출되는 손잡이부(123) 및 고정홈(113)에 맞물려 기어부(122)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24)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123)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걸림돌기(124)는 고정홈(113)으로부터 이탈되지만, 회전축(121)은 회전홈(112)에 일부가 삽입되어진 상태이다. 다시 말해, 상기 손잡이부(123)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걸림돌기(124)를 고정홈(113)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손잡이부(12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기어부(122)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한 쌍의 연장대(13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중공(11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중공(111)에 위치하는 연장대(130)의 일단에는, 기어부(122)와 항상 맞물리는 래크(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크(131)의 일단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돌출되어 스토퍼(132)가 형성되어서, 상기 래크(131)가 기어부(122)와 맞물려서 회전되다가, 스토퍼(132)에 걸려서 기어부(122)의 회전이 중단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132)는, 래크(131)의 일단을 길이방향으로 연장돌출시켰지만, 래크(131)의 일단 에 고무링 등을 끼워 기어부(122)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등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연장대는, 손잡이부(123)를 돌려 기어부(12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기어부(122)의 회전운동을 받아 연장대(130)가 기어부(122)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게 동일한 거리만큼 각각 직선이동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123)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연장대(130)는,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완철본체(100)의 총 길이는 본체(110)의 길이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된 연장대(130)의 길이의 합이 되어 길이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23)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연장대(130)는, 본체(110)의 중공(111)에 배치되어, 완철본체(100)의 총 길이는 본체(110)의 길이가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의 양단과 연장대(130)의 타단에는 애자(I)가 고정되는 볼팅구멍(h, h')이 일정거리마다 이격되어 다수 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장대(130)가 중공(111)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볼팅구멍(h')은, 애자(I)의 설치가 편리하도록 본체(110)의 볼팅구멍(h)과 연장대(130)의 볼팅구멍(h')의 배치위치가 직선상에 놓이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관(200)은, 본체(110)의 하방으로 전주(P)의 둘레면을 감싸는 곡면형상을 이루고서, 배전기(D)을 고정하는 지지대(210)로 이루어져서 본체(11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경보기(300)는, 전원공급부(310), 스피커(320) 및 스위치(3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부(310)는, 완철본체(100) 또는 전주(P) 등에 설치되는 통상의 전력원이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320)는, 전원공급부(310) 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으로서, 완철본체(100) 또는 전주(P) 등에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330)는, 접점이 항시 열리도록 배치되어, 외력에 의해 전기 회로를 열리거나 닫히도록하여 스피커(320)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스토퍼(132)와 래크(131)의 경계에 기어부(122)와 접하도록 되되 기어부(122)의 압력을 받으면 접점이 상호 접하여서 닫히게 되면서, 스피커(320)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다. 일 예로, 상기 스위치(330)에,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만 동작을 하고 압력이 더 이상 가해지지 않으면 복귀되는 통상의 푸쉬버튼 스위치가 적용되면, 작업자가 무의식적으로 손잡이부(123)를 일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시켜, 기어부(122)가 스위치(330)에 압력을 가하는 위치까지 회전되면, 스위치(330)의 접점이 상호 접하여서 회로가 닫히면서 경보기(300)가 작동되어 경고음이 울리게 되므로 작업자는 연장대(130)가 최대한 연장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400)는 손잡이부(123)가 노출된 본체(110)의 일면에 고정되는 고정체(410)와, 일단에 고정체(410)에 끼워지는 끼움구멍(421)이 형성되어 손잡이부(123)를 덮도록 고정체(410)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누름대(420)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ㄱ'자로 절곡형성된다. 이때, 상기 누름대(420)가 고정체(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무링(430)으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누름대(420)는 하중으로 인해 하방을 향하도록 손잡이부(123)의 전면에 배치되므로 작업자의 조작이 아닌 강풍이나 진동으로 발생되어도 걸림돌기(124)가 고정홈(113)에 맞물려 있게 되어 기어부(122)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연장대(130)는 본체(1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철본 체(10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누름대(42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손잡이부(123)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면, 걸림돌기(124)가 고정홈(113)으로부터 이탈되어, 손잡이부(123)의 회전이 가능해진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시공시, 상기 전주(P)에 본체(110)를 횡 방향으로 고정한 뒤, 본체(110)의 하방에 고정관(200)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관(200)에 배전기(D)를 안착하여 지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완철본체(100)는 본체(110)의 중앙에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피니언(120)의 손잡이부(123)가 노출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연장대(130)가 기어부(122)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게 직선이동되도록 중공(111)에 배치되되, 본체(110) 외부로 연장대(130)가 노출되지 않도록 중공(111)에 연장대(130)가 배치된다(도 2). 한편, 상기 걸림돌기(124)는 고정홈(113)에 맞물려서 강풍이나 전주(P)의 흔들림에도 기어부(122)가 회전되지 않는다(도 3의 a). 게다가, 상기 홀더(400)의 누름대(420)는 걸림돌기(124)가 고정홈(11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손잡이부(123)의 전방에 상하방으로 배치되게 설치된다(도 4의 a).
그리고, 상기 완철본체(100)의 길이연장이 요구될 경우에는, 누름대(420)를 일측 상방으로 회전시킨 뒤(도 4의 b), 손잡이부(123)를 전방으로 잡아당겨 걸림돌기(124)를 고정홈(113)에서 이탈시킨다(도 3의 b). 그리고, 상기 누름 대(420)를 일측 상방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23)를 잡아당긴 채로 회전시키면 연장대(130)가 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완철본체(100)의 길이가 연장된다(도 5).
한편, 상기 손잡이부(123)를 일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다, 기어부(122)가 스위치(330)에 압력을 가하는 위치까지 회전되면, 스위치(330)의 접점이 상호 접하여서 회로가 닫히면서 경보기(300)가 작동되어 경고음이 울리게 되므로 작업자는 연장대(130)가 최대한 연장되었음을 인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완철은, 완철본체(100)와 배전기(D)가 일체화되어 전주(P)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전주(P)의 상하부로 이동하면서 완철본체(100) 및 배전기(D)를 분리해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전주(P)의 상부로 승주하여 이루어지는 작업 특성상 작업자의 이동이 최소화되어 작업 안전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철은, 전선(W)이 증설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연장대(130)를 본체(110) 외부로 노출시켜, 노출된 연장대(130)에 전션(W)의 연결을 위한 애자(I)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해체 및 재조립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완철은, 상기 전선(W)의 증설로 인해 애자(I)의 추가고정이 요구되는 경우 볼팅구멍(h)을 뚫을 필요 없이 연장대(130)를 본체(110)외부로 노출시켜, 완철본체(100)의 길이가 연장되면, 이미 형성된 볼팅구멍(h')에 애 자(I)를 고정할 수 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철은, 상기 연장대(130)를 본체(110)의 외부로 전선(W)이 연결가능한 최소 길이만 노출하고, 노출된 연장대(130)에 애자(I)를 고정한 뒤에 완철본체(100)의 중앙에서 손잡이부(123)를 회전시켜 연장대(130)를 본체(110)의 외부로 더욱 노출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완철본체(100)를 최대한 연장한 후, 애자(I)의 고정을 위해 연장된 완철본체(100)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장거리를 이동할 필요 없어지므로, 상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낙하에 대한 위험부담이 감소하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완철은, 상기 완철본체(100)가 일반적으로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전주(P)를 중심으로 좌우대칭을 맞추어서 설치되는데 손잡이부(123)를 회전시키면 연장대(130)가 동일한 거리만큼 노출되거나 본체(110)의 중공(111)으로 삽입되므로 설치가 편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철은, 상기 래크(131)의 일단에 스토퍼(132)가 형성되어, 손잡이부(123)를 일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다 스토퍼(132)에 걸려서, 래크(131)와 피니언(120)의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전주(P)의 상방에 설치되어진 완철본체(100)로부터 연장대(130)가 피니언(120)에 분리되어서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완철은, 경보기(300)가 설치되어 손잡이부(123)를 회전시켜 연장대(130)가 최대한 늘어났음을 작업자가 소리를 통해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기어부(122)를 과도하게 회전시키지 않아 기어부(122) 및 래크(131)의 마모가 감소되어 피니언(120) 및 연장대(130)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완철은, 홀더(400)의 누름대(420)가 손잡이부(123)의 전면을 덮도록 설치되므로 조작이 아닌 강풍 또는 지표의 흔들림에도 손잡이부(123)가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아 걸림돌기(124)가 고정홈(113)에 지속적으로 맞물려 있으므로 기어부(122)가 회전되지 않아서 완철본체(100)의 길이가 연장되거나 축소되지 않고 항시 설정길이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의 요부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요부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요부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의 요부정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완철본체, 110:본체,
111:중공, 112:회전홈,
113:고정홈, 120:피니언,
121:회전축, 122:기어부,
123:손잡이부, 124:걸림돌기,
130:연장대, 131:래크,
132:스토퍼, 200:고정관,
210:지지대, 300:경보기,
310:전원공급부, 320:스피커,
330:스위치, 400:홀더,
410:고정체, 420:누름대,
421:끼움구멍, 430:고무링,
D:배전기, W:전선,
I:애자, P:전주,
h:볼팅구멍, B:U자 밴드.

Claims (1)

  1. 중공(111)을 갖는 관 형상으로 내면에 회전홈(112)과 고정홈(113)이 형성되고 전주(P)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본체(110)와, 회전홈(11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축(121)과 회전축(121)과 동축으로 연결되는 기어부(122)와 기어부(122)와 동축으로 연결되고 조작을 위해 본체(110)의 외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부(123)와 고정홈(113)과 맞물려 기어부(122)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24)가 구비된 피니언(120)과, 본체(110)의 중공(111)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내설되는 바 형상으로 중공(111)에 위치하는 일단은 기어부(122)와 맞물리는 래크(131)가 형성되어서 기어부(122)의 회전으로 직선이동하는 연장대(130)를 포함하되, 연장대(130)는 기어부(122)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하게 직선이동하는 한 쌍으로 되고 상기 일단이 연장돌출되어 스토퍼(132)로 된 완철본체(100);
    상기 전주(P)의 둘레면을 감싸는 곡면형상을 이루고 본체(110)의 하방에 고정설치되어, 배전기(D)을 고정하는 지지대(210)를 구비하는 고정관(200);
    전원공급부(310)와, 전원공급부(31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경고음을 발생하는 스피커(320)와, 상기 스토퍼(132)와 래크(131)의 경계에 기어부(122)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기어부(122)의 압력을 받아 닫히면서 전원공급부(310)의 전력을 스피커(320)로 공급하는 스위치(330)로 된 경보기(300); 및
    상기 손잡이부(123)가 노출된 본체(110)의 일면에 회전축(121)의 직상부에 배치되는 고정체(410)와, 고정체(410)의 말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손잡이부(123)를 덮도록 형성되는 누름대(420)로 된 홀더(4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KR1020080036466A 2008-04-21 2008-04-21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KR100860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466A KR100860381B1 (ko) 2008-04-21 2008-04-21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466A KR100860381B1 (ko) 2008-04-21 2008-04-21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381B1 true KR100860381B1 (ko) 2008-09-25

Family

ID=4002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466A KR100860381B1 (ko) 2008-04-21 2008-04-21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38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441B1 (ko) 2008-08-26 2009-02-0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KR101319936B1 (ko) 2013-06-10 2013-10-21 동양감리(주)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498542B1 (ko) * 2014-12-12 2015-03-04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절연 애자 완금 구조
KR101945803B1 (ko) * 2018-04-10 2019-05-02 미래전기기술단(주) 배전선로의 고정 완금 장치
CN109768941A (zh) * 2018-12-18 2019-05-17 广东三维睿新科技有限公司 一种以太网交换机
KR102078706B1 (ko) * 2019-07-15 2020-02-19 민영석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작업용 안정장치
KR102291648B1 (ko) * 2021-04-01 2021-08-19 (주)케이제이종합감리 배전선로 방향가변장치를 갖는 배전용 전주
KR102651021B1 (ko) * 2023-11-28 2024-03-22 진대승 배전선로 방향 가변이 가능한 배전용 전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253B1 (ko) 2006-11-02 2007-01-25 김동조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253B1 (ko) 2006-11-02 2007-01-25 김동조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441B1 (ko) 2008-08-26 2009-02-06 주식회사 삼일이엔씨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KR101319936B1 (ko) 2013-06-10 2013-10-21 동양감리(주)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498542B1 (ko) * 2014-12-12 2015-03-04 주식회사 현신 가공배전선로의 절연 애자 완금 구조
KR101945803B1 (ko) * 2018-04-10 2019-05-02 미래전기기술단(주) 배전선로의 고정 완금 장치
CN109768941A (zh) * 2018-12-18 2019-05-17 广东三维睿新科技有限公司 一种以太网交换机
CN109768941B (zh) * 2018-12-18 2021-01-15 广东三维睿新科技有限公司 一种以太网交换机
KR102078706B1 (ko) * 2019-07-15 2020-02-19 민영석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작업용 안정장치
KR102291648B1 (ko) * 2021-04-01 2021-08-19 (주)케이제이종합감리 배전선로 방향가변장치를 갖는 배전용 전주
KR102651021B1 (ko) * 2023-11-28 2024-03-22 진대승 배전선로 방향 가변이 가능한 배전용 전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0381B1 (ko) 배전선로의 배전기가 설치된 전주고정용 완철
KR100876019B1 (ko) 전신주 설치용 분배전반
KR101498542B1 (ko) 가공배전선로의 절연 애자 완금 구조
CA2604930A1 (en) Rope tensioning device for rope networks
JP2013536790A (ja) レール吊り下げ装置、特に高架コンベアのレールあるいは吊り上げ機のレール吊り下げ装置
KR100873981B1 (ko) 전주 고정형 주상변압기 설치가 가능한 완철
KR100847357B1 (ko) 전주의 수배전함 위치고정구조
KR100873983B1 (ko) 주상변압기 설치 전주의 완철구조
KR100847359B1 (ko) 가공전선 접속형 배전함체 고정대
CN204179575U (zh) 一种电缆管口放线滑轮
KR101684662B1 (ko) 가공 배전선로용 처짐 방지 장치
KR101492041B1 (ko) 케이블 가설용 행거
KR101319936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0860379B1 (ko) 전주의 완금 고정구조
KR100892155B1 (ko) 방향전환이 가능한 배전용 전주 상부지지대
KR100562530B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KR101643398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JP2009017679A (ja) 電柱用作業足場
KR100904061B1 (ko) 송전선 고정애자형 접속대
KR102358795B1 (ko) 활선 작업용 전선 고정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KR100859406B1 (ko) 파이프 행거
FR2516117A3 (fr) Support pour douche a tube flexible
KR200457356Y1 (ko) 온실용 권취 파이프 지지용 베어링 조립체
KR200466401Y1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CN105575374A (zh) 一种方便安装与调节的乐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