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530B1 -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 Google Patents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530B1
KR100562530B1 KR1020050061022A KR20050061022A KR100562530B1 KR 100562530 B1 KR100562530 B1 KR 100562530B1 KR 1020050061022 A KR1020050061022 A KR 1020050061022A KR 20050061022 A KR20050061022 A KR 20050061022A KR 100562530 B1 KR100562530 B1 KR 10056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fixed
elastic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경열
Original Assignee
기득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득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득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제조시, 선체의 조립 및 제작을 위해 안착되는 각 선체블럭을 지지하는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그 장력과 제1관의 내측에서 각 블럭의 높이에 따라 승하강되어 일정높이에서 고정되는 제2관과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탄성력에 의한 승하강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용 핀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제1관(110)과;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122)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하단부가 상기 제1관(110)의 내측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제2관(120)과; 상기 제1관(110)을 통해 상기 제2관(120)의 관통공(122)을 관통하므로서 상기 제2관(120)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0)와; 상기 제1관(1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관(120)의 끝단과 와이어(134)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관(1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탄성부재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134)를 당김으로 상기 제2관(120)을 승강시키는 복수개의 탄성밸랜싱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핀지그, 탄성체, 탄성부재, 선체블럭, 선박

Description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Pin Jigger for supporting Blocks in the Body of a Ship utilizing Elastic Member}
도 1은 종래의 핀지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다수개의 핀지그가 베이스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서 탄성밸랜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의 A-A'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의 B-B'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서 제1관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서 제1관의 상승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핀지그 110 : 제1관
111 : 삽입공 112 : 개구부
120 : 제2관 121 : 와이어안내홈
122 : 관통공 123 : 받침플레이트
130 : 탄성밸랜싱부재 131 : 고정축
131a : 스프링고정홈 132 : 스프링
133 : 회전롤러 134 : 와이어
140 : 하우징 150 : 고정부재
본 발명은 선박의 제조시, 선체의 조립 및 제작을 위해 안착되는 각 선체블럭을 지지하는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그 장력과 제1관의 내측에서 각 블럭의 높이에 따라 승하강되어 일정높이에서 고정되는 제2관과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서 탄성력에 의한 승하강 조절이 용이하여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용 핀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다수개의 블럭으로 조립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선체블럭은 수톤에서 수백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뿐아니라, 부위별로 다양한 곡률을 갖고 제작된다. 이와 같은 선체블럭은 핀지그에 의해 지면에서 일정높이 이상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용접등의 작업을 통해 제작 및 조립된다. 이와 같은 핀지그는 하기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은 종래의 핀지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핀지그(P)는 지지봉(1)과 보조프레싱(2), 제2관(3), 제1관(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1)은 블럭과 접촉하는 헤드(11)와 상기 보조프레싱(2)에 결합되어 상하이동되므로서 지지봉(1)의 높이를 미세조정하는 나사산(12)을 포함한다. 또한 보조프레싱(2)은 상기 지지봉(1)의 미세조정을 위해 상측에서 상기 지지봉(1)의 나사산(12)이 결합되는 내주면(21)과, 상기 제2관(3)의 강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2관(3)의 내주면(31)에 결합되는 외주면(2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관(3)은 중공관의 형태를 갖고 그 외주면에는 핀홀(32)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2관(110)은 중공관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제2관(3)의 핀홀(32)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핀홀(42)이 관통된다. 아울러 상기 제2관(4)은 그 외주면의 상측에서 소정의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고정되어 상기 제1관(4)의 핀홀(42)을 통해 상기 제2관(3)의 핀홀(32)에 관통되므로서 상기 제1관(4)에 제1관(3)을 고정시키는 핀(43)과, 하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서 제1관(4)을 지지하는 지지판(44)을 포함한다.
도 2는 다수개의 핀지그가 베이스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핀지그(P)는 제2관(3)의 상단부에서 내주면에 보조프레싱(2)을 삽입한 후 용접등으로 영구 결합시킨 후, 상기 보조프레싱(2)의 상단 내주면에 상기 지지봉(1)의 나사산(12)을 결합시켜 상기 제2관(3)과 보조프레싱(2), 지지봉(1)을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관(3)은 상기 제1관(4)의 내주면(41)에서 삽입되어 적정높이에서 상기 핀(43)이 상기 제1관(4)과 제2관(3)의 핀홀(32, 42)에 삽입되므로 상기 제1관(4)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립구성된 각각의 핀지그(P)는 베이스(G)에 일정간격으로 배열되고, 상기 지지봉(1)이 접촉되는 선체블럭(B)의 높이를 고려하여 각각 서로다른 높이로서 설정되며, 블럭(B)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판(44)을 베이스(G)상에 용접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제2관(3)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서 상기 핀(43)을 제거하여 승하강시키므로서 안착되는 선체블럭(B)의 곡률을 고려하여 그 높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지지봉(1)은 상기 제2관(3)의 핀홀(32, 42)간의 간격조절로서는 불가능한 미세간격이 발생w시에 상기 나사산이 회전됨에 따라 그 간격만큼 승하강되어 전체 핀지그(P)의 높이를 설정된 수치만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지그(P)는 각 선체블럭의 곡율을 고려하여 일정높이로서 설정되고, 상기 핀지그(P)의 높이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봉(1)의 상측에 안착되는 선체블럭(B)을 지지한다. 따라서 각 작업자는 안착된 각 선체블럭(B)에 대한 조립 및 제작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핀지그는 다양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지만, 대략 종방향의 길이가 1.5m~2.5m, 무게가 20㎏이고, 상기 제2관은 무게만도 10㎏을 초과하며, 하나의 선체블럭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적게는 수십개에서 많게는 수백개의 핀 지그가 사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10㎏의 무게를 갖는 수십개에서 수백개까지의 제2관을 수작업으로 승하강시켜 높이를 맞추므로서 많은 작업인력과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상당한 무게의 제2관을 반복적으로 들어서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인체에 무리가 올 수 있고, 그 과정중에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관에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와이어를 상기 제2관과 상기 탄성부재에 각각 연결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장력과 상기 제2관의 밸런스를 이용하여 제2관을 승하강시킴으로 핀지그의 높이조절이 용이한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탄성부재에서 발생되는 탄성력의 장력과 상기 제2관의 밸런스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관과 제2관의 사이에서 와이어가 이동되고, 상기 와이어에 의해 탄성력이 상기 제2관에 균등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제1관의 구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임의로 조절함에 따라 탄성부재와 제2관의 장력밸런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므로 장기간동안 사용이 가능한 핀지그의 구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관의 내측에서 승하강되는 제2관의 교체작업시, 상기 제2관을 제1관에서 이탈시킨뒤,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거나 작업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타 제2관을 제1관에 삽입하여 사용가능할 수 있도록 교체작업이 용이한 받침플레이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여 지면에 고정되는 제1관과;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공이 일정간격으로 천공되어 하단부가 상기 제1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승하강되는 제2관과; 상기 제1관을 통해 상기 제2관의 관통공을 관통하므로서 상기 제2관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1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의 끝단과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2관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탄성밸랜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관은 양측면에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고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탄성밸랜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이동되는 와이어안내홈과; 하단부에서 소정의 평면을 갖고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와이어안내홈을 따라 연결되는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고정되는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밸랜싱부재는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폭과 높이를 갖는 하우징의 내측에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제 3 실시예에 있어 서 상기 탄성밸랜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축의 일측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을 일정범위만큼 회전시키는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의 날개에 걸림되어 상기 톱니형회전날개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을 방지하는 포올를 포함하는 스프링장력조절부와;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회전롤러와; 일측끝단이 상기 고정축, 타측끝단이 상기 회전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롤러의 회전에 따라 감아지거나 풀리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밸런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축의 일측끝단에 연결된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의 날개에 걸림되는 포올을 포함하는 스프링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제 4 또는 제 5 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측끝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홈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10)는 지면에 고정되는 제1관(110)과, 상기 제1관(110)의 내측에서 승하강되는 제 2관(120)과, 상기 제1관(1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하우징(140)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관(120)을 승강시키는 탄성밸랜싱부재(130, 도 4참조)와 상기 제2관(120)과 제1관(11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지그(10)는 상기 제2관(120)의 상측에 지지봉이 형성됨이 가능하며 이는 종래와 동일 또는 유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하우징(140)의 외측면에는 내측에 고정축(도 4참조)의 일측끝단에 연결되는 스프로킷(135a)과 포올(135b)이 포함된 스프링장력조절부(135)가 설치되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의 장력저하시에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평상시 스프로킷(135a)의 날개는 나사등으로 하우징에 고정된 상기 포올(135b)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스프로킷(135a)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회전이 방지되지만, 사용자가 장력조절을 위해 고정된 나사를 해제하면 상기 스프로킷(135a)의 시계방향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작용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관(110)은 내측에 빈공간이 형성되어 좌우측면에서 소정의 넓이만큼 개방된 개구부(112)(도 5a참조)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영역에 상기 하우징(140)이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제1관(110)의 전면과 후면에는 다수개의 삽입공(111)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관(120)은 상측에 상기 지지봉등의 구성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삽입공(111)과 일치되도록 일정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관통공(122)이 형성되고, 좌우측면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와 이어안내홈(121)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안내홈(121)은 상기 하우징(140)내측에 고정되는 탄성밸랜싱부재(130)에 연결되는 와이어(134)가 승하강되는 이동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제2관(120)이 상기 제1관(110)의 내측에서 승하강조절되어 일정높이를 유지하면, 상기 제1관(110)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공(111)을 통하여 상기 제2관(120)의 관통공(122)을 관통하므로서 상기 제1관(110)에 상기 제2관(120)을 고정시킨다.
또는 상기 제1관(110)은 상술한 바와 달리 외주면에 삽입공(111)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관(110)의 내측에 승하강되는 제2관(120)의 외주면에만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하나이상의 관통공(122)이 형성됨도 본 발명의 요지에 해당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제1관(110)의 상측에서 상기 제2관(120)의 관통공(122)에 삽입되고, 상기 제1관(110)의 상측단면에 지지되므로 상기 제2관(120)의 높이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제1관(110)의 개구부(112)가 형성된 영역에 고정되어 내측에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 도 4참조)를 고정시키며,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는 상기 제2관(120)에 연결되는 와이어(134)를 탄성력에 의해 승하강시킴으로 상기 제2관(120)을 승하강시키며, 이에 대한 상세구성은 하기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서 탄성밸랜싱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는 와이어(134)를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롤러(133)와, 상기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고정축(131)과,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1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축(131)은 양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140)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고정되며, 이때 일측끝단의 외주면에 스프로킷(135a, 도 3참조)이 고정되며, 그 단면에 랜치등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이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축(131)은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고 절곡되어 탄성부재의 일측끝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홈(1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32)는 스프링이며, 특히 상기 회전롤러(133)의 회전에 따라 감겨지겨나 풀려질경우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일정폭을 갖는 판스프링 또는 태엽스프링인것이 바람직하며, 그 일측끝단이 상기 고정축(131)의 스프링고정홈(131a)에 고정되어 상기 고정축(131)을 중심으로 감겨져 타측끝단이 상기 회전롤러(133)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133)는 상기 와이어(134)의 끝단이 고정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13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134)를 감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포올(135b)은 평상시에는 나사등에 의해 하우징(14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프로킷(135a)은 포올(135b)에 의해 걸림되어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상기 고정축(131)은 상기 회전로울러(133)의 회전시에도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회전롤러(133)는 와이어(134)에 소정의 힘이 가해지면 일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회전롤러(133)의 외주면에 감겨진 와이어(134) 가 풀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32)은 상기 회전롤러(133)가 일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고정축(131)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감겨지게 되며,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34)에 가해지는 힘이 사라진다면, 상기 고정축(131)에 감겨진 스프링(132)이 복원되면서 그 힘이 회전롤러(133)에 전달되므로 상기 회전롤러(133)가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롤러(133)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풀려진 와이어(134)가 그 외주면에 다시 감겨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롤러(13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프링(132)이 고정축(131)을 중심으로 감겨지거나 풀려지는 것과 별도로, 작업자가 임의로 스프링(132)과 제2관(120)이 밸런싱을 이루도록 스프링(13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와 같은 핀지그에서는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스프링(132)의 탄성력이 저하됨에 따라 제2관(120)과 탄성밸랜싱부재(130)간의 밸런싱이 맞질 않게 되므로 별도로 상기 스프링(132)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는 상기 포올(135b)을 하우징(140)에 고정하는 나사를 풀고 랜치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축(131)을 회전시키면, 상기 포올(135b)은 상기 스프로킷(135a)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에는 날개에 의해 상측으로 튕겨지므로 상기 스프로킷(135a)에 걸리지 않고, 또는 상기 스프로킷(135a)이 시계방향회전 이후 정지시에는 그 톱니형 날개를 지지하므로서 상기 스프로킷(135a)에 연결되는 고정축(13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을 방지하여 스프링(132)의 장력을 높여 줄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의 A-A'단 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의 B-B'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1관(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삽입공(111)이 천공되고, 그 상측의 일정부분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12)에 고정되어 내측의 탄성밸랜싱부재(130)를 고정시킨다.
상기 제2관(120)은 전면에 상기 관통공(122)이 형성되고, 좌우측면에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의 회전롤러(133)의 횡방향길이에 일치되는 폭을 갖는 와이어안내홈(121)이 형성되고, 하단부에 소정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의 탄성력에 의해 감김 또는 풀림되는 복수개의 와이어(134)의 일측끝단이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받침플레이트(12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플레이트(123)는 상기 제2관(120)과 분리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밸랜싱부재(130)는 상기 제1관(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하우징(140)에 각각 설치되며, 이때 상기 하우징(140)의 내측면에 상기 고정축(131)이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축(131)의 스프링고정홈(131a)과 회전롤러(133)의 내주면에 양측끝단이 고정되는 스프링(132)이 상기 고정축(131)을 중심으로 감겨져 있고, 상기 회전롤러(133)는 외주면의 일정부분에 와이어(134)의 끝단이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서 제1관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핀지그(10)의 높이를 설정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먼저 제1관(110)을 용접등을 통하여 베이스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관(120)에 힘을 가하여 하강시키면, 일측이 상기 제2관(120)의 하측에서 분리형성된 받침플레이트(123)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롤러(133)에 감겨진 와이어(134)가 상기 회전롤러(133)의 일방향회전과 동시에 풀려져 상기 와이어안내홈(121)을 따라 배출된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132)은 상기 회전롤러(133)가 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고정축(131)을 중심으로 감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32)은 상기 회전롤러(133)의 회전과 동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고정축(131)을 중심으로 감겨지나 이와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롤러(133)에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관(120)은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측방향의 힘과 상기 스프링(132)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동시에 받게 되어 상기 제2관(120)이 평형을 유지하여 멈추게 되므로 작업자가 제2관(120)을 조절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제2관(120)을 붙잡기 위해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2관(120)을 원하는 높이까지 내리게 되면 상기 제2관(120)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제2관(120)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고정부재(150)가 해당 위치의 상기 제1관(110)의 삽입공(111)을 통해 삽입되어 제2관(120)의 관통공(122)을 관통하므로써 상기 제2관(120)이 제1관(110)에 고정된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110)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공(111)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관(120)에만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122)이 형성되는 구성에 서는 상기 고정부재(150)를 상기 제1관(110)의 상측에서 가장 근접한 상기 관통공(122)에 삽입하여 상기 제2관(120)의 높이를 고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에서 제1관의 상승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관(120)을 하강된 위치에서 다시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만약 고정부재(150)가 삽입된 상태라면, 상기 고정부재(150)를 상기 삽입공(111)과 관통공(122) 또는 상기 관통공(122)에서 이탈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2관(120)을 잡고 위로 올리게 되면, 상기 스프링(132)은 자체복원력에 의한 탄성력을 상기 회전롤러(133)에 가하므로서 상기 회전롤러(133)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2관(120)의 받침플레이트(123)를 지지하는 와이어(134)가 상기 회전롤러(133)에 감김으로서 상기 제2관(120)이 승강된다.
이어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제2관(120)이 소정의 위치까지 승강되면, 상기 고정부재(150)를 삽입공(111)과 관통공(122)에 삽입하므로서 상기 제2관(120)을 상기 제1관(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관(110)의 외주면에 상기 삽입공(111)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2관(120)에만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122)이 형성되는 구성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50)를 상기 제1관(110)의 상측에서 가장 근접한 상기 관통공(122)에 삽입하여 상기 제2관(120)의 높이를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선체블럭을 지지하게 되며, 사용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기타원인에 의해 손상된 상기 제2관(120)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2관(120)을 승강시킨 뒤 제1관에서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제2관(120)은 상기 받침플레이트(123)와 분리형성되어 있으므로 타 구성의 도움없이 바로 이탈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플레이트(123)는 상기 제1관(110)의 내측에 잔류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제2관(120)이 제1관(110)의 내측에서 완전히 뽑혀지면, 새로운 제2관(120)을 상기 받침플레이트(123)에 안착시켜 제1관(110)의 내측에서 삽입하므로 교체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는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통하여 제2관의 상승 및 하강시에 적절한 힘을 가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시 상기 핀지그의 높이조절이 용이하고, 그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아울러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이 가해짐에 따라 기본적으로 상기 제2관은 상측으로 진행되는 힘이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조작시에도 과중한 힘이 소모되지 않고, 그 조작이 간단함에 따라 안전사고의 발생가능성이 크게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스프링을 임의로 조절하는 스프링장력조절부를 구비함에 따라 장기간동안 사용하더라도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제2관과 탄성 밸랜싱부재간에 장력 밸랜싱을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동안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2관이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플레이트와 분리형성되어 그 평면에 안착되므로 제1관의 내측에서 승하강되는 구성으로서, 제2관의 교체작업시에 별도로 와이어를 새로이 연결하거나 기타 구성의 추가 또는 변경없이 단순히 상기 받침플레이트에 상기 제2관을 안착시키므로서 교체작업이 완료되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고 시간이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측에 빈공간을 가지며 지면에 고정되는 제1관과; 상기 제1관의 내측에 삽입되어 와이어가 끝단에 고정되어 승하강되는 제2관과; 상기 제1관을 통해 상기 제2관의 관통공을 관통하므로서 상기 제2관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와; 상기 제1관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관의 끝단과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제2관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탄성밸랜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밸랜싱부재는 하우징의 양측면에 관통되는 고정축과;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회전롤러와; 일측끝단이 상기 고정축, 타측끝단이 상기 회전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롤러의 회전에 따라 감아지거나 풀리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고정축의 일측끝단에 고정된 스프로킷과; 상기 스프로킷의 날개에 걸림되는 포올을 포함하는 스프링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측끝단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KR1020050061022A 2005-07-07 2005-07-07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KR10056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022A KR100562530B1 (ko) 2005-07-07 2005-07-07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022A KR100562530B1 (ko) 2005-07-07 2005-07-07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749U Division KR200396128Y1 (ko) 2005-07-07 2005-07-07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530B1 true KR100562530B1 (ko) 2006-03-27

Family

ID=3717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022A KR100562530B1 (ko) 2005-07-07 2005-07-07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5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4102A (zh) * 2011-10-20 2012-04-25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坞墩装卸墩木的装置
KR20200103383A (ko) 2019-02-25 2020-09-02 김영경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장치
KR102258877B1 (ko) * 2019-12-26 2021-06-01 기득산업 주식회사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CN113104174A (zh) * 2020-07-16 2021-07-13 株式会社瑞一 船舶分段支撑用支柱台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4102A (zh) * 2011-10-20 2012-04-25 江门市南洋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船舶坞墩装卸墩木的装置
KR20200103383A (ko) 2019-02-25 2020-09-02 김영경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장치
KR102258877B1 (ko) * 2019-12-26 2021-06-01 기득산업 주식회사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CN113104174A (zh) * 2020-07-16 2021-07-13 株式会社瑞一 船舶分段支撑用支柱台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2530B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KR200396128Y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CN110644791A (zh) 一种房建混凝土浇筑平台
KR100837321B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KR100838597B1 (ko) 협소부용 앵커공 천공장치
KR20090010838U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JP4669753B2 (ja) マンホール内ステップ取付孔の削孔装置
CN220521999U (zh) 建筑外墙施工模架装置
US8567710B2 (en) Cable protection device
JP4852465B2 (ja) ドーム状屋根の吊上げ装置、ドーム状屋根の吊上げ装置群、およびドーム状屋根の構築方法
KR102292048B1 (ko) 케이블 드럼 권출장치
JP2006336296A (ja) 作業台着脱式昇降板及び作業台
JP2008266895A5 (ko)
KR100640295B1 (ko) 선박의 곡블럭 서포트용 핀지그
KR102229866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텐션 조절장치
KR200381787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20220099776A (ko) 케이블 드럼 권출장치
JP4290580B2 (ja) エレベータ
JP3960392B2 (ja) 外壁材吊り上げ装置及び外壁材吊り上げ方法
CN220645977U (zh) 一种矿井顶板支护装置
CN211666222U (zh) 一种室内装饰用脚手架
CN211018035U (zh) 一种绝缘操作杆
KR100542640B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CN211895673U (zh) 用于卷绕机卡盘的起吊装置
KR100618180B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