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838U -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838U
KR20090010838U KR2020080005230U KR20080005230U KR20090010838U KR 20090010838 U KR20090010838 U KR 20090010838U KR 2020080005230 U KR2020080005230 U KR 2020080005230U KR 20080005230 U KR20080005230 U KR 20080005230U KR 20090010838 U KR20090010838 U KR 2009001083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built
fixed
block pin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호
이수택
박정우
김정수
강희동
길준석
Original Assignee
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호 filed Critical 강성호
Priority to KR2020080005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838U/ko
Publication of KR200900108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3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업장소에 고정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암지그;상기 암지그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가 빈 숫지그; 및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 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력회동부와 상기 숫지그를 지지하면서 상기 숫지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승강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암지그 내에 위치하며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 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며 직진성을 유지시키는 탄력조절이 가능한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작업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고 숫지그의 승하강을 보조할 수 있다.
곡 블록, 핀지그, 장력조절, 탄력조절, 태엽스프링

Description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Tension adjustable pin jig for supporting curved block}
본 고안은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탄성력을 이용하여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작업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지그는 선박의 선체 등과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 구조물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상기 핀지그는 선박의 선체를 제조하는 도중 상기 선체의 제조를 위한 각 블럭을 그 저부에서 받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선체는 다수의 블럭으로 나누어 개별 제작한 다음 상기 각 블럭을 결합함으로써 그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선체의 각 블럭은 그 바닥면이 자유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수의 핀지그를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블럭의 저면 높이에 따라 상기 각 핀지그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상기 각 블럭이 정위치에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각 블럭 간을 용접하였다.
첨부된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핀지그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핀지그는 서포터(11)와, 높이조절너트(12)와, 암지그(13) 및 숫지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숫지그(14)는 상기 암지그(13)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높이조절너트(12)는 상기 숫지그(14) 내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11)는 실질적으로 선체를 이루는 블럭을 받치는 부위로써 상기 높이조절너트(12)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포터(11)와 상기 높이조절너트(12)는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포터(11)의 미세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암지그(13)와 숫지그(14)에는 체결공(13a,14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체결공(13a,14a)에는 별도의 고정키(15)가 연속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암지그(13)에 상기 숫지그(14)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핀지그는 상기 숫지그(14)의 무게가 통상 15∼25㎏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숫지그(1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상기 숫지그(14)를 손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야만 하는 수작업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의 반복 수행에 따른 작업자의 허리나 팔 등 등의 근육에 무리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숫지그(14)를 수동으로 조절하고 고정키(15)를 끼워서 고정시킴에 따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었고, 작업자의 실수로 상기 숫지그(14)를 떨어뜨렸을 경우 상기 숫지그(14)의 무게로 인해 급격한 하강이 이루어짐 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67986호 및 제10-2005-0067987호와 같이 암지그의 외부에서 별도의 핸들을 조작하여 숫지그를 보다 쉽게 승하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하, “제1기술”이라 함)과, 한국등록실용 제20-0379658호 및 20-0381787호 등과 같이 무게추를 이용하여 숫지그의 승하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이하, “제2기술”이라 함) 및 한국등록실용 제20-0353425호, 제20-2005-19749호, 제20-0396128 및 20-0424935 등과 같이 태엽식의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숫지그의 승하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이하, “제3기술”이라 함) 등 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각 기술들 중 제1기술은 핸들의 설치를 위한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그 제조를 위한 제조 비용이 비싼 문제점을 가지고, 상기 제2기술은 무게추로 인해 소요되는 제조 단가가 비싼 문제점을 가지며, 상기 제3기술은 암지그의 외측에 태엽식의 판스프링을 정확히 설치하기 위한 조립이 곤란함과 더불어 그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장시간 사용 시 하중에 의해 판스프링이 눌려 탄력이 저하되고, 태엽식 판스프링이 숫지그 내에 장착될 경우, 크기에 제약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각 기술들은 숫지그의 하강 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숫지그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르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기술들은 숫지그의 위치가 점차 저부로 갈수록 가압력이 점차적으로 커야만 하였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기술들은 고정되는 숫지그의 위치파악이 어려워 전체 지그의 높이 측정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대한 적은 제조 비용으로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핀지그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수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작업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숫지그의 승하강을 보조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후술되는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숫지그에 대한 높낮이 조절시 작업자가 소요하는 힘을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의 단축과 상기 숫지그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제작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그 구조가 암지그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암지그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없어서 상기 암지그와 관계되는 조립 작업이 필요 없어 설치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기존 핀지그에서 장시간 사용 시 발생하는 태엽스프링의 장력(또는 탄성력) 저하를 장력 조절장치로 해결함으로써 교체주기를 연장하여 경비절감에 기여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섯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장력조절이 가능하여 선박건조 시 사용되는 다양한 길이 및 무게의 숫지그를 사용할 수 있어 경비절감에 기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암지그 외부에 눈금 홀(Slot hole)이 가공되어 있어 숫지그의 높낮이를 눈으로 쉽게 관측하고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는 작업장소에 고정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암지그; 상기 암지그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가 빈 숫지그; 및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 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력회동부와 상기 숫지그를 지지하면서 상기 숫지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승강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회동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 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며 탄력 조절이 가능한 탄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보조부는 상기 탄력회동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안내핀과 일단은 상기 탄력회동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안내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암지그 내의 최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높이 방향의 끝단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조절부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탄력회동체와, 일단은 상기 회동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탄력회동체에 고정 설치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력부재와, 상기 회동축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탄력부재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탄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회동체는 상기 탄력부재가 내장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면서 그 외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감기는 감김홈이 형성된 제2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 외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축 한쪽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라킷과, 상기 스프라킷이 설치되는 방향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프라킷의 회전을 막아주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안내핀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지지헤드와, 상기 지지헤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숫지그의 저부를 받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핀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안내핀의 지지를 받아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풀리와의 충돌을 막기 위하여 상기 안내핀과의 접촉부위에 높이방향으로 일정 높이의 돌출 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몸체의 외면은 그 중앙 부위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감김홈은 상기 제2몸체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나선 형상을 이루면서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감김홈 중 내측 끝단 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상부로 이동될수록 상기 감김홈 중 외측 부위까지 감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조절부를 구성하는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회동축에 감기면서 압축되거나 혹은, 풀리면서 복원되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회동부는 상기 암지그 내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안내핀 하단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 회동체와 상기 회동축 간의 접촉 부위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축은 상기 탄력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탄력부재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단에 베어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핀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핀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두 개 이상의 부위를 지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헤드는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고리형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풀리를 통해 상기 탄력회동체의 제2몸체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암지그는 표면에 눈금 홀(slot hole)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일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된 스프링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회동축 단면에 형성된 공구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구 홈을 조임으로써 일단이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상기 탄력부재의 탄력(또는 장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에 대하여 설명하며, 이를 통해 본 고안의 목적과 특징이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2와 같이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는 크게 암지그(130)와, 숫지그(140)와, 높이조절너트(120)와, 서포터(110)와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암지그(130)는 작업장소(예를 들어, 선체의 각 블럭을 용접하기 위한 작업장 등)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암지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암지그(130)의 둘레면 저부에는 지면에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적어도 네 개의 리브(132)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지그(130)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눈금 홀(Slot hole)(131)이 상기 암지그의 축방향으로 그 전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이는 상기 눈금 홀(131)로는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 시 숫지그의 위치파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숫지그(140)는 상기 암지그(130)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숫지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숫지그(140)의 둘레면에는 그 길이 방향(도면상 세로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141)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각 체결공(141)은 상기 암지그(130)의 상단에서 고정키(150)가 계속적으로 숫지그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숫지그(140)가 상기 암지그(130)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너트(120)는 상기 숫지그(140)의 상단에 얹힘과 동시에 그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의 하단에는 상기 숫지그(140)의 상단 내부로 요입 결합되는 단턱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110)는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높이조절너트(120)로부터 미세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 서포터(110)는 상단을 이루면서 선체의 형성을 위한 블럭이 얹혀지는 접촉부(111)와,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의 나사산(12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200)는 상기 암지그(130)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숫지그(140)의 승강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일련의 장치로써, 상기 숫지그(140)의 설치 높이에 대한 조절시 작업자가 상기 숫지그(140)를 손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데 소요되는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 상기 승강부(200)는 크게 탄력회동부와, 승강플레이트(230) 및 승강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탄력 회동부는 고정부(210)와 탄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10)는 다시 베이스 플레이트(211)와, 지지 플레이트(213)와, 지지축(212) 및 커버 플레이트(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력조절부는 다시 탄력회동체(300)와, 회동축(353)과, 탄력부재(330) 및 탄력조절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승강보조부는 안내핀(220)과, 헤드부(270) 및 연결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270)는 지지헤드(271)와 풀리(2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가 지면 혹은, 암지그(130) 내의 저부 끝단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200)의 베이스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 상면에 두 개의 지지플레이트(213)가 고정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1) 상면에 두 지지축(212)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두 지지 축(212) 끝단에 커버플레이트(214)가 고정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13)와 상기 지지핀(212)은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각각 한쌍을 이루고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력회동체(300)는 내부가 빈 상태로 상기 탄력 조절부의 외관을 이룸과 더불어 그 양측으로는 상기 회동축(353)이 관통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력부재(330)가 내장되는 제1몸체(310)와, 상기 제1몸체(310)와 연동되도록 결합되는 제2몸체(3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몸체(320)의 외면(제1몸체와 결합된 부위와는 반대측 면)은 그 중앙 부위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면서 외부로 돌출되게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외면 상에는 상기 연결부재(250)가 감기는 감김홈(321)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감김홈(321)은 상기 제2몸체(320)의 내측(제1몸체와 결합되는 부위) 끝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나선 형상을 이루면서 요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330)는 일단이 상기 제1몸체(3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회동축(353)에 결합되어 상기 탄력회동체(300)의 회전에 따라 압축 혹은,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축(353)은 외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고 절곡되어 상기 탄력부재(330)의 일측 끝단이 고정되는 탄력부재 고정홈(353b)을 더 구비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213) 양단에 베어링 설치되어 상기 숫지그(130)의 승하강시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력 회동부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복원력을 발생시키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급격한 하향 이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상향 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상기 회동축(35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어느 한 방향으로의 회전 시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탄력 설치된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탄력부재(330)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지만,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탄력부재(330)가 상기 회동축(353)에 감기면서 압축되거나 혹은, 풀리면서 복원되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력부재(330)는 상기 회동축(353)에 감겨 압축될 경우 최초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제공하면서 상기 탄력회동체(30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탄력부재(330)의 탄성력(혹은, 복원력)은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140)의 무게에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예컨대, 상기 숫지그(140)의 무게가 15㎏일 경우 상기 탄력부재(330)는 15㎏ 이상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력회동부는 상기 암지그(140) 내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안내핀(220)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탄력회동부가 상기 숫지그(130) 외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탄력회동부를 구성하는 상기 탄력부재(330)의 크기를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숫지그(130)의 무게가 클 경우 상기 탄력부재(330)를 큰 것으로 교체하여 더 큰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탄력조절수단(35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13) 외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축 일측 끝단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라킷(352)과 그 단면에 랜치 등의 공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구홈(353a)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라킷(352)이 설치되는 방향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213)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프라킷(352)의 회전을 막아주는 스토퍼(3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라킷(352)은 톱니형 회전날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스토퍼(351)는 상기 스프라킷(352)의 날개에 걸림되어 상기 스프라킷(352)의 톱니형 회전날개가 역방향으로 회전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351)는 일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213)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230)의 하단에 고정된 스프링(354)에 연결되어 복원력을 가지면서 상기 스프라킷(352)의 역방향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탄력조절수단(350)은 상기 회동축(353) 단면에 형성된 공구 홈(353a)을 조임으로써 일단이 상기 회동축(353)에 고정된 상기 탄력부재(330)의 탄력(또는 장력)이 증대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장기간 사용 시 상기 탄력부재(330)의 탄력이 저하되어 자주 교체하여야하는 시간 및 경비상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상기 회동축(353)에 연결된 상기 탄력부재(330), 즉 태엽스프링의 탄력이 회복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는 상기 숫지그(140)의 저부를 받치도록 형성된 부위로써, 상기 암지그(130) 내경에 비해서는 작지만 상기 숫지그(140)의 외경에 비해서는 동일하거나 더욱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는 상기 안내핀(220)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안내핀(220)의 지지를 받아 상기 암지그(130) 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된다. 즉, 상기 안내핀(220)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는 상승 시 상기 풀리(272)와의 충돌을 막기 위하여 상기 안내핀(220)과의 접촉부위에 높이 방향으로 일정 높이(상기 승강플레이트가 풀리에 닿기 전에 상기 지지헤드에 먼저 닿을 만큼의 높이)의 돌출 홀(231)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안내핀(220)은 그 하단이 상기 커버 플레이트(214)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130) 내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일련의 핀(pin)이다.
또한, 상기한 안내핀(220)은 두 개 이상으로 하여 제공됨이 가장 바람직하 다.
이는, 상기 안내핀(220)에 의해 승강이 안내되는 승강 플레이트(230)가 그의 승강 시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안내핀(220)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두 측 이상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가 기울어지면서 승강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50)는 상기 탄력 회동부의 탄력부재(330)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을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로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250)는 와이어(wire)로 구성되며, 일단은 상기 탄력 회동체(300)에 고정되어 상기 탄력 회동체(300)의 제2몸체(320)에 형성된 감김홈(321)에 선택적으로 감기거나 혹은, 상기 감김홈(321)으로부터 풀리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예컨대, 승강 플레이트의 하면)(230)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250)의 일단인 상기 탄력 회동체(300)에 고정되는 부분은 상기 감김홈(321) 중 내측 끝단 부위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가 상부로 이동될수록 상기 감김홈(321)의 외측 부위에도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몸체(320)를 외면 중앙부위로 갈수록 외향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한 구성과, 이 제2몸체(320)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의 감김홈(321)을 형성한 구성 및 이 감김홈(321) 내에 상기 연결부재(250)가 감길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성은 탄력부재(330)가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즉, 전술한 구성은 감김홈(321)의 직경이 가장 작은 부분에서 연결부재(250) 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힘은 상기 감김홈(321)의 직경이 가장 큰 부분에서 연결부재(250)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힘에 비해 크게 소요되고, 상기 태엽스프링은 최초 상태(완전히 풀린 상태)에서 그를 압축시키기 위해서는 적은 힘이 소요되나 압축되면 될수록 점차 큰 힘이 필요로 함을 고려한 일련의 구성이다.
이렇게, 연결부재(250)의 감김 위치와 탄력부재(330) 즉, 태엽스프링의 압축 정도를 서로 반비례 관계가 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230)는 항상 일정한 힘으로 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헤드부(270)는 상기 안내핀(220)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지지헤드(271)와 상기 지지헤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27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헤드(271)는 상기 승강부(200)에 포함되어 상기 승강부(200) 전체를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고리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50)가 탄력회동체(300)와 승강플레이트(230)에 각각 연결됨에 있어서, 상기 풀리(272)에 감겨 연결되며 상기 풀리(272)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30)가 승하강시 상기 연결부재(250)가 상기 탄력회동체(300)에 감기거나 풀릴 때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에서 탄력회동체(300)와 회동축(353) 간의 접촉 부위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베어링(37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베어링(370)은 상기 탄력 회동체(300)의 회동을 안전적으로 지 지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상기 베어링(370)은 상기 탄력 회동체(300)를 이루는 각 몸체(310, 320)와 상기 회동축(353) 간의 접촉 부위에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를 이용하여 곡 구조물을 지지하는 일련의 조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에서 숫지그(130)의 하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숫지그(130)의 하강 시,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핀지그의 높이를 설정 및 고정시키기 위하여 먼저 암지그(140)를 작업 장소에 고정시키고, 상기 숫지그(130)에 힘을 가하여 하강시키면, 일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230)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탄력회동체(300)의 제2몸체(320)에 고정되어 감김홈(321)에 감겨진 연결부재(250)가 상기 탄력회동체(300)의 일방향회전과 동시에 풀려진다. 아울러 상기 탄력부재(330)는 상기 탄력회동체(3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회동축(353)을 중심으로 감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탄력부재(330)는 상기 탄력회동체(300)의 회전과 동시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동축(353)을 중심으로 감겨지나 이와 동시에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탄력회동체(300)에 타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숫지그(130)는 작업자에 의해 가해지는 하측방향의 힘과 상기 탄력부재(33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동시에 받게 되어 상기 숫지그(130)가 평형을 유지하여 멈추게 되므로 작업자가 숫지그(130)를 조절하기 위해서 오랫동안 숫지그(130)를 붙잡기 위해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숫지그(130)를 원하는 높이까지 내리게 되면 상기 숫지그(130)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숫지그(130)가 설정된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고정키(150)가 해당 위치의 상기 암지그(140)의 상측에서 가장 근접한 상기 숫지그(130)의 체결공(141)에 삽입하여 상기 숫지그(130)의 높이를 고정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에서 숫지그(130)의 승강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숫지그(130)를 하강된 위치에서 다시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만약 고정키(150)가 삽입된 상태라면, 상기 고정키(150)를 상기 체결공(141)에서 이탈시킨다. 그리고 작업자가 숫지그(130)를 잡고 위로 올리게 되면, 상기 탄력부재(330)는 자체복원력에 의한 탄성력을 상기 탄력회동체(300)에 가하므로서 상기 탄력회동체(30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풀리(272)를 통해 상기 숫지그(130)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30) 하부에 고정된 연결부재(250)가 상기 탄력회동체(300)의 제2몸체(320)에 감김으로서 상기 숫지그(130)가 승강된다.
이어서 상기 작업자는 상기 숫지그(130)가 소정의 위치까지 승강되면, 상기 고정키(150)를 암지그(140)의 상측에서 가장 근접한 체결공(141)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숫지그(130)의 높이를 고정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선체블럭을 지지하게 되며, 사용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기타원인에 의해 손상된 상기 숫지그(13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상기 숫지그(130)를 승강시킨 뒤 상기 암지그에서 이탈시킨다. 이때, 상기 숫지그(130)는 상기 승강플레이트(230)와 분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 구성의 도움없이 바로 이탈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플레이트(230)는 상기 암지그(140)의 내측에 잔류하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숫지그(130)가 상기 암지그(140)의 내측에서 완전히 뽑혀지면, 새로운 숫지그(130)를 상기 승강플레이트(230)에 안착시켜 상기 암지그(140)의 내측에서 삽입하므로 교체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핀지그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의 승강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의 탄력회동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에서 숫지그의 하강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에서 숫지그의 상승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서포터 111 : 접촉부 112 : 나사부
120 : 높이조절너트
130 : 암지그 131 : 눈금홀 140 : 숫지그
141 : 체결공 150 : 고정키
200 : 승강부 210 : 고정부
220 : 안내핀
230 : 승강플레이트 231 : 돌출홀
250 : 연결부재
270 : 헤드부 271 : 지지헤드 272 : 풀리
321 : 감김홈
300 : 탄력회동체 330 : 탄성부재
353 : 회동축 353a : 공구홈 353b : 고정홈
370, 380 : 베어링

Claims (23)

  1. 작업장소에 고정되는 내부가 비어있는 암지그;
    상기 암지그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가 빈 숫지그; 및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 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력회동부와 상기 숫지그를 지지하면서 상기 숫지그를 승하강시키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으로 안내하는 승강보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회동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 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며 탄력 조절이 가능한 탄력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보조부는 상기 탄력회동부의 상단에 고정되어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안내핀과 일단은 상기 탄력회동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안내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암지그 내의 최하단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높이 방향의 끝단에 설치되는 커버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절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 시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탄력회동체와, 일단은 상기 회동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탄력회동체에 고정 설치되어 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력부재와, 상기 회동축의 한쪽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탄력부재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탄력조절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회동체는 상기 탄력부재가 내장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면서 그 외면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감기는 감김홈이 형성된 제2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 외면에 위치하여 상기 회동축 한쪽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라킷과, 상기 스프라킷이 설치되는 방향에 위치하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스프라킷의 회전을 막아주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안내핀의 상단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지지헤드와, 상기 지지헤드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숫지그의 저부를 받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안내핀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안내핀의 지지를 받아 승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풀리와의 충돌을 막기 위하여 상기 안내핀과의 접촉부위에 높이방향으로 일정 높이의 돌출 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외면은 그 중앙 부위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들면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감김홈은 상기 제2몸체의 내측 끝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에 이르기까지 나선 형상을 이루면서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감김홈 중 내측 끝단 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상부로 이동될수록 상기 감김홈 중 외측 부위까지 감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절부를 구성하는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회동축에 감기면서 압축 되거나 혹은, 풀리면서 복원되는 태엽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14.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탄력회동부는 상기 암지그 내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상기 안내핀 하단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회동체와 상기 회동축 간의 접촉 부위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1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탄력부재의 일단이 고정되는 탄력부재 고정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단에 베어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1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핀은 두 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핀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두 개 이상의 부위를 지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헤드는 외부에서 꺼낼 수 있도록 고리형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2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풀리를 통해 상기 탄력회동체의 제2몸체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지그는 표면에 눈금 홀(slot hole)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2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일단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플레이트의 하단에 고정된 스프링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2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조절수단은 상기 회동축 단면에 형성된 공구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구 홈을 조임으로써 일단이 상기 회동축에 고정된 상기 탄력부재의 탄력(또는 장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록 핀지그.
KR2020080005230U 2008-04-21 2008-04-21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KR2009001083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230U KR20090010838U (ko) 2008-04-21 2008-04-21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230U KR20090010838U (ko) 2008-04-21 2008-04-21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38U true KR20090010838U (ko) 2009-10-26

Family

ID=4153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230U KR20090010838U (ko) 2008-04-21 2008-04-21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838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0401A (zh) * 2011-09-23 2013-04-0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支撑装置
CN109606543A (zh) * 2018-07-30 2019-04-1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分段柔性搁置方法
CN112027025A (zh) * 2020-09-15 2020-12-04 燕山大学 一种可调钢墩
KR102294360B1 (ko) * 2020-04-08 2021-08-25 이정옥 일정한 높낮이 조절 반발력을 갖는 중량물 지지용 핀지그
CN115092353A (zh) * 2022-06-24 2022-09-2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分段建造用配合活络胎架的轻型内管支撑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0401A (zh) * 2011-09-23 2013-04-0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支撑装置
CN103010401B (zh) * 2011-09-23 2015-05-20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支撑装置
CN109606543A (zh) * 2018-07-30 2019-04-12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分段柔性搁置方法
KR102294360B1 (ko) * 2020-04-08 2021-08-25 이정옥 일정한 높낮이 조절 반발력을 갖는 중량물 지지용 핀지그
CN112027025A (zh) * 2020-09-15 2020-12-04 燕山大学 一种可调钢墩
CN115092353A (zh) * 2022-06-24 2022-09-23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分段建造用配合活络胎架的轻型内管支撑
CN115092353B (zh) * 2022-06-24 2023-11-1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分段建造用配合活络胎架的轻型内管支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321B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KR20090010838U (ko) 장력조절이 가능한 내장형 곡 블럭 핀지그
CN101330199A (zh) 架空线用张紧平衡器
WO2012062140A1 (zh) 定位装置
KR200396128Y1 (ko) 탄성부재를 이용한 선체블럭지지용 핀지그
US11641797B2 (en) Mower
CN219860441U (zh) 悬吊平台稳定机构、悬吊平台摆动装置和悬吊平台
KR101356229B1 (ko) 러더스톡용 유압너트 체결장치
JP6103230B2 (ja) 測定機の昇降装置
JP4568778B2 (ja) 無段変速機のプーリシャフト組立体の寸法測定装置
CN110186618B (zh) 一种汽车质心测试定位装置
CN114314403A (zh) 一种带载排绳装置
JP2008237804A (ja) 歩行支援装置
KR200381787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CN217235420U (zh) 一种草坪灯杆结构
KR20100006200U (ko) 핀지그를 위한 승강봉 지지기구
CN213837654U (zh) 一种室内装饰工程用升降装置
CN219239111U (zh) 姿态保持装置
CN220084651U (zh) 一种粉尘浓度检测装置
JP6281651B2 (ja) 昇降装置
KR200415155Y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CN221032578U (zh) 一种石油测井深度测量装置
CN110785368A (zh) 拉伸张紧器
CN211874062U (zh) 一种防跳槽和防磨的可旋转悬浮式抱杆头部结构
CN218312035U (zh) 一种浮动支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