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155Y1 -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 Google Patents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155Y1
KR200415155Y1 KR2020060004656U KR20060004656U KR200415155Y1 KR 200415155 Y1 KR200415155 Y1 KR 200415155Y1 KR 2020060004656 U KR2020060004656 U KR 2020060004656U KR 20060004656 U KR20060004656 U KR 20060004656U KR 200415155 Y1 KR200415155 Y1 KR 200415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pin
support
supporting
curv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익성
Original Assignee
어익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익성 filed Critical 어익성
Priority to KR2020060004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1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1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작업장소에 고정되는 내부가 빈 암지그; 상기 암지그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가 빈 숫지그; 상기 암지그 내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지지핀과, 상기 숫지그의 저부를 받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핀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지지핀의 지지를 받아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롤러를 경유한 후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승강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를 제공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작업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고 숫지그의 승하강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곡 구조물 지지, 핀지그, 인장스프링, 승강 플레이트, 풀리

Description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pin jigger for supporting a curved struc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핀지그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승강보조장치가 동작 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승강보조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승강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서포터 111. 헤드부
112. 나사부 120. 높이조절너트
121. 나사산 122. 단턱부
130. 암지그 131. 제1체결공
132. 리브 140. 숫지그
141. 제2체결공 150. 고정키
210. 베이스 플레이트 220. 지지핀
230. 승강 플레이트 231. 관통공
232. 가이드 부시 240. 풀리
241. 힌지 242. 격벽
250. 탄성부재
본 고안은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지그는 선박의 선체 등과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 구조물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상기 핀지그는 선박의 선체를 제조하는 도중 상기 선체의 제조를 위한 각 블럭을 그 저부에서 받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선체는 다수의 블럭으로 나누어 개별 제작한 다음 상기 각 블럭을 결합함으로써 그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선체의 각 블럭은 그 바닥면이 자유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수의 핀지그를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블럭의 저면 높이에 따라 상기 각 핀지그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상기 각 블 럭이 정위치에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각 블럭 간을 용접하였다.
첨부된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핀지그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핀지그는 서포터(11)와, 높이조절너트(12)와, 암지그(13) 및 숫지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숫지그(14)는 상기 암지그(13)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높이조절너트(12)는 상기 숫지그(14) 내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11)는 실질적으로 선체를 이루는 블럭을 받치는 부위로써 상기 높이조절너트(12)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포터(11)와 상기 높이조절너트(12)는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포터(11)의 미세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암지그(13)와 숫지그(14)에는 체결공(13a,14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체결공(13a,14a)에는 별도의 고정키(15)가 연속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암지그(13)에 상기 숫지그(14)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핀지그는 상기 숫지그(14)의 무게가 통상 15∼25㎏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숫지그(1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상기 숫지그(14)를 손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야만 하는 수작업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의 반복 수행에 따른 작업자의 허리나 팔 등 등의 근육에 무리를 주게 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숫지그(14)를 수동으로 조절하고 고정키(15)를 끼워서 고정시킴에 따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었고, 작업자의 실수로 상기 숫지그 (14)를 떨어뜨렸을 경우 상기 숫지그(14)의 무게로 인해 급격한 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국내 특허출원 제10-2003-99024호 및 제10-2003-99025호와 같이 암지그의 외부에서 별도의 핸들을 조작하여 숫지그를 보다 쉽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하, “제1기술”이라 함)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129호 및 20-2005-001947호 등과 같이 무게추를 이용하여 숫지그의 승하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이하, “제2기술”이라 함)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6020호 및 제20-2005-19749호 등과 같이 태엽식의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숫지그의 승하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이하, “제3기술”이라 함) 등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각 기술들 중 제1기술은 핸들의 설치를 위한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과 함께 그 제조를 위한 제조 비용이 비싼 문제점을 가지고, 상기 제2기술은 무게추로 인해 소요되는 제조 단가가 비싼 문제점을 가지며, 상기 제3기술은 암지그의 외측에 태엽식의 판스프링을 정확히 설치하기 위한 조립이 곤란함과 더불어 그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최대한 적은 제조 비용으로 상기 숫지그의 승하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작업자에게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안정적인 숫지그의 승하강을 보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작업장소에 고정되는 내부가 빈 암지그; 상기 암지그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가 빈 숫지그; 그리고, 상기 암지그 내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지지핀과, 상기 숫지그의 저부를 받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핀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지지핀의 지지를 받아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풀리를 경유한 후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승강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핀은 두 개로 구성되며, 상기 두 지지핀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측 부위를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풀리는 그의 양측면 중앙부위가 상기 두 지지핀의 상측 끝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풀리를 경유한 후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풀리에는 상기 둘 이상의 탄성부재가 서로 구획된 상태로 경유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지지핀이 관통되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핀에 원활히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부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크게 암지그(130)와, 숫지그(140)와, 높이조절너트(120)와, 서포터(110)와, 승강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암지그(13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암지그(130)는 작업장소(예컨대, 선체의 각 블럭을 용접하기 위한 작업장 등)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가 빈 관(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암지그(130)의 둘레면 저부에는 지면에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132)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지그(130)의 둘레면 상단에는 숫지그(140)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131)이 그 전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131)으로는 고정키(150)가 관통하여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숫지그(14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숫지그(140)는 상기 암지그(130)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가 빈 관(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숫지그(140)의 둘레면에는 그 길이 방향(도면상 세로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체결공(141)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각 제2체결공(141)은 상기 암지그(130)의 제1체결공(131)을 관통한 고정키(150)가 계속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숫지그(140)가 상기 암지그(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높이조절너트(120)는 상기 숫지그(140)의 상단에 얹힘과 동시에 그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의 하단에는 상기 숫지그(140)의 상단 내부로 요입 결합되는 단턱부(122)가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포터(110)에 대하여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서포터(110)는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높이조절너트(120)로부터 미세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서포터(110)는 상단을 이루면서 선체의 형성을 위한 블럭이 얹혀지는 헤드부(111)와,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의 나사산(12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보조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강보조장치는 상기 암지그(130) 내에 설치되면서 상기 숫지그(140)의 승강을 보조하도록 구성된 일련의 장치로써, 상기 숫지그(140)의 설치 높이에 대한 조절시 작업자가 상기 숫지그(140)를 손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리는데 소요되는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승강보조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지지핀(220)과, 승강 플레이트(230)와, 풀리(240) 및 탄성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지면 혹은, 암지그(130) 내의 저부 끝단에 고정되는 부위로써 상기 승강보조장치의 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220)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핀(220)은 그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130)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일련의 핀(pin)이다.
또한, 상기한 지지핀(220)은 두 개를 한 쌍으로 하여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핀(220)에 의해 승강이 안내되는 승강 플레이트(230)가 그의 승강시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두 지지핀(220)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양측을 각각 지지함으로써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가 기울어지면서 승강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는 상기 숫지그(140)의 저부를 받치도록 형성된 부위로써, 상기 암지그(130) 내경에 비해서는 작지만 상기 숫지그(140)의 외 경에 비해서는 동일하거나 더욱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두 지지핀(220)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각 지지핀(220)의 지지를 받아 상기 암지그(130) 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된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어느 일측 둘레 부위(바람직하게는 상기 두 지지핀이 관통되는 부위와 수직한 방향측의 부위)에는 관통공(2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31)은 상기 탄성부재(2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이다.
특히,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각 부위 중 상기 두 지지핀(220)이 관통되는 부위에는 상기 두 지지핀(220)에 원활히 지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부시(232)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시(232)는 상기 지지핀(220)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 간의 결합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풀리(240)는 상기 지지핀(22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써, 탄성부재(250)의 인장 또는, 압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롤러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풀리(240)는 상기 두 지지핀(220)의 상측 끝단 사이에 설치되며, 그의 양측면 중앙부위는 상기 두 지지핀(220)의 상측 끝단에 힌지(241)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풀리(240)는 전술한 승강 플레이트(230)의 최대 상승 거리를 제 한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가 최대 상승 거리만큼 상승하였을 경우 상기 풀리(240)의 저면에 받혀 더 이상 상승됨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250)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인장되거나 복원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급격한 하향 이동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상향 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탄성부재(250)가 코일형 인장 스프링으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250)가 통상의 스프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승하강을 위한 로프의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탄성부재(250)는 그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풀리(240)를 경유한 후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상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50)의 타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의 상면 중 관통공(231)이 형성된 부위와는 반대측 부위에 고정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250)는 대략 상기 숫지그(140)의 무게에 해당되는 중량의 대략 50∼90% 정도를 감당할 수 있는 인장력 및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에 상기 숫지그(140)를 얹은 상태로 하강시키고자 할 때 상기 탄성부재(25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숫지그(140)가 급격히 하강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숫지그(140)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탄성부재(250)의 탄성력과 상기 숫지그(140)의 중량 차이에 해당되는 힘만으로 상기 숫지그(14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를 이용하여 곡 구조물을 지지하는 일련의 조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핀지그를 구성하는 암지그(130)를 작업장소에 각각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핀지그는 곡 구조물(예컨대, 선체의 특정 블럭)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 및 서로 간의 설치 간격 등이 결정된다.
이후, 상기 곡 구조물의 저면 형상에 따라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140) 및 서포터(11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숫지그(140)는 개략적인 높낮이의 조절을 위해 동작되고, 상기 서포터(110)는 정밀한 높낮이의 조절을 위해 동작된다.
예컨대, 상기 곡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숫지그(140)를 암지그(130) 내로부터 상향 이동시키거나 혹은, 하향 이동시켜 개략적으로 높낮이를 맞춘 다음에 상기 서포터(110)를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정확한 높낮이를 맞추는 것이다.
또한, 이때에는 상기 숫지그(140)의 하단이 승강 플레이트(230)의 상면에 얹혀져 있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는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을 제공받음과 동시에 상기 숫지그(140)의 무게로 인한 가압력을 제공받는 상태이다.
전술한 상태에서, 상기 숫지그(140)를 암지그(130) 내로부터 상향 혹은, 하 향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암지그(130) 및 숫지그(140)를 연속적으로 관통하여 설치된 고정키를 분리한다.
이의 경우, 상기 숫지그(140)의 무게로 인한 가압력이 상기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비해 크기 때문에 상기 숫지그(140)가 얹혀진 승강 플레이트(230)는 점차 하향 이동되지만, 상기한 탄성부재(250)의 인장력 및 탄성력에 의해 급격한 하향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로 인해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숫지그(140)의 높이를 보다 상향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상기 숫지그(140)의 무게에서 상기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을 뺀 힘만으로 상기 숫지그(140)가 상향 이동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가 드는 힘이 최소화됨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한 숫지그(140)의 상향 혹은, 하향 이동이 이루어질 경우 탄성부재(250)는 첨부된 도 2 및 도 4와 같이 압축되거나 혹은, 첨부된 도 3 및 도 5와 같이 인장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50)의 일부가 회동 가능한 풀리(240)를 경유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250)의 인장이나 압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승강 플레이트(230)의 상향 이동 및 하향 이동 역시 원활히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230)는 한 쌍의 지지핀(220)에 의해 그 승강 동작을 지지받기 때문에 승강 도중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되어 안정적인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숫지그(140)의 개략적인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면, 상기 암지그(130)의 제1체결공(131)과 상기 숫지그(140)의 제2체결공(141) 간을 일치시킨 후 고정키(150)를 상기 제1체결공(131) 및 제2체결공(141)에 연속하여 관통 삽입함으로써 상기 암지그(130)에 상기 숫지그(140)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후, 서포터(110)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서포터(110)의 나사부(112)가 높이조절너트(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1)과 연동되면서 미세하게 상향 이동 혹은, 하향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서포터(110)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서포터(110)의 상단을 이루는 헤드부(111)의 상면으로 선체의 형성을 위한 블럭이 얹혀진 후 여타 블럭과의 용접 등과 같은 결합 작업이 진행된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탄성부재(250)가 하나로만 구성됨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50)의 변형에 대한 우려 및 과도하게 무거운 숫지그(140)의 승강 보조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야기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250)의 변형에 대한 우려를 해소함과 더불어 숫지그(140)의 무게가 무겁더라도 보다 안정적인 승강의 보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조를 제시한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핀지그는 첨부된 도 6과 같이 탄성부재(250)를 적어도 둘 이상으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50)가 두 개로써 2열의 배 치를 이루면서 설치됨을 제시하지만, 상기 탄성부재(250)는 셋 이상 제공되어 3열 이상의 다수열로도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두 탄성부재(250)는 필요에 따라 어느 하나의 탄성부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숫지그(140)의 무게에 따라 인장력 및 탄성력의 조절을 위해 상기 탄성부재(250)를 하나만 제공하거나 혹은, 둘 이상 제공하는 등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풀리(240)에는 상기 둘 이상의 탄성부재(250)가 서로 구획되도록 하여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242)이 더 형성됨을 제시한다.
결국, 전술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구조로 인해 탄성부재(250)의 변형에 대한 우려가 해소될 수 있게 되며, 숫지그(140)의 무게에 따른 인장력 및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하여 더욱 안정적이고도 원활한 상기 숫지그(140)의 승강에 대한 보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후술되는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숫지그에 대한 높낮이 조절시 작업자가 소요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숫지그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탄성부재를 인장스프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스프링의 역할과 로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그 구조를 최대한 간단히 이룰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숫지그의 승강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최대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무게가 가볍고 설치가 편리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넷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숫지그의 승강을 보조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암지그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암지그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없어서 상기 암지그와 관계되는 조립 작업이 필요 없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승강 플레이트가 두 지지핀의 지지를 받아 승강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숫지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여섯째,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숫지그의 무게에 따라 탄성부재를 하나 혹은, 다수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상황에 따른 대처(숫지그의 무게나 적용 부위에 대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작업장소에 고정되는 내부가 빈 암지그;
    상기 암지그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내부가 빈 숫지그; 그리고,
    상기 암지그 내에 설치되며, 베이스 플레이트와,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지지핀과, 상기 숫지그의 저부를 받치도록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핀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지지핀의 지지를 받아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핀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풀리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가지는 승강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두 개로 구성되며,
    상기 두 지지핀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양측 부위를 각각 지지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그의 양측면 중앙부위가 상기 두 지지핀의 상측 끝단에 회동 가 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고정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에는 상기 둘 이상의 탄성부재가 서로 구획된 상태로 경유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격벽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지지핀이 관통되는 부위에는
    상기 지지핀에 원활히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 부시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KR2020060004656U 2006-02-20 2006-02-20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KR200415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56U KR200415155Y1 (ko) 2006-02-20 2006-02-20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56U KR200415155Y1 (ko) 2006-02-20 2006-02-20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155Y1 true KR200415155Y1 (ko) 2006-04-27

Family

ID=41764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56U KR200415155Y1 (ko) 2006-02-20 2006-02-20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1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321B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CN101103161A (zh) 建筑物建造中使用的设备
CA293431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ising a structure
KR20200082966A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구조물 수리용 이동식 가설기둥
KR200415155Y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CN111424954A (zh) 一种附着式升降脚手架及其附墙导向座、使用方法
CN113685035A (zh) 一种用于建筑工地调整钢筋位置的提吊装置
CN112982935B (zh) 一种宽景阳台用上拉脚手架及其施工方法
WO2008126999A1 (en) Vertical transferring device for heavy load
KR102399918B1 (ko) 지주용 탈착 크레인
CN111514549A (zh) 一种移动式卡箍组件及其移动方法
KR20150001693U (ko) 케이블 드럼 거치대
KR102170468B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2105482B1 (ko) 잭업리그의 레그 제작용 지그
JPH0445614B2 (ko)
KR200424935Y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JP3189202U (ja) トレーラー用アウトリガー
KR102061877B1 (ko) 건축 공사를 위한 안전 난간 구조물 시공 방법
KR200381787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200346998Y1 (ko) 이동형 곡블럭 서포터지그
CN216341025U (zh) 一种用于建筑工地调整钢筋位置的提吊装置
CN214884422U (zh) 一种便于拆卸的钢结构
CN220761522U (zh) 一种钢梁对接焊缝高低调节装置
KR200379658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20120008541U (ko) 앵커 체인 조립용 미니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