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180B1 -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 Google Patents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180B1
KR100618180B1 KR1020050000354A KR20050000354A KR100618180B1 KR 100618180 B1 KR100618180 B1 KR 100618180B1 KR 1020050000354 A KR1020050000354 A KR 1020050000354A KR 20050000354 A KR20050000354 A KR 20050000354A KR 100618180 B1 KR100618180 B1 KR 100618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eight
pin
pipe
pin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0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9937A (ko
Inventor
공경열
Original Assignee
기득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득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득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0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1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7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9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조립에 사용되는 블럭이 안착·지지되는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로 제1관의 단부와 무게추를 연결하고 그 무게추를 제1관이 안내되는 가이드관내에 위치시켜 적은 힘만으로도 제1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어서 쉽고 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무게추나 가이드관이 제1관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핀지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외관구조도 기존의 핀지그와 크게 다르지 않아 관리나 설치가 간편한 핀지그에 관한 것이다.
핀지그, 높낮이조절, 블럭, 선박

Description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Pin Jigger for easily adjusting it's Height}
도 1은 종래의 핀지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핀지그의 조립 사시도.
도 3a는 다수의 핀지그가 베이스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부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핀지그에 곡면을 가진 블럭을 안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조립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핀지그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제1관을 상승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종단면도.
도 7은 제1관을 하강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선박의 조립에 사용되는 블럭이 안착·지지되는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이어로 제1관의 단부와 무게추를 연결하고 그 무게추를 제1관이 안내되는 가이드관내에 위치시켜 적은 힘만으로도 제1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어서 쉽고 편하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무게추나 가이드관이 제1관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핀지그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외관도 기존의 핀지그와 크게 다르지 아니한 핀지그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결합된 수많은 블럭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블럭들은 수톤에서 수백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크기와 무게를 가질 뿐만 아니라, 부위마다 상이한 곡률을 가지고 있다. 핀지그는 이와 같은 블럭들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구체적인 구성들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핀지그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2는 종래의 핀지그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핀지그(P)는 지지봉(1), 보조관(2), 제1관(3)과, 제2관(4)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봉(1)은 블럭과 접촉하는 헤드(11)와 외주면에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보조관(2)에 나합하는 몸통(1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봉의 몸통(12)에 나사산을 구비한 것은 핀지그의 미세한 높낮이 조절을 위함이다. 보조관(2)은 제1관(3)의 강성을 보강하고 지지봉과 연동되어 지지봉(1)의 미세한 승하강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관(3)은 중공관이며 그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마다 핀홀(32)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제2관(4)은 중공관이고 그 외주면에 일정 간격마다 핀홀(42)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핀(43)이 구비되어 있고, 하단에는 지지판(44)이 방사상으로 부착된다. 여기서, 제1관 및 제2관의 핀홀(32,42)은, 제1관과 제2관의 대향면상에 각각 한개씩 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관(3)의 상단부에서 중심공(31)에 보조관(2)를 삽입한 후 용접 등으로 영구 결합시킨 후 지지봉(1)의 몸통(12)을 보조관(2)의 중심공(21)에 나합시킨다. 그리고, 제1관(3)을 제2관의 중심공(41)에 삽착하여 적절한 높낮이를 설정한 후 핀(43)을 제2관의 핀홀(42)를 거쳐 제1관의 핀홀(32)을 관통해 제2관의 대응 방향의 핀홀(42)에 삽입함으로서, 핀지그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리고, 핀지그의 높낮이는 핀홀(32,42)에 삽입된 핀을 뺀 후 제1관을 수작업으로 위로 들어올리거나 아래로 내린 후 다시 핀(43)을 핀홀(32,42)에 삽착함으로서 조절된다.
도 3a는 다수의 핀지그가 베이스(G)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부설된 상태를 나타내는 핀지그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a를 참고하면, 핀지그(P)는 베이스(G)상에 일정간격마다 이격되어 수개 내지 수백개가 설치되는데, 블럭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제2관의 지지판(44)은 베이스(G)상에 용접에 의해 영구고정된다. 설치할 핀지그의 개수는 지지할 블럭의 무게나 곡률 등을 고려해 정해진다. 이처럼, 핀지그(P)를 베이스(G)상에 고정한 후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블럭을 크레인을 이용해 핀지그의 제1관의 지지봉의 단부상에 안착시킨다. 물론, 블럭을 안착시키기 전에, 블럭의 각 지점의 곡률을 고려해, 해당 지점을 지지하는 핀지그의 높낮이를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미리 설정해 놓아야 한다.
앞서 본 핀지그들은, 다양한 크기와 무게를 가지지만 대략 종방향 길이가 1.5m~2.5m, 무게가 대략 20kg 이상이고, 제1관의 무게만도 10kg을 초과한다. 지금까지, 현장에서 작업자들은 직접 수십kg에 달하는 제1관을 수작업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서 핀지그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핀지그의 높낮이 조절에 많은 작업인력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며, 높낮이 조절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이와 같은 문제는 적게는 수십개에서 많게는 수백개에 이르는 핀지그의 높낮이를 직접 조절해야 하는 선박의 블럭조립작업에서는 더욱 심각하게 드러난다.
이에, 출원인은 밸런싱부를 이용해 간단하게 제1관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관의 내부에 가이드관을 위치시키고 그 가이드관의 내부에는 와이어를 통해 제1관과 연결된 무게추를 위치시켜 무게추의 작용으로 제1관을 용이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는 핀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내부에 무게추를 가지는 가이드관을 제1관과 제2관 사이에 위치시켜 제1관이 가이드관을 통해 안내되게 함으로써 크기를 줄여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단순한 외관구조를 가져 설치나 관리가 간편한 핀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그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핀홀이 천공된 제1관의 상단부에 지지봉을 삽착하고, 상기 제1관의 하단부를 제2관의 중심공에 삽착한 후 핀을 일렬로 정렬된 제1관의 핀홀과 제2관의 핀홀에 삽입하여 높이를 설정하는 핀지그에 있어서, 상기 핀지그는 제2관의 내부에 위치되며 그 상단부에는 밸런싱부를 가지는 가이드관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제1관이 제2관과 가이드관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로 안내되며, 상기 밸런싱부는 가이드관의 중공부에 위치되는 무게추와, 그 일단은 무게추에 그리고 타단은 제1관의 하단부에 결착된 한쌍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여 제1관과 무게추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은 상기 무게추보다 다소 무거워서 핀을 핀홀에 삽입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하사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한쌍의 와이어의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핀지그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핀지그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핀지그는 크게 제1관(3), 제2관(6), 가이드관(7)과, 밸런싱부(8)로 이루어진다.
제1관(3)과 제2관(6)은 앞서 본 종래의 핀지그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종래의 핀지그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하에서는, 가이드관과 밸런싱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가이드관(7)은 상기 제2관의 공동부에 안착되는데 제1관이 안내되도록 제1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즉 제1관은 제2관과 가이드관 사이의 공간에서 안내된다.
밸런싱부(8)는 가이드관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안내롤러(82), 와이어(84), 무게추(85)로 이루어진다.
안내롤러(82)는 가이드관의 상단부에 브라켓(83)을 통해 대향되게 각각 한개씩 설치된다. 물론, 브라켓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가이드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와이어는(84)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제1관의 하단부에 결착되고 타단부는 가이드관내의 무게추(85)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대향되게 각각 한개씩 설치된다.
무게추(85)는 가이드관(7)의 중공부(71)에 위치되며 제1관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상방향으로 바이어스된다. 무게추는 제1관의 무게보다 다소 가벼운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무게추를 제1관보다 가볍게 함으로써 핀이 핀홀에 삽입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항상 제1관이 하사점에 머물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무게추의 무게를 제1관의 무게와 동일하게 하여 상호 정적인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핀이 핀홀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관 이 상사점과 하사점 사이의 어디에서나 위치할 수 있으므로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무게추가 제1관보다 무거운 경우에는 제1관은 항상 상사점에 위치하게 된다. 무게추는 다양한 구조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타입이 적합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추는 한쌍으로 구비하고 이들을 각각 한쌍의 와이어의 각각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하나의 무게추를 한쌍의 와이어에 연결하는 것도 배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의 무게추로 할 경우에는 무게추의 무게중심이 수직을 향하도록(가이드관의 중공부내에서 평행을 유지하도록) 와이어의 각각을 무게추의 상면에 결합해야 하는데, 무게추의 부피가 커지면 한쌍의 와이어의 텐션을 이용해 무게추의 중심을 잡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와이어마다 각각의 무게추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출원인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관이 무게추보다 무겁거나 동일한 경우에는, 제1관(3)은 하사점에 위치하면서 와이어에 연결된 무게추(85)에 의해 상측으로 바이어스되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제1관을 파지하고 상측으로 올리게 되면 역학적으로 작업자는 제1관의 무게에서 무게추의 무게를 감한 정도의 힘만으로도 제1관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제1관이 무게추보다 가벼운 경우에는 핀을 핀홀에서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제1관이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제1관의 높이설정이 완료되면 핀(63)을 제1관 및 제2관의 핀홀에 삽입하여 높이를 고정한다.
반대로, 제2관의 하강은 제1관이 무게추보다 무거운 경우에는 핀을 핀홀에서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이루어지며, 제1관이 무게추보다 가벼운 경우에는 작업자가 제1관을 파지하고 하방으로 내리면 된다.
출원인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다양한 변경예와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런싱부를 이용하여 제1관의 승하강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밸런싱부를 제1관 및 제2관의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핀지그의 크기를 줄일 있어서 다수의 핀지그를 좁은 공간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핀지그의 외관구조도 종래의 핀지그와 다르지 않아서 관리나 설치가 간편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그 외주면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의 핀홀이 천공된 제1관의 상단부에 지지봉을 삽착하고, 상기 제1관의 하단부를 제2관의 중심공에 삽착한 후 핀을 일렬로 정렬된 제1관의 핀홀과 제2관의 핀홀에 삽입하여 높이를 설정하는 핀지그에 있어서, 상기 핀지그는 제2관의 내부에 위치되며 그 상단부에는 밸런싱부를 가지는 가이드관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제1관이 제2관과 가이드관 사이의 공간에서 상하로 안내되며, 상기 밸런싱부는 가이드관의 중공부에 위치되는 무게추와, 그 일단은 무게추에 그리고 타단은 제1관의 하단부에 결착된 한쌍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여 제1관과 무게추를 안내하는 한쌍의 안내롤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은 상기 무게추보다 다소 무거워서 핀을 핀홀에 삽입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하사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지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한쌍의 와이어의 각각에 연결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지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무게추는 로드-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지그.
KR1020050000354A 2005-01-04 2005-01-04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0618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354A KR100618180B1 (ko) 2005-01-04 2005-01-04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0354A KR100618180B1 (ko) 2005-01-04 2005-01-04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129U Division KR200379658Y1 (ko) 2005-01-04 2005-01-04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937A KR20060079937A (ko) 2006-07-07
KR100618180B1 true KR100618180B1 (ko) 2006-08-31

Family

ID=37171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354A KR100618180B1 (ko) 2005-01-04 2005-01-04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1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12B1 (ko) 2008-05-21 2010-12-02 김종영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
KR101009921B1 (ko) 2008-08-25 2011-01-2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핀지그 승강장치 및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핀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378U (ko) * 1994-11-14 1996-06-17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곡 구조물을 지지하는 자동식 핀 지그
JPH11301571A (ja) 1998-04-22 1999-11-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殻外板支持用位置決め装置
JPH11321777A (ja) 1998-05-14 1999-11-24 Souki Kk 曲がり外板の受けピン定盤
KR200379658Y1 (ko) 2005-01-04 2005-03-23 기득산업 주식회사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378U (ko) * 1994-11-14 1996-06-17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곡 구조물을 지지하는 자동식 핀 지그
JPH11301571A (ja) 1998-04-22 1999-11-0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船殻外板支持用位置決め装置
JPH11321777A (ja) 1998-05-14 1999-11-24 Souki Kk 曲がり外板の受けピン定盤
KR200379658Y1 (ko) 2005-01-04 2005-03-23 기득산업 주식회사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112B1 (ko) 2008-05-21 2010-12-02 김종영 선박블록 서포트용 핀지그
KR101009921B1 (ko) 2008-08-25 2011-01-20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핀지그 승강장치 및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핀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9937A (ko) 2006-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3939B2 (ja) 地組鉄筋施工方法
CN108019039A (zh) 一种新型建筑模板支撑用防倾斜装置
KR200381787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0618180B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200379658Y1 (ko) 승하강 조절이 용이한 핀지그
KR101050493B1 (ko) 수직 거푸집 지지용 거푸집지지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한 매립 콘 장치, 이를 이용한 거푸집지지 조립체의 설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수직 콘크리트 부재의 시공방법
CN111827483B (zh) 屋顶曲面井字组合钢桁架梁建造施工方法
CN216051085U (zh) 一种钢网架结构的形变检测装置
KR102335075B1 (ko) 블록 지지용 일체형 핀 지그
JP2017043952A (ja) 鉄筋地組装置および地組鉄筋施工方法
CN112746746A (zh) 一种装配式建筑预制构件精准装配装置及方法
CN217782921U (zh) 一种钢结构建筑钢柱定位施工装置
CN206538036U (zh) 工具式可调液压电缆盘支架
KR200416190Y1 (ko) 인장력 장치를 이용한 핀 지그
CN217629470U (zh) 盖梁钢筋骨架施工辅助装置
CN215210586U (zh) 一种大跨度钢混组合梁现浇边板悬挂式吊模装置
CN113914608B (zh) 一种张拉弦模板支架
CN215564363U (zh) 一种脚手架组装用固定结构
CN210922816U (zh) 一种多种条件应用的称重系统
CN219638359U (zh) 一种建筑工程用吊篮
CN215200421U (zh) 一种螺纹钢筋夹持装置
CN217175710U (zh) 倒圆锥台形柱帽支模施工结构
CN219118904U (zh) 大型圆底容器内部施工支撑架用多功能支座
CN218584331U (zh) 一种新型可增大加载距离的抗倒塌试验装置
KR200454194Y1 (ko) 핀 지그용 승하강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핀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